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4915B1 -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딩 장치 - Google Patents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4915B1
KR101114915B1 KR1020110094497A KR20110094497A KR101114915B1 KR 101114915 B1 KR101114915 B1 KR 101114915B1 KR 1020110094497 A KR1020110094497 A KR 1020110094497A KR 20110094497 A KR20110094497 A KR 20110094497A KR 101114915 B1 KR101114915 B1 KR 101114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st
passage
grinder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훈재
노재성
유창수
Original Assignee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4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9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6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 B24B55/10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specially designed for 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 B24B55/102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specially designed for 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with rota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마판을 회전시키는데 이용되는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연마시 발생하는 분진을 포집하는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딩 장치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과,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1배출공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어 바닥면을 연마하는 연마판이 구비된 에어그라인더와; 상기 연마판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마판에 의해 발생된 분진이 배출되는 제2배출공이 형성된 그라인더커버와; 상기 연마판에 의해 발생된 분진을 포집하는 포집부와; 상기 제1배출공, 상기 제2배출공 및 상기 포집부를 연통시키는 연결관;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관은, 상기 제1배출공과 연결되는 제1통로와; 상기 제2배출공과 연결되는 제2통로와; 상기 포집부와 연결되는 제3통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통로와 상기 제3통로와의 사잇각(α)은 상기 제1통로와 상기 제2통로와의 사잇각(β)보다 크며, 상기 에어그라인더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상기 제1통로를 통해 상기 제3통로로 배출되면 압력차에 의해 상기 그라인더커버 내부의 분진이 상기 제2통로를 통해 공기와 함께 상기 제3통로로 빨려 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딩 장치 { AIR GRINDING APPARATUS HAVING DUST GATHERING FUNCTION }
본 발명은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마판을 회전시키는데 이용되는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연마시 발생하는 분진을 포집하는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면을 고르게 하거나 도장의 오염 부위를 제거하기 위해 전기 또는 고압 공기에 의해 구동되는 그라인더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그라인더의 연마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의 종류에 따라 전기 그라인더와 에어 그라인더로 분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전기 그라인더는 무게에 비하여 토크가 상대적으로 적어 대규모 작업시 적용이 어려우며 전기적으로 구동되므로 안전상의 문제가 있어, 대규모 작업시에는 휴대가 용이하고 상대적으로 안전한 고압 공기에 의해 구동되는 에어 그라인더가 사용되고 있다.
에어 그라인더는 일반적으로 연마판 및 연마판을 회전구동하기 위한 고압 공기를 제공하는 에어호스를 구비한다.
이러한 에어 그라인더는 연마판의 회전구동에 의해 분진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분진이 작업공간에 퍼지게 되면 작업자에게 해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공간을 오염시켜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를 방지하고자 집진기를 구비한 에어 그라인더가 연구되었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81550호에 집진부를 구비한 에어 그라인더가 제안되었다.
공개특허문헌에 개시된 에어 그라인더는 고압 공기로 연마판을 회전시켜 작업부위를 연마하는 그라인더부와, 그라인더부로 고압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배관이 그라인더부로부터 배출된 분진을 전달하기 위한 집진배관의 내부에 수용되어 일체로 구성된 배관부와, 작업부위를 밀폐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연마판의 회전력으로 내부공간의 공기를 집진배관으로 배출하여 분진을 집진하기 위한 집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집진부는 연마판의 회전력으로 분진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연마판과 함께 회전되는 임펠라, 커버에 설치된 자바라 및 분진을 보관하는 집진백으로 이루어진다.
이 공개특허 문헌에서는, 상기 연마판의 회전력으로 커버 내부공간의 공기 및 분진을 배출하여 집진백으로 모이도록 하였다.
