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841B1 -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폐 정사기 및 매니징 장치와 이들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폐 정사기 및 매니징 장치와 이들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841B1
KR102080841B1 KR1020180007180A KR20180007180A KR102080841B1 KR 102080841 B1 KR102080841 B1 KR 102080841B1 KR 1020180007180 A KR1020180007180 A KR 1020180007180A KR 20180007180 A KR20180007180 A KR 20180007180A KR 102080841 B1 KR102080841 B1 KR 102080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ment
recognition
banknote
bil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8728A (ko
Inventor
신광용
홍용제
지윤필
문수진
Original Assignee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7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841B1/ko
Publication of KR20190088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8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7/00Paper-money testing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제공할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거나 취득하는 지폐 정사기로서, 지폐 정사기의 메뉴 선택이나 모드 선택을 위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동작 명령이나 지시를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받는 조작부; 투입된 지폐의 특성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해 검출하는 판별부;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의 생성이나 취득을 위하여, 상기 판별부에서 검출된 지폐 특성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지폐 정사기와 매니징 장치를 유무선 방식으로 연결하거나, 상기 지폐 정사기와 사용자의 개인용 단말을 유무선 방식으로 연결하는 통신부; 상기 판별부를 통해 검출된 특성 정보를 바탕으로, 지폐의 권종, 위/변조지폐 감별, 지폐 계수, 및 지폐 정사를 수행하고, 또한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 또는 취득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지폐 정사기의 조작부가 조작됨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지폐 정사기의 동작 모드를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생성 모드로 전환하는 인식개발 모드부; 및 상기 인식개발 모드부가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생성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지폐 정사기 내에 지폐가 투입될 때마다 상기 투입된 지폐 한 장당 하나의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는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폐 정사기 및 매니징 장치와 이들의 제어 방법{BILL SORTER AND MANAGING APPARATUS FOR REMOTELY DEVELOPING BILL RECOGNITION PROGRA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폐 정사기 및 매니징 장치와 이들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폐 인식 프로그램에 대한 개발이 요청될 경우 온라인상에서 이를 접수하여 원격으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폐 정사기 및 매니징 장치와 이들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지폐 정사기는 지폐의 계수는 물론 받아들인 지폐가 정당한 것인지, 지폐 유통에 적합한 것인지 혹은 폐기 대상인지를 감별한다. 예컨대 지폐의 정사(즉, 새지폐, 유통지폐, 훼손지폐 등으로 분류)를 감별하거나 위조지폐인지 여부를 감별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지폐 정사기는 지폐 권종 인식(예를 들면 천원권, 오천원권, 만원권, 달러화, 위안화, 유로화, 엔화 등), 위/변조지폐 감별 뿐만 아니라, 지폐 계수나 지폐 정사(예를 들어 낙서, 오염, 찢어짐 등 훼손의 정도로 유통 가능 또는 불가능한 상태를 식별), 지폐 일련번호 인식 기능을 구비한 각종 지폐 처리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폐 정사기는, 단지 지폐에만 한정하지 않고, 은행권, 수표, 어음, 유가증권, 증서, 종이 매체(medium), 상품권, 쿠폰, 티켓, 상표부착물, 신분증 등의 지엽류도 처리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지폐 정사기는 은행, 단자회사, 환전소, 신용금고, 야간은행, 우체국과 같은 금융기관, 주유소, 유흥업소, 대중음식점, 호텔과 같은 야간업소, 백화점, 일반사무실, 슈퍼마켓, 면세점, 연쇄점, 편의점과 같이 유가증권, 수표 및 현금을 취급하는 사업장이나 업소에서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지폐 정사기는 어느 한 지역이나 국가에 한정되지 않고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지역이나 국가에 수출되어 설치 및 운용되고 있으며, 새로운 지폐 정사기를 구매처 현지에 설치하여 운용할 경우, 지폐 정사기를 새로운 사용처, 즉 새로운 지역 또는 국가에 판매하여 설치 및 운용하는 경우, 새로운 지폐 권종이 추가로 발행되는 경우, 신규 위조지폐가 발견될 경우, 그리고 새로운 지폐 유형(예: 어촌 지역의 경우 습도가 높은 상태의 지폐들, 농촌 지역의 경우 흙 등 특정 오염물로 오염된 지폐들, 특정 방향으로 지폐를 접어서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 지역에서 나타나는 일부 변형된 지폐들 등)이 발견될 경우에, 이에 대한 상기 지폐 정사기의 최적화 상태(즉, 지폐 권종 인식, 정사 판별, 위/변조 지폐 판별 및 지폐 계수 작업 등을 위한 상기 지폐 정사기에 탑재된 각종 센서들의 문턱값이나 세팅값,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설정 정보, 동작 제어 정보 등이 지폐 판별 및 정상 동작에 최적화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현지 국가에서 실제로 유통되는 상기와 같은 경우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지폐(예 : 새지폐, 유통지폐, 낡은 지폐, 구겨진 지폐, 구멍난 지폐, 찢어진 지폐, 낙서된 지폐, 위조지폐, 변조지폐, 젖은 지폐, 오염 지폐, 탈색 지폐, 소손 지폐, 일상에서 사용 중에 발생하는 여러 형태의 훼손된 지폐 등 다양한 유형의 지폐)를 이용하여 최적화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최적화 작업은, 기존의 지폐 정사기에 기설치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에 대한 업데이트를 통해 실시되거나, 기존에 설치된 것과는 다른 새로운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지폐 정사기에 설치하여 실시된다.
따라서 이하 본 발명에서의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은, 지폐 정사기가 설치되어 운용되는 현지에서 유통되는 상기와 같은 다양한 지폐들의 유형별 특성을 반영하는 상기 업데이트를 위한 지폐 인식 프로그램, 및 새로운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런데 기존에는 원격지로부터 지폐 정사기의 지폐 인식 프로그램에 대한 개발이 요청될 경우, 이 요청의 접수부터 개발, 배포까지 프로그램 개발자(또는 연구원)에 의존적인 수작업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프로그램 개발자(또는 연구원)의 숙련도에 따라 개발 기간 및 개발 결과물인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성능이나 품질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지폐들로부터 특징 정보들을 수작업으로 추출해내야 하므로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의 문제점이나, 개발 과정에서의 단순 반복적인 작업까지도 다수의 개발자를 투입하여 실시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개발 요청과 이에 부합하는 개발에 필요한 상기와 같은 다양한 지폐들의 유형별 특성들 및 해당 지폐 정사기의 상태를 포함한 각종 정보들을 취득하기가 쉽지 않았고 그러한 정보들을 생성하거나 취득하는 방식에 따라 생성되거나 취득된 해당 정보들의 신뢰성이 달라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12254호(2008.03.04. 등록, 지폐 판별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지폐 인식 프로그램에 대한 개발이 요청될 경우 온라인상에서 이를 접수하여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원격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폐 정사기와 매니징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개발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이 지폐 정사기별 편차에 강인해져 균일하고 정량적으로 신뢰성 있게 최적 성능을 유지 및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는, 원격으로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요청하여 접수하고 또 원격으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정보 파일(이하,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이라 함)을 생성하거나 취득할 수 있게 하여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그의 성능 및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으로는, 지폐 정사기를 운용하는 현지 사용자로부터의 사용 중 발생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개발 요청 이슈에 대응하는 해당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정보 파일(즉,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만을 생성하거나 취득할 수 있도록 하여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개발하고 관리 및 배포할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으로는, 사용자측의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 요청부터 접수,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의 생성과 취득,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 및 배포까지 전반적인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폐 정사기는,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제공할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거나 취득하는 지폐 정사기로서, 지폐 정사기의 메뉴 선택이나 모드 선택을 위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동작 명령이나 지시를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받는 조작부; 투입된 지폐의 특성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해 검출하는 판별부;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의 생성이나 취득을 위하여, 상기 판별부에서 검출된 지폐 특성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지폐 정사기와 매니징 장치를 유무선 방식으로 연결하거나, 상기 지폐 정사기와 사용자의 개인용 단말을 유무선 방식으로 연결하는 통신부; 상기 판별부를 통해 검출된 특성 정보를 바탕으로, 지폐의 권종, 위/변조지폐 감별, 지폐 계수, 및 지폐 정사를 수행하고, 또한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 또는 취득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지폐 정사기의 조작부가 조작됨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지폐 정사기의 동작 