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8790A - 복사 패널 장치 - Google Patents
복사 패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88790A KR20150088790A KR1020157012257A KR20157012257A KR20150088790A KR 20150088790 A KR20150088790 A KR 20150088790A KR 1020157012257 A KR1020157012257 A KR 1020157012257A KR 20157012257 A KR20157012257 A KR 20157012257A KR 20150088790 A KR20150088790 A KR 201500887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bridge
- heating medium
- tube
- medium flo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6—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mounted on, or adjacent to, a ceiling, wall or flo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longitudinally
- F28F1/2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longitudinal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F24D19/0203—Types of supporting means
- F24D19/0206—Tube shaped supports inserted into a wal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89—Systems using radiation from walls or pan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28D1/047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having a single U-ben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28D1/047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being bent in a serpentine or zig-za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55/00—Heat exchanger elements made of materials having special features or resulting from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F28F2255/16—Heat exchanger elements made of materials having special features or resulting from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extru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ometry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And Details Of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복수의 패널(4)을 유지하는 브릿지(3)를 구비하고, 브릿지(3)는 패널(4)의 한쪽의 단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관통공(3c)을 갖는다. 관통공(3c)에는 회전 기구(25)의 축관(17)이 관통되어 있고, 회전 기구(25)는, 패널(4)의 한쪽의 단부를, 브릿지(3)에 대하여 축관(17)의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열매체 유통관(5)은 패널(4)로부터 돌출되는 한쌍의 연장부(5c, 5d)를 가지고, 연장부(5c, 5d)는, 축관(17)의 내부를 관통하여 관통공(3c)을 통과함으로써, 축관(17)의 축선에 대한 대칭 위치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축관(17)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패널(4)을 요동시키는 경우, 연장부(5c, 5d)는, 축관(17) 내에서 서로의 위치 관계가 유지된 상태로 축관(17)의 축선 둘레로 이동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사 난방이나 복사 냉방을 행하는 복사 패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오일이나 부동액 등의 액체를 열매체로 한 복사 패널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복사 패널 장치에 있어서는, 복수의 패널과, 별도 설치되는 열원 사이에서 열매체를 순환시킴으로써 각 패널에 복사능을 갖게 하고, 그 패널에 의한 복사 난방 또는 복사 냉방에 의해 거실 등의 공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패널의 내부에 열매체를 유통시키기 위한 열매체 유통관을 설치하고, 그 열매체 유통관에 열매체를 유통시킴으로써 패널로부터 복사열을 방사시키는 복사 패널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복사 패널 장치에서는, 애당초 패널을 요동시키는 것은 상정되어 있지 않고, 패널 사이를 통하여 흘러오는 바람의 방향을 변경시키거나, 패널의 다른쪽과 앞쪽 사이에서 시선을 차단하거나 할 수 없다. 실제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복사 패널 장치에서는, 패널을 요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가지고 있지 않고, 또한, 패널의 요동을 가능하게 하는 배관의 구성으로 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열매체의 순환에 의해 복사능이 부여되는 복수의 패널을 요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복사 패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사 패널 장치는, 장척형인 편평한 복수의 패널과, 패널 내에 수용되는 부분을 가지고, 열원과의 사이에서 순환하는 열매체의 통과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패널에 복사능을 부여하는 열매체 유통관과, 복수의 패널을 소정의 간격으로 나란히 한 상태로 유지하는 동시에, 패널의 한쪽의 단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관통공을 갖는 브릿지와, 관통공에 관통된 축관을 가지며, 패널의 한쪽의 단부로부터 브릿지에 걸쳐 설치되어, 브릿지에 대하여 축관의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패널을 지지하는 회전 기구를 구비하고, 열매체 유통관은, 패널 내에서 되접어 꺽이며, 패널의 한쪽의 단부측을 출입구로 하는 왕복의 통과 경로를 형성하는 수용부와, 수용부의 단부에 접속되는 동시에 축관의 내부를 관통하여 관통공을 통과함으로써, 축관의 축선에 대한 대칭 위치로부터 돌출되는 한쌍의 연장부와, 복수의 패널 각각으로부터 돌출되는 연장부의 선단부로서, 다른 패널의 연장부에 연결되는 접속부를 구비하고, 접속부에는, 다른 패널로부터 돌출하는 연장부의 접속부 중, 축관의 축선에 대하여 동일한 쪽으로부터 돌출되는 연장부의 접속부가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사 패널 장치에서는, 복수의 패널을 유지하는 브릿지를 구비하고, 브릿지는 패널의 한쪽의 단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관통공을 갖는다. 관통공에는 회전 기구의 축관이 관통되어 있고, 회전 기구는, 브릿지에 대하여 축관의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패널의 한쪽의 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열매체 유통관은 패널로부터 돌출되는 한쌍의 연장부를 가지고, 한쌍의 연장부는 축관의 내부를 관통하여 관통공을 통과함으로써, 축관의 축선에 대한 대칭 위치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축관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패널을 요동시키는 경우, 한쌍의 연장부는, 축관 내에서 서로의 위치 관계가 유지된 상태로 축관의 축선 둘레로 이동한다. 그 결과, 패널의 요동에 따라 한쌍의 연장부 사이의 거리가 변화되거나, 혹은 한쌍의 연장부가 축선으로부터 이격되거나 하는 것이 방지되어, 한쌍의 연장부의 축선에 대한 위치 관계는, 패널을 요동시켜도 유지된다.
또한, 이러한 복사 패널 장치에서는, 복수의 패널 각각으로부터 돌출하는 연장부 중, 축선에 대하여 동일한 쪽으로부터 돌출되는 연장부끼리 접속부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즉, 각 패널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각 회전 기구에 대하여 동일한 쪽으로부터 돌출되는 연장부끼리 접속되고, 이에 의해 패널 사이에서 열매체 유통관의 직렬 배관 계통이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서로 접속되는 연장부끼리의 간격과, 쌍방의 연장부가 관통되는 각 축관의 축선끼리의 간격이 일치하고, 이 간격을 유지한 채로 패널이 요동하게 된다. 그 결과, 서로 접속되는 연장부끼리의 간격이 패널의 요동에 따라 넓어지거나 좁아지거나 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패널의 회전 불량을 방지할 수 있어, 패널을 원활하게 요동시킬 수 있다. 또한, 열매체 유통관의 한쌍의 연장부가 축관의 내부를 통과하고 있으므로, 패널의 요동에 따른 열매체 유통관의 이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패널의 요동 시에 있어서의 열매체 유통관에 대한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고, 또한 열매체 유통관을 축관 내에서 보온할 수도 있다.
또한, 회전 기구는, 축관 내에서 각 연장부의 축선에 근접 이격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하는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한쌍의 연장부가 축관 내에서 축선에 대하여 대칭이 되는 상태로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패널을 요동시켜도, 한쌍의 연장부끼리의 위치 관계의 어긋남이 축관 내에서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패널의 원활한 요동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축관은, 패널의 한쪽의 단부에 고정되는 동시에, 관통공에 회전 가능하게 느슨하게 감입되어 브릿지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축관의 브릿지로부터 돌출된 부분 쪽에는, 상기 축관을 브릿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계합부(係合部)를 더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느슨하게 감입된다는 것은, 여유가 있는 상태로 감입되어 있는 것을 의도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축관이 패널의 한쪽의 단부에 고정되고, 그 축관은 패널과 함께 브릿지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패널의 요동에 따라 축관 내에서 구속된 열매체 유통관의 한쌍의 연장부도 요동하게 되어, 패널의 요동에 따른 열매체 유통관의 비틀림을 줄일 수 있어, 패널을 보다 원활하게 요동시키는 데 있어서 효과적이다.
또한, 회전 기구는, 계합부의 회전에 따라 브릿지와 계합부 사이에서 생기는 마찰 저항을 저감하는 완충 부재를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패널의 요동에 따라 생기는 브릿지와 계합부 사이의 마찰 저항이 완화되게 되기 때문에, 보다 원활하게 패널을 요동시킬 수 있다.
