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1950A - 서로 다른 인젝터컵의 연료 인출입통로를 연결한 lpg 연료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서로 다른 인젝터컵의 연료 인출입통로를 연결한 lpg 연료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1950A
KR20150091950A KR1020140012806A KR20140012806A KR20150091950A KR 20150091950 A KR20150091950 A KR 20150091950A KR 1020140012806 A KR1020140012806 A KR 1020140012806A KR 20140012806 A KR20140012806 A KR 20140012806A KR 20150091950 A KR20150091950 A KR 20150091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injector
supply line
line
fuel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4062B1 (ko
Inventor
윤성현
구광원
권명훈
오연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40012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062B1/ko
Publication of KR20150091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1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45High pressure fuel supply systems; Rails; Pumps; Arrangement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48Injectors
    • F02M21/0278Port fuel injectors for single or multipoint injection into the air intak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96Manufacturing or assembly; Materials, e.g.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4Arrangements of injectors with respect to engines; Mounting of inje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LPG 연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젝터에 LPG 액상 연료를 효율적으로 분배 공급할 수 있는 LPG 연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료 공급장치에 따르면, 연료공급라인과 연료회수라인의 구분을 통하여 적절한 연료 유량 흐름 구조를 갖는 연료레일을 통해 일정 체적의 연료를 연료레일에 보관할 수 있다. 이러한 연료의 보관을 통해 각 기통 별 연소실에 적절한 연료 분배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서로 다른 인젝터컵의 연료 인출입통로를 연결한 LPG 연료 공급장치{LPG Supply Device having inter-Injector Cup fuel passage}
본 발명의 실시예는 LPG 연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에 LPG 액상 연료를 효율적으로 분배 공급할 수 있는 LPG 연료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강화되는 배기가스 규제를 만족하기 위해 여러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실제 적용되고 있다. 그 중 엘피지 연료를 사용하는 엔진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엔진은 엘피지 연료를 포트 안으로 분사하여 연소 효율을 증대시킴으로 인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줄임과 동시에 연비 및 출력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
엘피지 연료를 포트 안으로 분사하기 위한 장치는 이미 여러 유명 부품회사에서 활발하게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특히, 연료 공급을 위한 연료레일(Fuel rail)은 다양한 엔진에 적용되기 위하여 엔진의 장착위치 및 공간에 맞게 각각 개발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액상 인젝션 방식은 연료라인 및 인젝터 내부의 연료가 항상 액체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엔진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엔진의 복사열 및 외부 온도에 의해 액상 연료가 기화되고, 인젝터 및 연료라인의 내부는 기체 상태의 연료가 잔류하게 됨으로서 엔진의 재시동시 인젝션 동작을 실시하지 못하는 소위 베이퍼 록(Vapor Lock)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엘피지 엔진의 장착 위치를 고려하고, 연료 잠김 현상(Vapor Lock)을 줄일 수 있는 연료레일을 설계할 필요성이 대두 되었으며, 연료가 인젝터에 효율적으로 공급 분배되도록 연료의 공급부 및 회수부의 배치가 적절하게 이루어지는 연료 공급장치의 개발이 시급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공급라인과 연료회수라인의 적절함 배치 및 연결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연료를 공급할 수 있는 연료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PG 연료 공급장치는 엔진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엔진 내부로 연료를 분사하는 복수의 인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주면에 연료회수홀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연료회수홀을 통하여 회수된 연료를 