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3147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3147A
KR20150093147A KR1020157010286A KR20157010286A KR20150093147A KR 20150093147 A KR20150093147 A KR 20150093147A KR 1020157010286 A KR1020157010286 A KR 1020157010286A KR 20157010286 A KR20157010286 A KR 20157010286A KR 20150093147 A KR20150093147 A KR 20150093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display
surface portion
touch sensor
cover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0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까즈 다께우찌
히로유끼 야스다
겐고 난바
히로쯔구 다나까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3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31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06F1/165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the additional display being small, e.g. for presenting status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06F1/169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the I/O peripheral being a secondary touch screen used as control interface, e.g. virtual buttons or sli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9Touch strips, e.g. orthogonal touch strips to control cursor movement or scrolling; single touch strip to adjust parameter or to implement a row of soft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유저가 다양한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표시 장치(1)는, 장치 본체(20)와, 커버 유리(10)를 구비한다. 장치 본체(20)는, 주면(21)과, 제1 측면(22)과, 제2 측면(23)을 갖는다. 커버 유리(10)는, 전방면부(11)와, 제1 측면부(12)를 갖는다. 전방면부(11)는, 주면(21)을 덮는다. 제1 측면부(12)는, 제1 측면(22)을 덮는다. 장치 본체(20)는, 표시부(21a)와, 제2 터치 센서면(22a)을 갖는다. 표시부(21a)는, 주면(21)에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21a)는, 제1 터치 센서면을 구성하고 있다. 제2 터치 센서면(22a)은, 제1 측면(22)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측면부(12)의 적어도 전방면부(11)와의 접속부의 외표면이 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저가 다양한 입력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표시 장치로서,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주면에 표시 화면을 가짐과 함께, 복수의 측면에 터치 센서를 갖는 직사각형 판상의 표시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표시 장치에서는, 측면의 터치 센서 상을, 조작자의 손가락이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서 움직였을 때에 소정의 입력이 이루어진다.
WO 2010/007813 A1호 공보
최근, 유저가 보다 다양한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대한 요망이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유저가 다양한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장치 본체와, 커버 유리를 구비한다. 장치 본체는, 주면과, 제1 측면과, 제2 측면을 갖는다. 주면은, 서로 직교하는 제1 및 제2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제1 측면은, 주면의 제1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한다. 제2 측면은, 주면의 제1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한다. 커버 유리는, 전방면부와, 제1 측면부를 갖는다. 전방면부는, 주면을 덮는다. 제1 측면부는, 제1 측면을 덮는다. 장치 본체는, 표시부와, 제2 터치 센서면을 갖는다. 표시부는, 주면에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는, 제1 터치 센서면을 구성하고 있다. 제2 터치 센서면은, 제1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측면부의 적어도 전방면부와의 접속부의 외표면이 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전방면부 상에서 제1 측면부 상으로, 또는 제1 측면부 상에서 전방면부 상으로, 물체가 커버 유리에 접촉하면서 이동했을 때에, 제1 조작이 입력되는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제1 측면부 상을, 물체가 커버 유리에 접촉하면서 제2의 방향을 따라서 이동했을 때에, 제2 조작이 입력되는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물체가 제1 측면부의 일 영역에 접촉했을 때에, 제3 조작이 입력되는 것이어도 좋다.
제1 터치 센서면과 제2 터치 센서면이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전방면부와 제1 측면부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90° 이상이어도 좋다.
커버 유리는, 전방면부에 있어서 장치 본체와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는, 제2의 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복수의 표시 영역을 갖고 있어도 좋다. 그 경우, 복수의 표시 영역은, 각각, 제1 측면부 중, 당해 표시 영역의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물체를 접촉시킴으로써 조작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장치 본체는, 제2 측면에 위치하는 제3 터치 센서면을 더 갖고 있어도 좋다. 그 경우, 커버 유리는, 제2 측면을 덮는 제2 측면부를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측면부의 적어도 전방면부와의 접속부의 외표면이 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표시 장치는, 모바일 표시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저가 다양한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장치 본체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장치 본체의 모식적인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장치 본체의 모식적인 전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의 표시 형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전개도이다.
도 7은, 제1 변형예에 관한 표시 장치의 모식적인 측면도이다.
도 8은, 제2 변형예에 관한 표시 장치의 모식적인 측면도이다.