모드를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생성 모드로 전환하는 인식개발 모드부; 및 상기 인식개발 모드부가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생성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지폐 정사기 내에 지폐가 투입될 때마다 상기 투입된 지폐 한 장당 하나의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는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미리 정해진 규격에 맞게 생성하거나 취득하는 생성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은 정형화를 위해 처리된 한 장의 지폐마다 복수 종류의 정보 항목들을 포함하도록 메타 데이터 형식으로 구성되어 하나의 파일로 생성되되, 상기 정보 항목들은 압축해서 생성되는 정보와 압축되지 않고 생성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폐 정사기의 제어 방법은,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하여, 지폐 정사기가 개발 요청 접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개발 요청 접수 확인에 따라, 상기 지폐 정사기가 동작 모드를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거나 취득하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모드 전환에 따라, 상기 지폐 정사기 내에 지폐가 투입될 때마다 상기 투입된 지폐 한 장당 하나의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거나 취득하는 단계; 상기 지폐 정사기가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온오프 라인 방식으로 상기 매니징 장치에 전송하거나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전송하거나 전달한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에 기초하여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지폐 정사기가 상기 매니징 장치로부터 상기 개발 완료된 패키징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전송받거나 전달받는 단계; 및 상기 지폐 정사기가 상기 전송받거나 전달받은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기존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발 요청 접수를 확인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매니징 장치에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 요청 접수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 요청 접수 시, 국가권 종류, 지폐 정사기의 종류, 지폐 정보 전달 방식, 및 개발 요청 이슈 항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접수를 받으며, 상기 개발 요청 이슈 항목은, 신규 국가 개발, 권종 추가, 권종 인식, 위폐 미검출, 사이즈 변조 지폐 강제 배출, 정사 구분, 얼룩 지폐 미검출, 미인쇄 지폐 미검출, 파손 지폐 미검출, 테이프 미검출, 및 시리얼 넘버 미인식 항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매니징 장치는,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개발 요청 접수와 개발 완료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배포를 수행하는 매니징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을 통한 사용자의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 요청 접수를 받아 관리하는 요청서 관리자; 개발 완료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관리함과 동시에 이를 개발 요청하거나 구매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배포하거나 전달하고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이력을 관리하는 지폐 인식 프로그램 배포 관리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받은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에 포함된 복수 종류의 정보 항목들로부터 지폐 특성별 유효한 데이터로 선별하여 데이터베이스부에 전송하거나 저장하는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관리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관리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나 정보로서,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및 그에 포함된 복수 종류의 정보 항목들, 및 상기 선별된 유효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개발 서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매니징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받은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유효성 처리한 후 이 유효성 처리된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이 개발 서버내의 것과 중복되는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매니징 장치의 제어 방법은, 매니징 장치가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제공받는 단계; 상기 매니징 장치가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업데이트되기 전이나 새로 개발되기 전의 기존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해 지폐 인식 모듈별로 유효성 체크(Validation Check)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매니징 장치가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지폐 특성별 유효한 데이터로 선별하여 중복 정보를 제거한 후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정보를 이용하여 개발 요청 접수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이 완료되어 수신하면, 상기 매니징 장치가 상기 개발 완료된 패키징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지폐 정사기나 사용자 단말에 배포하거나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은 지역별, 국가별, 설치장소별, 기간별, 지폐 정사기 ID별, 지폐 정사기내 프로세서 종류별, 위폐별, 국가권별, 지폐면별, 지폐 유형별 및 권종별 중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분되어 생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는 지폐 정사기의 현지 사용자로부터의 지폐 인식 프로그램에 대한 개발의 요청과 접수,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의 생성과 취득,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 및 배포를 원격으로 처리 및 관리할 수 있어 편의성과 경제성 및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지폐 정사기를 운용하는 현지 사용자로부터의 여러 가지 형태의 개발 요청 이슈에 대응하는 해당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만을 생성하고 취득하여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현지의 요청 이슈에 상응하는 최적의 지폐인식 프로그램 개발 결과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해 개발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이 지폐 정사기별 편차에 강인해져 균일하고 정량적으로 신뢰성 있게 최적 성능을 유지 및 발휘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매니징 장치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상기 도 1 및 도 3에서, 지폐 정사기를 통해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여 취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5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개발 요청 접수 항목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테이블.
도 6은 상기 도 5에 있어서, 개발 요청 접수 항목을 웹 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접수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캡쳐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 7은 상기 도 5에 있어서, 개발 요청 접수 항목을 웹 프로그램을 통해 온라인으로 접수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캡쳐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상기 도 8에 있어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지폐 정사기에서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상기 도 9에 있어서, 지폐 정사기를 통해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거나 취득하는 경우에 지폐 정사기의 조작부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11은 상기 도 8에 있어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매니징 장치에서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2는 상기 도 11에 있어서, 개발 완료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웹 프로그램을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캡쳐 화면을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폐 정사기 및 매니징 장치와 이들의 제어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형태, 구성요소간 연결관계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또는 간략히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개념적으로 설명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구성요소들에 대한 "~부", "~자", "~장치" 등의 표현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의도로 사용되지 않으며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고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하거나 구비한다고 하는 등의 표현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각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 장치는, 사용자 단말(10)(예 : PC, 스마트폰, 지폐 정사기 등)을 통한 사용자(또는 딜러)의 개발 요청 접수(즉,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 요청 접수), 및 이 개발 요청 접수에 대응하는 개발 요청 접수 이벤트를 생성, 및/또는 개발 완료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수신 및 배포를 수행하는 매니징 장치(100)를 포함한다.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매니징 장치(1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상기 매니징 장치(100)는 요청서 관리자(110), 지폐 인식 프로그램(또는 S/W) 배포 관리자(120), 및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관리자(130)를 포함한다.
상기 요청서 관리자(110)는 사용자(또는 딜러)의 개발 요청 접수(즉,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 요청 접수)를 받아 관리하며, 상기 개발 요청 접수에 따른 요청 사항들을 개발 서버(300)나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 장치(즉, 사용자 단말(10)과 매니징 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 장치)의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모듈이다.
