KR20110004924A - 농업용 유해동물의 퇴치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유해동물의 퇴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4924A
KR20110004924A KR1020090057384A KR20090057384A KR20110004924A KR 20110004924 A KR20110004924 A KR 20110004924A KR 1020090057384 A KR1020090057384 A KR 1020090057384A KR 20090057384 A KR20090057384 A KR 20090057384A KR 20110004924 A KR20110004924 A KR 20110004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frame
main frame
clothes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3077B1 (ko
Inventor
류정기
김철대
Original Assignee
경상북도(농업기술원)
김철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북도(농업기술원), 김철대 filed Critical 경상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057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077B1/ko
Publication of KR20110004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0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reflection, colours or films with specific transparency or refle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01M29/2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with generation of periodically explosive repor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농업용 유해동물의 퇴치장치는 농가에 피해를 주는 유해동물을 농작물로부터 쫓아내는 것을 이루어지는 농업용 유해동물의 퇴치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지주, 어깨프레임의 하부에 몸체프레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어깨프레임의 상부에 얼굴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얼굴프레임에 옷걸이부를 구비하여 상기 지주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어깨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스프링의 상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바람에 의해 요동하는 두 개의 요동체, 상기 메인프레임의 몸체프레임에 씌워지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옷걸이부에 걸리는 옷, 상기 옷의 앞쪽 면과 뒤쪽 면에 설치되어 빛을 반사하는 다수의 반사판, 상기 메인프레임의 얼굴프레임에 씌워져 고정되어 앞쪽면과 뒤쪽면에 유해동물이 혐오하는 캐릭터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는 가면, 상기 가면과 옷 중의 어느 하나의 안쪽에 위치한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가면의 눈부위를 발광함과 아울러 소리를 발산하고 빛과 소리의 크기와 간격을 시각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면의 눈을 통하여 빛을 발산하고 새와 멧돼지 등과 같은 유해동물이 무서워하는 소리를 발산하고 외부의 바람에 의해 요동체와 프레임 전체가 움직이기 때문에, 소리와 빛, 물체의 움직임을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낮이나 밤에 조류와 멧돼지 등과 같은 유해동물이 농작물에 접근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허수아비, 유해동물 접근방지, 조류 퇴치기, 멧돼지 퇴치기, 유해동물 퇴치장치

Description

농업용 유해동물의 퇴치장치{DEVICE DRIVING AWAY HARMFUL ANIMAL AND BIRD TO THE CROPS}
본 발명은 논이나 밭 등의 농작물을 해치는 새와 멧돼지 등과 같은 유해동물을 쫓아내는 농업용 유해동물의 퇴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리와 빛 등을 복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낮이나 밤에 조류와 멧돼지 등과 같은 유해동물이 농작물에 접근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농업용 유해동물의 퇴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벼를 심어놓은 논이나 밭 작물을 심어놓은 밭, 과실물을 수확하기 위한 과수원 등에서는 파종기에서 수확기까지 각종 조류와 멧돼지 등과 같은 유해동물에 의한 피해가 많이 발생된다.
즉 파종기에는 흙에 드러난 씨나 얇게 묻힌 씨앗을 각종 새들이 주워먹게 되어 뿌린 씨앗만큼의 수확을 얻기가 어렵게 되거나, 씨앗이 묻힌 흙을 흩트려서 작물의 성장에 커다란 지장을 초래하게 되고, 수확기에는 멧돼지와 같은 산짐승이 고구마 등과 같은 밭작물을 먹어치워서 수확량이 크게 줄게 된다.
또한 까치 등의 조류가 배나 사과 등의 과실을 쪼아먹는 경우가 많아, 과실 의 상품 가치를 떨어뜨리며, 양어장에 있어서도 조류에 대한 피해는 상당하게 된다.
