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123A -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기 - Google Patents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123A
KR20150094123A KR1020140015014A KR20140015014A KR20150094123A KR 20150094123 A KR20150094123 A KR 20150094123A KR 1020140015014 A KR1020140015014 A KR 1020140015014A KR 20140015014 A KR20140015014 A KR 20140015014A KR 20150094123 A KR20150094123 A KR 20150094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ust collecting
air
contain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0680B1 (ko
Inventor
최준호
임종국
이진호
전경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5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680B1/ko
Priority to US14/275,001 priority patent/US20150223657A1/en
Publication of KR20150094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123A/ko
Priority to US15/477,260 priority patent/US1028555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41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parallel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Construction of in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0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 B01D45/08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by impingement against baffle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01D45/16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generated by the winding course of the gas stream, the centrifugal forces being generated solely or partly by mechanical means, e.g. fixed swirl v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2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5/00 and B01D46/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894Spring a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911Hooked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ycl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기는 그릴유닛이 흡입포트와 연통하며 메인사이클론챔버로 공기를 안내하는 유입관과, 유입관과 분리가능하게 마련되고, 메인사이클론챔버로부터 일정크기 이상의 먼지가 걸러진 공기가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그릴몸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사이클론 구조의 공간적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집진챔버를 가시화할 수 있어 청소 만족감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기{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us And Clea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싸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로구조를 개선한 싸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와, 팬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피청소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여 수거하고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집진장치를 구비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가전 기기이다.
집진장치 중에 사이클론 집진장치는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집진장치로서,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먼지봉투 방식의 집진장치에 비해 위생적이고 편리하여 널리 사용된다.
사이클론 집진장치는 캐니스터형이나 업라이트형이나 핸디형 등 진공 청소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두루 사용될 수 있다.
사이클론 집진장치는 선회기류를 발생시키위해 흡입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집진장치의 측부로 유입시키도록 구성하여, 공기의 유로저항이 크게 되고 별도의 공기관을 배치하여야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내부유로구조를 개선한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집진장치의 개폐를 용이하도록 개폐구조를 개선한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는 공기가 유출입하도록 흡입포트와 배출포트를 갖는 집진케이스; 상기 집진케이스의 내부에서 선회기류를 발생시키는 사이클론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클론부는, 상기 흡입포트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선회시킴으로서 먼지를 원심분리하는 메인사이클론챔버;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로 유출입하는 공기유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그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그릴유닛은, 상기 흡입포트와 연통하며,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로 공기를 안내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과 분리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로부터 일정크기 이상의 먼지가 걸러진 공기가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그릴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이클론부는,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로 안내되는 공기를 선회시키도록 구성되는 기류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류형성부는, 공기가 선회기류를 형성하도록 상기 그릴유닛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류형성부는,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로 안내되는 공기가 상기 그릴유닛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선회하도록,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접촉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 기류안내면; 상기 제 1 기류안내면에 의해 선회하는 공기가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를 향해 진행하도록,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2 기류안내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공기의 방향 전환을 위해 상기 제 1 기류안내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유입관은, 그 일단에 상기 흡입포트와 연통하는 유입구를 갖는 유입관몸체; 상기 유입관몸체의 타단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로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에서 공기가 선회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곡면형상의 배출가이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그릴유닛은,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그릴몸체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로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류형성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사이클론부는, 상기 그릴유닛이 삽입 및 결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유닛안착부를 갖고,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사이클론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유입관몸체와 상기 그릴몸체는, 각각의 길이방향에 대한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유입관몸체의 길이방향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상기 유입관몸체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그릴유닛은, 상기 유입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 1 유로; 상기 유입관과 상기 그릴몸체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로부터 상기 그릴몸체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그릴유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 2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로와 상기 제 2 유로는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그릴몸체는, 상기 유입관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유입관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집진케이스는,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에서 공기와 분리된 먼지가 집진되는 집진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그릴유닛은, 상기 유입관의 외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집진챔버에 모이는 먼지들이 역류하지 않도록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와 상기 집진챔버사이에 배치되는 플랜지그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그릴부는, 상기 집진챔버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그릴부는, 상기 집진챔버로부터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로 역류하는 공기중의 먼지만을 걸러내도록 그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집진케이스는,내부에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에서 공기와 분리된 먼지가 집진되는 집진챔버를 갖는 집진컨테이너;를 포함하고,상기 흡입포트는,상기 집진컨테이너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관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의 방사상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에 의해 1차적으로 먼지가 걸러진 공기를 2차적으로 원심분리하는 보조사이클론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집진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에서 공기와 분리된 먼지가 집진되는 집진챔버를 갖는 집진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챔버는,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1 집진챔버; 상기 보조사이클론챔버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2 집진챔버로서, 상기 제 2 집진챔버에 모이는 먼지가 집진되도록 인접한 상기 제 2 집진챔버보다 깊이가 깊도록 형성되는 배출챔버를 갖는 제 2 집진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집진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에서 공기와 분리된 먼지가 집진되는 집진챔버를 갖는 집진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챔버는,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1 집진챔버; 상기 보조사이클론챔버의 하부에서 환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 1 집진챔버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 1 집진챔버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 2 집진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컨테이너는, 상기 제 1 집진챔버와 상기 제 2 집진챔버의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유입관은, 상기 흡입포트와 연통하는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그릴몸체는, 상기 배출포트와 연통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는 공기가 유출입하도록 흡입포트와 배출포트를 갖는 집진케이스; 상기 집진케이스의 내부에서 선회기류를 발생시키는 사이클론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클론부는, 상기 흡입포트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선회시킴으로서 먼지를 원심분리하는 사이클론챔버; 상기 사이클론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사이클론챔버로 유출입하는 공기유동을 안내하는 그릴유닛; 상기 그릴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사이클론챔버에서 선회기류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그릴유닛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기류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릴유닛은, 상기 흡입포트와 연통하며, 상기 사이클론챔버로 공기를 안내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과 분리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로부터 일정크기 이상의 먼지가 걸러진 공기가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그릴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유입관은, 그 일단에 상기 흡입포트와 연통하는 유입구를 갖는 유입관몸체; 상기 유입관몸체의 타단에 마련되어 상기 사이클론챔버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관몸체와 상기 그릴몸체는, 각각의 길이방향에 대한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집진장치는 내부에서 흡입되는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시키는 먼지분리부를 갖는 집진케이스; 공기중의 분리된 먼지가 집진되는 집진챔버와, 상기 집진챔버를 개방하는 개구와, 상기 개구와 인접한 면에 고정돌기를 갖고, 상기 집진케이스의 일측에 마련되는 집진컨테이너;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몸체와, 상기 커버몸체 일측에서 상기 고정돌기에 구속가능하게 마련되는 걸림부재를 갖고, 상기 집진케이스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배출커버; 상기 집진컨테이너의 일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돌기로부터 상기 