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2007A - 봉재 공급기 - Google Patents

봉재 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2007A
KR20150092007A KR1020150016015A KR20150016015A KR20150092007A KR 20150092007 A KR20150092007 A KR 20150092007A KR 1020150016015 A KR1020150016015 A KR 1020150016015A KR 20150016015 A KR20150016015 A KR 20150016015A KR 20150092007 A KR20150092007 A KR 20150092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guide arm
guide
bar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7996B1 (ko
Inventor
기요시 히로사와
에이지 소네
고지 나카사토
Original Assignee
이쿠라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쿠라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쿠라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2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3/00Equipment for use with tools or cutters when not in operation, e.g. protectors for stor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 B23Q7/041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step by step
    • B23Q7/042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step by step for the axial transport of long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5/00Driving working spindles or 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2705/10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2705/10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for lat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7/00Automatic supply or removal of metal work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r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예를 들어 극세의 봉재이어도, 확실하게 가이드 레일에 공급할 수 있는 봉재 공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봉재 공급기(1)는 복수의 봉재(W)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적재 가능한 스크루(16)와, 가이드 레일(4)과, 스크루(16)로부터 봉재(W)를 1개씩 들어올려 가이드 레일(4)에 보급하기 위한 공급 안내 아암(18)과, 공급 안내 아암(18)을 왕복 이동시키는 공급 안내 아암 구동 기구(20)를 구비하고, 공급 안내 아암(18)은 가장 하류측의 봉재(W)를 1개만 밀어올리는 밀어올림부(34)와, 밀어올려진 봉재(W)를 수납하여 가이드 레일(4)에 안내하는 수납부(36)와, 밀어올림부(34)에 의해 밀어올려진 봉재를 수납부(36)까지 안내하는 안내부(38)를 일체적으로 갖고, 공급 안내 아암 구동 기구(20)는 봉재 밀어올림 위치와 봉재 공급 위치 사이에서, 공급 안내 아암(18)을 왕복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봉재 공급기{ROD MATERIAL FEEDER}
본 발명은 봉재 가공기에 봉재를 공급하는 봉재 공급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는 재료를 1개씩 봉재 가공기에 공급하는 봉재 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봉재 가공기에 봉재를 1개씩 공급하는 봉재 공급기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조의 것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봉재 공급기는, 재료 선반에 봉재를 일렬로 적재하고, 가장 상류측의 봉재를 하류 방향으로 미는 것에 의해, 가장 하류측의 봉재를 압출한다. 압출된 봉재는, 낙하하여 가이드 레일에 공급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82149호 공보
최근, 직경이 작은 봉재를 가공할 필요성이 높아져서, 예를 들어 직경 0.2㎜라고 하는, 극세의 봉재를 봉재 가공기에 공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봉재 공급기에서는, 극세의 봉재를 재료 선반에 적재하여 봉재를 하류측으로 밀면, 봉재끼리가 겹쳐 버려, 하류측으로 압출할 수 없다.
또한, 봉재 가공기나 봉재 공급기의 사용 환경상, 봉재에는 절삭유 등의 오일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가 있고, 특히 봉재가 극세인 경우에는, 중량이 가벼운 것도 있어, 압출된 봉재가 재료 선반에 부착되어 버려, 가이드 레일에 확실하게 공급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극세의 봉재이어도, 확실하게 가이드 레일에 공급할 수 있는 봉재 공급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관한 봉재 공급기는, 급송 축선을 따라 봉재를 봉재 가공기에 급송하는 봉재 공급기이며, 복수의 봉재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적재 가능한 재료 선반과, 재료 선반으로부터 취출된 봉재를 급송 축선을 따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과, 재료 선반으로부터 봉재를 1개씩 들어올려 가이드 레일에 보급하기 위한 공급 안내 아암과, 공급 안내 아암을 왕복 이동시키는 공급 안내 아암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재료 선반은, 적재된 봉재를, 가이드 레일로부터 먼 상류측으로부터, 가이드 레일에 가까운 하류측을 향하여 반송 가능하게 구성되고, 공급 안내 아암은, 재료 선반에 적재된 봉재 중 가장 하류측의 봉재를 1개만 밀어올리는 밀어올림부와, 밀어올려진 봉재를 수납함과 함께 가이드 레일에 안내하는 수납부와, 밀어올림부에 의해 밀어올려진 봉재를 수납부까지 안내하는 안내부를 갖고, 공급 안내 아암 구동 기구는, 밀어올림부가 재료 선반에 적재된 봉재보다도 상방에 위치하여, 밀어올림부가 재료 선반에 적재된 봉재 중 가장 하류측의 봉재를 1개만 밀어올리는 봉재 밀어올림 위치와, 밀어올림부가 재료 선반에 적재된 봉재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수납부가 상기 가이드 레일보다도 하방에 위치하여, 수납부에 수납된 봉재를 가이드 레일에 보급하는 봉재 공급 위치 사이에서, 공급 안내 아암을 왕복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복수의 봉재는, 재료 선반에,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적재된다. 공급 안내 아암 구동 기구에 의해 공급 안내 아암이 봉재 들어올림 위치로 이동하면, 밀어올림부가 재료 선반에 적재된 봉재보다도 상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재료 선반에 있어서 가장 하류측의 봉재가 1개만 밀어올려진다. 밀어올려진 봉재는, 공급 안내 아암의 안내부에 의해 밀어올림부로부터 수납부로 안내되고, 수납부에 수납된다. 공급 안내 아암 구동 기구에 의해 공급 안내 아암이 봉재 공급 위치로 이동하면, 수납부에 수납된 봉재가, 가이드 레일에 공급된다.
