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8111A - 집진 그라인더 장치 - Google Patents

집진 그라인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8111A
KR20150088111A KR1020140008520A KR20140008520A KR20150088111A KR 20150088111 A KR20150088111 A KR 20150088111A KR 1020140008520 A KR1020140008520 A KR 1020140008520A KR 20140008520 A KR20140008520 A KR 20140008520A KR 20150088111 A KR20150088111 A KR 20150088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air
pipe
grind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명섭
Original Assignee
한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명섭 filed Critical 한명섭
Priority to KR1020140008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8111A/ko
Publication of KR20150088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81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6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 B24B55/10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specially designed for 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집진 그라인더 장치는 연마대상체를 연마하기 위한 연마판을 회전축에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공급된 공기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할 수 있도록 된 그라인더 본체와, 상기 연마판을 감싸도록 상기 그라인더 본체에 결합되되 하부가 열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마판의 연마과정에 의해 발생되는 분진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부가 형성된 밀폐커버와, 일측이 상기 그라인더 본체와 결합되며 타측에 마련된 에어유입공으로부터 상기 그라인더 본체 내로 이어지는 에어배관과, 상기 에어배관과 분리된 분진배관을 갖으며 상호 이격된 위치에 상기 분진배관과 연통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 분진흡입구와 분진방출구를 구비하는 파지하우징과, 상기 배출부와 상기 분진흡입구를 상호 연통되게 결합된 제1분진이송관과, 상기 분진방출구와 결합되어 상기 분진을 방출되게 이송하는 제2분진이송관과, 상기 에어유입공으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에어배관으로 진행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분진배관으로 공급된 후 상기 제2분진이송관을 향해 방출이 진행될 수 있도록 상기 에어배관과 상기 분진배관을 상호 연통되게 연결된 분진흡입유도관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집진 그라인더 장치{Grinder with dust collec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집진 그라인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마판을 회전시키는 데에 이용되는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연마과정에 의해 발생되는 분진을 집진할 수 있는 집진 그라인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면을 고르게 하거나 도장의 오염 부위를 제거하기 위해 전기 또는 고압 공기에 의해 구동되는 그라인더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그라인더 연마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의 종류에 따라 전기 그라인더와 에어 그라인더로 분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전기 그라인더는 무게에 비하여 토크가 상대적으로 적어 대규모 작업 시 적용이 어려우며 전기적으로 구동되므로 안전상의 문제가 있어, 대규모 작업시에는 휴대가 용이하고 상대적으로 안전한 에어 그라인더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에어 그라인더는 연마판의 회전구동에 의해 분진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분진이 작업공간에 퍼지게 되면, 작업자에게 해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공간을 오염시켜 원활한 작업이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5386호에는 에어 그라인더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에어 그라인더는 고압 공기로 연마판을 회전시켜 작업부위를 연마하는 그라인더부와, 작업부위를 밀폐하여 연마판의 회전력으로 이용하여 분진을 집진하는 집진부와, 그라인더부와 결합하여 고압 공기를 제공함과 동시에 집진된 분진을 배출시키기 위한 집진배관과, 집진배관 내부에 고압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배관이 수용되며, 집진배관과 집진부가 연통되게 연결하는 제1연결배관과, 분진배관으로부터 배출된 분진을 집진하는 집진백을 포함한다.
집진부는 연마판과 함께 회전하는 임펠라를 구비하여 분진을 집진백까지 배출시키지만, 별도의 임펠라를 회전시키는데 에너지가 손실되어 그라인딩의 효율이 떨어진다. 또한, 작업자가 한 손으로 에어 그라인더의 무게를 감당하며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장시간 작업을 하기에는 부담이 크다.
