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38473A1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38473A1
WO2018038473A1 PCT/KR2017/009059 KR2017009059W WO2018038473A1 WO 2018038473 A1 WO2018038473 A1 WO 2018038473A1 KR 2017009059 W KR2017009059 W KR 2017009059W WO 2018038473 A1 WO2018038473 A1 WO 201803847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nit
cyclone
dust
guid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905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황필재
황만태
황정배
성은지
이택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4665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06705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21207781.2A priority Critical patent/EP3984427A1/en
Priority to CN202110613372.1A priority patent/CN113331728B/zh
Priority to JP2019527112A priority patent/JP6723455B2/ja
Priority to EP17843893.3A priority patent/EP3505033B1/en
Priority to US16/328,108 priority patent/US11064855B2/en
Priority to CN201780051597.4A priority patent/CN109640767B/zh
Priority to AU2017314625A priority patent/AU2017314625B2/en
Publication of WO201803847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38473A1/ko
Priority to US17/350,559 priority patent/US1175173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8Liquid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Definitions

  •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cleaner.
  • the vacuum cleaner is a device for cleaning by sucking or wiping dust or foreign matter in the area to be cleaned.
  • Such a cleaner may be classified into a manual cleaner for performing cleaning while the user directly moves the cleaner, and an automatic cleaner for cleaning while driving by the user.
  • the manual cleaner may be classified into a canister type cleaner, an upright type cleaner, a handy type cleaner, a stick type cleaner,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leaner.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26209 (published on March 11, 2009), which is a prior art document, discloses a centrifugal separator.
  • the centrifugal separator constitutes a part of a handheld cleaner.
  • the centrifugal separator includes a cyclone having a wall and a base closing one end of the cyclone.
  • a cover is provided inside the cyclone.
  • the cover includes a cylindrical wall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an inner wall located inside the cylindrical wall.
  • the centrifugal separator further comprises an additional cyclone assembly, wherein the additional cyclone assembly includes a conical opening.
  • the conical opening is arranged to penetrate the inner wall of the cover and communicates with the passage formed by the inner wall.
  • a dust collector is disposed below the passage.
  • the interior of the dust collector is surrounded by the base.
  • the dust is separated from the air by the additional cyclone assembly, which may cause the dust separated by the additional cyclone assembly to block the conical opening. In this case, cleaning of the conical opening is necessary.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capable of cleaning the dust discharge portion of the second cyclone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second cyclone portion is located in the main body.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that is easy to clean the dust discharge portion when the dust discharge portion of the second cyclone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guide unit for guiding air to the second cyclone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that can easily discharge the foreign matter, such as hair in the dust bin to the outside of the dust bin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guide unit for guiding air to the second cyclone unit from the main body.
  • the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ain body having a first cyclone portion for separating the air and dust and a second cyclone portion for separating the dust from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cyclone portion; And a guide unit partitioning the first dust storage unit in which the dust separated from the first cyclone unit is stored in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dust storage unit in which the dust separated from the second cyclone unit is stored.
  • a guide unit partitioning the first dust storage unit in which the dust separated from the first cyclone unit is stored in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dust storage unit in which the dust separated from the second cyclone unit is stored.
  • the guide unit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 the guide unit may cover the second cyclone portion.
  • the dust discharge part of the second cyclone part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dust container forming the first dust storage unit.
  • the dust container includes a discharge opening, and the guide unit may be drawn out of the dust container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 the guide unit may be connected to a filter part surrounding the second cyclone part and filtering the air while the air separated from the dust in the first cyclone part flows to the second cyclone part. And a storage unit for forming the second dust storage unit in the dust container.
  • the filter unit and the storage unit may be drawn out of the main body together.
  • the second cyclone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 the storage unit may include contact ribs for contacting the sealing member in a retracted state in the body.
  • the contact rib may press the sealing member.
  • the second cyclone part may include a sealing member coupling part to which the sealing member is coupled.
  • the sealing member coupling part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cyclone part to penetrate the dust discharge part of the second cyclone part.
  • the sealing member coupling part may surround a circumference of the second cyclone part.
  • a sealing member fitting groove in which the sealing member is fitted may be formed below the sealing member coupling part.
  • the contact rib may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ing member.
  • Each of the sealing member and the contact rib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 the dust discharge portion of the second cyclone portion may be positioned in an area formed by the contact rib while the contact rib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ling member.
  •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unit may be coupled to the storage unit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unit.
  • the storage unit may include an inner body coupled to the filter unit, and an outer body surrounding the inner body.
  • the second dust storage unit may be formed inside the inner body, and the first dust storage unit may be formed betwee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and an outer surface of the outer body.
  • the dust discharge part and the sealing member of the second cyclone part may be located inside the inner body.
  • the coupling rib may protrude from the inner body.
  • the inner body may include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extending above the first portion.
  • the first part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lower side of the filter part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part.
  • the second portion may be formed to decrease in diameter toward the lower side.
  • the engagement rib may protrude from the first portion, protrude from the second portion, or protrude from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 the clea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sealers provided between the inner body and the outer body.
  • the one or more sealers may be provided in, for example, the second portion of the inner body.
  • the filter unit may include a filte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openings and a mesh unit covering the plurality of openings.
  • the air inlet of the second cyclone portion may be located inside the filter portion.
  •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guide for guid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cyclone portion.
  • the filter unit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discharge guide.
  • the discharge guide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art to be coupled with the filter part, and the filter part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part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 the second coupling part may include a first groove in which the first coupling part is accommodated, and the first coupling par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coupling of the first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may be completed by a rotation operation of the filter part.
  • the first groove may include a second groove extending from the first groov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direction accommodated in the first groove.
  • the first coupling part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groov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second groove may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first groove.
  • the air inlet of the second cyclone portion may be located lower than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intake portion.
  • the guide unit may further include a cleaning unit extending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 the cleaning part may extend out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filter part.
  • the cleaning unit may extend incli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upward from the filter unit.
  • An end of the cleaning unit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or adjacen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 a cleaner includes a suction unit for guiding air and dust; A main body having a first cyclone unit separating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and dust and a second cyclone unit separating the dust from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cyclone unit; A sealing member installed on the second cyclone portion; And it may include a guide unit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 the guide unit may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yclone portion in a state of being coupled with the main body.
  • the guide unit may include a contact rib contacting the sealing member in a state of being coupled with the main body.
  • the dust discharge part of the second cyclone part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 the guide unit may include an opening through which air separated from dust is primarily passed through the first cyclone portion.
  • the guide unit may form a dust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dust discharged from the second cyclone portion.
  • a cleaner comprising: a suction unit for guiding air and dust; A main body having a first cyclone unit separating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and dust and a second cyclone unit separating the dust from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cyclone unit; And a guide unit partitioning the first dust storage unit in which the dust separated from the first cyclone unit is stored in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dust storage unit in which the dust separated from the second cyclone unit is stored.
  • the guide un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the guide unit includes a cleaning unit extending towar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ust storage unit.
  • the dust discharge portion of the second cyclone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guide unit for guiding air that has undergone the dust separation process from the first cyclone portion to the second cyclone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 the guide unit since the guide unit includes a filter unit for filtering the air flowing to the second cyclone uni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not only the cleaning of the second cyclone unit but also the filter unit can be cleaned.
  • the guide unit when the guide unit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since there is no structure around the second cyclone part in the main body, the user can easily clean the second cyclone part.
  • the dust discharge portion of the second cyclone portion is located adjacent to the discharge opening of the dust contain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lean the second cyclone portion.
  • the contact ribs located inside the guide unit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aling member located outside the second cyclone portion, so that the contact portion of the guide unit and the second cyclone por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ealing can be maintained.
  • the foreign material such as the hair of the pet or hair can be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during the separation of the guide unit, the user does not have to take out the foreign matter such as hair in the dust container or directly clea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There is an advantag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ide view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lan view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dy cover is rot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uide unit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uide unit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 FIG. 9 is a 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guid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guide unit of FIG. 9.
  •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uide unit is in contact with the sealing member.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charge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eaner for showing the air flow in th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eaner for showing the air flow in th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uide unit is separated from the body of th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between compon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lan view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leaner 1 may include a main body 2.
  • the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part 5 coupl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2.
  • the suction part 5 may guide air containing dust to the main body 2.
  • the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part 3 coupled to the main body 2.
  • the handle part 3 may be located opposite the suction part 5 in the body 2.
  • the main body 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uction part 5 and the handle part 3.
  • the main body 2 may include a first body 10 and a second body 12 positioned above the first body 10.
  •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12 may be directly coupled or indirectly connected by an intermediate member.
  •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12 is not limited, but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 each of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12 has an upper side and a lower side thereof. That is, each of the bodies 10 and 12 may include an upper opening and a lower opening.
  • the suction part 5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2 such that a central part of the suction part 5 is located at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body 12. .
  • the main body 2 may further include a dust separator that separates dust from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5.
  • the dust separator may include, for example, a first cyclone unit 110 capable of separating dust by cyclone flow.
  • the first body 10 includes the first cyclone unit 110.
  • Air and dust sucked through the suction unit 5 are helically flow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yclone unit 110.
  • the axis of cyclone flow of the first cyclone part 110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dust separato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yclone unit 130 that separates dust from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cyclone unit 110 again.
  • the second cyclone unit 130 may be located inside the first cyclone unit 110 to minimize the size of the dust separator.
  • the first body 10 may further include a dust container 120 for storing the dust separated from each of the cyclone parts 110 and 130. That is, the upper part of the first body 10 is the first cyclone part 110, and the lower part of the first body 10 is the dust container 120.
  • the main body 2 may further include a body cover 16 that opens and closes the lower side of the dust container 120.
  • the body cover 16 may open and close the dust container 120 by a rotation operation.
  • the dust container 120 may be provided with a button 18 for manipulating the rotation of the body cover 16.
  • the hinge 16a of the body cover 16 may be coupled to the hinge coupler 620 provided in the battery housing 60.
  •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yclone unit 130 may be located in the first body 10.
  • the main body 2 may further include a guide unit 160 positioned in the first body 10.
  • the guide unit 160 may guide air separated from dust from the first cyclone unit 110 to the second cyclone unit 130.
