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3907A - 강도가 증가된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 - Google Patents

강도가 증가된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3907A
KR20150093907A KR1020140014409A KR20140014409A KR20150093907A KR 20150093907 A KR20150093907 A KR 20150093907A KR 1020140014409 A KR1020140014409 A KR 1020140014409A KR 20140014409 A KR20140014409 A KR 20140014409A KR 20150093907 A KR20150093907 A KR 20150093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ated carbon
adsorbent
oral administration
present
increased str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4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4201B1 (ko
Inventor
강세연
성은진
송세현
손세일
이홍우
박찬수
남우근
이진구
Original Assignee
대원제약주식회사
주식회사 퓨어스피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제약주식회사, 주식회사 퓨어스피어 filed Critical 대원제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4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201B1/ko
Priority to PCT/KR2014/009103 priority patent/WO2015119352A1/ko
Priority to CN201480075093.2A priority patent/CN106029218B/zh
Priority to JP2016549559A priority patent/JP6386571B2/ja
Publication of KR20150093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3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2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44Elemental carbon, e.g. charcoal, carbon bl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41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 A61K9/143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with inorganic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1Other properties, e.g. density, crush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69Pore volume, e.g. total pore volume, mesopore volume, micropore volume
    • B01J20/28071Pore volume, e.g. total pore volume, mesopore volume, micropore volume being less than 0.5 ml/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78Pore diame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78Pore diameter
    • B01J20/28083Pore diameter being in the range 2-50 nm, i.e. mesop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78Pore diameter
    • B01J20/28085Pore diameter being more than 50 nm, i.e. macropo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강도가 증가된 다공성 활성탄소로 이루어진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형 퓨란수지를 탄소원으로 하는 다공성 활성탄소로 이루어진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는 종래 당업계에서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사실에 입각하여 환자의 생체 내에 존재하는 요독물질 중 하나인 인돌흡착력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요독물질에 대한 선택흡착률을 최대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강도가 증가된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MEDICINAL ADSORBENT FOR ORAL ADMINISTRATION WITH INCREASED STRENGTH}
본 발명은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강도가 증가된 다공성 활성탄소로 이루어진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에 관한 것이다.
신기능이나 간기능의 결손 환자들은 그들의 장기 기능장애에 수반하여 혈액 중 등의 체내에 유해한 독성물질이 축적되거나 생성되므로, 요독증이나 의식장애 등의 뇌증을 야기한다. 이들 환자 수는 해마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이들 결손장기를 대신하여 독성물질을 체외로 제거하는 기능을 가진 장기 대용 기기 또는 치료약의 개발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현재 인공신장으로는 혈액 투석에 의한 유독물질의 제거 방식이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혈액 투석형 인공신장에서는 특수한 장치를 이용하기 때문에 안전관리상 전문 기술자를 필요로 하며, 혈액의 체외 추출에 의한 환자의 육체적, 정신적 및 경제적 부담이 높은 등 결점을 가지고 있어 반드시 만족할 만한 것은 아니다.
이들 결점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경구 복용이 가능하고, 신장이나 간장의 기능 장애를 치료할 수 있는 경구 흡착제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표면개질 구형상 활성탄소로 된 경구 흡착제는 일반적으로 상부 소장관 내에서의 체류시간이 3~5시간 정도이다. 따라서, 유해물질과 접촉한 후 약 3시간 내에서의 흡착능력이 높고, 초기 흡착성능이 우수한 표면개질 구형 활성탄소가 바람직하다.
덧붙여 생체 내의 독성물질을 대량으로 신속하게 흡착 및 제거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유독물질에 대해서는 뛰어난 흡착성을 나타내고, 장내 유익성분의 흡착은 적은 선택흡착률도 중요하다. 위, 소장 등의 소화관에는 당, 단백질 등의 생리기능에 불가결한 화합물 및 장벽으로부터 분비되는 효소 등 여러가지 물질이 혼재하는 환경이다. 그 때문에 생리기능에 불가결한 화합물의 흡착을 억제하면서 요독증의 원인물질을 흡착하는 선택흡착률을 갖는 약용 활성탄소가 요구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32320호에는 경구 투여용 흡착제에 관한 발명으로서 20~15000nm의 기공용적이 0.04mL/g 이상 0.10mL/g 미만의 특정범위에서 선택흡착률이 높은 경구 투여용 흡착제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39592호에는 경구 흡착제가 흡착하는 유해물질의 양은 7.5~15000nm의 기공용적이 0.25mL/g 이상의 영역에서 증가하며, 비표면적의 증가와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는다고 기재되어 있다.