걸림부재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개폐부재; 상기 집진컨테이너와 상기 배출커버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집진컨테이너와 상기 배출커버를 이격시키는 커버이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부재의 이동방향과 상기 집진컨테이너로부터 상기 배출커버가 이격되는 방향은 상호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집진컨테이너의 일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개폐부재몸체; 상기 개폐부재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고정돌기로부터 이격시키는 걸림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걸림해제부는,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고정돌기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상기 개폐부재몸체의 진행방향의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걸림해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배출커버로부터 상기 집진컨테이너의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걸림부재몸체; 상기 걸림부재몸체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돌기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는,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기 개폐부재몸체를 원위치로 가압하는 복귀탄성부; 상기 복귀탄성부가 상기 개폐부재몸체에 탄성지지되는 탄성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커버이격부재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커버이격부재는, 상기 배출커버의 내측면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어, 상기 배출커버를 개방시에 탄성에 의해 상기 집진컨테이너를 밀어내도록 구성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출커버는, 상기 안착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커버몸체의 내측면에 인접한 상기 커버몸체보다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커버이격부재는 상기 집진컨테이너로부터 상기 배출커버를 이격시키도록 상기 집진컨테이너측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집진컨테이너는 원통의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커버이격부재는 상기 배출커버의 내측에서 원호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출커버는, 상기 집진컨테이너에 힌지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커버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힌지와, 상기 커버이격부재와, 상기 걸림부재는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집진장치는 내부에서 흡입되는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시키는 먼지분리부를 갖는 집진케이스; 일면이 개방된 개구를 갖고, 상기 집진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되는 집진컨테이너; 일측에 상기 집진컨테이너에 탈착가능하게 마련되는 걸림부재를 갖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집진컨테이너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배출커버; 일측에는 상기 집진컨테이너에 탈착가능하게 상기 집진컨테이너를 향해 제 1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재를 갖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타측에는 상기 집진컨테이너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배출커버; 상기 제 1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동작하여 상기 집진컨테이너로부터 상기 걸림부재를 이탈시키는 개폐부재; 상기 집진컨테이너와 상기 배출커버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집진컨테이너로부터 상기 배출커버를 상기 제 1 방향에 반대되는 제 3 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커버이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부재와 상기 커버이격부재는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출커버는, 상기 커버이격부재가 안착되는 유닛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안착부는 상기 배출커버의 상기 타측보다 상기 일측과 인접한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커버이격부재는, 상기 배출커버에서 상기 집진컨테이너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일측에 대해, 그 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출커버는, 상기 집진컨테이너에 힌지결합되도록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와, 상기 커버이격부재와, 상기 걸림부재는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기중의 오물을 집진하는 집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장치는, 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먼지가 집진되는 집진챔버를 갖는 집진컨테이너; 상기 집진컨테이너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고, 일측이 상기 집진컨테이너에 구속 가능하게 마련되는 배출커버; 상기 집진컨테이너로부터의 상기 배출커버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마련되는 개폐부재; 상기 배출커버의 구속 해제에 따라 상기 집진컨테이너로부터 상기 배출커버를 이격시키는 커버이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기중의 오물을 집진하는 집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장치는, 개구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배출커버와, 상기 배출커버에 마련되어 흡입공기가 유입되는 흡입포트를 갖는 집진케이스; 상기 집진케이스 내부에서 선회기류를 발생시키는 사이클론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클론부는, 상기 흡입포트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선회시킴으로서 먼지를 원심분리하는 메인사이클론챔버;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로 유출입하는 공기유동을 안내하는 그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그릴유닛은, 상기 흡입포트와 연결되어, 흡입공기를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로 안내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과 결합되어,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를 거친 공기가 배출되는 그릴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진케이스는, 상기 배출커버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사이클론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집진되는 집진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컨테이너와 상기 배출커버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집진컨테이너와 상기 배출커버를 이격시키는 커버이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출커버는,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몸체; 상기 커버몸체 일측에서 상기 집진컨테이너에 구속가능하게 마련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컨테이너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집진컨테이너로부터 상기 걸림부재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집진컨테이너의 일측면을 따라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개폐부재몸체; 상기 개폐부재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집진컨테이너로부터 이격시키는 걸림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기는 내부유로구조를 개선하여, 구성을 간소화하고 유로저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이클론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공간적, 디자인적인 효율을 극대화 시킬수 있고, 집진챔버를 가시화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청소 만족감을 형성한다.
또한 집진장치의 개폐를 용이하도록 개선하여, 배출커버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배출커버 개방시 배출커버를 밀어주는 구조를 통해, 이물질이나 씰링부재에 의해 먼지배출커버가 집진장치에 끼어 있더라도 용이하게 먼지배출커버의 개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분리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분해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그릴유닛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이클론몸체의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릴유닛과 사이클론몸체의 결합에 관한 일부 단면도.
도 7b는 도 4의 A-A'에 대한 단면도.
도 8,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에서의 공기의 이동에 관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분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일부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 개방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분리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는 본체(10), 집진장치(100), 흡입부(21) 및 휠 어셈블리(50)를 포함한다. 집진장치(100) 및 휠 어셈블리(50)는 본체(10)에 장착된다. 흡입부(21)는 피청소면에 접촉하여 피청소면 상의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1)는 캐니스터 타입(canister type)의 진공 청소기일 수 있다.
본체(10)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본체(10)에서 생성되는 흡입력에 의해 흡입부(21)는 피청소면의 공기 및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흡입할 수 있다. 흡입부(21)는 피청소면에 밀착되도록 다소 넓적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체(10)와 흡입부(21) 사이에는 연장관(20), 핸들관(30) 및 플렉서블 호스(23)가 마련될 수 있다. 연장관(20)은 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구비되고, 흡입부(21)와 핸들관(30)을 연결할 수 있다.
핸들관(30)은 연장관(20)과 플렉서블 호스(23)를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핸들관(30)에는 핸들부(31) 및 조작부(32)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부(31)를 잡고 청소를 할 수 있고, 조작부(32)에 마련된 버튼 등을 조작하여 청소기를 온/오프 시키거나 흡입 강도를 조절하는 등 진공 청소기(1)의 기능을 조작할 수 있다.
플렉서블 호스(23)는 핸들관(30)과 본체(10)를 연결한다. 플렉서블 호스(23)는 핸들관(30)의 자유로운 이동을 위해 유연한 재질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입부(21), 연장관(20), 핸들관(30) 및 플렉서블 호스(23)는 모두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흡입부(21)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연장관(20), 핸들관(30) 및 플렉서블 호스(23)를 순차로 통과하여 본체(10)로 유입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흡입된 공기를 집진장치(100)로 안내하는 제 1 본체포트(10a), 집진장치(100)에서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 2 본체포트(10b)가 마련될 수 있다. 제 2 본체포트(10b)는 팬모터(미도시)가 마련된 팬모터실(미도시)과 연통될 수 있다
본체(1)에는 집진장치(100)를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11)가 마련될 수 있다. 집진장치(100)는 장착부(11)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집진장치(100)는 흡입부(21)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 수거하여 정화된 공기가 제 2 본체포트(10b)를 통해 팬모터로 향하도록 한다.
집진장치(100)는 선회 기류를 발생시켜 원심력에 의해 공기와 먼지를 분리한다. 집진장치(100)에 먼지가 어느 정도 쌓이면 사용자는 집진장치(100)를 분리하여 내부의 먼지를 버릴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분해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단면도이다.
집진장치(100)는 집진케이스(110)와, 사이클론부(140)를 포함한다.
집진케이스(110)는 본체(10)에 결합되어 공기중의 먼지와 같은 오물을 집진하는 구성이다. 집진케이스(110)는 본체(10)와 결합되어, 흡입되는 공기로부터 오물을 걸러내고, 오물이 걸러진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흡입포트(220a)와 배출포트(122)가 마련되어, 흡입부(21)로부터 흡입되는 공기가 유입되어, 집진케이스(110) 내부에서 먼지를 거른 후, 배출포트(122)를 통해 본체로 배출된다.
집진케이스(110)는 집진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집진케이스(110)의 일부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공간이 보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집진케이스(110)는 도면에서와 같이 대략적으로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집진케이스(110)는 상부케이스(120)와, 중간케이스(130), 집진컨테이너(200)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케이스(130)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대략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중간케이스(130)의 상부에는 사이클론챔버(142, 144)를 지난 공기 중의 오물을 한번 더 걸러주도록 필터부재(134)가 마련된다. 필터부재(134)는 중간케이스(130)의 상부에 마련된 상부개구(132)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집진케이스(110)로 유입되는 공기가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메인사이클론챔버(142)와 보조사이클론챔버(144)를 거친 공기 중에 남아있는 미세한 먼지를 필터부재(134)를 통해서 거른 후 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부케이스(120)는 중간케이스(130)의 상부에 마련되어, 중간케이스(130)에 마련되는 힌지부(136)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부케이스(120)에는 사이클론챔버(142, 144)와 필터부재(134)등을 통해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포트(122)가 마련될 수 있다. 배출포트(122)는 팬모터가 마련된 본체 내부의 팬모터실과 연통될 수 있다.