  • the guide unit 160 may filter the air flowing from the first cyclone unit 110 to the second cyclone unit 130.
  • the guide unit 160 may store the dust separated from the second cyclone unit 130.
  • the guide unit 160 may surround the second cyclone portion 130 and may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cover 16. That is, a part of the guide unit 160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cyclone part 130 and the first cyclone part 110, and the other part of the guide unit 160 is the second cyclone part. It may be located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130 and the body cover 16.
  • the guide unit 160 may include a first dust storage unit 121 in which dust separated from the first cyclone unit 110 is stored in the space inside the first body 10, and the second cyclone.
  • the dust separated from the unit 130 may be divided into a second dust storage unit 123 in which the dust is stored.
  • the space formed by the guide unit 160 is the second dust storage unit 123, and the space between the guide unit 160 and the first body 10 is the first dust storage unit 121.
  • the body cover 16 may open and close the first dust storage unit 121 and the second dust storage unit 123 together.
  • the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motor 20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and a battery 40 for supplying power to the suction motor 20.
  • the suction motor 20 may be located in the second body 12. At least a portion of the suction motor 20 may be located above the dust separator. Thus, the suction motor 20 is located above the first body 10.
  • the suction motor 20 may communicate with an air outlet of the second cyclone unit 130.
  • the main body 2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guide 28 connected to the second cyclone unit 130 and a flow guide 22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guide 28.
  • the discharge guide 28 is located above the second cyclone unit 130, and the flow guide 22 is located above the discharge guide 28.
  • the guide unit 16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discharge guide 28.
  • At least a part of the suction motor 20 may be located inside the flow guide 22.
  • the axis of cyclone flow of the dust separator may pass through the suction motor 20.
  • the suction motor 20 may include an impeller 200 that rotates.
  • the impeller 200 may be connected to the shaft 202.
  • the shaft 202 is dispos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 An extension line (also referred to as a rotation axis of the impeller 200) of the shaft 202 may pass through the first body 10. At this time, the axis of rotation of the impeller 200 and the axis of cyclone flow generated in the first cyclone unit 110 of the dust separation unit may be located on the same line.
  •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separation unit that is, the air discharged upward from the second cyclone unit 130 flows toward the suction motor 20 side, and the direction change of air is reduced.
  • the suction force can be increased and the use time of the battery 40 for supplying power to the suction motor 20 can be increased.
  • the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motor housing 26 that covers a por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motor 20, and a lower motor housing 27 that covers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suction motor 20. have.
  • the suction motor 20 may be accommodated in each of the motor housings 26, and the flow guide 22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upper motor housing 26.
  • At least a portion of the flow guide 2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motor housing 26.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low guide 2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body 12.
  •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ow guide 22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motor housing 26 form a first air flow path 232,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ow guide 22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body 12. Forms a second air flow path 234.
  •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cyclone unit 130 flows to the suction motor 20 along the first air flow path 232,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uction motor 20 passes through the second air flow path ( 234 flows out and then out. Accordingly, the second air flow path 234 serves as an exhaust flow path.
  • the handle part 3 may include a handle 30 for holding a user and a battery housing 60 disposed below the handle 30.
  • the handle 30 may be located behind the suction motor 20.
  •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ction part 5 is positioned in the vacuum cleaner 1 with respect to the suction motor 20 is forward,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30 is located backward.
  • the battery 40 may be located behind the first body 10. Therefore, the suction motor 20 and the battery 40 are disposed not to overlap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arrangement height may also be arranged differently.
  • the heavy suction motor 20 is located in front of the handle 30, the heavy battery 40 of the handle 30 Since it is located below, the weight of the cleaner 1 is distributed evenly.
  • the user's wrist can be prevented from going through. That is, heavy weights are distributed and arrang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cleaner 1, and are disposed at different heights,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leaner 1 may be prevented from being directed to any one side.
  • the battery 40 is located below the handle 30 and the suction motor 20 is located in front of the handle 30, there is no configuration above the handle 30.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30 forms a partial external appearan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leaner 1.
  • one component of the cleaner 1 may be prevented from contacting the user's arm.
  • the handle 30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be grasped by a first extension part 310 that can be grasped by a user, and a second extension that extends toward the suction motor 20 from an upper sid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310. It may include a part 320.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320 may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 the first extension part 310 may be referred to as a grip part as a part that can be held by a user (a part which a user's palm can touch).
  • the first extension part 310 is for preventing a user from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in FIG. 2) of the first extension part 310 while the user holds the first extension part 310.
  • the movement limiter 312 may be provided.
  • the movement limiting portion 312 may extend from the first extension portion 310 toward the suction portion 5.
  • the movement limiting portion 312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20. Therefore,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extension part 310 is held, some fingers are positioned above the movement limiting portion 312, and the other fingers are positioned below the movement limiting portion 312.
  • the movement limiting unit 312 may be located between the index finger and the middle finger.
  • the longitudinal axis A1 of the suction unit 5 may pass through the user's wrist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grips the first extension part 310.
  • the longitudinal axis A1 of the suction part 5 When the longitudinal axis A1 of the suction part 5 passes through the user's wrist, the longitudinal axis A1 of the suction part 5 substantially extend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user's arm while the user's arm is extended. Can be side by side. Therefore, in such a stat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s force required when the user grabs the handle 30 and pushes or pulls the cleaner 1 is minimized.
  • the handle 30 may include an operation unit 326.
  • the operation unit 326 may be located on an inclined surface formed in the second extension part 320.
  • the control command of the suction motor 20 may be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326.
  • the on command and the off command of the suction motor 20 may be input using the operation unit 326.
  • the strength of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otor 20 can be adjusted while the suction motor 20 is turned on.
  • the operation unit 326 may be disposed to face the user.
  • the operation unit 326 may be located opposite to the movement limiting unit 312 based on the handle 30.
  • the operation unit 326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movement limiting unit 312. Therefore, a user can easily manipulate the manipulation unit 326 with a thumb while holding the first extension portion 310.
  • the operation unit 326 is position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first extension unit 310, when the cleaning is performed while the first extension unit 310 is held, the operation unit 326 is unintentionally performe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manipulated.
  • the second extension part 320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part 322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 the display unit 322 may be loc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320. Therefore, the display unit 322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320 can be easily checked while the user performs the cleaning.
  • the display unit 322 may display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40, the strength of the suction motor, and the like.
  • the display unit 322 is not limited, but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parts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320.
  • the battery housing 60 may be located under the first extension part 310.
  • the battery 40 may be detachably housed in the battery housing 60.
  • the battery 40 may be inserted into the battery housing 60 under the battery housing 60.
  • the rear surface of the battery housing 60 and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310 may form a continuous surface. Therefore, the battery housing 60 and the first extension part 310 may have a sense of unity.
  •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4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the battery 40 is accommodated in the battery housing 60. Thus, when the cleaner 1 is placed on the floor, the battery 40 may be placed on the floor.
  • the bottom surface of the battery 40 since the bottom surface of the battery 4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bottom surface of the battery 40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air outside the cleaner 1 may improve the cooling performance of the battery 40. .
  • the cleaner 1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mechanism 50 having an air outlet 522 through whi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uction motor 20 is discharged.
  • the air outlet 522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enings, and the plurality of openings may be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air outlet 522 may be arranged in the form of a ring.
  • the filter mechanism 5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2.
  • a portion of the filter mechanism 50 is located outside of the second body 12 in a state where the filter mechanism 5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 Therefore, a part of the filter mechanism 50 is drawn into the main body 2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main body 2, and the other part protrudes out of the main body 2.
  • the height of the body 2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handle (30). Therefore, the filter mechanism 50 protrudes upward of the main body 2 so that the filter mechanism 50 can be easily removed while the user grasps the filter mechanism 50.
  • the air outlet 522 is positioned above the filter mechanism 50 while the filter mechanism 5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 Therefore,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uction motor 20 is discharged above the main body 2.
  •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outlet 522 may be prevented from flowing to the user side.
  • the main body 2 may further include a pre-filter 29 for filtering the air flowing into the suction motor 20.
  • the prefilter 29 may be located in the flow guide 22.
  • the prefilter 29 may be seated in the upper motor housing 26 and surround a portion of the upper motor housing 26. That is, the upper motor housing 26 may include a filter support for supporting the prefilter 29.
  •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dy cover is rot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guid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body
  • Figure 8 is a guide The figure shows a state in which the unit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 the guide unit 160 surrounding the second cyclone portion 130 is exposed to the outside.
  • the guide unit 160 Since the guide unit 160 is seated on the body cover 16 in a state where the body cover 16 closes the dust container 120, when the body cover 16 opens the dust container 120, the guide. The lower side of the unit 160 is located close to the discharge opening 120a of the dust container 120. At this time, the discharge opening (120a) is a portion in which dust is discharged to empty the dust in the dust container 120.
  • the user may detach the guide unit 160 from the main body 2 in a state of holding the guide unit 160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120a.
  • the guide unit 160 may be pulled out of the main body 2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120a.
  • the second cyclone part 130 Dust discharge unit 135 of the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 the user can easily clean the dust discharge part 135 of the second cyclone portion 130 in a state where the second cyclone portion 130 is located in the main body 2.
  • the dust discharge unit 135 since the dust discharge unit 135 may be cleaned, the dust discharge unit 135 may be prevented from being blocked or the blocked state may be prevented from being blocked. Can be.
  • the second cyclone unit 130 is disposed in the upright position in the main body 2.
  • the air inlet 143 of the second cyclone part 130 may be located lower than the longitudinal axis A of the suction part.
  • the dust discharge part 135 of the second cyclone part 130 may be located close to the discharge opening 120a of the dust container 120.
  • the user can easily clean the dust discharge unit 135 of the second cyclone unit 130 located close to the discharge opening (120a).
  • a sealing member 150 for sealing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dust discharge part 135 in the second cyclone part 130.
  • FIG. 9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guid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guide unit of FIG. 9
  • 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guide unit is in contact with a sealing member.
  • 12 is a view showing the second cyclone portion and the discharge guide
  •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charge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guide unit 160 may include a filter unit 161 for filtering air and a storage unit 170 for storing dust.
