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8200A - 촬상 장치, 촬상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촬상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8200A
KR20150088200A KR1020150010600A KR20150010600A KR20150088200A KR 20150088200 A KR20150088200 A KR 20150088200A KR 1020150010600 A KR1020150010600 A KR 1020150010600A KR 20150010600 A KR20150010600 A KR 20150010600A KR 20150088200 A KR20150088200 A KR 20150088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cquisition
acquiring
acquired
ti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유키 가토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88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82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4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04N1/2129Recording in, or reproducing from, a specific memory area or areas, or recording or reproducing at a specific moment
    • H04N1/2133Recording or reproducing at a specific moment, e.g. time interval or time-lap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04N1/2137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with temporary storage before final recording, e.g. in a frame buffer
    • H04N5/225
    • H04N5/2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CPU(21)는, 인터벌 촬영의 기록 타이밍 중에, 정지화상 기록 개시의 사용자 지시 조작(셔터 버튼 누름)이나 동영상 기록 개시의 사용자 지시 조작(REC 버튼 누름)이 발생하고, 이것을 검출하면, 인터벌 촬영에 의한 기록을 중단하지 않고, 사용자 지시 조작에 따라, 촬상부(11)에 의해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을 기록한다. 또한, CPU(21)는, 인터벌 촬영에 의해 기록된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과 사용자 지시 조작 검출에 의해 기록된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을, 인터벌 촬영의 소재로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관리 가능하게 외부 메모리(18)에 보존한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촬상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IMAGING APPARATUS, IMAGING CONTROL METHOD AND PROGRAM}
본 발명은, 촬상(撮像) 장치, 촬상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일본 공개특허 제2005―286551호 공보에 개시된, 인터벌 촬영 기능을 가지는 촬상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인터벌 촬영 기능은, 장기간의 관찰이나 감시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일반적으로 「어떤 조건」을 만족시키기까지는, 그 기능은 계속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경우의 「어떤 조건」이란, 화상 메모리의 용량이 가득차 다른 촬영을 할 수 없거나,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기초하여 촬영 기능이 캔슬되었거나 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5―286551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예를 들면, 인터벌 촬영 기능이 동작하고 있는 동안은, 그 이외의 촬영 모드는 실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촬상 수단과, 미리 설정된 타이밍에서 반복하여 상기 촬상 수단을 구동시켜 화상을 취득하는 제1 취득 수단과, 상기 제1 취득 수단에서의 취득 처리를 유지하면서, 임의의 타이밍에서 지시를 받음으로써, 상기 촬상 수단을 구동시켜 화상을 취득하는 제2 취득 수단과, 상기 제1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과, 상기 제2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임의의 타이밍과 상기 미리 설정된 타이밍이 중첩((coincide)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과,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수단에 대한 촬상의 제어, 및 상기 제2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의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의 제어 중 적어도 한쪽을 행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이다.
본 발명은, 촬상 수단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의 촬상 제어 방법으로서, 미리 설정된 타이밍에서 반복하여 상기 촬상 수단을 구동시켜 화상을 취득하는 제1 취득 단계와, 상기 제1 취득 단계에서의 취득 처리를 유지하면서, 임의의 타이밍에서 지시를 받음으로써, 상기 촬상 수단을 구동시켜 화상을 취득하는 제2 취득 단계와, 상기 제1 취득 단계에 의해 취득된 화상과, 상기 제2 취득 단계에 의해 취득된 화상을 기억하는 기억 단계와, 상기 임의의 타이밍과 상기 미리 설정된 타이밍이 중첩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와, 상기 판단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수단에 대한 촬상의 제어, 및 상기 제2 취득 단계에서 취득된 화상의 기억의 제어 중 적어도 한쪽을 행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제어 방법이다.
본 발명은, 촬상 수단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의 컴퓨터를, 미리 설정된 타이밍에서 반복하여 상기 촬상 수단을 구동시켜 화상을 취득하는 제1 취득 수단, 상기 제1 취득 수단에서의 취득 처리를 유지하면서, 임의의 타이밍에서 지시를 받음으로써, 상기 촬상 수단을 구동시켜 화상을 취득하는 제2 취득 수단, 상기 제1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과, 상기 제2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 상기 임의의 타이밍과 상기 미리 설정된 타이밍이 중첩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수단에 대한 촬상의 제어, 및 상기 제2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의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의 제어 중 적어도 한쪽을 행하는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하게 하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1)의 인터벌 촬영 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1)의 인터벌 촬영 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1)의 인터벌 촬영 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전술한 인터벌 동영상/정지화상 자동 전환 촬영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촬상 장치(1)의 외부 메모리(18)의 폴더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촬상 장치(1)에 의한 재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A. 실시형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두부(頭部) 장착형의 촬상 장치(1)는, 통신 제어부(10), 촬상부(撮像部)(11), 화상 처리부(14), 가속도 센서(15), 적외 센서(16),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회로(17), 외부 메모리(18), 플래시 메모리(19),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Memory)(20), CPU(Central Processing Unit)(21), 키 조작부(22), 음성 제어부(23), 스피커(24), 마이크(25), 전원(배터리)(26), 및 전원 제어부(27)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 제어부(10)는, 촬상된 화상 데이터(정지화상, 동영상)를, 인터넷 상의 서버나, 인터넷을 통하여 개인의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 등에 전송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10)는, 라이브 뷰 화상이나, 녹화 중인 화상 등을, 피투피(peer-to-peer)로 외부의 재생 표시 장치에도 전송 가능하다.
