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982A -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982A
KR20080004982A KR1020060063994A KR20060063994A KR20080004982A KR 20080004982 A KR20080004982 A KR 20080004982A KR 1020060063994 A KR1020060063994 A KR 1020060063994A KR 20060063994 A KR20060063994 A KR 20060063994A KR 20080004982 A KR20080004982 A KR 20080004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display device
pixel
height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3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성
임장권
김태민
Original Assignee
엘지마이크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마이크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마이크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3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4982A/ko
Publication of KR20080004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9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electrical, optical, physical properties; materials therefor; method of mak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 G02F2201/123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pix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Mechanical Light Control Or Optical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섞이지 않는 유체들을 이용하여 정전기력을 통해 디스플레이를 온/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정전기 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원이 연결된 2개의 투명한 기판과, 상기 기판 중 하부 기판상에 적층되는 유전체물질과, 상기 유전체물질상에 적층되는 소수성 막과, 소수성 막이 설치된 측면과, 내부에 배치된 섞이지 않는 제1 및 제2 유체를 구비한 다수의 픽셀에, 전압을 인가하여 제1 유체를 측면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 장치를 온/오프시키는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전압인가시 제1 유체가 이동되는 측면에 삼각형 홈을 형성하므로, 제1 유체의 면적변화속도를 향상시키고 제1 유체의 스위칭 시간을 줄임으로써 잔상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변형형태에 있어서 제1 유체가 응집할 수 있는 최적의 비율을 확보함으로써 종래의 디스플레이가 해결하지 못했던 반응시간, 제1 유체의 면적에 반비례하는 밝기 및 선명도를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using electro-wetting}
도 1은 종래의 정전액적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픽셀의 일측변에 삼각형 홈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픽셀의 일측변에 사다리꼴 홈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디스플레이 액적의 변형에 따른 제1 유체의 응집부분을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한 도면이다.
도 5는 디스플레이 액적의 변형에 따른 제1 유체의 응집부분을 사다리꼴의 형태로 구성한 도면이다.
도 6은 삼각형 타입의 측면을 가진 셀에서 전압인가 여부에 따라 단위 픽셀에 포함된 제1 유체의 형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픽셀의 상기의 삼각형과 사다리꼴 응집 부위를 이용하여 전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한 형태 중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투명판 20:측면
30:소수성막 40:제2 유체
50:제1 유체 60:유전체물질
70:픽셀 80:응집부
90:사다리꼴 홈 100:삼각형 홈
본 발명은 정전기 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서로 섞이지 않는 유체들을 이용하여 정전기력을 통해 디스플레이를 온/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섞이지 않는 유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투명기판과 정전도성 혹은 극성 있는 유체를 사용하여 정전기력을 통해 디스플레이를 온/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장치를 말하는데, 이러한 효과는 본질적으로 전계에 의해 극성 액체가 소수성 표면과 직접 접촉하려는 현상으로서 정전액적효과라고 하며, 반사디스플레이에서 온/오프 전압스위칭 변화로 액적이 정전기력에 의해 이동하거나 형태가 변화하는 것을 기본 바탕으로 하고 있다. 즉, 전계가 인가되면 표면의 에너지 기울기가 극성 액체 내에 발생되고 이를 이용하여 액체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원리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디스플레이의 광학 소자는 통상적으로 일부는 물로 일부는 기름으로 채워지는 닫힌 셀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물과 기름뿐만 아니라 다른 액체 또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액체들은 중요한 특징으로서 서로 섞일 수 없고 그들 중 한 액체는 극성인데 반해 나머지 것은 무극성이어 야 한다는 것이다. 섞이지 않는 두 유체는 경계면이 항상 그들 사이에 존재한다. 기름이 적층된 소수성 표면은 그 특성이 물을 거부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기술은 전압 인가 시 유체의 분열에 따라 밝기, 선명도, 투과도가 결정되며, 반사디스플레이, e-페이퍼, shutter 등에 이용가능하다.
