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8836A - 덕트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선박 - Google Patents

덕트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8836A
KR20150088836A KR1020157016571A KR20157016571A KR20150088836A KR 20150088836 A KR20150088836 A KR 20150088836A KR 1020157016571 A KR1020157016571 A KR 1020157016571A KR 20157016571 A KR20157016571 A KR 20157016571A KR 20150088836 A KR20150088836 A KR 20150088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er
duct
rotation axis
duct body
trailing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6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쿠요시 야마다
지하루 가와키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88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88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6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in recesses; with stationary water-guiding elements; Means to prevent fouling of the propeller, e.g. guards, cages 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B63H1/28Other means for improving propeller efficienc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덕트 장치는 선박의 선미부에 있어서 프로펠러의 전방에 배치된다. 덕트 장치는 덕트 본체를 구비한다. 덕트 본체는, 선박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프로펠러의 회전축을 내측으로 하는 호를 그려, 회전축에 수직인 방향의 윤곽 형상이 프로펠러의 반경을 R 로 하여 0.5R 이하의 영역에 들어가는 후연과, 선박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회전축을 내측으로 하는 호를 그려, 회전축에 수직인 방향의 윤곽 형상이 후연보다 큰 전연을 갖는다. 이렇게 하여, 프로펠러의 전방에 덕트를 형성하는 기술에 있어서, 프로펠러의 추진 효율의 저하를 피한다.

Description

덕트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선박{DUCT DEVICE AND SHIP UTILIZING SAME}
본 발명은, 선박의 선미부에 있어서, 프로펠러에 유입되는 수류에 영향을 주는 덕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추진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프로펠러의 전방에 덕트를 배치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은, 그러한 기술의 일례를 나타낸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37462호
도 1 에, 참고 기술로서 프로펠러 전방에 배치하는 덕트의 일례를 나타낸다. 선박 (101) 의 선미부 (102) 에 프로펠러 (103) 가 배치되고, 프로펠러 (103) 의 후방에 키 (104) 가 배치된다. 프로펠러 (103) 의 전방 (선수 방향) 에 덕트 (105) 가 배치된다. 덕트 (105) 는, 대체로 프로펠러 (103) 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환 형상을 갖는다. 덕트 (105) 의 선수 방향의 단부 (端部) 는, 선미 방향의 단부보다 직경이 크다.
도 2 는, 도 1 의 영역 (106) 에 있어서의 덕트 (105) 의 확대도이다. 덕트 (105) 의 둘레 방향에 수직인 단면은, 날개 형상을 갖는다. 날개의 전연 (前緣) 이 선수측, 후연 (後緣) 이 선미측에 배치된다. 덕트 (105) 의 내주측, 즉 프로펠러의 회전축에 가까운 측이 부압면 (107) 이고, 외주측이 정압면 (108) 이다. 덕트 (105) 는, 날개 형상의 전연과 후연을 잇는 익현선 (翼弦線) 이 프로펠러 (103) 의 회전축에 대해 각도 (θ) 를 이루어 선미측을 향하여 내주측으로 기울도록 형성된다.
도 2 에 있어서, 프로펠러 (103) 의 회전축에 대해 각도 Ψ = α + θ 로 선미부 (102) 에 있어서의 수류가 덕트 (105) 에 유입된다. α 는, 날개 단면 형상을 갖는 덕트 (105) 에 대한 수류의 영각 (迎角) 이다. 이 수류에 의해, 덕트 (105) 가 흐름에 수직인 양력 (揚力) (f101) 과, 흐름에 평행한 항력 (f102) 을 발생시킨다. 양력 (f101) 과 항력 (f102) 의 합력 (f103) 의 선수 방향의 성분이, 덕트 (105) 에 작용하는 추진력이 된다.
