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956B1 - 지폐 블랙리스트 관리를 위한 지폐 정사기와 서버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지폐 블랙리스트 관리를 위한 지폐 정사기와 서버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956B1
KR102353956B1 KR1020200072925A KR20200072925A KR102353956B1 KR 102353956 B1 KR102353956 B1 KR 102353956B1 KR 1020200072925 A KR1020200072925 A KR 1020200072925A KR 20200072925 A KR20200072925 A KR 20200072925A KR 102353956 B1 KR102353956 B1 KR 102353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blacklist
bill
information
serv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5555A (ko
Inventor
문진솔
채상식
Original Assignee
기산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산전자(주) filed Critical 기산전자(주)
Priority to KR1020200072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956B1/ko
Publication of KR20210155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60User-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 블랙리스트 관리를 위한 지폐 정사기에 관한 것으로, 입력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지폐 블랙리스트 등록 모드를 선택받기 위한 모드 선택부; 지폐의 계수와 지폐의 정사 감별 동작을 수행하며, 지폐 계수 중 상기 지폐 블랙리스트에 포함된 지폐를 검출하는 지폐 정사부; 및 서버 장치와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상기 지폐 정사부에서 검출한 지폐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지폐 발견 정보를 온라인으로 상기 서버 장치에 전달하거나 지정된 사용자의 정보통신 단말에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폐 블랙리스트 관리를 위한 지폐 정사기와 서버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BILL SORTER AND SERVER APPARATUS FOR MANAGING BILL BLACKLIS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폐 블랙리스트 관리를 위한 지폐 정사기와 서버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은행 등에서 사고 위험이나 위폐로 의심되는 지폐들에 대한 블랙리스트를 온라인으로 지폐 정사기들에 신속하게 등록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지폐 블랙리스트 관리를 위한 지폐 정사기와 서버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지폐 정사기는 지폐의 계수는 물론 받아들인 지폐가 정당한 것인지, 지폐 유통에 적합한 것인지 혹은 폐기 대상인지를 감별한다. 예컨대 지폐의 정사(즉, 새지폐, 유통지폐, 훼손지폐 등으로 분류)를 감별하거나 위조지폐인지 여부를 감별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지폐 정사기는 지폐 권종 인식(예를 들면 천원권, 오천원권, 만원권, 달러화, 위안화, 유로화, 엔화 등), 위/변조 지폐 감별뿐만 아니라, 지폐 계수나 지폐 정사(예를 들어 낙서, 오염, 찢어짐 등 훼손의 정도로 유통 가능 또는 불가능한 상태를 식별), 지폐 일련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각종 지폐 처리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폐 정사기는, 단지 지폐에만 한정하지 않고, 은행권, 수표, 어음, 유가증권, 증서, 종이 매체(medium), 상품권, 쿠폰, 티켓, 상표부착물, 신분증 등의 지엽류도 처리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지폐 정사기는 은행, 단자회사, 환전소, 신용금고, 야간은행, 우체국과 같은 금융기관, 주유소, 유흥업소, 대중음식점, 호텔과 같은 야간업소, 백화점, 일반사무실, 슈퍼마켓, 면세점, 연쇄점, 편의점과 같이 유가증권, 수표 및 현금을 취급하는 사업장이나 업소에서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지폐 정사기는 어느 한 지역이나 국가에 한정되지 않고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지역이나 국가에 수출되어 설치 및 운용되고 있으며, 새로운 지폐 정사기를 구매처 현지에 설치하여 운용할 경우, 지폐 정사기를 새로운 사용처, 즉 새로운 지역 또는 국가에 판매하여 설치 및 운용하는 경우, 새로운 지폐 권종이 추가로 발행되는 경우, 신규 위조지폐가 발견될 경우, 그리고 새로운 지폐 유형(예: 어촌 지역의 경우 습도가 높은 상태의 지폐들, 농촌 지역의 경우 흙 등 특정 오염물로 오염된 지폐들, 특정 방향으로 지폐를 접어서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 지역에서 나타나는 일부 변형된 지폐들 등)이 발견될 경우에, 이에 대한 상기 지폐 정사기의 최상화 상태(즉, 지폐 권종 인식, 정사 판별, 위/변조 지폐 판별 및 지폐 계수 작업 등을 위한 상기 지폐 정사기에 탑재된 각종 센서들의 문턱값이나 세팅값,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설정 정보, 동작 제어 정보 등이 지폐 판별 및 정상 동작에 최적화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현지 국가에서 실제로 유통되는 상기와 같은 경우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지폐(예 : 새지폐, 유통지폐, 낡은 지폐, 구겨진 지폐, 구멍난 지폐, 찢어진 지폐, 낙서된 지폐, 위조지폐, 변조지폐, 젖은 지폐, 오염 지폐, 탈색 지폐, 소손 지폐, 일상에서 사용 중에 발생하는 여러 형태의 훼손된 지폐 등 다양한 유형의 지폐)를 이용하여 최상화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최적화 작업은, 기존의 지폐 정사기에 기설치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에 대한 최신화를 통해 실시되거나, 기존에 설치된 것과는 다른 새로운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지폐 정사기에 설치하여 실시된다.