이는 종래 경구 투여용 흡착제가 주로 석유계 피치를 탄소원으로 하기 때문이며, 상기 선행문헌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더욱 세밀하고 효과적인 선택흡착률을 가진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의 개발이 어려워진다.
특히, 종래에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로서 알려져 있는 제품은 산제로 복용토록 되어 있는데, 종래의 다공성 활성탄소의 경우, 압축강도가 현저히 낮기 때문에, 고형의 단위 제형으로 제제화 하려는 경우, 예를 들면, 캡슐에 충전시키는 경우에는, 충전과정에서 활성탄소가 부서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지금까지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택흡착률 및 특정한 요독물질(예를 들면, 인돌화합물)에 대한 흡착력의 증가에만 초점을 맞추어 기술개발이 행해져 왔기 때문에, 주로 활성탄소의 미세기공의 직경 및 용적, 비표면적, 또는 굴절률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을 뿐, 이로 인해서 구형 활성탄소 자체의 압축강도가 현저히 낮아진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를 개선하려는 시도는 없었다.
그런데, 경구 흡착제는 1회 복용량이 수 g에 육박하므로, 이를 산제로 복용하는 경우, 구토 등의 투약 불편이 유발되는 경우가 많고, 이 때문에, 실제의 투약현장에서는 오브라이트 등의 보조수단을 이용한 투여가 이루어지는 실정이다.
따라서, 투약 편의성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는 단위 고형제제에 대한 필요성이 크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활성탄소 자체의 압축강도가 낮기 때문에 지금까지 실현된 것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에 관하여 연구하던 중,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가 종래기술의 상식과 한계를 뛰어넘어 새롭게 개발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달성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는 선택흡착률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인돌흡착력의 증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 선택흡착률을 증가시키면서도 인돌흡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수단에 대해서는 그 어떠한 보고도 없음에 착안하여, 선택흡착률 및 인돌흡착력의 양방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신규의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를 제공한다. 또한, 이와 같은 선택흡착률의 증가 및 인돌 흡착력의 증가와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다공성 활성탄소는 종래에 알려진 구형 활성탄소에 비하여 매우 높은 강도를 지니고 있고, 이로 인해서 산제로 투여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캡슐에 충전하여 경구 투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2004-0032320호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2005-0039592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강도가 증가된 다공성 활성탄소로 이루어진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도가 증가된 다공성 활성탄소로 이루어진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강도가 증가된 다공성 활성탄소로 이루어진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는 종래 당업계에서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사실에 입각하여 인돌흡착력 및 인돌흡착속도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동시에 요독물질에 대한 선택흡착률을 최대화 할 수 있다. 또한, 10N/sphere이상의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제조의 수율이 높아질 뿐 아니라, 제조 및 유통 과정 중 활성탄소의 형상이 부서지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또한, 강도를 높임으로써, 정전기 방지를 억제할 수 있어, 제조 공정중에 발생하는 이물로 인한 구형활성탄소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시판 제제의 경우 복용시 정전기 발생으로 인해 구형활성탄소가 달라붙어 복용시 불편함을 초래하는 반면, 본원발명의 구형 활성탄소는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여 복용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강도가 증가된 다공성 활성탄소로 이루어진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도가 증가된 다공성 활성탄소는 평균입경이 0.1 내지 0.5mm,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4mm 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강도가 증가된 다공성 활성탄소는 기공직경 7.5~15000nm의 기공용적이 0.01mL/g 이상 0.10mL/g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0.03mL/g 이상 0.08mL/g 미만인 것이 좋다.