이와 같이 덕트 (105) 는 추진력을 만들어 낼 수 있다. 그러나, 덕트 (105) 는 프로펠러 (103) 에 유입되는 수류의 방향을 바꾸고, 외관상 축 방향으로 가속하는 효과를 갖는다. 프로펠러 (103) 는, 수류의 속도가 느린 것이 효율이 높기 때문에, 덕트 (105) 에 의해 프로펠러 (103) 의 축 방향으로 수류가 가속되면, 프로펠러 (103) 의 효율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덕트 (105) 의 추가에 의해 프로펠러 (103) 와 덕트 (105) 를 합친 전체의 효율이 유효하게 향상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프로펠러의 전방에 덕트를 형성하는 기술에 있어서, 프로펠러의 추진 효율의 저하를 피할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덕트 장치는, 선박의 선미부에 있어서 프로펠러의 전방에 배치된다. 덕트 장치는 덕트 본체를 구비한다. 덕트 본체는, 선박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프로펠러의 축을 내측으로 하는 호를 그려, 축 방향으로 본 윤곽 (輪郭) 형상이 프로펠러의 반경을 R 로 하여 0.5R 이하의 영역에 들어가는 후연과, 선박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프로펠러의 축을 내측으로 하는 호를 그려, 축의 방향으로 본 윤곽 형상이 전연보다 큰 전연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해, 프로펠러의 전방에 덕트를 형성하는 기술에 있어서, 프로펠러의 추진 효율의 저하를 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은 참고 기술에 있어서의 선미부의 측면도이다.
도 2 는 덕트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다.
도 3 은 선미부의 측면도이다.
도 4 는 덕트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선미측에서 본 유속 분포를 나타낸다.
도 6 은 프로펠러 축 둘레의 둘레 방향의 각도와 유향각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7 은 덕트 장치의 전면도이다.
도 8 은 덕트 본체의 단면 형상을 나타낸다.
도 9 는 덕트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10 은 덕트 본체의 전면도이다.
도 11 은 도 10 의 B-B′단면에 있어서의 덕트 본체와 수류를 나타낸다.
도 12 는 도 10 의 C-C′단면에 있어서의 덕트 본체와 수류를 나타낸다.
도 13 은 덕트 장치의 전면도이다.
도 14 는 리액션 핀의 형상과 장착 각도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덕트 장치를 구비한 선박의 선미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선박 (1) 의 선미부 (2) 에 프로펠러 (3) 가 설치되고, 그 후측 (선미측) 에 키 (4) 가 설치된다. 프로펠러 (3) 는, 둘레 방향으로 늘어선 복수의 날개를 구비하고, 대체로 선수와 선미를 연결하는 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C1) 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선미부 (2) 에 있어서의 프로펠러 (3) 의 전방에, 덕트 장치 (5) 가 장착된다. 덕트 장치 (5) 는, 회전축 (C1) 을 내측으로 하는 호를 그리는 원호상의 전연 (6) 과 후연 (7) 을 갖는다. 회전축 (C1) 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의 후연 (7) 의 윤곽 형상은, 전연 (6) 의 반경보다 작다. 프로펠러 (3) 의 회전면의 반경을 R 로 하면, 후연 (6) 의 윤곽 형상은, 회전축 (C1) 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회전축 (C) 으로부터 0.2R 이상 0.5R 이하의 영역에 들어간다.
도 4 는, 덕트 장치 (5) 에 있어서 수류를 변화시키는 기능을 갖는 덕트 본체 (9) 의 개략 형상을 나타낸다. 프로펠러 (3) 의 회전축 (C1) 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점 (x = x0) 을 정점으로 하고, x 축 방향으로 중심선을 갖는 가상적인 원추형 (C2) 을 그린다. 그 원추형 (C2) 에 대해, 정점으로부터 제 1 거리 x = x1 에 있어서의 yz 단면을 원 (C3) 으로서 나타내고, 제 2 거리 x = x2 (x2 > x1) 에 있어서의 yz 단면을 원 (C4) 으로서 나타낸다.
원 (C3) 과, 원 (C4) 과, 원추 (C2) 중 C3 과 C4 를 연결하는 표면에 의해, 원추대의 형상이 형성된다. 이 원추대 중, 회전축 (C1) 을 중심으로 하여 연직선 (V) 으로부터 좌우 각각에, 회전축 (C1) 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 (φ) 이내의 영역을 잘라낸 지점이, 덕트 본체 (9) 의 개략 형상을 나타낸다. 덕트 본체 (9) 는, 프로펠러 (3) 의 회전축 (C1) 을 포함하는 연직면에 있어서, 원 직선에 관하여 좌우 대칭이다.