  • the filter unit 161 may be formed at least partially in a cylindrical shape,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enings 162 through which air pass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filter unit 161 may include a mesh unit 164 surrounding the plurality of openings 162. Therefore, the air primarily separated from the dust in the first cyclone unit 110 may be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mesh unit 164.
  • the filter unit 161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unit 165 to be coupled to the discharge guide 28.
  • the first coupling part 165 may b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part 161.
  • the first coupling part 165 may include a first groove 166 extending down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filter unit 161 and a second groove 167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first groove 166. It may include. That is, the first coupling portion 165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L".
  • the filter unit 161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hook 168 to be coupled to the storage unit 170.
  • the coupling hook 168 may be provided below the filter unit 161.
  • the filter unit 161 is provided with a cleaning unit 169 for discharging the foreign matter such as hair in the dust container 120 in the dust container 120 when the guide unit 160 is separated from the dust container 120. It may further include.
  • the cleaning part 169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ilter part 161.
  • the cleaning part 169 may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inclined upward from an upper end of the filter part 161.
  • the cleaning unit 169 may be continuously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lter unit 161, or a plurality of cleaning units 169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lter unit 161.
  • An end of the cleaning unit 169 may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120 (o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dust storage part) or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120.
  • the cleaning part 169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lter part 161 or may be coupled to the filter part 161.
  • a rubber contact portion (not shown) for contact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120 may be provided at an end portion of the cleaning unit 169.
  • the contact unit may clea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120 in a process of separating the guide unit 160 from the body 2.
  • An incision groove or slot may be provided.
  • Some or all of the dust container 12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 the contact unit wipe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120 while the user separates the guide unit 160 from the main body 2,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120 is cleaned so that the user can clean the dust container 120.
  • the inside can be easily seen with the naked eye.
  • the storage unit 170 may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unit 161.
  • the storage unit 170 may include an inner body 171 and an outer body 172 surrounding the inner body 171.
  • the inner body 171 may include a first portion 171a forming the second dust storage unit 123.
  • the first portion 171a of the inner body 171 may be formed to decrease in diamete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 the volume of the first dust storage unit 121 may increase in the dust container 120.
  • Relatively bulky dust is stored in the first dust storage unit 121.
  • the volume of the first dust storage unit 121 increases, the time until the first dust storage unit 121 is filled with dust is increased. This can increase the number of dust empties.
  • the inner body 171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ortion 173 positioned above the first portion 171a.
  • the second portion 173 of the inner body 171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unit 161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portion 173 of the inner body 171.
  • the inner body 171 may further include a hook coupling part 174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hook 168.
  • the hook coupling portion 174 may be formed in the second portion 173.
  • the hook coupling portion 174 may be a groove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173 of the inner body 171 or a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second portion 173.
  • the inner body 171 may further include a contact rib 175 for contacting the sealing member 150 provided in the second cyclone part 130.
  • the contact rib 175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 the contact rib 175 is formed in the first portion 171a or the second portion 173 of the inner body 171 or the first portion 171a and the second portion 173 of the inner body 171. It may be formed at the boundary of.
  • At least one sealer 177 for sealing between the inner body 171 and the outer body 172 may be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173 of the inner body 171.
  • the sealer 177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nd a sealer seating groove 176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173 of the inner body 171 to seat the sealer 177. have.
  • a plurality of sealers 177 may b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body 172.
  • the plurality of sealers 177 may b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 One or more fixing protrusions 178 may be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173 of the inner body 171 to fix the outer body 172.
  • a portion of the outer body 172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portion 171a of the inner body 171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first portion 171a of the inner body 171.
  • a support rib 184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first portion 171a of the inner body 171 may be provided below the outer body 172.
  • the outer body 172 may further include a cover part 180 surrounding the second portion 173 of the inner body 171 on the outer side of the inner body 171.
  • the cover part 18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 the cover unit 180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sion coupling part 181 to which the one or more fixing protrusions 178 are fixed.
  • the one or more sealers 177 are positioned between the cover portion 180 and the second portion 173 of the inner body 171. Accordingly, the dust and / or air inside the second dust storage unit 123 may be prevented from being introduced between the inner body 171 and the outer body 172 by the one or more sealers 177.
  • the one or more sealers 177 may prevent the dust and / or air from entering the first dust storage unit 121 between the inner body 171 and the outer body 172.
  • the outer body 172 may further include a scattering prevention rib 182 exte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over portion 180 from the outer body 172.
  • the scattering prevention ribs 182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for example, and may extend downward from one point of the outer body 172.
  • a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body 172 and the scattering prevention rib 182.
  • the cyclone flow in the first cyclone unit 110 may descend while flow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10. If the cyclone flow collides with the body cover 16 in the course of the cyclone flow descending, the rotational flow may be changed to an upward flow.
  • the upward flow in the first dust storage unit 121 is lowered again by the scattering prevention ribs 182 in the space between the scattering prevention ribs 182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body 172. Is changed. Therefore, the scattering of the dust stored in the first dust storage unit 121 can be prevented, thereby preventing the dust from flowing back to the first cyclone unit 110 side.
  • the anti-scattering rib 182 extends downward from one point of the outer body 172, the dust separated from the first cyclone portion 110 with the cyclone flow is the anti-scattering rib ( 182 may be smoothly moved to the first dust storage unit 121.
  • the second cyclone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cyclone module 131 and a guide module 140 connected to the cyclone module 132.
  • the cyclone module 131 may include a plurality of cyclone bodies 132.
  • the plurality of cyclone bodies 132 may be integrally formed.
  • the plurality of cyclone bodies 132 are arranged such that one cyclone body is disposed at the center and the other cyclone body is disposed at the center.
  • the eight cyclone bodies are arranged to surround the cyclone body disposed in the center, it is noted that the number of cyclone bodies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 central cyclone body may be referred to as an inner cyclone body, and the cyclone body disposed to surround the inner cyclone body will be referred to as an outer cyclone body.
  • Each cyclone body 132 may include a first cyclone body 133 and a second cyclone body 134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cyclone body 133.
  • first cyclone body 133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 second cyclone body 134 may be formed in a cone or truncated cone shape.
  • the second cyclone body 1334 may include a dust discharge part 135 through which dust is discharged.
  • the cyclone module 131 may further include a guide coupling part 137 for coupling with the discharge guide 28.
  • the guide coupling part 137 may be located between the outer cyclone body and the inner cyclone body of some of the plurality of outer cyclone bodies.
  • the guide coupling part 137 may include a receiving part 137a for receiving the fastening body 285 provided in the discharge guide 28 and a body for mounting the fastening body 285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137a. It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137b).
  •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is formed under the body seating portion 137b to connect the body seating portion 137b and the fastening body 285. Can be tightened.
  • the guide module 140 may be seated on an upper side of the cyclone module 131, guide air to each of the cyclone bodies 132, and separate air from dust in each of the cyclone bodies 132. May guide to the discharge guide 28.
  • the guide module 140 may include a guide body 142 having an air inlet 143.
  • the guide body 142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have the same diameter as the first cyclone body 133.
  • the guide module 140 may further include an air outlet 145 located inside the guide body 142.
  • the air outlet 145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 the vertical length of the air outlet 145 may be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guide body 142.
  • each air outlet 145 of the guide module 140 is drawn into the inside of each cyclone body 132. Can be.
  • air may flow in the axial direction into the guide body 142.
  • Air may flow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body 142 and the air outlet 145 so that the air flowing in the axial direction into the guide body 142 may spirally flow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clone body 132.
  • Spiral flow guide ribs 144 may be provided to guide the flow.
  • the width of the guide module 140 is possible to prevent the width of the guide module 140 from increasing as air flows in the axial direction to the guide body 142.
  • the air outlet 145 of the guide module 140 may be directly discharg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dust. have.
  • the discharge guide 28 may include a first discharge guide 280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module 140 and a second discharge guide 281 extending upward from the first discharge guide 280. Can be.
  • first discharge guide 28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 second discharge guide 281 may be formed in a truncated cone shape that increases in diameter upward.
  • the first discharge guide 280 may include a fastening body 285 for fastening with the cyclone module 131.
  • the fastening body 285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282 of the first discharge guide 280.
  •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fastening body 285 are formed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guide module 140 so that the fastening body 285 can be fastened with the cyclone module 131.
  • the fastening body 285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37a of the cyclone module 131 through the guide module 140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module 140.
  • the first discharge guide 280 may include an outlet guide 283 fitted to the air outlet 145 of the guide module 140.
  • the outlet guide 283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outlet 145 to guide the discharge of air, and prevents air from leaking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let guide 283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outlet 145. Play a role.
  • the first discharge guide 280 may be coupled to the filter unit 161.
  • the first discharge guide 280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part 286 for coupling with the filter part 161.
  • the second coupling part 286 may be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discharge guide 280, and may exten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86 may be small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first groove 166.
  • the guide unit may be formed by the first coupling part 165 of the filter part 161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286 of the discharge guide 28. 160 may be coupled to or released from the discharge guide 28 by a rotation operation.
  • the second coupling part 286 is aligned with the first groove 166 of the first coupling part 165 to separate the guide unit 160 from the discharge guide 28.
  • the second coupling part 286 is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166. Then, the second coupling part 286 and the second groove 167 are aligned in the first groove 166. In this state, when the guide unit 16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second coupling part 286 is inserted into the second groove 167 to filter the filter unit 161 and the discharge of the guide unit 160. The engagement of the guide 28 is complete.
  • the depth of depression of the second groove 167 may be smaller than the depth of depression of the first groove 166 so that the coupling force of the filter unit 161 and the discharge guide 28 is increased.
  • the recessed depth of the first groove 166 may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protruding thickness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86.
  • the second coupling part 286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groove 167 while the second coupling part 286 located in the first groove 166 moves to the second groove 167.
  •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filter unit 161 and the discharge guide 28 may be increased.
  • the cyclone module 131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member coupling part 138 to which the sealing member 150 is coupled.
  • the sealing member coupling part 138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dust discharge part 135 in the cyclone body 132.
  • sealing member coupling part 138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cyclone body 134.