이에 대하여,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2005-0039592호에는 평균 입자경이 0.01 내지 1mm이고, 기공직경 7.5~15000nm의 기공용적이 0.25 내지 1.0mL/g인 표면개질 구형 활성탄소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 투여용 흡착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는 경구 흡착제의 흡착능, 즉, 경구 흡착제가 흡착하는 유해물질의 양은 상기의 기공용적이 0.25mL/g 이상의 영역에서 증가하며, 비표면적의 증가와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으며, 선택흡착률 보다는 유해물질의 흡착량을 증가시키는 것에 주목한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위 문헌에 기재된 바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강도가 증가된 다공성 활성탄소로 이루어진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의 경우, 기공직경 7.5~15000nm의 기공용적이 0.01mL/g 이상 0.10mL/g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0.03mL/g 이상 0.08mL/g 미만에서 인돌흡착력 및 인돌흡착속도가 증가한다는 지견을 얻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형 퓨란수지를 탄소원으로 하는 다공성 활성탄소로 이루어진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는 기공직경 7.5~15000nm의 기공용적이 0.01mL/g 이상 0.10mL/g의 범위에서 요독물질인 인돌의 흡착을 최대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도가 증가된 다공성 활성탄소는 기공직경 20~15000nm의 기공용적이 0.005mL/g 이상 0.04mL/g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0.01mL/g 이상 0.03mL/g 미만이 좋다.
이에 대하여,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2004-0032320호에는 직경이 0.01 내지 1mm이고, 기공직경 20~15000nm의 기공용적이 0.04mL/g 이상 0.10mL/g 미만인 다공성 구형 탄소질물질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 투여용 흡착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서는 기공직경 20~15000nm의 기공용적이 0.04mL/g 이상 0.10mL/g 미만인 범위 내에서 우수한 선택흡착률을 나타내고, 상기의 기공용적이 0.05mL/g 이상 0.10mL/g 미만인 범위 내에서 한층 우수한 선택흡착률을 나타낸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강도가 증가된 다공성 활성탄소로 이루어진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의 경우, 기공직경 20~15000nm의 기공용적이 0.005mL/g 이상 0.04mL/g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0.01mL/g 이상 0.03mL/g 미만에서 선택흡착률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강도가 증가된 다공성 활성탄소로 이루어진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는, 종래의 기술상식과는 달리, 기공직경 7.5~15000nm의 기공용적이 0.01mL/g 이상 0.10mL/g이고, 기공직경 20~15000nm의 기공용적이 0.005mL/g 이상 0.04mL/g 미만을 만족할 때, 선택흡착률이 증가함과 아울러 인돌흡착력 및 흡착속도도 동시에 증가한다는 새로운 사실이 확인되어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강도가 증가된 다공성 활성탄소라 함은, 최소한 10N/sphere 이상의 압축강도를 갖는 다공성 활성탄소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공성 활성탄소의 강도는 종래의 활성탄소의 강도와 대비하여 최소 2배~최대 10배 이상의 강도를 지닌다. 본 발명의 강도가 증가된 다공성 활성탄소는 퓨란수지를 탄소원으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도가 증가된 다공성 활성탄소는 염기소비량이 0.1~1.0mmol/g이며, 산소비량이 0.3~1.0mmol/g으로 할 수 있다.
종합하면, 본 발명의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는 기공직경 7.5~15000nm의 기공용적이 0.01mL/g 이상 0.10mL/g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0.03mL/g 이상 0.08mL/g 미만이고, 기공직경 20~15000nm의 기공용적이 0.005mL/g 이상 0.04mL/g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0.01mL/g 이상 0.03mL/g 미만이고, 압축강도가 10N/sphere 이상인 경우 최적화된 요독물질 제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는 선택흡착률이 3.0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는 인돌 초기흡착률이 80% 이상이다.
본 발명의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는 만성 신부전, 급성 신부전, 만성 신우신염, 급성 신우신염, 만성 신염, 급성 신염증후군, 급성진행형 신염증후군, 만성 신염 증후군, 네프로제증후군, 간질성 신염, 리포이드 네프로제, 당뇨병성 신증, 신혈관성 고혈압, 또는 투석전의 경도신부전, 만성 간염, 알코올성 간염, 간선유증, 간경변, 약제알레르기성 간장애 또는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의 요독물질의 흡착으로 인하여 개선 또는 치료될 수 있는 질병이라면 특별히 상기 질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경구 투여형 흡착제로서 사용하는 표면개질 구형 활성탄소가 갖는 각 물성값, 즉, 평균 입자경, 비표면적, 기공용적, 산소비량, 염기소비량, 선택흡착률 및 강도는 하기 방법에 의해 측정한다.