상기 지폐 인식 프로그램 배포 관리자(120)는 개발 완료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또는 S/W)을 관리함과 동시에 이를 개발 요청하거나 구매하는 사용자(또는 딜러)에게 배포하거나, 사용자 단말(10)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지폐 인식 프로그램 배포 관리자(120)는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이력(또는 버전), 지폐 정사기별 또는 설치 지역별 업데이트(또는 인스톨) 이력 등을 관리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10)이 PC나 스마트폰 같은 휴대형 정보통신장치와 지폐 정사기(도 4의 11)가 별도의 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매니징 장치(100)의 지폐 인식 프로그램 배포 관리자(120)는 상기 개발 완료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상기 지폐 정사기(도 4의 11)의 통신부(11d)를 통해 지폐 정사기(도 4의 11)에 전송하여 배포할 수도 있고, 상기 정보통신장치(예 : PC나 스마트폰 등)를 통해 지폐 정사기(도 4의 11)에 전달하여 배포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관리자(13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받은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정보 파일(즉,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에 포함된 복수 종류의 정보 항목들로부터 지폐 특성(예 : 권종, 정사, 위폐, 테이프, 파손, 일련번호 등)별 유효한 데이터로 선별(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부(200)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개발 서버(300)가 상기 개발 요청 접수된 요청 사항들에 대응하는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관리자(13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00)로부터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나 정보 등(예컨대,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그에 포함된 복수 종류의 정보 항목들 및/또는 상기 분류(선별)된 유효한 데이터 등)을 참조할 수 있도록 상기 개발 서버(30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관리자(130)는 개발 요청 사항에 부합되게 지폐 정사기(11)에서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거나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생성/취득 프로그램을 생성하거나 업데이트하거나 사용자 단말(10)에 배포하는 등의 관리를 더 수행한다. 이에 의해. 지폐 정사기(11)는 전달받은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생성/취득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생성부(11f)에 의해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관리자(130)는 실시 환경 및 설계 목적에 따라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생성/취득 프로그램에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구성하는 각종 정보들을 국가권 기반 또는 개발 대상이 되는 지폐 정사기 기반으로 정형화(예: 메타 데이터 구조체화 또는 메타 파일화 등)하는 기능을 더 포함되게 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매니징 장치(100)의 각 모듈(110, 120, 130)은 반드시 매니징 장치(100) 내에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매니징 장치(300)의 각 모듈(110, 120, 130)은 개별적인 서버 형태로 구현되거나, 다른 상위 서버에 포함되는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니징 장치(100) 및 그의 각 구성요소(110, 120, 130)들은 클라우드 상에 논리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00)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니징 장치(100)에 대해 독립적으로 구성되거나, 상기 매니징 장치(100) 내의 다른 구성요소(110, 120, 130)들과 마찬가지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니징 장치(100) 내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매니징 장치(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로부터 받은(또는 취득한)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유효성 처리한 후, 이 유효성 처리된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이 상기 개발 서버(300)내의 것과 비교하여 중복되지 않으면, 상기 유효성 처리된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상기 개발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 요청 방법과 상기 개발 요청을 접수하여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개발 요청 접수는, 기본적으로 온라인(예 : 이-메일, 웹 페이지, 웹 프로그램 등)을 통해 수행된다(도 6의 웹 페이지 화면 및 도 7의 웹 프로그램 화면 참조).
예컨대 상기 개발 요청 접수(즉,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 요청 접수)는,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자의 온라인 웹 페이지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행될 수 있다(도 6 참조). 또한 상기 개발 요청 접수(즉,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 요청 접수)는,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자의 온라인 웹 프로그램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도 7 참조).
다만, 상기 개발 요청 접수는 이-메일, 웹 페이지, 및 웹 프로그램을 통한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형 정보통신장치(예 : PC나 스마트폰 등), 전자 매체, 스마트 기기의 앱, 네트워킹 되는 지폐 정사기 등의 다른 온라인 방식을 통해서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개발 요청 접수와 함께 필요한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도 같이 제공되어야 한다. 다만, 상기 개발 요청 접수와 동시에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이 반드시 함께 제공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개발 요청을 먼저 접수한 이후에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이 추후에 따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은 상기 개발 요청 접수 방법과 마찬가지로 온라인을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보안 상황을 고려하여 오프라인 방식(예 : 지폐 인식 개발용 정보파일이 저장된 휴대용 저장 장치를 이용한 오프라인 방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은 본 발명에 따른 지폐 정사기(도 4의 11 참조)를 통해서 생성되고 취득(또는 수집)될 수 있다.
상기 지폐 정사기(도 4의 11)에서 생성하거나 취득한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은, 상기 지폐 정사기(도 4의 11)가 상기 매니징 장치(100)에 접속(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직접 전송될 수 있으며, 소정의 중계 매체(예 : 휴대용 저장장치, PC, 혹은 스마트폰 등)에 저장되어 상기 매니징 장치(100)에 제공(또는 전달)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개발 요청 접수 시 온라인을 통해 업로드 하는 방식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4는 상기 도 1 및 도 3에서, 지폐 정사기를 통해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여 취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정사기(11)는 조작부(11a), 판별부(11b), 저장부(11c), 통신부(11d), 인식개발 모드부(11e), 인식 개발용 정보파일 생성부(11f), 및 제어부(11g)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11a)는 지폐 정사기의 메뉴 선택이나 모드 선택(예 : 지폐 판별 모드, 인식 개발 모드, 단순 계수 모드 등)을 위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동작 명령이나 지시를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받는다.
상기 판별부(11b)는 투입된 지폐의 특성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해 검출한다.
상기 저장부(11c)는,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의 생성이나 취득을 위하여, 상기 판별부(11b)에서 검출된 지폐 특성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지폐 특성 정보는 압축되거나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1c)는 지폐 판별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폐 판별 기준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거나 취득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으며, 통신부(11d)를 통해 배포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참고로,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에는 가시광(RGNB별)/IR 반사/투과 지폐 이미지, SN 이미지, 및 센서 데이터 등이 포함되는데, 현지의 인터넷 환경이나 전송용량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정보파일 생성시에 지폐 이미지만 압축하거나, 지폐 이미지와 SN 이미지(즉, SN 영역만 발췌한 이미지)만 압축하거나, 상기 세 가지 이미지를 모두 압축하는 방안이 있다(물론 압축하지 않을 수도 있음). 이때 지폐 이미지 및 SN 이미지의 경우 BMP포맷으로 취득한 후 JPG로 압축(약 70% 압축)하고, 추후에 JPG를 BMP로 다시 변환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이미지 압축 방식은 데이터 손실이 있으므로 고해상도를 요구하는 개발 이슈(예 : SN 인식)인 경우에는 활용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SN 인식 이슈의 경우, 지폐 이미지는 4배 축소하고 SN 이미지(즉, SN 영역만 발췌한 이미지)는 권종별 SN 위치 정보와 함께 상기 정보파일로 생성할 수 있다. 다만, 국가권의 권종 인식 관련 이슈인 경우에는 매우 효율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압축 방식을 개발 요청사항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생성부가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d)는 상기 지폐 정사기(11)와 상기 매니징 장치(100)를 유무선 방식으로 연결하거나, 상기 지폐 정사기(11)와 사용자의 개인용 단말(예 : PC, 스마트폰, 휴대용 정보기기 등)을 유무선 방식으로 연결한다.
상기 제어부(11g)는 상기 판별부(11b)를 통해 검출된 특성 정보를 바탕으로, 지폐의 권종, 위/변조지폐 감별, 지폐 계수, 및 지폐 정사를 수행하고, 또한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 또는 취득을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인식개발 모드부(11e)는, 사용자가 상기 지폐 정사기(11)의 조작부(11a)를 조작함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지폐 정사기(11)의 동작 모드를 지폐 판별 모드나 기타 다른 모드에서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 또는 취득하는 인식 개발 모드로 전환한다.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생성부(11f)는, 상기 인식개발 모드부(11e)가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취득하거나 생성하는 인식 개발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지폐 정사기(11) 내에 지폐가 투입될 때마다 상기 투입된 지폐 한 장당 하나의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한다.
예컨대 상기 지폐 정사기(11)는 상기 매니징 장치(100)에 접속해 개발 요청 접수 이벤트(또는 개발 요청 접수 완료)를 확인하고, 상기 지폐 정사기(11)의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거나 취득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지폐 한 장당 하나의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거나 취득한다.
이때 상기 지폐 정사기(11)의 저장부(11c)에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거나 취득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경우(기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확인된 개발 요청 접수 이벤트(또는 개발 요청 접수 완료)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즉,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거나 취득하는 프로그램)을 활성화 시키고, 만약 상기 프로그램(즉,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거나 취득하는 프로그램)이 상기 저장부(11c)에 내장되지 않았을 경우(미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프로그램(즉,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거나 취득하는 프로그램)을 온오프 라인 방식으로 전송받아 설치한 후, 이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지폐 투입이 이루어지면 지폐 한 장당 하나의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거나 취득된다.
한편 상기 매니징 장치(100)는 온라인을 통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 요청을 접수하고, 상기 지폐 정사기(11)로부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입력받아 개발 요청 접수 이벤트를 생성한다(즉, 개발 요청 접수를 완료한다).