또한, 축관의 내주는,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 형상이 비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축관의 단면 형상을 비원형으로 함으로써, 축관의 부착 시에 있어서의 브릿지에 대한 회전 위치가 정해지게 되어, 패널의 브릿지에 대한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회전 기구 또는 패널을 연결하는 링크 기구를 더 구비하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복수의 패널 각각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회전 기구가 링크 기구에 의해 연결된다. 이 때문에, 하나의 패널을 요동시키면, 회전 기구의 회전 및 링크 기구의 이동에 따라, 다른 패널이 상기 하나의 패널과 동일한 양만큼 요동하게 된다. 이 결과, 연장부 사이의 간격은 보다 엄밀하게 유지되게 되어, 회전 불량을 보다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링크 기구는, 복수의 회전 기구에 연결되며, 또한 축선 둘레로 축관과 일체로 요동하는 복수의 연결 브래킷과, 연결 브래킷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이웃하는 연결 브래킷 사이에 걸쳐 연장되는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플레이트의 연장 방향에 대한 각 패널의 각도를 서로 동일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게 각 패널을 동일한 방향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열매체 유통관끼리 접속부에서 접속됨으로써 형성되는 직렬 배관 계통을 복수로 구비하고, 열원과 직렬 배관 계통 사이에서 복수의 직렬 배관 계통 각각에 열매체를 분배하는 병렬 분배부와, 열원과 직렬 배관 계통 사이에서 복수의 직렬 배관 계통 각각으로부터 배출되는 열매체를 집약하는 병렬 합류부를 더욱 구비하며, 병렬 분배부와 병렬 합류부는 패널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각 직렬 배관 계통은, 패널의 요동에 따라 약간 열매체 유통관의 축 둘레로 비틀어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복사 패널 장치에서는, 병렬 분배부와 병렬 합류부를 요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열매체 유통관의 비틀림이 허용되기 때문에, 열매체 유통관의 비틀림에 대하여 저항력이 부여됨에 따른 패널의 회전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매체의 순환에 의해 복사능이 부여되는 복수의 패널을 요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복사 패널 장치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복사 패널 장치의 브릿지 둘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복사 패널 장치의 브릿지 둘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복사 패널 장치를 나타내며, (a)는 도 3의 IV-IV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b)는 (a)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복사 패널 장치에 있어서의 브릿지 상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복사 패널 장치에 있어서의 브릿지 하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복사 패널 장치의 회전 기구 및 링크 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각 직렬 배관 계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a)는 병렬 분배부로부터 각 패널에 열매체를 공급하는 열매체 유통관을 나타내고, (b)는 도면 좌측의 패널로부터 도면 우측의 패널을 향하여 열매체를 유동시키는 열매체 유통관을 나타낸다.
도 9는 각 직렬 배관 계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a)는 도면 우측의 패널로부터 도면 좌측의 패널을 향하여 열매체를 유동시키는 열매체 유통관을 나타내고, (b)는 패널로부터 병렬 합류부를 향하여 열매체를 배출하는 열매체 유통관을 나타낸다.
도 10은 열매체 유통관의 연장부의 연결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병렬 분배부 및 병렬 합류부를 나타내며, (a)는 평면도, (b)는 열매체 유통관을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복사 패널 장치의, 도 4의 (a)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복사 패널 장치의, 도 4의 (a)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복사 패널 장치의 브릿지 상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복사 패널 장치의 브릿지 둘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복사 패널 장치의 브릿지 둘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복사 패널 장치를 나타내며, (a)는 도 3의 IV-IV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b)는 (a)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복사 패널 장치에 있어서의 브릿지 상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복사 패널 장치에 있어서의 브릿지 하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복사 패널 장치의 회전 기구 및 링크 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각 직렬 배관 계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a)는 병렬 분배부로부터 각 패널에 열매체를 공급하는 열매체 유통관을 나타내고, (b)는 도면 좌측의 패널로부터 도면 우측의 패널을 향하여 열매체를 유동시키는 열매체 유통관을 나타낸다.
도 9는 각 직렬 배관 계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a)는 도면 우측의 패널로부터 도면 좌측의 패널을 향하여 열매체를 유동시키는 열매체 유통관을 나타내고, (b)는 패널로부터 병렬 합류부를 향하여 열매체를 배출하는 열매체 유통관을 나타낸다.
도 10은 열매체 유통관의 연장부의 연결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병렬 분배부 및 병렬 합류부를 나타내며, (a)는 평면도, (b)는 열매체 유통관을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복사 패널 장치의, 도 4의 (a)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복사 패널 장치의, 도 4의 (a)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복사 패널 장치의 브릿지 상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사 패널 장치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복사 패널 장치(1)는, 건물의 거실의 일각에 설치되어 복사 난방 혹은 복사 냉방을 행하는 장치이다. 복사 패널 장치(1)는, 특히 방의 중앙부에 칸막이로서 배치되면, 방 전체를 효율적으로 따뜻하게 하거나 차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이다. 이 복사 패널 장치(1)는, 장척형인 편평한 12장의(복수의) 패널(4)과, 패널(4)의 각각에 수용되는 열매체 유통관(5)을 구비하고 있고, 각 열매체 유통관(5)은 서로 접속되며, 또한 열원(H)(도 8 및 도 9 참조)과도 배관(100a, 100b)을 통하여 연결되어 열매체의 순환 라인(100)을 형성한다. 열매체의 순환에 의해 패널(4)에는 복사능이 부여된다. 열매체의 온도가 거실의 실온보다 높은 경우에는, 패널(4)에 복사능이 부여됨으로써 거실의 복사 난방이 가능해지고, 열매체의 온도가 거실의 실온보다 낮은 경우에는, 거실의 복사 냉방이 가능해진다.
복사 패널 장치(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패널(4) 및 열매체 유통관(5)과, 거실의 천장판(R)과 바닥판(F) 사이에서 연직 방향으로 세워서 설치된 한쌍의 지주(2A, 2B)와, 한쌍의 지주(2A, 2B)의 상단측에 가설되어 복수의 패널(4)을 유지하는 브릿지(3)와, 패널(4)의 하방 상에 그리고 바닥판(F) 상에 설치되어 결로수를 받아내는 결로수 수용 부재(6)를 구비하고 있다.
지주(2A, 2B)는, 바닥판(F)으로부터 천장판(R)까지 닿는 길이를 갖는 지주 본체(8)와, 지주 본체(8)의 하단에 외측에서 끼워져 바닥판(F)에 고정되는 기둥 다리 부재(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결로수 수용 부재(6)는, 도시하지 않는 배수관에 연통하고 있으며, 패널(4)을 따라 아래로 유동하는 결로수가 결로수 수용 부재(6)에 모여 배수관을 통하여 외부에 배출된다.
브릿지(3)는, 세운 상태의 복수의 패널(4)을 소정의 간격으로 가로 방향으로 나란히 한 상태로 유지한다. 또한, 소정의 간격이란, 복수의 패널(4)이 요동할 때에, 서로 간섭하지 않을 정도의 폭이면 충분하고, 또한, 패널(4)의 포함 매수, 거실의 넓이나 높이, 혹은 요구하는 성능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브릿지(3)는, 「상부 프레임」이라고도 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릿지(3)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척형인 지지 플레이트(3a)와, 지지 플레이트(3a)의 상면에 세워서 설치된 한쌍의 리브벽(3b)을 구비하고 있다. 한쌍의 리브벽(3b)은, 지지 플레이트(3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서로 대향하도록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브릿지(3)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을 압출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브릿지(3)에는, 한쌍의 리브벽(3b)에 걸치도록 보강 부재가 배치되고, 지지 플레이트(3a)는 보강 부재에 볼트 고정된다.