(1) 평균 입자경
레이저 회절식 입도분포 입도 측정장치(Sympatec사제 HELOS Particle Size Analysis)를 사용하여 체적기준의 입도누적선도를 작성하고, Volume Mean Diameter(VMD)에 해당하는 입자경을 평균 입자경으로 하였다.
(2) 비표면적(BET법에 의한 계산법)
가스흡착법에 의한 비표면적 측정기(MICROMERITICS사제 ASAP 2420)를 사용하여 구형 활성탄소의 가스흡착량을 측정하고, BET식에 의해 비표면적을 계산하였다.
구체적으로, 구형 활성탄소를 시료관에 충전하여 300℃에서 감압 건조한 후에 중량을 측정하였다. 시료관을 -196℃로 냉각하고, 질소를 도입하여 구형 활성탄소에 질소를 흡착시키고, 질소분압과 흡착량의 관계(흡착등온선)를 측정하였다. 시료관을 실온으로 하고, 구형 활성탄소로부터 이탈된 질소량을 열전도도형 검출기로 측정하여 가스흡착량(v)으로 하였다.
BET식으로부터 유도된 근사식
Figure pat00001
을 사용하여 액체질소 온도에 있어서의 질소흡착에 의한 1점법(상대압력 x=0.3)에 의해 vm(m2/g)을 구하고,
다음식
Figure pat00002
에 의해 구형 활성탄소의 비표면적을 계산하였다. 상기의 각 계산식에서 v는 실측되는 가스흡착량(m2/g)이고, x는 상대압력이다.
(3) 수은 압입법에 의한 기공용적
수은 기공측정기(porosimeter)(MICROMERITICS사제 AUTOPORE IV 9500)를 사용하여 기공용적을 측정하였다. 구형 활성탄소를 시료용기에 넣고 30분간 탈기하였다. 수은을 시료용기 내에 도입하고 서서히 가압하여 수은을 구형 활성탄소의 기공으로 압입하였다. 이 때의 압력과 수은의 압입량 관계로부터 이하의 각 계산식을 사용하여 구형 활성탄소 시료의 기공용적 분포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최저압력 0.5psia에서부터 최고압력 61,000psia까지의 범위 내에서 구형 활성탄소에 압입된 수은의 체적을 측정하였다. 기공직경의 산출은 직경(D)의 원통형 기공에 수은을 압력(P)으로 압입하는 경우, 수은의 표면장력을 『γ』로 하고 수은과 기공벽과의 접촉각을 『θ』로 하면, 표면장력과 기공단면에 작용하는 압력의 균형으로부터 다음식 -πDγcosθ=π(D/2)2×P가 성립된다. 따라서, D=(-4γcosθ)/P가 된다.
수은의 표면장력을 485dynes/cm로 하고, 수은과 탄소의 접촉각을 130°로 하며, 압력 P를 psia로 하고, 기공직경 D를 ㎛로 표시하여, 다음식 D=180.8/P에 의해 압력 P와 기공직경 D의 관계를 구하였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있어서 기공직경 7.5~15000nm 범위의 기공용적이란, 수은 압입압 12.05psia 에서 24106.6psia까지 압입된 수은의 체적에 상당한다.
