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2932A -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위폐 감별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위폐 감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2932A
KR20150092932A KR1020140013569A KR20140013569A KR20150092932A KR 20150092932 A KR20150092932 A KR 20150092932A KR 1020140013569 A KR1020140013569 A KR 1020140013569A KR 20140013569 A KR20140013569 A KR 20140013569A KR 20150092932 A KR20150092932 A KR 20150092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feit
discrimination
smart terminal
inform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3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4983B1 (ko
Inventor
이기철
김형준
신필순
권종만
황기현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중소기업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중소기업은행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13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983B1/ko
Publication of KR20150092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3Credit; Loans; Processing thereof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위폐 감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카메라(11)가 구비된 스마트단말(10), 이동통신망(20), 위폐 감별 서버(30), 이더넷 통신망(40), 제 1 은행 웹서버(40-1) 내지 제 n 은행 웹서버(40-n, n은 2 이상의 자연수), 그리고 이동통신사 서버(50)를 포함하는 위폐 감별 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단말(10)은, 위폐 감별 앱(Application)을 사용하며, 운영체제를 탑재하여 컴퓨팅 기능을 수행하며, 위폐 감별 앱과 연동된 카메라 촬영 모듈(12)을 통해 위안, 원화, 달러화, 유로화에 대한 4종의 지폐에 대한 감별 가이드를 제공하며, 카메라(11)에 대한 카메라 촬영 모듈(12)의 제어에 따라 지폐에 대한 이미지 촬영을 수행하여, 이미지 정보를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위폐 감별 서버(30)로 전송하여 위폐 감별을 받는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스마트단말(10)이 위폐 감별 앱(application) 실행 후 사용자 로그인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스마트단말(10)이 판별한 지폐 종류 정보를 입력받은 뒤, 이미지 감별 및 일련번호 감별 중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제 2 단계; 스마트단말(10)이 위폐 감별을 위한 지폐 상의 일련번호 정보를 입력받거나 촬영 가이드 모듈(12)에 의한 이미지 촬영을 수행하여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제 3 단계; 스마트단말(10)이 위폐 감별 서버(30)로의 감별 요청 여부를 입력받는 경우 이동통신망(20)을 통한 위폐 감별 서버(30)로의 액세스(Access)를 수행하여, 정보 이용료 과금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스마트단말(10)이 일련번호 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를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위폐 감별 서버(30)로 전송하는 제 6 단계; 및 스마트단말(10)이 위폐 감별 서버(40)로부터 위조 지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을 이용한 위폐 감별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의해, 누구나 손쉽게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을 이용해 위폐를 손쉽게 구별하도록 하기 위한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나라 별로 위폐를 감별하고, 추가 위폐 감별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고 위폐 감별 회원 가입으로 소정의 정보 이용료 제공 방식으로 의심되는 지폐의 경우에만 실시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시간적, 그리고 경제적으로 기회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위폐 감별 이외에도 각 나라별 주의 사항 기타 여러 정보를 보다 종합적으로 전달하고 변경되는 위폐 방법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위폐 감별 방법{System for detecting counterfeit cash base on smart-terminal, and method for detecting counterfeit cash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위폐 감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누구나 손쉽게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을 이용해 위폐를 손쉽게 구별하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위폐 감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스캐너 및 프린터의 발달로 위조 지폐(이하, 위폐)가 많이 발견되어 그 수치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위폐 감별 단말기가 저렴해짐에 따라 점주 및 일반인들도 위폐 감별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특히 소규모의 자영업주를 대상으로 특별히 번거로운 절차를 거치지 않고 손쉽게 위폐를 감별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그리고 위폐 감별 단말기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소규모의 위폐 감별 단말기를 구입하여 위폐를 감별하는 방식은 항시 휴대를 해야함으로 불편할 뿐만 아니라 변경되는 위폐 감별 방법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이 힘든 문제가 발생한다.