  • sealing member coupling part 138 may be located above the dust discharge part 135. That is, the sealing member coupling part 138 may be positioned in such a manner that the dust discharge part 135 penetrates the sealing member coupling part 138.
  • a sealing member fitting groove 139 into which the sealing member 150 is fitted may be formed below the sealing member coupling part 138.
  • the sealing member 15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cyclone module 131 is blinking in a state where the sealing member 150 is fitted into the sealing member fitting groove 139.
  • the contact rib 175 of the storage unit 17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yclone unit 130.
  • the lower surface of the sealing member 150 may contact.
  • the dust discharge portion 135 of the second cyclone portion 130 is in the region formed by the contact rib 175 Can be located.
  • the filter unit 161 of the guide unit 160 When the filter unit 161 of the guide unit 160 is coupled to the discharge guide 28 in order to increase the contact force between the sealing member 150 and the contact rib 175, the contact of the storage unit 170 The rib 175 may press the sealing member 150.
  • a space inside the guide unit 160 is divided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of the sealing member 150.
  • the upper space of the sealing member 150 is a space in which the air that has undergone the dust separation process in the first cyclone portion 110 is guided to the air inlet 143 of the second cyclone portion 130,
  • the lower space of the sealing member 150 is a space in the second dust storage unit 123.
  • the guide unit 160 includes the filter unit 161 a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uide unit 16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 the dust discharge unit of the second cyclone unit 130 Since the 135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dust discharge unit 135 of the second cyclone unit 130 may be easily cleaned, and the filter unit 161 may be easily cleaned.
  • the guide unit 160 is positioned inside the guide unit 160 on the sealing member 150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econd cyclone part 130.
  • the contact ribs 175 are brought into contact. Accordingly, a space in which air is guided from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st dust storage unit 121 or the internal space of the first cyclone unit 110 or the guide unit 160 to the second cyclone unit 130 and the Sealing with the inner space of the second dust storage unit can be maintained.
  • 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leaner for showing the air flow in th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eaner for showing the air flow in th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ust separated from the air flows downward and is stored in the first dust storage unit 121.
  • the air separated from the dust flows to the air inlet 143 of the second cyclone unit 130 af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161 of the guide unit 160.
  • an upper end of the mesh unit 164 of the filter unit 161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air inlet 143 of the second cyclone unit 130. That is, the air inlet 143 of the second cyclone unit 130 may be located inside the filter unit 161.
  • the air separated from the dust in the first cyclone unit 110 is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mesh unit 164 of the filter unit 161 and then through the opening 162 of the filter unit 161. It is drawn into the filter unit 161. Air introduced into the filter unit 161 is guided to the cyclone module 131 by the guide module 140 to perform the dust separation process again.
  • the dust separated from the air in the cyclone module 131 is discharged through the dust discharge unit 135 and then flows downward to be stored in the second dust storage unit 123.
  • the air separated from the dust in the cyclone module 131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guide 28 through the air outlet 145.
  •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guide 28 flows along the discharge guide 28 and then passes along the lower motor housing 27 and then rises along the first air flow path 232 in the flow guide 22. do. In addition, the air of the first air flow path 232 passes through the prefilter 29.
  •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refilter 29 passes through the suction motor 20 in the upper motor housing 27. Air flows through the suction motor 20 by the impeller 200 and then is discharged to the lower motor housing 28. In addition, the air discharged to the lower motor housing 28 flows to the second air flow path 234.
  • the air flowing into the second air flow path 234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outlet 522 af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mechanism 50.
  • 1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guide unit is separated from a main body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is remaining foreign matter may be removed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guide unit 160 from the body (2).
  • the cleaning unit 169 is positioned at the uppermost side of the guide unit 160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120 or adjacen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120.
  • the foreign matter in the dust container 120 is caught by the cleaning unit 169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guide unit 160 downward from the main body 2.
  • the foreign matter caught by the cleaning unit 169 is drawn out from the main body 2 together with the guide unit 160.
  • the user can remove the foreign matter such as hair directly in the dust container 120 or clean the foreign matter in the separation process of the guide unit 160 without clean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120, the dust container 120 Since it can be discharged from,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s convenience is improv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청소기는, 공기와 먼지를 안내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와 먼지를 분리시키는 제 1 싸이클론부와 상기 제 1 싸이클론부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시키는 제 2 싸이클론부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제 1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 1 먼지 저장부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 2 먼지 저장부를 구획하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유닛이 상기 본체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의 먼지 배출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Description

청소기
본 명세서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청소기는 청소 대상 영역의 먼지나 이물을 흡입하거나 닦아 청소를 수행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 업라이트 타입의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6209호(공개일 2009.03.11.)에는 원심 분리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원심 분리 장치는, 핸드헬드 청소기의 일부를 구성한다.
상기 원심 분리 장치는, 벽을 가지는 사이클론과, 상기 사이클론의 일단을 폐쇄하는 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사이클론 내부에는 덮개가 구비된다. 상기 덮개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가지는 원통형 벽과, 상기 원통형 벽의 내측에 위치되는 내벽을 포함한다.
상기 원심 분리 장치는, 추가적인 사이클론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며, 추가적인 사이클론 어셈블리는 원뿔형 개구부를 포함한다. 상기 원뿔형 개구부는 상기 덮개의 내벽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내벽이 형성하는 통로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통로의 하측에는 집진기가 배치된다. 상기 집진기의 내부는 상기 베이스에 의해서 둘러싸인다.
상기 추가적인 싸이클론 어셈블리에 의해서 공기에서 먼지가 분리되는데, 상기 추가적인 싸이클론 어셈블리에 의해서 분리되는 먼지가 원뿔형 개구부를 막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원뿔형 개구부의 청소가 필요하다.
그런데, 선행문헌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가 회전되어 상기 집진기 내부를 개방하더라도 상기 집진기의 상측에 위치된 덮개 내에 상기 원뿔형 개구부가 위치됨에 따라서 사용자가 원뿔형 개구부 접근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 2 싸이클론부가 본체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 2 싸이클론부의 먼지 배출부의 청소가 가능한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 2 싸이클론부로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 유닛을 본체에서 분리하는 경우 제 2 싸이클론부의 먼지 배출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먼지 배출부의 청소가 용이한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이드 유닛이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가이드 유닛과 제 2 싸이클론부의 접촉부에서의 실링이 유지되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 2 싸이클론부로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 유닛을 본체에서 분리하는 과정에서 먼지통 내의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이 먼지통 외부로 쉽게 배출될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소기는, 공기와 먼지를 분리시키는 제 1 싸이클론부와 상기 제 1 싸이클론부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시키는 제 2 싸이클론부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제 1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 1 먼지 저장부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 2 먼지 저장부를 구획하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면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이 상기 본체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의 먼지 배출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를 형성하는 먼지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통은 배출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배출 개구를 통하여 상기 먼지통의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제 1 싸이클론부에서 먼지와 분리된 공기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공기를 필터링하며 상기 제 2 싸이클론부를 둘러싸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의 하측에 연결되며, 상기 먼지통 내에서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를 형성하는 저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와 상기 저장 유닛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부와 상기 저장 유닛이 함께 상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에는 실링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 유닛은 상기 본체 내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실링 부재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 리브는 상기 실링 부재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 2 싸이클론부는 상기 실링 부재가 결합되는 실링 부재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 결합부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의 먼지 배출부가 관통하도록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 결합부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의 둘레를 감쌀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 결합부의 하측에는 상기 실링 부재가 끼워지는 실링 부재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 리브는 상기 실링 부재의 하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 및 상기 접촉 리브 각각은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 리브가 상기 실링 부재의 하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의 먼지 배출부는 상기 접촉 리브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의 하측 일부는 상기 저장 유닛의 상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 유닛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저장 유닛은, 상기 필터부와 결합되는 인너 바디와, 상기 인너 바디를 둘러싸는 아우터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너 바디의 내측에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먼지통의 내주면과 상기 아우터 바디의 외면 사이에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의 먼지 배출부 및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인너 바디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리브는 상기 인너 바디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인너 바디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상측에서 연장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은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 부분에 상기 필터부의 하측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은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리브는 상기 제 1 부분에서 돌출되거나 상기 제 2 부분에서 돌출되거나 상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의 경계부에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청소기는, 상기 인너 바디와 상기 아우터 바디 사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실러는 일 예로 상기 인너 바디의 제 2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는 필터 바디와, 상기 복수의 개구를 커버하는 메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의 공기 입구는 상기 필터부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에서 배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배출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배출 가이드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출 가이드는 상기 필터부와 결합되기 위한 제 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 1 결합부와 결합되기 위한 제 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의 회전 동작에 의해서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의 결합이 완료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제 1 결합부가 수용되는 제 1 홈과, 상기 제 1 결합부가 상기 제 1 홈에 수용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홈에서 연장되는 제 2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부가 상기 제 1 홈에 수용되는 방향은 상하 방향이고, 상기 제 2 홈은 상기 제 1 홈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의 공기 입구는 상기 흡입부의 길이 방향 축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먼지통의 내주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청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부는, 상기 필터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청소부는, 상기 필터부에서 수평 방향 또는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청소부의 단부는 상기 먼지통의 내주면에 접촉하거나 상기 먼지통의 내주면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청소기는, 공기와 먼지를 안내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와 먼지를 분리시키는 제 1 싸이클론부와 상기 제 1 싸이클론부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시키는 제 2 싸이클론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에 설치되는 실링 부재; 및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본체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싸이클론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본체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실링 부재에 접촉하는 접촉 리브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이 상기 본체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의 먼지 배출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제 1 싸이클론부에서 일차적으로 먼지와 분리된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에서 배출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 저장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청소기는, 공기와 먼지를 안내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와 먼지를 분리시키는 제 1 싸이클론부와 상기 제 1 싸이클론부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시키는 제 2 싸이클론부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제 1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 1 먼지 저장부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 2 먼지 저장부를 구획하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의 내주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청소부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본체에서 제 1 싸이클론부에서 먼지 분리 과정을 거친 공기를 상기 제 2 싸이클론부로 안내하는 가이드 유닛이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의 먼지 배출부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의 먼지 배출부의 청소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유닛이 상기 제 2 싸이클론부로 유동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므로,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의 청소 뿐만 아니라 상기 필터부의 청소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유닛이 본체에서 분리되면 상기 본체에서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의 주변에 아무런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쉽게 상기 제 2 싸이클론부를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의 공기 입구가 흡입부의 길이 방향 축 보다 낮게 위치되므로,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의 먼지 배출부가 먼지통의 배출 개구와 인접하게 위치되므로, 사용자가 쉽게 상기 제 2 싸이클론부를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유닛이 상기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 유닛의 내측에 위치된 접촉 리브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의 외측에 위치된 실링 부재와 접촉하므로, 가이드 유닛과 제 2 싸이클론부의 접촉부에서의 실링이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유닛의 분리 과정에서 애완 동물의 털이나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상기 본체에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먼지통 내의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꺼내거나 먼지통의 내주면을 직접 청소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디 커버가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이 본체에서 분리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가이드 유닛이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의 단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가이드 유닛의 분해 단면 사시도.