본 발명에 관한 봉재 공급기에 의하면, 재료 선반이 봉재를 서로 이격한 상태에서 적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서로 달라붙기 쉬운 극세의 봉재이어도, 1개씩 확실하게 반송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공급 안내 아암이, 봉재를 재료 선반으로부터 1개씩 취출하여 가이드 레일에 공급하므로, 봉재가 재료 선반에 달라붙어 버려 가이드 레일에 낙하하지 않는 등의 문제가 해소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밀어올림부, 수납부 및 안내부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공급 안내 아암을 봉재 밀어올림 위치와 봉재 공급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면, 밀어올림부, 수납부 및 안내부가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밀어올림부, 수납부 및 안내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1개의 구동 기구에 의해 이들 밀어올림부, 수납부 및 안내부를 일체적으로 구동할 수 있으므로, 공급 안내 아암 구동 기구의 구조가 간단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공급 안내 아암 구동 기구는, 공급 안내 아암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상기 가압 수단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공급 안내 아암을 밀어올리는 캠을 갖는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공급 안내 아암은, 가압 수단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고, 봉재 들어올림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캠에 의해, 가압 수단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밀어올려지고, 봉재 공급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캠에 의한 밀어올림력이 해제되면 가압 수단의 가압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가압 수단 및 캠에 의해 간단한 구조로 확실하게 공급 안내 아암의 왕복 이동이 실현된다. 또한, 가압 수단에 의해 공급 안내 아암이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으므로, 캠에 의해 공급 안내 아암을 밀어올릴 때 및 가압 수단의 가압력에 의해 공급 안내 아암을 하방으로 이동시킬 때, 공급 안내 아암과 캠 사이의 유격이 없어져, 공급 안내 아암의 봉재 밀어올림 위치 및 봉재 공급 위치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이 정확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공급 안내 아암은,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고, 캠은, 복수의 공급 안내 아암을 동시에 밀어올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캠이 복수의 공급 안내 아암을 동시에 밀어올리고, 봉재를 복수 개소에 있어서 공급 안내 아암에 의해 밀어올린다.
따라서, 이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공급 안내 아암이 복수 설치되고, 캠이 복수의 공급 안내 아암을 동시에 밀어올리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봉재가 자중에 의해 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재료 선반으로부터 취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재료 선반은, 소정 피치로 나사가 형성된 스크루, 또는 소정 간격을 두고 홈이 형성된 벨트를 구비한다.
이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재료 선반이 스크루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나사의 부분에 봉재를 적재한다. 나사가 소정 피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봉재도 소정 피치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되어, 서로 달라붙는 일 없이 재료 선반에 적재되고, 반송된다.
또한, 재료 선반이 벨트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홈의 부분에 봉재를 적재한다. 홈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므로, 봉재도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으로 되어, 서로 달라붙는 일 없이 재료 선반에 적재되고, 반송된다.