촬상부(11)는, 광학 렌즈군으로 이루어지는 렌즈 블록(12)과,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13)를 구비하고 있다.
촬상 소자(13)는, 렌즈 블록(12)으로부터 들어간 화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화상 처리부(14)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화상 처리(화소 보간 처리, γ보정, 휘도 색차 신호의 생성, 화이트 밸런스 처리, 노출 보정 처리 등), 화상 데이터의 압축·신장(伸張)(예를 들면, JPEG 형식이나 Motion―JPEG 형식 또는 MPEG 형식의 압축·신장)을 실행한다.
가속도 센서(15)는, 사용자의 두부의 움직임에 연동하는 상기 촬상 장치(1)의 동작을 검출한다.
CPU(21)는, 가속도 센서(15)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기 촬상 장치(1)가 고정(삼각대)인지 손으로 파지하고 있는 것인지, 또한 손떨림의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적외 센서(16)는, 피사체의 동작을 검출한다.
CPU(21)는, 촬상 소자(13)에 의해 촬상된 화상 또는 적외 센서(16)의 검출 결과로부터 피사체의 동작을 검출한다.
GPS 회로(17)는, 상기 두부 장착형의 촬상 장치(1)의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GPS 회로(17)에 의해 취득된 위치 정보는, 예를 들면, 인터벌 촬영의 촬영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외부 메모리(18)는, 착탈 가능한 기록 매체이며, 촬상부(11)에 의해 촬상된 화상 데이터 등을 보존한다.
플래시 메모리(19)는, 촬상부(11)에 의해 촬상된 화상 데이터 등을 보존하여 두는 기록 매체이다.
SDRAM(20)은, 촬상부(11)에 의해 촬상된 후, CPU(21)에 보내져 온 화상 데이터를 일시 기억하는 버퍼 메모리로서 사용되고, 또한 CPU(21)의 워킹 메모리로서 사용된다.
CPU(21)는, 두부 장착형의 촬상 장치(1)의 각 부를 제어하는 원칩 마이크로컴퓨터이다.
상기 CPU(21)는, 인터벌 촬영 시에, 인터벌 트리거에 따라, 소정 시간 간격으로, 모션 블러(motion blur), 화각 흔들림(camera shake)의 발생 상황에 따라서 정지화상 촬영과 동영상 촬영과 선택적으로 전환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CPU(21)는, 인터벌 촬영 중에, 정지화상 기록 개시의 사용자 지시 조작[셔터 버튼 누름(pressing)]이나 동영상 기록 개시의 사용자 지시 조작(REC 버튼 누름)이 발생하고, 이것을 검출하면, 인터벌 촬영을 중단하지 않고,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도 촬영을 개시한다.
또한, 정지화상 기록 개시의 사용자 지시 조작(셔터 버튼 누름)이나 동영상 기록 개시의 사용자 지시 조작(REC 버튼 누름)을 검출했을 때, 이들 검출 타이밍이 인터벌 촬영 타이밍과 중첩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지시 조작에 따라 기록한 정지화상이나 동영상을, 통상의 촬영과 마찬가지로 보존하는 동시에, 인터벌 촬영의 소재로서도 이용 가능하게 보존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상의 촬영의 경우에는, 외부 메모리(18)의 표준 폴더에 보존하고, 인터벌 촬영의 소재로서도 이용하는 경우에는, 외부 메모리(18)의 인터벌 전용 폴더에 보존한다.
또한, CPU(21)는, 피사체 흔들림의 발생 상황에 따라서 정지화상 촬영과 동영상 촬영과 선택적으로 전환할 때는, 가속도 센서(15)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기 촬상 장치(1)가 삼각대 등으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인지, 촬영자의 손으로 파지(把持)하고 있는지, 즉 삼각대 등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또한, CPU(21)는, 가속도 센서(15)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기 촬상 장치(1)의 요동의 정도를 판정한다.
또한, CPU(21)는, 촬상 소자(13)에 의해 촬상된 화상의 프레임 비교 결과 또는 적외 센서(16)의 검출 결과로부터, 피사체가 움직이고 있는지 정지하고 있는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CPU(21)는, 상기 촬상 장치(1)가 삼각대 등으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인지의 여부, 촬상 장치(1)의 요동의 정도, 또한 피사체가 움직이고 있는지 정지하고 있는지에 기초하여, 인터벌 촬영에 기초한 촬상·기록 내용으로서, 동영상(예를 들면, 5초의 쇼트 무비), 또는 정지화상(고감도/고속 셔터) 중 어느 쪽으로 할 것인지를 선택하여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CPU(21)는, 정지화상을 촬영하여 기록할 때, 촬영 조건(고감도/고속 셔터)을 변경함으로써, 보다 손떨림이 없는 정지화상을 기록하게 되어 있다.