이러한 조류와 멧돼지 등과 같은 유해동물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종래에는 오래전부터 이용된 허수아비, 논이나 밭에 씌우는 그물, 빛을 반사하는 은박테이프 등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허수아비를 이용하는 기술은 새들에 의해 오래전부터 인식된 것이므로 그 실효성이 상실되었으며, 그물을 이용하는 기술은 면적의 제한을 받을 뿐만 아니라 설치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빛을 반사하는 은박지를 이용하는 기술은 길게 둘러치는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자주 끊어지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리와 빛, 물체의 움직임을 복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낮이나 밤에 조류와 멧돼지 등과 같은 유해동물이 농작물에 접근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농업용 유해동물의 퇴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농가에 피해를 주는 유해동물을 농작물로부터 쫓아내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농업용 유해동물의 퇴치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지주, 어깨프레임의 하부에 몸체프레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어깨프레임의 상부에 얼굴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얼굴프레임에 옷걸이부를 구비하여 상기 지주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어깨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스프링의 상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바람에 의해 요동하는 두 개의 요동체, 상기 메인프레임의 몸체프레임에 씌워지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옷걸이부에 걸리는 옷, 상기 옷의 앞쪽 면과 뒤쪽 면에 설치되어 빛을 반사하는 다수의 반사판, 상기 메인프레임의 얼굴프레임에 씌워져 고정되어 앞쪽면과 뒤쪽면에 유해동물이 혐오하는 캐릭터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는 가면, 상기 가면과 옷 중의 어느 하나의 안쪽에 위치한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가면의 눈부위를 발광함과 아울러 소리를 발산하고 빛과 소리의 크기와 간격을 시각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농업용 유해동물의 퇴치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농업용 유해동물의 퇴치장치는 가면의 눈을 통하여 빛을 발산하고 새와 멧돼지 등과 같은 유해동물이 무서워하는 소리를 발산하고 외부의 바람에 의해 요동체와 프레임 전체가 움직이기 때문에, 소리와 빛, 물체의 움직임을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낮이나 밤에 조류와 멧돼지 등과 같은 유해동물이 농작물에 접근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농업용 유해동물의 퇴치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를 생략한 도면으로서, 상기 유해동물의 퇴치장치는 농가에 피해를 주는 유해동물즉 새와 멧돼지 등을 농작물로부터 쫓아내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농업용 유해동물의 퇴치장치는 지주(1)에 메인프레임(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메인프레임(2) 상에 두 개의 요동체(3), 하나의 옷(4) 및 다수의 반사판(5), 하나의 가면(6)이 설치되며, 소리와 빛을 발산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주(1)는 지면(1a)에 세워져 설치되며, 상기 메인프레임(2)에 구비된 어깨프레임(2a)이 상기 지주(1)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메인프레임(2)의 어깨프레임(2a)의 하부에는 몸체프레임(2b)이 형성되고, 상기 어깨프레임(2a)의 상부에는 얼굴프레임(2c)이 형성되며, 상기 얼굴프레 임(2c)의 양측에는 옷걸이부(2d)가 구비되어 있다.
물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주(1)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베어링(1b)이 상기 메인프레임(2)의 어깨프레임(2a)의 중앙부에 삽입 배치되며, 이에 따라 지주(1)의 상단부에서 메인프레임(2)이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2)이 지주(1)에 의해 회전되는 구조이므로, 외부의 바람에 의해 메인프레임(2)이 회전될 수 있는 것이나, 단순히 메인프레임의 회전만으로 유해동물을 쫓아내기에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인프레임(2)의 어깨프레임(2a)의 양측에 스프링(3a)을 각각 설치하게 되며, 상기 스프링(3a)의 상단부에 요동체(3)를 각각 설치하여 외부의 바람에 의해 요동하게 된다.
그래서 두 개의 요동체(3)가 외부의 바람에 의해 각각 요동하게 되므로, 상기 메인프레임(2)의 회전과 함께 두 개의 요동체(3)의 요동으로 인하여 유해동물을 위협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메인프레임(2)의 몸체프레임(2b)에는 옷(4)이 씌워지며, 상기 메인프레임(2)에 구비된 옷걸이부(2d)에 상기 옷(4)의 상부 즉 목부위를 걸어놓게 된다.
다수의 반사판(5)은 상기 옷(4)의 앞쪽 면과 뒤쪽 면에 설치되어 빛을 반사하여 유해동물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면(6)은 상기 메인프레임(2)의 얼굴프레임(2c)에 씌워져 고정되며, 유해동물이 혐오하는 캐릭터 형상 즉 고함치는 사람, 맹수류, 맹금류 등이 앞쪽 면 과 뒤쪽 면에 각각 형성된다.