지지 플레이트(3a)는 한쌍의 리브벽(3b)에 끼인 중앙부(3d)와, 한쌍의 리브벽(3b)보다 외측으로 내뻗은 한쌍의 플랜지부(3e)를 갖는다. 중앙부(3d)에는, 복수의 패널(4) 각각의 상단부(한쪽의 단부)(4a)와 대향하는 위치에 관통공(3c)이 설치되어 있다. 관통공(3c)에는, 패널(4)을 지지하는 회전 기구(25)의 축관(17)이 관통되고, 패널(4)은 회전 기구(25)를 통해 지지 플레이트(3a)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패널(4)은,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면이 편평하게 형성된 장척형인 통형상 부재의 양단에 캡으로 뚜껑을 닫아 형성되며, 예컨대 금속을 압출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패널(4)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패널(4)을 알루미늄제로 하면, 경량화가 실현되어 패널(4)을 용이하게 요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패널(4)의 편평한 단면 형상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패널(4)의 폭 방향」이라고 칭하며, 폭 방향과 수직인 수평 방향을 「패널(4)의 두께 방향」이라고 칭한다.
패널(4)의 외벽(50)의 단면 형상은, 대략 볼록 렌즈형[도 4의 (b) 참조]이며, 폭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가늘어지는 좌우 한쌍의 첨단부(50x)와, 좌우의 첨단부(50x)를 서로 연결하는 한쌍의 평판부(50y)를 구비하고 있다. 한쌍의 평판부(50y)는 대략 평행하게 늘어서 있고, 평판부(50y) 사이에는 회전 기구(25)의 축관(17)이 삽입되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첨단부(50x)의 외면에는, 외기에 대한 전열 면적을 넓히기 위해 파형으로 돌출된 복수의 핀(50c)이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핀(50c)은, 패널(4)의 길이 방향, 즉 패널(4)을 세운 상태에서의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냉방 시에 패널(4)의 표면에 발생하는 결로수를 결로수 수용 부재(6)를 향하여 하방으로 안내하는 기능도 갖는다. 또한, 첨단부(50x)에는, 나사(31a)가 나사 결합되는 체결공(50h)이 형성되어 있고, 나사(31a)를 체결공(50h)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패널(4)의 상단(한쪽의 단부)(4a) 및 하단(4b)에 캡(30)이 고정된다.
패널(4) 내에는 열매체 유통관(5)의 일부가 수용되어 있다. 열매체 유통관(5)은,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U자 형상이며, 패널(4) 내에 삽입된 부분은, 패널(4)의 하단(다른쪽의 단부)측에서 만곡되어 되접어 꺽여, 상단(한쪽의 단부)측을 출입구로 하는 왕복의 통과 경로를 형성하는 수용부(5a, 5b)가 된다. 수용부(5a, 5b, 5g) 중, 열매체가 하방을 향하여 흐르는 통로를 형성하는 부분은 왕로(往路)측 수용부(5a)이며, 열매체가 상방에 향해서 흐르는 통로를 형성하는 부분은 귀로(歸路)측 수용부(5b)이고, 왕로측 수용부(5a)와 귀로측 수용부(5b)를 연결하는 부위가 꺾임부(5g)이다.
열매체 유통관(5)은, 예컨대, 내직경이 7 ㎜ 정도인 수지제 관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수지제의 열매체 유통관(5)을 이용함으로써, 굴곡성이 좋아 작은 반경으로 구부릴 수 있어, 열매체 유통관(5)끼리의 가공, 패널(4)에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열매체 유통관(5)을 수지제로 함으로써, 패널(4)의 요동에 따른 비틀림이나 이동이 허용되게 되어, 패널(4)의 요동 시에 열매체 유통관(5)에 대한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지제 관으로서 가교 폴리에틸렌관을 채용하고 있지만, 폴리부텐 또는 폴리올레핀계의 수지 재료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패널(4)의 각 첨단부(50x)의 내부에는 열매체 유통관(5)을 유지하는 가이드부(50d)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각 가이드부(50d)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가이드 부재(51)가 각각 감입되어 있다. 가이드부(50d), 및 가이드 부재(51)는 각각 반원형이며, 가이드부(50d)와 가이드 부재(51)가 조합됨으로써 원형 단면의 공간을 형성하고, 그 공간 내에 삽입된 열매체 유통관(5)의 왕로측 수용부(5a), 또는 귀로측 수용부(5b)를 사이에 두도록 유지한다.
가이드 부재(51)는, 패널(4)의 하단까지 도달하는 것은 아니며, 가이드 부재(51)의 하방에는, 열매체 유통관(5)의 왕로측 수용부(5a)와 귀로측 수용부(5b)를 만곡시킨 통로에서 연결하는 꺽임부(5g)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51)는, 패널(4)의 상단까지 도달하는 것은 아니며, 가이드 부재(51)의 상방에는, 왕로측 수용부(5a)와 귀로측 수용부(5b)가 중앙 쪽으로 모이는 공간(S1)이 존재한다.
공간(S1) 내에서 중앙 쪽으로 모인 열매체 유통관(5)은 회전 기구(25)의 축관(17)에 관통되고, 패널(4)의 상단(4a)에 부착된 캡(30) 및 브릿지(3)의 지지 플레이트(3a)를 관통하여 브릿지(3)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열매체 유통관(5)에 있어서, 패널(4)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부위는 연장부(5c, 5d)이며, 특히, 왕로측 수용부(5a)에 연결되는 쪽은 왕로측 연장부(5c)이며, 귀로측 수용부(5b)에 연결되는 쪽은 귀로측 연장부(5d)이다.
공간(S1) 중, 축관(17)의 하단으로부터 가이드 부재(51)까지의 영역은, 열매체 유통관(5)을 구속하지 않는 영역으로 되어 있고, 패널(4)의 요동에 따른 열매체 유통관(5)의 비틀림을 흡수 가능한 부분으로 되어 있다. 이 영역의 높이(H), 즉, 가이드 부재(51)로부터 축관(17)의 하단까지의 상하 방향의 거리는 열매체 유통관(5)의 직경의 3배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5배 내지 15배 정도의 높이를 가지고 있으면, 열매체 유통관(5)의 비틀림의 흡수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패널(4)의 상단(4a)에 부착되는 캡(30)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널(4)의 외주를 따른 형상의 플레이트이며, 상단(4a)의 개구를 덮도록 외벽(50)에 부착된다. 캡(30)은, 예컨대 ASA(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나 AES(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프로필렌디엔-스티렌)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로 구성되어 있고, 패널(4)과 브릿지(3) 사이의 열전달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캡(30)의 중앙에는, 축관(17)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의 관통공(30b)이 형성되어 있고, 축관(17)은, 관통공(30b)에 감입된다.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널(4)을 지지하는 회전 기구(25)는 브릿지(3)의 관통공(3c)에 관통되고, 열매체 유통관(5)의 왕로측 연장부(5c) 및 귀로측 연장부(5d) 양자가 관통되는 축관(17)과, 축관(17)의 축선(Sf)을 중심으로 하여, 축관(17)을 브릿지(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브릿지(3)에 걸어 맞추는 계합부(11)를 구비한다. 계합부(11) 및 축관(17)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지제로 하는 경우, 주위에 열을 전달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관(17)은, 캡(30)의 관통공(30b)에 감입되도록 관통되는 통형상체(17x)와, 통형상체(17x)로부터 내뻗도록 설치된 플랜지(17y)를 갖는다. 플랜지(17y)는 축관(17)의 축선(Sf)에 대하여 대칭으로 설치된 한쌍의 돌출편으로 이루어지고, 나사(31b)(도 4 참조)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 구멍(17d)이 형성되어 있다. 통형상체(17x)는 플랜지(17y)보다 상방의 부위가 캡(30)의 관통공(30b)에 밑으로부터 관통되고, 플랜지(17y)는 캡(30)의 이면에 접촉하여 나사(31b)에 의해 캡(30)에 체결된다.