키 조작부(22)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따라, 동작 모드나, 촬영 개시, 일시 정지, 정지 등의 동작 지시 등을 입력한다.
음성 제어부(23)는, CPU(21)의 제어에 따라, 촬상 동영상 재생 시의 음성(알람 등)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스피커(24)로부터 출력하는 한편, 동영상 촬상 시에 마이크(25)에 의해 집음한 환경음을 디지털화하여 입수하는 전원(배터리)(26)은, 충전식의 2차 전지이다.
전원 제어부(27)는, 전원(배터리)(26)의 출력 전압을 안정화하고, 각 부에 구동용 전력을 공급한다.
B. 실시형태의 동작
다음에, 전술한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촬상 장치(1)의 인터벌 촬영 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촬상 장치(1)에서는, 인터벌 촬영 모드로 설정되면, 소정 타이밍에서 인터벌 촬영의 트리거가 발생함으로써, 인터벌 촬영의 타이밍으로 된다.
트리거로서는, 시간 간격(예를 들면, 5분마다)에 의한 인터벌이나 GPS 정보에 의한 거리 간격(예를 들면, 1km마다) 등을 트리거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 외에, GPS 정보에 의한 지정의 영역 내에 위치한 경우, 또는 외부 기기(機器)로부터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신호를 받았을 경우 등, 다양한 자동 촬영하는 트리거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인터벌 촬영 모드에서는, 먼저, CPU(21)는, 정지화상 기록 개시의 사용자 지시 조작(셔터 버튼 누름)을 검출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
그리고, 인터벌 촬영 모드의 실행 중에, 정지화상 기록 개시의 사용자 지시 조작(셔터 버튼 누름)을 검출한 경우에는(단계 S10의 YES), CPU(21)는, 그 검출 시가 인터벌 촬영에 의한 기록 중인지의 여부, 즉 정지화상 기록 개시의 사용자 지시 조작 검출(셔터 버튼 누름)과 인터벌 촬영의 기록 타이밍이 중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2).
그리고, 지시 조작 검출(셔터 버튼 누름)과 인터벌 촬영의 기록 타이밍이 중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단계 S12의 YES), CPU(21)는, 그 시점에서 설정되어 있는 촬영 조건 하에서, 촬상부(11)에 의해 통상의 정지화상 촬영을 행한다(단계 S14).
다음에, CPU(21)는, 촬영한 정지화상을 외부 메모리(18)의 표준 폴더에 보존한다(단계 S16).
다음에, CPU(21)는, 촬영한 정지화상을 인터벌 촬영용으로 설정된 사이즈, 예를 들면, 2M 정도로 축소하고(단계 S18), 상기 축소한 정지화상을 외부 메모리(18)의 인터벌 전용 폴더에 보존한다(단계 S20).
즉, 인터벌 촬영 모드에 있어서, 정지화상 기록 개시의 사용자 지시 조작(셔터 버튼 누름) 검출이 인터벌 촬영의 기록 타이밍과 중첩되었던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촬영 처리는 통상의 정지화상 촬영으로서 설정된다.
촬영 후에는 정지화상을 외부 메모리(18)의 표준 폴더에 보존하는 동시에, 인터벌 촬영용으로 설정된, 2M 정도로 축소한 화상을 외부 메모리(18)의 인터벌 전용 폴더에 인터벌 촬영의 소재로서도 보존한다.
한편, 정지화상 기록 개시의 사용자 지시 조작(셔터 버튼 누름) 검출과 인터벌 촬영의 기록 타이밍이 중첩되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단계 S12의 NO), CPU(21)는, 그 시점에서 설정되어 있는, 통상의 정지화상 기록용으로 설정된 촬영 조건 하에서, 촬상부(11)에 의해 정지화상 촬영을 행하고(단계 S22), 그 정지화상을 외부 메모리(18)의 표준 폴더에 보존한다(단계 S24).
즉, 정지화상 기록 개시의 사용자 지시 조작(셔터 버튼 누름)의 검출이 인터벌 촬영에서의 기록 타이밍 이외에서 행해진 경우에는, 통상의 촬영과 마찬가지로, 촬영한 정지화상을 외부 메모리(18)의 표준 폴더에 보존한다.
단계 S20, S24가 종료하면, CPU(21)는, 사용자에 의한 인터벌 촬영의 종료 조작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6).
그리고, 인터벌 촬영의 종료 조작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단계 S26의 NO), 단계 S10으로 돌아온다.
