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573B1 -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573B1
KR102196573B1 KR1020190075584A KR20190075584A KR102196573B1 KR 102196573 B1 KR102196573 B1 KR 102196573B1 KR 1020190075584 A KR1020190075584 A KR 1020190075584A KR 20190075584 A KR20190075584 A KR 20190075584A KR 102196573 B1 KR102196573 B1 KR 102196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vestigator
bill
termina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
강태이
김홍석
임성호
심규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075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5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사관단말(110)을 통하여 수사관 등록을 받는 수사관등록부(131)와, 전문감정기관단말(140)을 통하여 감정기관 등록을 받는 감정기관등록부(132)와, 수사관등록부(131)에 등록된 수사관의 정보가 저장되는 수사관데이터베이스부(133)와, 수사관단말(110)로부터 전송된 위조지폐감정을 위한 의뢰서가 저장되는 의뢰서데이터베이스부(134)와, 전문감정기관단말(140)로부터 전송된 위조지폐 감정내용이 기재된 감정서가 저장되는 감정서데이터베이스부(135)와, 감정서에 기재된 감정 결과가 저장되는 정보데이터베이스부(138)와, 수사기관 정보가 저장된 수사기관데이터베이스부(137)를 포함하며, 촬영된 지폐 이미지로부터 위조 여부를 판정하는 프로그램(제1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실행되는 서버(130)와; 인터넷통신망(120)을 통하여 상기 서버(130)에 접속되는 모바일 기기와, 상기 모바일 기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시광선과 자외선 조사 가능한 조명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수사관단말(110)과; 상기 서버(130)에 접속된 전문감정기관단말(140)을 포함하는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서 실행되는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방법{A Method Providing Information On Counterfeit Bills Throuth Remote Analysis}
본 발명은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조지폐의 감별을 위하여 전문 감정기관과 연계하여 현장에서 확인될 수 있는 지폐의 위변조 요소뿐만 아니라 전문 감정기관에서 전문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부분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수사기관에서 위조지폐 의심 사건 발생시 지폐의 위조식별 요소를 수사관이 자가 판정한 후, 정밀한 위조지폐에 대한 감별 및 제작 방법 등을 분석하기 위해서 위조지폐가 의심되는 증거물(위조지폐 실물)을 전문 감정기관에 우편 등을 이용하여 의뢰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현장에서는 정밀 분석 기기를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1차적인 판별에 오류 가능성이 존재하며, 또한 분석 의뢰시에도 증거물들을 전문 감정기관에 왕복 운송하는데 소요되는 이동 시간, 접수 및 회신 절차 등 부가되는 시간이 다수 소요되었다. 위조지폐는 초기 대응이 늦어질수록 계속적인 제작과, 사용 등으로 인해 피해가 늘어난다는 특성상 분석 이외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많은 경우 위조지폐는 제작자에 따라 출현하는 지역이 군집화(Cluster)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만일 현장에서만 확인하고 수사 과정에서의 필요성이 부각되어 시일이 경과한 후에 전문 감정기관에 세밀한 분석을 의뢰한다면 중요한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고 수사함으로써 범인을 색출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834786호 등록특허공보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140699호 등록특허공보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642710호 등록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세밀한 분석을 위한 감정을 실시간으로 의뢰할 수 있으며, 위조지폐 일련번호에 대한 정보와 함께 위조지폐 출현 지역을 수사기관에서 확인하여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정보 제공이 가능한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수사관단말을 통하여 수사관 등록을 받는 수사관등록부와, 상기 감정기관단말을 통하여 감정기관 등록을 받는 감정기관등록부와, 수사관등록부에 등록된 수사관의 정보가 저장되는 수사관데이터베이스부와, 수사관단말로부터 전송된 위조지폐감정을 위한 의뢰서가 저장되는 의뢰서데이터베이스부와, 전문감정기관단말로부터 전송된 위조지폐 감정내용이 기재된 감정서가 저장되는 감정서데이터베이스부와, 감정서에 기재된 감정 결과가 저장되는 정보데이터베이스부와, 수사기관 정보가 저장된 수사기관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촬영된 지폐 이미지로부터 위조 여부를 판정하는 프로그램(제1 프로그램)이 저장된 서버와; 인터넷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되는 모바일 기기와, 상기 모바일 기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시광선과 자외선 조사 가능한 조명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수사관단말과; 상기 서버에 접속된 전문감정기관단말을 포함하는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실행되며;
하나 이상의 수사관단말에서 검사 대상 지폐가 촬영되는 실행되는 촬영단계와,