[관련기술문헌]
1. 위폐 감별 방법과 이를 이용한 위폐 감별 장치(Discrimination method for money and discriminator thereof) (특허출원번호 제10-2000-0004362호)
2. 다국 화폐의 위폐 감별 장치 및 그의 대한 시스템(A detecting apparatus of defective condition of the paper money and system thereof) (특허출원번호 제10-2012-0031066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누구나 손쉽게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을 이용해 위폐를 손쉽게 구별하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위폐 감별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나라 별로 위폐를 감별할 수 있으며, 추가 위폐 감별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고 위폐 감별 회원 가입으로 소정의 정보 이용료 제공 방식으로 의심되는 지폐의 경우에만 실시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시간적, 그리고 경제적으로 기회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위폐 감별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위폐 감별 이외에도 각 나라별 주의 사항 기타 여러 정보를 보다 종합적으로 전달하고 변경되는 위폐 방법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위폐 감별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은, 카메라(11)가 구비된 스마트단말(10), 이동통신망(20), 위폐 감별 서버(30), 이더넷 통신망(40), 제 1 은행 웹서버(40-1) 내지 제 n 은행 웹서버(40-n, n은 2 이상의 자연수), 그리고 이동통신사 서버(50)를 포함하는 위폐 감별 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단말(10)은, 위폐 감별 앱(Application)을 사용하며, 운영체제를 탑재하여 컴퓨팅 기능을 수행하며, 위폐 감별 앱과 연동된 카메라 촬영 모듈(12)을 통해 위안, 원화, 달러화, 유로화에 대한 4종의 지폐에 대한 감별 가이드를 제공하며, 카메라(11)에 대한 카메라 촬영 모듈(12)의 제어에 따라 지폐에 대한 이미지 촬영을 수행하여, 이미지 정보를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위폐 감별 서버(30)로 전송하여 위폐 감별을 받는다.
이때, 위폐 감별 서버(30)는, 스마트단말(10)의 액세스에 따른 로그인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및 사용자 관리를 수행하며, 카메라 촬영 모듈(12)과 데이터 세션을 통해 연결되는 카메라 제어 모듈(32-1)을 구비하여, 지폐 권종별 촬영 가이드를 제공하며, 이미지 분석 또는 일련 번호 조회에 따른 스마트단말(10)이 요청한 지폐에 대한 위폐 가부 사항, 그리고 위폐 여부 감식 결과 이외에 위폐 감별의 대상이 된 지폐가 발행된 각 나라별 주의 사항, 기타 지폐 발행 정보(날짜, 금액 등)를 포함하는 위폐 감별 부가 정보를 전달하며, 스마트폰(10)의 위폐 감별 앱에 대한 최신 상태로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을 이용한 위폐 감별 방법은, 스마트단말(10)이 위폐 감별 앱(application) 실행 후 사용자 로그인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스마트단말(10)이 판별한 지폐 종류 정보를 입력받은 뒤, 이미지 감별 및 일련번호 감별 중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제 2 단계; 스마트단말(10)이 위폐 감별을 위한 지폐 상의 일련번호 정보를 입력받거나 촬영 가이드 모듈(12)에 의한 이미지 촬영을 수행하여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제 3 단계; 스마트단말(10)이 위폐 감별 서버(30)로의 감별 요청 여부를 입력받는 경우 이동통신망(20)을 통한 위폐 감별 서버(30)로의 액세스(Access)를 수행하여, 정보 이용료 과금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스마트단말(10)이 일련번호 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를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위폐 감별 서버(30)로 전송하는 제 6 단계; 및 스마트단말(10)이 위폐 감별 서버(40)로부터 위조 지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을 이용한 위폐 감별 방법은, 위폐 감별 