도 9는, 제3 변형예에 있어서의 장치 본체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한 바람직한 형태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 형태는, 단순한 예시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 형태에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 형태 등에 있어서 참조하는 각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한 부호로 참조하기로 한다. 또한, 실시 형태 등에 있어서 참조하는 도면은, 모식적으로 기재된 것이다. 도면에 묘화된 물체의 치수 비율 등은, 현실의 물체의 치수 비율 등과는 상이한 경우가 있다.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물체의 치수 비율 등이 상이한 경우가 있다. 구체적인 물체의 치수 비율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해서 판단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장치(1)의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표시 장치(1)는, 예를 들어 거치형의 표시 장치이어도 좋지만, 휴대 전화, 스마트폰,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태블릿 PC),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 등의 모바일 표시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 장치(1)는, 장치 본체(20)와, 커버 유리(10)를 구비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20)는, 판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장치 본체(20)는, 제1 주면(21)과, 제2 주면(26)과, 제1 내지 제4 측면(22 내지 25)을 갖는다. 제1 주면(21) 및 제2 주면(26)은, 서로 직교하는 x축 방향 및 y 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제1 주면(21) 및 제2 주면(26)은, 각각, 실질적으로 평면 형상이다. 제1 주면(21)과 제2 주면(26)은,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z축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다.
제1 측면(22)은, 주면(21, 26)의 x축 방향의 x1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측면(22)은, 제1 주면(21)과 제2 주면(26)을 접속하고 있다. 제2 측면(23)은, 주면(21, 26)의 x축 방향의 x2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측면(23)은, 제1 주면(21)과 제2 주면(26)을 접속하고 있다. 제3 측면(24)은, 주면(21, 26)의 y축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고 있는 한편, 제4 측면(25)은, 주면(21, 26)의 y축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3 측면(24) 및 제4 측면(25)은, 각각, 제1 주면(21)과 제2 주면(26)을 접속하고 있다.
제1 주면(21)에는, 문자나 화상 등을 표시시키는 표시부(21a)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21a)는, 제1 터치 센서면을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터치 센서면 」이란, 조작자의 손가락이나 터치펜 등의 물체가 접촉하는 것이 검지되는 면이다. 터치 센서면은, 정전 용량식, 감압식, 광학식 등의 터치 센서면이어도 좋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면(22)에는, 제2 터치 센서면(22a)이 설치되어 있다. 제2 터치 센서면(22a)은, 길이 방향이 y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가늘고 긴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제2 터치 센서면(22a)은, 길이 방향이 y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직사각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1 측면(22)의 제1 주면(21)과의 접속부의 외표면은 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기타의 부분의 외표면은 평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제1 측면(22)과 제1 주면(21)에 의해 구성되는 능선부는, 둥근 형상을 갖는다.
제2 측면(23)에는, 제3 터치 센서면(23a)이 설치되어 있다. 제3 터치 센서면(23a)은, 길이 방향이 y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가늘고 긴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제3 터치 센서면(23a)은, 길이 방향이 y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직사각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2 측면(23)의 제1 주면(21)과의 접속부의 외표면은 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기타의 부분의 외표면은 평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제2 측면(23)과 제1 주면(21)에 의해 구성되는 능선부는, 둥근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3 측면(24) 및 제4 측면(25)에는 터치 센서면이 설치되어 있지 않지만, 제3 및 제4의 측면에도 터치 센서면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20)의 제1 주면(21) 및 제1 측면(22) 및 제2 측면(23)은, 커버 유리(10)에 의해 덮여 있다. 커버 유리(10)는, 전방면부(11)와, 제1 측면부(12)와, 제2 측면부(13)를 갖는다. 전방면부(11) 및 제1 측면부(12) 및 제2의 측면부(13)는,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즉, 커버 유리(10)는, 1매의 유리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전방면부(11)는, 제1 주면(21)의 적어도 표시부(21a)가 설치된 영역을 덮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면부(11)는, 실질적으로 제1 주면(21)의 전체를 덮고 있다. 전방면부(11)는, 실질적으로 평판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전방면부(11)의 평면 형상은, x축 방향과 짧은 변이 평행하고, y축 방향과 긴 변이 평행한 직사각형이다.