이 외에도 연마과정에 의해 발생하는 분진을 집진하기 위한 장치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2223호의 자체 집진이 가능한 휴대용 입식 그라인더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4915호의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딩 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마판을 회전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분진을 집진시킴으로써 별도의 흡입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구조가 단순화되면서도 동시에 안정적으로 연마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집진 그라인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진 그라인더 장치는 연마대상체를 연마하기 위한 연마판을 회전축에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공급된 공기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할 수 있도록 된 그라인더 본체와, 상기 연마판을 감싸도록 상기 그라인더 본체에 결합되되 하부가 열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마판의 연마과정에 의해 발생되는 분진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부가 형성된 밀폐커버와, 일측이 상기 그라인더 본체와 결합되며 타측에 마련된 에어유입공으로부터 상기 그라인더 본체 내로 이어지는 에어배관과, 상기 에어배관과 분리된 분진배관을 갖으며 상호 이격된 위치에 상기 분진배관과 연통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 분진흡입구와 분진방출구를 구비하는 파지하우징과, 상기 배출부와 상기 분진흡입구를 상호 연통되게 결합된 제1분진이송관과, 상기 분진방출구와 결합되어 상기 분진을 방출되게 이송하는 제2분진이송관과, 상기 에어유입공으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에어배관으로 진행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분진배관으로 공급된 후 상기 제2분진이송관을 향해 방출이 진행될 수 있도록 상기 에어배관과 상기 분진배관을 상호 연통되게 연결된 분진흡입유도관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그라인더 본체는 상기 밀폐커버와 결합되는 일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타단이 상기 파지하우징과 결합되고, 상기 그라인더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원활하게 연마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보조파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파지하우징은 상기 연마작업시 상기 보조파지부와 함께 양손으로 잡고 상기 연마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파지하우징 표면에 형성된 요철을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밀폐커버는 상기 그라인더 본체와 결합되며 하부가 열리고 상기 그라인더 본체와 결합되는 부분이 폐쇄되게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그라인더 본체가 삽입되는 결합공을 중심으로 수직상으로 이분할되게 상호 결합된 제1 및 제2분할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그라인더 본체에 가깝게 위치된 제1분할유니트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2분할유니트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더불어 일단이 상기 분진방출구와 연결되는 상기 제2분진이송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등에 멜 수 있도록 배낭형으로 형성되는 집진백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진 그라인더 장치는 연마판을 회전시키는 데에 필요한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분진을 집진시킴으로써 별도의 흡입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고압의 공기를 연마판 측으로 공급하는 에어배관과, 고압의 공기의 일부를 이용하여 분진을 집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분진배관을 파지하우징의 내부에 함께 수용시킴으로써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작업자가 상호 직각을 이루는 파지하우징과 보조파지부를 잡고 연마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작업환경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 그라인더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집진 그라인더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파지하우징의 내부상태와 고압 공기 및 분진 이동경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집진 그라인더 장치(1)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집진 그라인더 장치(1)는 연마판(12)이 장착되는 회전축을 회전할 수 있도록 된 그라인더 본체(10)와, 회전축이 형성된 그라인더 본체(10)의 일단에 결합되는 밀폐커버(14)와, 그라인더 본체(10)의 타단에 결합되는 파지하우징(20)과, 밀폐커버(14)와 파지하우징(20)이 상호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제1분진이송관(36)과, 파지하우징(20)으로부터 배출되는 분진을 집진하는 집진백(50)과 파지하우징(20)이 상호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제2분진이송관(37)을 구비한다.
그라인더 본체(10)는 고압의 공기를 공급받아 연마판(12)을 회전시켜 연마하는 기기로서, 일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다가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라인더 본체(10)는 일단에 연마판(12)을 장착할 수 있는 회전축을 구비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그라인더 본체(10)의 내부에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부가 구비되어 있다.
연마판(12)은 연마대상체를 연마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교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 그라인더 본체(10)의 측면에는 연마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보조파지부(13)가 더 구비되어 있다.
밀폐커버(14)는 연마판(12)의 연마과정에 의해 발생된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연마판(12)을 감싸도록 하부가 열린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라인더 본체(10)의 일단과 결합되어 있다. 밀폐커버(14)는 그라인더 본체(10)와 결합되는 부분이 폐쇄되게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폐커버(14)는 그라인더 본체(10)가 삽입되는 결합공을 중심으로 수직상으로 이분할 되게 상호결합된 제1분할유니트(14a)와 제2분할유니트(14b)를 구비한다.
제1분할유니트(14a)는 상면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되 호형 부분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분할유니트(14a)는 그라인더 본체(10)에 가깝게 위치되며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분할유니트(14a)는 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분할유니트(14b)는 상면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되 호형 부분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분할유니트(14b)의 지름부분은 제1분할유니트(14a)의 지름부분과 맞닿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분할유니트(14b)는 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밀폐커버(14)는 연마판(12)의 연마과정에 의해 발생하는 분진을 밀폐커버(14)의 내부로부터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출부(15)를 구비한다. 배출부(15)는 제2분할유니트(14b)의 가장자리 일측에 상호 연통되게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분할유니트(14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있다. 배출부(15)는 제2분할유니트(14b)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파지하우징(20)은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고, 분진을 배출하는 동시에 연마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에어공급공(22), 에어유입공(21), 에어배관(23), 분진흡입구(34), 분진방출구(35), 분진배관(32), 분진흡입유도관(39)을 구비한다. 파지하우징(20)은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표면에 요철(2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라인더 본체(10)와 결합되는 파지하우징(20)의 일단에는 에어공급공(22)이 형성되며,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주입관(18)과 결합되는 타단에는 에어유입공(21)이 형성된다. 그라인더 본체(10)와 에어주입관(18)과의 결합은 나사결합 또는 플랜지를 형성하여 볼트결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파지하우징(20)의 내부에는 에어공급공(22)과 에어유입공(21)을 연결하는 에어배관(23)이 형성되어 있다. 에어배관(23)은 파지하우징(20)의 내부공간과 독립적으로 구획된 관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에어배관(23)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파지하우징(20)의 내부공간 자체일 수 있다.