따라서, 이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재료 선반이 소정 피치로 나사가 형성된 스크루, 또는 소정 간격을 두고 홈이 형성된 벨트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봉재를 서로 간격을 두고 재료 선반에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예를 들어 극세의 봉재를 취급하는 경우에도, 서로 봉재가 달라붙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여 봉재를 1개씩 확실하게 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봉재 공급기의 전체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봉재 공급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봉재 보급부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봉재 보급부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봉재 보급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봉재 보급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봉재 보급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봉재 보급부의 동작을 도시하는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봉재 공급기(1)의 전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봉재 공급기(1)의 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재 공급기(1)는 예를 들어 NC 선반 등의 봉재 가공기(100)에 봉재(W)를 1개씩, 급송 축선 A를 따라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봉재 공급기(1)에 있어서 봉재 가공기(100)로부터 먼 측을 상류측, 봉재 가공기(100)에 가까운 측을 하류측으로서 설명한다.
봉재 공급기(1)는 지지 프레임(2)과, 지지 프레임(2)에 의해 지지되고, 봉재(W)를 봉재 가공기(100)에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4)과, 봉재(W)의 1차 이송 및 2차 이송을 행하기 위한 이송 기구(6)와, 가이드 레일(4)에 봉재(W)를 1개씩 공급하는 봉재 보급부(8)를 구비한다.
가이드 레일(4)은 급송 축선 A를 따라 배치되고, 가이드 레일(4)의 상측 또한 봉재 보급부(8)에 가까운 측에는, 소정 간격마다 단면 대략 직사각형(도 3 참조)의 홈(4A)이 복수 개소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4)의 내부에는, 봉재(W)를 1개 수용 가능한, 단면 대략 U자형의 오목부(10)(도 3)가 형성되어 있다.
이송 기구(6)는 가이드 레일(4)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고, 급송 축선 A를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1차 이송용 가이드 레일 부분(12)과, 2차 이송용 가이드 레일 부분(14)을 갖는다. 이들 1차 이송용 가이드 레일 부분(12) 및 2차 이송용 가이드 레일 부분(14)은 가이드 레일(4)과 마찬가지로, 내부에 단면 대략 U자형의 오목부로 형성된 내부 공간(도시하지 않음)을 갖는다. 또한, 1차 이송용 가이드 레일 부분(12) 및 2차 이송용 가이드 레일 부분(14)은 1차 이송용 가이드 레일 부분(12)이 가이드 레일(4)과 정렬하는 위치와, 2차 이송용 가이드 레일 부분(14)이 가이드 레일(4)과 정렬하는 위치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1차 이송용 가이드 레일 부분(12)의 내부 공간 내에는, 가이드 레일(4)에 공급된 봉재(W)의 상류측 단부에 접촉하여 봉재(W)를 하류측으로 밀 수 있도록, 상자 형상의 1차 이송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이 1차 이송 부재는, 도시하지 않은 1차 이송 부재 구동 기구에 의해 내부 공간 내를 급송 축선 A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2차 이송용 가이드 레일 부분(14)의 내부 공간 내에는, 가이드 레일(4)에 공급된 봉재(W)의 상류측 단부를 파지하여 봉재 가공기(100)에 급송할 수 있도록, 급송 축선 A를 따라 연장되는 막대 형상 부재로 구성된 이송 화살(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이송 화살은, 도시하지 않은 이송 화살 구동 기구에 의해 내부 공간 내를 급송 축선 A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그 선단(하류측 단부)에는, 봉재(W)의 상류측 단부를 파지하기 위한 핑거척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봉재 보급부(8)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봉재 보급부(8)의 정면도이다. 이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재 보급부(8)는 복수의 봉재(W)를 적재하는 재료 선반으로서의 스크루(16)와, 스크루(16)로부터 봉재(W)를 1개씩 취출하여 가이드 레일(4)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 안내 아암(18)과, 공급 안내 아암(18)을 스크루(16)에 적재된 봉재(W) 중 가장 하류측의 봉재(W)를 1개만 밀어올리는 봉재 밀어올림 위치와, 밀어올린 봉재(W)를 가이드 레일(4)에 보급하는 봉재 공급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는 공급 안내 아암 구동 기구(20)를 갖는다.
스크루(16)는 복수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4)을 따라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배치되어 있다. 각 스크루(16)의 길이 방향 축선은, 가이드 레일(4)에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스크루(16)에는 나선 형상으로 소정 피치로 나사 홈(22)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 홈(22)에 봉재(W)가 1개씩 적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크루(16)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크루 구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이 스크루 구동 기구에 의해, 복수의 스크루(16)는 모두 동시에 동일 방향으로 동일 속도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 스크루(16)의 선단측, 즉 가이드 레일(4)에 가까운 측을 봉재 보급부(8)의 하류측, 스크루(16)의 기단부측, 즉 가이드 레일(4)로부터 먼 측을 봉재 보급부(8)의 상류측으로서 설명한다.