(4) 산소비량
구형 활성탄소 1.0g을 100mL 플라스크에 취한 후, 산소비량용 염산시액 50mL를 넣어 37±1℃에서 24시간 진탕기로 진탕하였다. 실온에서 플라스크의 내용물을 여과한 후, 상기 용액 20mL를 취하여 검액으로 하여, 0.1mol/L 수산화칼륨용액으로 적정하였다. (지시약: 브롬페놀블루시액 2방울) 같은 방법으로 공시험을 하여 보정하였다. 다음식에 의하여 산소비량을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3
A: 검액의 0.1mol/L 수산화칼륨 소비량(mL)
B: 공시험액의 0.1mol/L 수산화칼륨 소비량(mL)
C: 검체의 양(g)
f: 0.1mol/L 수산화칼륨의 factor
(5) 염기소비량
구형 활성탄소 1.0g을 100mL 플라스크에 취한 후, 염기소비량용 염산시액 50mL를 넣어 37±1℃에서 24시간 진탕기로 진탕하였다. 실온에서 플라스크의 내용물을 여과한 후, 상기 용액 20mL를 취하여 검액으로 하여, 0.1mol/L 염산으로 적정하였다. (지시약: 페놀프탈레인시액 2방울) 같은 방법으로 공시험을 하여 보정하였다. 다음식에 의하여 염기소비량을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4
A: 검액의 0.1mol/L 염산 소비량(mL)
B: 공시험액의 0.1mol/L 염산 소비량(mL)
C: 검체의 양(g)
f: 0.1mol/L 염산의 factor
(6) 선택흡착률
선택흡착률은 하기와 같이 계산된다.
Figure pat00005
건조시킨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구형 활성탄소 2.5g을 100mL 플라스크에 취한 뒤, DL-β-아미노이소뷰틸릭산 100mg/L 농도의 pH 7.4 인산염완충액 50mL(원액)을 넣고, 37±1℃에서 200rpm으로 3시간 진탕하였다. 플라스크 내용물을 여과한 후 검액으로 하고, 일본약전 일반시험법 유기체 탄소시험법에 따라 유기체탄소를 측정한 뒤, 다음식에 의하여 DL-β-아미노이소뷰틸릭산의 잔존농도를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6
Tt: 검액의 유기체 탄소량
Ts: 표준액(원액)의 유기체 탄소량
건조시킨 구형 활성탄소 2.5g을 100mL 플라스크에 취한 뒤, α-아밀라아제 100mg/L 농도의 pH 7.4 인산염완충액 50mL(원액)을 넣고, 37±1℃에서 200rpm으로 3시간 진탕하였다. 플라스크 내용물을 0.65㎛ 멤브레인필터로 여과하여 검액으로 하고 pH 7.4 인산염완충액을 대조로 하여, 자외가시부 흡광도 측정법에 따라 파장 282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한 뒤, 다음식에 의하여 α-아밀라아제의 잔존농도를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7
At: 검액의 흡광도
As: 표준액(원액)의 흡광도
(7) 강도측정
다공성 활성탄소의 강도는 압축강도기(Digitech사제 AFK-500TE)를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측정하고자 하는 구형 활성탄소 시료 1알을 압축강도기 Tip의 중간에 오도록 위치시킨 후, 압축강도기를 20mm/min의 속도로 하강시켜 최초 구형 활성탄소가 파괴되는 강도를 압축강도 값으로 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구형활성탄소 시료 22알을 각각 측정한 후,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20알의 값을 평균으로 하여 압축강도 값을 구하였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구형 퓨란수지(주식회사퓨어스피어제) 100g을 금속제 시료용기(내용량 1.5L)에 수용한 후, 전기로를 사용하여 질소가스 하에서 500℃의 온도로 1시간 가열하여 탄화시켰다. 구형 퓨란수지 탄화물을 로터리식 외열로를 사용하여 수증기 하에서 900℃의 온도로 140분 가열하여 활성화시킴으로써 구형 활성탄소를 제조하였다. 구형 활성탄소를 로터리식 외열로를 사용하여 산소농도를 3vol%로 조정한 산소-질소 혼합기체 하에서 470℃의 온도로 5시간 산화처리한 후, 질소가스 하에서 900℃의 온도로 15분간 환원처리를 진행하여, 다공성 구형 활성탄소를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의 수증기 활성화 시간을 160분으로 진행하였으며, 그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수증기 활성화 시간을 180분으로 진행하였으며, 그 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수증기 활성화 시간을 180분, 탄화온도를 450℃에서 1시간 진행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구형 퓨란수지 100g을 금속제 시료용기(내용량 1.5L)에 수용한 후, 전기로를 사용하여 질소가스 하에서 400℃의 온도로 1시간 가열하여 탄화시켰다. 구형 퓨란수지 탄화물을 로터리식 외열로를 사용하여 수증기 하에서 900℃의 온도로 180분 가열하여 활성화시킴으로써 구형 활성탄소를 제조하였다. 구형 활성탄소를 로터리식 외열로를 사용하여 산소농도를 3vol%로 조정한 산소-질소 혼합기체 하에서 470℃의 온도로 5시간 산화처리한 후, 질소가스 하에서 900℃의 온도로 15분간 환원처리를 진행하여, 다공성 구형 활성탄소를 얻었다.