따라서 이하 본 발명에서의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은, 지폐 정사기가 설치되어 운용되는 현지에서 유통되는 상기와 같은 다양한 지폐들의 유형별 특성을 반영하는 상기 최신화를 위한 지폐 인식 프로그램, 및 새로운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런데 이러한 지폐 정사기는 지폐의 계수 및 위폐나 진폐의 감별 기능이 주요한 목적이었지만, 최근에는 진폐라고 하더라도 도난된 지폐(또는 지엽류, 유가증권), 또는 위폐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지폐(또는 지엽류, 유가증권)를 걸러내기 위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가령, 새로 인쇄된 지폐의 경우 SN(Serial Number) 정보가 순차적이거나 일정한 패턴을 가질 수 있으며, 지폐 발행 기관으로부터 도난된 지폐 원판을 이용하여 인쇄된 지폐(또는 지엽류, 유가증권)의 경우나 위조된 지폐의 경우, 지폐의 특징은 진폐와 차이가 없으나 SN 정보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폐의 특징은 진폐와 차이가 없다고 하더라도 도난된 지폐(또는 지엽류, 유가증권), 또는 위폐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지폐(또는 지엽류, 유가증권)를 걸러내기 위한 기능이 요구되고 있으며, 은행 등(예 : 은행, 경찰, 보안 업체, 정부 기관 등)에서는 이러한 사고 위험이 있는 지폐(즉, 도난된 지폐 또는 지엽류, 유가증권, 또는 위폐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지폐 또는 지엽류, 유가증권)를 지폐 블랙리스트로 관리한다.
따라서 이러한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를, 특정 국가내의 특정 지역이나 전 지역, 또는 전 세계의 지폐 정사기들에 신속하게 일괄 등록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12254호(2008.03.04. 등록, 지폐 판별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은행 등에서 사고 위험이나 위폐로 의심되는 지폐들에 대한 블랙리스트를 온라인으로 지폐 정사기들에 신속하게 등록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는, 온라인상에서 지폐 블랙리스트를 등록받고, 지정된 지역에 있는 지폐 정사기들이나 지정된 지폐 정사기들에 자동으로 전송함으로써 신속한 업무 대응과 사고 예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폐 블랙리스트 관리를 위한 지폐 정사기는, 입력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지폐 블랙리스트 등록 모드를 선택받기 위한 모드 선택부; 지폐의 계수와 지폐의 정사 감별 동작을 수행하며, 지폐 계수 중 상기 지폐 블랙리스트에 포함된 지폐를 검출하는 지폐 정사부; 및 서버 장치와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상기 지폐 정사부에서 검출한 지폐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지폐 발견 정보를 온라인으로 상기 서버 장치에 전달하거나 지정된 사용자의 정보통신 단말에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는, 은행을 포함한 지정된 기관에서 사고 위험이나 위폐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지폐, 지엽류, 및 유가증권을 리스트 형태로 관리하는 정보로서, 정보통신 단말이나 이동형 저장장치로부터 지폐 정사기 자체에 구비된 통신 포트를 통해 직접 전송되어 등록되거나, 온라인 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후, 서버 장치가 자동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를 인출하여 미리 지정된 지폐 정사기들에 일괄 또는 개별 전송하여 등록되는 것이며, 또한, 지폐 정사기를 통해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접속되어 저장되거나, 웹 서비스 또는 앱 서비스 화면이나 프로그램에 접속되어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접속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지폐 블랙리스트 관리를 위한 서버 장치는, 지폐 정사기에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를 전달하거나 상기 지폐 정사기로부터 지폐 발견 정보를 전달받아 지폐 블랙리스트를 관리하는 서버 장치로서, 웹 또는 앱 서비스를 통한 지폐 블랙리스트 등록받아 관리하며, 지폐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지폐가 발견될 경우 상기 지폐 블랙리스트를 갱신하여 등록을 관리하는 지폐 블랙리스트 등록 관리부; 국가별 및 지역별로 설치 운용되는 지폐 정사기들을 관리하며, 이에 따라 지폐 블랙리스트를 지폐 정사기들에 일괄 또는 개별 전송할 수 있게 하는 지폐 정사기 관리부; 지폐 블랙리스트를 등록 신청한 사용자들을 관리하며, 이에 따라 지폐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지폐가 발견될 경우, 그 즉시 상기 사용자들에 지폐 발견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지폐 블랙리스트 등록 사용자 관리부; 및 상기 미리 지정된 접속 대상과 통신하여 지폐 블랙리스트 및 지폐 발견 정보를 각기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웹 또는 앱 서비스를 통해서 사용자가 등록한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를 파일 형태로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웹 또는 앱 서비스를 통해서 미리 등록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웹 또는 앱 서비스를 통해서 입력한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지폐 발견 정보를 반영하여 갱신된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갱신된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를 다시 지폐 정사기들에 일괄 또는 개별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지폐 블랙리스트 관리를 위한 서버 장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웹 또는 앱 서비스를 통해 지폐 블랙리스트 등록을 신청할 경우, 서버 장치가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지폐 