덕트 본체 (9) 의 전연 (6) 은 원 (C4) 상의 원호를 그린다. 그 각도는, 회전축 (C1) 을 중심으로 하여 연직선 (V) 으로부터 좌우로 각각 φ 이다. φ 의 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프로펠러 (3) 의 상반분에 유입되는 수류의 쪽이 덕트 장치 (5) 에 의한 추진력을 얻기 쉽기 때문에, φ 는 90 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덕트 본체 (9) 의 후연 (7) 은 원 (C3) 상의 원호를 그린다. 도 4 의 예에서는, 그 원호의 각도는 전연 (6) 과 동일하지만, 전연 (6) 과 상이한 각도여도 된다. 전연 (6) 과 후연 (7) 은 완전한 원호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포물선 등, 위로 볼록한 형상과 같이 원호를 변형한 호여도 된다.
도 5 에 프로펠러 (3) 에 유입되는 수류의 유속 분포를 후방 (선미 방향) 에서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6 에 각 둘레 방향 각도 (φ1) 에 있어서의 유향각 (Ψ) 의 분포를 나타낸다. 이 예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 (C1) 보다 상측에서 연직선 (V) 으로부터 각도가 45 도 이상인 영역 (11) 에 있어서는, 유속의 반경 방향의 성분이 작다. 그에 반하여, 연직선 (V) 으로부터의 각도가 45 도 이하의 영역에 있어서는, 유속의 반경 방향의 성분이 크다. 덕트 본체 (9) 는, 유속의 반경 방향의 성분이 큰 영역에 있어서, 보다 큰 추진력을 생성한다. 따라서, 덕트 본체 (9) 는, 그 전연 (6) 이 연직선 (V) 으로부터의 각도 45 도 이내의 영역에 있어서의 수류를 보충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전연 (6) 이 φ = 45 도의 부채꼴, 또는 45 도의 위치에 있어서의 수류를 확실하게 보충하기 위해서 φ = 50 도의 부채꼴을 갖는 덕트 본체 (9) 이면, 충분히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덕트 본체 (9) 는, 프로펠러 (3) 의 회전축 (C1) 을 통과하는 연직선 (V) 을 중심으로 한 둘레 방향의 각도가 50 도 이내에 들어간다. 또한, φ = 50 도 이내로 설정되면, 덕트 본체 (9) 가 작기 때문에 경량이고, 또한 그 외측의 영역에 있어서 프로펠러 (3) 에 유입되는 흐름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 7 은, 선수 방향에서 본 덕트 장치 (5) 를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A-A′단면에 있어서, 덕트 본체 (9) 의 내측을 전방에서 들여다 본 도면이다. 덕트 장치 (5) 는 지지부 (10) 를 구비하고, 덕트 본체 (9) 는, 지지부 (10) 에 의해 선미부 (2) 의 예를 들어 보싱 (8) 에 고정된다.
후연 (7) 의 반경을 r1 로 하고, 프로펠러 (3) 의 회전면 (C5) 의 반경을 R 로 했을 때, 0.2R ≤ r1 ≤ 0.5R 이다. 후연 (7) 이 완전한 원호가 아닌 경우에는, 후연 (7) 의 전체가 회전축 (C1) 을 중심으로 하는 0.5R 이하인 원 내에 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이와 같은 반경 (r1) 에 의해 얻어지는 이점을 설명한다.
도 8 에, 덕트 본체 (9) 의 단면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덕트 본체 (9) 의 둘레 방향에 수직인 단면은, 둘레 방향의 임의의 각도에 있어서 날개 형상을 갖는다. 덕트 본체 (9) 의 내주측, 즉 회전축 (C1) 을 향하는 측이 부압면이고, 외주측이 정압면이다.