비교예 2
구형 페놀수지 100g을 금속제 시료용기(내용량 1.5L)에 수용한 후, 전기로를 사용하여 질소가스 하에서 450℃의 온도로 1시간 가열하여 탄화시켰다. 구형 페놀수지 탄화물을 로터리식 외열로를 사용하여 수증기 하에서 900℃의 온도로 180분 가열하여 활성화시킴으로써 구형 활성탄소를 제조하였다. 구형 활성탄소를 로터리식 외열로를 사용하여 산소농도를 3vol%로 조정한 산소-질소 혼합기체 하에서 470℃의 온도로 5시간 산화처리한 후, 질소가스 하에서 900℃의 온도로 15분간 환원처리를 진행하여, 다공성 구형 활성탄소를 얻었다.
실험예: 선택흡착률, 인돌흡착력 및 인돌흡착속도
실시예와 비교예의 인돌흡착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인돌이 1.0mg/mL 농도로 포함된 pH 7.4 인산염완충액 900mL에 다공성 구형 활성탄소 300mg을 투입하고, 회전수 100rpm에서 3시간 동안 용출시험(용출기 Agilent사제 708-DS)을 실시하였다. 또한, 선택흡착률은, DL-β-아미노이소뷰틸릭산 제거와 α-아밀라제 제거능에 대한 비교로 계산하였다. 인돌흡착속도는 하기와 같이 구해지는 인돌 초기흡착률(%)로 나타냈다.
Figure pat00008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 및 종래 시판품인 크레메진에 대한 실험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항목 크레메진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표면적(m2/g) 1673 1670 1652 1650 1671 1710 1760
기공용적(mL/g) 20~15000nm 0.063 0.042 0.081 0.007 0.018 0.025 0.033
7.5~15000nm 0.125 0.104 0.112 0.026 0.047 0.064 0.078
평균입경(mm) 0.349 0.353 0.331 0.355 0.363 0.356 0.361
염기소비량(mmol/g) 0.48 0.11 0.42 0.44 0.41 0.40 0.43
산소비량(mmol/g) 0.56 0.66 0.6 0.71 0.62 0.53 0.61
α-아밀라제의 잔존농도(mg/L) 88.2 88.3 90 95.4 93.2 96.7 93.5
DL-β-아미노이소뷰틸릭산의 잔존농도(mg/L) 69.8 73.2 87.5 69.3 70.7 70.8 71.1
선택흡착률 2.56 2.29 1.25 6.67 4.31 8.84 4.45
인돌흡착력(mg/g) 720 717 705 725 730 755 760
인돌 초기흡착률(%) 75.28 75.07 76.31 82.15 82.74 83.84 85.70
압축강도(N/sphere) 2.7 8.7 1.5 15.2 14.1 12.3 11.6
위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공용적 요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크레메진 및 비교예 1~2는 선택흡착률 및 인돌흡착력의 양방을 동시에 만족시키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피치를 탄소원으로 하는 크레메진 및 페놀 수지를 탄소원으로 하는 비교예 2는 다공성 활성탄소의 압축강도가 현저히 떨어지므로 고형 단위 제형, 예를 들면, 캡슐에 충전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6)

  1. 강도가 증가된 다공성 활성탄소로 이루어진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가 증가된 다공성 활성탄소의 기공직경 7.5~15000nm의 기공용적이 0.01mL/g 이상 0.10mL/g 미만이며, 기공직경 20~15000nm의 기공용적이 0.005mL/g 이상 0.04mL/g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가 증가된 다공성 활성탄소의 기공직경 7.5~15000nm의 기공용적이 0.03mL/g 이상 0.08mL/g 미만이며, 기공직경 20~15000nm의 기공용적이 0.01mL/g 이상 0.03mL/g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가 증가된 다공성 활성탄소의 선택흡착률이 3.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가 증가된 다공성 활성탄소의 인돌 초기흡착률이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가 증가된 다공성 활성탄소는 10N/sphere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
KR1020140014409A 2014-02-07 2014-02-07 강도가 증가된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 KR101924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409A KR101924201B1 (ko) 2014-02-07 2014-02-07 강도가 증가된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
PCT/KR2014/009103 WO2015119352A1 (ko) 2014-02-07 2014-09-29 강도가 증가된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
CN201480075093.2A CN106029218B (zh) 2014-02-07 2014-09-29 强度增加的口服型医药用吸附剂