블랙리스트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등록 신청한 지폐 블랙리스트가 저장될 경우, 실시간으로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지폐 블랙리스트를 인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인출한 지폐 블랙리스트를 미리 지정된 지폐 정사기들에 일괄 또는 개별 전송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지폐 블랙리스트 관리를 위한 지폐 정사기의 제어 방법은,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가 등록된 지폐 정사기에서 상기 지폐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지폐가 검출 또는 발견될 경우, 상기 지폐 정사기가 이 지폐 발견 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함과 아울러 지정된 방식에 따라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지폐 정사기가 상기 지폐 발견 정보를 온라인을 통해 서버 장치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지폐 정사기가 지정된 사용자의 정보통신 단말에 상기 지폐 발견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지폐 블랙리스트 관리를 위한 서버 장치의 제어 방법은,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가 등록된 지폐 정사기에서 상기 지폐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지폐가 검출 또는 발견될 경우, 서버 장치가 상기 지폐 정사기로부터 온라인으로 지폐 발견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온라인을 통해 전달받은 지폐 발견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지폐 발견 정보를 지정된 사용자의 정보통신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지폐 발견 정보를 전달받은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지폐 발견 정보를 반영하여 지폐 블랙리스트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갱신된 지폐 블랙리스트를 미리 지정된 지폐 정사기들에 일괄 또는 개별 전송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은행 등에서 사고 위험이나 위폐로 의심되는 지폐들에 대한 블랙리스트를 온라인으로 지폐 정사기들에 신속하게 등록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는, 온라인상에서 지폐 블랙리스트를 등록받고, 지정된 지역에 있는 지폐 정사기들이나 지정된 지폐 정사기들에 자동으로 전송함으로써 신속한 업무 대응과 사고 예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블랙리스트 관리를 위한 지폐 정사기와 서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지폐 정사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서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웹 서비스나 앱 서비스를 통한 지폐 블랙리스트 등록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폐 블랙리스트를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폐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지폐의 발견 후 지폐 블랙리스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폐 블랙리스트 관리를 위한 지폐 정사기와 서버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형태, 구성요소간 연결관계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또는 간략히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개념적으로 설명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구성요소들에 대한 "~부", "~자", "~장치" 등의 표현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의도로 사용되지 않으며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고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하거나 구비한다고 하는 등의 표현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각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블랙리스트 관리를 위한 지폐 정사기와 서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폐 블랙리스트 관리를 위한 지폐 정사기와 서버 장치는, 지폐의 계수는 물론 받아들인 지폐가 정당한 것인지, 지폐 유통에 적합한 것인지 혹은 폐기 대상인지를 감별하고, 지폐 블랙리스트에 해당하는 지폐를 검출하는 지폐 정사기(100), 및 상기 지폐 정사기(100)를 통해 검출되는 지폐 데이터를 온라인을 통해 자동으로 수집하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를 지정된 지역에 있는 지폐 정사기들이나 지정된 지폐 정사기들에 자동으로 전송하여 등록하는 서버 장치(20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지폐 블랙리스트는 지폐 거래 사고 위험이나 위폐로 의심되는 SN(Serial Number)의 전부 또는 일부의 SN 정보(예 : SN 발췌 이미지, SN 문자) 및/또는 패턴을 기본으로 이용하여 설정되지만, 지폐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 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SN 정보와 상기 지폐 데이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 정보가 조합되어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지폐 데이터는 가시광(RGB별)/IR 반사/투과 지폐 이미지, SN 정보(예 : SN 발췌 이미지, SN 문자), 및 센서 데이터 등이 포함되는데, 인터넷 환경이나 전송용량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지폐 이미지만 압축하거나, 지폐 이미지와 SN 이미지(즉, SN 영역만 발췌한 이미지)만 압축되거나, 상기 세 가지 이미지가 모두 압축될 수도 있다.