한편, 인터벌 촬영 모드의 실행 중에, 정지화상 기록 개시의 사용자 지시 조작(셔터 버튼 누름)을 검출하지 않았던 경우에는(단계 S10의 NO), CPU(21)는, 동영상 기록 개시의 사용자 지시 조작(REC 버튼 누름)을 검출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8).
그리고, 인터벌 촬영 모드의 실행 중에, 동영상 기록 개시의 사용자 지시 조작(REC 버튼 누름)을 검출한 경우에는(단계 S28의 YES), CPU(21)는, 인터벌 촬영에서의 기록 중인지의 여부, 즉 동영상 기록 개시의 사용자 지시 조작(REC 버튼 누름) 검출과 인터벌 촬영의 기록 타이밍이 중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0).
그리고, 동영상 기록 개시의 사용자 지시 조작(REC 버튼 누름)의 검출과 인터벌 촬영의 기록 타이밍이 중첩되어 있는 경우에는(단계 S30의 YES), CPU(21)는, 인터벌 동영상/정지화상 자동 전환 촬영을 실행한다(단계 S32).
상기 인터벌 동영상/정지화상 자동 전환 촬영에서는, 모션 블러, 화각 흔들림의 발생 상황에 따라서, 정지화상으로서 촬영할 것인지 미리 정해진 시간을 기록한 동영상으로서 촬영할 것인지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처리이다.
다음에, CPU(21)는, 촬영한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을 외부 메모리(18)의 인터벌 전용 폴더에 보존한다(단계 S34). 또한, CPU(21)는, 기록한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을 외부 메모리(18)의 표준 폴더에 보존한다(단계 S36).
즉, 인터벌 촬영 모드에 있어서, 동영상 기록 개시의 사용자 지시 조작(REC 버튼 누름)의 검출이 인터벌 촬영의 촬영 타이밍과 중첩되었던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기록한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을 외부 메모리(18)의 인터벌 전용 폴더에 인터벌 촬영의 소재로서 보존하는 동시에, 통상의 동영상과 마찬가지로, 외부 메모리(18)의 표준 폴더에 보존한다.
한편, 동영상 기록 개시의 사용자 지시 조작(REC 버튼 누름)의 검출과 인터벌 촬영의 기록 타이밍이 중첩되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단계 S30의 NO), CPU(21)는, 그 시점에서 설정되어 있는 촬영 조건 하에서, 촬상부(11)에 의해 동영상을 촬영하고(단계 S38), 촬영한 동영상을 외부 메모리(18)의 표준 폴더에 보존한다(단계 S40).
즉, 동영상 기록 개시의 사용자 지시 조작(REC 버튼 누름)의 검출이 인터벌 촬영에서의 기록 타이밍 이외에서 행해진 경우에는, 통상의 촬영과 마찬가지로, 촬영한 동영상을 외부 메모리(18)의 표준 폴더에 보존한다.
단계 S36, S40이 종료하면, CPU(21)는, 사용자에 의한 인터벌 촬영의 종료 조작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도 2의 단계 S26). 그리고, 인터벌 촬영의 종료 조작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단계 S26의 NO), 단계 S10으로 돌아온다.
한편, 인터벌 촬영 모드의 실행 중에, 동영상 기록 개시의 사용자 지시 조작(REC 버튼 누름)의 검출이 없는 경우에는(단계 S28의 NO), CPU(21)는, 자동 촬영 인터벌 트리거가 검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2).
그리고, 자동 촬영 인터벌 트리거가 검출된 경우에는(단계 S42의 YES), CPU(21)는, 인터벌 동영상/정지화상 자동 전환 촬영을 실행한다(단계 S44).
다음에, CPU(21)는, 촬영한 정지화상 또는 쇼트 동영상을 외부 메모리(18)의 인터벌 전용 폴더에 보존한다(단계 S46).
즉, 인터벌 촬영 모드에 있어서, 인터벌 트리거가 있었을 경우, 바꾸어 말하면 인터벌 촬영 타이밍으로 된 경우에는, 촬영한 정지화상 또는 쇼트 동영상을 외부 메모리(18)의 인터벌 전용 폴더에 인터벌 촬영의 소재로서 보존한다.
그 후, 사용자에 의한 인터벌 촬영의 종료 조작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도 2의 단계 S26).
그리고, 인터벌 촬영의 종료 조작이 없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단계 S26의 NO), 단계 S10으로 돌아온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전술한 인터벌 동영상/정지화상 자동 전환 촬영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CPU(21)는, 가속도 센서의 정보로부터, 상기 촬상 장치(1)가 삼각대 등으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인지, 촬영자의 손으로 파지되어 있는지, 즉 삼각대 등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50).
그리고, 상기 촬상 장치(1)가 삼각대 등으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단계 S50에서 Yes), CPU(21)는, 촬상 소자(13)에 의해 촬상된 화상 또는 적외 센서(16)의 검출 결과로부터, 피사체(촬영 대상)가 움직이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4).