그러나 연마판을 회전시킨 고압의 공기가 여전히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주변의 먼지 등이 날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분진을 집진부로 보내기 위한 별도의 임펠라를 돌리는데 에너지가 손실되어 그라인딩의 효율이 떨어지고 구조가 복잡하여 분진 배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집진백의 용량이 작아 연속작업 시간이 짧고 배출 배관부와 집진백이 그라인더 동력선에 부착되어 있어 그라인딩 장치의 중량이 증가하여 작업자의 피로가 누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마판을 회전시키고 배출되는 고압의 공기가 그대로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하고, 이러한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분진을 포집하기 때문에 별도의 흡입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구조가 간단하며, 필터부분에서는 분진의 포집시간을 늘려 작업자의 피로감을 줄이고, 쉽게 분진이 포집되도록 하는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딩 장치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과,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1배출공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어 바닥면을 연마하는 연마판이 구비된 에어그라인더와; 상기 연마판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마판에 의해 발생된 분진이 배출되는 제2배출공이 형성된 그라인더커버와; 상기 연마판에 의해 발생된 분진을 포집하는 포집부와; 상기 제1배출공, 상기 제2배출공 및 상기 포집부를 연통시키는 연결관;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관은, 상기 제1배출공과 연결되는 제1통로와; 상기 제2배출공과 연결되는 제2통로와; 상기 포집부와 연결되는 제3통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통로와 상기 제3통로와의 사잇각(α)은 상기 제1통로와 상기 제2통로와의 사잇각(β)보다 크며, 상기 에어그라인더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상기 제1통로를 통해 상기 제3통로로 배출되면 압력차에 의해 상기 그라인더커버 내부의 분진이 상기 제2통로를 통해 공기와 함께 상기 제3통로로 빨려 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집부는, 분진이 모이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제3통로를 연결하는 유입관과; 상기 몸체부 상단에 배치되어 미세분진을 잡아주고 공기는 외부로 배출시키는 필터부; 로 이루어지되, 상기 몸체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입관은 상기 몸체부의 외주연에 접선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부는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뿔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집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을 따라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분진안내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분진안내부는 상기 유입관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관은 상기 몸체부 내부에 공기와 함께 분진을 배출하는 배출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장착되고, 상기 분진안내부는 일단이 상기 유입관의 상부에 위치하고, 타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라인더커버는, 상기 연마판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배출공이 형성된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 외주연에 결합되어 바닥면과 접하는 탄성재질의 측면커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딩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에어그라인더 내부로 유입된 고압의 공기가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1배출공을 통해 분진과 함께 상기 포집부로 배출됨으로써,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킨 고압의 공기를 재사용 하기에 에너지를 절감하고, 상기 에어그라인더 주변에 먼지가 날리는 것을 방지하여 날린 분진을 다시 청소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인건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으며, 그 구조가 간단하다.
상기 제1통로와 상기 제3통로와의 사잇각(α)이 상기 제1통로와 상기 제2통로와의 사잇각(β)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배출공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포집부로 배출되면서 상기 연결관 내부에 베르누이 원리에 의한 압력차가 발생하여 상기 그라인더커버 내부의 분진이 상기 제2배출공을 통해 빨려 나가 상기 포집부에 포집되어 상기 연마판에 의해 발생된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할 때, 상기 에어그라인더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항시 상기 포집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배출되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 먼지가 발생하지 않아 환경을 보호하고, 작업자의 건강과 보건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별도의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할 때, 기존의 그라인더는 오일이 작업바닥에 비산되어 오일의 오염으로 인한 재작업에 인력과 용재(신나 등)가 사용되었지만, 본 발명은 오일이 비산되지 않아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분진을 포집하는 포집부가 따로 배치되어 있어 분진의 포집시간을 늘려 작업자의 피로감을 줄이고, 쉽게 분진을 포집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유입관이 상기 몸체부의 외주연에 접선방향으로 관통형성됨으로써, 상기 몸체부로 상기 유입관을 통해 공기와 함께 분진이 유입되면 상기 유입된 공기와 분진은 회전하면서 공기보다 무거운 분진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모이게 되고, 공기는 상기 필터부를 통해 상기 포집부 외부로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필터부가 원뿔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공기가 배출되는 필터의 면적이 증가되어 공기의 배출이 수월하고, 공기는 상단으로 갈수록 중앙으로 모이면서 배출되기에 상기 포집부에서 공기가 보다 안정적으로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분진안내부가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상기 유입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몸체부 내부에 공기와 함께 유입된 분진이 상기 분진안내부에 의해 보다 잘 회전하면서 공기보다 무거운 분진은 상기 필터부로 빠르게 날아가지 못하고 상기 몸체부 하부로 누적되기 때문에 상기 몸체부 하부에 보다 잘 모이게 해 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유입관과 상기 분진안내부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공기와 분진이 하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상기 몸체부에 유입되면서 회전하여 무거운 분진이 상승하지 못하고 빠르게 상기 몸체부의 바닥면에 모이게 해 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측면커버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작업시 바닥면에서 밀착될 수 있어 상기 연마판에 의해 발생된 분진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딩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딩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에어그라인더의 A-A단면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포집부의 B-B단면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딩 장치의 포집부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딩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딩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에어그라인더의 A-A단면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포집부의 B-B단면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딩 장치의 포집부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딩 장치는, 에어그라인더(100), 그라인더커버(200), 포집부(300), 연결관(4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그라인더(100)는 고압의 공기를 공급받아 연마판을 회전시켜 표면을 연마하는 기기로서, 상기 에어그라인더(100)에는 유입공(110), 제1배출공(120)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회전부(130), 연마판(140) 등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유입공(110)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그라인더(100)의 후단에 형성되어 고압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이다.