상기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는, 정보통신 단말(예 :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PC, 스마트단말기 등)이나 이동형 저장장치(예 : USB 메모리 등)로부터 상기 지폐 정사기(100) 자체에 구비된 지폐 블랙리스트 등록 장치(예 :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 등록을 위한 메뉴나 버튼, 및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통신포트 등)(미도시)에 직접 전송되어 등록되거나, 또는 온라인 상으로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된 후, 상기 서버 장치(200)가 자동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되어 있는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를 해당하는 지폐 정사기들(예 : 특정 국가내의 특정 지역이나 전 지역, 또는 전 세계의 지폐 정사기들)에 일괄(또는 개별) 전송 또는 브로드캐스팅함으로써 등록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되는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는, 사용자(10)가 상기 지폐 정사기(100)를 이용하여 온라인 상으로 해당 데이터베이스(20)에 접속하여 저장하거나, 사용자가(10)가 상기 지폐 정사기(100)의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별도의 웹 서비스(또는 앱 서비스) 화면(또는 프로그램)에 접속하여 온라인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폐 정사기(100)는 상기 지폐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지폐가 발견될 경우, 이 지폐 발견 정보(예 : 지폐 데이터 및 해당 지폐 정사기 정보(즉, 지폐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지폐를 발견한 지폐 정사기의 정보)가 포함된 지폐 발견 정보)를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함과 아울러 자체적으로 지정된 방식에 따라 알람을 출력하고, 또한 상기 지폐 발견 정보(예 : 지폐 데이터 및 해당 지폐 정사기 정보(즉, 지폐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지폐를 발견한 지폐 정사기의 정보)가 포함된 지폐 발견 정보)를 온라인을 통해 상기 서버 장치(200)에 전달함과 아울러 지정된 사용자(10)(예 : 은행, 경찰, 보안 업체, 정부 기관 등)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정된 사용자(10)는 지폐 블랙리스트를 등록한 사용자 혹은 지폐 블랙리스트 등록을 요청(또는 신청)한 사용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버 장치(200)는 상기 온라인을 통해 전달받은 지폐 발견 정보(예 : 지폐 데이터 및 해당 지폐 정사기 정보(즉, 지폐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지폐를 발견한 지폐 정사기의 정보)를 포함하는 지폐 발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하고, 아울러 지정된 사용자(10)(예 : 은행, 경찰, 보안 업체, 정부 기관 등)에게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 장치는 하나의 서버로 구현되거나, 단순 반복적인 작업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다수의 서버를 통한 병렬 및 분산 처리 방식,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지폐 정사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서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며, 도 4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웹 서비스나 앱 서비스를 통한 지폐 블랙리스트 등록 화면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지폐 정사기(100)는 모드 선택부(110), 지폐 정사부(120), 및 통신부(130)를 필수 구성요소로서 포함한다.
상기 모드 선택부(110)는 지폐 정사기(100)의 사용자의 조작이나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일종의 입력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모드를 선택받는다.