즉, 피사체의 동작의 값이 소정의 임계값(제2 임계값) 이상이면 이 피사체는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게 하고, 소정의 임계값(제2 임계값) 미만이면 이 피사체는 움직이고 있지 않은, 즉 정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게 하면 된다.
그리고, 피사체가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단계 S54에서 Yes), CPU(21)는, 촬상부(11)에 대하여, 5초간 촬상시키고, 이 촬상된 5초의 촬상 내용을 동영상으로서 보존한다(단계 S56).
이와 같이 촬상 및 기록함으로써, 손떨림이 적은, 피사체의 동작에 따른 동영상을 보존할 수 있다.
그 후, 메인 루틴으로 돌아온다.
또한, 상기 촬상 장치(1)가 삼각대 등으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단계 S50에서 Yes), 피사체가 움직이고 있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54에서 No), CPU(21)는, 촬영 조건으로 하여 통상보다 고감도/고속 셔터를 설정하고, 촬상부(11)가 이 설정으로 촬상한 화상을 정지화상으로서 기록한다(단계 S58).
이와 같이 촬상 및 기록함으로써, 손떨림이 없는 정지화상을 보존할 수 있다.
그 후, 메인 루틴으로 돌아온다.
한편, 상기 촬상 장치(1)가 촬영자의 손으로 파지되어 있는지, 즉 삼각대 등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단계 S50에서 No), CPU(21)는, 가속도 센서(15)의 검출 결과로부터, 상기 촬상 장치(1)에 가해지는 요동의 정도가 소정의 임계값(제1 임계값)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2).
그리고, 상기 촬상 장치(1)의 요동이 소정의 임계값(제1 임계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단계 S52에서 Yes), CPU(21)는, 촬상 소자(13)에 의해 촬상된 화상 또는 적외 센서(16)의 검출 결과로부터, 피사체가 움직이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4).
그리고, 피사체가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단계 S54에서 Yes), CPU(21)는, 촬상부(11)에 대하여, 5초간 촬상시키고, 이 촬상된 5초의 촬상 내용을 동영상으로서 보존한다(단계 S56).
즉, 손떨림이 적은, 피사체의 동작에 따른 동영상을 보존할 수 있다. 그 후, 메인 루틴으로 돌아온다.
한편, 상기 촬상 장치(1)의 요동이 소정의 임계값(제1 임계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고(단계 S52에서 Yes), 또한 피사체가 정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단계 S54에서 No), CPU(21)는, 촬영 조건으로 하여 통상보다 고감도/고속 셔터를 설정하고, 촬상부(11)가 이 설정으로 촬상한 화상을 정지화상으로서 기록한다(단계 S58).
즉, 손떨림이 없는 정지화상을 보존할 수 있다. 그 후, 메인 루틴으로 돌아온다.
한편, 상기 촬상 장치(1)가 가속도 센서의 정보로부터, 상기 촬상 장치(1)가, 촬영자의 손으로 파지되어 있는, 즉 삼각대 등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단계 S50에서 No), 또한 상기 촬상 장치(1)에 가해지는 요동이 소정의 임계값(제1 임계값) 미만이 아니고 그보다 클 경우에는(단계 S52에서 No), CPU(21)는, 촬영 조건으로서 통상보다 고감도/고속 셔터를 설정하고, 촬상부(11)가 이 설정으로 촬상한 화상을 정지화상으로서 기록한다(단계 S58).
즉, 손떨림이 없는 정지화상을 보존할 수 있다. 그 후, 메인 루틴으로 돌아온다.
촬상 장치(1)가 삼각대 등으로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손떨림이 쉽게 생기지 않으므로, 피사체의 동작에 따라, 동영상 촬영으로 하거나 정지화상 촬영으로 한다.
피사체가 움직이고 있는 경우에는, 손떨림도 없고, 변화가 풍부한 장면으로 되므로, 동영상 촬영을 행한다.
한편, 피사체가 멈추어 있는 경우에는, 동영상 촬영을 행했다고 해도 변화가 없는 장면으로 되므로, 정지화상 촬영을 행한다.
한편, 촬상 장치(1)가 촬영자의 손으로 파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미리 규정된, 촬상 장치(1)의 흔들림량 허용 범위에 따라, 동영상 촬영으로 하거나 정지화상 촬영으로 한다.
흔들림량이 규정된 허용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정지화상 촬영을 행한다.
이 때, 고감도에 의한 고속 셔터 촬영으로 하고, 흔들림을 최대한 회피한 정지화상 촬영으로 한다.
이 동작에 의해, 촬상 장치(1)가 크게 흔들리는 경우나 패닝(panning)을 피할 수 있다.
한편, 촬상 장치(1)의 요동이 규정보다 작을 경우에는, 촬상 장치(1)가 크게 흔들리지 않으므로 동영상 촬영을 행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촬상 장치(1)의 외부 메모리(18)의 폴더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외부 메모리(18)에는, 사용 개시에 있어서 포맷되는 동시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폴더 구성이 작성되도록 되어 있다.