서버(30)가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스마트단말(10)의 액세스에 따른 사용자 로그인 요청시, 인증에 따른 위폐 감별 요청자에 대한 정보 관리를 수행하는 제 1 단계; 위폐 감별 서버(30)기 스마트단말(10)에서 실행되고 있는 위폐 감별 앱에 대한 업데이트 상태 확인 이후, 최신 업데이트를 위한 추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단계; 위폐 감별 서버(30)가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스마트단말(10)로부터 지폐 종류 정보, 그리고 일련번호 또는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여 유효한 정보인 경우, 스마트단말(10)로부터 정보 이용료 부과에 대한 동의 확인 정보 수신을 대기하는 제 3 단계; 위폐 감별 서버(30)가 동의 확인 정보를 수신한 경우 이동통신사 서버(50)와의 이동통신망(20)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에 의해 정보 이용료를 스마트단말(10)로 부과하는 제 4 단계; 및 위폐 감별 서버(30)가 스마트단말(10)로부터 일련번호 정보 수신시, 일련번호 정보와 동일한 번호가 있는지 여부를 조회를 수행하며, 일련번호 정보에 대한 조회시 이더넷 통신망(40)을 통해 은행 웹서버(40-1 내지 40-n)로의 일련번호 정보 전송에 따라, 각 은행 웹서버 어디에도 저장되지 않는 일련번호인 경우, 위폐 번호로 판단하는 조회 방식으로 수행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위폐 감별 방법은, 누구나 손쉽게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 스마트단말을 이용해 위폐를 손쉽게 구별하도록 하기 위한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위폐 감별 방법은, 각 나라 별로 위폐를 감별하고, 추가 위폐 감별 단말기를 사용하지 않고 위폐 감별 회원 가입으로 소정의 정보 이용료 제공 방식으로 의심되는 지폐의 경우에만 실시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시간적, 그리고 경제적으로 기회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위폐 감별 방법은, 위폐 감별 이외에도 각 나라별 주의 사항 기타 여러 정보를 보다 종합적으로 전달하고 변경되는 위폐 방법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에서의 위폐 감별 서버(3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방법에서의 스마트단말(10)을 기준으로 구현된 위폐 감별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방법에서의 위폐 감별 서버(30)를 기준으로 구현된 위폐 감별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에서의 위폐 감별 서버(3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은 카메라(11)가 구비된 스마트단말(10), 이동통신망(20), 위폐 감별 서버(30), 이더넷 통신망(40), 제 1 은행 웹서버(40-1) 내지 제 n 은행 웹서버(40-n, n은 2 이상의 자연수), 그리고 이동통신사 서버(50)를 포함한다.
스마트단말(10)은 위폐 감별 앱(Application)을 사용하며, 안드로이드 OS, I-OS 등과 같은 운영체제를 탑재하여 컴퓨팅 기능을 수행하며, 위폐 감별 앱과 연동된 카메라 촬영 모듈(12)을 통해 위안, 원화, 달러화, 유로화에 대한 4종의 지폐에 대한 감별 가이드를 제공한다.
여기서 감별 가이드를 제공하는 카메라 촬영 모듈(12)은 지폐의 촬영 시에 감지되는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11)로부터 얻어지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카메라 촬영 모듈(12)은 영상 획득부에 의해 지폐를 포함하는 이미지 정보를 획득한다. 카메라 촬영 모듈(12)의 지폐 인식부는 이미지 정보에서 지폐의 패턴 정보를 추출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카메라 촬영 모듈(12)의 감별 가이드에는 다양한 지폐의 패턴이 인식가능하므로, 다양한 지폐 패턴 자체 정보, 그리고 각 지폐상의 위폐 방지 문양의 기울어진 것, 역으로 된 것, 약간 각도가 기울어진 것 등과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패턴을 추출하여, 메타 정보로 생성하여, 이미지 정보 상에 포함시킨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마트단말(10)은 카메라(11)에 대한 카메라 촬영 모듈(12)의 제어에 따라 지폐에 대한 이미지 촬영을 수행하여, 메타 정보가 포함된 이미지 정보를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위폐 감별 서버(30)로 전송하여 위폐 감별을 받는다.
