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2773A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2773A
KR20150092773A KR1020140012828A KR20140012828A KR20150092773A KR 20150092773 A KR20150092773 A KR 20150092773A KR 1020140012828 A KR1020140012828 A KR 1020140012828A KR 20140012828 A KR20140012828 A KR 20140012828A KR 20150092773 A KR20150092773 A KR 20150092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receiving portion
display device
flexible display
fluid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1081B1 (ko
Inventor
이강원
명만식
김규영
정태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2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081B1/ko
Priority to US14/519,283 priority patent/US9733671B2/en
Priority to CN201410798589.4A priority patent/CN104820511B/zh
Priority to JP2015019138A priority patent/JP6514514B2/ja
Publication of KR20150092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2Adaptations for fluid transport, e.g. channels, ho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커버 기판, 제1 유체 수용부 및 제1 유체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싸는 제2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 기판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유체 수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커버 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어 배치되며, 비어있는 공간을 갖는다. 상기 제1 유체는 상기 제1 유체 수용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FLEXIBL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기계적 내구성이 향상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TV, PC,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대부분의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부합하기 위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힘을 가해서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연성을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계적인 내구성이 부족할 수 있고, 사용자의 힘에 의해서 용이하게 파손될 수 있다 또한, 기계적인 내구성을 보완하기 위해서 강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유연성이 제한된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기계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유연성 및 기계적 내구성을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커버 기판, 제1 유체 수용부 및 제1 유체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싸는 제2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 기판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유체 수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커버 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어 배치되며, 비어있는 공간을 갖는다. 상기 제1 유체는 상기 제1 유체 수용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비어있는 공간을 갖는 제2 유체 수용부, 그리고 상기 제1 유체 수용부 및 상기 제2 유체 수용부와 연통하도록 배치되는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제1 유체 수용부 및 상기 제2 유체 수용부 사이에서 상기 제1 유체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펼쳐질 때 상기 제1 유체를 상기 제1 유체 수용부로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펌프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힐 때 상기 제1 유체를 상기 제2 유체 수용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제1 유체 수용부 내에서 상기 제1 유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체 수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제2 영역에 중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는 1.45 내지 1.55 사이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는 인가되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에 의해서 점성이 변화되거나, 고체 상태 또는 액체 상태로 변화될 수 있는 지능형 유체(smart fluid)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는 자성유체(magnetic fluid), 자기유변유체(Magneto-rheological fluid; MR fluid) 또는 전기유변유체(Electro-rheological fluid; ER fluid)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펼쳐질 때 상기 제1 유체는 고체 상태 또는 제1 점도를 갖는 액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힐 때, 상기 제1 유체는 상기 제1 점도보다 낮은 제2 점도를 갖는 액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수용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 또는 상기 제1 유체 수용부와 상기 커버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극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유체에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인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1 유체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감지 전극들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전극들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유체에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인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수용부와 상기 커버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커버 기판 사이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어 배치되며, 비어있는 공간을 갖는 제3 유체 수용부 및 상기 제3 유체 수용부 내에 배치되는 제2 유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딩 축(folding axis)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유체 수용부는 상기 폴딩 축과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폴딩 축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3 영역 및 상기 폴리 축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4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유체 수용부는 상기 제3 영역과 중첩되며, 상기 제4 영역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비어있는 공간을 갖는 제2 유체 수용부 및 상기 제1 유체 수용부 및 상기 제2 유체 수용부와 연통하도록 배치되는 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유체 수용부는 상기 제4 영역과 중첩되며, 상기 제3 영역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딩 축(folding axis)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유체 수용부는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커버 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유체 수용부를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커버 기판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며, 유체를 포함하는 제1 유체 수용부를 구비한다. 상기 유체는 제2 유체 수용부로 이동되거나, 전기장 또는 자기장에 의해서 점도가 변하거나 액체 또는 고체로 변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힐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커버 기판에 인가되는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기 위해서 도 1의 III-III' 라인을 따라 자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기 위해서 도 5의 III-III'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기 위해서 도 8의 III-III'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기 위해서 도 12의 III-III'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배선이란 양 쪽 단부가 도전성 구조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이와 접촉하는 상기 도전성 구조들 사이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도전성 패턴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기 위해서 도 1의 III-III' 라인을 따라 자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커버 기판(190), 제1 접착층(120), 제1 유체 수용부(130), 제1 유체(138), 제1 펌프(140), 제2 유체 수용부(150) 및 몸체(105)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일정한 유연성을 갖는 플렉서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액정 표시(LCD)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유기전계발광 표시(OLED) 패널, 전계방출 표시(FED) 패널, 전기영동 표시(electrophoretic display) 패널, 발광 다이오드(LE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도 1 및 도 2에서 상면 발광 구조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하면 발광 구조 또는 양면 발광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사용자가 가하는 힘에 의해서 형태가 변형되거나 접힐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폴딩 축(folding axis) IV-IV'를 중심으로 접힐 수 있다. 