즉, 외부 메모리(18)에는, 촬영한 정지화상이나 동영상을 보존하기 위한 루트 디렉토리로서 「DCIM」이 작성되고, 그 하층 디렉토리로서 「100 NORMAL」과 「102 INTER」가 작성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디렉토리 「100 NORMAL」이 표준 디렉토리로서, 디렉토리 「102 INTER」가 인터벌 전용 디렉토리로서 사용된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촬상 장치(1)에 의한 재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재생시에, CPU(21)는, 사용자가 정지화상과 동영상의 연결 무비 작성 조작을 행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0).
그리고, 사용자가 정지화상과 동영상의 연결 무비 작성 조작을 행한 경우에는(단계 S60의 YES), CPU(21)는, 외부 메모리(18)의 인터벌 전용 폴더 내의 쇼트 동영상·정지화상을 결합하여, 동영상 파일로서 보존하고(단계 S62), 상기 동영상 파일을 재생한다(단계 S64).
한편, 사용자가 정지화상과 동영상의 연결 무비 작성 조작을 행하지 않을 경우에는(단계 S60의 NO), 사용자가 슬라이드 쇼 또는 코마 재생 조작을 행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6).
그리고, 사용자가 슬라이드 쇼 또는 코마 재생 조작을 행한 경우에는 단계 S66의 YES), 사용자 촬영 화상만의 재생 지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8).
그리고, 사용자 촬영 화상만의 재생 지시인 경우에는(단계 S68의 YES), 외부 메모리(18)의 표준 폴더 내의 동영상과 정지화상을 순차로 재생한다(단계 S70).
한편, 사용자 촬영 화상만의 재생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단계 S68의 NO), 외부 메모리(18)의 인터벌 전용 폴더 내의 동영상과 정지화상을 순차로 재생한다(단계 S72).
그리고, 상기 단계 S64, S70, S72가 종료하거나, 또는 단계 S66에서 사용자가 슬라이드 쇼 또는 코마 재생 조작을 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CPU(21)는, 사용자에 의해 재생 종료가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4).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재생 종료가 조작되지 않았을 경우에는(단계 S74의 NO), 단계 S60으로 복귀하여, 전술한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재생 종료가 조작된 경우에는(단계 S74의 YES), 상기 처리를 종료한다.
그리고, 재생된 동영상이나 정지화상은, 상기 촬상 장치(1)가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표시부(도시하지 않음), 또는 케이블 등으로 접속되는 외부 표시부, 또는 통신 제어부(10)에 의한 무선 통신으로 접속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외부 기기[전용의 표시 장치나 스마트 폰, 태블릿(tablet) 단말기 등]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통상 촬영으로 기록된 정지화상, 동영상과 인터벌 촬영 모드에 의해 기록된 정지화상, 동영상이란, 각각 상이한 디렉토리에 나누어 저장 관리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록한 정지화상, 동영상의 헤더 정보에 어떠한 촬영 모드로 촬영·기록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부여하고, 이로써, 어떠한 촬영 모드로 기록된 것인지를 관련시킴으로써, 각각의 촬영 모드로 촬영·기록된 정지화상, 동영상을 폴더 분류하지 않고 혼재시켜 저장하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불필요하게 서브폴더를 증가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인터벌 촬영 모드 실행 중에서의 기록 타이밍시, 정지화상 기록 개시의 사용자 지시 조작(셔터 버튼 누름)이나 동영상 기록 개시의 사용자 지시 조작(REC 버튼 누름)이 검출된 경우라도, 인터벌 촬영에 의한 기록을 중단하지 않고, 사용자의 지시 조작에 따라, 촬상부(11)에 의해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을 기록하고, 인터벌 촬영에 의해 기록된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과 사용자의 지시 조작에 의해 기록된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을, 상이한 폴더로 나누어 관리하도록 기억하도록 했으므로, 사용 편리성을 희생하는 일 없이, 정기적으로 촬영하는 기능을 계속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인터벌 촬영의 기록 타이밍과 사용자에 의한 기록 개시의 지시 조작의 타이밍이 중첩되지 않을 경우라도, 인터벌 촬영에 의해 기록된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과 사용자의 지시 조작에 의해 기록된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을, 상이한 폴더로 나누어 관리하게 기억하도록 했으므로, 사용 편리성을 희생하는 일 없이, 정기적으로 촬영하는 기능을 계속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인터벌 촬영 모드 실행 중에서의 기록 타이밍시, 정지화상 기록 개시의 사용자 지시 조작(셔터 버튼 누름)이나 동영상 기록 개시의 사용자 지시 조작(REC 버튼 누름)이 검출된 경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촬영한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을, 인터벌 촬영에 의해 취득된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으로서 관리하게 기억하도록 했으므로, 인터벌 촬영의 소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인터벌 촬영 모드 실행 중에서의 기록 타이밍시, 정지화상 기록 개시의 사용자 지시 조작(셔터 버튼 누름)이나 동영상 기록 개시의 사용자 지시 조작(REC 버튼 누름)이 검출된 경우, 사용자의 지시 조작에 의해 기록된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으로부터, 인터벌 촬영에 적합한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을 생성하도록 했으므로, 위화감 없이 인터벌 촬영의 소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인터벌 촬영에 의해 기록된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과 사용자의 지시 조작에 의해 기록한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을, 나누어 재생 출력하거나, 혼재시켜 재생 출력할 것인지를 선택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매뉴얼 촬영을 포함하는 여부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를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12)