한편, 위폐 감별 서버(30)는 스마트단말(10)의 액세스에 따른 로그인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및 사용자 관리를 수행하며, 카메라 촬영 모듈(12)과 데이터 세션을 통해 연결되는 카메라 제어 모듈(32-1)을 구비함으로써, 권종별 촬영 가이드를 제공한다.
그리고, 위폐 감별 서버(30)는 이미지 분석 또는 일련 번호 조회에 따른 스마트단말(10)이 요청한 지폐에 대한 위폐 가부 사항을 전달하며, 스마트폰(10)의 위폐 감별 앱에 대한 최신 상태로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위폐 감별 서버(30)는 도 2와 같이 듀얼 통신부(31), 제어모듈(32), 카메라 제어 모듈(32-1), 그리고 데이터베이스(33)를 포함하며, 제어모듈(32)은 사용자 정보 및 정보 관리 수단(32a), 업데이트 수단(32b), 정보 이용료 부과 수단(32c), 일련번호 감별 수단(32d), 이미지 감별 수단(32e) 및 감별 정보 제공 수단(32f)을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제어모듈(32)의 구성을 중심으로,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듀얼 통신부(31)는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스마트단말(10) 및 이동통신사 서버(50), 그리고 이더넷 통신망(40)을 통해 제 1 은행 웹서버 내지 제 n 은행 웹서버(40-1 내지 40-n)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사용자 정보 및 정보 관리 수단(32a)은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스마트단말(10)의 액세스에 따른 사용자 로그인 요청시,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도록 듀얼 통신부(31)를 제어한 뒤, 인증에 따라 데이터베이스(33) 상으로 위폐 감별 요청자인 사용자에 대한 위폐 감별 로그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 관리를 수행한다.
업데이트 수단(32b)은 듀얼 통신부(31)로 스마트단말(10)에서 실행되고 있는 위폐 감별 앱에 대한 업데이트 상태 확인 후, 최신 업데이트 상태가 아닌 경우, 최신 업데이트를 위한 추가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듀얼 통신부(31)를 제어한다.
여기서 업데이트 정보는 스마트폰(10) 상에서 실행되는 위폐 감별 앱과 연동된 카메라 촬영 모듈(12)을 통해 위안, 원화, 달러화, 유로화에 대한 4종의 지폐에 대한 감별 가이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정보 이용료 부과 수단(32c)은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스마트단말(10)로부터 지폐 종류 정보, 그리고 일련번호 또는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도록 듀얼 통신부(31)를 제어한 뒤, 수신된 정보가 유효한 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유효한 정보인지 여부는 지폐 종류 정보가 통상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지폐인지 여부, 그리고 일련번호의 숫자가 지폐 종류 정보와 매칭되는 여부, 그리고 이미지 정보의 지폐에 대해 촬영된 것인지 여부 등을 의미한다.
정보 이용료 부과 수단(32c)은 판단 결과 유효한 정보인 경우 스마트단말(10)로부터 정보 이용료 부과에 대한 동의 확인 정보 수신 여부를 확인하여 수신된 경우 이동통신사 서버(50)와의 이동통신망(20)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에 의해 정보 이용료를 스마트단말(10)로 부과하도록 듀얼 통신부(31)를 제어한다.
일련번호 감별 수단(32d)은 스마트단말(10)로부터 일련번호 정보 수신시, 일련번호 정보와 동일한 번호가 있는지 여부를 조회를 수행한다. 일련번호 감별 수단(32d)은 일련번호 정보에 대한 조회시 이더넷 통신망(40)을 통해 은행 웹서버(40-1 내지 40-n)로의 일련번호 정보 브로드 캐스팅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듀얼 송수신부(31)를 제어한 뒤, 각 은행 웹서버 어디에도 저장되지 않는 일련번호인 경우, 위폐 번호로 판단하는 조회 방식으로 수행한다.