더우기 본 발명에 의한 농업용 유해동물의 퇴치장치는 상기 가면(6)의 내부에 주로 제어수단을 갖추어지게 되므로, 상기 가면(6)의 재질을 방수 재질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가면(6)은 방수 가능한 유연한 합성수지와 실리콘, 고무 중의 어느 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제어수단을 옷(4)의 내부에 배치하게 되면 상기 옷(4)도 방수 재질로 형성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아무튼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가면(6)과 옷(4) 중의 어느 하나의 안쪽에 위치한 메인프레임(2)에 설치되어 상기 가면(6)의 눈부위를 발광함과 아울러 소리를 발산하고, 빛과 소리의 크기와 간격을 시각에 따라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수단은 도 1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면(6)의 앞뒤면에 형성되는 눈부위에 각각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다수의 발광체(11), 상기 옷(4)과 가면(6) 중의 어느 하나의 내부의 메인프레임(2)에 설치되어 소리를 발산하는 다수의 스피커(12), 상기 옷(4)과 가면(6)의 경계부위에 설치되어 외부의 빛을 감지하는 빛감지센서(13)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발광체(11)의 발광 간격과 상기 스피커(12) 소리의 발산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조절기(14), 상기 발광체(11)의 발광 크기와 상기 스피커(12)의 소리 크기를 조정하는 볼륨조절기(15)를 포함한다.
더우기 상기 제어수단에는 제어기(16)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기(16) 가 상기 간격조절기(14)와 볼륨조절기(15), 빛감지센서(13)의 신호를 받아서 상기 발광체(11)와 스피커(12)를 제어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간격조절기(14)와 볼륨조절기(15)의 조작에 따라 상기 발광체(11)와 스피커(12)의 작동 간격과 크기를 조정하게 되며, 상기 빛감지센서(13)의 신호에 따라 밤과 낮을 식별하여 상기 발광체(11)와 스피커(12)를 그 시각에 맞추어서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기(16)에 의해 제어되는 스피커(12)를 통하여 소리를 출력하게 되는 바, 매와 독수리 등과 같은 맹금류와 호랑이와 사자 등과 같은 맹수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한 소리가 상기 스피커(12)를 통하여 발산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발광체(11)는 LED, 전구 등과 같은 발광체이며, 상기 제어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은 원거리에 있는 전기를 전선으로 본 발명의 퇴치장치에 연결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어수단에 건전지를 내장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농업용 유해동물의 퇴치장치는 소리, 빛, 움직임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여 새와 멧돼지 등과 같은 유해동물이 농산물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한다.
우선 사용자가 간격조절기(14)와 볼륨조절기(15)를 작동하여 발광체(11)의 발광 간격과 스피커(12) 소리의 발산 간격을 조정함과 아울러 발광체(11)의 발광 크기와 스피커(12)의 소리 크기를 조정한다.
그러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가면(6)의 눈부위에 위치한 발광체(11)가 깜박 이면서 스피커(12)를 통하여 호랑이와 독수리 등의 울음 소리가 혼합하여 발산하게 되며, 반사판(5)에 의해 빛을 반짝이게 되고, 외부의 바람에 의해 요동체(3)가 흔들리는 것이다.