도 11은 가이드 유닛이 실링 부재와 접촉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제 2 싸이클론부와 배출 가이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출 가이드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기 위한 청소기의 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기 위한 청소기의 종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본체에서 가이드 유닛이 분리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1)는, 본체(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1)는 상기 본체(2)의 앞쪽에 결합되는 흡입부(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5)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상기 본체(2)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1)는 상기 본체(2)에 결합되는 핸들부(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3)는 상기 본체(2)에서 상기 흡입부(5)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부(5)와 상기 핸들부(3) 사이에 상기 본체(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2)는, 제 1 바디(10)와, 상기 제 1 바디(10)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 2 바디(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10)와 상기 제 2 바디(12)는 직접 결합되거나 중간의 매개부재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10)와 상기 제 2 바디(12)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바디(10)와 상기 제 2 바디(12) 각각은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된다. 즉, 상기 각 바디(10, 12)는 상측 개구 및 하측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5)의 중앙부가 대략적으로 상기 제 1 바디(10)와 상기 제 2 바디(12)의 경계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흡입부(5)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2)는 상기 흡입부(5)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하는 먼지 분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먼지 분리부는, 일 예로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먼지를 분리할 수 있는 제 1 싸이클론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바디(10)가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부(5)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먼지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유동하게 된다.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먼지 분리부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먼지를 재차 분리하는 제 2 싸이클론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먼지 분리부의 크기가 최소화되도록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10)는 상기 각 싸이클론부(110, 130)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바디(10)의 상측부가 제1싸이클론부(110)이고, 상기 제 1 바디(10)의 하측부가 상기 먼지통(120)이다.
상기 본체(2)는 상기 먼지통(120)의 하측을 개폐하는 바디 커버(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 커버(16)는 회전 동작에 의해서 상기 먼지통(120)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먼지통(120)에는 상기 바디 커버(16)의 회전을 위하여 조작하는 버튼(1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 커버(16)의 힌지(16a)는 배터리 하우징(60)에 구비된 힌지 결합부(6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바디(1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2)는 상기 제 1 바디(10) 내에 위치되는 가이드 유닛(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160)은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에서 먼지와 분리된 공기를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유닛(160)은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에서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로 유동하는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유닛(160)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160)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를 감쌀 수 있고, 상기 바디 커버(16)의 상면에 접촉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유닛(160)의 일부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와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 사이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 유닛(160)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의 하측과 상기 바디 커버(16)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160)은, 상기 제 1 바디(10) 내부의 공간을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 1 먼지 저장부(121)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 2 먼지 저장부(123)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160)이 형성하는 공간이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123)이고, 상기 가이드 유닛(160)과 상기 제 1 바디(10) 사이 공간이 제 1 먼지 저장부(121)이다.
상기 바디 커버(16)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1)와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123)를 함께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청소기(1)는, 흡입력을 발생하기 위한 흡입 모터(20)와, 상기 흡입 모터(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모터(20)는 상기 제 2 바디(1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 모터(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먼지 분리부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 모터(20)는 상기 제 1 바디(10)의 상방에 위치된다.
상기 흡입 모터(20)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의 공기 출구와 연통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2)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와 연결되는 배출 가이드(28)와, 상기 배출 가이드(28)와 연통되는 유동 가이드(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배출 가이드(28)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상기 배출 가이드(28)의 상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 가이드(28)에 상기 가이드 유닛(16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 모터(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유동 가이드(22)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먼지 분리부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은 상기 흡입 모터(20)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흡입 모터(20)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의 상측에 위치되면,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에서 배출된 공기가 바로 상기 흡입 모터(20) 측으로 유동할 수 있어,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와 상기 흡입 모터(20) 간의 유로가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흡입 모터(20)는 회전 동작하는 임펠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200)는 샤프트(20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20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샤프트(202)의 연장선(임펠러(200)의 회전축이라고도 할 수 있음)은 상기 제 1 바디(10)를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임펠러(200)의 회전축과 상기 먼지 분리부의 제 1 싸이클론부(110)에서 발생되는 싸이클론 유동의 축은 동일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먼지 분리부에서 배출된 공기, 즉, 제 2 싸이클론부(130)에서 상방으로 배출된 공기가 상기 흡입 모터(20) 측으로 유동하는 경로가 줄어들고, 공기의 방향 변화가 줄어들 수 있어 공기의 유동 손실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공기의 유동 손실이 줄어드는 경우, 흡입력이 증가될 수 있으며 상기 흡입 모터(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40)의 사용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1)는, 상기 흡입 모터(20)의 상측 일부를 커버하는 상부 모터 하우징(26)과, 상기 흡입 모터(20)의 하측 일부를 커버하는 하부 모터 하우징(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 모터(20)는 상기 각 모터 하우징(26)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유동 가이드(22)는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바디(12)와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내주면과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의 외주면은 제 1 공기 유로(232)를 형성하고, 상기 유동 가이드(22)의 외주면과 상기 제 2 바디(12)의 내주면은 제 2 공기 유로(234)를 형성한다.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 1 공기 유로(232)를 따라 상기 흡입 모터(20)로 유동하고 상기 흡입 모터(2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 2 공기 유로(234)를 따라 유동한 후에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공기 유로(234)는 배기 유로 역할을 한다.
상기 핸들부(3)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핸들(30)과, 상기 핸들(30)의 하측에 배치되는 배터리 하우징(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30)은 상기 흡입 모터(2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방향에 대해서 정의하면, 상기 청소기(1)에서 상기 흡입 모터(20)를 기준으로 상기 흡입부(5)가 위치되는 방향이 전방이고, 상기 핸들(30)이 위치하는 방향이 후방이다.
상기 배터리(40)는 상기 제 1 바디(1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 모터(20)와 상기 배터리(40)는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되며, 배치 높이 또한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핸들(30)을 기준으로, 무게가 무거운 흡입 모터(20)가 상기 핸들(30)의 전방에 위치되고, 무게가 무거운 배터리(40)가 상기 핸들(30)의 하방에 위치되므로, 상기 청소기(1) 전체적으로 무게가 고르게 분배된다. 사용자가 상기 핸들(30)을 잡고 청소를 할 때, 사용자의 손목에 무리가 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청소기(1)의 앞쪽과 뒤쪽에 무게가 무거운 구성이 분산되어 배치되되,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므로, 청소기(1)의 무게 중심이 어느 일측으로 쏠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40)가 상기 핸들(30)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흡입 모터(20)는 상기 핸들(30)의 전방에 위치되므로, 상기 핸들(30)의 상방에는 아무런 구성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핸들(30)의 상면은 상기 청소기(1)의 상면 일부 외관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핸들(30)을 잡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청소기(1)의 일 구성이 사용자의 팔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핸들(3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제 1 연장부(310)와, 상기 제 1 연장부(310)의 상측에서 상기 흡입 모터(20)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연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320)는 적어도 일부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연장부(310)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부분(사용자의 손바닥이 접촉할 수 있는 부분)으로써, 그립부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310)에는 사용자가 상기 제 1 연장부(310)를 잡은 상태에서 손이 상기 제 1 연장부(310)의 길이 방향(도 2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 제한부(3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제한부(312)는 상기 제 1 연장부(310)에서 상기 흡입부(5)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제한부(312)는 상기 제 2 연장부(320)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연장부(3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일부 손가락은 상기 이동 제한부(312)의 상방에 위치되고, 나머지 손가락은 상기 이동 제한부(312)의 하방에 위치된다.
일 예로 검지 손가락과 중지 손가락 사이에 상기 이동 제한부(312)가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제 1 연장부(3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흡입부(5)의 길이 방향 축(A1)이 사용자의 손목을 지날 수 있다.