도 1은 국제특허공보 제WO2006/021912A1호에 개시된 것으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의 각 셀은 도 1(가)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투명한 기판 또는 지지판(3, 4) 사이에 제 1 유체(5)와 제 2 유체(6)가 제공되고 이들은 서로 섞이지 않는다. 도 1(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상태에서는 외부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며, 유체(5, 6)는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된 제 1 및 제 2의 투명한 지지판(3, 4)과 접하게 된다. 제 1 지지판(3) 상에는 유전체물질(10)이 적층되고, 그 위에는 인듐(주석)산화물과 같은 투명한 전극(7)이 제공되며, 이 전극(7)위에는 소수성 층(8)이 생긴다. 전원(9)에 의하여 연결부(20, 21)를 통해 전압이 인가되면, 제1 유체(5)가 옆으로 이동하거나 작은 방울로 분리되고, 결국 도 1(나)에서와 같이 측벽(2)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도면번호 11과 12는 불투명 영상과 투명영상을 나타낸다.
오프상태에서 제1 유체(5)는 투명기판(7)이 완전히 불투명하게 되도록 전체 면적으로 퍼져 있어야 하며, 온상태에서의 제1 유체(5)는 한쪽 측벽(2)으로 모여야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밝기와 선명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스위칭 역할을 하는 제1 유체(5)는 기판(7) 위에서의 퍼짐 특성과 제1 유체(5)의 응집시 차지하는 면적에 의해 결정된다. 반사 디스플레이에서는 반사되는 제1 유체(5)의 유동특성은 물 론 광특성 또한 디스플레이 특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제1 유체는 충분한 광 밀도를 포함하고 있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하이드로카본(hydrocarbon), 실리콘(silicon), 프루오카본(fluorocarbon) 등이 사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의 한 셀(15)은 도 1(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통 사각형을 이루고 있고, 제1 유체(5)는 전압인가 시 일반적으로 다섯 점인 셀(15)의 가장자리 네 점 및 가운데 한 점으로 이동하여 응집하고, 사다리꼴 픽셀모양에서는 좁은 변(19)쪽으로 이동하여 응집하므로, 결국 제1 유체(5)는 뾰족한 꼭지점(18) 혹은 좁은 변(19)에 응집하고, 둥근 모양의 코너(17)에서는 이동하기 쉬운 경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즉, 픽셀의 모양을 삼각형, 사다리꼴 등으로 변화시켜 제1 유체(5)의 이동이 좁은 변이나 꼭지점에 집중되고 원형으로 된 면에서는 빠르게 이동되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여기서, 도면번호 16은 제1 유체가 이동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제한된 체적 내에서 스위칭 역할을 하는 제1 유체(5)의 빠른 면적변화를 일으키기 위해서 소수성막을 이용하거나 높은 전압 인가를 통해 스위칭하는 제1 유체(5)의 유동변화에 초점을 두었고, 이러한 것은 작동시간에 있어서 반응시간을 줄이는 측면에서는 발전을 이루었으나, 디스플레이 제품의 핵심인 밝기(brightness), 선명도(contrast)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 제는 섞이지 않는 제1 및 제2 유체를 하나의 픽셀 내에 배치시키고 전압을 인가하여 제1 유체를 이동시킴으로써 온/오프시키는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의 셀 모양을 변화시킴으로써 제1 유체의 면적변화속도를 향상시키고 제1 유체의 스위칭 시간을 줄이는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변형형태에 있어서 제1 유체가 응집할 수 있는 최적의 비율을 확보함으로써 종래의 디스플레이가 해결하지 못했던 반응시간, 제1 유체의 면적에 반비례하는 밝기 및 선명도를 개선한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이 연결된 2개의 투명한 기판과, 상기 기판 중 하부 기판상에 적층되는 유전체물질과, 상기 유전체물질상에 적층되는 소수성 막과, 소수성 막이 설치된 측면과, 내부에 배치된 섞이지 않는 제1 및 제2 유체를 구비한 다수의 픽셀에, 전압을 인가하여 제1 유체를 측면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 장치를 온/오프시키는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전압인가시 제1 유체가 이동되는 측면에 삼각형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하나의 픽셀에 형성되는 삼각형의 개수를 n이라고 할 경우, 상기 삼각형의 밑변(Wn)에 대한 높이(hn)의 비(hn/Wn)는 0.01 내지 100이 될 수 있다.
상기 픽셀의 높이(D)에 대한 제1 유체의 저장공간인 삼각형 높이의 비(hn/D)는 0.001 내지 100이 될 수 있다.
상기 삼각형의 개수(n)는 픽셀 폭(M)에 대한 삼각형 밑변(Wn)의 비(M/Wn)로서 1 내지 1000이 될 수 있다.
상기 삼각형의 내각(θn)은 θn=2×tan-1{Wn/(2×hn)}이 될 수 있다.