예컨대 상기 모드 선택부(110)는 지폐 블랙리스트 등록 모드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지폐 블랙리스트 등록 모드는, 상기 지폐 정사기(100)를 통해 지폐들이 계수될 때 지폐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지폐들을 검출하고, 상기 지폐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지폐들이 검출(또는 발견)되면 지정된 알람을 수행하고, 또한 이 지폐 발견 정보를 지정된 대상(예 : 사용자, 서버 장치)에 전달하는 모드이다.
한편 상기 지폐 블랙리스트 등록 모드를 통해서 지폐 블랙리스트를 등록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가령, 정보통신 단말이나 이동형 저장장치로부터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를 직접 전송받아 등록하는 방식, 또는 상기 서버 장치(200)로부터 온라인 상으로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를 해당하는 전송 또는 브로드캐스팅받아 등록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지폐 정사부(120)는 상기 지폐 정사기(100)의 실질적인 제어부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폐 정사기(100)에 포함된 지폐 계수를 위한 기구적인 수단 및 센서를 제어하여, 지폐의 계수와 지폐의 정사 감별 동작을 수행한다. 예컨대 상기 지폐 정사부(120)는 지폐의 권종, 위/변조지폐 감별, 지폐 계수, 및 지폐 정사를 수행하고, 또한 상기 지폐 정사부(120)는 지폐 계수 중 상기 지폐 블랙리스트에 포함된 지폐를 검출한다.
상기 통신부(130)(예 : USB 포트, HDMI 포트, Serial 포트, Parallel 포트, 적외선 모듈, NFC 모듈, 블루투스 모듈 등)는 정보통신 단말이나 이동형 저장장치와 직접 연결되거나, 상기 서버 장치(200)와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상기 지폐 정사부(120)에서 검출(또는 발견)한 지폐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지폐 발견 정보(예 : 지폐 데이터 및 해당 지폐 정사기 정보(즉, 지폐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지폐를 발견한 지폐 정사기의 정보)를 포함하는 지폐 발견 정보)를 온라인 상으로 상기 서버 장치(200)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130)는 미리 지정된 정보통신 단말(예 : PC, 태블릿PC, 스마트폰, 노트북PC 등)과 유선이나 무선 방식으로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정보통신 단말을 통해 상기 지폐 정사기(100)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무선 방식에는 와이파이(WiFi)를 포함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나 이동통신(예 : 3G, 4G, LTE 등)을 포함한 원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서버 장치(200)는 지폐 블랙리스트 등록 관리부(210), 지폐 정사기 관리부(220), 지폐 블랙리스트 등록 사용자 관리부(230), 및 통신부(240)를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지폐 블랙리스트 등록 관리부(210), 지폐 정사기 관리부(220), 지폐 블랙리스트 등록 사용자 관리부(230), 및 통신부(240)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서버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폐 블랙리스트 등록 관리부(210)는 웹 서비스나 앱 서비스를 통한 지폐 블랙리스트 등록을 받아 관리하며, 상기 지폐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지폐가 발견될 경우 상기 지폐 블랙리스트를 갱신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지폐 블랙리스트 등록 관리부(210)는 웹이나 앱 서비스를 통해 전송받은 지폐 블랙리스트를 가공하고 소정의 관리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관리한다.
상기 지폐 정사기 관리부(220)는 국가별 및 지역별로 설치 운용되는 지폐 정사기들을 관리한다. 이에 따라 지폐 블랙리스트를 일괄(또는 개별) 전송 또는 브로드캐스팅할 때, 이 전송 대상이 되는 지폐 정사기들을 선택적으로 지정하거나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폐 블랙리스트 등록 사용자 관리부(230)는 지폐 블랙리스트를 등록한(또는 등록 신청한) 사용자(예 : 은행, 경찰, 보안 업체, 정부 기관 등)들을 관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지폐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지폐가 발견될 경우, 그 즉시 상기 사용자(예 : 은행, 경찰, 보안 업체, 정부 기관 등)들의 연락처(예 : 이-메일, 전화, SNS 등)를 바탕으로 지폐 발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통신부(240)는 미리 지정된 접속 대상(예 : 웹 또는 앱 서비스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사용자의 지정된 정보통신 단말 등)별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미리 지정된 접속 대상과 통신하여 필요한 정보를 각기 송수신한다.