전방면부(11)의 x축 방향의 x1 측단부에는, 제1 측면부(12)가 접속되어 있다. 제1 측면부(12)는, 장치 본체(20)의 제1 측면(22)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측면부(12)는, 실질적으로 제1 측면(22)의 전체를 덮고 있다. 제1 측면부(12)는, 굴곡부(12c)와, 평면부(12b)를 갖는다. 굴곡부(12c)는, 제1 측면부(12)의 전방면부(11)와의 접속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굴곡부(12c)의 외표면(장치 본체(20)와는 반대측의 표면)은, 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굴곡부(12c)의 외표면과 내표면의 각각이 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굴곡부(12c)의 내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평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평면부(12b)는, 굴곡부(12c)에 접속되어 있다. 평면부(12b)는, 제1 측면(22)의 z방향에 있어서의 z2 측단부에까지 이르고 있다.
전방면부(11)의 x축 방향의 x2 측단부에는, 제2 측면부(13)가 접속되어 있다. 제2 측면부(13)는, 장치 본체(20)의 제2 측면(23)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측면부(13)는, 실질적으로 제2 측면(23)의 전체를 덮고 있다. 제2 측면부(13)는, 굴곡부(13c)와, 평면부(13b)를 갖는다. 굴곡부(13c)는, 제2 측면부(13)의 전방면부(11)와의 접속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굴곡부(13c)의 외표면(장치 본체(20)와는 반대측의 표면)은, 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굴곡부(13c)의 외표면과 내표면의 각각이 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굴곡부(13c)의 내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평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커버 유리(10)는, 전방면부(11)에 있어서 장치 본체(20)와 고정되어 있고, 제1 측면부(12) 및 제2 측면부(13)는, 장치 본체(20)에 직접 고정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커버 유리(10)는, 전방면부(11)뿐만 아니라, 측면부(12, 13)에 있어서도 장치 본체(20)에 직접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전방면부(11)와 장치 본체(20)의 고정은, 예를 들어 접착제 등을 사용해서 행할 수 있다.
이어서, 표시 장치(1)의 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표시 장치(1)는, 제1 터치 센서면을 구성하고 있는 표시부(21a)를 터치 조작하는 것 외에, 제2 터치 센서면(22a) 및 제3 터치 센서면(23a)을 터치 조작함으로써도 조작 가능하다.
(제1 조작)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A1, A2와 같이, 전방면부(11) 상에서 제1 측면부(12) 상으로, 또는 제1 측면부(12) 상에서 전방면부(11) 상으로, 물체(조작자의 손가락이나, 터치펜 등)가 커버 유리(10)에 접촉하면서 이동했을 때에, 제1-1의 조작이 입력된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화살표 A3, A4와 같이, 전방면부(11) 상에서 제2 측면부(13) 상으로, 또는 제2 측면부(13) 상에서 전방면부(11) 상으로, 물체가 커버 유리(10)에 접촉하면서 이동했을 때에, 제1-2의 조작이 입력된다.
(제2 조작)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B1, B2와 같이, 제1 측면부(12) 상을, 물체가 커버 유리(10)에 접촉하면서 y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했을 때에, 제2-1의 조작이 입력된다. 화살표 B1과 같이 어느 물체가 이동함과 함께, 화살표 B2와 같이 다른 물체가 이동했을 때에는, 제2-2의 조작이 입력된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화살표 B3, B4와 같이, 제2 측면부(13) 상을, 물체가 커버 유리(10)에 접촉하면서 y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했을 때에, 제2-3의 조작이 입력된다. 화살표 B3과 같이 어느 물체가 이동함과 함께, 화살표 B4와 같이 다른 물체가 이동했을 때에는, 제2-4의 조작이 입력된다.
(제3 조작)
제1 측면부(12)의 일 영역에 물체가 접촉했을 때에, 제3-1의 조작이 입력된다.
마찬가지로, 제2 측면부(13)의 일 영역에 물체가 접촉했을 때에, 제3-2의 조작이 입력된다.