집진컨테이너(200)는 중간케이스(130)의 하부에 마련되어 사이클론챔버(142, 144)에 의해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와 같은 오물이 모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집진컨테이너(200)는 컨테이너몸체(201)와, 컨테이너몸체(201) 내부에 오물이 모이는 집진챔버(205)를 포함한다.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사이클론챔버(142, 144)는 메인사이클론챔버(142)와, 보조사이클론챔버(144)를 포함하는 데, 집진챔버(205)는 이에 대응하여, 메인사이클론챔버(142)에서 공기로부터 분리되는 오물이 쌓이는 제 1 집진챔버(205a)와, 보조사이클론챔버(144)에서 공기로부터 분리되는 오물이 쌓이는 제 2 집진챔버(205b)를 포함한다. 보조사이클론챔버(144)는 메인사이클론챔버(142)의 둘레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제 2 집진챔버(205b)는 보조사이클론챔버(144)에 대응하여 제 1 집진챔버(205a)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2 집진챔버(205b)는 환형으로 마련되어, 제 2 집진챔버(205b)의 적어도 일부가 제 1 집진챔버(205a)의 상부에서 그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 2 집진챔버(205b)는 배출챔버(205c)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챔버(205c)는 제 2 집진챔버(205b)에 누적되는 오물을 집진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배출챔버(205c)는 제 2 집진챔버(205b)에서 인접한 제 2 집진챔버(205b)보다 깊이가 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배출챔버(205c)의 일단은 배출커버(22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배출커버(220) 및 배출커버(220)의 개폐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컨테이너몸체(201)는 컨테이너외벽(202)과 컨테이너내벽(203)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외벽(202)은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마련되고, 컨테이너내벽(203)은 컨테이너외벽(202)의 내측상부에 환형의 공간을 갖도록 내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형상을 갖는다. 제 1 집진챔버(205a)는 컨테이너외벽(202)의 내측, 컨테이너내벽(203)의 내측, 배출커버(220)에 의해 둘러쌓이도록 마련되고, 제 2 집진챔버(205b)는 컨테이너외벽(202)의 내측, 컨테이너내벽(203)의 외측, 배출커버(220)에 의해 둘러쌓이도록 마련된다.
집진컨테이너(200)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집진챔버(205)가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출커버(220)에는 흡입포트(220a)가 마련될 수 있다. 흡입포트(220a)는 플렉서블 호스(23)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집진장치(1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이후 설명하는 유입관(182)과 연통되도록 마련된다. 흡입포트(220a)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배출커버(220)의 커버몸체에 배치되어, 흡입부(21)로부터 흡입되는 공기가 집진케이스(110)의 측면으로 우회하여 유입되지 않고, 집진케이스(110)의 하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흡입포트(220a)는 배출커버(220)의 커버몸체(222) 중앙에 배치된다.
집진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사이클론부(140)을 포함한다.
사이클론부(140)는 선회기류를 발생시켜 원심력에 의해 공기와 오물을 분리하도록 마련된다. 선회기류는 본체(10)내부에 마련되는 팬모터가 구동시에 발생하게 된다.
집진케이스(110)의 내부에는 팬모터에 의해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선회기류가 형성되는 사이클론챔버(142, 144)가 마련된다. 사이클론챔버(142, 144)내에서 공기와 먼지는 원심분리되어 먼지를 거를 수 있게 된다. 사이클론챔버(142, 144)는 메인사이클론챔버(142)와 보조사이클론챔버(144)를 포함한다.
메인사이클론챔버(142)는 이후 설명하는 그릴유닛(170)과, 사이클론몸체(150), 집진케이스(110)에 의해 형성되고, 보조사이클론챔버(144)는 이후 설명하는 사이클론몸체(150)와, 복수의 콘부(158)등에 의해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그릴유닛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이클론몸체의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릴유닛과 사이클론몸체의 결합에 관한 일부 단면도, 도 7b는 도 4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
사이클론부(140)는 그릴유닛(170)과, 그릴유닛(170)이 결합되는 사이클론몸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클론몸체(150)는 집진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그릴유닛(170)이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메인사이클론챔버(142)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그릴유닛(170)을 지나 보조사이클론챔버(144)로 이동하도록 이를 안내한다.
사이클론몸체(150)는 상부사이클론몸체(152)와, 하부사이클론몸체(156)를 포함한다. 하부사이클론몸체(156)에는 그릴유닛(170)과, 내부에 보조사이클론챔버(144)를 갖는 복수의 콘부(158)가 안착되며, 상부사이클론몸체(152)는 메인사이클론챔버(142)로부터 그릴몸체(180)를 통과하는 공기가 보조사이클론챔버(144)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이를 안내하는 안내관(154)이 형성된다.
하부사이클몸체에는 그릴유닛(170)의 일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유닛안착부(160)가 마련된다. 유닛안착부(160)에는 그릴유닛(170)이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미도시)가 형성되며, 그릴유닛(170)에는 결합돌기(미도시)에 대응하여 결합홈(16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릴유닛(170)은 집진케이스(110)의 내부에 마련되어, 메인사이클론챔버(142)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중의 일정크기 이상의 먼지를 거르도록 마련된다.
그릴유닛(170)은 그릴몸체(180)와, 유입관(182)을 포함한다.
유입관(182)은 흡입포트(220a)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메인사이클론챔버(142)로 안내하도록 마련된다. 그러므로 유입관(182)의 일단은 흡입포트(220a)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며, 타단은 메인사이클론챔버(142)와 연통하도록 마련된다.
유입관(182)은 유입관몸체(182a)와, 유입관몸체(182a)의 일단에 마련되어 흡입포트(220a)와 연통하는 유입구(170a)와, 유입관몸체(182a)의 타단에 마련되어 메인사이클론챔버(142)로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부(18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84)는 유입관몸체(182a)의 길이방향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유입관몸체(182a)로부터 연장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84)는 유입관몸체(182a) 내부에서 제 1 유로(P1)를 통해 안내되는 공기가 제 1 유로(P1)의 진행방향에 대해 나선형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배출가이드면(184a)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8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제 1 기류안내면(167)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방향전환되는 데 있어서, 배출가이드면(184a)에 의해 나선형의 궤적을 그리며 배출되어 자연스럽게 방향전환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흡입부(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흡입포트(220a)를 지나, 유입구(170a)를 통해 유입관(182)으로 유입되며, 가이드부(184)를 통해 메인사이클론챔버(142)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유입관(182)의 내부에는 제 1 유로(P1)가 형성되며, 제 1 유로(P1)는 메인사이클론챔버(142)로 유입되는 공기가 지나도록 마련된다.
그릴몸체(180)는 메인사이클론챔버(142)에서 일정크기 이상의 먼지를 거르도록 마련된다.
그릴몸체(180)는 배출포트(122)와 연통하도록 마련되는 유출구(170b)가 형성되고, 메인사이클론챔버(142)로부터 그릴몸체(180)로 유입되는 공기는 그릴몸체(180)의 단부에 마련되는 유출구(170b)를 통해 그릴유닛(170)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릴유닛(170)을 통해 배출된 공기는 안내관(154)을 통해 보조메인사이클론챔버(142)로 유입된다.
그릴몸체(180)는 메인사이클론챔버(142)와 유출구(170b) 또는 배출포트(122)를 구획하여, 메인사이클론챔버(142)에서 선회기류발생에 의해 분리된 먼지가 메인사이클론챔버(142)를 지나 유출구(170b)또는 배출포트(122)를 통해 배출될 수 없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그릴몸체(180)에는 먼지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고, 원심분리에 의해 먼지가 분리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공기통과공(181)이 형성된다.