이와 달리,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폴딩 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제1 영역(I)과 제1 영역(I)의 측면을 둘러싸는 제2 영역(II)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영역(I)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표시 소자들이 배치되는 표시 영역일 수 있으며, 제2 영역(II)은 상기 표시 소자들에 연결된 배선들 및 구동 회로들이 배치되는 주변 영역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영역(II)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I)의 4개의 측면을 모두 둘러쌀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상부 또는 내부에 배치된 편광 필름 및/또는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인 셀(in-cell) 또는 온 셀(on-cell)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커버 기판(19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상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발광면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기판(190)은 투명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커버 기판(190)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커버 기판(190)은 제1 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제1 접착층(12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커버 기판(190)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접착층(12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커버 기판(190)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접착층(120)은 고무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비닐 에테르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과 같은 감압성 접착제(PSA)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 접착층(120) 내의 비어있는 공간을 제1 유체 수용부(130)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제1 접착층(120)은 제1 유체 수용부(130)를 전체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유체 수용부(130)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부재가 제1 유체 수용부(130)의 비어있는 공간과 제1 접착층(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유체 수용부(130)도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커버 기판(19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유체 수용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1 영역(I)과 전체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체 수용부(130)는 폴딩 축 IV-IV'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유체 수용부(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1 영역(I)에 대응하는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유체 수용부(130)는 제2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 두께(T2)는 커버 기판(190)의 제1 두께(T1)보다 작을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두께보다도 작을 수 있다.
제2 유체 수용부(150)는 제1 유체 수용부(130)와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유체 수용부(150)도 비어있는 공간을 가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유체를 수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유체 수용부(15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2 영역(II)에 배치될 수 있으며, 폴딩 축 IV-IV'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펌프(14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커버 기판(190) 사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2 영역(II)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펌프(140)는 ThinXXS Microtechnology사 또는 Bartels Mikrotechnik사의 상용 마이크로 펌프일 수 있다. 다만, 제1 펌프(140)는 이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으며, 유체를 이동시킬 수 있는 다른 모든 구조체일 수 있다.
제1 펌프(140)는 제1 유체 수용부(130) 및 제2 유체 수용부(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펌프(140)의 일측 단부는 제1 유체 수용부(130)와 연통될 수 있으며, 제1 펌프(140)의 다른 일측 단부는 제2 유체 수용부(150)와 연통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펌프(140)는 전기적 신호 또는 기계적 신호에 의해서 제1 유체(138)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펌프(140)는 제1 유체 수용부(130)와 제2 유체 수용부(150) 사이에서 제1 유체(138)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유체(138)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따라 제1 유체 수용부(130) 또는 제2 유체 수용부(15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유체(138)의 기능은 아래에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유체(138)는 액체, 기체 또는 점성을 갖는 겔(gel) 또는 에어로 겔(aerogel)일 수 있다. 제1 유체(138)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커버 기판(190) 및 제1 접착층(120)의 유전율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유체(138)는 약 1.45 내지 약 1.55 사이의 유전율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유체(138)의 배치 여부가 사용자에게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몸체(105)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커버 기판(190)을 수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몸체(105)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1 영역(I)을 노출시키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2 영역(II)을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에게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1 영역(I)만이 시인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3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펼쳐져서 사용자가 이미지를 감상할 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힐 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펼쳐질 때, 제1 유체(138)는 제1 펌프(140)에 의해서 제1 유체 수용부(130)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유체 수용부(130) 내에 배치된 제1 유체(138)의 압력에 의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영역(I)은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체(138)는 제1 유체 수용부(130)를 둘러싸는 제1 접착층(120)에 압력을 가할 수 있으며, 제1 접착층(120)과 디스플레이 패널(110) 또는 커버 기판(190) 사이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힐 때, 제1 유체(138)는 제1 펌프(140)에 의해서 제2 유체 수용부(150)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체 수용부(130) 내의 압력이 감소할 수 있으며, 제1 유체 수용부(13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히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 또는 커버 기판(190)에 가해지는 응력(stress)을 완화할 수 있다. 즉, 제1 유체 수용부(130)의 비어 있는 공간에 의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계적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2 유체 수용부(150)는 폴딩 축(folding axis)과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으므로, 제2 유체 수용부(150) 내의 압력이 증가하더라도, 제2 유체 수용부(15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힘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유체 수용부(130)에 의한 응력 완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은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시뮬레이션 1(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커버 기판(190)이 각기 약 100μm의 두께를 가지며, poly-ethylenetelephtalene (PET)를 포함하는 단층 필름으로 가정하였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110)와 커버 기판(190) 사이는 약 100μm의 거리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1 유체(138)가 배치되었다. 이후, 디스플레이 패널(110)/제1 유체(138)/커버 기판(190)으로 구성된 구조체를 폴딩 축을 중심으로 접을 때,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가해지는 응력을 계산하였다.