상기 제1배출공(120)은 상기 유입공(110)을 통해 상기 에어그라인더(100)에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이다.
상기 제1배출공(120)은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분진을 포집할 수 있도록 상기 에어그라인더(100)의 전단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배출공(120)이 상기 에어그라인더(100)의 전단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나, 전면 또는 후면에도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부(130)는 상기 에어그라인더(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유입공(110)으로 유입된 고압의 공기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연마판(1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130)에 연결되어, 상기 유입공(110)으로 유입된 고압의 공기에 의해 상기 회전부(130)가 회전하면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연마판(140)은 회전하면서 바닥면, 즉 연마하고자 하는 표면을 연마하는 역할을 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교체할 수 있다.
상기 그라인더커버(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마판(140)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마판(140)에 의해 발생된 분진이 외부로 비산하지 않도록 막아준다.
상기 그라인더커버(200)는 상부커버(210), 측면커버(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커버(2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마판(140)의 상부에 장착된다.
상기 상부커버(210)는 상기 연마판(140)에 의해 발생하는 분진이 상기 연마판(140) 상부로 비산하는 것을 막아준다.
상기 상부커버(210)에는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배출공(211)이 형성된다.
상기 제2배출공(211)은 상기 연마판(140)에서 발생된 분진을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이다.
상기 제2배출공(211)은 상기 연결관(400)을 통해 분진을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로 상기 제1배출공(120)이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커버(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210) 외주연에 결합되어 바닥면과 접한다.
상기 측면커버(220)는 상기 연마판(140)에 의해 발생하는 분진이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막아준다.
이러한 상기 측면커버(220)는 상기 연마판(140)의 두께와 상기 작업표면의 형상에 따라 그 길이가 결정되어야 한다.
즉, 작업할 때, 상기 측면커버(220)의 하단부가 바닥면에 접하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수축 및 팽창되면서 바닥면에 접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측면커버(200)가 상기 에어그라인더(100)의 작업중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바닥면에 접하는 하단을 고무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면커버(220)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바라형상으로 형성하여 수축과 팽창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여 바닥면에 접촉이 잘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관(4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배출공(120), 상기 제2배출공(211) 및 유입관(320)과 상호 연통되게 연결한다.
상기 연결관(400)은 제1통로(410), 제2통로(420), 제3통로(4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통로(410)는 상기 제1배출공(120)과 연통되게 연결된다.
상기 제1통로(410)는 상기 제1배출공(120)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상기 제1배출공(120)과 연통된다.
즉, 상기 제1통로(4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공(110)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회전부(130)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1배출공(120)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연통된다.
상기 제2통로(420)는 상기 제2배출공(211)과 연통되게 연결된다.
상기 제2통로(420)는 상기 제2배출공(211)으로 배출되는 분진이 통과하도록 상기 제2배출공(211)과 연통된다.
즉, 제2통로(4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마판(140)에 의해 발생된 분진이 상기 제2배출(21)를 통해 분진이 통과하도록 연통된다.