한편, 이미지 감별 수단(32e)은 스마트단말(10)로부터 이미지 정보 수신시, 이미지 정보를 분석한다. 여기서 이미지 감별 수단(32e)은 이미지 정보 분석시 스마트단말(1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정보에 대한 위폐 감별 서버(30)의 데이터베이스(33) 상에 수신된 지폐 종류 정보 별로 저장된 이미지와의 비교를 통해 위폐로 판단하는 분석 방식으로 수행한다.
감별 정보 제공 수단(32f)은 위폐 여부 감식 결과를 생성한 뒤, 위폐 여부 감식 결과를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스마트단말(10)로 전송하도록 듀얼 송수신부(31)를 제어한다. 또한, 감별 정보 제공 수단(32f)은 위폐 여부 감식 결과 이외에 위폐 감별의 대상이 된 지폐가 발행된 각 나라별 주의 사항, 기타 지폐 발행 정보(날짜, 금액 등)를 포함하는 위폐 감별 부가 정보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스마트단말(10)로 전송하도록 듀얼 송수신부(31)를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방법에서의 스마트단말(10)을 기준으로 구현된 위폐 감별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단말(10)은 위폐 감별 앱(application) 실행 후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위폐 감별 서버(30)로 액세스(Access) 하여 사용자 로그인을 수행한다(S11).
단계(S11) 이후, 스마트단말(10)은 사용자로부터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출력부(미도시)를 통해 판별한 지폐 종류 정보를 입력받는다(S12).
단계(S12) 이후, 스마트단말(10)은 이미지 감별 및 일련번호 감별 중 선택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받는다(S13).
단계(S13) 이후, 스마트단말(10)은 입출력부로부터 일련번호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S14), 촬영 가이드 모듈(12)의 감별 가이드에 따라 지폐에 대한 이미지 촬영을 수행하여 이미지 정보를 획득한다(S15).
단계(S14) 또는 단계(S15) 이후, 스마트단말(10)은 입출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위폐 감별 서버(30)로의 감별 요청 여부를 입력받는다(S16).
단계(S16)의 판단 결과, 감별 요청을 입력받지 않은 경우, 스마트단말(10)은 단계(S12)로 회귀한다. 반대로 단계(S16)의 판단 결과, 감별 요청을 입력받은 경우, 스마트단말(10)은 이동통신망(20)을 통한 위폐 감별 서버(30)로의 액세스를 수행하여, 정보 이용료 과금을 수행한다(S17).
단계(S17) 이후, 스마트단말(10)은 단계(S14)에서 입력받은 일련번호 정보 또는 단계(S15)에서 획득한 이미지 정보를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위폐 감별 서버(30)로 전송한다(S18).
단계(S18) 이후, 스마트단말(10)은 위폐 감별 서버(40)로부터 위조 지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19).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방법에서의 위폐 감별 서버(30)를 기준으로 구현된 위폐 감별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위폐 감별 서버(30)는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스마트단말(10)의 액세스에 따른 사용자 로그인 요청시, 인증에 따른 위폐 감별 요청자에 대한 정보 관리를 수행한다(S21).
단계(S21) 이후, 위폐 감별 서버(30)는 스마트단말(10)에서 실행되고 있는 위폐 감별 앱에 대한 업데이트 상태 확인 이후, 최신 업데이트를 위한 추가 데이터를 전송한다(S22).
단계(S22) 이후, 위폐 감별 서버(30)는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스마트단말(10)로부터 지폐 종류 정보, 그리고 일련번호 또는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여, 유효한 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23).
단계(S23) 이후, 위폐 감별 서버(30)는 유효한 정보인 경우 스마트단말(10)로부터 정보 이용료 부과에 대한 동의 확인 정보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S24).
단계(S24)의 판단 결과 동의 확인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위폐 감별 서버(30)는 단계(S21)로 회귀한다.
한편, 단계(S24)의 판단 결과 동의 확인 정보를 수신한 경우, 위폐 감별 서버(30)는 이동통신사 서버(50)와의 이동통신망(20)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에 의해 정보 이용료를 스마트단말(10)로 부과한다(S25).