시뮬레이션 2(비교예)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커버 기판(190)이 각기 약 100μm의 두께를 가지며, poly-ethylenetelephtalene (PET)를 포함하는 단층 필름으로 가정하였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110)와 커버 기판(190) 사이는 약 100μm의 두께를 가지는 접착층(120)이 배치되었다. 접착층(120)은 E=300MPa의 강도와 ν=0.3의 점성을 가지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후, 디스플레이 패널(110)/접착층(120)/커버 기판(190)으로 구성된 구조체를 폴딩 축을 중심으로 접을 때,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가해지는 응력을 계산하였다.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상기 구조체들을 약 90°로 접었을 때, 시뮬레이션 1에서 계산된 응력은 시뮬레이션 2에서 계산된 응력의 약 55.4% 내지 약 59.2% 사이였다. 한편, 상기 구조체들을 약 160°로 접었을 때, 시뮬레이션 1에서 계산된 응력은 시뮬레이션 2에서 계산된 응력의 약 41.9% 내지 약 47.8% 사이였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커버 기판(190) 사이에 제1 유체(138)가 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커버 기판(190)의 계면이 분리됨에 따라서 응력이 완화됨을 확인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기 위해서 도 5의 III-III'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터치 패널(160), 커버 기판(190), 제1 접착층(120), 제2 접착층(122), 제1 유체 수용부(130), 제1 펌프(140), 제2 유체 수용부(150), 제3 유체 수용부(132), 제2 펌프(142), 제4 유체 수용부(152) 및 몸체(105)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 커버 기판(190), 제1 접착층(120), 제1 유체 수용부(130), 제1 펌프(140), 제2 유체 수용부(150) 및 몸체(105)는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구성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터치 패널(16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커버 기판(19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패널(160)은, 예를 들어, 저항막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방식(Capacitive Type), 전기자기장방식(Electro-Magnetic Type), 소오방식(SAW Type; Surface Acoustic Wave Type) 및 인프라레드방식(Infrared Type)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터치 패널(160)은 복수의 감지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 전극이 주변의 다른 감지 전극들과 형성하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정전용량박식의 터치 패널일 수 있다. 터치 패널(160)의 상기 감지 전극들 및 이에 연결된 배선들은 단층으로 배치되거나, 2개 이상의 층으로 구분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터치 패널(160)은 내부에 배치된 편광 필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터치 패널(160)은 다층으로 배치된 감지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감지 전극들 사이에 상기 편광 필름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널(160)이 배치됨에 따라, 제1 접착층(120), 제1 유체 수용부(130) 및 제1 펌프(14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터치 패널(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접착층(122), 제3 유체 수용부(132) 및 제2 펌프(142)는 터치 패널(160)과 커버 기판(19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4 유체 수용부(152)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2 영역(II)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펌프(142)를 통해서 제3 유체 수용부(132)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유체(139)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따라 제3 유체 수용부(132) 또는 제4 유체 수용부(15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감상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1 영역(I)과 중첩되는 제1 유체 수용부(130) 및 제3 유체 수용부(132) 내에 각기 제1 유체(138) 및 제2 유체(139)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힐 때, 제1 유체(138)는 제1 펌프(140)에 의해서 제2 유체 수용부(150)로 이동하고, 제2 유체(139)는 제2 펌프(142)에 의해서 제4 유체 수용부(152)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체 수용부(130) 및 제3 유체 수용부(132) 내의 압력이 감소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10), 터치 패널(160) 및 커버 기판(190)의 계면이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인가되는 응력이 완화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및 제2 펌프들(140, 1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체(138) 및 제2 유체(139)의 이동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2개의 펌프들(140, 142)을 포함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3개 이상의 펌프들도 포함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터치 패널(160), 커버 기판(190), 제1 접착층(120), 제2 접착층(124), 제1 유체 수용부(130), 제1 펌프(140), 제2 유체 수용부(150) 및 몸체(10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착층(124)을 제외하면, 도 5 및 도 6을 참조로 설명한 구성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제2 접착층(124)은 터치 패널(160)과 커버 기판(19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접착층(124)은 터치 패널(160)과 커버 기판(190)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도 5 및 도 6과 달리, 제2 접착층(124) 내에는 유체 수용부가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유체 수용부(130) 및 제1 펌프(140)는 터치 패널(160)과 디스플레이 패널(11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유체 수용부(130) 및 제1 펌프(140)는 터치 패널(160)과 커버 기판(190) 사이에 배치되거나, 커버 기판(190)과 그 하부에 배치된 편광 필름(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유체 수용부(130) 및 제1 펌프(140)의 위치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히는 방향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 4에 도시된 방향으로 접히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10)에는 인장 응력이 인가되고, 커버 기판(190)에는 압축 응력이 인가될 수 있다. 