픽셀의 가로(M)에 대한 세로(D)의 비(D/M)는 0.001 내지 1000이 될 수 있다.
또한, 전원이 연결된 2개의 투명한 기판과, 상기 기판 중 하부 기판상에 적층되는 유전체물질과, 상기 유전체물질상에 적층되는 소수성 막과, 소수성 막이 설치된 측면과, 내부에 배치된 섞이지 않는 제1 및 제2 유체를 구비한 다수의 픽셀에, 전압을 인가하여 제1 유체를 측면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 장치를 온/오프시키는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전압인가시 제1 유체가 이동되는 측면에 사다리꼴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하나의 픽셀에 형성되는 사다리꼴의 개수를 n이라고 할 경우, 사다리꼴의 밑변(Wn)에 대한 높이(hn)의 비(hn/Wn)는 0.01 내지 100이 될 수 있다.
상기 픽셀의 높이(D)에 대한 제1 유체의 저장공간인 사다리꼴 높이의 비 (hn/D)는 0.001 내지 100이 될 수 있다.
상기 사다리꼴의 개수(n)는 픽셀 폭(M)에 대한 사다리꼴 밑변(Wn)의 비(Wn/M)로서 1 내지 1000이 될 수 있다.
상기 사다리꼴의 내각(θn)은 θn=tan-1{(Wn-Ln)/(2×hn)}+π/2이 될 수 있다.
상기 픽셀의 가로(M)에 대한 세로(D)의 비(D/M)는 0.001 내지 1000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픽셀의 일측변에 삼각형 홈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2(가)는 하나의 픽셀에 하나의 삼각형이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나)는 하나의 픽셀에 두개의 삼각형들이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다)는 하나의 픽셀에 n개의 삼각형들이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픽셀의 일측변에 사다리꼴 홈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3(가)는 하나의 픽셀에 하나의 사다리꼴이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나)는 하나의 픽셀에 세개의 사다리꼴들이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다)는 하나의 픽셀에 n개의 사다리꼴들이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디스플레이 액적의 변형에 따른 제1 유체(50)의 응집부분을 삼각형의 형태로 구성한 도면이고, 도 5는 디스플레이 액적의 변형에 따른 제1 유체(50)의 응집부분을 사다리꼴의 형태로 구성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전액적 원리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의 광도와 선명도는 소수성막(30)의 산란 특성과 제1 유체(50)가 차지하는 면적에 의해 결정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70)은 전형적으로 정사각형 모양이며, 이러한 경우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제1 유체(50)는 일반적으로 다섯 곳 중 한 곳으로 이동한다. 즉, 픽셀(70)의 가장자리 네 점 또는 정 중앙에 위치한다.
이러한 점은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픽셀(70)에 있어서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점으로서, 픽셀(70)의 기하학적인 모양이 동작시간과 밝기와 선명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디스플레이 픽셀(70)인 경우 전압 인가시 제1 유체(50)의 분열은 꼭지점 또는 가장 짧은 변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삼각형의 경우 꼭지점을 더욱 뾰족하게 하거나 사다리꼴의 경우 대향하는 상변과 하변의 길이 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이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다리꼴에서 제1 유체(50)는 2 대 1의 비율보다 3 대 1의 비율에서 더욱 잘 제어된다.
따라서, 전압 인가시 최적의 광 투과율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1 유체(50)의 면적을 빨리 변화시킴으로써 투과면적을 증가시키도록 제1 유체(50)의 응집부(80)의 모양을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로 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체(50)가 뾰족한 부분에 더욱 잘 응집한다는 점에 의하여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의 상향 각도를 줄임으로써 응집의 최적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디스플레이 픽셀(70)에 삼각형(100) 타입이나 사다리꼴(90) 타입의 모양을 다수 개 형성하여 이동시간을 더욱 짧게 하고, 뾰족한 부분의 각과 응집하는 면적을 조합하여 응집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픽셀(70)의 밝기와 선명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삼각형(100) 타입을 설명하면, 하나의 픽셀(70)에 형성되는 제1 유체(50)가 응집하는 삼각형의 개수를 n이라고 할 경우, 삼각형(100)의 밑변(Wn)에 대한 높이(hn)의 비(hn/Wn)는 0.01 내지 100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의 비(hn/Wn)는 제1 유체(50)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함수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픽셀(70)의 높이(D)에 대한 제1 유체(50)의 저장공간인 삼각형(100) 높이의 비(hn/D)는 0.001 내지 100이 바람직하다.