촬영된 지폐의 위조 여부 판정을 위하여 수사관단말이 서버에 접속되는 단계(접속단계)와, 상기 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이미지가 수사관단말 정보와 함께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의뢰서전송단계)와, 상기 전문감정기관단말을 통하여 서버에 접속하여 제1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전송된 의뢰서의 지폐 이미지의 위조 여부가 분석되는 단계(분석단계)를 포함하는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서버에는 지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지폐정보데이터베이스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지폐정보데이터베이스부에는 촬영될 부분의 네모서리가 표시된 복수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각 지폐이미지가 저장되며; 상기 의뢰서전송단계에서 수사관단말이 서버에 접속되면, 접속한 수사관단말에 지폐정보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지폐이미지가 실시간으로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단계가 실행되거나 오프라인으로 동기화되어, 제공된 지폐정보에서 지정된 위치에서 지폐가 촬영되어(촬영 단계) 복수의 촬영이미지가 저장되고; 상기 의뢰서전송단계에서는 찰영단계에서 촬영된 복수의 지폐 이미지가 수사관단말 정보와 함께 서버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수사관단말의 모바일 기기에는 촬영된 지폐 이미지의 위폐 여부를 분석하는 제2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촬영단계 이전 제2 프로그램이 선택적으로 실행되어 사전 촬영된 지폐 이미지에 대한 위조 여부가 1차적으로 수사관에게 참고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에서, 분석단계에서는 수사관단말에서 전송되어 온 촬영된 사진 이미지와 분석 결과가 수사관단말 정보 및 지폐 일련번호 및 의뢰 날짜 정보와 함께 감정서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고; 지폐 일련번호와, 수사관단말의 지역 정보와, 날짜별로 분류되어 정보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정보생성단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정보생성단계 후 실행되는 정보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제공단계에서는 정보생성단계에서 정보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정보가 수사기관DB에 저장된 해당 지역의 수사기관과, 해당 수사기관에 소속된 수사관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방법에 의하면, 모바일 기기와 같은 휴대용 기기를 통하여 객관적인 1차 판별을 실시할 수 있으며, 자가 판별 결과에 따라 원격으로 전문 감정기관의 위조 여부를 분석할 수 있어 이를 통해 분석 외에 소요되는 부가적인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위조지폐 수사에 빠른 대응을 할 수 있으며, 전국에서 발생하는 위조지폐 사건을 시스템적으로 취합하여 통계적인 위치 정보, 일련번호 데이터를 제공해줌에 따라 수사기관에서 현재 발생하고 있는 위조지폐 사건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 추가적인 범죄 예방과 더불어 신속한 범인 확보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방법은 지폐와 유사한 위변조 방지 요소가 탑재된 신분증(여권,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이나 공문서 등의 진위 여부와 같은 위변조 식별 분야에도 적용하여, 각종 위조 범죄 예방 및 신속한 범인 검거 등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방법이 실행되는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루는 서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4는 서버의 의뢰서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의뢰서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서버의 감정서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의뢰서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서버의 정보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지역 정보 및 일련번호 정보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서버의 지폐정보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지폐 이미지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방법이 실행되는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루는 서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4는 서버의 의뢰서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의뢰서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서버의 감정서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의뢰서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서버의 정보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지역 정보 및 일련번호 정보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서버의 지폐정보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지폐 이미지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방법은 복수의 인터넷통신망(120)을 통하여 서버(130)에 접속되는 복수의 수사관단말(110)과, 서버(130)와, 상기 서버(130)에 접속된 전문감정기관단말(140)을 포함하는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서 실행된다.