분진배관(32)은 파지하우징(20) 내부에 형성되며 에어배관(23)과 분리되어 독립적인 공간을 형성한다. 파지하우징(20)의 측면에는 분진배관(32)과 상호 이격된 위치에 분진배관(32)과 연통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분진흡입구(34)와 분진방출구(35)가 형성되어 있다.
분진흡입유도관(39)은 밀폐커버(14) 내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분진배관(32)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에어배관(23)과 분진배관(32)이 상호 연통되게 연결된다. 분진흡입유도관(39)은 분진방출구(35)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에어유입공(21)으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에어배관(23)으로 진행하고, 나머지 일부는 분진흡입유도관(39)을 통해 분진배관(32)으로 공급된 후, 분진방출구(35)를 향해 방출이 진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분진흡입유도관(39)으로부터 이송된 공기가 분진배관(23)의 내벽에 부딪히는 지점에서 분진흡입구(34) 측에 가까운 방향으로 분진배관(23)이 내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공기가 분진방출구(35) 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분진흡입유도관(39)은 에어배관(23) 및 분진배관(32)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분진이송관(36)은 배출부(15)로부터 배출되는 분진을 분진배관(32)으로 이송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일단과 타단이 배출부(15)와 분진흡입구(34)에 각각 결합된다. 제1분진이송관(36)은 자바라 호스가 적용될 수 있다.
제2분진이송관(37)은 분진배관(32)으로 이송된 분진을 분진배관(32)으로부터 방출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일단이 분진방출구(35)에 결합된다. 제2분진이송관(37)은 바람직하게 자바라 호스가 적용될 수 있다.
집진 그라인더 장치(1)는 분진배관(32)으로부터 방출되는 분진을 집진하기 위해 집진백(50)을 더 구비한다.
집진백(50)은 등에 멜 수 있도록 배낭형으로 형성되며 입구가 마련되어 있다. 집진백(50)의 입구는 제2분진이송관(37)의 타단과 결합되도록 한다. 집진백(50)은 공기는 빠져나가고 내부에 분진만 집진될 수 있도록 글라스 섬유, 솜, 양모, 합성 섬유, 석면 등과 같은 통공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집진 그라인더 장치(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에어주입관(18)으로부터 공급된 고압의 공기가 파지하우징(20)의 에어유입공(21)을 거쳐 에어배관(23)을 통과한다.
도 3에서 도시된 바로는 실선 화살표는 고압 공기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며, 점선화살표는 분진의 이동경로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공기의 일부는 에어공급공(22)을 향해 이송되고, 나머지 일부는 분진흡입유도관(39)을 따라 분진배관(32)으로 유입된다. 에어공급공(22)으로 흘러간 공기는 그라인더 본체(10) 내부로 이송되고, 그라인더 본체(10) 내부에 구비된 회전부를 통해 회전축을 회전시킨다. 회전축에 장착된 연마판(12)도 회전하면서 연마대상체를 연마하게 된다. 더불어 작업자는 보조파지부(13)와 파지하우징(20)을 잡고 안정적으로 연마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분진흡입유도관(39)으로 유입된 공기는 분진흡입유도관(39)의 경사를 따라 분진방출구(35) 측으로 흘러가게 된다. 이에 따라, 반대방향인 분진흡입구(34) 측에서는 흡입력이 발생하고, 분진흡입구(34)와 연결된 배출부(15)를 통해 연마작업 시 발생되는 분진이 분진배관(32)으로 이송된다. 이송된 분진은 분진흡입유도관(39)으로부터 분진방출구(35)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따라 분진방출구(35)로 향한다. 분진방출구(35)로부터 배출된 공기와 분진은 제2분진이송관(37)을 통해 집진백(50)으로 이송된다. 이송된 공기는 통공이 가능한 집진백(50)으로부터 배출되고, 함께 이송된 분진만이 집진백(50)에 집진된다.