예컨대 상기 개발 요청 접수 이벤트는, 고유식별정보(즉, 개발 요청에서부터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을 완료하여 배포 및 설치될 때까지의 단일 처리를 위한 일종의 관리용 정보), 이슈 트레킹 정보(즉,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거나 취득하다 중단되고 재 개시 할 경우, 상기 중단 시점 이후 연속해서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거나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생성 프로그램 활성화 정보(즉,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거나 취득하는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정보), 및 생성 프로그램(즉, 지폐 정사기에 설치되어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거나 취득하는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은 다음과 같이 생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지폐 정사기에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거나 취득하는 프로그램이 직접적으로 설치되지 않더라도, 상기 지폐 정사기(11)가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할 수 있게 하는 소정의 데이터 포맷 정보(예: 메타데이터 구조체 정보)를 저장한 휴대용 저장 장치(예: USB, SD 카드 등)가 지폐 정사기(11)의 해당 통신부(11d)에 연결되거나, 상기 메타 데이터 구조체 정보를 이용해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거나 취득하기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내장한 휴대형 컴퓨팅 장치(미도시)가 지폐 정사기(11)의 해당 통신부(11d)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지폐 정사기(11)의 제어부(11g)가 이를 인식하여 인식 개발 모드부(11e)가 활성화되고, 상기 활성화된 지폐 정사기(11) 내에 지폐가 투입될 때마다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생성부(11f)가 상기 투입된 지폐 한 장당 하나의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한다. 특히 정형화를 위해 상기와 같은 메타 데이터 형식(예: 메타 데이터 구조체화 또는 메타 파일화)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지폐 정사기(11)의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생성부(11f)에 의해 생성되는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내에 포함되는 정보들이 생성될 때부터 국가권 기반 또는 지폐 정사기 기반으로 정형화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메타 데이터 형식을 채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생성부(11f)가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생성시 각종 각종 정보 항목들을 정형화하는 프로그램을 더 구비할 수도 있고, 매니징 장치(100)내의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관리자(130)로부터 전달받은 인식개발용 정보 파일 취득/생성 프로그램내에 정형화(예: 메타 데이터 구조체화 또는 메타 파일화)하는 프로그램을 더 구비할 수도 있으며, 또 다르게는 개발 서버(300)가 매니징 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은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이 정형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이을 정형화 하는 처리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의 생성 시 또는 생성 후 정형화 하는 것은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보다 더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용이하게 개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반드시 정형화할 필요는 없으며, 단지 정형화되지 않은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이용하는 경우엔 상대적으로 좀 더 성능면에서 우수한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 기능을 개발 서버(300)가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폐 정사기(11)의 인식 개발 모드부(11e)는 사용자가 상기 지폐 정사기(11)의 조작부(11a)를 조작하여 수동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동으로 상기 인식 개발 모드부(11e)가 활성화 된 후, 상기 휴대용 저장 장치나 상기 휴대형 컴퓨팅 장치가 연결되면,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생성부(11f)가 생성하는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저장하거나 소정의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생성되거나 취득되는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은 처리된 한 장의 지폐마다 복수 종류의 정보 항목들, 즉 제 1 종류의 정보 항목, 제 2 종류의 정보 항목, …, 제 n 종류의 정보 항목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하나의 파일로 생성된다(여기서, n은 자연수). 이것은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용이하게 하며 해당 지폐 정사기(11)의 상태를 모두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압축하거나 암호화하는데 용이하다.
상기와 같은 복수 종류의 정보 항목들은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정보들로서, 사용자의 요청 사항에 따라 모두 사용될 수도 있고, 일부 정보 항목들만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새롭게 추가되거나 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정보 항목들의 종류 및 속성이나 내용은 실시 환경이나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상기 정보 항목들의 종류 및 속성이나 내용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의 제1 종류의 정보 항목은 다음의 정보들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을 포함한다.
예컨대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의 제1 종류의 정보 항목은,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생성용 프로토콜 버전 정보; 개발하고자 하는 지폐 권종 프로그램 버전 정보; 지폐 이미지 처리 유닛의 버전 정보; 지폐 정사기의 기구 관련 버전 정보; 지폐 정사기의 판별부 버전 정보; 지폐 정사기의 종류(예: 1포켓, 2포켓, 3포켓,…, 일반형, 정사형, …. 등) 정보; 지폐 정사기의 시스템 체크 결과 정보; 지폐 권종 코드 구조체 정보; 지폐 인식 프로그램 버전 관리 ID;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의 취득 목적 정보(예: 신규 개발, 현지 이슈 대응, 은행 인증 대응 등); 지폐 정사기의 사용처 정보; 지폐 정사기의 제어 파라미터 정보(예: 처리 매체 종류 정보(은행권, 뱃치카드, 카지노티켓, 상품권 등), 광센서의 광원 파장대별 해상도 선택 정보, 처리 시간 측정 정보, 지폐 정사기 모델 및 ID 정보, 지폐 반송 속도 정보 등); 지폐 처리 데이터 플래그 정보; 지폐 이미지 유형 정보(예: 원본 이미지, 리사이즈드 이미지 등); 전처리 에러 정보; 및 지폐 처리 데이터 생성 일시 정보 등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의 제 2 종류의 정보 항목은 지폐 처리 결과 정보로서 다음의 정보들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의 제 2 종류의 정보 항목은, 엔코더 기반의 판별부의 센서 데이터를 받는 시점의 엔코더 값 정보; 지폐 투입 시 초기화된 지폐 ID 정보; 판별부의 내부 처리 정보; 리젝된 지폐의 리젝 사유 정보; 지폐의 일련번호 정보; 지폐 정사 코드 정보; 지폐의 스큐 정보; 지폐의 센터링 또는 시프트 정보; 지폐의 사이즈 정보; 인식 결과 후보 정보; 판별 처리 시간 정보; 위폐 감지용 센서들 각각의 센싱 정보; 지폐 정사 기준에 기초한 여러 파장대별 각각의 정사 측정값 정보; 지폐의 일련번호 위치 및 인식한 일련번호 정보; 및 처리 매체별(예: 은행권, 뱃치카드, 카지노테켓, 상품권 등) 상세 정보 등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의 제 3 종류의 정보 항목은 로그 정보로서 다음의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의 제 3 종류의 정보 항목은, 로그 데이터 길이, 판별부 버전, 인식 개발용 파일 생성 프로그램 버전, 인식 파라미터 버전, 및 NMS 버전 등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의 제 4 종류의 정보 항목은 이미지 및 센서 관련 정보로서 다음의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의 제 4 종류의 정보 항목은, 지폐 일련번호, 일련번호 이미지의 폭 및 높이, 일련번호 낱자 수; 일련번호 낱자의 좌표값; 일련번호의 그레이 이미지 데이터 및 일련번호의 BW 이미지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지폐의 일련번호 정보; 지폐 이미지의 높이 및 폭, 지폐 이미지의 카운트 정보 및 원본 이미지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지폐의 원본 이미지(raw image) 정보; 지폐 이미지의 폭 및 높이, 지폐 이미지의 카운트 정보 및 캘리브레이션 이미지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지폐의 리사이즈드 이미지 정보; 판별부를 구성하는 각 센서들(자기센서, 광센서, 두께센서 등)의 센싱 정보; 상기 각 센서들의 캘리브레이션 정보; 및 리젝된 지폐 이미지의 폭과 높이 및 리사이즈드 이미지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리젝된 지폐 이미지 정보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매니징 장치(100)를 통해 개발 요청 접수(즉,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 요청 접수)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이 상기 개발 서버(300)를 통해 개발 완료될 경우, 상기 매니징 장치(100)는 상기 개발 완료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사용자(또는 딜러)에게 전달(또는 배포)할 수 있다. 즉, 상기 매니징 장치(100)는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 요청 접수와 개발 완료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배포 및 사용자(딜러)별 버전(이력) 관리를 담당한다. 