  1. 촬상(撮像) 수단;
    미리 설정된 타이밍에서 반복하여 상기 촬상 수단을 구동시켜 화상을 취득하는 제1 취득 수단;
    상기 제1 취득 수단에서의 취득 처리를 유지하면서, 임의의 타이밍에서 지시를 받음으로써, 상기 촬상 수단을 구동시켜 화상을 취득하는 제2 취득 수단;
    상기 제1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과, 상기 제2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
    상기 임의의 타이밍과 상기 미리 설정된 타이밍이 중첩(coincide)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 및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수단에 대한 촬상의 제어, 및 상기 제2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의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의 제어 중 적어도 한쪽을 행하는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제1 취득 수단과 상기 제2 취득 수단 중, 어느 쪽의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었는지에 기초하여 관리하는, 촬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상기 임의의 타이밍과 상기 미리 설정된 타이밍이 중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제1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과, 상기 제2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을, 어느 쪽의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었는지를 식별 가능하게 관리하도록 기억하는, 촬상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상기 임의의 타이밍과 상기 미리 설정된 타이밍이 중첩되었던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을, 상기 제1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으로서 관리하도록 상기 기억 수단을 제어하는, 촬상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상기 임의의 타이밍과 상기 미리 설정된 타이밍이 중첩되었던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2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을, 또한 상기 제2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으로서 관리하도록 상기 기억 수단을 제어하는, 촬상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촬상 수단에 대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타이밍에서 취득할 때의 조건 하에서 상기 제1 취득 수단에 의해 화상을 취득하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임의의 타이밍에서 취득할 때의 조건 하에서 상기 제2 취득 수단에 의해 화상을 취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해 상기 임의의 타이밍과 상기 미리 설정된 타이밍이 중첩되었던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2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으로부터, 상기 미리 설정된 타이밍에서 취득할 때의 조건에 적합한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으로서 관리하도록 상기 기억 수단을 제어하는, 촬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취득 수단 및 상기 제2 취득 수단은, 화상으로서 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을 취득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취득 수단이 동영상을 취득하는 경우, 상기 제2 취득 수단에 의해, 상기 미리 설정된 타이밍에서 취득할 때의 조건에 적합한 동영상을 취득하도록 상기 촬상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2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한 화상으로부터, 상기 미리 설정된 타이밍에서 취득할 때의 조건에 적합한 정지화상을 생성하는, 촬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취득된 화상에 대하여, 상기 제1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었는지 또는 상기 제2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와 관련지어 기억하는, 촬상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화상에 대하여, 상기 제1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과, 상기 제2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을 나누어 재생 출력하는 재생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화상에 대하여, 상기 제1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과, 상기 제2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을 혼재시켜 재생 출력하는 재생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11. 촬상 수단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의 촬상 제어 방법으로서,
    미리 설정된 타이밍에서 반복하여 상기 촬상 수단을 구동시켜 화상을 취득하는 제1 취득 단계;
    상기 제1 취득 단계에서의 취득 처리를 유지하면서, 임의의 타이밍에서 지시를 받음으로써, 상기 촬상 수단을 구동시켜 화상을 취득하는 제2 취득 단계;
    상기 제1 취득 단계에 의해 취득된 화상과, 상기 제2 취득 단계에 의해 취득된 화상을 기억하는 기억 단계;
    상기 임의의 타이밍과 상기 미리 설정된 타이밍이 중첩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수단에 대한 촬상의 제어, 및 상기 제2 취득 단계에서 취득된 화상의 기억의 제어 중 적어도 한쪽을 행하는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촬상 제어 방법.