또한, 제1-1, 1-2, 2-1 내지 2-4, 3-1, 3-2의 조작은, 각각 동일한 종류의 조작이어도 좋고, 상이한 종류의 조작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제1-1, 제1-2의 조작은, 표시부(21a)에 표시된 화상의 x축 방향의 스크롤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제2-1, 2-3의 조작은, 표시부(21a)에 표시된 화상의 y축 방향의 스크롤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제2-2, 2-4의 조작은, 표시부(21a)에 표시된 화상의 배율 변경(확대 또는 축소)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제3-1, 3-2의 조작은, 표시부(21a)에 표시된 화면의 전환이어도 좋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에서는, 측면부는 평판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표시 장치에는, 박형화의 요망이 강하기 때문에, 측면부는, 협폭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측면에 터치 센서면이 설치되어 있었다고 해도,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서 물체를 이동시키는 조작과, 일 영역에 물체를 접촉시키는 조작의, 크게 구별해서 2종류의 조작밖에 행할 수 없다. 협폭인 측면부 상을 두께 방향을 따라서 물체를 이동시키는 조작을 행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것에 대하여, 표시 장치(1)에서는, 제1 측면부(12)의 적어도 전방면부(11)와의 접속부인 굴곡부(12c)의 외표면이 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전방면부(11) 상에서 제1 측면부(12) 상으로 물체를 매끄럽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화살표 A1이나 화살표 A2와 같이 물체를 이동시키는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에서는, 제2 조작 및 제3의 조작 외에, 제1-1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의 유저는, 표시 장치(1)에 대하여 3종류 이상의 다양한 입력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에서는, 제2 측면부(13)의 적어도 전방면부(11)와의 접속부인 굴곡부(13c)의 외표면이 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화살표 A3이나 화살표 A4와 같이 물체를 이동시키는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2의 조작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의 유저는, 보다 다양한 입력 조작을 표시 장치(1)에 대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측면부(12, 13)를 조작할 경우, 표시부(21a)에 표시된 화상이 물체에 의해 은폐되기 어렵다. 이로 인해, 표시 장치(1)와 같이, 측면부(12, 13)에 있어서의 입력 조작을 다양화시킴으로써, 표시부(21a)에 표시된 화상을 시인 가능한 상태로 하면서, 다양한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측면부가 평판 형상인 경우와 비교하여, 측면부(12, 13)의 표면 상에 있어서의 x축 방향을 따른 폭 치수가 크고, 측면부(12, 13)의 면적이 넓다. 따라서, 화살표 A1 내지 A4, B1 내지 B4를 따라 물체를 이동시키기 쉽다. 따라서, 표시 장치(1)에서는, 조작이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에는, 박형인 것이 요구된다. 이로 인해, 측면은 협폭이다. 이 폭이 좁은 측면의 터치 센서면이 설치된 영역의 상에, 개별의 유리판이나 수지판을 고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터치 센서면은, 손가락이나 터치펜 등의 물체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유리판이나 수지판을 견고하게 고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고정구를 견고한 것으로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하우징이 대형화되기 쉽고, 표시 장치를 소형화·박형화하는 것이 곤란하다. 표시 장치의 두께가 매우 얇은 경우는, 유리판이나 수지판을 고정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그것에 대해서 표시 장치(1)에서는, 전방면부(11)와 측면부(12, 13)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방면부(11)와 장치 본체(20)를 고정해 두면, 측면부(12, 13)와 장치 본체(20)를 직접 고정할 필요가 반드시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측면부(12, 13)의 z축 방향을 따른 치수가 작은 경우라도, 측면부(12, 13)를 장치 본체(20)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장치(1)의 박형화·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6은, 표시 장치(1)의 표시 형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평면 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1a)는, y축 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복수의 표시 영역(21a1 내지 21a3)을 갖는다. 이들 복수의 표시 영역(21a1 내지 21a3)은, 각각 별개의 화상이 표시 가능하다. 복수의 표시 영역(21a1 내지 21a3)은, 각각, 측면부(12, 13) 중, 당해 표시 영역(21a1 내지 21a3)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 또는 타방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물체를 접촉시킴으로써 조작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영역(21a1)은, 측면부(12) 중, 표시 영역(21a1)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x1측에 위치하는 영역 D1-1과, 측면부(13) 중, 표시 영역(21a1)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x2측에 위치하는 영역 D1-2 중 적어도 한쪽과 표시부(21a)에 걸쳐서 화살표 A1 내지 A4 중 어느 하나를 따라 물체를 이동시킴으로써 조작 가능하다. 표시 영역(21a2)은, 측면부(12) 중, 표시 영역(21a2)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x1측에 위치하는 영역 D2-1과, 측면부(13) 중, 표시 영역(21a2)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x2측에 위치하는 영역 D2-2 중 적어도 한쪽과 표시부(21a)에 걸쳐서 화살표 A1 내지 A4 중 어느 하나를 따라 물체를 이동시킴으로써 조작 가능하다. 표시 영역(21a3)은, 측면부(12) 중, 표시 영역(21a3)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x1측에 위치하는 영역 D3-1과, 측면부(13) 중, 표시 영역(21a3)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x2측에 위치하는 영역 D3-2 중 적어도 한쪽과 표시부(21a)에 걸쳐서 화살표 A1 내지 A4 중 어느 하나를 따라 물체를 이동시킴으로써 조작 가능하다.