예컨대 상기 통신부(240)는 웹 또는 앱 서비스(30)를 통해서 사용자(10)가 등록한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를 파일 형태로 수신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10)가 웹 또는 앱 서비스(30)를 통해서 미리 등록된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24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0)에 사용자(10)가 상기 웹 또는 앱 서비스(30)를 통해서 입력한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갱신된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240)는 상기 갱신된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를 다른 지폐 정사기들에 전송 또는 브로드캐스팅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240)는 미리 지정된 사용자의 정보통신 단말(예 : PC, 태블릿PC, 스마트폰, 노트북PC 등)로부터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를 입력 받거나, 또는 지폐 발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를 입력(또는 등록)받기 위한 웹 또는 앱 서비스 화면은, 키워드를 입력받아 기존에 등록된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메뉴 구성, 파일 형태의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를 등록/전송/삭제할 수 있는 메뉴 구성, 및 검색된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를 목록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메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메뉴 구성들의 형태나 배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폐 블랙리스트를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폐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지폐의 발견 후 지폐 블랙리스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10)가 지폐 블랙리스트 등록을 신청할 경우(S101의 예), 서버 장치(200)는 웹 또는 앱(또는 웹 또는 앱 서비스 서버)(30)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20)에 상기 사용자가 등록 신청한 지폐 블랙리스트를 저장한다(S102).
이 때 상기 지폐 블랙리스트는, 상기 지폐 정사기(100)의 지폐 블랙리스트 등록 모드를 통해서 지폐 블랙리스트를 등록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가령, 정보통신 단말이나 이동형 저장장치로부터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를 직접 전송받아 등록하는 방식, 또는 상기 서버 장치(200)로부터 온라인 상으로 해당하는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를 전송 또는 브로드캐스팅 받아 등록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버 장치(200)로부터 온라인 상으로 해당하는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를 전송 또는 브로드캐스팅 받아 등록하는 방식이 선택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사용자가 등록 신청한 지폐 블랙리스트가 저장 완료될 경우, 실시간으로 상기 서버 장치(20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0)에서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를 인출하여(S103), 미리 지정된 지폐 정사기들(예 : 특정 국가내의 특정 지역이나 전 지역, 또는 전 세계의 지폐 정사기들)에 일괄(또는 개별) 전송(또는 브로드캐스팅)하여 등록한다(S104).
도 6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가 등록된 지폐 정사기(100)에서 상기 지폐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지폐가 검출(또는 발견)될 경우(S201 예), 상기 지폐 정사기(100)는 이 지폐 발견 정보(예 : 지폐 데이터 및 해당 지폐 정사기 정보(즉, 지폐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지폐를 발견한 지폐 정사기의 정보)가 포함된 지폐 발견 정보)를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함과 아울러 자체적으로 지정된 방식에 따라 알람을 출력하고, 또한 상기 지폐 발견 정보를 온라인을 통해 상기 서버 장치(200)에 전달함과 아울러 지정된 사용자(10)(예 : 은행, 경찰, 보안 업체, 정부 기관 등)에게 전달한다(S202).
또한 상기 온라인을 통해 전달받은 지폐 발견 정보를 전달받은 상기 서버 장치(200)는 상기 전달받은 지폐 발견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하고, 아울러 상기 지폐 발견 정보를 지정된 사용자(10)에게 전달한다(S203).