상기 제3통로(430)는 상기 유입관(320)과 연통되게 연결된다.
상기 제3통로(4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통로(410)와 상기 제2통로(420)과 연통되어 상기 제1배출공(120)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상기 제2배출공(211)에서 배출되는 분진이 통과하여 상기 유입관(320)으로 배출되도록 연통된다.
이때, 상기 연결관(4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통로(410)와 상기 제3통로(430)와의 사잇각(α)이 상기 제1통로(410)와 상기 제2통로(420)의 사잇각(β)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1통로(410)로 배출되는 고압의 공기가 상기 제2통로(420)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제3통로(430)로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례로 상기 제1통로(410)와 상기 제3통로(430)와의 사잇각(α)은 180°로 형성하고, 상기 제1통로(410)와 상기 제2통로(420)의 사잇각(β)은 90°로 형성하여 "T"자 형상으로 상기 연결관(400)을 형성하는 것이 제일 좋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배출공(120)에서 배출된 고압의 공기가 상기 제1통로(410)를 통해 상기 제3통로(430)로 통과하게 되면, 상기 연결관(400) 내부의 압력이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연결관(400)의 내부의 압력이 하강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상기 그라인더커버(200)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면서, 상기 제2배출공(211)과 연통된 상기 제2통로(420)를 통해 상기 연마판(140)에 의해 발생된 분진이 빨려 나가게 된다.
즉, 상기 제1통로(410)로 들어와 상기 제3통로(430)로 배출되는 공기의 속도에 의해 상기 연결관(400) 내부의 압력이 하강하면서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은 상기 제3통로(430)와 연통된 상기 그라인더커버(200) 내부의 분진이 제2배출공(211)과 연통된 상기 제3통로(430)를 통해 빨려 나가게 된다.
이는 베르누이의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분진이 빨려 나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압력차이에 의해 상기 연마판(140)에 의해 발생된 분진이 빨려나가 포집부(300)에 모이게 됨으로써, 분진이 외부로 날리게 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또한, 작업할 때, 상기 에어그라인더(100)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항시 상기 포집부(3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공기가 다른 곳으로 배출되지 않게 되면서 공기에 의해 먼지가 발생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별도로 분진을 흡입하는 흡입장치가 구비되지 않아 구조와 모양이 간단하여 작업능률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포집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마판(140)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포집하는 장소이다.
상기 포집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10), 유입관(320), 필터부(330), 분진안내부(3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310)는 상기 연마판(140)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모이는 장소이다.
상기 몸체부(3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공기와 함께 날아들어온 분진이 회전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공기와 분진이 상기 몸체부(310) 내부에서 회전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가벼운 공기는 위로 올라가고 상대적으로 무거운 분진은 상기 몸체부(310)의 하부에 모이게 된다.
상기 유입관(320)은 도 1 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400)과 연통되어 상기 연마판(140)에서 발생된 분진이 상기 몸체부(310)로 유입되는 통로이다.
상기 유입관(320)은 공기와 함께 빨려온 분진이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310)에 회전되면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310)의 외주연에 접선방향으로 관통형성된다.
물론. 상기 유입관(320)이 상기 몸체부(310)의 센터 방향으로 장착되어 공기와 분진이 유입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유입관(32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분진이 회전하면서 분진이 상기 몸체부(310) 하부에 보다 잘 모이도록 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310)의 외주연에 접선방향으로 관통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입관(3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310)에 공기와 분진을 배출하는 배출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장착된다.
이는 상기 유입관(320)을 통해 상기 몸체부(310)로 유입되는 공기와 분진이 회전하면서 공기보다 무거운 분진이 빠르게 상기 몸체부(310)의 하부에 모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필터부(330)는 상기 몸체부(310) 상단에 배치되어 미세분진을 잡아주고 공기는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필터부(3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원뿔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필터부(330)를 상기 몸체부(310)의 상부에 평면형상으로 장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필터부(330)를 원뿔형상으로 장착하면, 상기 몸체부(310)의 상면에 편면형상으로 장착하는 것보다 공기가 배출되는 상기 필터부(330)의 면적이 증가되어 공기가 외부로 수월하게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필터부(330)가 상부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원뿔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공기가 상부로 갈수록 중앙으로 모이게 되고. 그로 인해 함께 날아온 미세분진도 함께 중앙으로 모이게 되면서 미세분진이 상기 필터부(330)의 전체를 막지 않고 중앙부분으로 모이면서 막게 되어 공기가 막히지 않은 하부의 필터부(330)로 안정적으로 배출된다.