그릴몸체(180)는 유입관(182)과 분리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릴몸체(180)와 유입관(182)이 분리가능하게 마련되나,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릴몸체(180)는 유입관(182)을 둘러싸도록 마련되어, 유입관(182)의 외면과 그릴몸체(180)사이에 제 2 유로(P2)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그릴몸체(180)는 유입관(182)의 외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그릴몸체(180)와 유입관(182)의 외면 사이에 제 2 유로(P2)를 형성한다.
즉, 이러한 구성을 통해 그릴유닛(170)에는 유입관(182) 내부에 형성되어 유입구(170a)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 1 유로(P1)와, 유입관(182)과 그릴몸체(180) 사이에 형성되어 메인사이클론챔버(142)로부터 그릴몸체(180)로 유입되는 공기를 유출구(170b)로 안내하는 제 2 유로(P2)를 함께 마련할 수 있다. 제 1 유로(P1)와 제 2 유로(P2)는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설명하면, 유입관몸체(182a)와 그릴몸체(180)는 길이방향에 대한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릴유닛(170) 내부에 제 1 유로(P1)와 제 2 유로(P2)를 함께 배치할 수 있음에 따라 사이클론부(140)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유로(P1)와 제 2 유로(P2)를 그릴유닛(170)내부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어서 흡입부(21)로부터 사이클론챔버(142, 144)로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해,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관을 별도로 구성할 필요없이, 흡입부(2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사이클론챔버(142, 144)로 바로 유입시킬 수 있어서 유로저항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사이클론부(140)는 유입관(182)으로부터 메인사이클론챔버(142)로 안내되는 공기가 선회운동할 수 있도록 기류형성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기류형성부(166)는 메인사이클론챔버(142)로 유입되는 공기에 선회기류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기류형성부(166)는 사이클론몸체(150)에 마련되어, 제 1 유로(P1)를 지나는 공기가 가이드부(184)로 배출되어 메인사이클론챔버(142)로 유입되면서 선회기류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이클론몸체(150)에 형성되나, 기류형성부(166)의 배치 및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기류형성부(166)는 그릴유닛(17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그릴유닛(170)의 주위를 따라 사이클론몸체(15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가이드부(184)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그릴유닛(170)의 주위에서 선회기류를 형성하며, 메인사이클론챔버(142) 내부에서 원심분리할 수 있게 된다.
기류형성부(166)는 제 1 기류안내면(167)과 제 2 기류안내면(168)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류안내면(167)은 메인사이클론챔버(142)로 안내되는 공기가 그릴유닛(170)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선회하도록 유입관(182)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접촉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가이드면이다. 즉, 가이드부(184)로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방향을 원주방향으로 절곡시킬 수 있도록 오목하게 마련된다. 제 1 기류안내면(167)의 오목한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곡면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부(184)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자연스럽게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 2 기류안내면(168)은 그릴유닛(170)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메인사이클론챔버(142)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릴유닛(170)은 사이클론몸체(150)의 하부에 배치되므로, 제 2 기류안내면(168)은 그릴유닛(170)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사이클론몸체(150)로부터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 1 기류안내면(167)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선회하는 공기가 메인사이클론챔버(142)를 향해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유입관(182)의 단부에 마련되는 가이드부(184)와, 그릴몸체(180)의 공기통과공(181)이 인접하게 마련됨에 따라, 가이드부(184)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공기통과공(181)으로 바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그릴유닛(170)은 기류형성리브(18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류형성리브(186)는 가이드부(184)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그릴몸체(180)로부터 이격시켜 메인사이클론챔버(142)로 유입시키기 위해, 가이드부(184)와 인접하도록 메인사이클론챔버(142)측 방향에 마련된다.
즉, 기류형성리브(186)는 가이드부(184)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그릴몸체(180)로부터 이격시킨채 선회기류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부(184)로부터 선회기류의 진행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도록 마련된다.
그릴유닛(170)은 플랜지그릴부(18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그릴부(188)는 메인사이클론챔버(142)와 제 1 집진챔버(205a)를 구획하도록 마련된다. 플랜지그릴부(188)는 유입관(182)의 외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제 1 집진챔버(205a)에 모이는 먼지들이 역류하여 메인사이클론챔버(142)로 이동하지 않도록 마련된다.
플랜지그릴부(188)는 먼지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그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릴몸체(180)의 하부와 접하도록 마련되어,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된 먼지들이 제 2 유로(P2)로 이동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플랜지그릴부(188)에도 그릴몸체(180)에서와 같이 복수의 공기통과공(18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랜지그릴부(188)는 제 1 집진챔버(205a)로부터 메인사이클론챔버(142)를 향하는 공기에 대해 역류를 방지하도록 제 1 집진챔버(205a)를 향해 경사지게 기울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플랜지그릴부(188)는 메인사이클론챔버(142)와 제 1 집진챔버(205a)사이에서, 제 1 집진챔버(205a)를 향해 기울어도록 플랜지형상을 가짐에 따라, 제 1 집진챔버(205a)로부터의 역류방지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사이클론부(140)는 보조사이클론챔버(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사이클론챔버(144)는 메인사이클론챔버(142)의 방사상 방향에 배치되고, 메인사이클론챔버(142)에 의해 1차적으로 먼지가 걸러진 공기를, 2차적으로 원심분리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사이클론몸체(150)에서 메인사이클론챔버(142)로부터 그릴유닛(170)으로 유입된 공기는 사이클론몸체(150)의 안내관(154)을 통해서 복수의 콘부(158)로 이동하게 되는 데, 보조사이클론챔버(144)는 복수의 콘부(158)의 내부에 마련되어, 원심분리를 통해 2차적으로 공기중의 먼지를 분리하게 된다.
복수의 콘부(158)의 상부에는 공기배출구(158a), 하부에는 먼지배출구(158b)가 형성되어 있어,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된 공기와 먼지를 각각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먼지배출구(158b)에 의해 배출된 먼지는 제 2 집진챔버(205b)로 낙하되어 집진된다.
사이클론챔버(142, 144)는 메인사이클론챔버(142)와, 보조사이클론챔버(144)를 포함하며, 이는 각각 제 1 사이클론챔버와, 제 2 사이클론챔버로 명명할 수 있다.
이하는 상기 구성에 따른 집진장치(100)에서의 공기의 유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에서의 공기의 이동에 관한 도면이다.
흡입부(2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연장관(20)과, 플렉서블 호스(23)를 지나 집진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집진장치(100)에는 그 하부에 흡입포트(220a)가 마련되어, 플렉서블 호스(23)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메인사이클론챔버(142)의 측부로 우회하지 않고, 집진장치(100)로 직접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집진장치(100)로 유입된 공기는 집진장치(100)의 내부에서 흡입포트(220a)와 연통되는 유입구(170a)를 통해 그릴유닛(170)으로 유입되고, 유입관(182)의 제 1 유로(P1)를 통해 안내된다. 제 1 유로(P1)를 흐르는 공기는 가이드부(184)를 통해 메인사이클론챔버(142)로 배출된다. 가이드부(18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배출가이드면(184a)에 의해 나선형의 궤적을 그리며 배출된다.
공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기류형성부(166)에 의해 선회기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자세하게는 제 1 기류안내면(167)에 의해 원주방향의 기류를 발생시키고, 제 2 기류안내면(168)에 의해 상하방향의 기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기류형성부(166)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기류형성리브(186)에 의해 그릴유닛(170)으로부터 반경반향으로 이격되어 선회기류를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기류형성리브(186)는 가이드부(18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그릴몸체(180)의 내부로 바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메인사이클론챔버(142)에서는 공기가 선회기류를 형성하여 공기와 먼지가 원심분리된다. 원심분리된 후에 먼지는 제 1 집진챔버(205a)로 모이게 되고,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그릴몸체(180) 내부에 형성된 제 2 유로(P2)를 통해 유출구(170b)로 배출이 된다. 제 1 집진챔버(205a)와 메인사이클론챔버(142)사이에는 플랜지그릴부(188)가 형성되어 있어, 선회기류가 제 1 집진챔버(205a)에 형성된다고 하더라도 다시 메인사이클론챔버(142)로 역류하지 않도록 마련된다.