저장 송출하기 위한 중공부가 형성된 연료회수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젝터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연료회수라인의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인젝터로 연료를 유입시키는 연료인입통로와 상기 연료인입통로로부터 유입된 연료의 전부 또는 일부를 회수시키는 연료인출통로가 형성된, 복수의 인젝터컵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와 상기 복수의 인젝터컵 중 하나의 연료인입통로를 연결하는 제1공급라인과 상기 복수의 인젝터컵 중 하나의 연료인출통로와 다른 하나의 연료인입통로를 연결하는 제2공급라인을 가지는 연료공급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LPG 연료 공급장치는 연료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연료를 분배하는 연료공급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엔진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엔진 내부로 연료를 분사하는 복수의 인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젝터가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인젝터컵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인젝터컵이 간격을 두고 고정설치되고, 상기 인젝터로부터 분사되고 남은 연료가 회수되도록 하기 위하여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외측면에 상기 중공부와 상기 연료공급라인을 연통하는 연료회수홀이 형성된 연료회수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료공급라인은 상기 복수의 인젝터 중 하나가 분사하고 남은 연료를 다른 인젝터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LPG 연료 공급장치는 엔진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엔진 내부로 연료를 분사하고, 연료공급라인의 일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인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료공급부로부터 연료를 공급받는 제1공급라인과 상기 복수의 인젝터와 상기 복수의 인젝터 사이를 연통하는 제2공급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복수회 절곡된 유로를 형성하는 연료공급라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인젝터가 간격을 두고 배열 설치되고, 상기 연료공급라인과 연결되는 연료회수홀이 형성되며, 상기 연료회수홀을 통하여 회수된 연료를 직선이동시켜 송출시키는 연료회수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료공급라인은 상기 연료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연료를 상기 복수의 인젝터를 통하여 전달하다가 최종적으로 상기 연료회수홀로 회수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LPG 차량용 엔진은 전술한 실시예의 연료 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료 공급장치에 따르면, 연료공급라인과 연료회수라인의 구분을 통하여 적절한 연료 유량 흐름 구조를 갖는 연료레일을 통해 일정 체적의 연료를 연료레일에 보관할 수 있다. 이러한 연료의 보관을 통해 각 기통 별 연소실에 적절한 연료 분배가 가능하다.
특히, 엘피지 연료의 특성인 고온 기화 현상에 대비하여 고온 재시동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연료의 기화를 통한 연료레일의 압력차에 의한 연료 잠김 현상(Vapor Lock)을 해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장치에서 연료가 흐르는 경로를 나타낸다.
도 3은 인젝터컵 내부의 연료인입통로와 연료인출통로와 연료공급라인의 연결관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공급장치에서 연료가 흐르는 경로를 나타낸다. 도 2를 보면 실선은 연료가 연료공급라인, 연료인입통로 및 연료인출통로를 통하여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내고, 점선은 연료가 연료회수라인을 통하여 회수되는 경로를 나타낸다.
도 3은 인젝터컵 내부의 연료인입통로와 연료인출통로와 연료공급라인의 연결관계를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장치(1)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장치(1)는 엔진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엔진 내부로 연료를 분사하는 복수의 인젝터(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주면에 연료회수홀(21)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연료회수홀(21)을 통하여 회수된 연료를 저장 송출하기 위한 중공부가 형성된 연료회수라인(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젝터(30)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연료회수라인(20)의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인젝터(30)로 연료를 유입시키는 연료인입통로(41)와 상기 연료인입통로(41)로부터 유입된 연료의 전부 또는 일부를 회수시키는 연료인출통로(42)가 형성된, 복수의 인젝터컵(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입된 연료의 일부는 상기 인젝터(30)를 통하여 분사되고 남은 연료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와 상기 복수의 인젝터컵(40) 중 하나의 연료인입통로(41)를 연결하는 제1공급라인(11)과 상기 복수의 인젝터컵(40) 중 하나의 연료인출통로(42)와 다른 하나의 연료인입통로(41)를 연결하는 제2공급라인(12)을 가지는 연료공급라인(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장치(1)에서 연료회수라인(20)은 중공의 원통형 파이프일 수 있다. 