그러므로 공기가 상기 필터부(330)에서 막히지 않고, 안정적으로 배출되면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330)의 중앙으로 공기의 압력이 집중되면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에 상기 포집부(300)가 공기의 배출에 의해 유동 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상기 분진안내부(340)는 상기 몸체부(310)의 내주면을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분진안내부(3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관(320)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는 상기 분진안내부(340)가 상기 유입관(320)을 통해 상기 몸체부(310)로 유입된 공기와 분진이 바로 상기 몸체부(310) 상단에 장착된 필터부(330)로 향하지 않게 하면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분진이 상기 몸체부(310)의 하부에 잘 누적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분진안내부(340)를 코일형상으로 몸체부(310)의 내부에서 꼬이게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진안내부(340)의 일단은 상기 유입공(1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타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장착된다.
이는 상기 유입관(320)을 통해 상기 몸체부(310)에 유입되는 공기와 분진이 상기 몸체부(310)내에서 보다 잘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공기보다 무거운 분진이 빠르게 상기 몸체부(310)의 하부에 모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3통로(430)와 상기 유입관(320)을 연통되게 장착할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321) 등을 이용하여 연통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포집부(300)를 작게 형성하여 상기 에어그라인더(100)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더 장치의 작동과정을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고압의 공기를 상기 에어그라인더(100)의 상기 유입공(110)으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유입공(110)으로 공급된 고압의 공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그라인더(100)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부(130)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제1배출공(120)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130)는 연마판(140)과 연결되어 있어 회전하면서 상기 바닥면을 연마하게 된다.
이때 연마판(140)에 의해 발생된 분진은 외부로 비산되지 않도록 상기 그라인더커버(200)가 막아주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배출공(120)으로 배출된 고압의 공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400)의 제1통로(410)를 통해 상기 제3통로(430)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관(400) 내부로 고압의 공기가 지나가게 되면서 상기 연결관(400) 내부의 압력은 내려가게 된다.
이렇게 상기 연결관(400)의 압력이 내려가면 상기 제2통로(420)와 연통되게 연결된 상기 그라인더커버(200) 내부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면서 상기 연마판(140)에 의해 발생된 분진이 빨려 나가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400)의 제1통로(410)와 상기 제3통로(430)와의 사잇각(α)이 상기 제1통로(410)와 상기 제2통로(420)와의 사잇각(β)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배출공(120)으로 배출된 고압의 공기가 상기 제3통로(430)로 지나가면서 상기 연결관(400)의 내부의 압력은 낮아지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제2통로(420)와 연통된 상기 그라인더커버(200) 내부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면서 상기 그라인더커버(200) 내부의 분진은 상기 제2통로(420)를 통해 빨려 나가면서 공기와 함께 상기 제3통로(430)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관(400)은 베르누이의 원리를 이용하여 분진을 빨아들여 공기와 함께 배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그라인더커버(200) 내부의 분진이 빨려 나가게 되면 상기 그라인더커버(200)의 내부가 진공상태가 될 수 있으나, 상기 에어그라인더(100)가 계속하여 움직이기 때문에 상기 측면커버(220)의 하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그라인더커버(200)의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3통로(430)로 배출된 공기와 분진은 상기 포집부(300)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3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입관(320)이 상기 몸체부(310)의 외주연에 접선방향으로 장착되어 있어 상기 몸체부(310)로 유입되는 공기와 분진은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몸체부(310)에서 공기와 분진이 회전하면서 공기는 상기 몸체부(310)의 상단으로 올라가게 되고, 상대적으로 무거운 분진은 상기 몸체부(310)의 하부에 모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관(32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와 분진의 배출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배출되는 공기와 분진은 상기 몸체부(310)에서 회전이 더욱 잘 이루어지게 되고, 또한, 상기 분진안내부(340)가 일단은 상기 유입관(320)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타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공기와 함께 배출된 분진이 바로 상기 필터부(330)로 가지 않고 회전하면서 무거운 분진이 빠르게 상기 몸체부(310)의 하단에 모이게 된다.