본 발명의 집진 그라인더 장치(1)는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배관(23)과, 분진을 배출하는 분진배관(32)을 파지하우징(20)의 내부에 수용시킴으로써,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작업자가 상호 직각을 이루는 파지하우징(20)과 보조파지부(13)를 잡고 연마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작업환경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 : 집진 그라인더 장치
10 : 그라인더 본체
12 : 연마판
15 : 보조파지부
20 : 파지하우징
23 : 에어배관
32 : 분진배관
37 : 분진흡입유도관
50 : 집진백

Claims (4)

  1. 연마대상체를 연마하기 위한 연마판을 회전축에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공급된 공기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할 수 있도록 된 그라인더 본체와;
    상기 연마판을 감싸도록 상기 그라인더 본체에 결합되되 하부가 열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마판의 연마과정에 의해 발생되는 분진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부가 형성된 밀폐커버와;
    일측이 상기 그라인더 본체와 결합되며 타측에 마련된 에어유입공으로부터 상기 그라인더 본체 내로 이어지는 에어배관과, 상기 에어배관과 분리된 분진배관을 갖으며 상호 이격된 위치에 상기 분진배관과 연통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된 분진흡입구와 분진방출구를 구비하는 파지하우징과;
    상기 배출부와 상기 분진흡입구를 상호 연통되게 결합된 제1분진이송관과;
    상기 분진방출구와 결합되어 상기 분진을 방출되게 이송하는 제2분진이송관과;
    상기 에어유입공으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에어배관으로 진행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분진배관으로 공급된 후 상기 제2분진이송관을 향해 방출이 진행될 수 있도록 상기 에어배관과 상기 분진배관을 상호 연통되게 연결된 분진흡입유도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그라인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인더 본체는 상기 밀폐커버와 결합되는 일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타단이 상기 파지하우징과 결합되고, 상기 그라인더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원활하게 연마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보조파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파지하우징은 상기 연마작업시 상기 보조파지부와 함께 양손으로 잡고 상기 연마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파지하우징 표면에 형성된 요철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그라인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커버는 상기 그라인더 본체와 결합되며 하부가 열리고 상기 그라인더 본체와 결합되는 부분이 폐쇄되게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그라인더 본체가 삽입되는 결합공을 중심으로 수직상으로 이분할되게 상호 결합된 제1 및 제2분할유니트를 구비하고,
    상기 그라인더 본체에 가깝게 위치된 제1분할유니트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2분할유니트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그라인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분진방출구와 연결되는 상기 제2분진이송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등에 멜 수 있도록 배낭형으로 형성되는 집진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그라인더 장치.
KR1020140008520A 2014-01-23 2014-01-23 집진 그라인더 장치 KR201500881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520A KR20150088111A (ko) 2014-01-23 2014-01-23 집진 그라인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520A KR20150088111A (ko) 2014-01-23 2014-01-23 집진 그라인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111A true KR20150088111A (ko) 2015-07-31

Family

ID=53877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520A KR20150088111A (ko) 2014-01-23 2014-01-23 집진 그라인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81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53293A (zh) * 2017-10-27 2018-01-09 陕西钛普稀有金属材料有限公司 带除尘功能的抛光机
KR20180001279U (ko) 2016-10-26 2018-05-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멜빵형 전기 집진 그라인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279U (ko) 2016-10-26 2018-05-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멜빵형 전기 집진 그라인더
CN107553293A (zh) * 2017-10-27 2018-01-09 陕西钛普稀有金属材料有限公司 带除尘功能的抛光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24512B (zh) 气动真空清洁器及用于抽吸研磨材料的方法
CN105496304A (zh) 气动连接动力工具的真空吸尘器,控制操作参数的方法及气动连接真空吸尘器的动力工具
CN108067990A (zh) 一种高效旋转打磨装置
US10576610B2 (en) Backing pad for a hand guided polishing or sanding tool and hand guided polishing or sanding tool with such a backing pad
CN107150291A (zh) 用于建筑装修装饰的无尘式墙面打磨机
CN110944555A (zh) 表面清洁设备
CN111300223A (zh) 一种粉尘收集装置及打磨设备
KR20150088111A (ko) 집진 그라인더 장치
KR101392428B1 (ko) 진공청소기
KR20130002643A (ko) 싸이클론을 활용한 포터블 진공집진 스탠딩 그라인더
US20210154613A1 (en) Filter arrangement for filtering dust-laden air generated by a hand-guided power tool and power tool arrangement
CN208496649U (zh) 吸尘式打磨机
CN201129019Y (zh) 一种吸尘式室内墙面找平磨光机
TWI626032B (zh) 真空吸塵器
WO2008033973A1 (en) Abrading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of using
KR101602577B1 (ko) 에어 집진 스위핑 장치
KR20210017579A (ko) 샌드페이퍼를 부착한 집진통
KR101114915B1 (ko)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딩 장치
TWI617278B (zh) 吸入口體以及電動掃除機
CN108908048A (zh) 化工管道加工装置
JP2018075661A (ja) 研摩集塵装置
CN208945829U (zh) 一种磨床用碎屑清理装置
KR101894550B1 (ko) 협소공간에 적용되는 클리닝 장치
JP2017007072A (ja) 剥離兼粉塵吸引装置
JP6621641B2 (ja) 電動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