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425U - 야생조수 퇴치장치 - Google Patents

야생조수 퇴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425U
KR20110002425U KR2020090011536U KR20090011536U KR20110002425U KR 20110002425 U KR20110002425 U KR 20110002425U KR 2020090011536 U KR2020090011536 U KR 2020090011536U KR 20090011536 U KR20090011536 U KR 20090011536U KR 20110002425 U KR20110002425 U KR 201100024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ld
lever
tide
disc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5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0099Y1 (ko
Inventor
이준기
김용화
Original Assignee
이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기 filed Critical 이준기
Priority to KR20200900115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099Y1/ko
Publication of KR201100024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4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0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0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2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6Other airport install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수원이나 농경지 또는 공항 등에 설치하여 울림통의 타격음파에 의해 야생조수류의 접근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울림통을 타이머와 감속모터에 의해 제어 구동되는 원반상의 캠과 이에 연동되는 자중구조의 레버와 이에 장착된 타격봉으로 타격하도록 구성하므로서, 보다 경제적이고 단순한 구조이면서도 조수의 퇴치효과를 극대화시킨 야생조수 퇴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울림통, 타이머, 감속모터, 캠, 야생조수

Description

야생조수 퇴치장치{apparatus for driving out birds and wild animals}
본 고안은 과수원이나 농경지 또는 공항 등에 설치하여 야생동물이나 조류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야생조수 퇴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야생조수들이 공통적으로 청각기능이 예민한 점을 이용하여 고음의 타격음을 연속 또는 간헐적으로 발생시키므로서 야생조수의 접근을 방지하는 야생조수 퇴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멧돼지나 고라니 등과 같은 야생동물뿐만 아니라 꿩이나 까치 등 조류들의 개체수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이들에 의한 농작물 피해가 막대하여 농촌지역의 커다란 걱정거리로 부각되고 있는 실정일 뿐 아니라, 심지어 공항 등에서는 비행기 이착륙시 날아다니는 새들이 비행기와 충돌하거나 엔진에 빨려들므로서 크고작은 항공사고를 유발하는 등 사회적인 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과수원이나 농경지 또는 공항지역에서는 오래전부터 야생조수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나 장치 등이 제안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방법이나 장치 등은 몇 가지 방식으로 대별할 수 있는바, 우선 아주 오래전부터 널리 사용되어온 허수아비나 색색이줄과 같이 야생조수의 시각을 자극하여 퇴치하는 시각적 방식, 또한 호랑이나 곰과 같은 맹수류의 분비물을 이용하여 퇴치하는 후각적 방식, 또는 총포와 같은 폭발음이나 징, 꽹과리 등의 소음에 의한 청각적 방식, 그리고 근래에는 고압전류에 의해 야생조수의 촉각을 자극하는 전기적 충격 방식 등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 중 허수아비나 색색이줄과 같이 시각적 자극에 의하는 경우는 시각기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야생조류에게는 일정수준 효과가 있으나, 시각기능이 떨어지는 멧돼지나 고라니 등과 같은 야생동물에게는 별다른 효과가 없어 그 효과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고, 맹수류의 분비물에 의한 후각적 방식은 분비물의 확보에 어려움이 있을 뿐 아니라 효과의 지속성이 짧아 역시 제한적 효과 밖에 기대할 수 없다.
또한, 전기 울타리를 설치하여 고압전류를 흘려 보내는 전기적 충격방식은 퇴치효과는 우수하나 시설의 설치나 유지비가 상대적으로 고가일 뿐 아니라, 가축이나 인명피해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총포와 같은 폭발음이나 징, 꽹과리와 같은 청각적 방식은 일반적으로 야생조수들이 모두 청각기능이 예민하다는 점에서 퇴치효과가 우수하여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이 방식에서의 종래 수단들 역시 몇 가지 단점이 있다.