공급 안내 아암(18)은 복수 설치되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몇 개는, 스크루(16)의 하류측의 단부에 근접하여, 스크루(16)의 설치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다른 몇 개는, 봉재(W)의 치수에 따라, 봉재(W)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공급 안내 아암(18)은 복수 설치되고,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배치되어 있다. 이들 공급 안내 아암(18)은 급송 축선 A에 수직인 면을 따라 배치된 판 형상 부재이며, 그 선단측이, 가이드 레일(4)의 홈(4A) 내에 각각 돌출되어 있다.
공급 안내 아암(18)은 프레임(2)에 지지되는 아암부(24)와, 스크루(16)에 적재된 복수의 봉재(W) 중, 가장 하류측의 봉재(W)를 1개 밀어올려 가이드 레일(4)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 안내부(26)를 갖는다.
아암부(24)는 축(2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프레임(2)에 지지되고, 이 축(28)은 스크루(16)의 선단으로부터 상류측으로 소정 거리를 둔 위치이고, 또한 스크루(16)의 하부 테두리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아암부(24)는 축(28)에 가까운 기단부(30)와, 기단부(30)의 하류측(선단측)에 위치하는 선단부(32)를 갖고, 기단부(30)는 하류측을 향하여 약간 하방으로 경사져 있고, 또한 선단부(32)는 기단부(30)보다도 큰 경사각으로, 하류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져 있다.
공급 안내부(26)는 스크루(16)에 적재된 봉재(W)를 밀어올리기 위한 밀어올림부(34)와, 밀어올려진 봉재(W)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36)와, 밀어올려진 봉재(W)를 수납부(36)까지 안내하는 안내부(38)와, 공급 안내 아암(18)이 봉재 밀어올림 위치에 위치하였을 때에, 공급 안내부(26)가 스크루(16)에 적재된 가장 하류측의 봉재(W) 이외의 봉재(W)에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릴리프부(40)를 갖는다. 밀어올림부(34), 수납부(36), 안내부(38) 및 릴리프부(40)는 아암부(24)의 선단측, 즉 봉재 보급부(8)의 하류측에 형성되고, 이들 밀어올림부(34), 수납부(36), 안내부(38), 릴리프부(40) 및 아암부(24)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밀어올림부(34)는 공급 안내부(26)의 상면에서 구성되고, 이 밀어올림부(34)는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공급 안내 아암(18)이 봉재 공급 위치에 있을 때, 밀어올림부(34)의 상류측 단부는, 가장 하류측의 봉재(W)와 그 1개 상류측의 봉재(W)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때, 밀어올림부(34)의 하류측 단부는, 스크루(16)에 적재된 가장 하류측의 봉재(W)보다도 하류측에 위치하고 있다.
수납부(36)는 대략 삼각형 형상의 공급 안내부(26)의 선단에 위치하고, V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V자형의 오목 형상 부분에 봉재(W)를 수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수납부(36)는 그 선단에 또한 상방으로 굴곡한 되젖힘부(41)를 갖고 있어, V자형의 오목 형상 부분에 수납된 봉재(W)가 수납부(36)로부터 튀어나와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공급 안내 아암(18)이 봉재 공급 위치에 있을 때, 수납부(36)는 가이드 레일(4)의 오목부(10)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수납부(36)의 V자형의 오목 형상 부분이 오목부(10)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안내부(38)는 공급 안내부(26)의 상면에서 구성되고, 밀어올림부(34)와 수납부(36)를 연속하는, 하류측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성된다. 안내부(38)의 경사 각도는, 밀어올림부(34)의 경사 각도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안내부(38)의 경사면과 수납부(36)의 V자형의 오목 형상 부분의 1변은 동일한 경사각으로 형성되고, 연속하고 있다.
릴리프부(40)는 밀어올림부(34)에 인접하는, 공급 안내부(26)의 기단부측의 1변으로 구성되어 있다. 릴리프부(4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류측을 향하여 완만하게 만곡되어 있다. 이 릴리프부(40)의 만곡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호로 되어 있다.