선박 (1) 이 전방으로 항행하고 있을 때, 선체에 상대적으로 수류가 발생한다. 선미부 (2) 에 있어서, 덕트 장치 (5) 의 위치에 있어서의 수류가, 덕트 본체 (9) 에 의해 변화된다. 덕트 본체 (9) 의 내측에 있어서, 수류가 덕트 본체 (9) 에 의해 회전축 (C1) 의 방향으로 굽혀지고, 축 방향의 유속이 빠른 수류 (f1) 가 된다. 한편, 일반적으로는, 프로펠러 (3) 의 상측에 있어서의 수류는, 축 방향의 유속이 느리다. 덕트 본체 (9) 의 외측에는, 이와 같은 축 방향의 유속이 느린 수류 (f2) 가 유입된다.
일반적인 프로펠러 (3) 가 가장 효율적으로 일을 실시하는 것은, 반경 방향의 중심보다 약간 외측, 예를 들어 0.7R 부근의 영역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 영역에 있어서는 축 방향의 유속이 느린 수류 (f2) 가 유입되기 때문에, 프로펠러 (3) 가 높은 효율로 추진력을 생성한다.
한편, 덕트 본체 (9) 보다 내측의 영역에서는, 수류에 의해 덕트 본체 (9) 에 추진력 (양력과 항력의 합력의 선수 방향의 성분) 이 발생한다. 덕트 본체 (9) 에 의해 수류 (f1) 의 축 방향의 유속이 상승하지만, r1 ≤ 0.5R 의 영역에 있어서의 프로펠러 (3) 의 추진 효율은 원래 비교적 작기 때문에, 프로펠러 (3) 의 추진력 저하는 작게 억제된다. 덕트 본체 (9) 에 의해 유효한 추진력을 얻기 위해서는 r1 ≥ 0.2R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축으로부터의 반경 방향의 거리를 r 로 한 경우, r = 0.7R 정도의 영역에서는 덕트 장치 (5) 가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프로펠러 (3) 가 높은 추진력을 발생시키고, 프로펠러 (3) 의 효율이 작은 R ≤ 0.5 의 영역에서는 덕트 장치 (5) 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프로펠러 (3) 와 덕트 장치 (5) 를 합쳐 높은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도 10 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덕트 본체 (9a) 의 개략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와 전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덕트 본체 (9) 가 원추면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던 것에 반하여,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덕트 본체 (9a) 가 상방일수록 경사가 큰 형상을 갖고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형상에 의해 선미부 (2) 의 유속 분포에 따라 효율적인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덕트 본체 (9a) 의 형상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덕트 본체 (9) 의 회전축 (C1) 을 포함하는 평면 (P) 에 의한 단면 (B) 은, 도 8 에 나타낸 덕트 본체 (9) 의 단면과 동일한 날개 형상을 갖는다. 그 단면의 익현선 (CH) 과, 회전축 (C1) 의 연장 방향 (x 축 방향) 이 이루는 각도 (θ) 는, 회전축 (C1) 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의 각도 (φ1) 가 연직선 (V) 에 가까운 위치일수록 크다.