또한 상기 매니징 장치(100)는 관리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사용자(또는 딜러)별 개발 요청 접수 및 배포 등의 처리 이력을 관리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 요청을 수행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10)은 지폐 정사기(11)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은행과 같이 보안을 위해 외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는 폐쇄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어서, 상기 지폐 정사기(11)가 상기 매니징 장치(100)에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 없는 경우, 네트워킹이 가능한(즉, 외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의 개인용 단말(예 : PC, 스마트폰, 휴대용 정보기기 등)을 이용해 우회적으로(즉, 개인용 단말이 지폐 정사기와 매니징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방식)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 요청을 수행하거나, 이때 필요한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전달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매니징 장치(100)가 상기 개발 완료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배포함에 있어서, 상기 지폐 정사기(11)가 온라인을 통해 상기 매니징 장치(100)에 직접적으로 접속된 경우, 상기 매니징 장치(100)가 상기 지폐 정사기(11)에 상기 개발 완료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직접적으로 배포(즉, 설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지폐 정사기(11)가 은행과 같이 보안을 위해 외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는 폐쇄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어서, 상기 지폐 정사기(11)가 상기 매니징 장치(100)에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의 개인용 단말(예 : PC, 스마트폰, 휴대용 정보기기 등)(10)을 이용해 우회적으로, 즉, 개인용 단말이 지폐 정사기(11)와 매니징 장치(100)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방식, 또는 휴대용 저장장치를 이용해 지폐 정사기(11)의 통신부(11d, 또는 데이터 입출력 단자)에 접속해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배포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폐 정사기(11)는 통신부(11d)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매니징 장치(100)에 접속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지폐 정사기(11)가 통신부(11d, 또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지 않거나, 포함하고 있더라도 보안 관계 상, 상기 매니징 장치(100)에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 없는 경우, 정보처리장치(미도시)(예 : 스마트 단말기, 휴대용 컴퓨터(노트북 PC, 스틱 PC 등), 모바일 단말기, 개인휴대 단말기 등과 같이 통신 및 데이터 처리 기능이 있는 장치)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상기 매니징 장치(1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처리장치의 연결을 위해 상기 지폐 정사기(11)는 통신부(예 : USB 포트, HDMI 포트, Serial 포트, Parallel 포트, 적외선 모듈, NFC 모듈, 블루투스 모듈 등)(11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 통신 방식에는 와이파이(WiFi)를 포함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나 이동통신(예 : 3G, 4G, LTE 등)을 포함한 원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폐 정사기(11)는 각기 고유한 아이디(또는 MAC 어드레스나 S/N 넘버와 같이 다른 지폐 정사기와 구별되는 고유한 인증정보)가 설정된다. 상기 아이디에는 설치 장소나 지역이나 국가를 구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폐 정사기(11)는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기 전에 자체 내부 상태를 정합(calibration)하는 동작을 먼저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폐 정사기(11)는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생성 시 소정의 임계값 범위내의 정보만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폐 정사기(11)는 상기 매니징 장치(100)에 접속된 상태에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이 개발 완료된 경우, 기 설치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거나 추후 업데이트를 위해 내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폐 정사기(11)에서 상기 매니징 장치(100)에 전송되는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은 전송 효율을 고려하여 압축하여 전송될 수도 있고, 보안을 위해 암호화 될 수도 있으며, 또한 보안과 편의성을 위하여 메타 데이터(Meta Data) 형식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매니징 장치(100)를 통해 개발 요청 접수(즉,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 요청 접수)와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의 전달이 완료될 경우, 상기 개발 서버(300)는, 상기 접수된 개발 요청 이슈에 따라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이용하여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을 수행한다(도 3 참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 장치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상기 매니징 장치(100)와 연결되는 데이터베이스부(200), 및 개발 서버(3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매니징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전달받으면,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유효한 데이터(즉, 인식 개발용 정보)로 선별(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부(200)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매니징 장치(100)는 상기 개발 서버(300)가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개발 요청 사항에 대응하여 필요한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참조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참고로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은, 지역별, 국가별, 설치장소별, 기간별, 지폐 정사기 ID별, 지폐 정사기내 프로세서 종류별, 위폐별, 국가권별, 지폐면별(즉, 사용자가 지폐를 전후좌우 4개 방향으로 투입하게 되는 지폐 투입 방향별), 지폐 유형별 및 권종별로 구분되어 생성되거나 취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매니징 장치(100)는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지폐 특성(예 : 권종, 정사, 위폐, 테이프, 파손, 일련번호 등)별 유효한 데이터(인식 개발용 정보)로 선별(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부(200)에 저장하기 전에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의 정보가 유효한지를 판단하고, 기존(업데이트되기 전이나 새로 개발되기 전)의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해 유효성 체크(Validation Check)를 수행한다.
왜냐면, 지폐 인식 개발에 적합한 정보를 사용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이러한 지폐 인식 개발에 적합한 정보의 한 예로 투입 지폐의 소정 파장대의 반사 이미지 정보를 일 예로 들면,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기반으로 전처리된 비트맵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유효성 체크를 수행한 후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에 유효한 데이터(인식 개발용 정보)로 저장 또는 전송하게 한다. 또한, 상기 매니징 장치(100)가 상기와 같은 정보 유효성 체크 기능을 가진 프로그램을 내장하여 주기적으로 데이터베이스부(200)의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등록, 관리 및 감독할 수도 있다.
상기 유효성 체크(Validation Check)를 통해 기존의 지폐 인식 프로그램에 대한 지폐 인식 성능을 도출하고(예 : 기존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지폐 인식 성능이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부합하는지, 아니면 새로 개발을 해야 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음), 또한 각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에 대응하는 지폐 특성(예 : 권종, 정사, 위폐, 테이프, 파손, 일련번호 등)별로 분류할 수 있다.
즉, 상기 유효성 체크를 통해, 상기 매니징 장치(100)는 상기 수집된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에서 해당 지역이나 국가의 권종별 고유한 지폐 특성(예 : 권종, 정사, 위폐, 테이프, 파손, 일련번호 등)별 대응되는 인식 개발용 정보를 추출하여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 목적은 개발 요청 접수 단계에서 명확해질 수 있다.
도 5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개발 요청 접수 항목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테이블이고, 도 6은 상기 도 5에 있어서, 개발 요청 접수 항목을 웹 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접수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캡쳐 화면을 보인 예시도이며, 도 7은 상기 도 5에 있어서, 개발 요청 접수 항목을 웹 프로그램을 통해 온라인으로 접수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캡쳐 화면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개발 요청 접수(즉,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 요청 접수) 항목은, 국가권 종류(또는 지폐 인식 프로그램 ID), 지폐 정사기의 종류, 지폐 정보 전달 방식(예 : 지폐 샘플, 저장 장치, 온라인 등), 및 개발 요청 이슈(예 : 패턴 인식, 사이즈, 위폐, 국가 등)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필요로 하는 개발 요청서 접수 항목으로는,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되는 국가권이 어느 국가권인지 또는 해당 국가권의 지폐 인식 프로그램 ID가 미리 정해져 있는 경우 지폐 인식 프로그램 ID,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되는 지폐 정사기의 종류(즉, 지폐 정사기의 판별부 사양이나 성능에 따라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성능도 달라지므로 이를 나타내는 지폐 정사기 모델명 등),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포함하는 지폐 정보 전달 방식(예컨대, 현지에서 얻은 지폐 샘플로 전달할 것인지, 휴대용 저장 장치에 담아 전달할 것인지, 이메일이나 웹페이지나 웹프로그램 등의 온라인으로 전달할 것인지 등), 어떠한 사유나 목적으로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요청하는지에 관한 개발 요청 이슈(예컨대, 신규 지폐의 특징 패턴을 추출하여 필요로 하는 지폐 인식 프로그램에 사용하기 위한 패턴 인식 이슈에 관한 것인지, 현지 유통 지폐의 권종마다 차이가 있는 지폐를 판별하기 위한 일반적인 지폐 사이즈 이슈나 지폐 사이즈를 변조한 지폐를 식별하기 위한 지폐 사이즈 이슈, 신규 유형의 위폐를 판별하기 위한 위폐 이슈, 새로운 국가권을 추가해야 되거나 새로운 국가권이 발행되거나 해서 해당 신규 국가권의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국가 이슈 등) 등의 항목들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개발 요청 이슈 항목은, 도 5의 예시처럼 (1)부터 (11)까지의 소항목 이슈들로 세분화하여 개발 요청할 수도 있는데, 이를테면 신규국가개발, 권종(신권) 추가, 권종 인식, 위폐 미검출, 사이즈 변조 지폐 강제 배출, 정사 구분, 얼룩(Stain) 지폐 미검출, 탈색(Deinked) 지폐 미검출, 파손(breakage) 지폐 미검출, 테이프(Tape) 미검출, 및 시리얼 넘버 미인식 등을 포함한다. 다만 상기 개발 요청 이슈 항목들을 포함해서 상기와 같은 개발 요청서 접수 항목들은 예시적으로 기재된 것일 뿐 이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 수정, 감축, 증가, 결합하여 실시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한편 상기 개발 요청 접수 항목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입력 화면 및 웹 프로그램을 통한 온라인 입력 화면을 통해서 간편하게 접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개발 요청 접수 단계에서 접수된 개발 요청 이슈(즉,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 목적)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00)에 저장되는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이 결정된다.