상기 서버(130)는 수사관단말(110)을 통하여 수사관 등록을 받는 수사관등록부(131)와, 상기 전문감정기관단말(140)을 통하여 감정기관 등록을 받는 감정기관등록부(132)와, 수사관등록부(131)에 등록된 수사관의 정보가 저장되는 수사관데이터베이스부(133)와, 수사관단말(110)로부터 전송된 위조지폐감정을 위한 의뢰서가 저장되는 의뢰서데이터베이스부(134)와, 전문감정기관단말(140)로부터 전송된 위조지폐 감정내용이 기재된 감정서가 저장되는 감정서데이터베이스부(135)와, 감정서에 기재된 감정 결과가 저장되는 정보데이터베이스부(138)와, 수사기관 정보가 저장된 수사기관데이터베이스부(137)와, 촬영된 지폐 이미지로부터 위조 여부를 판정하는 프로그램(제1 프로그램)이 저장된 연산데이터베이스부(139)가 구비된다.
상기 수사관단말(110)은 인터넷통신망(120)을 통하여 상기 서버(130)에 접속되는 모바일 기기와, 상기 모바일 기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시광선과 자외선 조사 가능한 조명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사관단말(110)은 수사기관의 수사관이 휴대하는 단말로서,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834786호 등록특허공보에 기재된 모바일 기기와, 모바일 기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명기구를 들 수 있으며, 상기 모바일 기기의 저장부에는 사전 촬영된 지폐 이미지와 진본 이미지 및 위조지폐 감별 방법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하에서 '제2 프로그램'이라 함)이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방법은 촬영단계(ST-110)와, 접속단계(ST-120)와, 의뢰서전송단계(ST-150)와, 분석단계(ST-160)를 포함한다.
상기 촬영단계(ST-110)에서는 하나 이상의 수사관단말(110)에서 검사 대상 지폐가 촬영되어 수사관단말(110)의 저장부에 저장된다. 상기 접속단계(ST-120)에서는 저장된 지폐의 진본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수사관의 입력 명령에 의하여 수사관단말(110)이 서버(130)에 접속된다. 상기 의뢰서전송단계(ST-150)에서는 촬영단계(ST-110)에서 촬영된 하나 이상의 지폐 이미지가 수사관단말(110) 정보와 함께 서버(130)로 전송된다. 수사관단말 정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속(수사)기관명, 수사관 성명, 수사관연락처(전화번호)를 포함한다. 상기 의뢰서전송단계(ST-150)에서 서버(130)로 전송된 정보는 생성된 일련번호(의뢰번호)와 함께 의뢰서데이터베이스부(134)에 저장된다.
상기 의뢰서전송단계(ST-150)에서 서버(130)로 전송되면, 전송 신호가 서버(130)로부터 전문감정기관단말(140)로 의뢰서 접수 신호가 전달되어, 의뢰가 누락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의뢰서전송단계(ST-150)가 실행되어 의뢰서가 서버(130)로 전송되면, 서버(130)에 접속된 상기 전문감정기관단말(140)을 통하여 제1 프로그램이 실행 명령이 입력되고 전송된 의뢰서의 촬영된 지폐 이미지의 위조 여부가 분석된다(분석단계, ST-160). 상기에서 의뢰서전송단계(ST-150)가 실행되어 의뢰서가 서버(130)로 전송되면, 전문 감정가에게 전송 신호가 전달되어 제1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송 신호와 함께 제1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촬영된 지폐 이미지를 통한 지폐의 진본 여부의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과 관련해서는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140699호 등록특허공보 및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642710호 등록특허공보 등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행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는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834786호 등록특허공보에 기재된 방법이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프로그램이 실행된 결과는 도 5에 예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의뢰된 소속(수사)기관명, 수사관 성명, 의뢰일자, 의뢰서가 전송될 때 생성된 일련번호(의뢰번호), 의뢰서에 포함된 촬영된 지폐 이미지 및 분석 결과를 포함한 문서 파일로 생성된다. 생성된 문서 파일은 감정서데이터베이스부(135)에 저장되고, 의뢰서를 전송한 수사관단말(110)로 전송된다.