단계(S25) 이후, 위폐 감별 서버(30)는 단계(S23)에서 스마트단말(10)로부터 일련번호 정보 수신시, 일련번호 정보와 동일한 번호가 있는지 여부를 조회를 수행한다(S26). 일련번호 정보에 대한 조회는 위폐 감별 서버(30)가 이더넷 통신망(40)을 통해 은행 웹서버(40-1 내지 40-n)로의 일련번호 정보 전송에 따라, 각 은행 웹서버 어디에도 저장되지 않는 일련번호인 경우, 위폐 번호로 판단하는 조회 방식으로 수행된다(S26a).
한편, 단계(S25) 이후, 위폐 감별 서버(30)는 단계(S23)에서 스마트단말(10)로부터 이미지 정보 수신시, 이미지 정보를 분석한다(S27). 여기서 이미지 정보 분석은 수신된 이미지 정보에 대한 위폐 감별 서버(30)의 데이터베이스(33) 상에 단계(S23)에서 수신된 지폐 종류 정보 별로 저장된 이미지와의 비교를 통해 위폐로 판단하는 분석 방식으로 수행된다(S27a).
단계(S26) 또는 단계(S27) 이후, 위폐 감별 서버(30)는 위폐 여부 감식 결과를 생성한 뒤, 위폐 여부 감식 결과를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스마트단말(10)로 전송한다(S28).
단계(S28) 이후, 위폐 감별 서버(30)는 위폐 감별 부가 정보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스마트단말(10)로 전송한다(S28).
여기서 위폐 감별 부가 정보는 위폐 여부 감식 결과 이외에 위폐 감별의 대상이 된 지폐가 발행된 각 나라별 주의 사항, 기타 지폐 발행 정보(날짜, 금액 등)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보다 종합적으로 전달하고 변경되는 위폐 방법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스마트단말
20: 이동통신망
30: 위폐 감별 서버
31: 듀얼 통신부
32: 제어모듈
32a: 사용자 정보 및 정보 관리 수단
32b: 업데이트 수단
32c: 정보 이용료 부과 수단
32d: 일련번호 감별 수단
32e: 이미지 감별 수단
32f: 감별 정보 제공 수단
32-1: 카메라제어 모듈
33: 데이터베이스
40: 이더넷 통신망
40-1 내지 40-n: 제 1 은행 웹서버 내지 제 n 은행 웹서버
50: 이동통신사 서버

Claims (4)

  1. 카메라(11)가 구비된 스마트단말(10), 이동통신망(20), 위폐 감별 서버(30), 이더넷 통신망(40), 제 1 은행 웹서버(40-1) 내지 제 n 은행 웹서버(40-n, n은 2 이상의 자연수), 그리고 이동통신사 서버(50)를 포함하는 위폐 감별 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단말(10)은,
    위폐 감별 앱(Application)을 사용하며, 운영체제를 탑재하여 컴퓨팅 기능을 수행하며, 위폐 감별 앱과 연동된 카메라 촬영 모듈(12)을 통해 위안, 원화, 달러화, 유로화에 대한 4종의 지폐에 대한 감별 가이드를 제공하며, 카메라(11)에 대한 카메라 촬영 모듈(12)의 제어에 따라 지폐에 대한 이미지 촬영을 수행하여, 이미지 정보를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위폐 감별 서버(30)로 전송하여 위폐 감별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위폐 감별 서버(30)는,
    스마트단말(10)의 액세스에 따른 로그인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및 사용자 관리를 수행하며, 카메라 촬영 모듈(12)과 데이터 세션을 통해 연결되는 카메라 제어 모듈(32-1)을 구비하여, 지폐 권종별 촬영 가이드를 제공하며,