여기서, 공급 안내 아암(18)은 밀어올린 봉재(W)가 공급 안내 아암(18)의 밀어올림부(34)나 안내부(38)에 달라붙지 않도록, 가능한 한 두께를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직경 0.3㎜ 이하의 봉재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공급 안내 아암(18)의 두께, 즉 가이드 레일(4)을 따른 방향의, 밀어올림부(34), 수납부(36) 및 안내부(38), 특히 밀어올림부(34) 및 안내부(38)의 치수를 3㎜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 안내 아암 구동 기구(20)는 공급 안내 아암(18)을 상방으로 밀어올리기 위한 구동 캠(42)과, 구동 캠(42)을 스크루(16)의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캠 구동 기구(도시하지 않음)와, 공급 안내 아암(18)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으로서의 코일 스프링(44)을 갖는다.
구동 캠(42)은 도 1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봉재 보급부(8)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일체적으로 형성된 판 형상 부재이다. 이 구동 캠(42)에는, 스크루(16)의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즉 급송 축선 A를 따른 방향이고, 또한 연직한 면 내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 안내 아암(18)의 아암부(24)의 기단부(30)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구동 캠(42)에는, 복수의 공급 안내 아암(18)의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볼록 형상 캠부(4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의 볼록 형상 캠부(46)는 공급 안내 아암(18)의 수 및 설치 간격에 대응한 수 및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볼록 형상 캠부(46)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 위치에 있어서는, 대응하는 스크루(16)와 공급 안내 아암(18) 사이에 위치하고, 대략 사다리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볼록 형상 캠부(46)의 양측의 경사변은, 동일한 경사 각도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각각 다른 경사 각도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캠 구동 기구는, 구동 캠(42)을 스크루(16)의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즉 급송 축선 A를 따른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구동 캠(42)은 볼록 형상 캠부(46)가 스크루(16)와 공급 안내 아암(18) 사이에 위치하는 초기 위치와, 볼록 형상 캠부(46)가 공급 안내 아암(18)의 하방에 위치하는 밀어올림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44)은 그 일단부가 공급 안내 아암(18)의 아암부(24)의 선단부(32)에 설치되고, 그 타단부는, 프레임(2)에 설치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44)에 의해, 공급 안내 아암(18)에는 하향으로 가압력이 작용하고 있고, 이 가압력에 의해, 공급 안내 아암(18)의 아암부(24)의 기단부(30)가 구동 캠(42)의 상면에 압박된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봉재 공급기(1)는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봉재 보급부(8)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전술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재 보급부(8)의 스크루(16)의 상면의 나사 홈(22)에, 복수의 스크루(16)에 걸쳐 봉재(W)를 배치한다. 나사 홈(22)은 소정 피치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적재된 봉재(W)도 소정 피치를 두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된다. 이어서, 스크루 구동 기구를 작동시킴으로써, 복수의 스크루(16)를 동시에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사 홈(22)의 상면의 위치가 서서히 하류측으로 이동한다. 이 나사 홈(22)의 이동에 의해, 봉재(W)가 하류측으로 반송된다. 스크루(16)에 적재된 봉재(W) 중 가장 하류측의 봉재(W)를, 공급 안내 아암(18)에 의해 취출되는 소정의 봉재 안내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스크루(16)의 회전을 정지한다. 이때, 공급 안내 아암(18)은 초기 상태에 있어서 봉재 공급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수납부(36)가 가이드 레일(4)의 오목부(10)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또한 밀어올림부(34)가 스크루(16)의 상면, 보다 상세하게는, 나사 홈(22)의 골부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어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구동 기구를 구동하여, 구동 캠(42)을 초기 위치로부터 밀어올림 위치로 슬라이드시킨다. 그러면, 구동 캠(42)의 볼록 형상 캠부(46)가 공급 안내 아암(18)의 아암부(24)의 하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공급 안내 아암(18)은 볼록 형상 캠부(46)에 하방으로부터 밀려, 코일 스프링(4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방으로 이동하고, 봉재 밀어올림 위치까지, 축(28)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봉재 밀어올림 위치에서는, 밀어올림부(34)가 스크루(16)의 상면,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루(16)의 나사 홈(22)의 마루부보다도 상방에 위치한다. 밀어올림부(34)는 봉재 공급 위치로부터 봉재 들어올림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나사 홈(22)에 적재된, 가장 하류측의 봉재(W)를 1개,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이때, 릴리프부(40)가 하류측으로 만곡하고 있으므로, 공급 안내 아암(18)은 들어올린 봉재(W)의 인접한 봉재(W)에는 간섭하지 않는다. 들어올려진 봉재(W)는, 밀어올림부(34) 및 안내부(38)의 경사면을 굴러, 수납부(36)의 오목 형상 부분에 수용된다.