그러나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료회수라인(2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인젝터컵(40)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인젝터컵(40) 각각에는 인젝터(30)들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인젝터컵(40)은 내부에 연료인입통로(41)와 연료인출통로(42)가 형성될 수 있다. 연료인입통로(41)와 연료인출통로(42)는 인젝터컵(40) 내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료인입통로(41)와 연료인출통로(42)는 인젝터컵(4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연통되지 않도록 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료인입통로(41)와 연료인출통로(42)는 연료회수라인(20)이 길이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연료인입통로(41)와 연료인출통로(42)는 연료회수라인(20)이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인젝터컵(40) 중 적어도 하나는 인젝터(30)에서 분사되고 남은 연료가 연료회수라인(20)으로 회수되도록 연료인출통로(42)가 연료회수홀(21)과 연통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인젝터컵(40) 중 연료인출통로(42)가 연료회수홀(21)과 연통된 인젝터컵(40)은 연료회수라인(20)의 가장 끝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연료회수라인(20)에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된 복수의 인젝터컵(40) 중 일부는 단지 연료회수라인(20)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될 뿐이며, 연료회수라인(20)과 인젝터컵(40) 사이에 연료가 이동할 수 없는 구조 즉 직접 연통되지 않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인젝터컵(40) 중 다른 일부는 연료회수라인(20)의 연료회수홀(21)과 연통되어 연료회수라인(20)과 인젝터컵(40) 사이에 연료가 이동할 수 있다. 즉, 연료회수홀(21)과 연통된 인젝터컵(40)은 인젝터(30)가 공급받은 연료 중에서 분사하고 남은 연료를 연료회수홀(21)로 되돌릴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연료회수홀(21)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연료회수라인(2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연료회수홀(21)은 전술한 연료회수라인(20)의 일측 단부에 한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료회수홀(21)과 연통되지 않은 인젝터컵(40)은 연료인입통로(41)와 연료인출통로(42)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연료회수홀(21)과 연통되는 인젝터컵(40)은 연료인입통로(41)와 연료인출통로(42)가 동일한 길이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연료회수홀(21)과 연통되는 인젝터컵(40)은 연료인입통로(41)가 연료인출통로(42)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료회수홀(21)과 연통되지 않은 인젝터컵(40)은 복수 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료회수홀(21)과 연통되는 인젝터컵(40)은 한 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료공급라인(10)은 제1공급라인(11)과 제2공급라인(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공급라인(11)은 연료공급부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인젝터(3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연료공급부는 차량 등의 내부에 설치된 연료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제1공급라인(11)은 연료공급부와 인젝터컵(40)을 연결할 수 있다. 제2공급라인(12)은 인젝터컵(40) 상호 간을 연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인젝터컵(40)의 외면은 서로 마주보는 제1면과 제2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면과 제2면은 연료회수라인(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1면과 제2면은 평평한 면일 수 있다. 복수의 인젝터컵(40)이 연료회수라인(20)에 고정 설치되는 경우 하나의 인젝터컵(40)의 제2면과 다른 하나의 인젝터컵(40)의 제1면은 연료회수라인(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료공급라인(10)은 제1면 또는 제2면에 연결될 수 있다.
제1공급라인(11)의 일단은 연료공급부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은 인젝터컵(40)의 제1면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공급라인(11)과 연결되는 인젝터컵(40)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연료회수라인(20)의 타단부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즉 복수의 인젝터컵(40) 중에서 최외각에 배치된 두 개의 인젝터컵(40) 중 연료회수홀(21)과 연통되지 않은 인젝터컵(40)을 의미할 수 있다.