유출구(170b)로 배출된 공기는 사이클론몸체(150)의 안내관(154)을 통해 보조사이클론챔버(144)로 이동하게 된다. 보조사이클론챔버(144)는 복수의 콘부(158)의 내부에 마련되며, 이에 따라 공기는 보조사이클론챔버(144)내에서 선회기류를 형성하며 원심분리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먼지는 먼지배출구(158b)를 통해 제 2 집진챔버(205b)로 배출되며,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공기배출구(158a)를 통해 사이클론몸체(150)의 상부로 배출된다.
사이클론몸체(150)의 상부로 배출된 공기는 필터부재(134)를 거쳐 배출포트(122)로 배출되어 본체로 흡입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분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일부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클론 집진장치 개방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집진장치(100)는 집진컨테이너(200), 개폐부재(230), 커버이격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집진컨테이너(200)는 집진케이스(110)에서 공기중의 오물을 집진하는 구성이다. 집진컨테이너(200)는 사이클론부(240)에 의해 분리된 먼지나 오물이 집진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집진컨테이너(200)는 일측에 개구(212)가 형성되고, 개구(212)는 배출커버(22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배출커버(220)에 의해 제 1 집진챔버(205a), 제 2 집진챔버(205b)와 배출챔버(205c)가 개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출커버(220)의 개폐를 통해 집진컨테이너(200)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 1 집진챔버(205a), 제 2 집진챔버(205b)와 배출챔버(205c) 내부에 수납되는 먼지나 오물이 배출될 수 있다.
배출커버(220)는 집진컨테이너(200)의 개구(212)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집진컨테이너(200)에 먼지나 오물이 가득차게 되는 경우 배출커버(220)의 개방을 통해 내부의 먼지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으며, 다시 밀폐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배출커버(220)는 집진컨테이너(200)의 개구(212)를 덮는 커버몸체(222), 커버몸체(222)의 일단에 마련되는 걸림부재(226)와 커버몸체(222)의 타단에 마련되는 커버힌지(228)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몸체(222)에는 일측면에 씰링부재(224)가 마련되어 있어, 집진컨테이너(200)의 개구(212)를 밀폐시 내부의 먼지나 오물이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게 할 수 있다.
커버힌지(228)는 집진컨테이너(200)와 커버몸체(222)가 힌지결합되어 배출커버(220)가 집진컨테이너(200)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집진컨테이너(200)는 개방된 일측방향에 마련되는 힌지결합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커버힌지(228)는 힌지결합부(미도시)에 힌지결합됨으로서, 배출커버(220)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걸림부재(226)는 이후 설명하는 개폐부재(230)에 의해 고정돌기(216)와의 구속이 해제된다. 즉, 집진컨테이너(200)의 개방된 일측이 배출커버(220)에 의해 밀폐되는 경우에는 걸림부재(226)는 집진컨테이너(200)의 고정돌기(216)에 걸림으로서 밀폐상태를 유지하고, 개방되는 경우에는 개폐부재(230)이 걸림부재(226)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걸림부재(226)는 커버몸체(222)로부터 집진컨테이너(200)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형성되는 걸림부재몸체(226a)와, 걸림부재몸체(226a)의 단부에 마련되어 고정돌기(216)에 걸리도록 집진컨테이너(200)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226b)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재몸체(226a)가 집진컨테이너(200)를 향해 연장형성되는 방향을 제 1 방향(w1)이라고 하고, 제 1 방향(w1)은 한정되지 않으나 배출커버(220)가 집진컨테이너(200) 외측면에 고정되도록 집진컨테이너(200)측으로 향하는 방향이면 무방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방향(w1)은 배출커버(220)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걸림부재몸체(226a)는 걸림돌기(226b)가 고정돌기(216)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돌기(226b)를 집진컨테이너(200)측으로 밀착시키도록 일정곡률을 가지고 마련될 수 있다.
개폐부재(230)는 개폐부재몸체(232), 푸싱부(234), 복귀탄성부(236), 탄성가압부(254)(238), 걸림해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재(230)는 상기 설명과 같이 걸림부재(226)를 집진컨테이너(200)의 고정돌기(216)로부터 이격시키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개폐부재몸체(232)는 컨테이너몸체(201)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개폐부재몸체(232)는 걸림부재(226)가 형성되는 제 1 방향(w1)에 대해 수직한 제 2 방향(w2)으로 슬라이딩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개폐부재(230)는 배출커버(220)를 직접 밀어내지 않고 단지 배출커버(220)에 형성되는 걸림부재(226)를 고정돌기(216)로부터 이격시키는 기능만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개폐부재(230)의 이동방향과 집진컨테이너(200)로부터 배출커버(220)가 이격되는 방향은 상호 수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원통형의 구조를 가지는 집진컨테이너(200)에 대해 그 외면에서 슬라이딩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곡률을 가지는 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정곡률은 집진컨테이너(200)의 외면을 이루는 곡률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집진컨테이너(200)에서 개폐부재(230)가 배치되는 부분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개폐부재(230)는 평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푸싱부(234)는 개폐부재몸체(232)에서 외부에 의해 외력을 받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푸싱부(234)는 외력을 받기 용이하도록 인접한 개폐부재몸체(232)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귀탄성부(236)는 푸싱부(234)에 의해 가압되어 슬라이딩하는 개폐부재(230)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기 위해 외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는 구성이다. 복귀탄성부(236)는 원위치로 복귀하는 힘을 발생시키기위해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프링의 형상을 가지나, 개폐부재(230)를 원위치시키기 위한 구성이면 만족한다.
복귀탄성부(236)는 개폐부재몸체(232)상에 마련되는 탄성가압부(254)(238)와 집진컨테이너(200)의 외측면에 돌출형성되는 탄성지지부(218)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푸싱부(234)에 의해 외력이 작용하여 개폐부재몸체(232)가 제 2 방향(w2)으로 이동하는 경우, 복귀탄성부(236)는 개폐부재몸체(232)를 이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걸림해제부(240)는 개폐부재몸체(232)에서 걸림부재(226)의 걸림돌기(226b)와 직접적으로 접하는 구성이다. 걸림해제부(240)는 걸림돌기(226b)와 직접 접하여 고정돌기(216)로부터 이격되도록 집진컨테이너(200)의 외측방향으로 밀어내는 기능을 한다.
걸림해제부(240)는 개폐부재몸체(232)의 진행방향인 제 2 방향(w2)에 대해서 그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걸림해제면(240a)을 포함한다. 푸싱부(234)에 외력을 받아 개폐부재몸체(232)가 제 2 방향(w2)으로 이동하는 경우 걸림돌기(226b)는 걸림해제면(240a)의 경사를 타고 상승하면서 집진컨테이너(200)와 이격되게 된다. 이를 통해 고정돌기(216)와, 고정돌기(216)의 일면과 맞닿아 있던 걸림돌기(226b)를 이격시킬 수 있어서, 배출커버(220)의 구속을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개폐부재(230)는 덮개(2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242)는 개폐부재(230)의 일부구성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개폐부재(23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자세하게는 푸싱부(234)와 걸림해제부(240)를 제외한 구성을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버이격부재(250)는 집진컨테이너(200)에서 배출커버(220)를 개방시에, 배출커버(220)가 손쉽게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커버이격부재(250)는 배출챔버(205c)의 하부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커버이격부재(250)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으나,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 집진컨테이너(200)가 폐쇄시에는 탄성력을 가지고 압축되어 있다가 개방시에는 커버이격부재(250)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배출커버(220)를 밀어낼 수 있다.