상기 몸체부(310)에서 회전하는 가벼운 공기와 미세분진은 상승하여 필터부(330)에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필터부(330)는 미세분진은 나가지 못하게 막아주고, 공기만 외부로 비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33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몸체부(310)에 평면으로 장착하는 것보다 상대적인 필터면적이 증가하여 공기가 더욱 수월하게 외부로 비산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310)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상승하는 공기와 미세분진이 상기 원뿔형상의 상단에 모이게 되면서 미세분진이 필터부(330)를 상단부터 막아주게 되면서 공기는 안정적으로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필터부(330)가 공기의 배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유동을 방지해 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딩 장치는, 연마판(140)을 회전시키는 고압의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그라인더커버(200) 내부의 분진을 빨아들여 상기 포집부(300)로 모이게 하고, 상기 포집부(300)는 공기와 분진을 회전시켜 상대적으로 무거운 분진이 바닥으로 잘 가라앉도록 하였으며, 원뿔형상의 필터부(330)는 공기가 수월하게 외부로 배출되게 해 준다.
본 발명인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딩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에어그라인더 110: 유입공 120: 제1배출공
130: 회전부 140: 연마판 200: 그라인더커버
210: 상부커버 211: 제2배출공 220: 측면커버
300: 포집부 310: 몸체부 320: 유입관
321: 호스 330: 필터부 340: 분진안내부
400: 연결관 410: 제1통로 420: 제2통로
430: 제3통로

Claims (6)

  1.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과,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1배출공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어 바닥면을 연마하는 연마판이 구비된 에어그라인더와; 상기 연마판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마판에 의해 발생된 분진이 배출되는 제2배출공이 형성된 그라인더커버와; 상기 연마판에 의해 발생된 분진을 포집하는 포집부와; 상기 제1배출공, 상기 제2배출공 및 상기 포집부를 연통시키는 연결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관은, 상기 제1배출공과 연결되는 제1통로와; 상기 제2배출공과 연결되는 제2통로와; 상기 포집부와 연결되는 제3통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통로와 상기 제3통로와의 사잇각(α)은 상기 제1통로와 상기 제2통로와의 사잇각(β)보다 크며,
    상기 에어그라인더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상기 제1통로를 통해 상기 제3통로로 배출되면 압력차에 의해 상기 그라인더커버 내부의 분진이 상기 제2통로를 통해 공기와 함께 상기 제3통로로 빨려 나가고,
    상기 포집부는,
    분진이 모이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제3통로를 연결하는 유입관과; 상기 몸체부 상단에 배치되어 미세분진을 잡아주고 공기는 외부로 배출시키는 필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필터부는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뿔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딩 장치.
  2.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과,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1배출공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유입공으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어 바닥면을 연마하는 연마판이 구비된 에어그라인더와; 상기 연마판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마판에 의해 발생된 분진이 배출되는 제2배출공이 형성된 그라인더커버와; 상기 연마판에 의해 발생된 분진을 포집하는 포집부와; 상기 제1배출공, 상기 제2배출공 및 상기 포집부를 연통시키는 연결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관은, 상기 제1배출공과 연결되는 제1통로와; 상기 제2배출공과 연결되는 제2통로와; 상기 포집부와 연결되는 제3통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통로와 상기 제3통로와의 사잇각(α)은 상기 제1통로와 상기 제2통로와의 사잇각(β)보다 크며,
    상기 에어그라인더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상기 제1통로를 통해 상기 제3통로로 배출되면 압력차에 의해 상기 그라인더커버 내부의 분진이 상기 제2통로를 통해 공기와 함께 상기 제3통로로 빨려 나가고,
    상기 포집부는,
    분진이 모이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제3통로를 연결하는 유입관과; 상기 몸체부 상단에 배치되어 미세분진을 잡아주고 공기는 외부로 배출시키는 필터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을 따라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분진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분진안내부는 상기 유입관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딩 장치.