상기 흡입부(5)의 길이 방향 축(A1)이 사용자의 손목을 지나는 경우, 사용자의 팔이 펴진 상태에서 상기 흡입부(5)의 길이 방향 축(A1)은 사용자의 팔의 연장 방향과 실질적으로 나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핸들(30)을 잡고 청소기(1)를 밀거나 당길 때 필요한 사용자의 힘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핸들(30)은 조작부(32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조작부(326)는 상기 제 2 연장부(320)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26)를 통하여 흡입 모터(20)의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조작부(326)를 이용하여 상기 흡입 모터(20)의 온 명령 및 오프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326)를 통하여, 상기 흡입 모터(20)가 온된 상태에서 흡입 모터(20)의 흡입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26)는 사용자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핸들(30)을 기준으로 상기 조작부(326)는 상기 이동 제한부(312)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26)는 상기 이동 제한부(312)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 1 연장부(310)를 잡은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으로 쉽게 상기 조작부(326)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연장부(310)에서 벗어난 위치에 상기 조작부(326)가 위치되므로, 상기 제 1 연장부(3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청소를 수행할 때, 의도하지 않게 상기 조작부(326)가 조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부(320)에는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22)는 일 예로 상기 제 2 연장부(320)의 상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청소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연장부(320)의 상면에 위치한 표시부(322)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22)는 일 예로 배터리(40)의 잔량, 흡입 모터의 세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22)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복수의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부는 상기 제 2 연장부(32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하우징(60)은 상기 제 1 연장부(31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40)는 상기 배터리 하우징(60)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배터리(40)는 상기 배터리 하우징(60)의 하방에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6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하우징(60)의 후면과 상기 제 1 연장부(310)의 후면은 연속적인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60)과 상기 제 1 연장부(310)가 일체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배터리(40)가 상기 배터리 하우징(60)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40)의 하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청소기(1)를 바닥에 놓을 때 상기 배터리(40)가 바닥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배터리(40)를 상기 배터리 하우징(60)에서 바로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40)의 하면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상기 배터리(40)의 하면이 청소기(1)의 외부의 공기와 직접 접촉할 수 있어 상기 배터리(40)의 냉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청소기(1)는 상기 흡입 모터(20)를 지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522)를 가지는 필터 기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구(522)는 일 예로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고 복수의 개구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배출구(522)는 링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본체(2)의 상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의 일부는 상기 제 2 바디(12)의 외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 기구(50)의 일부는 상기 본체(2)의 상측 개구를 통하여 본체(2) 내부로 인입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본체(2)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본체(2)의 높이는 상기 핸들(30)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 기구(50)는 상기 본체(2)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필터 기구(50)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필터 기구(50)가 상기 본체(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기구(50)의 상측에 상기 공기 배출구(522)가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 모터(2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본체(2)의 상방으로 배출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청소기(1)를 이용하여 청소하는 과정에서, 공기 배출구(522)에서 배출된 공기가 사용자 측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본체(2)는 상기 흡입 모터(20)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기 위한 프리 필터(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리 필터(29)는 상기 유동 가이드(2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 필터(29)는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6)은 상기 프리 필터(29)를 지지하기 위한 필터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디 커버가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이 본체에서 분리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가이드 유닛이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바디 커버(16)의 회전을 위하여 상기 버튼(18)을 조작하면 상기 바디 커버(16)가 힌지(16a)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먼지통(120)의 하측을 개방시킨다.
상기 바디 커버(16)가 상기 먼지통(120)의 하측을 개방시키면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를 둘러싸고 있는 가이드 유닛(160)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바디 커버(16)가 상기 먼지통(120)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유닛(160)은 상기 바디 커버(16)에 안착되므로, 상기 바디 커버(16)가 상기 먼지통(120)을 개방시키면 상기 가이드 유닛(160)의 하측은 상기 먼지통(120)의 배출 개구(120a)와 근접하게 위치된다. 이때, 상기 배출 개구(120a)는 먼지통(120)의 먼지를 비우기 위하여 먼지가 배출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배출 개구(120a)를 통해 상기 가이드 유닛(160)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유닛(160)을 상기 본체(2)에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160)은 상기 배출 개구(120a)를 통해 상기 본체(2)의 외부로 빠질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유닛(160)이 상기 본체(2)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의 먼지 배출부(135)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160)이 상기 본체(2)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와 상기 제 1 바디(10) 사이에는 아무런 구성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가 상기 본체(2)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의 먼지 배출부(135)를 쉽게 청소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먼지 배출부(135)를 청소할 수 있으므로, 상기 먼지 배출부(135)가 막히는 것이 방지되거나 막힌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먼지 분리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는 상기 본체(2)에서 세워진 상태로 배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의 공기 입구(143)는 상기 흡입부의 길이 방향 축(A)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의 먼지 배출부(135)가 상기 먼지통(120)의 배출 개구(120a)와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배출 개구(120a)와 가깝게 위치된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의 먼지 배출부(135)를 쉽게 청소할 수 있다.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에서 상기 먼지 배출부(135)와 인접한 위치에는 실링을 위한 실링 부재(15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가이드 유닛의 분해 단면 사시도이며, 도 11은 가이드 유닛이 실링 부재와 접촉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제 2 싸이클론부와 배출 가이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출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유닛(160)은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161)와, 먼지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유닛(1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61)는 적어도 일부가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주 방향으로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16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161)는 상기 복수의 개구(162)를 둘러싸는 메쉬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에서 먼지와 일차적으로 분리된 공기는 상기 메쉬부(16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필터링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61)는, 상기 배출 가이드(28)와 결합되기 위한 제 1 결합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부(165)는 상기 필터부(161)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부(165)는 상기 필터부(161)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1 홈(166)과, 상기 제 1 홈(166)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홈(167)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결합부(165)는 "L"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61)는 상기 저장 유닛(170)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 후크(16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후크(168)는 상기 필터부(161)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61)는 상기 가이드 유닛(160)이 상기 먼지통(120)에서 분리될 때, 상기 먼지통(120) 내의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상기 먼지통(120) 내에서 배출시키기 위한 청소부(16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소부(169)는, 일 예로 상기 필터부(161)의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청소부(169)는 상기 필터부(161)의 상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청소부(169)는 상기 필터부(161)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복수의 청소부(169)가 상기 필터부(161)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청소부(169)의 단부는 상기 먼지통(120)의 내주면(또는 제 2 먼지 저장부의 내주면)에 접촉하거나 상기 먼지통(120)의 내주면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청소부(169)는 상기 필터부(161)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필터부(161)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청소부(169)의 단부에는 상기 먼지통(120)의 내주면과 접촉하기 위한 고무 재질의 접촉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가이드 유닛(160)을 상기 본체(2)에서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먼지통(120)의 내주면을 닦을 수 있다.
상기 청소부(169)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가이드 유닛(160)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조작 버튼(18) 및 상기 조작 버튼(18)이 설치되는 먼지통(120)의 일부와 간섭이 방지되기 위한 절개홈 또는 슬롯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먼지통(120)의 일부 또는 전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가이드 유닛(160)을 상기 본체(2)에서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접촉부가 상기 먼지통(120)의 내주면을 닦으면, 상기 먼지통(120)의 내주면이 청소되어 사용자가 상기 먼지통(120) 내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유닛(170)은 상기 필터부(161)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유닛(170)은, 인너 바디(171)와, 상기 인너 바디(171)를 감싸는 아우터 바디(1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너 바디(171)는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123)를 형성하는 제 1 부분(17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너 바디(171)의 제 1 부분(171a)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너 바디(171)의 제 1 부분(171a)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경우, 상기 먼지통(120) 내에서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1)의 용적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1)에는 비교적 부피가 큰 먼지가 저장되는데,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1)의 용적이 커지면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1)에 먼지가 가득찰 때까지의 시간이 증가되어 먼지 비움 횟수가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인너 바디(171)는 상기 제 1 부분(171a)의 상측에 위치되는 제 2 부분(17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너 바디(171)의 제 2 부분(173)은 일 예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161)의 하측 일부는 상기 인너 바디(171)의 제 2 부분(173)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인너 바디(171)는 상기 결합 후크(168)와 결합되기 위한 후크 결합부(1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 결합부(174)는 일 예로 상기 제 2 부분(173)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 결합부(174)는 상기 인너 바디(171)의 제 2 부분(173)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홈이거나 상기 제 2 부분(173)을 관통하는 홀일 수 있다.
상기 인너 바디(171)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에 구비된 실링 부재(150)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 리브(1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 리브(175)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 리브(175)는 상기 인너 바디(171)의 제 1 부분(171a) 또는 제 2 부분(173)에 형성되거나 상기 인너 바디(171)의 제 1 부분(171a)과 제 2 부분(173)의 경계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너 바디(171)의 제 2 부분(173)의 외주면에는 상기 인너 바디(171)와 아우터 바디(172) 간의 실링을 위한 하나 이상의 실러(177)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러(177)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인너 바디(171)의 상기 제 2 부분(173)의 외주면에는 상기 실러(177)가 안착되기 위한 실러 안착홈(176)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는 일 예로 다수의 실러(177)가 상기 인너 바디(172)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것이 도시된다. 이 경우 상기 다수의 실러(177)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너 바디(171)의 제 2 부분(173)의 외주면에는 상기 아우터 바디(172)와의 고정을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돌기(17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바디(172)의 일부분은 상기 인너 바디(171)의 제 1 부분(171a)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인너 바디(171)의 제 1 부분(171a)의 외측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바디(172)의 하측에는 상기 인너 바디(171)의 제 1 부분(171a)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 리브(18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바디(172)는 상기 인너 바디(171)의 외측에서 상기 인너 바디(171)의 제 2 부분(173)을 둘러싸는 커버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80)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80)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고정 돌기(178)가 고정되는 돌기 결합부(18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80)와 상기 인너 바디(171)의 제 2 부분(173) 사이에 상기 하나 이상의 실러(177)가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실러(177)에 의해서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123) 내부의 먼지 및/또는 공기가 상기 인너 바디(171)와 상기 아우터 바디(172) 사이로 인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실러(177)에 의해서,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1) 먼지 및/공기가 상기 인너 바디(171)와 상기 아우터 바디(172) 사이로 인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바디(172)는, 상기 아우터 바디(172)에서 상기 커버부(180)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비산 방지 리브(1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산 방지 리브(182)는 일 예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 바디(172)의 일 지점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바디(172)의 일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아우터 바디(172)의 외주면과 상기 비산 방지 리브(182)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에서 싸이클론 유동은 상기 제 1 바디(10)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하면서 하강할 수 있다. 싸이클론 유동이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싸이클론 유동이 상기 바디 커버(16)와 부딪히게 되면, 회전 유동이 상승 유동으로 변화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1) 내에서 상승 유동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1)에 저장된 먼지가 비산되고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 측으로 역류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1) 내의 상승 유동은 상기 비산 방지 리브(182)와 상기 아우터 바디(172)의 외주면 사이 공간에서 상기 비산 방지 리브(182)에 의해서 다시 하강 유동으로 변화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1)에 저장된 먼지의 비산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먼지가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 측으로 역류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산 방지 리브(182)는 상기 아우터 바디(172)의 일 지점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므로, 상기 싸이클론 유동과 함께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에서 분리된 먼지는 상기 비산 방지 리브(182)에 의해서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1)로 원활히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는, 싸이클론 모듈(131)과, 상기 싸이클론 모듈(132)과 연결되는 가이드 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싸이클론 모듈(131)은, 다수의 싸이클론 바디(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싸이클론 바디(1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다수의 싸이클론 바디(132)는, 중앙부에 하나의 싸이클론 바디가 배치되고, 나머지 싸이클론 바디가 중앙부에 배치된 싸이클론 바디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일 예로 중앙부에 배치된 싸이클론 바디를 8개의 싸이클론 바디가 둘러싸도록 배치되나, 본 발명에서 싸이클론 바디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본 명세서에서 중앙부의 싸이클론 바디를 인너 싸이클론 바디라 이름할 수 있고, 상기 인너 싸이클론 바디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싸이클론 바디를 아우터 싸이클론 바디라 이름하기로 한다.
