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101A - 화폐 관리를 위한 고객 단말 및 그의 화폐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화폐 관리를 위한 고객 단말 및 그의 화폐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101A
KR20190080101A KR1020170182326A KR20170182326A KR20190080101A KR 20190080101 A KR20190080101 A KR 20190080101A KR 1020170182326 A KR1020170182326 A KR 1020170182326A KR 20170182326 A KR20170182326 A KR 20170182326A KR 20190080101 A KR20190080101 A KR 20190080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ey
discrimination
request
management system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5360B1 (ko
Inventor
송창현
김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은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은행
Priority to KR1020170182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360B1/ko
Publication of KR20190080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은 화폐 관리 시스템에게 전송하는 화폐 감별 요청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하는 처리부, 그리고 상기 처리부의 동작에 따른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폐 관리를 위한 고객 단말 및 그의 화폐 관리 방법{CLIENT TERMINAL AND METHOD FOR MONE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화폐 관리를 위한 고객 단말 및 그의 화폐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진짜 화폐와 비슷하게 만들어진 가짜 화폐를 뜻하는 위조 화폐를 제조하거나 유통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국가 경제를 허무는 행위로 엄격히 금지되어 있다. 또한 해당 국가 내에서 해당 국가의 화폐에 대한 위조 행위 뿐만 아니라 외화에 대한 위조, 수입 및 수출 행위 역시 처벌되며 위조 화폐임을 알고도 사용하였을 경우에도 처벌의 대상이 될 만큼 엄격히 관리되고 있다.
위조 화폐를 방지하기 위하여 화폐를 만들 때는 위조 화폐를 감별하기 위하여 특수 장치는 화폐에 삽입하기도 하며, 화폐에 특수 소재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위조 화폐를 제조하는 정교한 방법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일반인은 일반적인 방식으로는 위조 화폐에 대한 감별이 매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즉 위조 화폐에 대한 감별은 고가의 특수 장비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일반인은 이에 대한 쉬운 접근이 어려워 일반인 수준에서는 위조 화폐 유통을 막기 어렵다. 따라서 일반인이 편리하게 위조 화폐 감별을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여 이에 대한 방안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위조 화폐 감별 신청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는 시스템을 마련하여 위조 화폐 감별에 대한 용이한 접근성을 확보하여, 위조 화폐의 유통을 방지하고 금융권의 다양한 고객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을 지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화폐 관리 시스템에게 전송하는 화폐 감별 요청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하는 처리부, 그리고 상기 처리부의 동작에 따른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화폐 감별 요청은, 감별 요청 내용 및 화폐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별 요청 내용은 화폐 종류 감별 요청 또는 위조 화폐 감별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화폐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화폐 감별 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휴대용 화폐 감별기와 연결되어 화폐 감별 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화폐 감별 요청은, 화폐 이미지 데이터 및 고객의 방문 일정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고객의 방문 일정 요청에 대한 확정된 방문 일정을 상기 화폐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화폐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화폐에 대한 실물을 기초로 한 화폐 감별 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폐 관리 방법은 고객 단말이 화폐 관리 시스템을 통한 화폐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화폐 관리 시스템에게 화폐 감별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화폐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화폐 감별 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화폐 감별 요청은, 감별 요청 내용 및 화폐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별 요청 내용은 화폐 종류 감별 요청 또는 위조 화폐 감별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폐를 촬영한 화폐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폐 관리 방법은 고객 단말이 화폐 관리 시스템을 통한 화폐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화폐 관리 시스템에게 화폐 이미지 데이터 및 고객의 방문 일정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폐 감별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고객의 방문 일정 요청에 대한 확정된 방문 일정을 상기 화폐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확정된 방문 일정에 따라 고객이 방문하여 실물 화폐를 제출함으로써 이루어진 감별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화폐를 촬영한 상기 화폐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별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실물 화폐를 반환받기 위한 방문 일정 요청을 상기 화폐 관리 시스템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폐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실물 화폐를 반환받기 위한 방문 일정 확정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위조 화폐 감별 신청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는 시스템을 마련할 수 있어 위폐 감별에 대한 일반 사용자에 대한 용이한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위조 화폐의 유통을 방지하고 금융권의 다양한 고객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이 지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폐 관리 시스템이 동작하는 환경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폐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폐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폐 관리를 위한 고객 단말 및 그의 화폐 관리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화폐 관리 시스템(100)은 해당 국가에서 유통되는 해당 국가의 화폐 및 외국 화폐를 관리하는 서버로서, 국내 화폐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및 외국 화폐에 대한 환전 등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 기관이 운영할 수 있다. 