즉, 공포탄을 쏘거나 징, 꽹과리를 울리는 방식은 인력으로 계속 반복적으로 소음을 발생시켜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울 뿐 아니라 과다한 인건비가 소요되는 문 제가 있으며, 카바이트 등에 의해 간헐적으로 폭발음을 자동 발생시키는 경우에는 시간이 경과 할수록 폭발간격이 길어지게 되어 새벽 시간대에는 그 간격이 너무 벌어져 실질적으로 퇴치효과를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등록번호 제20-0300682호; 명칭: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기)에는 퇴치음을 기구적으로 발생시킴과 동시에 퇴치줄을 출렁이게 하므로서 야생조류를 퇴치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 선행기술은 기구적으로 복잡한 구성으로 되어 있을 뿐 아니라 설치면을 퇴치줄과 종 등으로 전부 뒤덮어야 하는 등 설치작업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줄이 사고로 엉키는 경우에는 작동이 안되는 문제와 함께 제조단가도 상대적으로 높아서 열악한 농촌지역에 보급하기에는 적절치 못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위 선행기술은 울림통(50)이 줄로 현수된 상태에서 타격봉(34)이 회전동작에 의해 타격되므로 정타나 연타가 이루어질 수 없어 타격음의 질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결국 타격만에 의해서는 그 퇴치효과가 반감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방식이나 선행기술의 장단점이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가장 효과적인 방식을 선택하되 보다 경제적이고 단순 간결한 구조이면서도 지속 가능한 퇴치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야생조수 퇴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역시 청각적 방식 즉, 울림통을 타격함으로서 발생하는 음파에 의해 야생조수류를 퇴치하는 구성이긴 하나, 다음과 같은 구조적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본 고안에서의 울림통은 공명공간이 구비된 구성으로 하되 폐기된 산소통을 절단형성하여 종형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울림통의 타격수단은 타이머와 감속모터에 의해 제어구동되는 원반상의 캠과, 이에 연동되는 자중(自重)구조의 레버와 상기 레버에 장착된 타격봉으로 이루어지는 단순구조를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반상 캠의 주연둘레에는 다수개의 끼움공을 형성하여 캠돌기의 개수를 선택적으로 가감설치하므로서 타종 횟수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한편, 상기 레버의 아암 부위에도 복수개의 조절공을 형성하여 여기에 회전돌봉을 선택적으로 장착하므로서 타격강도 역시 조절할 수 있게 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이 울림통을 캠과 자중구조의 레버에 의해 타격하는 단순구조로 되어 있고, 울림통 역시 폐품으로 처리되는 산소통을 재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조단가를 대폭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잔고장의 우려도 없어 유지보수나 관리면에서도 유리하여 경제성이 탁월한 장점이 있으며, 따라서 경제력이 여의치 않은 농촌지역에도 널리 보급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피해지역의 면적 규모에 따라 용이하게 타격강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여기에 더해 동일 시간내라도 타종 횟수를 규칙적이든 불규칙적이든 임의로 쉽게 변경할 수 있어 흔히, 야생동물이 반복되는 음파에 쉽게 적응 면역되므로 인해 퇴치효과가 반감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울림통으로 기능하는 산소통 자체가 고압용의 고강도 철강재로 되어 있어 고음의 강력한 음파를 발생하는 동시에 타격구조 역시 선행기술과는 달리 정타에 의한 연타가 가능하므로 청각기능이 예민한 야생조수류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뿐 아니라, 타이머에 의해 일몰시간 대에만 유효하게 작동하므로 야생조수의 퇴치효과가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폐기되는 산소통을 울림통으로 사용하므로 자원의 재활용이라는 국가적 시책에도 보탬이 되는 부가적 효과 역시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타이머에 의해 제어되는 감속모터, 상기 감속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원반상의 캠, 상기 캠에 연동되는 자중구조의 레버, 그리고 상기 레버에 장착된 타격봉에 의해 음파를 발생하는 울림통으로 구성되는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작동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일부절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기판(10)의 