이 때 상기 지폐 발견 정보를 지정된 사용자(10)에게 전달한다는 의미는, 미리 지정된 사용자의 정보통신 단말(예 : PC, 태블릿PC, 스마트폰, 노트북PC 등)에 지폐 발견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지폐 정사기(100)가 지폐 발견 정보를 전달하는 사용자(예 : 지폐 정사기에 직접 지폐 블랙리스트를 등록한 사용자)는 제한적이며, 상기 서버 장치(200)가 지폐 발견 정보를 전달하는 사용자(예 : 웹 또는 앱 서비스를 통해 지폐 블랙리스트를 등록한 사용자)는 포괄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폐 발견 정보를 전달받은 상기 서버 장치(200)는 기존의 지폐 블랙리스트를 갱신하여 상기 갱신된 지폐 블랙리스트를 미리 지정된 지폐 정사기들(예 : 특정 국가내의 특정 지역이나 전 지역, 또는 전 세계의 지폐 정사기들)에 일괄(또는 개별) 전송(또는 브로드캐스팅)하여 등록한다(S204).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은행 등에서 사고 위험이나 위폐로 의심되는 지폐들에 대한 블랙리스트를 온라인으로 지폐 정사기들에 신속하게 등록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온라인상에서 지폐 블랙리스트를 등록받고, 지정된 지역에 있는 지폐 정사기들이나 지정된 지폐 정사기들에 자동으로 일괄 전송함으로써 신속한 업무 대응과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100 : 지폐 정사기
110 : 모드 선택부
120 : 지폐 정사부
130 : 통신부
200 : 서버 장치
210 : 지폐 블랙리스트 등록 관리부
220 : 지폐 정사기 관리부
230 : 지폐 블랙리스트 등록 사용자 관리부
240 : 통신부

Claims (6)

  1. 입력수단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지폐 블랙리스트 등록 모드를 선택받기 위한 모드 선택부;
    지폐의 계수와 지폐의 정사 감별 동작을 수행하며, 지폐 계수 중 상기 지폐 블랙리스트에 포함된 지폐를 검출하는 지폐 정사부; 및
    서버 장치와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상기 지폐 정사부에서 검출한 지폐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지폐 발견 정보를 온라인으로 상기 서버 장치에 전달하거나 지정된 사용자의 정보통신 단말에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는,
    은행을 포함한 지정된 기관에서 사고 위험이나 위폐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지폐, 지엽류, 및 유가증권을 리스트 형태로 관리하는 정보로서,
    정보통신 단말이나 이동형 저장장치로부터 지폐 정사기 자체에 구비된 통신 포트를 통해 직접 전송되어 등록되거나, 온라인 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후, 서버 장치가 자동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를 인출하여 미리 지정된 지폐 정사기들에 일괄 또는 개별 전송하여 등록되는 것이며, 또한, 지폐 정사기를 통해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접속되어 저장되거나, 웹 서비스 또는 앱 서비스 화면이나 프로그램에 접속되어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접속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블랙리스트 관리를 위한 지폐 정사기.
  2. 지폐 정사기에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를 전달하거나 상기 지폐 정사기로부터 지폐 발견 정보를 전달받아 지폐 블랙리스트를 관리하는 서버 장치로서,
    웹 또는 앱 서비스를 통한 지폐 블랙리스트 등록받아 관리하며, 지폐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지폐가 발견될 경우 상기 지폐 블랙리스트를 갱신하여 등록을 관리하는 지폐 블랙리스트 등록 관리부;
    국가별 및 지역별로 설치 운용되는 지폐 정사기들을 관리하며, 이에 따라 지폐 블랙리스트를 지폐 정사기들에 일괄 또는 개별 전송할 수 있게 하는 지폐 정사기 관리부;
    지폐 블랙리스트를 등록 신청한 사용자들을 관리하며, 이에 따라 지폐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지폐가 발견될 경우, 그 즉시 상기 사용자들에 지폐 발견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지폐 블랙리스트 등록 사용자 관리부; 및
    미리 지정된 접속 대상과 통신하여 지폐 블랙리스트 및 지폐 발견 정보를 각기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블랙리스트 관리를 위한 서버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웹 또는 앱 서비스를 통해서 사용자가 등록한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를 파일 형태로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웹 또는 앱 서비스를 통해서 미리 등록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웹 또는 앱 서비스를 통해서 입력한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지폐 발견 정보를 반영하여 갱신된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갱신된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를 다시 지폐 정사기들에 일괄 또는 개별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블랙리스트 관리를 위한 서버 장치.
  4. 사용자가 웹 또는 앱 서비스를 통해 지폐 블랙리스트 등록을 신청할 경우, 서버 장치가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지폐 블랙리스트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등록 신청한 지폐 블랙리스트가 저장될 경우, 실시간으로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지폐 블랙리스트를 인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인출한 지폐 블랙리스트를 미리 지정된 지폐 정사기들에 일괄 또는 개별 전송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블랙리스트 관리를 위한 서버 장치의 제어 방법.
  5.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가 등록된 지폐 정사기에서 상기 지폐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지폐가 검출 또는 발견될 경우, 상기 지폐 정사기가 이 지폐 발견 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함과 아울러 지정된 방식에 따라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지폐 정사기가 상기 지폐 발견 정보를 온라인을 통해 서버 장치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지폐 정사기가 지정된 사용자의 정보통신 단말에 상기 지폐 발견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블랙리스트 관리를 위한 지폐 정사기의 제어 방법.