커버이격부재(250)는 컨테이너몸체(201)와 배출커버(220) 사이에 마련되어, 컨테이너몸체(201)로부터 배출커버(220)를 제 1 방향(w1)에 반대되는 제 3 방향(w3)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개폐부재(230)와 커버이격부재(250)는 각각 종속적인 구성이 아니어서, 개폐부재(230)는 제 2 방향(w2)으로 이동하고, 커버이격부재(250)는 독립적으로 제 3 방향(w3)으로 배출커버(220)를 컨테이너몸체(201)로부터 밀어내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배출커버(220)와 컨테이너몸체(201) 사이에 이물질이 끼어있는 경우에도, 더 큰힘으로 개폐버튼인 개폐부재(230)를 작동시키지 않아도 된다. 즉, 집진컨테이너(200) 내부의 오물의 양, 배출커버(220)와 컨테이너몸체(201)사이의 상태와 같은 다양한 변수에도 불구하고, 개폐버튼인 개폐부재(230)에는 동일한 힘으로 슬라이딩이동시키는 경우, 배출커버(220)는 커버이격부재(250)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배출커버(220)가 개방되므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커버이격부재(25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도면에서와 같이 집진컨테이너(200)에 마련되어 배출커버(220)를 이격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커버이격부재(250)는 커버힌지(228)와 걸림부재(226)와의 관계에서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힌지(228)와 커버이격부재(250)와 걸림부재(226)가 동일선상에 마련됨에 따라, 걸림부재(226)가 고정돌기(216)로부터 이탈시 커버이격부재(250)가 동일선상에서 배출커버(220)를 밀어냄에 따라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커버(220)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커버이격부재(250)는 안착부(252)와, 가압부(254)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252)는 배출커버(220)에 마련되는 오목부(223)에 커버이격부재(250)가 안착 또는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배출커버(220)는 그 내측면에 집진컨테이너(200)의 원통형상에 대응하여 일정길이를 가진 호의 형상으로 마련되고, 커버몸체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223)를 포함하고, 안착부(252)는 배출커버(220)의 오목부(223)에 안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가압부(254)는 커버이격부재(25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배출챔버(205c)를 이루는 컨테이너몸체(201)의 개구(212)측 단부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마련된다. 가압부(254)는 탄성을 가지고 마련되어, 배출커버(220)를 폐쇄시에는 탄성재질이 압축되도록 배치되고, 배출커버(220)를 개방시에는 배출챔버(205c)를 이루는 컨테이너몸체(201)의 개구(212)측 단부에 대해 인장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마련된다.
이하는 상기 구성에 따른 집진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기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집진장치(200)를 밀폐시키는 경우에 대해서 도 12와 도 1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집진장치(200)를 밀폐시키는 경우 배출커버(220)를 회동시켜 걸림부재(226)가 집진컨테이너(200)에 마련되는 고정돌기(216)에 걸리도록 외력을 가한다.
걸림부재(226)의 걸림돌기(226b)의 일면은 대응되는 고정돌기(216)의 일면과 맞닿아 배출커버(220)의 회동을 구속하게 되면서 밀폐상태가 유지된다.
이 때, 커버이격부재(250)는 가압부(254)가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다음으로 집진장치(200)를 개방시키는 경우에 대해서 도 13과 도 1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집진장치(200)를 개방시키기 위해 개폐부재(230)를 제 2 방향(w2)으로 슬라이딩이동되도록 푸싱부(234)에 외력을 가하게 된다. 개폐부재(230)가 제 2 방향(w2)으로 슬라이딩이동하면서 걸림돌기(226b)는 걸림해제부(240)의 걸림해제면(240a)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걸림돌기(226b)와 고정돌기(216)가 이격되게 된다. 이를 통해 배출커버(220)는 집진컨테이너(200)로부터 구속이 해제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커버이격부재(250)는 탄성력에 의해 컨테이너몸체(201)를 가압하게 된다. 커버이격부재(250)는 배출커버(220)의 밀폐에 의해 압축되어 있었으므로, 배출커버(220)의 구속이 해제됨과 동시에 배출커버(220)를 컨테이너몸체(201)로부터 밀어내게 되고, 결과적으로 배출커버(220)는 집진컨테이너(200)로부터 이격되어 개방상태가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청소기 10 : 본체
10a : 제 1 본체포트 10b : 제 2 본체포트
11 : 장착부 20 : 연장관
21 : 흡입부 23 : 플렉서블 호스
30 : 핸들관 31 : 핸들부
32 : 조작부 50 : 휠어셈블리
100 : 집진장치 110 : 집진케이스
120 : 상부케이스 130 : 중간케이스
140 : 사이클론부 142 : 메인사이클론챔버
144 : 보조사이클론챔버 150 : 사이클론몸체
160 : 유닛안착부 166 : 기류형성부
167 : 제 1 기류안내면 168 : 제 2 기류안내면
170 : 그릴유닛 170a : 유입구
170b : 유출구 180 : 그릴몸체
181 : 공기통과공 182 : 유입관
182a : 유입관몸체 184 : 가이드부
186 : 기류형성리브 188 : 플랜지그릴부
200 : 집진컨테이너 201 : 컨테이너몸체
202 : 컨테이너외벽 203 : 컨테이너내벽
205 : 집진챔버 205a : 제 1 집진챔버
205b : 제 2 집진챔버 205c : 배출챔버
212 : 개구 216 : 고정돌기
218 : 탄성지지부 220 : 배출커버
220a : 흡입포트 222 : 커버몸체
223 : 오목부 224 : 씰링부재
226 : 걸림부재 228 : 커버힌지
230 : 개폐부재 232 : 개폐부재몸체
234 : 푸싱부 236 : 복귀탄성부
238 : 탄성가압부 240 : 걸림해제부
240a : 걸림해제면 242 : 덮개
250 : 커버이격부재 252 : 안착부
254 : 가압부

Claims (47)

  1. 공기가 유출입하도록 흡입포트와 배출포트를 갖는 집진케이스;
    상기 집진케이스의 내부에서 선회기류를 발생시키는 사이클론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클론부는,
    상기 흡입포트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선회시킴으로서 먼지를 원심분리하는 메인사이클론챔버;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로 유출입하는 공기유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그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그릴유닛은,
    상기 흡입포트와 연통하며,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로 공기를 안내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과 분리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로부터 일정크기 이상의 먼지가 걸러진 공기가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그릴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부는,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로 안내되는 공기를 선회시키도록 구성되는 기류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형성부는,
    공기가 선회기류를 형성하도록 상기 그릴유닛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형성부는,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로 안내되는 공기가 상기 그릴유닛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선회하도록, 상기 유입관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접촉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 1 기류안내면;
    상기 제 1 기류안내면에 의해 선회하는 공기가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를 향해 진행하도록, 상기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2 기류안내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공기의 방향 전환을 위해 상기 제 1 기류안내면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은,
    그 일단에 상기 흡입포트와 연통하는 유입구를 갖는 유입관몸체;
    상기 유입관몸체의 타단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로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에서 공기가 선회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곡면형상의 배출가이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유닛은,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그릴몸체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로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류형성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부는,
    상기 그릴유닛이 삽입 및 결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유닛안착부를 갖고,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사이클론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몸체와 상기 그릴몸체는,
    각각의 길이방향에 대한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유입관몸체의 길이방향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상기 유입관몸체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유닛은,
    상기 유입관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제 1 유로;
    상기 유입관과 상기 그릴몸체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로부터 상기 그릴몸체로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그릴유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 2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로와 상기 제 2 유로는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몸체는,
    상기 유입관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유입관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케이스는,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에서 공기와 분리된 먼지가 집진되는 집진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그릴유닛은,
    상기 유입관의 외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집진챔버에 모이는 먼지들이 역류하지 않도록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와 상기 집진챔버사이에 배치되는 플랜지그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그릴부는,
    상기 집진챔버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그릴부는,
    상기 집진챔버로부터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로 역류하는 공기중의 먼지만을 걸러내도록 그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에서 공기와 분리된 먼지가 집진되는 집진챔버를 갖는 집진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포트는,
    상기 집진컨테이너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관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의 방사상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에 의해 1차적으로 먼지가 걸러진 공기를 2차적으로 원심분리하는 보조사이클론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에서 공기와 분리된 먼지가 집진되는 집진챔버를 갖는 집진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챔버는,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1 집진챔버;
    상기 보조사이클론챔버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2 집진챔버로서, 상기 제 2 집진챔버에 모이는 먼지가 집진되도록 인접한 상기 제 2 집진챔버보다 깊이가 깊도록 형성되는 배출챔버를 갖는 제 2 집진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에서 공기와 분리된 먼지가 집진되는 집진챔버를 갖는 집진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챔버는,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1 집진챔버;
    상기 보조사이클론챔버의 하부에서 환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 1 집진챔버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 1 집진챔버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 2 집진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컨테이너는, 상기 제 1 집진챔버와 상기 제 2 집진챔버의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은,
    상기 흡입포트와 연통하는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그릴몸체는,
    상기 배출포트와 연통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23. 공기가 유출입하도록 흡입포트와 배출포트를 갖는 집진케이스;
    상기 집진케이스의 내부에서 선회기류를 발생시키는 사이클론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클론부는,
    상기 흡입포트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선회시킴으로서 먼지를 원심분리하는 사이클론챔버;