통형상체(17x)의 단면을 본 경우에, 그 외형은 비원형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직사각형의 짧은 변이 외측으로 팽창되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통형상체(17x)가 캡(30)의 관통공(30b)에 감합되면, 통형상체(17x)[축관(17)]는 캡(30)의 회전을 따르게 된다. 즉, 축관(17)의 축선(Sf)을 중심으로 하여 패널(4)을 회전시키면, 패널(4)과 함께 캡(30)이 회전하고, 그 회전이 축관(17)에 전해져 축관(17)이 패널(4)과 동기 회전하게 된다.
통형상체(17x)의 내부에는, 열매체 유통관(5)의 왕로측 연장부(5c)와 귀로측 연장부(5d)가 나란히 관통되어 있다. 통형상체(17x)의 내측의 형상은, 직사각형의 짧은 변이 외주를 향하여 볼록 원호상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왕로측 연장부(5c)와 귀로측 연장부(5d)가 나란히 배치되기에 알맞게 양호한 크기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통형상체(17x) 내에서 왕로측 연장부(5c)와 귀로측 연장부(5d)는 긴 변을 따라 나란히, 짧은 변 쪽의 만곡면이 왕로측 연장부(5c)나 귀로측 연장부(5d)에 둘레면을 따르도록 근접한다.
그 결과, 축관(17)[통형상체(17x)]의 축선(Sf)을 사이에 두고 대칭이 되는 위치에 왕로측 연장부(5c)와 귀로측 연장부(5d)가 배치되게 되고, 짧은 변 쪽의 만곡면이 왕로측 연장부(5c)나 귀로측 연장부(5d)의 둘레면을 따르도록 접하여 왕로측 연장부(5c)나 귀로측 연장부(5d)의 움직임을 규제하게 된다. 따라서, 축관(17)은, 왕로측 연장부(5c)나 귀로측 연장부(5d)에 무리한 부하를 가하는 일 없이 왕로측 연장부(5c)나 귀로측 연장부(5d)를 구속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통형상체(17x)의 내측의 형상은, 전술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왕로측 연장부(5c)나 귀로측 연장부(5d)가 패널의 요동에 따라 서로 틀어지기 어렵다면 타원형이나 다각형 형상, 또는 그 외의 형상이어도 좋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릿지(3) 상에는, 관통공(3c)으로부터 돌출된 통형상체(17x)에 관통되고, 브릿지(3)에 걸리도록 배치되는 링 형상의 스페이서 받이(22)가 설치되어 있다. 관통공(3c)은 대략 원형이지만, 브릿지(3)의 길이 방향의 대칭 위치에 스페이서 받이(22)가 회전 정지되는 홈(3g)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페이서 받이(22)에는 관통공(3c)의 홈(3g)에 감합하는 클로(22d; claw)가 설치되어 있다.
계합부(11)는, 스페이서 받이(22)를 관통하는 통형상체(17x)에 감합하는 스페이서(23)와, 스페이서(23)를 상방으로부터 압박하도록 통형상체(17x)에 장착되는 고정 부재(24)를 구비하고 있다. 스페이서(23)는, 통형상체(17x)가 감합하는 통부(23a)와, 통부(23a)로부터 내뻗어 스페이서 받이(22)에 걸리는 걸림부(23c)를 갖는다. 통부(23a)는 스페이서 받이(22)에 느슨하게 감입되고, 걸림부(23c)는 스페이서 받이(22)와 동일한 원 형상이며, 스페이서 받이(22)의 상면에 접촉한다.
또한, 통형상체(17x)가 스페이서(23)의 관통공(23b)에 감합함으로써, 패널(4)의 회전에 따라 축관(17) 및 스페이서(23)가 스페이서 받이(22)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스페이서 받이(22)의 상면에 스페이서(23)가 접촉함으로써, 스페이서 받이(22)가 상기 회전에 따라 생기는 마찰 저항을 저감시키는 완충 부재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 스페이서 받이(22)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아세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 부재(24)는, 통형상체(17x)가 감합하는 통상의 나사 고정부(24x)와, 나사 고정부(24x)로부터 내뻗어 스페이서(23)의 상면에 접촉하는 누름부(24y)를 갖는다. 나사 고정부(24x)는 통형상체(17x)의 외형을 따르는 형상이며, 구체적으로는, 직사각형의 짧은 변이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나사 고정부(24x)의 긴 변을 구성하는 벽(24b)에는, 고정 나사(18)가 삽입되는 구멍(24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누름부(24y)에는, 연결 브래킷(15)이 들어가는 절결(24d)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부재(24)는, 절결(24d)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스페이서(23)와의 사이에 연결 브래킷(15)을 끼우도록 하면서, 나사 고정부(24x)에 통형상체(17x)를 감입하여 고정 나사(18)로 나사 고정부(24x)에 통형상체(17x)를 고정시킨다. 그 결과, 스페이서(23), 및 고정 부재(24)를 구비한 계합부(11)는, 축관(17)의 브릿지(3)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부분 쪽에 설치되는 양태를 구현하고, 또한, 스페이서 받이(22)를 통해 브릿지(3)에 걸어 맞추게 된다. 그리고 계합부(11)는 축관(17)에 동기하여 회전하고, 또한, 계합부(11)의 나사 고정부(24x)의 회전에 연동하여 연결 브래킷(15)이 요동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사 패널 장치(1)는, 복수의 패널(4)이 각 회전 기구(25)에 의해 브릿지(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복사 패널 장치(1)는, 복수의 회전 기구(25)를 연결하는 링크 기구(28)를 구비하고 있다.
도 4,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크 기구(28)는, 전술한 연결 브래킷(15)과, 연결 브래킷(1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웃하는 연결 브래킷(15) 사이에 걸쳐 연장되는 플레이트(12)와, 연결 브래킷(15)과 플레이트(12)를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접속시키는 복수의 핀(13)을 구비하고 있다. 플레이트(12)는, 연결 브래킷(15)의 각각과 핀(13)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 브래킷(15)은, 평면에서 보아 대략 육각 형상을 편평하게 늘린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길이 방향의 단부를 향함에 따라 좁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연결 브래킷(15)은, 그 연장 방향의 양단에 핀(13)을 걸어 맞추기 위한 관통공(15c, 15c)을 가지고, 그 연장 방향의 중앙부에 축관(17)의 통형상체(17x)를 감합하기 위한 관통공(15b)을 갖는다. 관통공(15b)은, 평면에서 보아, 통형상체(17x)의 외주와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연결 브래킷(15)은, 계합부(11)의 누름부(24y)에 형성된 절결(24d)에 감입되고, 그 하면이 스페이서(23)의 상면에 배치됨으로써, 누름부(24y)와 스페이서(23) 사이에 개재된다. 또한, 연결 브래킷(15)은, 통형상체(17x)가 감합되기 때문에, 축관(17)과 동기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따라서, 연결 브래킷(15)은, 패널(4)의 요동 지점이 되는 축선(Sf)을 지점으로 하여 요동한다.
도 2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12)는 직선 형상이며, 복수의 패널(4)의 간격에 대응하는 소정 간격마다 핀(13)이 삽입 관통되는 관통공(12a)이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12)는, 핀(13)에 의해 연결 브래킷(15)의 상부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12)와 연결 브래킷(15) 사이에는 와셔(14)가 개재되고, 핀(13)은, 플레이트(12)의 관통공(12a), 와셔(14) 및 연결 브래킷(15)의 관통공(15c)에 삽입 관통되며, 관통공(15c)의 하부에 위치하는 핀 수용부(16)에 걸어 맞춰져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플레이트(12) 및 연결 브래킷(15)은 서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복사 패널 장치(1)는 링크 기구(28)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패널(4)을 요동시키면, 그 패널(4)에 접속된 회전 기구(25)가 회전하고, 그 회전 기구(25)에 설치된 연결 브래킷(15)이 축선(Sf)을 지점으로 요동한다. 그 결과, 연결 브래킷(15)에 연결된 플레이트(12)가 이동하여, 다른 연결 브래킷(15)을 요동시켜, 모든 회전 기구(25)가 연동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모든 패널(4)이 동일한 방향으로 요동하게 된다.