제2공급라인(12)의 일단은 하나의 인젝터컵(40)의 제2면에 연결될 수 있으며, 타단은 다른 하나의 인젝터컵(40)의 제1면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공급라인(11) 또는 제2공급라인(12)은 인젝터컵(40)에 압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인젝터컵(40)의 내부에는 연료회수라인(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압입홀(43)이 형성될 수 있다. 압입홀(43)은 연료인입통로(41)의 단부와 인젝터컵(40)의 제1면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압입홀(43)은 연료인출통로(42)의 단부와 인젝터컵(40)의 제2면을 연결할 수 있다. 압입홀(43)의 직경은 연료인입통로(41) 및 연료인출통로(42) 보다 클 수 있다. 제1공급라인(11) 또는 제2공급라인(12)의 단부는 이 압입홀(43)에 압입되어 인젝터컵(4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공급라인(11) 또는 제2공급라인(12)은 인젝터컵(40)에 압입된 뒤에 브레이징 용접에 의하여 접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연료회수라인(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엔진에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설치부(50)가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설치부(50)는 연료회수라인(20)에 두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장치(1)는 설치부(50)를 통하여 엔진 외면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연료공급라인(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부의 인젝터컵(40)과 인젝터컵(40) 사이에 설치부(50)가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그 경우 연료공급라인(10)은 설치부(50)가 차지하는 공간을 피하여 형성될 필요가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연료회수라인(20)의 직경은 상기 연료공급라인(1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연료회수라인(20)의 직경은 연료공급라인(10)의 직경 보다 약 3배 정도로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료회수라인(20)의 직경을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연료회수를 원활하게 하고, 베이퍼락(Vapor Lock)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연료공급라인(1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 기술은 탄성력을 이용함으로써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료공급라인(10)을 고무 재질로 구성하였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장치(1)는 그 장착위치를 차량 내부로 이동시켜 충격에 의한 파손의 가능성이 매우 낮춤으로써 금속 재질로 구성하여도 무리가 없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장치(1)는 금속 재질의 연료공급라인(10)을 채용함으로써 연료 공급장치(1)의 내식성 또는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장치(1)는 스틸(Steel)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에에 따른 연료 공급장치(1)의 연료공급 경로를 설명한다. 연료공급부로부터 연료가 제1공급라인(11)을 타고 첫 번째 인젝터컵(40)의 연료인입통로(41)를 통하여 첫 번째 인젝터(30)로 공급되면, 이 첫 번째 인젝터(30)는 공급받은 연료를 엔진 내부로 분사하고 남은 연료를 첫 번째 인젝터컵(40)의 연료인출통로(42)로 배출할 수 있다. 첫 번째 인젝터(30)로부터 배출되는 연료는 첫 번째 인젝터컵(40)의 연료인출통로(42)와 제2공급라인(12)과 두 번째 인젝터컵(40)의 연료인입통로(41)를 따라서 차례로 이동하여 두 번째 인젝터(30)로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첫 번째 인젝터(30)가 연료를 분사하지 않는 경우에는 연료는 첫 번째 인젝터(30)를 통하여 이동하여서, 첫 번째 인젝터컵(40)의 연료인출통로(42)와 제2공급라인(12)과 두 번째 인젝터컵(40)의 연료인입통로(41)를 차례로 이동하여 두 번째 인젝터(30)로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연료인입통로(41) 및 연료인출통로(42)는 제2공급라인(12)과 수직하게 형성되므로 인젝터(30)와 인젝터(30) 사이의 유로는 마치 "ㄷ"자를 눕혀 놓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료는 이러한 유로를 통하여 최외각에 위치한 마지막 인젝터컵(40)으로 이동하고, 마지막 인젝터컵(40)의 연료인출통로(42)를 통하여 연료회수라인(20)의 연료회수홀(21)로 회수된다. 연료회수홀(21)을 통하여 회수된 연료는 연료회수라인(20)을 통하여 직선적으로 이동하여 회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장치(1)는 연료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연료를 분배하는 연료공급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엔진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엔진 내부로 연료를 분사하는 복수의 인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젝터가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인젝터컵을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복수의 인젝터컵이 간격을 두고 고정설치되고, 상기 인젝터로부터 분사되고 남은 연료가 회수되도록 하기 위하여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외측면에 상기 중공부와 상기 연료공급라인을 연통하는 연료회수홀이 형성된 연료회수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료공급라인은 상기 복수의 인젝터 중 하나가 분사하고 남은 연료를 다른 