    이미지 분석 또는 일련 번호 조회에 따른 스마트단말(10)이 요청한 지폐에 대한 위폐 가부 사항, 그리고 위폐 여부 감식 결과 이외에 위폐 감별의 대상이 된 지폐가 발행된 각 나라별 주의 사항, 기타 지폐 발행 정보(날짜, 금액 등)를 포함하는 위폐 감별 부가 정보를 전달하며, 스마트폰(10)의 위폐 감별 앱에 대한 최신 상태로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
  3. 스마트단말(10)이 위폐 감별 앱(application) 실행 후 사용자 로그인을 수행하는 제 1 단계;
    스마트단말(10)이 판별한 지폐 종류 정보를 입력받은 뒤, 이미지 감별 및 일련번호 감별 중 선택 정보를 입력받는 제 2 단계;
    스마트단말(10)이 위폐 감별을 위한 지폐 상의 일련번호 정보를 입력받거나 촬영 가이드 모듈(12)에 의한 이미지 촬영을 수행하여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는 제 3 단계;
    스마트단말(10)이 위폐 감별 서버(30)로의 감별 요청 여부를 입력받는 경우 이동통신망(20)을 통한 위폐 감별 서버(30)로의 액세스(Access)를 수행하여, 정보 이용료 과금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스마트단말(10)이 일련번호 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를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위폐 감별 서버(30)로 전송하는 제 6 단계; 및
    스마트단말(10)이 위폐 감별 서버(40)로부터 위조 지폐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을 이용한 위폐 감별 방법.
  4. 위폐 감별 서버(30)가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스마트단말(10)의 액세스에 따른 사용자 로그인 요청시, 인증에 따른 위폐 감별 요청자에 대한 정보 관리를 수행하는 제 1 단계;
    위폐 감별 서버(30)기 스마트단말(10)에서 실행되고 있는 위폐 감별 앱에 대한 업데이트 상태 확인 이후, 최신 업데이트를 위한 추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단계;
    위폐 감별 서버(30)가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스마트단말(10)로부터 지폐 종류 정보, 그리고 일련번호 또는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여 유효한 정보인 경우, 스마트단말(10)로부터 정보 이용료 부과에 대한 동의 확인 정보 수신을 대기하는 제 3 단계;
    위폐 감별 서버(30)가 동의 확인 정보를 수신한 경우 이동통신사 서버(50)와의 이동통신망(20)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에 의해 정보 이용료를 스마트단말(10)로 부과하는 제 4 단계; 및
    위폐 감별 서버(30)가 스마트단말(10)로부터 일련번호 정보 수신시, 일련번호 정보와 동일한 번호가 있는지 여부를 조회를 수행하며, 일련번호 정보에 대한 조회시 이더넷 통신망(40)을 통해 은행 웹서버(40-1 내지 40-n)로의 일련번호 정보 전송에 따라, 각 은행 웹서버 어디에도 저장되지 않는 일련번호인 경우, 위폐 번호로 판단하는 조회 방식으로 수행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을 이용한 위폐 감별 방법.