또한 상기 개발 요청 접수 단계에서 접수된 개발 요청 이슈(즉,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 목적)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00)에 저장된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및/또는 선별된 유효 데이터(인식 개발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개발 서버(300)가 그에 상응하는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개발 시 포함할 지폐 인식 모듈의 종류(즉, 지폐 인식 프로그램에 포함될 지폐 인식 모듈의 종류)가 결정된다.
가령,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 목적이 기존에 없던 새로운 국가권 지폐를 인식하기 위한 목적(즉, 신규 국가 개발 목적)이라고 가정할 경우, 상기 지폐 인식 프로그램에 포함될 지폐 인식 모듈의 종류는 최대가 된다. 그러나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 목적이 기존의 인식 기능을 보완하여 업데이트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가정할 경우, 상기 지폐 인식 프로그램에 포함될 지폐 인식 모듈의 종류는 상기 보완할 인식 기능에 대응하는 지폐 인식 모듈로 한정된다.
상기와 같이 개발 요청 이슈(즉,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 목적)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00)에 저장될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및 개발할 지폐 인식 모듈의 종류(즉, 지폐 인식 프로그램에 포함될 지폐 인식 모듈의 종류)가 결정되면 상기 개발 서버(300)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00)에 저장된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및/또는 유효 데이터(인식 개발용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인식 기능에 대응하는 지폐 인식 모듈(예 : 권종 인식 모듈, 정사 인식 모듈, 위폐 인식 모듈, 테이프 검출 모듈, 파손권 검출 모듈, 일련번호 인식 모듈 등)을 개발(생성)한다.
이때 상기 개발 서버(300)는 하나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단순 반복적인 작업을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다수의 서버를 통해 병렬 및 분산 처리하거나 클라우드 컴퓨팅 방식으로 처리하여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 비용과 시간을 단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폐 인식 모듈(예 : 권종 인식 모듈, 정사 인식 모듈, 위폐 인식 모듈, 테이프 검출 모듈, 파손권 검출 모듈, 일련번호 인식 모듈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생성이 완료되면, 상기 개발 서버(300)는 상기 생성된 모든 지폐 인식 모듈을 하나의 지폐 인식 프로그램으로 패키징 한다.
이때 상기 개발 서버(300)는 각 지폐 인식 모듈의 개발(생성) 시, 사용자(딜러)의 개발 요청 사항(즉, 이슈)에 대응하는 규격(즉, 지폐 인식 조건)에 맞추기 위한 유효성 체크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 또 한편으로, 상기 개발 서버(300)는 프로그램 개발자나 엔지니어의 휴대용 컴퓨팅 장치(예: 랩탑 등)에 내장될 수도 있으므로, 상기 개발 서버(300)와의 통신을 통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지 사용이 가능하도록 휴대용 컴퓨팅 장치에서 명령을 전송하여 개발 서버(300)가 작업해서 피드백 받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패키징이 완료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즉, 개발이 완료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은 상기 매니징 장치(10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 또는 사용자(딜러)에게 배포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9는 상기 도 8에 있어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지폐 정사기에서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11은 상기 도 8에 있어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매니징 장치에서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 장치(도 1 및 도 3 참조)는, 매니징 장치(100)를 통해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을 요청하는 사용자(또는 딜러)로부터 사용자 단말(10)을 이용하여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수신(취득)한다(S101).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생성 프로그램이 이미 내장된 지폐 정사기(11)를 이용해 또는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생성 프로그램을 온오프라인으로 또는 휴대용 저장매체를 통해 설치한 후 해당 지폐 정사기(11)를 이용해 수집(취득)할 수 있다.
이하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의 다양한 생성 또는 취득 방법은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생성 및 수집(취득)된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은 상기 지폐 정사기(11)가 온라인을 통해 상기 매니징 장치(100)에 접속되어 있을 경우, 상기 매니징 장치(100)가 상기 지폐 정사기(11)로부터 직접적으로 수신할 수 있지만, 은행과 같이 보안을 위해 외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는 폐쇄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어서, 상기 지폐 정사기(11)가 상기 매니징 장치(100)에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 없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개인용 단말(예 : PC, 스마트폰 등)을 이용해 우회적으로(즉, 개인용 단말이 지폐 정사기와 매니징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방식)를 전달 받거나, 오프라인 방식으로 전달(예 :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이 저장된 휴대용 저장 장치의 전달)받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 장치는, 상기 매니징 장치(100)를 통해, 상기 수신(취득)한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기존(즉, 지폐 인식 프로그램이 업데이트되기 전이나 새로 개발되기 전)의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해 지폐 정보 인식 모듈별로 유효성 체크(Validation Check)를 수행한다(S102).
즉, 상기 유효성 체크(Validation Check)를 통해 기존의 지폐 인식 프로그램에 대한 지폐 인식 성능을 도출할 수 있고, 또한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의 각 지폐 정보 인식 모듈에 대응하는 지폐 특성(예 : 권종, 정사, 위폐, 테이프, 파손, 일련번호 등)별로 분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 장치는, 상기 매니징 장치(100)를 통해,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지폐 특성(예 : 권종, 정사, 위폐, 테이프, 파손, 일련번호 등)별 유효한 데이터(즉, 인식 개발용 정보)로 선별(분류)하여 중복 정보를 제거한 후 데이터베이스부(200)에 저장한다(S103).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00)는 기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 중에서 사용자(딜러)가 요청한 개발 요청 사항(즉, 개발 목적)(예 : 신규 개발, 특정 이슈에 대응하는 부분만 개발 등)에 따라서 필요한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및/또는 인식 개발용 정보만 추출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S104).
또한 상기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 장치는, 상기 개발 서버(300)를 통해, 상기와 같이 개발 요청 이슈(즉,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 목적)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00)에 저장된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및/또는 그의 인식 개발용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개발 요청 이슈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폐 인식 모듈(예 : 권종 인식 모듈, 정사 인식 모듈, 위폐 인식 모듈, 테이프 검출 모듈, 파손권 검출 모듈, 일련번호 인식 모듈 등)을 개발(생성)한다(S105).
상기와 같이 개발 요청 이슈(즉,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 목적)에 대응하는 지폐 인식 모듈들의 생성이 완료되면, 상기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 장치는, 상기 개발 서버(300)를 통해, 상기 생성된 모든 지폐 인식 모듈을 하나의 지폐 인식 프로그램으로 패키징하고, 이 패키징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상기 매니징 장치(100)를 통해 사용자(딜러) 또는 사용자 단말(10)에 배포한다(S106)(도 11, 도 12 참조).