이어서,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구동 기구를 다시 구동하여, 구동 캠(42)을 밀어올림 위치로부터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슬라이드시킨다. 그러면, 구동 캠(42)의 볼록 형상 캠부(46)가 공급 안내 아암(18)의 하방의 위치로부터, 공급 안내 아암(18)과 스크루(16) 사이의 위치로 이동한다. 공급 안내 아암(18)은 코일 스프링(44)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 캠(42)의 형상을 따라 축(28)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하고, 봉재 공급 위치까지 이동한다. 봉재 공급 위치에서는, 공급 안내부(26)는 가이드 레일(4)의 홈(4A) 내로 돌출되고, 수납부(36)는 가이드 레일(4)의 오목부(10)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므로, 이 이동에 의해, 수납부(36) 내의 봉재(W)는, 오목부(10)에 적재되어 가이드 레일(4)에 공급된다.
이어서, 가이드 레일(4)에 공급된 봉재(W)를 1차 이송 및 2차 이송한다.
1차 이송용 가이드 레일 부분(12)이 가이드 레일(4)과 정렬한 상태에서, 1차 이송 부재 구동 기구에 의해, 1차 이송 부재를 가이드 레일(4) 내에서 급송 축선 A를 따라 하류측으로 이동시킨다. 1차 이송 부재의 하류측 단부가 가이드 레일(4) 내에 공급된 봉재(W)의 상류측 단부에 접촉하고, 봉재(W)를 하류측으로 압출한다. 이에 의해, 봉재(W)는, 가이드 레일(4) 내에서 하류측으로 이동한다.
그 후, 1차 이송 부재(8)를 상류측으로 이동시키고, 2차 이송용 가이드 레일 부분(14)이 가이드 레일(4)과 정렬하도록, 1차 이송용 가이드 레일 부분(12) 및 2차 이송용 가이드 레일 부분(14)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이송 화살 구동 기구를 작동시켜, 이송 화살을 하류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송 화살의 선단에 설치된 핑거척에 의해 봉재(W)의 상류측 단부를 파지한다. 이송 화살을 하류측으로 더 이동시킴으로써, 봉재(W)를 봉재 가공기(100)에 공급한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봉재 공급기(1)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복수의 스크루(16)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므로, 봉재(W)를 복수 개소에서 지지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봉재(W)가 가는 직경의 것이어도 과잉으로 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크루(16)의 나사 홈(22)에 봉재(W)를 적재하므로, 봉재(W)가 소정 간격을 두고 적재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직경이 가는 봉재(W)를 사용하는 경우에서도, 봉재(W)끼리가 달라붙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공급 안내 아암(18)이 봉재(W)를 스크루(16)로부터 1개만 취출하여 가이드 레일(4)에 공급한다. 종래, 공급 안내 아암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스크루만으로 봉재를 공급하는 구조에서는, 직경이 가는 봉재를 공급하는 경우 등에는, 봉재가 스크루의 선단에 달라붙어 버리거나, 달라붙은 봉재가 가이드 레일(4) 밖으로 낙하하거나, 가이드 레일(4)의 오목부(10)의 측면에 달라붙어 버리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 형태의 봉재 보급부(8)에 의하면, 공급 안내 아암(18)이 봉재(W)를 1개씩 가이드 레일(4)에 안내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봉재(W)를 확실하게 가이드 레일(4)의 오목부(10)에 공급할 수 있다.
공급 안내 아암(18)이 밀어올림부(34), 수납부(36) 및 안내부(38)를 일체적으로 갖고, 봉재 밀어올림 위치와 봉재 공급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므로, 봉재(W)를 밀어올림과 동시에 안내부(38)를 통해 수납부(36)에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복잡한 기구를 요하지 않고, 봉재(W)를 확실하게 밀어올림부(34)로부터 수납부(36)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밀어올림부(34), 수납부(36) 및 안내부(38)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공급 안내 아암(18)의 아암부(24)를 공급 안내 아암 구동 기구(20)에 의해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공급 안내 아암(18)을 봉재 밀어올림 위치와 봉재 공급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급 안내 아암 구동 기구(20)를 간단한 기구로 할 수 있다.