상기 서버(130)에는 지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지폐정보데이터베이스부(136)가 더 포함된다. 상기 지폐정보데이터베이스부(136)에는 촬영될 부분의 네모서리가 표시된 복수의 촬영 위치 정보를 가지는 각 지폐이미지가 저장된다. 도 7에 만원권에 대하여 예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지폐에 대하여 홀로그램 부분, 숨김 그림 부분과 같이 위조 방지 기술이 적용된 부분이 사각형 박스 표시(또는 네 모서리 표시)되어 지폐정보데이터베이스부(136)에 저장된다. 수사관은 수사관단말(110)을 통하여 서버(130)에 접속하여 지폐정보데이터베이스부(136)에 저장된 촬영 위치 정보를 가지는 지폐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전송받거나(ST-130; 지폐 정보 제공) 오프라인으로 수사관 단말에 동기화 될 수 있다.
상기 의뢰서전송단계(ST-150)에서 수사관단말(110)이 서버(130)에 접속되면, 접속한 수사관단말(110)에 지폐정보데이터베이스부(136)에 저장된 지폐이미지를 통해 지정된 위치에서 지폐가 촬영되어(촬영 단계, ST-140) 복수의 촬영이미지가 저장된다. 물론 수사관에 따라 미소 차이의 위치 벗어남이 있을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이 촬영 위치를 가지는 지폐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위폐 여부 정보 제공을 도출하는 중요한 위치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조명부에서 4개의 레이저광이 조사되어 촬영 위치의 모서리를 맞추어 촬영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의뢰서전송단계(ST-150)에서는 찰영단계(ST-140)에서 촬영된 복수의 지폐 이미지가 수사관단말(110) 정보와 함께 서버(130)로 전송된다.
상기 수사관단말(110)의 모바일 기기에는 촬영된 지폐 이미지로부터 위조 판별 가능한 프로그램(제2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수사관의 판단에 따라 촬영단계(ST-110)이전에 사전촬영에서 제2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위조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수사관은 분석 결과에 따라 위조 여부 결과가 도출되는 지폐에 대해서만 서버(130)로 의뢰서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의뢰서전송단계(ST-150)에서는 분석 결과도 함께 서버(130)로 전송될 수 있다. 수사관단말(110)에서의 분석 결과가 함께 전송됨으로써 제2 프로그램의 유용성과 정확성이 검증되고, 성능 개선을 위한 자료 확보가 가능하다.
상기 분석단계(ST-160)에서는 수사관단말(110)에서 전송되어 온 촬영된 사진 이미지와 분석 결과가 수사관단말 정보, 지폐 일련번호 및 의뢰 날짜 정보와 함께 감정서데이터베이스부(135)에 저장된다. 상기 정보데이터베이스부(138)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일련번호와, 수사관단말의 지역 정보와, 날짜별로 분류되어 저장(정보생성단계, ST-170)된다. 지폐 일련번호는 의뢰서 전송시 수사관이 직접 지폐에서 읽고 입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지폐 일련번호 부분을 촬영하고 전송하여 서버(130)에서 해당 이미지로부터 일련번호를 도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미지로부터 텍스트를 도출하는 기술은 종래 공지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정보생성단계(ST-170) 후 실행되는 정보제공단계(ST-1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정보제공단계(ST-180)에서는 정보생성단계(ST-170)에서 정보데이터베이스부(138)에 저장된 정보가 수사기관DB(137)에 저장된 해당 지역의 수사기관과, 해당 수사기관에 소속된 수사관단말(110)로 전송된다. 상기와 같이 지폐 일련번호로 분류된 위조지폐 정보와, 지역별로 분류된 위조지폐 정보가 해당 수사기관과 수사관단말(110)에 제공됨으로써 신속하게 수사하고 위조지폐의 추가 발행을 최대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110: 수사관단말 120: 인터넷통신망