다음에, 복수의 패널(4)에 수용된 각 열매체 유통관(5)의 접속, 및 열매체 유통관(5)의 접속에 의해 형성되는 열매체의 통과 경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열매체 유통관(5)의 왕로측 연장부(5c)와 귀로측 연장부(5d)는, 패널(4)의 축선(Sf)에 대한 대칭 위치로부터 브릿지(3)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왕로측 연장부(5c)와 귀로측 연장부(5d)는, 브릿지(3)의 상방에서 브릿지(3)의 길이 방향을 향하여 만곡되어 있지만, 브릿지(3)로부터 왕로측 연장부(5c) 또는 귀로측 연장부(5d)의 만곡 부위까지는 충분한 여유가 있고, 특히 열매체 유통관(5)이 수지제의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어, 패널(4)의 요동에 따라 열매체 유통관(5)이 비틀어져도, 그 비틀림을 흡수할 수 있다.
브릿지(3) 상에서는, 패널(4)로부터 돌출된 열매체 유통관(5)의 왕로측 연장부(5c)가 만곡되어 왕로측 접속부(5e)가 형성되고, 귀로측 연장부(5d)가 만곡되어 귀로측 접속부(5f)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나의 패널(4)로부터 돌출된 귀로측 연장부(5d)에 연결되는 귀로측 접속부(5f)는, 다른 패널(4)로부터 돌출된 왕로측 연장부(5c)에 연결되는 왕로측 접속부(5e)에 접속되어 있다. 즉, 복수의 열매체 유통관(5)끼리는, 귀로측 접속부(5f)와 왕로측 접속부(5e)의 접속에 의해 직렬로 연결되고, 그 결과, 직렬 배관 계통(L1, L2, L3, L4)을 형성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귀로측 접속부(5f)와 왕로측 접속부(5e)는 서로 맞닿아, 양 관 내에 감입되는 조인트(7)를 통해 접속된다. 조인트(7)는, 내부식성을 갖는 구리 등의 금속이나 경질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열매체가 통과하는 관통공(7a)을 갖는다. 귀로측 접속부(5f)와 왕로측 접속부(5e)의 접속 양태는, 조인트(7)를 통한 접속으로 한정되지 않고, 열매체 유통관(5)의 재질이나 형상,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렬 배관 계통(L1∼L4)을 형성할 때, 패널(4)로부터 돌출되는 왕로측 연장부(5c) 및 귀로측 연장부(5d) 중에서 축선(Sf)을 기준으로 하여 동일한 쪽으로부터 돌출된 왕로측 연장부(5c)와 귀로측 연장부(5d)가 접속되어 있다.
도 8의 (b) 및 도 9의 (b)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예컨대, 왼쪽으로부터 3장째의 패널(4)로부터 돌출되는 귀로측 연장부(5d)는 축선(Sf)보다 앞쪽(도면의 왼쪽 아래)이다. 이 귀로측 연장부(5d)는, 왼쪽으로부터 7장째의 패널(4)로부터 돌출되는 왕로측 연장부(5c)에 접속되어 있지만, 이 왕로측 연장부(5c)도 귀로측 연장부(5d)와 마찬가지로 축선(Sf)보다 전방(도면의 왼쪽 아래)이다. 또한, 왼쪽으로부터 7장째의 패널(4)로부터 돌출되는 귀로측 연장부(5d)는, 축선(Sf)보다 깊이쪽으로(도면의 우측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귀로측 연장부(5d)는, 오른쪽으로부터 2장째의 패널(4)로부터 돌출되는 왕로측 연장부(5c)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왕로측 연장부(5c)는 귀로측 연장부(5d)와 마찬가지로 축선(Sf)보다 깊이쪽(도면의 우측 위쪽)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복사 패널 장치(1)에서는, 총 4개의(복수의) 직렬 배관 계통(L1∼L4)이 형성되어 있고, 각 직렬 배관 계통(L1∼L4)의 최상류의 왕로측 접속부(5e)는, 병렬 분배부(「헤더관」이라고도 말함)(252)로부터 분기되는 4개의 지관(252a) 각각에 접속되어 있다[도 8의 (a), 도 10 참조]. 또한, 각 직렬 배관 계통(L1∼L4)의 최하류의 귀로측 접속부(5f)는, 병렬 합류부(253)로부터 분기되는 4개의 지관(253a) 각각에 접속되어 있다[도 9의 (b), 도 10 참조]. 병렬 분배부(252)는, 열매체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열원(H)과의 사이에서 배관(100a)[도 8의 (a) 참조]을 통해 접속되어 있고, 열원(H)으로부터 보내온 열매체를 각 직렬 배관 계통(L1∼L4)에 균등하게 분배한다. 또한, 병렬 합류부(253)는, 열원(H)과의 사이에서 배관(100b)[도 8의 (a) 참조]을 통해 접속되어 있고, 각 직렬 배관 계통(L1∼L4)으로부터 배출된 열매체를 집약시켜 열원(H)으로 복귀시킨다.
병렬 분배부(252) 및 병렬 합류부(253)에 대해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병렬 분배부(252)와 병렬 합류부(253)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도 11의 (a) 및 (b)를 참조하여 병렬 분배부(252)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병렬 합류부(253)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병렬 분배부(252)는, 열원(H)에 이어지는 배관(100b)을 접속하기 위한 통 형상의 조인트관(252g)과, 조인트관(252g)을 통해 열매체를 받아들이는 본체관(252f)과, 본체관(252f)으로부터 분기되어 본체관(252f)에 도입된 열매체를 각 직렬 배관 계통(L1∼L4)에 분배하는 복수의 지관(252a)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관(252f)의 한쪽의 단부는 폐쇄되어 있고, 다른쪽의 단부에는 조인트관(252g)이 설치되어 있다. 조인트관(252g)은 배관(100a)에 삽입되어 장착되어 있고, 또한, 조인트관(253g)과 배관(100a) 사이에는, 시일을 위한 2개의 O링(252e)이 끼워져 있다.
지관(252a)은,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지관(252a)은, 그 외주에 빠짐 방지용의 걸림부(252x)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열매체 유통관(5)이 지관(252a)에 접속된 상태에서, 열매체 유통관(5)과 지관(252a)의 접속 부분은, 빠짐 방지를 위해 외측으로부터 체결되는 환형 밴드(256)가 부착되어 있다. 밴드(256)에 의해, 열매체 유통관(5)과 지관(252a)이 보다 견고하게 접속되기 때문에, 열매체 유통관(5)으로부터 지관(252a)이 빠져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열매체 유통관(5)과 지관(252a)의 접속 부분으로부터의 누수를 더욱 더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이상, 병렬 분배부(252)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병렬 합류부(253)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병렬 분배부(252) 및 병렬 합류부(253)는, 예컨대 금속제 관이나 수지제 관 등의 여러 가지 재료로 구성된 관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병렬 분배부(252) 및 병렬 합류부(253)는 브릿지(3)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브릿지(3)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만약 병렬 분배부(252) 및 병렬 합류부(253)가 브릿지(3)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 패널(4)의 요동은, 열매체 유통관(5)의 직렬 배관 계통(L1∼L4)측의 휨이나 비틀림만으로 흡수되어야 할 필요가 있어, 그만큼 열매체 유통관(5)의 왕로측 연장부(5c)나 귀로측 연장부(5d)를 길게 하는 등의 고안이 필요하다.
한편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복사 패널 장치(1)에서는, 병렬 분배부(252) 및 병렬 합류부(253)가 브릿지(3)에 직접 고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브릿지(3)에 대하여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병렬 분배부(252) 및 병렬 합류부(253)가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열매체 유통관(5)의 비틀림 흡수만으로는 완전히 흡수할 수 없는 비틀림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비틀림에 기인하는 패널(4)의 요동에 따른 열매체 유통관(5)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열매체 유통관(5)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일 수 있어, 패널(4)의 요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음에, 하나의 패널(4)을 요동시켰을 때의 각 부재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나의 패널(4)[예컨대, 도 7의 가장 왼쪽의 패널(4)]을 요동시키면, 하나의 패널(4)에 부착된 회전 기구(25)의 축관(17)이 브릿지(3)에 대하여 축선(Sf)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하나의 패널(4)에 연결된 연결 브래킷(15)이 축선(Sf)를 중심으로 요동하고, 그 연결 브래킷(15)의 양단에 마련된 핀(13)도 요동하며, 그 결과, 플레이트(12)가 좌우 방향으로 평행 이동한다.