    상기 사이클론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사이클론챔버로 유출입하는 공기유동을 안내하는 그릴유닛;
    상기 그릴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사이클론챔버에서 선회기류를 발생시키도록 상기 그릴유닛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기류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유닛은,
    상기 흡입포트와 연통하며, 상기 사이클론챔버로 공기를 안내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과 분리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로부터 일정크기 이상의 먼지가 걸러진 공기가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그릴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은,
    그 일단에 상기 흡입포트와 연통하는 유입구를 갖는 유입관몸체;
    상기 유입관몸체의 타단에 마련되어 상기 사이클론챔버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관몸체와 상기 그릴몸체는,
    각각의 길이방향에 대한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26. 내부에서 흡입되는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시키는 먼지분리부를 갖는 집진케이스;
    공기중의 분리된 먼지가 집진되는 집진챔버와, 상기 집진챔버를 개방하는 개구와, 상기 개구와 인접한 면에 고정돌기를 갖고, 상기 집진케이스의 일측에 마련되는 집진컨테이너;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몸체와, 상기 커버몸체 일측에서 상기 고정돌기에 구속가능하게 마련되는 걸림부재를 갖고, 상기 집진케이스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배출커버;
    상기 집진컨테이너의 일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돌기로부터 상기 걸림부재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개폐부재;
    상기 집진컨테이너와 상기 배출커버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집진컨테이너와 상기 배출커버를 이격시키는 커버이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의 이동방향과 상기 집진컨테이너로부터 상기 배출커버가 이격되는 방향은 상호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집진컨테이너의 일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개폐부재몸체;
    상기 개폐부재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고정돌기로부터 이격시키는 걸림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해제부는,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고정돌기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상기 개폐부재몸체의 진행방향의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걸림해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배출커버로부터 상기 집진컨테이너의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걸림부재몸체;
    상기 걸림부재몸체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돌기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기 개폐부재몸체를 원위치로 가압하는 복귀탄성부;
    상기 복귀탄성부가 상기 개폐부재몸체에 탄성지지되는 탄성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32.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이격부재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33.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이격부재는,
    상기 배출커버의 내측면에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어, 상기 배출커버를 개방시에 탄성에 의해 상기 집진컨테이너를 밀어내도록 구성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커버는,
    상기 안착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커버몸체의 내측면에 인접한 상기 커버몸체보다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35.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이격부재는 상기 집진컨테이너로부터 상기 배출커버를 이격시키도록 상기 집진컨테이너측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36.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컨테이너는 원통의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커버이격부재는 상기 배출커버의 내측에서 원호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3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커버는,
    상기 집진컨테이너에 힌지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커버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힌지와, 상기 커버이격부재와, 상기 걸림부재는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38. 내부에서 흡입되는 공기 중의 먼지를 분리시키는 먼지분리부를 갖는 집진케이스;
    일면이 개방된 개구를 갖고, 상기 집진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되는 집진컨테이너;
    일측에 상기 집진컨테이너에 탈착가능하게 마련되는 걸림부재를 갖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집진컨테이너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배출커버;
    일측에는 상기 집진컨테이너에 탈착가능하게 상기 집진컨테이너를 향해 제 1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재를 갖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타측에는 상기 집진컨테이너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배출커버;
    상기 제 1 방향에 대해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동작하여 상기 집진컨테이너로부터 상기 걸림부재를 이탈시키는 개폐부재;
    상기 집진컨테이너와 상기 배출커버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집진컨테이너로부터 상기 배출커버를 상기 제 1 방향에 반대되는 제 3 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커버이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와 상기 커버이격부재는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40.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커버는,
    상기 커버이격부재가 안착되는 유닛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안착부는 상기 배출커버의 상기 타측보다 상기 일측과 인접한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41.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이격부재는,
    상기 배출커버에서 상기 집진컨테이너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일측에 대해, 그 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42.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커버는,
    상기 집진컨테이너에 힌지결합되도록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와, 상기 커버이격부재와, 상기 걸림부재는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43.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기중의 오물을 집진하는 집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장치는,
    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먼지가 집진되는 집진챔버를 갖는 집진컨테이너;
    상기 집진컨테이너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하고, 일측이 상기 집진컨테이너에 구속 가능하게 마련되는 배출커버;
    상기 집진컨테이너로부터의 상기 배출커버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마련되는 개폐부재;
    상기 배출커버의 구속 해제에 따라 상기 집진컨테이너로부터 상기 배출커버를 이격시키는 커버이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44.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기중의 오물을 집진하는 집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장치는,
    개구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배출커버와, 상기 배출커버에 마련되어 흡입공기가 유입되는 흡입포트를 갖는 집진케이스;
    상기 집진케이스 내부에서 선회기류를 발생시키는 사이클론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클론부는,
    상기 흡입포트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선회시킴으로서 먼지를 원심분리하는 메인사이클론챔버;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로 유출입하는 공기유동을 안내하는 그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그릴유닛은,
    상기 흡입포트와 연결되어, 흡입공기를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로 안내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과 결합되어, 상기 메인사이클론챔버를 거친 공기가 배출되는 그릴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케이스는,
    상기 배출커버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사이클론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집진되는 집진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컨테이너와 상기 배출커버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집진컨테이너와 상기 배출커버를 이격시키는 커버이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커버는,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몸체;
    상기 커버몸체 일측에서 상기 집진컨테이너에 구속가능하게 마련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컨테이너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집진컨테이너로부터 상기 걸림부재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집진컨테이너의 일측면을 따라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개폐부재몸체;
    상기 개폐부재몸체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집진컨테이너로부터 이격시키는 걸림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KR1020140015014A 2014-02-10 2014-02-10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기 KR102180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014A KR102180680B1 (ko) 2014-02-10 2014-02-10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기
US14/275,001 US20150223657A1 (en) 2014-02-10 2014-05-12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cleaner having the same
US15/477,260 US10285553B2 (en) 2014-02-10 2017-04-03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clean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014A KR102180680B1 (ko) 2014-02-10 2014-02-10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123A true KR20150094123A (ko) 2015-08-19
KR102180680B1 KR102180680B1 (ko) 2020-11-20

Family

ID=53773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014A KR102180680B1 (ko) 2014-02-10 2014-02-10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20150223657A1 (ko)
KR (1) KR1021806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473A1 (ko) * 2016-08-25 2018-03-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KR102562214B1 (ko) * 2023-01-11 2023-08-01 주식회사 페페 반려동물용 집진기의 유로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544B1 (ko) * 2014-07-31 2021-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US9756999B2 (en) * 2014-12-22 2017-09-12 Aktiebolaget Electrolux Vacuum cleaner filtration system with filter cleaning mode
KR102308501B1 (ko) * 2015-03-27 2021-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CN105054864B (zh) * 2015-08-28 2018-03-30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旋风分离装置、集尘组件和吸尘器
US10201260B2 (en) * 2016-04-25 2019-02-12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yclone assembly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and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having same