따라서 새와 멧돼지 등과 같은 유해동물이 주위를 경계하면서 농작물에 쉽게 접근할 수 없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농업용 유해동물의 퇴치장치의 일부 생략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농업용 유해동물의 퇴치장치의 제어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주 2 : 메인프레임
3 : 요동체 4 : 옷
5 : 반사판 6 : 가면
11 : 발광체 12 : 스피커
13 : 빛감지센서 14 : 간격조절기
15 : 볼륨조절기 16 : 제어기

Claims (4)

  1. 농가에 피해를 주는 유해동물을 농작물로부터 쫓아내는 것을 이루어지는 농업용 유해동물의 퇴치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지주,
    어깨프레임의 하부에 몸체프레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어깨프레임의 상부에 얼굴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얼굴프레임에 옷걸이부를 구비하여 상기 지주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어깨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스프링의 상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바람에 의해 요동하는 두 개의 요동체,
    상기 메인프레임의 몸체프레임에 씌워지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옷걸이부에 걸리는 옷,
    상기 옷의 앞쪽 면과 뒤쪽 면에 설치되어 빛을 반사하는 다수의 반사판,
    상기 메인프레임의 얼굴프레임에 씌워져 고정되어 앞쪽면과 뒤쪽면에 유해동물이 혐오하는 캐릭터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는 가면,
    상기 가면과 옷 중의 어느 하나의 안쪽에 위치한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가면의 눈부위를 발광함과 아울러 소리를 발산하고 빛과 소리의 크기와 간격을 시각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농업용 유해동물의 퇴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가면의 앞뒤면에 형성되는 눈부위에 각각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다수의 발광체,
    상기 가면과 옷 중의 어느 하나의 내부의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소리를 발산하는 다수의 스피커,
    상기 옷과 가면의 경계부위에 설치되어 외부의 빛을 감지하는 빛감지센서,
    상기 발광체의 발광 간격과 상기 스피커 소리의 발산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조절기,
    상기 발광체의 발광 크기와 상기 스피커의 소리 크기를 조정하는 볼륨조절기,
    상기 간격조절기와 볼륨조절기, 빛감지센서의 신호를 받아서 상기 발광체와 스피커를 제어하는 제어기로 이루어지는 농업용 유해동물의 퇴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에서 발산되는 소리는 맹금류와 맹수류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유해동물의 퇴치장치.
  4. 제1항과 제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면은 방수 가능한 유연한 합성수지와 실리콘, 고무 중의 어느 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농업용 유해동물의 퇴치장치.
KR1020090057384A 2009-06-26 2009-06-26 농업용 유해동물의 퇴치장치 KR101503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384A KR101503077B1 (ko) 2009-06-26 2009-06-26 농업용 유해동물의 퇴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384A KR101503077B1 (ko) 2009-06-26 2009-06-26 농업용 유해동물의 퇴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924A true KR20110004924A (ko) 2011-01-17
KR101503077B1 KR101503077B1 (ko) 2015-03-18

Family

ID=43612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384A KR101503077B1 (ko) 2009-06-26 2009-06-26 농업용 유해동물의 퇴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30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753B1 (ko) * 2011-02-18 2013-07-26 (주)엘이디뱅크 야생동물 퇴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959B1 (ko) 2018-09-21 2020-02-28 이캐슬전자 주식회사 유해 동물 퇴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6460A (ja) * 1994-11-01 1996-05-21 Meishin Denki Kk 鳥獣害防止具
KR200401534Y1 (ko) 2005-09-02 2005-11-21 윤휘종 바람 및 음향을 이용한 튜브형 허수아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753B1 (ko) * 2011-02-18 2013-07-26 (주)엘이디뱅크 야생동물 퇴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3077B1 (ko)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94960A1 (en) Insect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TW568746B (en) Device for controlling insects
KR200460553Y1 (ko) 야생동물 퇴치장치
KR101036231B1 (ko) 개구리 양식장
KR102457324B1 (ko) 포충기
KR101194928B1 (ko) 해충 포집장치
CN210492268U (zh) 一种畜牧业用杀虫装置
KR20210058088A (ko) 유해 동물 인공지능 퇴치기
KR20110004924A (ko) 농업용 유해동물의 퇴치장치
KR100673029B1 (ko) 해충사멸장치
KR101260069B1 (ko) 조, 수류 퇴치기
CN204682291U (zh) 一种激光灭蚊蝇仪
CN104872097B (zh) 一种激光灭蚊蝇仪
US20200352134A1 (en) Method and device for raising juvenile farm animals
JP2008220344A (ja) 農作物及び畜産物の防病並びに育成促進方法
JP2003274839A (ja) 防蛾照明方法および装置
JP2013013352A (ja) 鳥獣等の駆除装置
CN212065419U (zh) 一种火龙果种植灭虫器
CN214629272U (zh) 仿柑橘实蝇诱捕器
KR20170101845A (ko) 조류 퇴치기
KR20220058692A (ko) 조류 퇴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87846A (ko) 흡입식 포충기가 설치된 식물 생육 램프 장치
KR100707929B1 (ko) 해충유인박멸기
CN219437965U (zh) 一种果园害虫天敌保护装置
WO2018096542A1 (en) A field pesticide system and a method for eliminating pes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