제1 유체(50)가 수용되는 면적을 크게 하고 스위칭 반응시간을 높이기 위해서는 삼각형(100)의 높이와 개수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도 2(나)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삼각형의 개수(n)는 픽셀(70) 폭(M)에 대한 삼각형(100) 밑변(Wn)의 비(M/Wn)로 정의되며, 1 내지 1000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다)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삼각형(100)의 내각 θn은 스위칭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인자로서,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θn=2×tan-1{(Wn/(2×hn)}
여기서, Wn은 삼각형의 밑변길이이고, hn은 삼각형의 높이길이이다.
마지막으로, 픽셀(70)의 가로(M)에 대한 세로(D)의 비(D/M)는 0.001 내지 100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의 사다리꼴(90) 타입 또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하나의 픽셀(70)에 형성되는 제1 유체(50)가 응집하는 사다리꼴(90)의 개수를 n(홀수)이라고 할 경우, 사다리꼴(90)의 밑변(Wn)에 대한 높이(hn)의 비(hn/Wn)는 0.01 내지 100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픽셀(70)의 높이 D에 대한 제1 유체(50)의 저장공간인 사다리꼴(90) 높이의 비 (hn/D)는 0.001 내지 100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유체(50)가 수용되는 면적을 크게 하고 스위칭 반응시간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다리꼴(90)의 높이와 수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사다리꼴(90)의 개수(n)는 픽셀(70) 폭(M)에 대한 사다리꼴(90) 밑변(Wn)의 비(Wn/M)로 정의되며, 1 내지 1000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다리꼴(90)의 내각 θn은 스위칭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인자로서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정의된다.
θn=tan-1{(Wn-Ln)/(2×hn)}+π/2
여기서, Wn은 사다리꼴의 밑변길이이고, Ln은 사다리꼴의 윗변길이이며, hn은 사다리꼴의 높이길이이다.
마지막으로, 픽셀(70)의 가로(M)에 대한 세로(D)의 비(D/M)는 0.001 내지 100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와 도 5는 디스플레이 액적의 변형에 따른 제1 유체(50)의 응집부(80)를 삼각형(100)과 사다리꼴(90) 형태로 구성한 도면이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삼각형 타입의 경우 삼각형(100)의 개수와 내각에 의해 제1 유체(50)의 응집속도를 정의할 수 있으며,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다리꼴 타입의 경우 사다리꼴(90)의 윗변과 밑변의 길이 비에 의해 응집 속도를 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응집부분의 개수를 증가시켜 오일의 응집면적을 확장함으로써 밝기와 선명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은 삼각형 타입의 측면을 가진 셀에서 전압인가 여부에 따라 단위 픽셀에 포함된 제1 유체(50)의 형태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가)는 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경우에 제1 유체(50)가 단위 셀(70)의 전체 면적으로 확장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나)는 전압을 인가한 경우에 제1 유체(50)가 좌측의 삼각형(100)이 형성된 측면쪽으로 응집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유체(50)는 정전액적 원리에 의해 좌측면으로 응집하므로 픽셀은 전체적으로 광투과성을 가지게 된다.
도 7은 픽셀의 상기의 삼각형과 사다리꼴 응집 부위를 이용하여 전체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한 형태 중 일부분으로서, 도 7(가)는 픽셀(70)들의 일측면을 삼각형(100)으로 패터닝 처리하여 삼각형의 응집부가 형성된 측면끼리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나)는 픽셀(70)들의 일측면을 사다리꼴(90)로 패터닝 처리하여 사다리꼴의 응집부가 형성된 측면끼리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전압인가시 제1 유체는 픽셀(70)들이 연결된 응집부에만 몰리게 되어 스위칭 속도를 증 가시키는 것은 물론, 디스플레이 장치 전체의 밝기와 선명도 및 광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섞이지 않는 제1 및 제2 유체를 하나의 픽셀 내에 배치시키고 전압을 인가하여 제1 유체를 이동시킴으로써 온/오프시키는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의 셀 모양을 변화시킴으로써 제1 유체의 면적변화속도를 향상시키고 제1 유체의 스위칭 시간을 줄임으로써 잔상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형형태에 있어서 제1 유체가 응집할 수 있는 최적의 비율을 확보함으로써 종래의 디스플레이가 해결하지 못했던 반응시간, 제1 유체의 면적에 반비례하는 밝기 및 선명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전원이 연결된 2개의 투명한 기판과, 상기 기판 중 하부 기판상에 적층되는 유전체물질과, 상기 유전체물질상에 적층되는 소수성 막과, 소수성 막이 설치된 측면과, 내부에 배치된 섞이지 않는 제1 및 제2 유체를 구비한 다수의 픽셀에, 전압을 인가하여 제1 유체를 측면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 장치를 온/오프시키는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전압인가시 제1 유체가 이동되는 측면에 삼각형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픽셀에 형성되는 삼각형의 개수를 n이라고 할 경우 상기 삼각형의 밑변(Wn)에 대한 높이(hn)의 비(hn/Wn)는 0.01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의 높이(D)에 대한 제1 유체의 저장공간인 삼각형 높이의 비(hn/D)는 0.001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의 개수(n)는 픽셀 폭(M)에 대한 삼각형 밑변(Wn)의 비(M/Wn)로서 1 내지 1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 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의 내각(θn)은 θn=2×tan-1{(Wn/(2×h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여기서, Wn은 삼각형의 밑변길이, hn은 삼각형의 높이길이임)