또한, 공급 안내 아암(18)의 수납부(36)가 되젖힘부(41)를 갖고 있으므로, 안내부(38)로부터 굴러 온 봉재(W)가 수납부(36)로부터 튀어나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급 안내 아암(18)이 하류측을 향하여 만곡한 릴리프부(40)를 갖고 있으므로, 공급 안내 아암(18)이 봉재 밀어올림 위치에 있을 때, 공급 안내부(26)가 스크루(16) 상의 다음의 봉재(W)에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공급 안내 아암 구동 기구(20)가, 구동 캠(42)과, 캠 구동 기구와, 코일 스프링(44)을 갖고 있으므로, 공급 안내 아암(18)이 코일 스프링(44)의 가압력에 의해 구동 캠(42)에 압박되면서, 봉재 밀어올림 위치와 봉재 공급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한다. 따라서, 공급 안내 아암(18)의 동작의 유격을 없앨 수 있어, 공급 안내 아암(18)을 보다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구동 캠(42)이 복수의 볼록 형상 캠부(46)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이들 복수의 볼록 형상 캠부(46)를 일제히 슬라이드 구동하므로, 복수의 공급 안내 아암(18)을 동시에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로 복수의 공급 안내 아암(18)을 구동할 수 있음과 함께, 복수의 공급 안내 아암(18)의 동작의 타이밍을 맞출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그것들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인 것은 물론이다.
재료 선반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나사 홈이 형성된 스크루이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소정 간격을 두고 홈이 형성된 벨트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벨트의 홈에 봉재를 적재하고, 벨트를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봉재를 하류측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또한, 공급 안내 아암 구동 기구는, 복수의 공급 안내 아암을 동시에 구동 캠에 의해 밀어올리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각 공급 안내 아암을 따로따로 왕복 이동시켜도 된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밀어올림부, 수납부 및 안내부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밀어올림부와, 수납부 및 안내부를 각각의 부재로 구성하고, 적당한 링크 기구에 의해 연동하도록 구성해도 되고, 밀어올림부, 수납부 및 안내부를 각각 별도의 구동 기구에 의해 구동해도 된다.
공급 안내 아암 구동 기구는, 구동 캠 및 코일 스프링에 의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임의의 구동 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봉재 보급기는,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스크루가 봉재를 최하류까지 반송한 상태에서 정지하고, 공급 안내 아암이 봉재를 밀어올렸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스크루나 벨트 등의 재료 선반이 연속해서 봉재를 하류측으로 계속해서 반송하고, 봉재가 소정의 위치까지 반송된 타이밍에서 공급 안내 아암이 구동하여 봉재를 밀어올리는 구조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재료 선반 및 공급 안내 아암의 제어 방법은 임의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1 : 봉재 공급기
4 : 가이드 레일
8 : 봉재 보급부
16 : 스크루
18 : 공급 안내 아암
20 : 공급 안내 아암 구동 기구
22 : 나사 홈
34 : 밀어올림부
36 : 수납부
38 : 안내부
42 : 구동 캠
44 : 코일 스프링

Claims (5)

  1. 급송 축선을 따라 봉재를 봉재 가공기에 급송하는 봉재 공급기이며,
    복수의 봉재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적재 가능한 재료 선반과,
    상기 재료 선반으로부터 취출된 상기 봉재를 상기 급송 축선을 따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과,
    상기 재료 선반으로부터 봉재를 1개씩 들어올려 상기 가이드 레일에 보급하기 위한 공급 안내 아암과,
    상기 공급 안내 아암을 왕복 이동시키는 공급 안내 아암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재료 선반은, 적재된 상기 봉재를, 상기 가이드 레일로부터 먼 상류측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레일에 가까운 하류측을 향하여 반송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공급 안내 아암은, 상기 재료 선반에 적재된 봉재 중 가장 하류측의 봉재를 1개만 밀어올리는 밀어올림부와, 밀어올려진 봉재를 수납함과 함께 상기 가이드 레일에 안내하는 수납부와, 상기 밀어올림부에 의해 밀어올려진 봉재를 상기 수납부까지 안내하는 안내부를 갖고,
    상기 공급 안내 아암 구동 기구는, 상기 밀어올림부가 상기 재료 선반에 적재된 봉재보다도 상방에 위치하여, 상기 밀어올림부가 상기 재료 선반에 적재된 봉재 중 가장 하류측의 봉재를 1개만 밀어올리는 봉재 밀어올림 위치와, 상기 밀어올림부가 상기 재료 선반에 적재된 봉재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수납부가 상기 가이드 레일보다도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봉재를 상기 가이드 레일에 보급하는 봉재 공급 위치 사이에서, 상기 공급 안내 아암을 왕복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재 공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어올림부, 상기 수납부 및 상기 안내부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봉재 공급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안내 아암 구동 기구는, 상기 공급 안내 아암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상기 공급 안내 아암을 상기 가압 수단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밀어올리는 캠을 갖는, 봉재 공급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안내 아암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고,
    상기 캠은, 복수의 상기 공급 안내 아암을 동시에 밀어올리도록 구성되어 있는, 봉재 공급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선반은, 소정 피치로 나사가 형성된 스크루, 또는 소정 간격을 두고 홈이 형성된 벨트를 구비하는, 봉재 공급기.