따라서, 표시 장치(1)에서는, 복수의 표시 영역을, 물체에 의해 은폐되는 일 없이, 별개로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방면부(11)와 제1 측면부(12)가 이루는 각의 크기 θ1과, 전방면부(11)와 제2 측면부(13)가 이루는 각의 크기 θ2가, 약 90°인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θ1, θ2는, 90° 이상이어도 좋다. 그 경우, 화살표 A1 내지 A4에 따른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화살표 A1 내지 A4에 따른 조작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θ1, θ2는, 각각, 9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보다 큰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 이상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단, θ1, θ2가 지나치게 크면, 표시 장치(1)가 대형화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θ1, θ2는, 각각, 17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7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측면부(12, 13)가 굴곡부(12c, 13c) 외에 평면부(12b, 13b)를 갖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다. 단,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부(12, 13)가 굴곡부(12c, 13c)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터치 센서면을 구성하고 있는 표시부(21a)와, 제2 터치 센서면(22a)과, 제3 터치 센서면(23a)이 각각 별개로 설치되어 있는 예에 대해서 설명했다. 단,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1a)와, 제2 터치 센서면(22a)과, 제3 터치 센서면(23a)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 유리(10)가 장치 본체(20)의 긴 변측의 측면(22) 및 측면(23)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단,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커버 유리는, 장치 본체의 짧은 변측의 측면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커버 유리(10)는, 두께가 얇아도 고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관점에서는, 강화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부(12) 및 측면부(13)의 내측에, LED 등에 의해 구성된 표시등이 더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1 : 표시 장치
10 : 커버 유리
11 : 전방면부
12 : 제1 측면부
12b : 평면부
12c : 굴곡부
13 : 제2 측면부
13b : 평면부
13c : 굴곡부
20 : 장치 본체
21 : 제1 주면
21a : 표시부
21a1 내지 21a3 : 표시 영역
22 : 제1 측면
22a : 제2 터치 센서면
23 : 제2 측면
23a : 제3 터치 센서면
24 : 제3 측면
25 : 제4 측면
26 : 제2 주면

Claims (10)

  1. 서로 직교하는 제1 및 제2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주면과, 상기 주면의 상기 제1 방향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제1 측면과, 상기 주면의 상기 제1 방향의 타방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을 갖는 장치 본체와,
    상기 주면을 덮는 전방면부와, 상기 제1 측면을 덮는 제1 측면부를 갖는 커버 유리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주면에 설치되어 있고, 제1 터치 센서면을 구성하고 있는 표시부와,
    상기 제1 측면에 설치된 제2 터치 센서면을 갖고,
    상기 제1 측면부의 적어도 상기 전방면부와의 접속부의 외표면이 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면부 상에서 상기 제1 측면부 상으로, 또는 상기 제1 측면부 상에서 상기 전방면부 상으로, 물체가 상기 커버 유리에 접촉하면서 이동했을 때에, 제1 조작이 입력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 상을, 물체가 상기 커버 유리에 접촉하면서 상기 제2의 방향을 따라서 이동했을 때에, 제2 조작이 입력되는, 표시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물체가 상기 제1 측면부의 일 영역에 접촉했을 때에, 제3 조작이 입력되는, 표시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센서면과 상기 제2 터치 센서면이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는, 표시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면부와 상기 제1 측면부가 이루는 각의 크기가 90° 이상인, 표시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유리는, 전방면부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와 고정되어 있는, 표시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2의 방향을 따라서 설치된 복수의 표시 영역을 갖고,
    상기 복수의 표시 영역은, 각각, 상기 제1 측면부 중, 당해 표시 영역의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물체를 접촉시킴으로써 조작 가능한, 표시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제2 측면에 위치하는 제3 터치 센서면을 더 갖고,
    상기 커버 유리는, 상기 제2 측면을 덮는 제2 측면부를 더 갖고,
    상기 제2 측면부의 적어도 상기 전방면부와의 접속부의 외표면이 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바일 표시 장치인, 표시 장치.