다만, 내구성을 고려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가해진 인장 응력의 완화가 우선적으로 요구될 수 있다. 제1 유체 수용부(130) 및 제1 펌프(140)가 터치 패널(160)과 커버 기판(190)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1 유체 수용부(130) 및 제1 펌프(140)가 터치 패널(160)과 디스플레이 패널(110) 사이에 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인가되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도 8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기 위해서 도 8의 III-III'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유체 수용부(134)을 제외하면, 도 5 및 도 6을 참조로 설명한 구성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표시 소자들이 배치되는 제1 영역(I)과 제1 영역(I)의 측면을 둘러싸는 제2 영역(II)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제1 영역(I)은 폴딩 축(folding axis) IV-IV'에 인접한 제3 영역(V)과 폴딩 축(folding axis) IV-IV'에 인접하지 않은 제4 영역(VI)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3 영역(V)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힐 때, 변형이 일어나고 응력이 가해지는 폴딩 영역이고, 제4 영역(VI)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힐 때,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평면 영역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폴딩 축 IV-IV'과 이에 대응하는 하나의 폴딩 영역을 가진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폴딩 축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폴딩 영역들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이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유체 수용부(134)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3 영역(V)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4 영역(VI)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유체 수용부(134)는 제1 펌프(140)를 통해서 제2 영역(II)에 배치된 제2 유체 수용부(15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유체 수용부(13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1 유체 수용부(130)보다 작은 부피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유체 수용부(134) 및 제2 유체 수용부(150) 사이에서 제1 유체(138)가 이동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유체 수용부(134)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접힐 때, 변형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체 수용부(134)는 응력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터치 패널(160), 커버 기판(190), 제1 접착층(120), 제1 유체 수용부(135), 제1 펌프(140), 제2 유체 수용부(154), 제3 유체 수용부(136), 제2 펌프(142) 제4 유체 수용부(156) 및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유체 수용부(136), 제2 유체 수용부(154) 및 제4 유체 수용부(156)의 위치를 제외하면, 도 9 및 도 10을 참조로 설명한 구성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표시 소자들이 배치되는 제1 영역(I)과 제1 영역(I)의 측면을 둘러싸는 제2 영역(II)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 영역(I)은 또한 접힘에 의해서 변형이 일어나는 제3 영역(V) 및 접힘에 의해서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제4 영역(VI)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시적이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유체 수용부(135) 및 제3 유체 수용부(136)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3 영역(V)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4 영역(VI)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유체 수용부(135) 및 제3 유체 수용부(136)는 각기 제2 영역(II)에 배치된 제1 펌프(140) 및 제2 펌프(142)를 통해서 제4 영역(VI)에 배치된 제2 유체 수용부(154) 및 제4 유체 수용부(156)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접힐 때, 유체는 제2 유체 수용부(154) 및 제4 유체 수용부(156)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유체 수용부(154) 및 제4 유체 수용부(156)는 제3 영역(V)과 중첩되지 않으므로, 이들 내에 유체가 배치되더라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힘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1 유체 수용부(135) 및 제2 유체 수용부(136)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가해지는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유체 수용부(137)의 형상을 제외하면,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구성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제1 유체 수용부(137)는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된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체 수용부(137)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두루마리처럼 감길(rolled) 때,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인가되는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두루마리형(rollabl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기 위해서 도 12의 III-III' 라인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210), 커버 기판(290), 제1 접착층(220), 제1 유체 수용부(230) 및 몸체(205)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일정한 유연성을 갖는 플렉서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사용자가 가하는 힘에 의해서 형태가 변형되거나 접힐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210)은 표시 영역인 제1 영역(I)과 제1 영역(I)의 측면을 둘러싸는 제2 영역(II)으로 구분될 수 있다.