상기 각 싸이클론 바디(132)는 제 1 싸이클론 바디(133)와, 상기 제 1 싸이클론 바디(133)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 2 싸이클론 바디(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싸이클론 바디(133)는 일 예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싸이클론 바디(134)는 원뿔 또는 원뿔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싸이클론 바디(1334는 먼지가 배출되는 먼지 배출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싸이클론 모듈(131)은 상기 배출 가이드(28)와의 결합을 위한 가이드 결합부(1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결합부(137)는 상기 다수의 아우터 싸이클론 바디 중 일부의 아우터 싸이클론 바디와 상기 인너 싸이클론 바디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결합부(137)는, 상기 배출 가이드(28)에 구비되는 체결 바디(285)를 수용하는 수용부(137a)와, 상기 수용부(137a)에 수용된 체결 바디(285)가 안착되는 바디 안착부(137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바디(285)가 상기 바디 안착부(137b)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 안착부(137b)의 하측에서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가 상기 바디 안착부(137b)와 상기 체결 바디(285)를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안내 모듈(140)은 상기 싸이클론 모듈(131)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으며, 공기를 상기 각 싸이클론 바디(132)로 안내하고, 상기 각 싸이클론 바디(132)에서 먼지와 분리된 공기는 상기 배출 가이드(28)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안내 모듈(140)은 공기 입구(143)를 구비하는 안내 바디(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 바디(142)는 상기 제 1 싸이클론 바디(133)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 모듈(140)은 상기 안내 바디(142)의 내측에 위치되는 공기 출구(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출구(145)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출구(145)의 상하 길이는 상기 안내 바디(142)의 상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 모듈(140)이 상기 싸이클론 모듈(131)의 상측에 안착되면, 상기 안내 모듈(140)의 각 공기 출구(145)의 일부는 상기 각 싸이클론 바디(132)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는 상기 안내 바디(142)로 축 방향으로 유입할 수 있다. 상기 안내 바디(142)로 축 방향으로 유입하는 공기가 상기 싸이클론 바디(132)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 바디(142)의 내주면과 상기 공기 출구(145) 사이에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나선 형태의 유동 가이드 리브(144)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가 상기 안내 바디(142)로 축 방향으로 유동함에 따라서 상기 안내 모듈(140)의 폭의 커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 모듈(140)의 공기 출구(145)가 상기 싸이클론 바디(132)로 삽입됨에 따라서 상기 싸이클론 바디(132)로 인입된 공기가 먼지와 분리되지 않고 바로 배출되는 현상이 줄어들 수 있다.
상기 배출 가이드(28)는 상기 안내 모듈(140)의 상측에 안착되는 제 1 배출 가이드(280)와, 상기 제 1 배출 가이드(280)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배출 가이드(2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배출 가이드(280)는 일 예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배출 가이드(281)는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 증가되는 원뿔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배출 가이드(280)는 상기 싸이클론 모듈(131)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 바디(28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바디(285)는 상기 제 1 배출 가이드(280)의 하면(282)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바디(285)가 상기 싸이클론 모듈(131)과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 바디(285)의 상하 길이는 상기 안내 모듈(140)의 상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 바디(285)는 상기 안내 모듈(140)의 상측에서 상기 안내 모듈(140)을 지나 상기 싸이클론 모듈(131)의 수용부(137a)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배출 가이드(280)는, 상기 안내 모듈(140)의 공기 출구(145)에 끼워지는 출구 가이드(2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구 가이드(283)는 상기 공기 출구(145)의 내주면과 접촉되어 공기의 배출을 가이드할 뿐만 아니라 상기 출구 가이드(283)의 외주면과 상기 공기 출구(145)의 내주면 사이로 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 1 배출 가이드(280)에는 상기 필터부(16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배출 가이드(280)는 상기 필터부(161)와의 결합을 위한 제 2 결합부(28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부(286)는 상기 제 1 배출 가이드(280)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돌출부일 수 있으며, 수평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2 결합부(286)의 좌우 길이는 상기 제 1 홈(166)의 좌우 폭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배출 가이드(280)가 원통 형태로 형성되므로, 상기 필터부(161)의 제 1 결합부(165)와 상기 배출 가이드(28)의 제 2 결합부(286)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 유닛(160)은 회전 동작에 의해서 상기 배출 가이드(28)와 결합되거나 결합 해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유닛(160)을 상기 배출 가이드(28)와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2 결합부(286)를 상기 제 1 결합부(165)의 제 1 홈(166)과 정렬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2 결합부(286)가 상기 제 1 홈(166)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제 1 홈(166) 내에서 상기 제 2 결합부(286)와 상기 제 2 홈(167)이 정렬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유닛(160)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제 2 결합부(286)가 상기 제 2 홈(167)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유닛(160)의 필터부(161)와 상기 배출 가이드(28)의 결합은 완료된다.
이때, 상기 필터부(161)와 상기 배출 가이드(28)의 결합력이 증가되도록, 상기 제 1 홈(166)의 함몰 깊이 보다 상기 제 2 홈(167)의 함몰 깊이가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홈(166)의 함몰 깊이는 상기 제 2 결합부(286)의 돌출 두께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홈(166)에 위치한 제 2 결합부(286)가 상기 제 2 홈(167)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결합부(286)와 상기 제 2 홈(167)의 접촉 마찰력이 증가되어 상기 필터부(161)와 상기 배출 가이드(28)의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싸이클론 모듈(131)은 상기 실링 부재(150)가 결합되기 위한 실링 부재 결합부(1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 결합부(138)는 상기 싸이클론 바디(132)에서 상기 먼지 배출부(135)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실링 부재 결합부(138)는 상기 제 2 싸이클론 바디(13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 부재 결합부(138)는 상기 먼지 배출부(135) 보다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먼지 배출부(135)가 상기 실링 부재 결합부(138)를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실링 부재 결합부(138)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 결합부(138)의 하측에는 상기 실링 부재(150)가 끼워지는 실링 부재 끼움홈(13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150)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실링 부재(150)가 상기 실링 부재 끼움홈(139)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싸이클론 모듈(131)의 둘레를 깜싼다.
도 11과 같이 상기 가이드 유닛(160)의 필터부(161)가 상기 배출 가이드(28)에 결합되면, 상기 저장 유닛(170)의 접촉 리브(175)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의 실링 부재(150)의 하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촉 리브(175)가 상기 실링 부재(150)의 하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의 먼지 배출부(135)는 상기 접촉 리브(175)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150)와 상기 접촉 리브(175)의 접촉력이 증가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유닛(160)의 필터부(161)가 상기 배출 가이드(28)에 결합되면, 상기 저장 유닛(170)의 접촉 리브(175)가 상기 실링 부재(150)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접촉 리브(175)가 상기 실링 부재(150)와 접촉되면, 상기 가이드 유닛(160)의 내부의 공간이 상기 실링 부재(150)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된다.
이때, 상기 실링 부재(150)의 상부 공간은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에서 먼지 분리 과정을 거친 공기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의 공기 입구(143)로 안내되는 공간이고, 상기 실링 부재(150)의 하부 공간은 제 2 먼지 저장부(123) 내의 공간이다.
본 발명과 같이 상기 가이드 유닛(160)이 상기 필터부(161)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유닛(160)이 상기 본체(2)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의 먼지 배출부(135)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의 먼지 배출부(135)를 쉽게 청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필터부(161)의 청소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유닛(160)을 상기 본체(2)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의 외측에 구비되는 실링 부재(150)에 상기 가이드 유닛(160)의 내측에 위치되는 접촉 리브(175)가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1)의 내부 공간 또는 제 1 싸이클론부(110) 내부 공간 또는 상기 가이드 유닛(160)에서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로 공기가 안내되는 공간과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의 내부 공간 과의 실링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실링 유지에 의해서,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123)의 먼지가 비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유닛(160) 내부로 인입된 공기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의 싸이클론 바디(132)에 의해서 먼지 분리 과정을 거쳐지 않고 바로 공기 출구로 배출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기 위한 청소기의 횡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기 위한 청소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흡입 모터(2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흡입부(5)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와 먼지는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하면서 서로 분리된다.
공기와 분리된 먼지는 하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121)에 저장된다. 먼지와 분리된 공기는 상기 가이드 유닛(160)의 필터부(161)를 지난 후에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의 공기 입구(143)로 유동한다. 이때, 상기 필터부(161)의 메쉬부(164)의 상단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의 공기 입구(143) 보다 높게 위치된다. 즉,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의 공기 입구(143)는 상기 필터부(161)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쉬부(164)를 통과한 공기가 바로 상기 제 2 싸이클론부(130)의 공기 입구(143)로 유동할 수 있으므로, 공기의 유로가 짧아지고 이에 따라 유로 손실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싸이클론부(110)에서 먼지와 분리된 공기는 상기 필터부(161)의 메쉬부(164)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된 후에 상기 필터부(161)의 개구(162)를 통해 상기 필터부(161) 내부로 인입된다. 상기 필터부(161) 내부로 인입된 공기는 상기 안내 모듈(140)에 의해서 상기 싸이클론 모듈(131)로 안내되어 먼지 분리 과정이 재차 수행된다.
상기 싸이클론 모듈(131)에서 공기와 분리된 먼지는, 상기 먼지 배출부(135)를 통해 배출된 후 하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123)에 저장된다. 반면, 상기 싸이클론 모듈(131)에서 먼지와 분리된 공기는 상기 공기 출구(145)를 통해 상기 배출 가이드(28)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 가이드(28)로 배출된 공기는 상기 배출 가이드(28)를 따라 유동한 후에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7)을 통과한 후에 상기 유동 가이드(22) 내의 제1공기 유로(232)를 따라 상승한다. 그리고, 상기 제1공기 유로(232)의 공기는 상기 프리 필터(29)를 통과한다.