  3.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입관은 상기 몸체부의 외주연에 접선방향으로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딩 장치.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은 상기 몸체부 내부에 공기와 함께 분진을 배출하는 배출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장착되고,
    상기 분진안내부는 일단이 상기 유입관의 상부에 위치하고, 타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딩 장치.
  6.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그라인더커버는,
    상기 연마판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2배출공이 형성된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커버 외주연에 결합되어 바닥면과 접하는 탄성재질의 측면커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딩 장치
KR1020110094497A 2011-09-20 2011-09-20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딩 장치 KR101114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497A KR101114915B1 (ko) 2011-09-20 2011-09-20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497A KR101114915B1 (ko) 2011-09-20 2011-09-20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4915B1 true KR101114915B1 (ko) 2012-03-06

Family

ID=46140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497A KR101114915B1 (ko) 2011-09-20 2011-09-20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49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2756A (ko) * 2014-05-16 2015-11-26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오버헤드 에어그라인딩 장치
CN114227511A (zh) * 2021-12-28 2022-03-25 扬州星汉玻璃工艺品有限公司 高安全性能的工艺品抛光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7249U (ja) 1983-12-07 1985-07-02 株式会社東芝 研削装置
JPH02139055U (ko) * 1989-04-24 1990-11-20
JP2001038622A (ja) * 1999-07-30 2001-02-13 Shigeki Yamada 圧縮空気式工具及び圧縮空気式工具用付属装置
KR20080083781A (ko) * 2007-03-13 2008-09-19 박종현 자체 집진이 가능한 휴대용 입식 그라인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7249U (ja) 1983-12-07 1985-07-02 株式会社東芝 研削装置
JPH02139055U (ko) * 1989-04-24 1990-11-20
JP2001038622A (ja) * 1999-07-30 2001-02-13 Shigeki Yamada 圧縮空気式工具及び圧縮空気式工具用付属装置
KR20080083781A (ko) * 2007-03-13 2008-09-19 박종현 자체 집진이 가능한 휴대용 입식 그라인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2756A (ko) * 2014-05-16 2015-11-26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오버헤드 에어그라인딩 장치
KR101634316B1 (ko) * 2014-05-16 2016-06-29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오버헤드 에어그라인딩 장치
CN114227511A (zh) * 2021-12-28 2022-03-25 扬州星汉玻璃工艺品有限公司 高安全性能的工艺品抛光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9512A1 (en) Auxiliary dust collection system
RU2625902C1 (ru) Чистящая насадка для пылесоса
KR100539762B1 (ko) 진공청소기의 필터 청소 장치
US201403521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shield for use with a rotary tool
JP2005296623A (ja) 真空掃除機のフィルタ装置
JP6920226B2 (ja) 集塵システム
CN109480694A (zh) 灰尘分离装置及吸尘器
KR20100084590A (ko) 흡진후드를 장착한 연마기
KR100792778B1 (ko) 집진기를 구비한 바닥 연마장치
KR101114915B1 (ko)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딩 장치
MXPA02002547A (es) Aparato obturador antipolvo para maquinas de piso.
KR20130002643A (ko) 싸이클론을 활용한 포터블 진공집진 스탠딩 그라인더
KR20120054226A (ko) 진공청소기
JP2006076092A (ja) 穿孔工具
CN110479697B (zh) 一种废料清理设备
KR101335735B1 (ko) 사이크론의 구조
KR20200101631A (ko) 진공청소기
KR101760901B1 (ko) 드레인 필터가 마련된 오일 미스트 집진기
KR200443516Y1 (ko) 청소기능이 부가된 집진기
KR20060125955A (ko) 집진 유니트
KR102061307B1 (ko) 분진 제거 장치
KR101080384B1 (ko) 그라인더
KR20120094979A (ko) 진공흡입식 건식 컷팅기
KR102520331B1 (ko) 분진 비산방지 기능을 가진 벽면 면삭기
JP3230212U (ja) 集塵サンダ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