커버 기판(290)은 디스플레이 패널(210) 상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발광면을 덮을 수 있다.
제1 접착층(220)은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커버 기판(290) 사이에 배치된다. 한편, 제1 접착층(220) 내의 비어있는 공간을 제1 유체 수용부(230)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제1 접착층(220)은 제1 유체 수용부(230)를 전체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제1 유체 수용부(230)는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커버 기판(29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유체 수용부(23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10)의 제1 영역(I)과 전체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1 유체(238)는 제1 유체 수용부(23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유체(238)는 지능형 유체(smart flui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능형 유체는 전기 또는 자기 신호에 반응하여 점도가 변화하는 유체를 말한다. 예를 들어, 제1 유체(238)는 자성유체(magnetic fluid), 자기유변유체(Magneto-rheological fluid, MR fluid) 또는 전기유변유체(Electro-rheological fluid, ER fluid)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체(238)는 일반적인 상태에서 점도가 낮은 액체 상태로 존재하지만, 전기장 또는 자기장이 인가되는 경우 점도가 높은 액체 상태 또는 고체 상태로 변화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펼쳐질 때, 제1 유체(238)에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이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체(238)의 점도가 증가하거나, 고체 상태로 변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유체(238)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체(238)는 제1 유체 수용부(230)를 둘러싸는 제1 접착층(220)에 압력을 가할 수 있으며, 제1 접착층(220)과 디스플레이 패널(210) 또는 커버 기판(290) 사이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힐 때, 제1 유체(238)에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이 인가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체(238)는 점도가 낮은 액체 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유체(238)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히면서 디스플레이 패널(210) 또는 커버 기판(290)에 가해지는 응력(stress)을 완화할 수 있다.
한편, 제1 유체(238)에 인가되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은 디스플레이 패널(210) 내에 배치된 전극들(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210) 내에 배치된 화소 전극들 또는 공통 전극들 중에서,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지 않는 화소 전극 또는 공통 전극이 제1 유체(238)에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인가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210) 상부 또는 내부에 배치된 터치 패널(도시되지 않음) 내에 배치된 감지 전극들 중에서 터치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감지 전극들이 제1 유체(238)에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인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210), 터치 패널(260), 커버 기판(290), 제1 접착층(220), 제2 접착층(222), 제1 유체 수용부(230), 제2 유체 수용부(232), 제1 유체(238) 및 제2 유체(239)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260)은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커버 기판(29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패널(260)이 배치됨에 따라, 제1 접착층(220), 제1 유체 수용부(230) 및 제1 유체(238)는 디스플레이 패널(210)과 터치 패널(2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접착층(222), 제2 유체 수용부(232) 및 제2 유체(239)는 터치 패널(160)과 커버 기판(19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터치 패널(260) 내에 포함된 감지 전극들(도시되지 않음)은 제1 유체(238) 또는 제2 유체(239)에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인가할 수 있다. 제1 유체(238) 및 제2 유체(239)는 지능형 유체를 포함하므로, 인가된 전기장 또는 자기장에 의해서 점도가 변화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유체 수용부들(230, 23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210), 커버 기판(290), 제1 접착층(220), 제1 유체 수용부(230), 몸체(205), 제1 전극(240) 및 제2 전극(2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240) 및 제2 전극(250)을 제외하면, 도 12 및 도 13을 참조로 설명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전극(240)은 제1 접착층(220)과 디스플레이 패널(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전극(250)은 제1 접착층(220)과 커버 기판(29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전극(240)과 제2 전극(250) 중에서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제1 전극(240) 및/또는 제2 전극(250)은 제1 유체(238)에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펼쳐질 때, 제1 전극(240) 및/또는 제2 전극(250)은 제1 유체(238)에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인가하여 제1 유체(238)의 점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힐 때, 제1 전극(240) 및/또는 제2 전극(250)은 제1 유체(238)에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유체 수용부(234)의 형상을 제외하면, 도 12 및 도 13을 참조로 설명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제1 유체 수용부(234)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폴딩 축 IV-IV'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7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유체 수용부(237)의 형상을 제외하면, 도 12 및 도 13을 참조로 설명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제1 유체 수용부(237)는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된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유체 수용부(237) 내에 배치된 지능형 유체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두르마리처럼 감길(rolled) 때,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인가되는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두루마리형(rollabl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5: 몸체 110, 210: 디스플레이 패널