JP2016549559A JP6386571B2 (ja) 2014-02-07 2014-09-29 強度の増加された経口投与型医薬用吸着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409A KR101924201B1 (ko) 2014-02-07 2014-02-07 강도가 증가된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907A true KR20150093907A (ko) 2015-08-19
KR101924201B1 KR101924201B1 (ko) 2018-12-03

Family

ID=53778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4409A KR101924201B1 (ko) 2014-02-07 2014-02-07 강도가 증가된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86571B2 (ko)
KR (1) KR101924201B1 (ko)
CN (1) CN106029218B (ko)
WO (1) WO20151193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05981B (zh) * 2019-06-03 2024-02-20 三和淀粉工业株式会社 球状碳粒子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9010A (en) * 1977-12-27 1979-07-14 Kureha Chem Ind Co Ltd Spherical activated charcoal antidote
TWI341732B (en) * 2002-11-01 2011-05-11 Kureha Corp Adsorbent for oral administration,agent for treating or preventing renal disease, and
CN1615908B (zh) * 2003-10-22 2011-09-28 株式会社吴羽 口服给药用吸附剂、以及肾病治疗或预防剂、和肝病治疗或预防剂
TWI385120B (zh) * 2004-04-02 2013-02-11 Kureha Corp 球狀活性碳之製造方法
TWI370012B (en) * 2004-04-02 2012-08-11 Kureha Corp Adsorbent for oral administration, and agent for treating or preventing renal or liver disease
JP4268672B1 (ja) * 2008-07-04 2009-05-27 旭有機材工業株式会社 経口投与用吸着剤
JP5376592B2 (ja) * 2009-10-15 2013-12-25 産協企業有限股▲ふん▼公司 球形活性炭及びその製造方法
JP5984352B2 (ja) * 2010-10-12 2016-09-06 フタムラ化学株式会社 経口投与用医薬用吸着剤の製造方法
EP2684561B1 (en) * 2011-03-04 2022-09-14 Kureha Corporation Tablet-type composition for oral administra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013035781A (ja) * 2011-08-08 2013-02-21 Asahi Organic Chemicals Industry Co Ltd 経口投与用吸着剤及びそれを用いた薬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29218B (zh) 2020-02-21
KR101924201B1 (ko) 2018-12-03
CN106029218A (zh) 2016-10-12
JP6386571B2 (ja) 2018-09-05
WO2015119352A1 (ko) 2015-08-13
JP2017507126A (ja)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19985B (en) Adsorbent for oral administration, agent for treating or preventing renal disease, and agent for treating or preventing liver disease
JP5144965B2 (ja) 医療用吸着剤
TWI507200B (zh) Pharmaceutical adsorben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U2012319495B2 (en) Orally administered adsorbent
US20090181095A1 (en) Oxidative stress inhibitor
JP4666467B2 (ja) 活性炭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腎肝疾患治療薬
JP4693030B2 (ja) 活性炭の製造方法
KR101858418B1 (ko) 경구 투여용 흡착제 및 신장 질환 치료제 및 간 질환 치료제
KR20150113207A (ko) 경구 투여용 흡착제와 신장 질환 치료제 및 간 질환 치료제
KR101924201B1 (ko) 강도가 증가된 경구 투여형 의약용 흡착제
KR101748413B1 (ko) 흡착탄 및 흡착제
JP5985027B2 (ja) 経口投与用医薬用吸着剤の製造方法
KR20180039768A (ko) 경구 투여용 흡착제와 신장 질환 치료제 및 간 질환 치료제
JP2019107642A (ja) 吸着剤の製造方法
JP2021161100A (ja) 経口投与用錠剤型吸着剤
WO2016046910A1 (ja) 経口吸着剤および経口吸着剤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