화폐 관리 시스템(100)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한 위조 화폐 감별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으며, 화폐 종류를 감별하는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고객 단말(200)은 고객이 네트워크를 통하여 화폐 관리 시스템(100)에 접속하고 통신하는 장치이다. 고객 단말(200)은 예를 들어, 탭 및 노트북을 포함하는 각종 컴퓨터,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텔레비전(television, TV)등 다양한 통신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고객 단말(200)에는 화폐 관리 시스템(100)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고객 단말(2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고객 단말(200)은 통신부(210), 메모리(220), 표시부(230), 입력부(240) 및 처리부(25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처리부(250)와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부(250)로 전달하고, 처리부(350)가 출력하는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즉, 통신부(21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금융 시스템(100)과 통신하며 송수신한 데이터를 처리부(250)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화폐 이미지 데이터, 위조 화폐 감별 요청 및 화폐 종류 감별 요청 등을 화폐 관리 시스템(100)에 전송하고, 화폐 관리 시스템(100)으로부터 감별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처리부(250)와 연결되어 처리부(25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메모리(220)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램버스(Rambus) DRAM, 동기식 DRAM(Synchronous Dynamic RAM, SDRAM), 정적 RAM(Static RAM, SRAM) 등의 RAM과 같은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메모리(220)는 화폐 관리 시스템(100)과 연동하여 화폐 감별 요청 및 결과 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은 앱스토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거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설치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화폐 촬영을 위한 수단, 촬영 이미지를 표시하는 화면, 감별 신청을 위한 화면, 감별 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화면 등을 제공하도록 설정된다.
한편 어플리케이션은 화폐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고객 단말(200) 및 휴대용 화폐 감별기(도시하지 않음)가 연동하여 화폐 감별을 수행하는 기능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화면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고객 단말(200)은 요오드 용액이나 형광 물질을 발생하는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화폐 감별기와 연결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감별 결과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표시될 수 있다.
표시부(230)는 처리부(250)의 동작에 따른 정보를 화면에 출력한다. 표시부(230)는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등이 사용될 수 있다.
입력부(240)는 표시부(230)가 출력한 화면 상에서 사업자로부터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입력부(240)는 광 조이스틱, 터치패드, 홀 센서, 지문인식 센서,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하는 포인팅 디바이스, 키패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입력 수단이 채택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따라 카메라가 활성화되어 화폐를 촬영하여 화폐 이미지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입력부(240)는 처리부(250)와 연결되어 입력받은 정보를 처리부(250)로 전달한다.
처리부(250)는 중앙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나 기타 칩셋, 마이크로처리부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처리부(25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50)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251)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251)는 입력부(240)로부터 전달되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메모리(22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시킨다.
이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폐 관리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폐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폐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고객 단말(200)은 감별을 하고자 하는 화폐를 촬영한다(S310). 즉 고객은 자신의 단말을 조작함에 따라 화폐에 대한 사진 촬영을 수행하여 화폐 이미지 데이터를 확보한다.
이어서 고객 단말(200)은 화폐 관리 시스템(100)에게 화폐 감별 요청을 전송한다(S320). 이때 화폐 감별 요청은 화폐 종류 감별 요청 또는 위조 화폐 감별 요청을 포함한다. 화폐 종류 감별 요청은 요청 대상 화폐가 해당 화폐가 어느 국가의 화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요청이며, 위조 화폐 감별 요청은 요청 대상 화폐가 진짜 화폐인지 위조 화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요청이다. 이때 화폐 종류 감별 요청에는 요청 내용과 화폐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화폐 관리 시스템(100)은 고객 단말(200)로부터 화폐 감별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감별 요청 내용에 따라 감별 업무를 처리한다(S330). 즉 화폐 감별 요청이 화폐 종류 감별 요청이면, 화폐 관리 시스템(100)은 수신한 화폐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해당 화폐가 어느 국가의 화폐인지를 판단한다. 화폐 감별 요청이 위조 화폐 감별 요청인 경우에 화폐 관리 시스템(100)은 수신한 화폐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해당 화폐의 진위 여부를 판단한다.