120, 220: 제1 접착층 122, 124: 제2 접착층
130, 134, 135, 137, 230: 제1 유체 수용부
132, 136: 제3 유체 수용부 138, 238: 제1 유체
139: 제2 유체 140: 제1 펌프
142: 제2 펌프 150: 제2 유체 수용부
152: 제4 유체 수용부 160: 터치 패널
190: 커버 기판

Claims (20)

  1.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을 둘러싸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배치되는 커버 기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커버 기판 사이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어 배치되며, 비어있는 공간을 갖는 제1 유체 수용부; 및
    상기 제1 유체 수용부 내에 배치되는 제1 유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비어있는 공간을 갖는 제2 유체 수용부; 및
    상기 제1 유체 수용부 및 상기 제2 유체 수용부와 연통하도록 배치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제1 유체 수용부 및 상기 제2 유체 수용부 사이에서 상기 제1 유체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펼쳐질 때 상기 제1 유체를 상기 제1 유체 수용부로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펌프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힐 때 상기 제1 유체를 상기 제2 유체 수용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제1 유체 수용부 내에서 상기 제1 유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체 수용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제2 영역에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복수 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는 1.45 내지 1.55 사이의 유전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는 인가되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에 의해서 점성이 변화되거나, 고체 상태 또는 액체 상태로 변화될 수 있는 지능형 유체(smart flu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는 자성유체(magnetic fluid), 자기유변유체(Magneto-rheological fluid; MR fluid) 또는 전기유변유체(Electro-rheological fluid; ER flu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펼쳐질 때, 상기 제1 유체는 고체 상태 또는 제1 점도를 갖는 액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힐 때, 상기 제1 유체는 상기 제1 점도보다 낮은 제2 점도를 갖는 액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수용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 또는 상기 제1 유체 수용부와 상기 커버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극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유체에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인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1 유체 수용부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감지 전극들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전극들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유체에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인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수용부와 상기 커버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커버 기판 사이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어 배치되며, 비어있는 공간을 갖는 제3 유체 수용부; 및
    상기 제3 유체 수용부 내에 배치되는 제2 유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딩 축(folding axis)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체 수용부는 상기 폴딩 축과 중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폴딩 축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3 영역 및 상기 폴리 축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4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유체 수용부는 상기 제3 영역과 중첩되며, 상기 제4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비어있는 공간을 갖는 제2 유체 수용부; 및
    상기 제1 유체 수용부 및 상기 제2 유체 수용부와 연통하도록 배치되는 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유체 수용부는 상기 제4 영역과 중첩되며, 상기 제3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폴딩 축(folding axis)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체 수용부는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커버 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유체 수용부를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012828A 2014-02-05 2014-02-05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51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828A KR102251081B1 (ko) 2014-02-05 2014-02-05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4/519,283 US9733671B2 (en) 2014-02-05 2014-10-21 Flexible display apparatus
CN201410798589.4A CN104820511B (zh) 2014-02-05 2014-12-19 柔性显示设备
JP2015019138A JP6514514B2 (ja) 2014-02-05 2015-02-03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828A KR102251081B1 (ko) 2014-02-05 2014-02-05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773A true KR20150092773A (ko) 2015-08-17
KR102251081B1 KR102251081B1 (ko) 2021-05-13

Family

ID=53730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828A KR102251081B1 (ko) 2014-02-05 2014-02-05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33671B2 (ko)
JP (1) JP6514514B2 (ko)
KR (1) KR102251081B1 (ko)
CN (1) CN104820511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9346A (ko) * 2016-10-10 2018-04-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KR20180073634A (ko) * 2015-12-29 2018-07-02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폴딩 가능한 단말