도 9, 도 10 에 있어서는, 덕트 본체 (9a)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덕트 본체 (9) 와 마찬가지로, 전연측 원 (C3) 의 일부를 형성하는 전연 (7a) 을 갖는다. 한편, 덕트 본체 (9a) 의 후연 (6a) 은, 후연측 원 (C4) 으로부터 벗어난 윤곽을 갖는다. 즉, 각도 (φ1) 가 작을수록, 후연측 원 (C4) 보다도 보다 크며 상방으로 뻗은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형상은, 예를 들어 후연 (6a) 을 포물선으로 형성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도 11 은, 도 10 의 B-B′단면에 있어서의 덕트 본체 (9a) 와 수류를 나타낸다. 도 12 는, 도 10 의 C-C′단면에 있어서의 덕트 본체 (9a) 와 수류를 나타낸다. 도 11 에 나타내는 B-B′단면에 있어서는, 덕트 본체 (9a) 의 경사각 (정확하게는, 회전축 (C1) 의 연장 방향 (x 축 방향) 에 대한, 회전축 (C1) 을 포함하는 평면 내의 경사각) (θ1) 이 크다. 이 영역에는, 회전축 (C1) 에 대해 바로 위 부근의 수류가 덕트 본체 (9a) 의 후연 (6a) 에 유입된다. 이 영역에 있어서의 수류는 반경 방향으로 큰 성분을 갖기 때문에, 덕트 본체 (9a) 가 큰 경사를 가짐으로써, 덕트 본체 (9a) 가 보다 큰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2 에 나타내는 C-C′단면에 있어서는, 덕트 본체 (9a) 의 경사각 (정확하게는, 회전축 (C1) 의 연장 방향에 대한, 회전축 (C1) 을 포함하는 평면 내 에 있어서의 경사각) (θ2) 이 작다. 이 영역의 수류는, B-B′단면에 비하여 회전축 (C1) 방향의 성분이 크다. 그 때문에, 덕트 본체 (9a) 의 회전축 (C1) 방향에 대한 경사가 작음으로써, 덕트 본체 (9a) 가 보다 큰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전형적인 날개 형상을 갖는 덕트에 있어서는, 덕트 본체 (9a) 에 유입되는 수류의 영각 (α) 이 0 도 ∼ 20 도 부근에서 큰 추진력이 얻어진다. 따라서, 덕트 본체 (9a) 의 형상은 이하와 같이 설계된다. (1) 선미부 (2) 의 프로펠러 (3) 전방의 수류의 유속 분포를 구한다. (2) 그 유속 분포에 기초하여, 각 둘레 방향의 각도에 있어서의 영각 (도 11 의 α1, 도 12 의 α2) 이 0 도 ∼ 20 도에 가까워지도록, 각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덕트 본체 (9a) 의 경사 (θ1, θ2) 를 설계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9 의 덕트 본체 (9a) 이외의 형상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연 (6a) 의 형상을 원호로 하고, 후연 (7a) 의 형상을, φ1 이 작을수록 후연측 원 (C3) 보다 높이가 낮은 곡선 (예를 들어 포물선) 으로 하는 변형예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에 의해서도 φ1 이 작은 영역일수록 덕트 본체 (9a) 의 경사가 크기 때문에, 유속 분포 에 따라 높은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덕트 장치 (5a) 의 전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덕트 장치 (5a) 는,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덕트 본체 (9a) 를 구비한다. 이것 대신에,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덕트 본체 (9) 를 사용해도 된다.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덕트 장치 (5a) 는 추가로, 적어도 1 장의 블레이드 (도 13 의 예에서는 2 장의 블레이드) 로 이루어지는 리액션 핀 (12) 을 구비한다. 리액션 핀 (12) 은, 선미부 (2) 에 있어서의 유속 분포에 대해, 프로펠러 (3) 의 회전 방향과는 역방향의 변화를 부여함으로써 프로펠러 (3) 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리액션 핀 (12) 의 윤곽 형상, 및 장착 각도에 대해서는, 공지된 리액션 핀의 설계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4 는 그 일례를 나타낸다. 우회전의 (선미 방향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선체 (1) 에 전방 방향의 추진력을 부여한다) 프로펠러 (3) 에 있어서, 선미 방향에서 보아 우측에 장착되는 리액션 핀 (12) 의 단면을 나타낸다. 이 위치에 있어서, 리액션 핀 (12) 은 선수 방향을 향하여 하향의 경사각 (θR) 으로 프로펠러 (3) 의 전방에 장착된다. 그 부압면 (12a) 은 정압면 (12b) 에 대해 프로펠러 (3) 의 회전 방향, 즉 시계 방향 회전의 진행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리액션 핀 (12) 에 의해 프로펠러 (3) 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 에 있어서는, 리액션 핀 (12) 이 그 밑동 (회전축 (C1) 에 가까운 측) 의 단부에 있어서, 덕트 본체 (9a) 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그 선단은, 프로펠러 (3) 의 회전면 (C5) 의 반경을 R 로 하여 예를 들어 1.1R 까지 연장된다.