KR1020150016015A 2014-02-03 2015-02-02 봉재 공급기 KR1016179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18418A JP5877427B2 (ja) 2014-02-03 2014-02-03 棒材供給機
JPJP-P-2014-018418 2014-0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007A true KR20150092007A (ko) 2015-08-12
KR101617996B1 KR101617996B1 (ko) 2016-05-03

Family

ID=53889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015A KR101617996B1 (ko) 2014-02-03 2015-02-02 봉재 공급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877427B2 (ko)
KR (1) KR1016179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946A (ko) * 2016-09-09 2018-03-19 이쿠라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봉재 반송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8417Y2 (ja) 1991-03-29 1997-03-12 株式会社アルプスツール 棒材供給機の棒材供給棚
JP3007262B2 (ja) * 1994-05-11 2000-02-07 株式会社育良精機製作所 棒材供給機の新材補給装置
JP4208696B2 (ja) * 2003-10-31 2009-01-14 株式会社育良精機製作所 棒材供給機及び棒材加工システム
JP4545731B2 (ja) 2006-03-17 2010-09-15 株式会社育良精機製作所 棒材供給機および棒材加工システム
JP5212613B2 (ja) * 2008-01-16 2013-06-19 育良精機株式会社 棒材供給機
DE102010002781B4 (de) * 2010-03-11 2014-05-28 Gildemeister Aktiengesellschaft Ladevorrichtung zum Laden von Stangen zur Bearbeitung in einer Werkzeugmaschine
JP5364040B2 (ja) * 2010-06-02 2013-12-11 育良精機株式会社 棒材供給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946A (ko) * 2016-09-09 2018-03-19 이쿠라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봉재 반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77427B2 (ja) 2016-03-08
KR101617996B1 (ko) 2016-05-03
JP2015145040A (ja) 2015-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5731B2 (ja) 棒材供給機および棒材加工システム
KR101537722B1 (ko) 반송 유닛 및 반송 장치
KR100341290B1 (ko) 부품실장기
KR101631422B1 (ko) 봉재 공급기
KR101617996B1 (ko) 봉재 공급기
CN111348415B (zh) 用于传送螺旋弹簧的磁升降平台
KR101963037B1 (ko) 봉재 반송 장치
KR101738812B1 (ko) 피검사부품 피딩장치
KR20210131247A (ko) 횡편기
JP7145497B2 (ja) 部品装着装置、及び、部品装着方法
JP7145498B2 (ja) 部品装着装置、及び、部品装着方法
KR20090040629A (ko) 공작기계용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
KR101586343B1 (ko) 알루미늄 튜브 자동 인발장치에서의 알루미늄 튜브 수직공급장치
JP7148148B2 (ja) 棒材供給機
JP6419483B2 (ja) 菓子類の整列装置
JP4208696B2 (ja) 棒材供給機及び棒材加工システム
JP3540632B2 (ja) 棒材補給装置
JP2010052862A (ja) 棒状部材供給装置
JP2008110448A (ja) 棒材供給機
JP3970897B2 (ja) 遊技盤の自動釘打ち装置
JP3938778B2 (ja) 遊技盤の自動釘打ち装置
US4298302A (en) Apparatus for taking out and feeding single V-shaped strips
JPH10310253A (ja) ワーク段積整列装置
JP2021091531A (ja) ワークの移送方法及びワークの移送装置
KR20100079069A (ko) 종이재 원단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