US10198041B2 (en) 2016-10-07 2019-02-05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KR20190071177A (ko) * 2017-12-14 2019-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US10347852B2 (en) 2016-11-18 2019-07-09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US10743430B2 (en) 2017-12-29 2020-08-11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US11221648B2 (en) 2019-09-09 2022-01-11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384B1 (ko) * 2011-06-30 2013-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16081051A (ja) 2014-10-10 2016-05-1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機能パネル、装置、情報処理装置
CN204808776U (zh) * 2015-07-07 2015-11-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US10539978B2 (en) * 2015-09-08 2020-01-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JP2019507462A (ja) * 2015-12-28 2019-03-1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流体キャビティ構成を有する可撓性電子デバイス
US9913392B2 (en) * 2016-04-13 2018-03-06 Motorola Mobility Llc Flexible display stack-up and method for arranging
CN106125846B (zh) * 2016-07-08 2018-06-2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柔性屏支撑结构、柔性显示屏模组及移动终端
KR102292302B1 (ko) * 2017-04-10 2021-08-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9271050A (zh) * 2017-07-17 2019-01-25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面板及柔性显示装置
CN110770813A (zh) * 2017-08-03 2020-02-07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折叠机构控制方法、折叠机构及终端
CN110753958A (zh) * 2017-08-09 2020-02-04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一种展开机构
CN109584719A (zh) * 2017-09-28 2019-04-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模组及制备方法与弯折方法、电子设备
WO2019070005A1 (ja) * 2017-10-04 2019-04-11 Agc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装置
WO2019117050A1 (ja) 2017-12-11 2019-06-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08540601B (zh) * 2018-04-09 2021-03-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组件和具有其的终端设备
CN108776573B (zh) * 2018-05-29 2021-02-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柔性屏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08831305A (zh) * 2018-06-22 2018-11-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盖板及其制备方法、显示面板、显示装置
CN109087588B (zh) * 2018-09-19 2020-06-09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支撑装置
KR20200063801A (ko) * 2018-11-28 2020-06-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200126480A (ko) * 2019-04-29 2020-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0209302B (zh) * 2019-05-31 2024-02-20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显示装置和显示面板的使用方法
CN110706597B (zh) * 2019-10-22 2024-02-0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1026235A (zh) * 2019-11-22 2020-04-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电子设备控制方法
KR20210085200A (ko) * 2019-12-30 2021-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
CN114930434B (zh) * 2020-01-15 2024-02-27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CN113012575B (zh) * 2021-02-25 2022-06-14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模组和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1765A (ja) * 2002-08-05 2004-03-04 Sony Corp 電気粘性流体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10098349A (ko) * 2010-02-26 2011-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이식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89077A (ko) * 2011-02-01 2012-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138830A (ko) * 2007-11-20 2012-12-26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장치의 키패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8177A (en) * 1979-12-20 1981-07-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splay unit
KR100822186B1 (ko) 2001-10-18 2008-04-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폴딩 타입의 터치 패널과, 이를 채용한 평판표시장치
TWI329662B (en) * 2002-05-17 2010-09-01 Sipix Imaging Inc Novel fluorinated silicon (iv) phthalocyanines and naphthalocyanines for electrophoretic, magnetophoretic or electromagnetophoretic display
DE10324579A1 (de) * 2003-05-30 2004-12-16 Daimlerchrysler Ag Bedienvorrichtung
KR20060008583A (ko) 2004-07-21 2006-01-27 주식회사 에스 엔 씨 램프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77158A (ko) 2005-11-10 2008-08-2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비주얼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한 유체 전송
KR20080004982A (ko) 2006-07-07 2008-01-10 엘지마이크론 주식회사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JP5121239B2 (ja) * 2007-02-01 2013-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
US8547339B2 (en) * 2008-01-04 2013-10-01 Tactus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s for raised touch screens