이어서 화폐 관리 시스템(100)은 화폐 감별 결과를 고객 단말(200)에게 전송한다(S340). 그러면 고객 단말(200)은 화폐 감별 결과를 표시한다(S350).
이제 도 4를 참고하면, 고객 단말(200)은 감별을 하고자 하는 화폐를 촬영한다(S410). 즉 고객은 자신의 단말을 조작함에 따라 화폐에 대한 사진 촬영을 수행하여 화폐 이미지 데이터를 확보한다.
이어서 고객 단말(200)은 화폐 관리 시스템(100)에게 화폐 감별 요청을 전송한다(S420). 이때 화폐 감별 요청은 요청 대상 화폐가 진짜 화폐인지 위조 화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위조 화폐 감별 요청이다. 이때 화폐 종류 감별 요청에는 화폐 이미지 데이터 및 고객의 방문 일정 요청이 포함될 수 있다.
화폐 관리 시스템(100)은 고객 단말(200)로부터 화폐 감별 요청을 수신하면, 고객의 방문 일정을 확정한다(S430). 고객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방문 일정이 가능한 경우에는 해당 일자에 방문 일정을 확정하고 불가능한 경우에는 이를 고객 단말(200)에게 전송하여 가능한 날짜에 대한 방문 일정을 다시 확정할 수 있다.
방문 일정이 확정되면 고객은 해당 날짜에 요청 화폐의 실물을 소지하고 화폐 관리 시스템(100)이 설정한 장소, 예를 들어 금융 기관의 영업점 등에 방문하여 해당 화폐의 실물을 제출한다.
그러면 화폐 관리 시스템(100)은 접수 확인을 처리하고(S440), 접수 확인 사실을 고객 단말(200)에게 전송한다(S450). 이어서 화폐 관리 시스템(100)이 운영하는 위조 화폐 감별 시스템은 해당 화폐 실물을 기초로 위조 여부를 감별하고 감결 결과를 생성하여 화폐 관리 시스템(100)이 저장 처리한다(S451).
그리고 화폐 관리 시스템(100)은 화폐 감별 처리 결과를 고객 단말(200)에게 전송한다(S460).
고객 단말(100)은 실물 화폐를 반환받기 위한 방문 일정 요청을 화폐 관리 시스템(100)에게 전송한다(S470). 화폐 관리 시스템(100)은 고객 단말(200)이 요청한 방문 일정을 확인하여 확정한다(S480). 그리고 확정 결과를 고객 단말(200)에게 전송한다(S490).
이후 정해진 일정에 따라 고객은 정해진 장소에 방문하여 본인의 요청 화폐 실물을 수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르면, 고객이 자신의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위조 화폐 감별 신청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수신함으로써 위폐 감별에 대한 일반 사용자에 대한 용이한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실물 화폐를 이용한 정확한 위조 화폐 감별 요청 역시 고객의 단말을 통하여 용이하게 요청하고 처리 결과를 받아 볼 수 있어 고객이 편리하게 위조 화폐를 판단 받을 수 있다. 이로써 위조 화폐의 확인의 용이성을 확보하여 위조 화폐의 유통을 방지하고 금융권의 다양한 고객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이 지원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서버뿐만 아니라 고객 단말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6)

  1. 화폐 관리 시스템에게 전송하는 화폐 감별 요청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실행하는 처리부, 그리고
    상기 처리부의 동작에 따른 화면을 출력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단말.
  2. 제1항에서,
    상기 화폐 감별 요청은,
    감별 요청 내용 및 화폐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3. 제2항에서,
    상기 감별 요청 내용은
    화폐 종류 감별 요청 또는 위조 화폐 감별 요청을 포함하는
    단말.
  4. 제1항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화폐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화폐 감별 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단말.
  5. 제1항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휴대용 화폐 감별기와 연결되어 화폐 감별 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단말.
  6. 제1항에서,
    상기 화폐 감별 요청은,
    화폐 이미지 데이터 및 고객의 방문 일정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7. 제6항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고객의 방문 일정 요청에 대한 확정된 방문 일정을 상기 화폐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단말.
  8. 제7항에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화폐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화폐에 대한 실물을 기초로 한 화폐 감별 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단말.