  6. 지폐 블랙리스트 정보가 등록된 지폐 정사기에서 상기 지폐 블랙리스트에 등록된 지폐가 검출 또는 발견될 경우, 서버 장치가 상기 지폐 정사기로부터 온라인으로 지폐 발견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온라인을 통해 전달받은 지폐 발견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지폐 발견 정보를 지정된 사용자의 정보통신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지폐 발견 정보를 전달받은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지폐 발견 정보를 반영하여 지폐 블랙리스트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 장치가 상기 갱신된 지폐 블랙리스트를 미리 지정된 지폐 정사기들에 일괄 또는 개별 전송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블랙리스트 관리를 위한 서버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00072925A 2020-06-16 2020-06-16 지폐 블랙리스트 관리를 위한 지폐 정사기와 서버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KR102353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925A KR102353956B1 (ko) 2020-06-16 2020-06-16 지폐 블랙리스트 관리를 위한 지폐 정사기와 서버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925A KR102353956B1 (ko) 2020-06-16 2020-06-16 지폐 블랙리스트 관리를 위한 지폐 정사기와 서버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555A KR20210155555A (ko) 2021-12-23
KR102353956B1 true KR102353956B1 (ko) 2022-01-24

Family

ID=79175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925A KR102353956B1 (ko) 2020-06-16 2020-06-16 지폐 블랙리스트 관리를 위한 지폐 정사기와 서버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9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330B1 (ko) 2013-06-21 2014-10-22 기산전자 주식회사 웹 조정프로그램을 이용한 지폐 감별기의 최적화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983B1 (ko) * 2014-02-06 2016-08-02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
KR20190016289A (ko) * 2017-08-08 2019-02-18 기산전자 주식회사 지폐계수기 원격제어 방법
KR101954844B1 (ko) * 2017-08-18 2019-03-08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무인 카드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문자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330B1 (ko) 2013-06-21 2014-10-22 기산전자 주식회사 웹 조정프로그램을 이용한 지폐 감별기의 최적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555A (ko)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5911B2 (en) Bill handling machine
JP4362339B2 (ja) 紙幣取扱装置
KR101452330B1 (ko) 웹 조정프로그램을 이용한 지폐 감별기의 최적화 장치 및 방법
JP5302933B2 (ja) 紙葉類判別装置
WO2012162960A1 (zh) 一种纸币或者票据的管理系统及服务器
US8602295B1 (en) Selectable recognition of currency deposited into a cash handling device
KR101511043B1 (ko) 위조지폐의 감지, 신고, 통합관리가 가능한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223316B1 (ko) 지엽류 감별 시스템, 지엽류 감별 방법 및 지엽류 처리 장치
JP2012242868A (ja) 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識別アルゴリズム更新プログラム
JP6720667B2 (ja) 自動取引装置
KR102353956B1 (ko) 지폐 블랙리스트 관리를 위한 지폐 정사기와 서버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JP2013246771A (ja) 紙葉類取扱装置、紙葉類取扱方法、紙葉類取扱装置を含む自動取引システム
WO2020054431A1 (ja) 貨幣情報提供システム、貨幣情報提供用データベースサーバ、貨幣情報提供方法及び貨幣情報提供プログラム
US20200005575A1 (en)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paper sheet processing system and paper sheet processing method
KR102080841B1 (ko)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폐 정사기 및 매니징 장치와 이들의 제어 방법
KR102341893B1 (ko) 지폐 데이터 자동 수집을 통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최신화를 위한 지폐 정사기와 서버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JP6270374B2 (ja) 紙葉類管理システム及び紙葉類管理方法
KR101460779B1 (ko)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1105550A (zh) 一种金库管理方法和相关设备
KR102490654B1 (ko) 레퍼런스 지폐 정보 현지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WO2022130962A1 (ja) 有価媒体監視システム、有価媒体監視方法、サーバ及び端末装置
KR102625024B1 (ko) 지폐 계수기의 판별 결과 처리 장치
JP2004295782A (ja) 貨幣取引装置及び紙幣情報の管理システム
KR101619151B1 (ko) 수표의 위변조 감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95495B1 (ko) 지폐 입출금에 따른 거래 내역 조회를 위한 단말장치, 지폐처리장치, 거래관리서버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