130: 서버 140: 감정기관단말

Claims (5)

  1. 수사관단말(110)을 통하여 수사관 등록을 받는 수사관등록부(131)와, 전문감정기관단말(140)을 통하여 감정기관 등록을 받는 감정기관등록부(132)와, 수사관등록부(131)에 등록된 수사관의 정보가 저장되는 수사관데이터베이스부(133)와, 수사관단말(110)로부터 전송된 위조지폐감정을 위한 의뢰서가 저장되는 의뢰서데이터베이스부(134)와, 전문감정기관단말(140)로부터 전송된 위조지폐 감정내용이 기재된 감정서가 저장되는 감정서데이터베이스부(135)와, 감정서에 기재된 감정 결과가 저장되는 정보데이터베이스부(138)와, 수사기관 정보가 저장된 수사기관데이터베이스부(137)를 포함하며, 촬영된 지폐 이미지로부터 전문감정관이 위조 여부를 판정하는 프로그램(제1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실행되는 서버(130)와; 인터넷통신망(120)을 통하여 상기 서버(130)에 접속되는 모바일 기기와, 상기 모바일 기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시광선과 자외선 조사 가능한 조명부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수사관단말(110)과; 상기 서버(130)에 접속된 전문감정기관단말(140)을 포함하는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서 실행되며;
    하나 이상의 수사관단말(110)에서 검사 대상 지폐가 촬영되는 실행되는 촬영단계(ST-110)와, 촬영된 지폐의 위조 여부 판정을 위하여 수사관단말(110)이 서버(130)에 접속되는 단계(접속단계, ST-120)와, 상기 촬영단계(ST-110)에서 촬영된 이미지가 수사관단말(110) 정보와 함께 서버(130)로 전송되는 단계(의뢰서전송단계, ST-150)와, 상기 전문감정기관단말(140)을 통하여 서버(130)에 접속하여 제1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전송된 의뢰서의 촬영된 지폐 이미지의 위조 여부가 분석되는 단계(분석단계, ST-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130)에는 지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지폐정보데이터베이스부(136)가 더 포함되고, 상기 지폐정보데이터베이스부(136)에는 촬영될 부분의 네모서리가 표시된 복수의 위치 정보를 가지는 각 지폐이미지가 저장되며;
    상기 의뢰서전송단계(ST-150)에서 수사관단말(110)이 서버(130)에 접속되면, 접속한 수사관단말(110)에 지폐정보데이터베이스부(136)에 저장된 지폐이미지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단계(ST-130)가 실행되고, 제공된 지폐정보에서 지정된 위치에서 지폐가 촬영되어(제2 촬영 단계, ST-140) 복수의 촬영이미지가 저장되고; 상기 의뢰서전송단계(ST-150)에서는 제2 찰영단계(ST-140)에서 촬영된 복수의 지폐 이미지가 수사관단말(110) 정보와 함께 서버(130)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사관단말(110)의 모바일 기기에는 촬영된 지폐 이미지로부터 위조 판별 가능한 제2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촬영단계(ST-110)이전에 수사관의 판단에 따라 제2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사전촬영단계에서 촬영된 지폐 이미지에 대한 위조 여부가 분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단계(ST-160)에서는 수사관단말(110)에서 전송되어 온 촬영된 사진 이미지와 분석 결과가 수사관단말 정보, 지폐 일련번호 및 의뢰 날짜 정보와 함께 감정서데이터베이스부(135)에 저장되고; 지폐 일련번호와, 수사관단말의 지역 정보와, 날짜별로 분류되어 정보데이터베이스부(138)에 저장(정보생성단계, ST-170)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생성단계(ST-170) 후 실행되는 정보제공단계(ST-1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보제공단계(ST-180)에서는 정보생성단계(ST-170)에서 정보데이터베이스부(138)에 저장된 정보가 수사기관DB(137)에 저장된 해당 지역의 수사기관과, 해당 수사기관에 소속된 수사관단말(110)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방법.