US8154527B2 (en) 2008-01-04 2012-04-10 Tactus Technology User interface system
KR20090115523A (ko) 2008-05-02 2009-11-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1097826B1 (ko) 2008-06-05 2011-12-22 한국과학기술원 센서와 유변유체를 이용한 햅틱 장치, 이를 갖는 전자기기및 이를 이용한 햅틱 제공방법
WO2010078597A1 (en) 2009-01-05 2010-07-08 Tactus Technology, Inc. User interface system
KR101563685B1 (ko) 2009-02-12 2015-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TWI436312B (zh) 2009-03-04 2014-05-01 Prime View Int Co Ltd 可撓式顯示器
JP4888532B2 (ja) * 2009-07-14 2012-02-2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保護板付き電子部材
JP5174781B2 (ja) 2009-10-15 2013-04-03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69928B1 (ko) 2010-03-23 2016-10-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평판표시장치
CN102419933A (zh) * 2010-09-28 2012-04-18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显示器及具有该显示器的电子装置
TWI457884B (zh) 2011-08-26 2014-10-21 Wistron Corp 可撓式液晶顯示器及可撓式流體顯示器
US8929085B2 (en) * 2011-09-30 2015-01-06 Apple Inc. Flexible electronic devices
JP6152539B2 (ja) * 2012-05-22 2017-06-28 株式会社Joled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939900B2 (en) * 2013-04-26 2018-04-10 Immersio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 haptically-enabled deformable surface
EP3462297A3 (en) * 2013-04-26 2019-07-10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haptically-enabled conformed and multifaceted display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1765A (ja) * 2002-08-05 2004-03-04 Sony Corp 電気粘性流体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20138830A (ko) * 2007-11-20 2012-12-26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장치의 키패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10098349A (ko) * 2010-02-26 2011-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이식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89077A (ko) * 2011-02-01 2012-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3634A (ko) * 2015-12-29 2018-07-02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폴딩 가능한 단말
US10416724B2 (en) 2015-12-29 2019-09-1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Foldable terminal
US10429897B2 (en) 2015-12-29 2019-10-0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Foldable terminal
US10817026B2 (en) 2015-12-29 2020-10-2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Foldable terminal
US10198041B2 (en) 2016-10-07 2019-02-05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KR20180039346A (ko) * 2016-10-10 2018-04-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US10347852B2 (en) 2016-11-18 2019-07-09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US11114629B2 (en) 2016-11-18 2021-09-07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KR20190071177A (ko) * 2017-12-14 2019-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 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US10743430B2 (en) 2017-12-29 2020-08-11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US11221648B2 (en) 2019-09-09 2022-01-11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081B1 (ko) 2021-05-13
CN104820511B (zh) 2020-06-19
JP6514514B2 (ja) 2019-05-15
CN104820511A (zh) 2015-08-05
US9733671B2 (en) 2017-08-15
US20150220117A1 (en) 2015-08-06
JP2015148799A (ja) 2015-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1081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0444891B2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656719B2 (en) Dynamic input surface for electronic devices
US8994677B2 (en) Touch sensing structure
JP2019220214A (ja) タッチセンサを含む表示装置
US10261616B2 (en) Pressure sensor with waterproof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JP5840522B2 (ja) 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150324046A1 (en) Flexible touch-sensing module and display device with the flexible touch-sensing module
US20200150481A1 (en) Display device
KR102305398B1 (ko) 표시장치
US9917266B2 (en) Bendable device with a window top layer and a body having extendable bending region
JP6777068B2 (ja) 入力装置および電気機器
CN108121479B (zh) 显示装置
CN108415630B (zh) 一种结合了电容式触控传感器的装置及其制造方法
US9823770B2 (en) Display apparatus
US20120075236A1 (en) Terminal with touch screen
US20150102947A1 (en) Film-type haptic device, haptic feedback electronic device and haptic keyboard
EP3226112B1 (en) Touch display device
US20170168641A1 (en) Display device with force sensing device
US20170131818A1 (en) Touch and pressure sensing device
KR20110082468A (ko)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EP3460641B1 (en) Display apparatus
US8421768B2 (en) Touch screen device
KR20160076033A (ko)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20093958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