상면 일측편에는 고정간(12)에 울림통(20)이 횡설되어 있고, 그 타측면에는 상기 울림통(20)의 상면 높이로 재치판(15)이 높게 입설되어 여기에 감속모터(30)와 캠(40), 그리고 레버(5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울림통(20)은 폐기된 산소통을 절단하므로서 공명공간(21)이 형성되는 종형태의 울림통으로 그 단부는 캡(22)으로 보강된 상태에서 고정간(12)에 볼트(13)로 긴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재치판(15)에는 타이머(60)에 의해 제어되는 감속모터(30)가 지지대(31)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감속모터(30)의 전방에는 원반상의 캠(40)이 함께 구동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원반상의 캠(40) 주연둘레에는 캠돌기(41)를 선택적으로 끼울 수 있도록 다수의 끼움공(42)이 천설되어 있다.
다시 상기 캠(40)의 전방에는 레버(50)가 재치판(15)에 입설된 축간(51) 상단부에 힌지(52)로 축지되어 있고, 상기 레버(50)의 선단에는 타격봉(53)이 삽착되어 볼트(54)로 고정되어 있으며, 다시 상기 레버(50)의 아암(55) 부위에는 복수개 의 조절공(56)을 형성하여 여기에 회전돌봉(57)을 선택적으로 끼우므로서 전술한 캠돌기(41)와 당접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재치판(15)의 일측에 돌설된 지지봉(16)에는 압축스프링(17)을 탄설시켜 상기 레버(50)의 아암(55) 하면이 탄접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장치는 타이머(60)에 의해 가동시간의 시작과 종료시점, 그리고 분,초단위의 작동시간 예컨대, 5분 간격으로 10초간 타종 등을 설정하여 감속모터(30)를 제어 작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타이머의 조작에 의해 일단 감속모터가 구동하게 되면 이와 연동하여 원반상의 캠(40)이 도 2에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캠돌기(41)가 레버(50)의 아암(55)에 축설된 회전돌봉(57)을 좌상방으로 밀치면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아암(55) 선단의 타격봉(53)도 상방으로 들리게 되고, 계속 회전함에 따라 캠돌기(41)와 회전돌봉(57)의 당접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타격봉이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 하면서 울림통(20)의 상면을 강하게 정타로 타격하게 된다.
이후 타격봉(53)은 자체 반동 및 압축스프링(17)의 탄발력과 자중에 의해 수차레 타격을 반복하게 되나, 점차 반동이 약해지면서 타격봉(53)은 압축스프링(17)의 상단 높이에서 멈추게 되므로 울림통(20)의 상면과는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정지하게 되고, 따라서 울림통(20)의 공명음파는 타격종료 후에도 계속 발진한다.
이와 같은 타격동작시 본 고안은 타격강도나 타격 횟수는 물론,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인 타격음까지도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절할 수가 있다.
즉, 원반상의 캠(40) 주연둘레에 형성된 끼움공(42)에 끼워지는 캠돌기(41)의 개수를 가감시키므로서 같은 타종시간에서도 타종 횟수를 가감할 수 있으며, 또한 같은 개수의 경우라도 캠 주연부의 끼움공(42)들에 끼워지는 캠돌기(41)의 간격을 등간격으로 하거나 그렇지 않게 하거나 하므로서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인 타격음을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무게가 다른 타격봉(53) 자체를 교체하므로서 타격강도를 달리할 수도 있으나, 같은 무게의 타격봉(53)이라도 레버(50)의 좌우 아암(55)(55) 부위에 형성된 조절공(56) 중 힌지(52)에 가까운 조절공(56)에 회전돌봉(57)을 끼울수록 타격봉(53)의 상하 이동거리가 커지므로 타격강도가 강화된다.
따라서 도 2에서 우측 아암(55)에 형성된 조절공(56)에 회전돌봉(57)을 끼우면 전술한 좌측 아암에 끼운 경우보다 타격강도가 강해지며 다만, 이 경우에는 캠돌기(41)가 회전돌봉(57)을 우하방으로 밀치는 작동에 의해 타격봉(43)이 상승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좌우아암(55)(55)의 어느 한쪽으로 몇 개의 조절공을 더 형성하여 조절범위를 미세화시킬 수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모터에 연동되는 캠 역시 좌우로 미세이동될 수 있도록 별도구조가 추가되어야 하며, 이러한 사항은 본 고안의 단순한 설계변경에 해당한다 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도시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부절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설치기판 20 : 울림통
30 : 감속모터 40 : 캠
41 : 캠돌기 50 : 레버
53 : 타격봉 56 : 조절공
57 : 회전돌봉 60 : 타이머