  6. 제1항에 있어서, 픽셀의 가로(M)에 대한 세로(D)의 비(D/M)는 0.001 내지 1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7. 전원이 연결된 2개의 투명한 기판과, 상기 기판 중 하부 기판상에 적층되는 유전체물질과, 상기 유전체물질상에 적층되는 소수성 막과, 소수성 막이 설치된 측면과, 내부에 배치된 섞이지 않는 제1 및 제2 유체를 구비한 다수의 픽셀에, 전압을 인가하여 제1 유체를 측면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 장치를 온/오프시키는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전압인가시 제1 유체가 이동되는 측면에 사다리꼴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하나의 픽셀에 형성되는 사다리꼴의 개수를 n이라고 할 경우, 사다리꼴의 밑변(Wn)에 대한 높이(hn)의 비(hn/Wn)는 0.01 내지 100인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의 높이(D)에 대한 제1 유체의 저장공간인 사다리꼴 높이의 비(hn/D)는 0.001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꼴의 개수(n)가 1 내지 1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꼴의 내각(θn)은 θn=tan-1{(Wn-Ln)/(2×hn)}+π/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여기서, Wn은 사다리꼴의 밑변길이, Ln은 사다리꼴의 윗변길이, hn은 사다리꼴의 높이길이임)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의 가로(M)에 대한 세로(D)의 비(D/M)는 0.001 내지 1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60063994A 2006-07-07 2006-07-07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049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994A KR20080004982A (ko) 2006-07-07 2006-07-07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3994A KR20080004982A (ko) 2006-07-07 2006-07-07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982A true KR20080004982A (ko) 2008-01-10

Family

ID=39215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3994A KR20080004982A (ko) 2006-07-07 2006-07-07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49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33671B2 (en) 2014-02-05 2017-08-15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9989752B2 (en) 2012-04-17 2018-06-05 Amazon Technologies, Inc. Electrowett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89752B2 (en) 2012-04-17 2018-06-05 Amazon Technologies, Inc. Electrowetting device
US9733671B2 (en) 2014-02-05 2017-08-15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41472B (zh) 显示装置
JP4653398B2 (ja) 表示装置
CN102692768B (zh) 液晶显示装置
US9513475B2 (en)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CN100373208C (zh) 显示设备
US9217906B2 (en) In-plane electro-optical display
JP4817650B2 (ja) 粒子移動型表示素子及び粒子移動型表示装置
KR101246005B1 (ko) 전기 습윤 표시장치
TW201305671A (zh) 半透射半反射顯示器
JP4953326B2 (ja) 表示媒体および表示装置
CN104412153A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JP2008051932A (ja) 電気泳動表示媒体
JP5900233B2 (ja) 調光素子、調光装置、および、それらの駆動方法
KR20080004982A (ko)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45803A (ko) 액정표시장치
KR101429096B1 (ko) 3 전극 콜레스테릭 액정표시장치
CN106997120B (zh) 一种像素结构、显示装置及驱动方法
US10802266B1 (en) Electrowetting element with protrusion
CN105785686A (zh) 一种减法混色电泳型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20080004987A (ko) 정전액적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WO2014108409A1 (en) Fine pixel pitch display having anti-ferroelectric particles dispersed in a fluid
JP2002162649A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31550B2 (ja) 電気泳動表示装置
KR101799882B1 (ko) 전기습윤 디스플레이 장치
JP4488671B2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