상기 프리 필터(29)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상부 모터 하우징(27) 내의 흡입 모터(20)를 통과한다. 공기는 상기 임펠러(200)에 의해서 상기 흡입 모터(20) 내부를 유동한 후에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8)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모터 하우징(28)으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2공기 유로(234)로 유동한다.
그리고, 상기 제2공기 유로(234)로 유동된 공기는 상기 필터 기구(50)를 지난 후에 상기 공기 배출구(52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본체에서 가이드 유닛이 분리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애완 동물을 키우는 경우에는 애완 동물의 털이 바닥에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애완 동물의 털이나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상기 청소기(1)를 통해 바닥에서 제거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먼지통(120) 내에서 애완 동물의 털이나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은 상기 가이드 유닛(160)의 둘레에 감기거나 상기 먼지통(120)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먼지통(120) 내에서 뭉쳐진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먼지통(120)의 바디 커버(16)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먼지통(120) 내의 먼지는 상기 먼지통(120)에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바디 커버(16)가 회전되더라도 애완 동물의 털이나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은 상기 먼지통(120) 내에 잔존할 수 있다.
이러한 잔존 이물질은, 상기 가이드 유닛(160)을 상기 본체(2)에서 분리하는 과정에서 제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6과 같이 상기 가이드 유닛(160)의 최상측에서 상기 청소부(169)가 상기 먼지통(120)의 내주면과 접촉하거나 상기 먼지통(120)의 내주면과 인접하게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유닛(160)을 상기 본체(2)에서 하방으로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먼지통(120) 내의 이물질이 상기 청소부(169)에 걸리게 된다. 상기 청소부(169)에 걸린 이물질은 상기 가이드 유닛(160)과 함께 상기 본체(2)에서 외부로 인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먼지통(120) 내의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직접 꺼내거나 상기 먼지통(120)의 내주면을 청소하는 과정 없이 상기 가이드 유닛(160)의 분리 과정에서 이물질을 상기 먼지통(120)에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21)

  1. 공기와 먼지를 안내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와 먼지를 분리시키는 제 1 싸이클론부와 상기 제 1 싸이클론부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시키는 제 2 싸이클론부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제 1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 1 먼지 저장부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 2 먼지 저장부를 구획하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유닛이 상기 본체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의 먼지 배출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를 형성하는 먼지통을 포함하고,
    상기 먼지통은 배출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배출 개구를 통하여 상기 먼지통의 하방으로 분리되는 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제 1 싸이클론부에서 먼지와 분리된 공기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공기를 필터링하며 상기 제 2 싸이클론부를 둘러싸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의 하측에 연결되며, 상기 먼지통 내에서 상기 제 2 먼지 저장부를 형성하는 저장 유닛을 포함하는 청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에는 실링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저장 유닛은 상기 실링 부재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 리브를 포함하는 청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싸이클론부는 상기 실링 부재가 결합되는 실링 부재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 부재 결합부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의 먼지 배출부가 관통하도록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에 배치되며,
    상기 실링 부재 결합부의 하측에는 상기 실링 부재가 끼워지는 실링 부재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 리브는 상기 실링 부재의 하면에 접촉하는 청소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부재 및 상기 접촉 리브 각각은 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접촉 리브가 상기 실링 부재의 하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의 먼지 배출부는 상기 접촉 리브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 위치되는 청소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유닛은, 상기 필터부와 결합되는 인너 바디와, 상기 인너 바디를 둘러싸는 아우터 바디를 포함하는 청소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의 먼지 배출부 및 상기 실링 부재는 상기 인너 바디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결합 리브는 상기 인너 바디에서 돌출되는 청소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바디와 상기 아우터 바디 사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실러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는 필터 바디와,
    상기 복수의 개구를 커버하는 메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의 공기 입구는 상기 필터부의 내측에 위치되는 청소기.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필터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청소부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부는, 상기 필터부에서 수평 방향 또는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청소부의 단부는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의 내주면에 접촉하거나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의 내주면과 인접하게 위치되는 청소기.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에서 배출된 공기를 안내하는 배출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배출 가이드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청소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가이드는 상기 필터부와 결합되기 위한 제 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 1 결합부와 결합되기 위한 제 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의 회전 동작에 의해서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의 결합이 완료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제 1 결합부가 수용되는 제 1 홈과, 상기 제 1 결합부가 상기 제 1 홈에 수용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홈에서 연장되는 제 2 홈을 포함하는 청소기.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먼지통의 내주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청소부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의 공기 입구는 상기 흡입부의 길이 방향 축 보다 낮게 위치되는 청소기.
  17. 공기와 먼지를 안내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와 먼지를 분리시키는 제 1 싸이클론부와 상기 제 1 싸이클론부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시키는 제 2 싸이클론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에 설치되는 실링 부재; 및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본체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본체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실링 부재에 접촉하는 접촉 리브를 포함하는 청소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이 상기 본체에서 분리되면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의 먼지 배출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청소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제 1 싸이클론부에서 일차적으로 먼지와 분리된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는 청소기.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에서 배출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 저장부를 형성하는 청소기.
  21. 공기와 먼지를 안내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와 먼지를 분리시키는 제 1 싸이클론부와 상기 제 1 싸이클론부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먼지를 분리시키는 제 2 싸이클론부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내에서 상기 제 1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 1 먼지 저장부와, 상기 제 2 싸이클론부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 2 먼지 저장부를 구획하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제 1 먼지 저장부의 내주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청소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PCT/KR2017/009059 2016-08-25 2017-08-18 청소기 WO2018038473A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207781.2A EP3984427A1 (en) 2016-08-25 2017-08-18 Cyclonic vacuum cleaner
CN202110613372.1A CN113331728B (zh) 2016-08-25 2017-08-18 真空吸尘器
JP2019527112A JP6723455B2 (ja) 2016-08-25 2017-08-18 掃除機
EP17843893.3A EP3505033B1 (en) 2016-08-25 2017-08-18 Vacuum cleaner
US16/328,108 US11064855B2 (en) 2016-08-25 2017-08-18 Cleaner
CN201780051597.4A CN109640767B (zh) 2016-08-25 2017-08-18 真空吸尘器
AU2017314625A AU2017314625B2 (en) 2016-08-25 2017-08-18 Vacuum
US17/350,559 US11751739B2 (en) 2016-08-25 2021-06-17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314 2016-08-25
KR20160108314 2016-08-25
KR10-2017-0046657 2017-04-11
KR1020170046657A KR102306705B1 (ko) 2016-08-25 2017-04-11 청소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6/328,108 A-371-Of-International US11064855B2 (en) 2016-08-25 2017-08-18 Cleaner
US17/350,559 Continuation US11751739B2 (en) 2016-08-25 2021-06-17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8473A1 true WO2018038473A1 (ko) 2018-03-01

Family

ID=61245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9059 WO2018038473A1 (ko) 2016-08-25 2017-08-18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803847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536335A (ja) * 2018-09-14 2021-12-2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Lg Electronics Inc. 掃除機
CN114383210A (zh) * 2018-03-07 2022-04-22 Lg电子株式会社 空气调节设备
US11523721B2 (en) 2018-09-14 2022-12-13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6208A (ko) * 2006-07-18 2009-03-11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핸드헬드 청소기
JP2014171669A (ja) * 2013-03-08 2014-09-22 Toshiba Corp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KR20150094123A (ko) * 2014-02-10 201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기
KR101622726B1 (ko) * 2014-09-30 2016-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 청소기
KR20160099730A (ko) * 2011-12-22 2016-08-22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사이클론 분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6208A (ko) * 2006-07-18 2009-03-11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핸드헬드 청소기
KR20160099730A (ko) * 2011-12-22 2016-08-22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사이클론 분리 장치
JP2014171669A (ja) * 2013-03-08 2014-09-22 Toshiba Corp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KR20150094123A (ko) * 2014-02-10 201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기
KR101622726B1 (ko) * 2014-09-30 2016-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 청소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505033A4 *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83210A (zh) * 2018-03-07 2022-04-22 Lg电子株式会社 空气调节设备
US11969682B2 (en) 2018-03-07 2024-04-30 Lg Electronics Inc.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2021536335A (ja) * 2018-09-14 2021-12-2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Lg Electronics Inc. 掃除機
JP7171899B2 (ja) 2018-09-14 2022-11-15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掃除機
US11523721B2 (en) 2018-09-14 2022-12-13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11672394B2 (en) 2018-09-14 2023-06-13 Lg Electronics Inc. Cleaner
US11717123B2 (en) 2018-09-14 2023-08-08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US11944258B2 (en) 2018-09-14 2024-04-02 Lg Electronics Inc. Filter and vacuum canister clea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71500A1 (ko) 청소기
WO2017171501A1 (ko) 청소기
WO2017171496A1 (ko) 청소기
WO2022005013A1 (ko)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WO2016114523A1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WO2019146923A1 (ko) 청소기
WO2017171495A1 (ko) 청소기
WO2020027452A1 (ko) 청소기의 거치대 및 청소기 유닛
WO2017191982A1 (ko) 진공 청소기
WO2020184874A1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cleaner having the same
WO2018038351A1 (ko) 집진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 청소기
WO2018038473A1 (ko) 청소기
WO2020246740A2 (ko) 청소기
WO2018074852A1 (ko) 로봇 청소기
WO2018038360A1 (ko) 청소기
WO2017191983A1 (ko) 진공 청소기
WO2017034199A1 (en) Robot cleaner
WO2021080166A1 (ko) 블렌더
WO2018038365A1 (ko) 청소기
EP3849390A1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cleaner having the same
WO2017191984A1 (ko) 진공 청소기
WO2018128371A1 (ko) 핸디-스틱형 진공청소기
WO2022065906A1 (ko) 청소기
WO2021235897A1 (ko) 청소기
WO2018062671A1 (ko) 진공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438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314625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170818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527112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8438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