플레이트(12)의 이동에 따라, 하나의 패널(4) 이외의 다른 패널(4)에 연결된 연결 브래킷(15)이, 하나의 패널(4)의 연결 브래킷(15)과 같은 방향으로 요동하고, 그에 따라, 다른 패널(4)에 부착된 축관(17)이 상기 하나의 패널(4)의 축관(17)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그 외의 패널(4)이 상기 하나의 패널(4)과 같은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패널(4)을 요동시키면, 그에 연동하여 다른 패널(4)이 모두 같은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복사 패널 장치(1)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패널(4)을 유지하는 브릿지(3)를 구비하고, 브릿지(3)는 패널(4)의 상단(한쪽의 단부)과 대향하는 위치에 관통공(3c)을 갖는다. 관통공(3c)에는 회전 기구(25)의 축관(17)이 관통되어 있고, 회전 기구(25)는, 캡(30)을 통해 패널(4)의 상단으로부터 브릿지(3)에 걸쳐 설치되어, 브릿지(3)에 대하여 축관(17)의 축선(Sf)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패널(4)을 지지하고 있다. 열매체 유통관(5)은 패널(4)로부터 돌출되는 한쌍의 연장부(5c, 5d)를 가지고, 한쌍의 연장부(5c, 5d)는 축관(17)의 내부를 관통하여 관통공(3c)을 통과함으로써, 축관(17)의 축선(Sf)에 대한 대칭 위치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축관(17)의 축선(Sf)을 중심으로 하여 패널(4)을 요동시키는 경우, 한쌍의 연장부(5c, 5d)는, 축관(17) 내에서 서로의 위치 관계가 유지된 상태로 축선(Sf) 둘레로 이동한다. 그 결과, 패널(4)의 요동에 따라 연장부(5c, 5d)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거나 혹은 연장부(5c, 5d)가 축선(Sf)으로부터 이격되거나 하는 것이 방지되어, 한쌍의 연장부(5c, 5d)의 축선(Sf)에 대한 위치 관계는 패널(4)을 요동시켜도 유지된다.
또한, 복사 패널 장치(1)에서는, 복수의 패널(4) 각각으로부터 돌출되는 연장부(5c, 5d)의 선단부로서, 다른 패널(4)의 연장부(5c, 5d)에 연결되는 접속부(5e, 5f)를 구비하고, 접속부(5e, 5f)에는, 다른 패널(4)로부터 돌출되는 연장부(5c, 5d)의 접속부(5e, 5f) 중에서 축선(Sf)에 대하여 동일한 쪽으로부터 돌출된 연장부(5c, 5d)의 접속부(5e, 5f)가 접속된다. 즉,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패널(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각 회전 기구(25)에 대하여 동일한 쪽으로부터 돌출되는 연장부(5c, 5d)끼리 접속되고, 이에 의해 패널(4) 사이에서 열매체 유통관(5)의 복수의 직렬 배관 계통(L1∼L4)이 형성된다. 따라서, 서로 접속되는 연장부(5c, 5d)끼리의 간격과, 쌍방의 연장부(5c, 5d)가 관통되는 각 축관(17)의 축선(Sf)끼리의 간격이 일치하고, 이 간격을 유지한 채로 패널(4)이 요동하게 된다. 그 결과, 서로 접속되는 연장부(5c, 5d)끼리의 간격이 패널(4)의 요동에 따라 넓어지거나 좁아지거나 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패널(4)의 회전 불량을 방지할 수 있어, 패널(4)을 원활하게 요동시킬 수 있다.
또한, 열매체 유통관(5)의 한쌍의 연장부(5c, 5d)가 축관(17)의 내부를 통과하고 있으므로, 패널(4)의 요동에 따른 열매체 유통관(5)의 이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패널(4)의 요동 시에 열매체 유통관(5)에 대한 부하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열매체 유통관(5)을 축관(17) 내에서 보온할 수도 있다.
또한, 회전 기구(25)는, 축관(17) 내에서 각 연장부(5c, 5d)의 축선(Sf)에 근접 이격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한 상태로 유지하기 때문에, 연장부(5c, 5d)가 축관(17) 내에서 축선(Sf)에 대하여 대칭이 되는 상태로 구속되어 있어서, 패널(4)을 요동시켜도 연장부(5c, 5d)끼리의 위치의 어긋남이 축관(17) 내에서 생기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패널(4)의 원활한 요동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연장부(5c, 5d)의 축선(Sf)에 근접 이격하는 방향이란, 연장부(5c, 5d)가 축선(Sf)에 근접하는 방향, 그리고 연장부(5c, 5d)가 축선(Sf)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축관(17)은, 캡(30)을 통해 패널(4)의 상단에 고정되는 동시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공(3c)에 회전 가능하게 느슨하게 감입되어 브릿지(3)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회전 기구(25)는, 축관(17)의 브릿지(3)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설치되는 동시에, 축관(17)으로부터 내뻗어 브릿지(3)에 걸어 맞추는 계합부(11)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축관(17)이 패널(4)의 한쪽의 단부에 고정되고, 그 축관(17)은 패널(4)과 함께 브릿지(3)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패널(4)의 요동에 따라 축관(17) 내에서 구속된 열매체 유통관(5)의 연장부(5c, 5d)도 요동하게 되어, 패널(4)의 요동에 따른 열매체 유통관(5)의 비틀림을 줄일 수 있어, 패널(4)을 보다 원활하게 요동시키기에 효과적이다.