KR1020157010286A 2012-12-06 2013-10-25 표시 장치 KR201500931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67236A JP2014115321A (ja) 2012-12-06 2012-12-06 表示装置
JPJP-P-2012-267236 2012-12-06
PCT/JP2013/079000 WO2014087758A1 (ja) 2012-12-06 2013-10-25 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147A true KR20150093147A (ko) 2015-08-17

Family

ID=50883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0286A KR20150093147A (ko) 2012-12-06 2013-10-25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261255A1 (ko)
EP (1) EP2930594A4 (ko)
JP (1) JP2014115321A (ko)
KR (1) KR20150093147A (ko)
CN (1) CN104798017A (ko)
TW (1) TWI578199B (ko)
WO (1) WO20140877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796A (ko) * 2016-11-22 2018-05-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벤디드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63730A (zh) * 2014-11-25 2015-02-1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玻璃盖板结构
KR102239861B1 (ko) * 2014-11-26 2021-04-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6325749A (zh) * 2016-08-25 2017-01-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操作方法及移动终端
JP6819216B2 (ja) * 2016-10-26 2021-01-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ジャイロセンサー、ジャイロセンサーの製造方法、電子機器および移動体
CN110494824B (zh) * 2017-08-21 2024-01-16 株式会社村田制作所 按压传感器和电子设备
KR102393175B1 (ko) * 2017-09-25 2022-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2764586A (zh) * 2021-01-28 2021-05-07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5557A (en) * 1991-11-26 1994-08-09 Taizo Yasutake Touch sensitive input control device
JP4747747B2 (ja) * 2005-09-08 2011-08-17 ソニー株式会社 入力装置、そ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2009230341A (ja) * 2008-03-21 2009-10-08 Epson Imaging Devices Corp 入力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8854320B2 (en) 2008-07-16 2014-10-07 Sony Corporation Mobile type image display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information memory medium
JP2010117842A (ja) * 2008-11-12 2010-05-27 Sharp Corp 携帯情報端末
JP5322622B2 (ja) * 2008-12-21 2013-10-23 アルパイン株式会社 狭額縁lcd対応タッチパネル
JP5265433B2 (ja) * 2009-03-27 2013-08-14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262557A (ja) * 2009-05-11 2010-11-1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KR101455690B1 (ko) * 2010-04-09 2014-11-03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인코포레이티드 정보처리 시스템, 조작입력장치,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기억매체
US8603574B2 (en) * 2010-11-05 2013-12-10 Apple Inc. Curved touch sensor
JP5656661B2 (ja) * 2011-01-18 2015-01-21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CN102654799A (zh) * 2011-03-04 2012-09-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对移动终端显示屏控制的方法及该移动终端
WO2012132846A1 (ja) * 2011-03-31 2012-10-04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静電容量方式のタッチスクリーン
CN102209128B (zh) * 2011-05-04 2015-05-13 候万春 一种四面触摸屏幕移动电话终端
CN102778969B (zh) * 2011-05-13 2015-12-09 联想移动通信科技有限公司 触摸式移动终端及其运行方法
CN102662463A (zh) * 2012-03-22 2012-09-12 上海华勤通讯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识别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796A (ko) * 2016-11-22 2018-05-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벤디드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61255A1 (en) 2015-09-17
CN104798017A (zh) 2015-07-22
EP2930594A1 (en) 2015-10-14
TW201435674A (zh) 2014-09-16
TWI578199B (zh) 2017-04-11
WO2014087758A1 (ja) 2014-06-12
JP2014115321A (ja) 2014-06-26
EP2930594A4 (en) 201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3147A (ko) 표시 장치
US11740744B2 (en) Electronic equipment
US9360893B2 (en) Input device writing surface
KR102104141B1 (ko) 플럭스 분수
US10088964B2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150019133A (ko) 이동 단말기
US8941611B2 (en) Portable terminal, display control program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5419272B2 (ja) 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
JP2010009456A (ja)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
US10126887B2 (en) Touch panel
US20150346863A1 (en)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panel
JP2009098834A (ja) 静電容量型入力装置、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WO2015141332A1 (ja) 入力装置、表示装置及び端末装置
US10114506B2 (en) Portable apparatus
CN117223277A (zh) 包括铰链盖的电子装置
TWI459079B (zh) 觸控面板結構
US9417659B2 (en) Electronic apparatus
US11182014B2 (en) Touch control auxiliary apparatus, protective casing, touch screen and mobile terminal
JP2014048674A (ja) タッチパネル
US8823638B2 (en) Optical navigation module with alignment features
US10747381B2 (en) Film and input device
KR101667717B1 (ko) 이동 단말기
CN115210678A (zh) 能够检测剪切力的信息输入装置
CA2764979C (en) Optical navigation module with alignment features
JP2011238024A (ja) タッチ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