Claims (3)

  1. 울림통의 타격음파에 의해 야생조수를 퇴치하는 야생조수 퇴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울림통은 공명공간이 구비되는 종형태로 구성하여 이를 타이머와 감속모터에 의해 제어구동되는 원반상의 캠과 이에 연동되는 자중구조의 레버와 상기 레버에 장착된 타격봉으로 타격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조수 퇴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울림통은 폐기된 산소통을 절단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조수 퇴치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반상 캠의 주연둘레에는 다수의 끼움공을 형성하여 캠돌기의 개수를 선택적으로 가감설치할 수 있게 하는 한편, 상기 레버에도 복수개의 조절공을 형성하여 여기에 회전돌봉을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조수 퇴치장치.
KR2020090011536U 2009-09-02 2009-09-02 야생조수 퇴치장치 KR2004600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536U KR200460099Y1 (ko) 2009-09-02 2009-09-02 야생조수 퇴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536U KR200460099Y1 (ko) 2009-09-02 2009-09-02 야생조수 퇴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425U true KR20110002425U (ko) 2011-03-09
KR200460099Y1 KR200460099Y1 (ko) 2012-05-07

Family

ID=44207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536U KR200460099Y1 (ko) 2009-09-02 2009-09-02 야생조수 퇴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09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674Y1 (ko) * 2010-07-23 2013-06-28 김용화 야생조수 퇴치장치
JP2020198855A (ja) * 2019-06-13 2020-12-17 株式会社シー・アイ・シー 鳥脅し装置および鳥の追い払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068B1 (ko) * 2017-12-29 2019-10-16 이순철 두더지 또는 조류 퇴치기
KR102116468B1 (ko) * 2019-11-28 2020-05-28 주식회사 세영 센서와 통신망을 이용한 활주로 유해 조수 퇴치장치
KR102638882B1 (ko) * 2021-07-15 2024-02-27 가온팜테크(주) 유해 동물 및 해충 퇴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3506Y1 (ko) * 1996-07-05 1998-12-15 석용문 풍력에 의한 회전 및 타종하는 허수아비
KR200290611Y1 (ko) 2002-06-21 2002-10-04 김창열 소리를 이용한 까치퇴치기
KR200300682Y1 (ko) * 2002-08-26 2003-01-14 이해근 조류 및 야생동물 퇴치기
JP4236188B2 (ja) * 2004-05-25 2009-03-11 中部電力株式会社 鳥害防止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674Y1 (ko) * 2010-07-23 2013-06-28 김용화 야생조수 퇴치장치
JP2020198855A (ja) * 2019-06-13 2020-12-17 株式会社シー・アイ・シー 鳥脅し装置および鳥の追い払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099Y1 (ko) 2012-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0099Y1 (ko) 야생조수 퇴치장치
KR102137618B1 (ko) 송전철탑의 조류퇴치장치
KR20160112620A (ko) 풍력을 이용한 농경지의 조류 및 설치류 퇴치 장치
KR200467674Y1 (ko) 야생조수 퇴치장치
WO2011112114A2 (en) Integrated system for birds repelling
KR101872516B1 (ko) 유해조수 퇴치장치
KR20090011656U (ko) 조류퇴치용 소음 발생 장치
KR101260069B1 (ko) 조, 수류 퇴치기
KR200467675Y1 (ko) 야생조수 퇴치장치
JP2013013352A (ja) 鳥獣等の駆除装置
JP3189808U (ja) 鳥獣撃退装置
CN210043075U (zh) 一种使用寿命长的驱鸟器
KR20110029746A (ko) 조류 퇴치 장치
KR102033068B1 (ko) 두더지 또는 조류 퇴치기
CN210184329U (zh) 一种动物驱赶器
KR102045545B1 (ko) 융합형 조류 퇴치 장치
KR20110030713A (ko) 조류 퇴치 장치
KR102347926B1 (ko) 유해 조수 퇴치기
CN112120006A (zh) 一种动物驱赶器
KR100412045B1 (ko) 조류 퇴치장치
KR200310871Y1 (ko) 조수퇴치기
CN218649877U (zh) 一种基干农业种植的驱鸟装置
KR101574697B1 (ko) 에어크락션을 이용한 전자동 유해조수퇴치장치
KR102483279B1 (ko) 야생동물 퇴치장치
CN110604124A (zh) 一种综合驱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