  12. 촬상 수단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의 컴퓨터로 하여금,
    미리 설정된 타이밍에서 반복하여 상기 촬상 수단을 구동시켜 화상을 취득하는 제1 취득 수단;
    상기 제1 취득 수단에서의 취득 처리를 유지하면서, 임의의 타이밍에서 지시를 받음으로써, 상기 촬상 수단을 구동시켜 화상을 취득하는 제2 취득 수단;
    상기 제1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과, 상기 제2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
    상기 임의의 타이밍과 상기 미리 설정된 타이밍이 중첩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 및
    상기 판단 수단에 의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수단에 대한 촬상의 제어, 및 상기 제2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화상의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의 제어 중 적어도 한쪽을 행하는 제어 수단;
    으로서 기능하게 하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KR1020150010600A 2014-01-23 2015-01-22 촬상 장치, 촬상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500882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10126 2014-01-23
JP2014010126A JP5896181B2 (ja) 2014-01-23 2014-01-23 撮像装置、撮像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200A true KR20150088200A (ko) 2015-07-31

Family

ID=53545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600A KR20150088200A (ko) 2014-01-23 2015-01-22 촬상 장치, 촬상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876956B2 (ko)
JP (1) JP5896181B2 (ko)
KR (1) KR20150088200A (ko)
CN (1) CN1048116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6181B2 (ja) * 2014-01-23 2016-03-3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734872B2 (en) * 2016-01-19 2017-08-15 Htc Corporation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for generating time-lapse video and recording medium using the method
JP6190027B1 (ja) * 2016-10-20 2017-08-30 三菱電機インフォメーションシステムズ株式会社 作業支援装置および作業支援プログラム
EP4057617A4 (en) * 2019-12-03 2023-04-12 Sony Group Corporation CONTROL DEVICE, CONTROL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1018B2 (ja) * 1991-06-06 2000-08-28 キヤノン株式会社 静止画記録装置
JP4146991B2 (ja) * 2000-09-18 2008-09-10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カメラシステム、電子カメラ及び電子カメラ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4706159B2 (ja) * 2001-09-20 2011-06-22 株式会社ニコン 画像再生装置および画像再生方法
JP4467232B2 (ja) * 2002-12-02 2010-05-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及び方法
JP2004304425A (ja) * 2003-03-31 2004-10-28 Casio Comput Co Ltd 電子カメラ
JP2004304642A (ja) * 2003-03-31 2004-10-28 Casio Comput Co Ltd 電子カメラ、及び画像再生装置
JP4054918B2 (ja) * 2004-03-26 2008-03-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影制御方法及び撮影制御プログラム
JP2005286551A (ja) 2004-03-29 2005-10-13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デジタルカメラ
CN102014265A (zh) * 2007-01-15 2011-04-1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摄像装置
JP4854581B2 (ja) * 2007-04-24 2012-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0226495A (ja) * 2009-03-24 2010-10-07 Olympus Imaging Corp 撮影装置
JP2011049882A (ja) * 2009-08-27 2011-03-10 Sanyo Electric Co Ltd 撮像装置
US20110102616A1 (en) * 2009-08-28 2011-05-05 Nikon Corporation Data structure for still image file, image file generation device, image reproduction device, and electronic camera
JP5868038B2 (ja) * 2011-06-28 2016-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KR101989152B1 (ko) * 2012-02-10 2019-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촬영 또는 재생 중, 정지 영상을 캡쳐하는 장치 및 방법
JP5888614B2 (ja) * 2013-03-21 2016-03-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映像コンテンツ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96780B2 (ja) * 2013-12-19 2018-03-2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153435B1 (ko) * 2013-12-20 2020-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JP5896181B2 (ja) * 2014-01-23 2016-03-3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88348B2 (ja) * 2014-01-23 2016-03-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72788B2 (ja) * 2014-08-26 2018-08-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96181B2 (ja) 2016-03-30
US20180103204A1 (en) 2018-04-12
CN104811605A (zh) 2015-07-29
US9876956B2 (en) 2018-01-23
JP2015139125A (ja) 2015-07-30
US20150207992A1 (en) 2015-07-23
US10225472B2 (en) 2019-03-05
CN104811605B (zh) 201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477B1 (ko) 동영상을 촬영하는 촬상 장치, 및 촬상 처리 방법
JP5206494B2 (ja) 撮像装置、画像表示装置と、撮像方法及び画像表示方法並びに合焦領域枠の位置補正方法
KR101578600B1 (ko) 이미지 처리 장치,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JP5810307B2 (ja) 撮像装置
US8000558B2 (en) Thumbnail generating apparatus and image shooting apparatus
KR20150090999A (ko) 타임 랩스 동영상을 생성하는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JP4637045B2 (ja) 撮像装置
US9485452B2 (en) Imaging device, video content generat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9578238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070116093A (ko) 카메라-흔들림 보정 기능을 갖는 동영상 재생장치 및 기록 매체
JP4556195B2 (ja) 撮像装置、動画再生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10225472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6323022B2 (ja) 画像処理装置
KR20150032165A (ko) 결합하는 동영상의 동영상 선별 장치, 동영상 선별 방법 및 기억 매체
KR101770298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04297697A (ja) 動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2011119934A (ja) 画像撮影装置及び画像撮影方法
JP5332668B2 (ja) 撮像装置および被写体検出プログラム
JP6090485B2 (ja) 撮像装置、撮像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194082B2 (en) Image pickup apparatus that shoots moving image for predetermined time period at the time of shooting still image, control method for the image pickup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5613285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2018125887A (ja) 電子機器
JP2011109253A (ja) 撮像装置
JP2010233254A (ja) 撮像装置、動画再生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