리액션 핀 (12) 은, 프로펠러 (3) 의 효율이 높은 반경 0.7R 부근에서 가장 효과를 발휘한다. 그에 반하여, 반경 0.5R 이하의 부근에서는 효과가 작으며, 반대로 프로펠러 (3) 의 효율을 낮추는 경우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덕트 본체 (9a) 에 의해 지지함으로써, 리액션 핀 (12) 을 프로펠러 (3) 에 가까운 밑동 부근에는 배치하지 않고, 효과가 가장 높은 반경 0.5 이상의 영역에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싱 등에 의해 지지되는 공지된 리액션 핀에 있어서는, 효과가 낮은 밑동 부근에 있어서 핀의 각도에 비틀림을 가하여, 수류에 대한 영향을 저감시킨다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밑동 부근에 리액션 핀 (12) 을 배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틀림이 없이 가공이 용이한 형상의 부재에 의해 리액션 핀 (12) 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서술했는데, 실제로는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변경이 있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Claims (10)

  1. 선체의 선미부에 있어서 프로펠러의 전방에 배치되고, 후연과 상기 후연보다 전방에 있는 전연을 갖는 덕트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후연은,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제 1 직교면 내에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떨어져 호상의 윤곽 형상을 갖고, 상기 프로펠러의 반경을 R 로 하여 상기 후연의 상기 윤곽 형상이 상기 프로펠러의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0.5R 이하의 영역에 들어가고,
    상기 전연은,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제 2 직교면 내에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떨어져 호상의 윤곽 형상을 갖고, 상기 전연의 상기 윤곽 형상이, 상기 프로펠러의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후연의 상기 윤곽 형상보다 큰 거리를 갖는 덕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있어서의 상기 덕트 본체의 단면은, 상기 회전축의 측을 부압면으로 하는 날개 형상을 갖는 덕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본체는, 상향의 연직선으로부터의 상기 회전축의 둘레 방향의 각도가 50 도 이내에 들어가는 덕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본체의 상기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의한 단면은 날개 형상을 갖고,
    상기 단면의 익현선과, 상기 회전축의 연장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의 각도가 연직선에 가까운 위치일수록 큰 덕트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본체에 지지되고, 상기 덕트 본체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1 장의 리액션 핀을 추가로 구비하는 덕트 장치.
  6. 선체와,
    프로펠러와,
    상기 선체의 선미부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의 전방에 배치되는 덕트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덕트 장치는, 호상의 윤곽 형상을 갖고, 후연과 상기 후연보다 전방에 있는 전연을 갖는 덕트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후연은,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제 1 직교면 내에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떨어져 호상의 윤곽 형상을 갖고, 상기 프로펠러의 반경을 R 로 하여 상기 후연의 상기 윤곽 형상이 상기 프로펠러의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0.5R 이하의 영역에 들어가고,
    상기 전연은, 상기 프로펠러의 회전축과 직교하는 제 2 직교면 내에서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떨어져 호상의 윤곽 형상을 갖고, 상기 전연의 상기 윤곽 형상이, 상기 프로펠러의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후연의 상기 윤곽 형상보다 큰 거리를 갖는 선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있어서의 상기 덕트 본체의 단면은, 상기 회전축의 측을 부압면으로 하는 날개 형상을 갖는 선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본체는, 상향의 연직선으로부터의 상기 회전축의 둘레 방향의 각도가 50 도 이내에 들어가는 선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본체의 상기 회전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의한 단면은 날개 형상을 갖고,
    상기 단면의 익현선과, 상기 회전축의 연장 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둘레 방향의 각도가 연직선에 가까운 위치일수록 큰 선박.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본체에 지지되고, 상기 덕트 본체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적어도 1 장의 리액션 핀을 추가로 구비하는 선박.