한편 상기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하여, 상기 지폐 정사기(1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니징 장치(100)에 직/간접적으로 접속하여 개발 요청 접수 이벤트(또는 개발 요청 접수 완료)를 확인한다(S201). 이 때, 지폐정사기(11)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11a)의 조작에 따라 제어부(11b)가 상기 지폐 정사기(11)의 동작 모드를 지폐 판별 모드나 기타 다른 모드에서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 또는 취득하는 인식 개발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폐 정사기(11)는 상기 확인된 개발 요청 접수 이벤트(또는 개발 요청 접수 완료)에 따라, 상기 지폐 정사기(11)에 기 설치된 프로그램(즉,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거나 취득하는 프로그램)을 활성화 시킨다(S202).
이때 만약 상기 프로그램(즉,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거나 취득하는 프로그램)이 상기 지폐 정사기(11)에 미 설치된 경우, 상기 프로그램(즉,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거나 취득하는 프로그램)을 상기 매니징 장치(100)로부터 온오프 라인 방식으로 전송받아 설치한 후 이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킨다.
상기와 같이 프로그램(즉,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거나 취득하는 프로그램)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지폐가 투입되면(S203의 예), 상기 지폐 정사기(11)는 지폐 한 장당 하나의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거나 취득한다(S204).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지폐 정사기(11)는 제어부(11b)에 의해 인식개발 모드부(11e)가 활성화되어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취득하거나 생성하는 인식 개발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지폐 정사기(11) 내에 지폐가 한 장씩 투입되면(S203의 예),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생성부(11f)에 의해 상기 투입된 지폐 한 장당 하나의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취득)한다(S204).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지폐 정사기(11)는 생성한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온오프 라인 방식으로 상기 매니징 장치(100)에 전송(또는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폐 정사기(11)는 상기 매니징 장치(100)로부터 개발완료된 패키징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통신부(11d)를 통해 수신하여 업데이트나 설치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상기 도 9에 있어서, 지폐 정사기를 통해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거나 취득하는 경우에 지폐 정사기의 조작부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지폐 정사기(11)의 조작부(11a)상에서 메뉴(미도시) 조작을 통해,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의 생성 가능한 국가권 리스트를 표시한 후, 국가권 선택과 해당 국가권에서 취득/생성할 데이터 타입을 선택하고, 해당 국가권의 권종 및 면별 취득/생성하는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의 정보(예컨대, 권종마다 면별 취득하는 데이터의 개수)를 확인하도록 출력하며, 상기 화면에서 사용자가 소정의 권종을 선택하면 선택된 권종에 대한 해당 영상 정보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확인이나 조회를 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이 출력된다.
한편 상기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하여, 상기 매니징 장치(1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온오프 라인을 통해 개발 요청(즉,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 요청)이 접수되면(S301), 개발 요청 접수 이벤트를 생성한다(즉, 개발 요청 접수를 완료한다)(S302).
이때 상기 매니징 장치(100)는 상기 개발 요청 접수와 함께 필요한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도 같이 제공받거나, 상기 개발 요청을 먼저 접수한 이후 추후에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따로 제공받을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개발 요청 접수 이벤트는, 고유식별정보(즉, 개발 요청에서부터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을 완료하여 배포 및 설치될 때까지의 단일 처리를 위한 일종의 관리용 정보), 이슈 트레킹 정보(즉,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거나 취득하다 중단되고 재 개시 할 경우, 상기 중단 시점 이후 연속해서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거나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생성 프로그램 활성화 정보(즉,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거나 취득하는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정보), 및 생성 프로그램(즉, 지폐 정사기에 설치되어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거나 취득하는 프로그램)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매니징 장치(100)는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관리자(13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10)(또는 지폐 정사기(11))로부터 전송(또는 전달)받은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정보 파일(즉,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에 포함된 복수 종류의 정보 항목들로부터 지폐 특성(예 : 권종, 정사, 위폐, 테이프, 파손, 일련번호 등)별 유효한 데이터로 선별(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부(200)에 저장한다(S303).
이에 따라 개발 서버(300)가 상기 개발 요청 접수된 요청 사항들에 대응하는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00)로부터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나 정보 등(예컨대,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그에 포함된 복수 종류의 정보 항목들 및/또는 상기 분류(선별)된 유효한 데이터 등)을 참조하여, 개발한 지폐 인식 모듈의 종류를 결정하고, 이 모듈들을 포함하는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그리고 상기 매니징 장치(100)는, 상기 개발 요청 접수(즉,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 요청 접수)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이 상기 개발 서버(300)를 통해 개발 완료될 경우(S304의 예), 상기 개발 완료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사용자(또는 딜러) 또는 사용자 단말(10)에 전달(또는 배포)하고, 이때 상기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배포 및 사용자(딜러)별 버전(이력) 관리를 수행한다(S305).
이때 상기 개발 완료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프로그램을 통해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도 12는 상기 도 11에 있어서, 개발 완료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웹 프로그램을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캡쳐 화면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키징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은, 상기 지폐 정사기(11)가 상기 매니징 장치(100)에 직접적으로 접속된 경우, 온라인 방식의 웹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매니징 장치(100)가 상기 지폐 정사기(11)에 상기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직접 배포(즉,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지폐 정사기(11)가 만약 은행과 같이 보안을 위해 외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는 폐쇄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어서, 상기 매니징 장치(100)에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의 개인용 단말(예 : PC, 스마트폰 등)을 이용해 우회적으로(즉, 개인용 단말이 지폐 정사기와 매니징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방식) 상기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배포하거나, 오프라인 방식으로 배포(예 : 정상 지폐 및 위폐 샘플, 지폐 정보 지폐 인식 프로그램이 저장된 휴대용 저장 장치를 이용한 배포)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지폐 인식 프로그램에 대한 개발의 요청과 접수를 온라인상에서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지폐 인식 프로그램에 대한 개발 요청 시 수집된 다량의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및/또는 그의 인식 개발용 정보를 자동으로 선별 및 분류하여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 공정에 맞게 작업 가능한 복수의 모듈 단위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수의 서버를 통해 병렬 및 분산 처리함으로써,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 비용과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사용자 단말 11 : 지폐 정사기
11a : 조작부 11b : 판별부
11c : 저장부 11d : 통신부
11e : 인식개발 모드부
11f : 인식 개발용 정보파일 생성부
11g : 제어부 100 : 매니징 장치
110 : 요청서 관리자 120 : 지폐 인식 프로그램 배포 관리자
130 :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관리자
200 : 데이터베이스부 300 : 개발 서버

Claims (10)

  1. 지폐 정사기에 있어서,
    상기 지폐 정사기는,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 요청 접수를 확인하고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제공할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거나 취득하며,
    지폐 정사기의 메뉴 선택이나 모드 선택을 위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동작 명령이나 지시를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받는 조작부;
    투입된 지폐의 특성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해 검출하는 판별부;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의 생성이나 취득을 위하여, 상기 판별부에서 검출된 지폐 특성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지폐 정사기와 매니징 장치를 유무선 방식으로 연결하거나, 상기 지폐 정사기와 사용자의 개인용 단말을 유무선 방식으로 연결하는 통신부;
    상기 판별부를 통해 검출된 특성 정보를 바탕으로, 지폐의 권종, 위/변조지폐 감별, 지폐 계수, 및 지폐 정사를 수행하고, 또한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 또는 취득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지폐 정사기의 조작부가 조작됨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지폐 정사기의 동작 모드를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생성 모드로 전환하는 인식개발 모드부; 및
    상기 인식개발 모드부가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생성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지폐 정사기 내에 지폐가 투입될 때마다 상기 투입된 지폐 한 장당 하나의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는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폐 정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미리 정해진 규격에 맞게 생성하거나 취득하는 생성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폐 정사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은 정형화를 위해 처리된 한 장의 지폐마다 복수 종류의 정보 항목들을 포함하도록 메타 데이터 형식으로 구성되어 하나의 파일로 생성되되, 상기 정보 항목들은 압축해서 생성되는 정보와 압축되지 않고 생성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폐 정사기.