  9. 고객 단말이 화폐 관리 시스템을 통한 화폐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화폐 관리 시스템에게 화폐 감별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화폐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화폐 감별 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폐 관리 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화폐 감별 요청은,
    감별 요청 내용 및 화폐 이미지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폐 관리 방법.
  11. 제10항에서,
    상기 감별 요청 내용은
    화폐 종류 감별 요청 또는 위조 화폐 감별 요청을 포함하는 화폐 관리 방법.
  12. 제9항에서,
    상기 화폐를 촬영한 화폐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폐 관리 방법.
  13. 고객 단말이 화폐 관리 시스템을 통한 화폐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화폐 관리 시스템에게 화폐 이미지 데이터 및 고객의 방문 일정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폐 감별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고객의 방문 일정 요청에 대한 확정된 방문 일정을 상기 화폐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확정된 방문 일정에 따라 고객이 방문하여 실물 화폐를 제출함으로써 이루어진 감별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폐 관리 방법.
  14. 제13항에서,
    상기 화폐를 촬영한 상기 화폐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폐 관리 방법.
  15. 제13항에서,
    상기 감별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실물 화폐를 반환받기 위한 방문 일정 요청을 상기 화폐 관리 시스템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폐 관리 방법.
  16. 제15항에서,
    상기 화폐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실물 화폐를 반환받기 위한 방문 일정 확정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화폐 관리 방법.
KR1020170182326A 2017-12-28 2017-12-28 화폐 관리를 위한 고객 단말 및 그의 화폐 관리 방법 KR102315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326A KR102315360B1 (ko) 2017-12-28 2017-12-28 화폐 관리를 위한 고객 단말 및 그의 화폐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326A KR102315360B1 (ko) 2017-12-28 2017-12-28 화폐 관리를 위한 고객 단말 및 그의 화폐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101A true KR20190080101A (ko) 2019-07-08
KR102315360B1 KR102315360B1 (ko) 2021-10-19

Family

ID=67255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326A KR102315360B1 (ko) 2017-12-28 2017-12-28 화폐 관리를 위한 고객 단말 및 그의 화폐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3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041B1 (ko) * 2002-03-20 2005-01-24 조용두 통신망을 이용한 금융업무처리와 수령업무 예약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50092932A (ko) * 2014-02-06 2015-08-1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위폐 감별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8041B1 (ko) * 2002-03-20 2005-01-24 조용두 통신망을 이용한 금융업무처리와 수령업무 예약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50092932A (ko) * 2014-02-06 2015-08-1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위폐 감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5360B1 (ko) 202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4946B2 (en) Two-dimensional cod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9558636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inventory and distribution system
US8321346B2 (en) Automated teller machine for use with computing devices
US20120292388A1 (en) Authentication strategies for remote financial institution services
US10657503B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 customer with method of making a payment to a third party using a remote dispensing machine
US201302047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remote check presentment (rcp) transactions by a check cashing company
US20230230086A1 (en) Value transfer via facial recognition
CN110945552B (zh) 一种产品销量提报方法、支付方法和终端设备
US118539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encoded symbols to facilitate secured communication between database systems of two entities and to update database tuples associated with the database systems
JP7061377B2 (ja) 自動サービス機器の電子決済方法、及び自動サービス機器の電子決済システム
US20210182899A1 (en) Credit data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node device, user equipment, storage medium, and system
US201200360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providing financial services
KR20150061540A (ko) 허위판매 방지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JP2002334060A (ja) サーバ装置、画面データ送信方法、画面表示方法、画面表示プログラム、配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20190050110A (ko) 금융 서비스 시스템, 고객 단말 및 그의 송금 서비스 방법
KR102315360B1 (ko) 화폐 관리를 위한 고객 단말 및 그의 화폐 관리 방법
CN112258206B (zh) 道具资源获取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70141930A (ko) 금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의 금융 거래 방법
KR20160002446A (ko) 금융기기의 장애 접수 시스템 및 장애 접수 방법
KR20210016487A (ko) 셀프장비 무인 결제 방법
US11797975B1 (en) Pre-authorized transfer
US119415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 virtual money order
US11887108B2 (en) System and user interface of a user device for managing tokens associated with a user
KR102341206B1 (ko) Api를 이용한 금융 결제 시스템
KR102452367B1 (ko) 금융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계좌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