US10537219B2 (en) 2016-04-25 2020-01-21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yclone assembly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and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having same
US10149587B2 (en) 2016-04-25 2018-12-11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yclone assembly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and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having same
US9936846B2 (en) 2016-04-25 2018-04-1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yclone assembly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and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having same
US10251521B2 (en) 2016-04-25 2019-04-09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Cyclone assembly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and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having same
KR102306705B1 (ko) * 2016-08-25 2021-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KR101823264B1 (ko) * 2016-09-29 2018-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및 진공 청소기용 먼지통
CN107456197A (zh) * 2017-08-30 2017-12-12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擦鞋机
US11007541B2 (en) 2018-04-23 2021-05-18 X'pole Precision Tools Inc. Dust collecting device using multi-cyclone dust filtration
EP3560403B1 (en) 2018-04-26 2020-12-23 X'Pole Precision Tools Inc. Dust collecting device using multi-cyclone dust filtration
US10828650B2 (en) 2018-09-21 2020-11-1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Multi cyclone array for surface cleaning apparatus and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having same
KR20200073966A (ko) * 2018-12-14 202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US11154873B2 (en) 2019-09-19 2021-10-26 X'pole Precision Tools Inc. Multi-cyclonic dust filter device
EP3795257A1 (en) 2019-09-19 2021-03-24 X'Pole Precision Tools Inc. Multi-cyclonic dust filter device
CN114929079A (zh) * 2019-12-27 2022-08-19 爱丽思欧雅玛株式会社 电动吸尘器
JP7071753B2 (ja) * 2019-12-27 2022-05-19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N211674009U (zh) * 2020-01-21 2020-10-16 天佑电器(苏州)有限公司 一种进风栅板及吸尘器
WO2021248297A1 (zh) * 2020-06-09 2021-12-16 苏州欧圣电气股份有限公司 吸尘器
CN112122019B (zh) * 2020-09-02 2021-10-15 东莞福莱仕智能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旋风分离装置及清洁设备
US20240157280A1 (en) * 2021-08-04 2024-05-16 Changxin Memory Technologies, Inc. Dust collection device and plasma equipment
GB2620163A (en) * 2022-06-29 2024-01-03 Dyson Technology Ltd Separation system for a vacuum clean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4226A1 (en) * 2005-05-16 2006-11-16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Multi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US20100132316A1 (en) * 2007-04-03 2010-06-03 Zugen Ni Dust separating apparatus of a vacuum cleaner
US20100162517A1 (en) * 2008-12-29 2010-07-01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having detachable dust separating unit
US20100224073A1 (en) * 2006-05-03 2010-09-09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Dual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Vacuum Cleaner
US20120311814A1 (en) * 2011-06-10 2012-12-13 Kah Jr Carl L C Wet/dry, non-porous bag/bagless vacuum assembly with steam and variable speed settable vacuum motor control with no loss of suction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0668A (en) * 1980-02-05 1981-06-02 Shop-Vac Corporation Buckle or latch for holding lid to container
GB2363744B (en) * 2000-06-24 2002-11-13 Samsung Kwangju Electronics Co Upright type vacuum cleaner having a cyclone-type dust collector
KR100377015B1 (ko) * 2000-08-07 2003-03-2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GB2374305A (en) * 2001-04-12 2002-10-16 Dyson Ltd Cyclonic separating apparatus
KR100485715B1 (ko) * 2003-02-26 2005-04-2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 진공 청소기의 집진장치
US6951318B1 (en) * 2003-07-02 2005-10-04 Dabico, Inc. Multi-position aircraft servicing pit lid latch
KR100533830B1 (ko) * 2004-05-14 2005-12-0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다중 사이클론 집진장치
JP2006272322A (ja) * 2005-03-29 2006-10-12 Samsung Kwangju Electronics Co Ltd サイクロン集塵装置
KR100615360B1 (ko) * 2005-04-18 2006-08-2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그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가지는진공청소기
KR100611067B1 (ko) * 2005-04-18 2006-08-1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진공청소기
KR100594584B1 (ko) * 2005-04-22 2006-06-3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필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662635B1 (ko) * 2005-06-14 2007-01-0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667877B1 (ko) * 2005-10-10 2007-01-1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648959B1 (ko) * 2005-10-12 2006-11-2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멀티 사이클론 분리장치
US20070095029A1 (en) * 2005-10-28 2007-05-03 Lg Electronics Inc. Upright vacuum cleaner
KR100714492B1 (ko) * 2005-10-28 2007-05-0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US7776120B2 (en) * 2006-03-10 2010-08-17 G.B.D. Corp. Vacuum cleaner with a moveable divider plate
CA2599303A1 (en) * 2007-08-29 2009-02-28 Gbd Corp.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7867308B2 (en) * 2006-12-15 2011-01-11 G.B.D. Corp. Cyclonic array such as for a vacuum cleaner
CN101730495B (zh) * 2007-05-15 2013-10-23 皇家器具有限公司 旋流式通用真空装置
US7691161B2 (en) * 2008-01-31 2010-04-06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KR101472835B1 (ko) * 2008-02-15 2014-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US7922794B2 (en) * 2008-10-08 2011-04-12 Electrolux Home Care Products, Inc. Cyclonic vacuum cleaner ribbed cyclone shroud
GB0821827D0 (en) * 2008-11-28 2009-01-07 Dyson Technology Ltd Separating apparatus for a cleaning aplliance
US20100199454A1 (en) * 2009-02-06 2010-08-12 Electrolux Home Care Products,Inc. Latch Assembly for a Vacuum System
KR101566426B1 (ko) * 2009-05-07 2015-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
GB2494366B (en) * 2011-02-18 2014-04-23 Techtronic Floor Care Tech Ltd Vacuum cleaner dirt cup
GB2503019B (en) * 2012-06-14 2014-07-30 Dyson Technology Ltd A vacuum cleaner sealing arrangement
US9427126B2 (en) * 2013-03-01 2016-08-30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54226A1 (en) * 2005-05-16 2006-11-16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Multi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US20100224073A1 (en) * 2006-05-03 2010-09-09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Dual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Vacuum Cleaner
US20100132316A1 (en) * 2007-04-03 2010-06-03 Zugen Ni Dust separating apparatus of a vacuum cleaner
US20100162517A1 (en) * 2008-12-29 2010-07-01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having detachable dust separating unit
US20120311814A1 (en) * 2011-06-10 2012-12-13 Kah Jr Carl L C Wet/dry, non-porous bag/bagless vacuum assembly with steam and variable speed settable vacuum motor control with no loss of suc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473A1 (ko) * 2016-08-25 2018-03-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KR102562214B1 (ko) * 2023-01-11 2023-08-01 주식회사 페페 반려동물용 집진기의 유로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85553B2 (en) 2019-05-14
US20150223657A1 (en) 2015-08-13
KR102180680B1 (ko) 2020-11-20
US20170202418A1 (en) 2017-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4123A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기
US7555813B2 (en) Vacuum cleaner and dust collection unit thereof
KR102329672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RU2314011C2 (ru) Пылесб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ылесоса (варианты)
KR102409218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KR101990832B1 (ko) 집진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기
WO2002011597A1 (fr) Aspirateur
CN111067420B (zh) 吸尘器和应用于吸尘器的灰尘分离装置
JP4320663B2 (ja) サイクロン式電気掃除機
KR100555321B1 (ko)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20180068204A (ko)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KR20160044332A (ko) 청소기
JP3667219B2 (ja) 電気掃除機
CN111031870B (zh) 旋风除尘装置以及包括旋风除尘装置的真空吸尘器和手持-杆式真空吸尘器
KR20050119738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60107625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JP6944500B2 (ja) 電気掃除機
JP2015119877A (ja) 電気掃除機
KR100633619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60107624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JP6660431B2 (ja) 電気掃除機
JP2020018932A (ja) 電気掃除機
JP6555705B2 (ja) 電気掃除機
KR100638907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JP2013188381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