  4.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하여, 지폐 정사기가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 요청 접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개발 요청 접수 확인에 따라, 상기 지폐 정사기가 동작 모드를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거나 취득하는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모드 전환에 따라, 상기 지폐 정사기 내에 지폐가 투입될 때마다 상기 투입된 지폐 한 장당 하나의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생성하거나 취득하는 단계;
    상기 지폐 정사기가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온오프 라인 방식으로 상기 매니징 장치에 전송하거나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전송하거나 전달한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에 기초하여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지폐 정사기가 매니징 장치로부터 상기 개발 완료된 패키징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전송받거나 전달받는 단계; 및
    상기 지폐 정사기가 상기 전송받거나 전달받은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기존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폐 정사기의 제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발 요청 접수를 확인하는 단계 이전에,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매니징 장치에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 요청 접수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 요청 접수 시,
    국가권 종류, 지폐 정사기의 종류, 지폐 정보 전달 방식, 및 개발 요청 이슈 항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접수를 받으며,
    상기 개발 요청 이슈 항목은, 신규 국가 개발, 권종 추가, 권종 인식, 위폐 미검출, 사이즈 변조 지폐 강제 배출, 정사 구분, 얼룩 지폐 미검출, 미인쇄 지폐 미검출, 파손 지폐 미검출, 테이프 미검출, 및 시리얼 넘버 미인식 항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폐 정사기의 제어 방법.
  6. 지폐 정사기와 유무선 방식으로 연결되며,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개발 요청 접수와 개발 완료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배포를 수행하는 매니징 장치로서,
    상기 지폐 정사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한 사용자의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 요청 접수를 받아 관리하는 요청서 관리자;
    개발 완료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관리함과 동시에 이를 개발 요청하거나 구매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배포하거나 전달하고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이력을 관리하는 지폐 인식 프로그램 배포 관리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받은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에 포함된 복수 종류의 정보 항목들로부터 지폐 특성별 유효한 데이터로 선별하여 데이터베이스부에 전송하거나 저장하는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관리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매니징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관리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나 정보로서,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 및 그에 포함된 복수 종류의 정보 항목들, 및 상기 선별된 유효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개발 서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매니징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징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받은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유효성 처리한 후 이 유효성 처리된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이 개발 서버내의 것과 중복되는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매니징 장치.
  9. 매니징 장치가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로서, 지폐 정사기 내에 투입된 지폐 한 장당 하나의 파일로 생성되거나 취득된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제공받는 단계;
    상기 매니징 장치가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업데이트되기 전이나 새로 개발되기 전의 기존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해 지폐 인식 모듈별로 유효성 체크(Validation Check)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매니징 장치가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을 지폐 특성별 유효한 데이터로 선별하여 중복 정보를 제거한 후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정보를 이용하여 개발 요청 접수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개발이 완료되어 수신하면, 상기 매니징 장치가 상기 개발 완료된 패키징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을 지폐 정사기나 사용자 단말에 배포하거나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매니징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개발용 정보 파일은
    지역별, 국가별, 설치장소별, 기간별, 지폐 정사기 ID별, 지폐 정사기내 프로세서 종류별, 위폐별, 국가권별, 지폐면별, 지폐 유형별 및 권종별 중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분되어 생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폐 정사기.
KR1020180007180A 2018-01-19 2018-01-19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폐 정사기 및 매니징 장치와 이들의 제어 방법 KR102080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180A KR102080841B1 (ko) 2018-01-19 2018-01-19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폐 정사기 및 매니징 장치와 이들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180A KR102080841B1 (ko) 2018-01-19 2018-01-19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폐 정사기 및 매니징 장치와 이들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728A KR20190088728A (ko) 2019-07-29
KR102080841B1 true KR102080841B1 (ko) 2020-02-24

Family

ID=67480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180A KR102080841B1 (ko) 2018-01-19 2018-01-19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폐 정사기 및 매니징 장치와 이들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8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893B1 (ko) * 2020-06-03 2021-12-24 기산전자(주) 지폐 데이터 자동 수집을 통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최신화를 위한 지폐 정사기와 서버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0378A (ja) 2009-04-10 2010-11-04 Nec Corp ソフトウェア開発支援装置、システム、ソフトウェア開発支援装置の機能拡張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014080A (ja) 2009-07-06 2011-01-20 Glory Ltd 貨幣識別装置のプログラム更新システム及び、貨幣識別装置のプログラム更新方法
KR101452330B1 (ko) * 2013-06-21 2014-10-22 기산전자 주식회사 웹 조정프로그램을 이용한 지폐 감별기의 최적화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662A (ko) * 2001-04-25 2002-10-31 주식회사 엠텍월드 지폐감별장치의 지폐감별 프로그램 다운로드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50378A (ja) 2009-04-10 2010-11-04 Nec Corp ソフトウェア開発支援装置、システム、ソフトウェア開発支援装置の機能拡張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014080A (ja) 2009-07-06 2011-01-20 Glory Ltd 貨幣識別装置のプログラム更新システム及び、貨幣識別装置のプログラム更新方法
KR101452330B1 (ko) * 2013-06-21 2014-10-22 기산전자 주식회사 웹 조정프로그램을 이용한 지폐 감별기의 최적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8728A (ko) 201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4028B2 (ja) 紙幣処理装置、紙幣処理システム、紙幣情報管理サーバ、紙幣情報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紙幣処理方法
US20040260650A1 (en) Bill transaction system
KR101452330B1 (ko) 웹 조정프로그램을 이용한 지폐 감별기의 최적화 장치 및 방법
RU2562765C2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банкнот
CN100587733C (zh) 纸页类交易系统及纸页类交易方法
CN102096960B (zh) 一种票据点验机系统的处理方法
JP2012048638A (ja) 有価媒体処理装置、有価媒体処理システムおよび有価媒体処理方法
KR101223316B1 (ko) 지엽류 감별 시스템, 지엽류 감별 방법 및 지엽류 처리 장치
JP6175255B2 (ja) 有価媒体処理装置、有価媒体処理システム及び有価媒体処理方法
KR102080841B1 (ko) 원격 지폐 인식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지폐 정사기 및 매니징 장치와 이들의 제어 방법
JP6720667B2 (ja) 自動取引装置
JP6270374B2 (ja) 紙葉類管理システム及び紙葉類管理方法
KR101544754B1 (ko) 웹기반 수표의 위변조 검증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53956B1 (ko) 지폐 블랙리스트 관리를 위한 지폐 정사기와 서버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KR102341893B1 (ko) 지폐 데이터 자동 수집을 통한 지폐 인식 프로그램의 최신화를 위한 지폐 정사기와 서버 장치 및 이들의 제어 방법
JP2018055487A (ja) 紙葉類集計処理システム及び紙葉類集計処理方法
US20160155283A1 (en) Method for Providing Measurement Data to an Apparatus for Processing Valuable Documents and Valuable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WO2019098061A1 (ja) 貨幣処理システム、貨幣処理装置、センター装置、および、貨幣処理装置における不正検出方法
KR20210155843A (ko) 지폐 정사기의 원격 제어를 위한 관리 서버와 지폐 정사기 및 그 방법
JP7143241B2 (ja) 書類処理装置、書類処理システムおよび書類処理方法
WO2022034832A1 (ja) 取引システム、取引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23058297A1 (ja) 媒体取扱装置、媒体取扱プログラム及び媒体認識用基準情報作成システム
KR20170078999A (ko) 레퍼런스 지폐 정보 현지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16311665A (zh) 残币兑换方法及柜员机
JP2019008624A (ja) 紙葉類鑑別システム、紙葉類鑑別ホスト機及び紙葉類鑑別端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