인젝터로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공급장치(1)는 엔진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엔진 내부로 연료를 분사하고, 연료공급라인의 일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인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인젝터 내부에 형성된 유로는 연료공급라인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연료공급부로부터 연료를 공급받는 제1공급라인과 상기 복수의 인젝터와 상기 복수의 인젝터 사이를 연통하는 제2공급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복수회 절곡된 유로를 형성하는 연료공급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인젝터가 간격을 두고 배열 설치되고, 상기 연료공급라인과 연결되는 연료회수홀이 형성되며, 상기 연료회수홀을 통하여 회수된 연료를 직선이동시켜 송출시키는 연료회수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료공급라인은 상기 연료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연료를 상기 복수의 인젝터를 통하여 전달하다가 최종적으로 상기 연료회수홀로 회수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LPG 차량용 엔진의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의 연료 공급장치(1)를 포함할 수 있는 엔진이다. 전술한 실시예의 연료 공급장치(1)를 적용할 수 있는 엔진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엔진 자체는 종래에 많이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연료 공급장치 10: 연료공급라인
11: 제1공급라인 12: 제2공급라인
20: 연료회수라인 21: 연료회수홀
30: 인젝터 40: 인젝터컵
41: 연료인입통로 42: 연료인출통로
43: 압입홀 50: 설치부

Claims (13)

  1. 엔진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엔진 내부로 연료를 분사하는 복수의 인젝터;
    원주면에 연료회수홀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연료회수홀을 통하여 회수된 연료를 저장 송출하기 위한 중공부가 형성된 연료회수라인; 및
    상기 인젝터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연료회수라인의 외주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인젝터로 연료를 유입시키는 연료인입통로와 상기 연료인입통로로부터 유입된 연료의 전부 또는 일부를 회수시키는 연료인출통로가 형성된, 복수의 인젝터컵; 및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와 상기 복수의 인젝터컵 중 하나의 연료인입통로를 연결하는 제1공급라인과 상기 복수의 인젝터컵 중 하나의 연료인출통로와 다른 하나의 연료인입통로를 연결하는 제2공급라인을 가지는 연료공급라인;
    을 포함하는 LPG 연료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라인은 상기 연료회수라인과 분리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G 연료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라인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G 연료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젝터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인젝터에서 분사되고 남은 연료가 상기 연료회수라인으로 회수되도록 연료인출통로가 상기 연료회수홀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G 연료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인젝터컵 중 연료인출통로가 상기 연료회수홀과 연통된 인젝터컵은 상기 연료회수라인의 가장 끝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G 연료 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인입통로와 상기 연료인출통로는 상기 인젝터컵의 내부에서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G 연료 공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인입통로와 상기 연료인출통로는 상기 인젝터컵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G 연료 공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라인 또는 상기 제2공급라인은 상기 인젝터컵에 압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G 연료 공급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라인의 전부 또는 일부는 절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G 연료 공급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젝터컵의 외면은 서로 마주보는 제1면과 제2면을 포함하되, 상기 연료공급라인은 상기 제1면 또는 상기 제2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G 연료 공급장치.
  11. 연료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연료를 분배하는 연료공급라인;
    엔진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엔진 내부로 연료를 분사하는 복수의 인젝터;
    상기 인젝터가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인젝터컵; 및
    상기 복수의 인젝터컵이 간격을 두고 고정설치되고, 상기 인젝터로부터 분사되고 남은 연료가 회수되도록 하기 위하여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외측면에 상기 중공부와 상기 연료공급라인을 연통하는 연료회수홀이 형성된 연료회수라인;
    을 포함하되, 상기 연료공급라인은 상기 복수의 인젝터 중 하나가 분사하고 남은 연료를 다른 인젝터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G 연료 공급장치.