또한, 축관(17)의 내주는, 축선(Sf)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 형상이 비원형이기 때문에, 축관(17)의 부착 시에 브릿지(3)에 대한 회전 위치가 정해지게 되어, 패널(4)의 브릿지(3)에 대한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복사 패널 장치(1)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회전 기구(25)를 연결하는 링크 기구(28)를 구비하기 때문에, 복수의 패널(4) 각각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회전 기구(25)가 링크 기구(28)에 의해 연결된다. 이 때문에, 하나의 패널(4)을 요동시키면, 회전 기구(25)의 회전 및 링크 기구(28)의 요동에 따라, 다른 패널(4)이 상기 하나의 패널(4)과 동일한 양만큼 요동하게 된다. 이 결과, 연장부(5c, 5d) 사이의 간격이 보다 엄밀하게 유지되게 되어 회전 불량을 보다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링크 기구(28)는, 복수의 회전 기구(25)에 연결되고, 또한 축선(Sf) 둘레로 축관(17)과 일체로 요동하는 복수의 연결 브래킷(15)과, 연결 브래킷(1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또한 이웃하는 연결 브래킷(15)에 걸쳐 연장되는 플레이트(12)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플레이트(12)의 연장 방향에 대한 각 패널(4)의 각도를 서로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정확하게 각 패널(4)을 동일한 방향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복사 패널 장치(1)는, 복수의 열매체 유통관(5)끼리 접속부(5e, 5f)에서 접속됨으로써 형성되는 직렬 배관 계통(L1∼L4)을 구비하고, 열원(H)과 직렬 배관 계통(L1∼L4) 사이에서 직렬 배관 계통(L1∼L4) 각각에 열매체를 분배하는 병렬 분배부(252)와, 열원(H)과 직렬 배관 계통(L1∼L4) 사이에서 직렬 배관 계통(L1∼L4) 각각으로부터 배출되는 열매체를 집약하는 병렬 합류부(253)를 구비하며, 병렬 분배부(252) 및 병렬 합류부(253)는 패널(4)의 회전에 따라, 예컨대 도 8 및 도 9의 화살표(Y)와 같이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직렬 배관 계통(L1∼L4)은, 패널(4)의 요동에 따라 약간 도 8 및 도 9의 화살표(X)와 같이 열매체 유통관(5)의 축 둘레로 비틀어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복사 패널 장치(1)에서는, 병렬 분배부(252) 및 병렬 합류부(253)가 휘어져 열매체 유통관(5)의 비틀림이 허용되기 때문에, 열매체 유통관(5)의 비틀림에 대하여 저항력이 부여됨에 따른 패널(4)의 회전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도 12를 참조하여,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복사 패널 장치(1A)에 대해서 설명한다. 복사 패널 장치(1A)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복사 패널 장치(1)의 주된 차이점은, 계합부(11)와 브릿지(3) 사이에 베어링(223) 및 베어링 받이(222)를 갖춘 완충 부재(227)를 설치한 것이며, 그 외의 구성은 복사 패널 장치(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공통되는 구조나 요소에 관해서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복사 패널 장치(1A)에서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베어링 받이(222) 및 베어링(223)은, 평면에서 보아 외형이 원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223) 및 베어링 받이(222)는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 열이 전달되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베어링 받이(222)는, 베어링(223)의 밑에서, 관통공(3c)에 감입되도록 하여 브릿지(3)에 장착된다. 베어링 받이(222)에는, 축관(17)이 느슨하게 감입되는 관통공(222a)이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223)은, 원환형의 스러스트 볼 베어링이며, 연결 브래킷(15)과 베어링 받이(222)에 끼워지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223) 및 연결 브래킷(15)의 부착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복사 패널 장치(1)와 마찬가지로, 고정 부재(24)로 압입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고정 부재(24)는 계합부에 상당한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나의 패널(4)을 요동시키면, 하나의 패널(4)에 부착된 회전 기구(25)의 축관(17)이 브릿지(3)에 대하여 축선(Sf)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패널(4)에 연결된 연결 브래킷(15), 핀(13) 및 플레이트(12)가 축선(Sf)를 중심으로 요동하고, 하나의 패널(4) 이외의 다른 패널(4)이, 상기 하나의 패널(4)과 동일한 방향으로 요동한다. 즉, 하나의 패널(4)을 요동시키면, 그것에 연동하여 다른 패널(4)이 모두 같은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상, 복사 패널 장치(1A)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복사 패널 장치(1)와 동일한 효과에 더하여, 베어링(223)을 구비함으로써, 회전 기구(25)를 브릿지(3)에 대하여 보다 원활하게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패널(4)을 보다 원활하게 요동시킬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다음에,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복사 패널 장치(1B)에 대해서 설명한다. 복사 패널 장치(1B)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복사 패널 장치(1)의 주된 차이점은, 패널(4)에 고정되는 축관(17) 대신에 브릿지(3)에 고정되는 축관(517)이 설치된 점, 링크 기구(528)가 브릿지(3)의 하부에 설치되어 패널(4)을 연결시키는 점, 그리고 회전 기구(525)와 캡(530)의 구조가 일부 상이한 점이며, 복사 패널 장치(1B)의 그 외의 구성은 복사 패널 장치(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공통되는 구조나 요소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복사 패널 장치(1)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축관(517)은, 브릿지(3)의 관통공(3c)에 감입되는 원통형의 본체관(517c)과, 본체관(517c)의 상단으로부터 내뻗어 브릿지(3)의 상면에 접촉하는 플랜지(517a)를 갖는다. 본체관(517c) 내에는, 열매체 유통관(5)의 왕로측 연장부(5c) 및 귀로측 연장부(5d)가 나란히 관통되어 있다. 한편, 패널(4)의 상단인 캡(530)에는 볼 베어링(523)이 나사 고정되어 있고, 패널(4)은 볼 베어링(523)을 통해 축관(517)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축관(517) 및 볼 베어링(523)은 회전 기구(525)이다. 즉, 회전 기구(525)는, 브릿지(3)에 대하여 축관(517)의 축선(Sf)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패널(4)을 지지하고 있다.
제3 실시형태의 링크 기구(528)는, 패널(4)의 상단(4a)에 부착되는 캡(530)과, 캡(5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웃하는 캡(530) 사이에 걸쳐 연장되는 플레이트(512)와, 캡(530)과 플레이트(512)를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접속하는 복수의 핀(513)을 구비하고 있다. 플레이트(512)는, 핀(513)을 통해, 복수의 캡(530)과 각각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캡(530)에는, 축선(Sf)에 대하여 서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핀(513)이 삽입 관통되는 구멍부(531d)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캡(530)은, 복수의 회전 기구(525)에 설치되고, 또한 축선(Sf)을 지점으로 요동하는 연결 브래킷에 상당한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복사 패널 장치(1)에 따라, 하나의 패널(4)을 요동시키면, 그 패널(4)의 요동에 따라 캡(530)이 축선(Sf)를 중심으로 요동한다. 그 결과, 플레이트(512)가 평행 이동하여 다른 패널(4)에 부착된 캡(530)에 작용하여, 모든 패널(4)이 연동하여 같은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상, 복사 패널 장치(1B)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복사 패널 장치(1)와 동일한 효과에 더하여, 회전 기구(525)에 볼 베어링(523)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브릿지(3)에 대하여 보다 원활하게 패널(4)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서 각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복사 패널 장치는, 각 청구항에 기재된 요지를 변경하지 않도록 실시형태에 따른 복사 패널 장치를 변형, 또는 다른 것에 적용한 것이어도 좋다. 구체적으로, 예컨대, 도 5에 나타내는 스페이서(23)의 하면 및 스페이서 받이(22)의 상면에 방사상으로 넓어지는 U자 형상 단면의 요철을 형성하고, 이들 요철부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구성되는 클릭 기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클릭 기구를 구비하는 경우, 모든 패널(4)을 브릿지(3)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예컨대, 30도, 45도, 또는 60도)만큼 회전시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클릭 기구를 설치하는 위치는 상기 스페이서 받이(22) 및 스페이서(23)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위치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연결 브래킷 또는 캡의 양단에 핀 및 플레이트가 설치된 링크 기구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종류의 링크 기구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연결 브래킷 또는 캡의 한쪽에만 핀 및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패널에 수용되는 열매체 유통관에 대해서, 패널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측으로 연장되는 왕로 및 귀로와, 왕로 및 귀로를 패널의 타단측으로부터 U자 형상으로 연결시키는 U자부를 구비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열매체 유통관을 패널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관통시키고, 패널의 상단측에 병렬 분배부를 구비하며, 패널의 하단측에 병렬 합류부를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열매체 유통관, 브릿지, 병렬 분배부, 및 병렬 합류부를 패널의 하단측에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사 패널 장치를 설치하는 건물로서는, 예컨대 단독 주택이나 집합 주택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사무소 빌딩이나 공공 건물에 본 발명에 따른 복사 패널 장치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1…복사 패널 장치