KR1020140013569A 2014-02-06 2014-02-06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 KR101644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569A KR101644983B1 (ko) 2014-02-06 2014-02-06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569A KR101644983B1 (ko) 2014-02-06 2014-02-06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932A true KR20150092932A (ko) 2015-08-17
KR101644983B1 KR101644983B1 (ko) 2016-08-02

Family

ID=54057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3569A KR101644983B1 (ko) 2014-02-06 2014-02-06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98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101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하나은행 화폐 관리를 위한 고객 단말 및 그의 화폐 관리 방법
KR102007685B1 (ko) * 2019-04-10 2019-08-06 주식회사서영컴퍼니 하이브리드 위폐 감별 장치 및 시스템
KR102196573B1 (ko) * 2019-06-25 2020-12-30 대한민국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방법
KR102250578B1 (ko) * 2019-12-11 2021-05-11 대한민국 휴대폰에 연결되는 위조지폐 감별용 모바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조지폐 감별을 위한 이미지 제공 방법
KR20210155555A (ko) * 2020-06-16 2021-12-23 기산전자 주식회사 지폐 블랙리스트 관리를 위한 지폐 정사기와 서버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0384A (ja) * 2002-08-01 2004-03-04 Dainippon Printing Co Ltd 金券の真贋判定料金請求システム
JP2007257491A (ja) * 2006-03-24 2007-10-04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偽札検出システム及び携帯通信端末
KR20100045593A (ko) * 2008-10-24 2010-05-04 에프케이엠 주식회사 자동 입출금기의 지폐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117049A (ko) * 2011-04-14 2012-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위조 지폐 감별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0384A (ja) * 2002-08-01 2004-03-04 Dainippon Printing Co Ltd 金券の真贋判定料金請求システム
JP2007257491A (ja) * 2006-03-24 2007-10-04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偽札検出システム及び携帯通信端末
KR20100045593A (ko) * 2008-10-24 2010-05-04 에프케이엠 주식회사 자동 입출금기의 지폐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117049A (ko) * 2011-04-14 2012-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위조 지폐 감별 방법 및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101A (ko)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하나은행 화폐 관리를 위한 고객 단말 및 그의 화폐 관리 방법
KR102007685B1 (ko) * 2019-04-10 2019-08-06 주식회사서영컴퍼니 하이브리드 위폐 감별 장치 및 시스템
KR102196573B1 (ko) * 2019-06-25 2020-12-30 대한민국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방법
KR102250578B1 (ko) * 2019-12-11 2021-05-11 대한민국 휴대폰에 연결되는 위조지폐 감별용 모바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조지폐 감별을 위한 이미지 제공 방법
KR20210155555A (ko) * 2020-06-16 2021-12-23 기산전자 주식회사 지폐 블랙리스트 관리를 위한 지폐 정사기와 서버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983B1 (ko) 201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4983B1 (ko)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
CN110462619B (zh) 检测系统、检测方法、以及计算机程序
US201200774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mobile telephones to combat crime
KR20160061356A (ko) 증서 및 문서 인증 시스템
RU2010122068A (ru) Авторизация в режиме реального времени в среде доступа
CN103761795A (zh) 纸币防伪特征数据库鉴别假币的方法
KR101511043B1 (ko) 위조지폐의 감지, 신고, 통합관리가 가능한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4639760B (zh) 手机验钞方法
CN102298802A (zh) 纸币鉴伪移动终端及其鉴伪方法
CN113222952A (zh) 翻拍图像的识别方法及装置
KR20150059882A (ko) 스마트폰용 악성앱 분석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용 악성앱 분석 방법 및 스마트폰용 악성앱 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폰용 악성앱 차단 서비스 방법
WO2020054431A1 (ja) 貨幣情報提供システム、貨幣情報提供用データベースサーバ、貨幣情報提供方法及び貨幣情報提供プログラム
KR101812206B1 (ko) 위폐 감별 및 추적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CN110659904B (zh) 一种基于区块链的风险数据服务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2015202884A (ja) 紙幣パック及びそれを管理する紙幣管理システム
CN110807630B (zh) 基于人脸识别的支付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1115608B1 (ko) 위장 가맹점의 신용카드 매출 방지 및 통제하는 금융 결제 승인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2353956B1 (ko) 지폐 블랙리스트 관리를 위한 지폐 정사기와 서버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CN106846605B (zh) 一种联网验钞方法
KR102341893B1 (ko) 지폐 데이터 자동 수집을 통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최신화를 위한 지폐 정사기와 서버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KR102625024B1 (ko) 지폐 계수기의 판별 결과 처리 장치
KR20170114623A (ko) 사용자 지향적 지폐계수장치 관리시스템
KR102315360B1 (ko) 화폐 관리를 위한 고객 단말 및 그의 화폐 관리 방법
Nagayoshi et al. Banknote identification based on characteristic differences
JP2023063652A (ja) 入出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出場管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