KR1020190075584A 2019-06-25 2019-06-25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방법 KR102196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584A KR102196573B1 (ko) 2019-06-25 2019-06-25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584A KR102196573B1 (ko) 2019-06-25 2019-06-25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573B1 true KR102196573B1 (ko) 2020-12-30

Family

ID=74088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584A KR102196573B1 (ko) 2019-06-25 2019-06-25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57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990A (ko) * 2001-06-19 2002-12-28 주식회사 인포패스 데이타통신을 이용한 경찰업무지원시스템 및경찰업무지원방법
JP2004070384A (ja) * 2002-08-01 2004-03-04 Dainippon Printing Co Ltd 金券の真贋判定料金請求システム
JP2007257491A (ja) * 2006-03-24 2007-10-04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偽札検出システム及び携帯通信端末
KR101140699B1 (ko) 2010-06-03 2012-05-03 한국조폐공사 디지털 포렌직 기술을 이용한 보안 인쇄물 위조식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92932A (ko) * 2014-02-06 2015-08-1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위폐 감별 방법
KR101642710B1 (ko) 2014-06-30 2016-07-28 대한민국 유가증권 위변조 검사 방법
KR101834786B1 (ko) 2016-11-03 2018-03-07 대한민국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위조지폐 감별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990A (ko) * 2001-06-19 2002-12-28 주식회사 인포패스 데이타통신을 이용한 경찰업무지원시스템 및경찰업무지원방법
JP2004070384A (ja) * 2002-08-01 2004-03-04 Dainippon Printing Co Ltd 金券の真贋判定料金請求システム
JP2007257491A (ja) * 2006-03-24 2007-10-04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偽札検出システム及び携帯通信端末
KR101140699B1 (ko) 2010-06-03 2012-05-03 한국조폐공사 디지털 포렌직 기술을 이용한 보안 인쇄물 위조식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92932A (ko) * 2014-02-06 2015-08-17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단말 기반의 위폐 감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위폐 감별 방법
KR101642710B1 (ko) 2014-06-30 2016-07-28 대한민국 유가증권 위변조 검사 방법
KR101834786B1 (ko) 2016-11-03 2018-03-07 대한민국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위조지폐 감별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3863B2 (en) Currency bill tracking system
US7006664B2 (en) Intelligent currency validation network
US8903154B2 (en) Enhanced note processing
US6883706B2 (en) Point-of-sale bill authentication
US7971063B2 (en) Method and device for safeguarding of a document with inserted signature image and biometric data in a computer system
RU2562765C2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банкнот
CN110233739A (zh) 身份管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2241246B1 (ko) 발급문서의 진위 확인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스탬프 인증 시스템
US20060085843A1 (en) Computerized Authentication System
CN103761795A (zh) 纸币防伪特征数据库鉴别假币的方法
CN107423960A (zh) 一种数字票据的管理方法及其系统
CN112598064A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装置
US202001603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safe handling of a physical medium of financial exchange
JP2014178948A (ja) 有価媒体処理装置、有価媒体処理システム及び有価媒体処理方法
US11854005B2 (en) Embedded data transaction exchange platform
KR102196573B1 (ko) 원격 분석 위조지폐 감별 정보 제공 방법
KR20080052005A (ko)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위폐 관리 시스템
KR101812206B1 (ko) 위폐 감별 및 추적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CN110136317A (zh) 纸质凭证鉴别信息产生方法、装置及真伪鉴别方法、装置和系统
KR101544754B1 (ko) 웹기반 수표의 위변조 검증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70136600A1 (en) Document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CN103873470B (zh) 一种基于微信的数字证书认证疑币的兑换装置执行的方法
CN109102617B (zh) 纸币信息处理方法、装置及现金交易系统
GB2471999A (en) Verifying the authenticity of an image
CN111967887A (zh) 数字化邮票和钱币的远程鉴评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