3…브릿지
3c…관통공 4…패널
5…열매체 유통관 5a…왕로측 수용부(수용부)
5b…귀로측 수용부(수용부) 5c…왕로측 연장부(연장부)
5d…귀로측 연장부(연장부) 5e…왕로측 접속부(접속부)
5f…귀로측 접속부(접속부) 11…계합부
12, 512…플레이트 15…연결 브래킷
17, 517…축관 25, 525…회전 기구
227…완충 부재 28, 528…링크 기구
252…병렬 분배부 253…병렬 합류부
H…열원 L1∼L4…직렬 배관 계통
Sf…축선
3c…관통공 4…패널
5…열매체 유통관 5a…왕로측 수용부(수용부)
5b…귀로측 수용부(수용부) 5c…왕로측 연장부(연장부)
5d…귀로측 연장부(연장부) 5e…왕로측 접속부(접속부)
5f…귀로측 접속부(접속부) 11…계합부
12, 512…플레이트 15…연결 브래킷
17, 517…축관 25, 525…회전 기구
227…완충 부재 28, 528…링크 기구
252…병렬 분배부 253…병렬 합류부
H…열원 L1∼L4…직렬 배관 계통
Sf…축선
Claims (8)
- 장척형인 편평한 복수의 패널과,
상기 패널 내에 수용되는 부분을 가지고, 열원과의 사이에서 순환하는 열매체의 통과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패널에 복사능을 부여하는 열매체 유통관과,
상기 복수의 패널을 소정의 간격으로 나란히 한 상태로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패널의 한쪽의 단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관통공을 갖는 브릿지와,
상기 관통공에 관통된 축관을 가지며, 상기 패널의 한쪽의 단부로부터 상기 브릿지에 걸쳐 설치되어, 상기 브릿지에 대하여 상기 축관의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패널을 지지하는 회전 기구
를 구비하는 복사 패널 장치로서,
상기 열매체 유통관은,
상기 패널 내에서 되접어 꺽이며, 상기 패널의 한쪽의 단부측을 출입구로 하는 왕복의 통과 경로를 형성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단부에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축관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관통공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축관의 축선에 대한 대칭 위치로부터 돌출되는 한쌍의 연장부와,
상기 복수의 패널 각각으로부터 돌출되는 연장부의 선단부로서, 다른 패널의 연장부에 연결되는 접속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부에는, 다른 패널로부터 돌출되는 연장부의 접속부 중에서 상기 축관의 축선에 대하여 동일한 쪽으로부터 돌출된 연장부의 접속부가 접속되어 있는 것인 복사 패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구는, 상기 축관 내에서 각각의 상기 연장부의 상기 축선에 근접 이격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 패널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관은, 상기 패널의 한쪽의 단부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관통공에 회전 가능하게 느슨하게 감입되어 상기 브릿지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축관의 상기 브릿지로부터 돌출된 부분 쪽에, 상기 축관을 상기 브릿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계합부(係合部)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 패널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구는, 상기 계합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브릿지와 상기 계합부 사이에서 생기는 마찰 저항을 줄이는 완충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 패널 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관의 내주는, 상기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 형상이 비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 패널 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회전 기구 또는 상기 패널을 연결하는 링크 기구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 패널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복수의 회전 기구에 연결되며, 또한 상기 축선 둘레로 상기 축관과 일체로 요동하는 복수의 연결 브래킷과, 상기 연결 브래킷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이웃하는 상기 연결 브래킷 사이에 걸쳐 연장되는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 패널 장치.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열매체 유통관끼리가 상기 접속부에서 접속됨으로써 형성되는 직렬 배관 계통을 복수 구비하고,
상기 열원과 상기 직렬 배관 계통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직렬 배관 계통 각각에 열매체를 분배하는 병렬 분배부와,
상기 열원과 상기 직렬 배관 계통 사이에서 상기 복수의 직렬 배관 계통 각각으로부터 배출되는 열매체를 집약하는 병렬 합류부
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병렬 분배부와 상기 병렬 합류부는, 상기 패널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 패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2-257876 | 2012-11-26 | ||
JP2012257876 | 2012-11-26 | ||
PCT/JP2013/081784 WO2014081038A1 (ja) | 2012-11-26 | 2013-11-26 | 輻射パネル装置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88790A true KR20150088790A (ko) | 2015-08-03 |
Family
ID=50776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12257A KR20150088790A (ko) | 2012-11-26 | 2013-11-26 | 복사 패널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6193259B2 (ko) |
KR (1) | KR20150088790A (ko) |
CN (1) | CN104822994B (ko) |
TW (1) | TWI615588B (ko) |
WO (1) | WO201408103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424534B (zh) * | 2019-06-20 | 2022-04-29 | Futaeda株式会社 | 辐射面板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048375A (en) * | 1960-12-19 | 1962-08-07 | Radiant Ceilings Inc | Means for controlling radiant heat loss or gain |
DE4136933A1 (de) * | 1991-11-11 | 1993-05-13 | Hewing Gmbh | Waermetauscher |
DE20014519U1 (de) * | 2000-08-21 | 2001-02-08 | Kermi Gmbh, 94447 Plattling | Heizkörper mit mittigem Anschluß |
WO2003012357A2 (en) * | 2001-07-20 | 2003-02-13 | Alma Technology Co., Ltd. | Heat exchanger assembly and heat exchange manifold |
JP4810290B2 (ja) * | 2006-04-19 | 2011-11-09 | 旭化成ホームズ株式会社 | 冷却パネル |
JP5394114B2 (ja) * | 2009-04-09 | 2014-01-22 | 旭化成ホームズ株式会社 | 輻射パネル装置 |
JP5394115B2 (ja) * | 2009-04-09 | 2014-01-22 | 旭化成ホームズ株式会社 | 輻射パネル装置 |
JP5436273B2 (ja) * | 2010-03-04 | 2014-03-05 | 旭化成ホームズ株式会社 | 輻射パネル装置 |
JP2011231982A (ja) * | 2010-04-28 | 2011-11-17 | Tonami Kiden Kogyo Kk | 冷暖房用などのパネル |
JP2012184862A (ja) * | 2011-03-03 | 2012-09-27 | Toyota Home Kk | 建物 |
JP2012242070A (ja) * | 2011-05-24 | 2012-12-10 | Asahi Kasei Homes Co | 輻射パネル装置 |
JP5779447B2 (ja) * | 2011-08-17 | 2015-09-16 | 旭化成ホームズ株式会社 | 輻射パネル装置 |
JP5823775B2 (ja) * | 2011-08-17 | 2015-11-25 | 旭化成ホームズ株式会社 | 輻射パネル装置 |
CN202630262U (zh) * | 2012-03-03 | 2012-12-26 | 万建红 | 重力循环空调末端装置 |
-
2013
- 2013-11-26 JP JP2014548634A patent/JP619325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11-26 CN CN201380061698.1A patent/CN104822994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11-26 KR KR1020157012257A patent/KR2015008879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3-11-26 WO PCT/JP2013/081784 patent/WO201408103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11-26 TW TW102143153A patent/TWI615588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822994B (zh) | 2017-09-26 |
TW201430296A (zh) | 2014-08-01 |
JP6193259B2 (ja) | 2017-09-06 |
WO2014081038A1 (ja) | 2014-05-30 |
JPWO2014081038A1 (ja) | 2017-01-05 |
CN104822994A (zh) | 2015-08-05 |
TWI615588B (zh) | 2018-0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79447B2 (ja) | 輻射パネル装置 | |
US5299840A (en) | In-line pressure balanced universal expansion joint | |
KR102105946B1 (ko) | 플레이트형 열교환기 및 플레이트형 열교환기에 다중 패스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 | |
JP4810290B2 (ja) | 冷却パネル | |
KR20160124701A (ko) | 열교환장치 | |
KR20150088790A (ko) | 복사 패널 장치 | |
JP5394115B2 (ja) | 輻射パネル装置 | |
RU2677916C1 (ru) | H-образный узел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радиатора с трубопроводами | |
EP3009749A1 (en) | Radiation panel device | |
JP5823775B2 (ja) | 輻射パネル装置 | |
JP2016050634A (ja) | 液状流体配管接合部用自在継手 | |
JP5496711B2 (ja) | 輻射パネル装置及び輻射パネル材 | |
JP2007017080A (ja) | 空調システム及び分岐ダクト | |
CZ27464U1 (cs) | Teplosměnná trubka | |
JP2012242070A (ja) | 輻射パネル装置 | |
JP5718187B2 (ja) | 輻射パネル装置 | |
JP5689241B2 (ja) | 輻射パネル材 | |
CN108443699A (zh) | 低温卧式储罐 | |
KR102045146B1 (ko) | 온수 배관 유닛 | |
KR20140123271A (ko) | 열혼합 인라인 히터 | |
KR20090004784U (ko) | 히트파이프 헤더 | |
KR20160015549A (ko) | 열교환기 | |
JPH0567874B2 (ko) | ||
CN205748058U (zh) | 一种加热器 | |
KR101732651B1 (ko) | 배관 연결 모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