KR1020157016571A 2012-12-27 2013-12-26 덕트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선박 KR201500888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86009A JP5901512B2 (ja) 2012-12-27 2012-12-27 ダクト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船舶
JPJP-P-2012-286009 2012-12-27
PCT/JP2013/084812 WO2014104167A1 (ja) 2012-12-27 2013-12-26 ダクト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船舶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8814A Division KR20170084346A (ko) 2012-12-27 2013-12-26 덕트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836A true KR20150088836A (ko) 2015-08-03

Family

ID=5102124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6571A KR20150088836A (ko) 2012-12-27 2013-12-26 덕트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선박
KR1020177018814A KR20170084346A (ko) 2012-12-27 2013-12-26 덕트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선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8814A KR20170084346A (ko) 2012-12-27 2013-12-26 덕트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선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01512B2 (ko)
KR (2) KR20150088836A (ko)
CN (1) CN104884347B (ko)
WO (1) WO20141041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18451B2 (ja) * 2015-03-31 2018-11-07 三井E&S造船株式会社 船舶
JP6478228B2 (ja) * 2016-12-05 2019-03-06 国立研究開発法人 海上・港湾・航空技術研究所 船尾ダクトとフィンを有した船尾形状及び船舶
JP6655562B2 (ja) 2017-01-27 2020-02-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ダクト装置及び船舶
JP6758210B2 (ja) 2017-01-31 2020-09-2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ダクト装置および船舶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0238Y2 (ko) * 1985-08-28 1992-11-26
JP5132140B2 (ja) * 2006-11-30 2013-01-30 株式会社アイ・エイチ・アイ マリンユナイテッド 船舶のダクト装置
DE202008006069U1 (de) * 2008-03-10 2008-07-17 Becker Marine Systems Gmbh & Co. Kg Vorrichtung zur Verringerung des Antriebsleistungsbedarfes eines Schiffes
EP2338783B1 (en) * 2008-10-20 2013-02-27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Twin skeg ship
JP2011178222A (ja) * 2010-02-26 2011-09-15 Ihi Corp 船舶
KR101506050B1 (ko) * 2010-12-17 2015-03-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덕트 구조체
KR101334217B1 (ko) * 2011-05-03 2013-11-29 에스피피조선 주식회사 연료절감형 선박용 크라운 덕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04167A1 (ja) 2014-07-03
CN104884347A (zh) 2015-09-02
JP2014125200A (ja) 2014-07-07
KR20170084346A (ko) 2017-07-19
CN104884347B (zh) 2018-01-09
JP5901512B2 (ja) 2016-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57477C (en) Device for reducing the power demand for the propulsion of a ship
CN102673760B (zh) 提高能量效率的船舶驱动系统的前喷嘴
KR102384493B1 (ko) 선미용 덕트, 선미용 부가물, 선미용 덕트의 설계 방법, 및 선미용 덕트를 장착한 선박
KR20150088836A (ko) 덕트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선박
KR20140068034A (ko) 소형 덕트가 달린 프로펠러 및 선박
JP6422020B2 (ja) ツインスケグ船
JP6021678B2 (ja) ダクト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船舶
JP2015116850A (ja) 船尾用ダクト、船尾用ダクトの設計方法、及び船尾用ダクトを装備した船舶
WO2015098665A1 (ja) ダクト装置
WO2011102103A1 (ja) ダクト付きスラスタ及びそれを備えた船舶
WO2018025644A1 (ja) 船舶
KR101556438B1 (ko) 선박 추진에 필요한 파워 요구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KR101764400B1 (ko) 추진효율 향상을 위한 트위스트 타입 스테이터를 구비한 선박용 덕트장치
KR102143323B1 (ko) 핀 유닛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선박
WO2018139138A1 (ja) ダクト装置および船舶
JP6380848B2 (ja) 船舶
KR101927546B1 (ko) 선미 덕트 구조체를 갖는 선박
KR20240013002A (ko) 선박용 가속 프로펠러
US8800463B2 (en) Boat hull construction
JP2016222233A (ja) 船舶のフィンユニット及び船舶
KR20200000046A (ko) 선박용 추진장치
KR101911100B1 (ko) 경량화 구조를 갖는 선박 추진 개선 장치
JP2014156200A (ja) フィン装置及び船舶
KR20210032724A (ko) 전류고정날개
JP2019006169A (ja) 船舶用推進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船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