  12. 엔진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엔진 내부로 연료를 분사하고, 연료공급라인의 일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인젝터;
    연료공급부로부터 연료를 공급받는 제1공급라인과 상기 복수의 인젝터와 상기 복수의 인젝터 사이를 연통하는 제2공급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복수회 절곡된 유로를 형성하는 연료공급라인; 및
    상기 복수의 인젝터가 간격을 두고 배열 설치되고, 상기 연료공급라인과 연결되는 연료회수홀이 형성되며, 상기 연료회수홀을 통하여 회수된 연료를 직선이동시켜 송출시키는 연료회수라인;
    을 포함하되, 상기 연료공급라인은 상기 연료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연료를 상기 복수의 인젝터를 통하여 전달하다가 최종적으로 상기 연료회수홀로 회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G 연료 공급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연료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LPG 차량용 엔진.
KR1020140012806A 2014-02-04 2014-02-04 서로 다른 인젝터컵의 연료 인출입통로를 연결한 lpg 연료 공급장치 KR101584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806A KR101584062B1 (ko) 2014-02-04 2014-02-04 서로 다른 인젝터컵의 연료 인출입통로를 연결한 lpg 연료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806A KR101584062B1 (ko) 2014-02-04 2014-02-04 서로 다른 인젝터컵의 연료 인출입통로를 연결한 lpg 연료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950A true KR20150091950A (ko) 2015-08-12
KR101584062B1 KR101584062B1 (ko) 2016-01-22

Family

ID=54056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806A KR101584062B1 (ko) 2014-02-04 2014-02-04 서로 다른 인젝터컵의 연료 인출입통로를 연결한 lpg 연료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0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8911A (zh) * 2019-06-26 2019-10-11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带有喷淋式喷嘴结构的天然气发动机燃气喷射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3098B2 (ja) * 2004-06-30 2010-01-20 チエルレエフェ ソチエタ コンソルティレ ペル アチオニ 内燃エンジンにおける燃料噴射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3098B2 (ja) * 2004-06-30 2010-01-20 チエルレエフェ ソチエタ コンソルティレ ペル アチオニ 内燃エンジンにおける燃料噴射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8911A (zh) * 2019-06-26 2019-10-11 哈尔滨工程大学 一种带有喷淋式喷嘴结构的天然气发动机燃气喷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4062B1 (ko) 2016-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71236A (zh) 燃料轨组件
US7802558B2 (en) Fuel delivery system
US9556843B2 (en) Fuel injection nozzle
EP3312408B1 (en) Structure of gdi fuel delivery pipe
CN103097716A (zh) 燃料泵以及内燃机的燃料供给系统
EP2194261B1 (en) Fuel rail equipped with an axial heater device layout for engine cold start operation with ethanol
KR101601648B1 (ko) 연료 인출입통로가 형성된 인젝터컵을 포함하는 lpg 연료 공급장치
KR20200018474A (ko) 내연 기관의 물 분사 장치
JP2011208541A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JP5982233B2 (ja) 液化ガス燃料充填システム
KR101584062B1 (ko) 서로 다른 인젝터컵의 연료 인출입통로를 연결한 lpg 연료 공급장치
JP2005126042A (ja) 自動車の燃料タンクシステム
CN104033302B (zh) 用于燃料系统的套筒连接器和方法
JP2007262996A (ja) 内燃機関用燃料噴射装置
KR100770802B1 (ko) 엘피아이 방식 엘피지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엘피지/가솔린 겸용차량
JP6044141B2 (ja) コモンレール式燃料噴射装置
CN203067140U (zh) 多功能隔板及包括多功能隔板的组件
JP2011127558A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る内燃機関
US9175640B2 (en) Liquid phase injection tip icing prevention
KR101583526B1 (ko) Lpg 액상 분사식 연료공급장치
JP6064827B2 (ja) 燃料レール
CN109915239B (zh) 具有流量变化减少和吹扫改进设备的还原剂剂量给送单元
KR101367763B1 (ko) 인젝터의 결빙 방지용으로 진동형 분사노즐
CN108506131A (zh) 燃料分配器块
KR20140020409A (ko) 인젝터의 결빙 방지용으로 단열관이 돌출된 분사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