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307B1 - 분진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분진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307B1
KR102061307B1 KR1020190042843A KR20190042843A KR102061307B1 KR 102061307 B1 KR102061307 B1 KR 102061307B1 KR 1020190042843 A KR1020190042843 A KR 1020190042843A KR 20190042843 A KR20190042843 A KR 20190042843A KR 102061307 B1 KR102061307 B1 KR 102061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ater
pipe
curved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성균
Original Assignee
서성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성균 filed Critical 서성균
Priority to KR1020190042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307B1/ko
Priority to PCT/KR2020/004978 priority patent/WO202020969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6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 B01D21/265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by using a vortex inducer or vortex guide, e.g. c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분진 제거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연속된 곡면으로 이루어진 내측면이 구비된 본체부, 본체부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 덮개부에 설치되어 본체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동부, 본체부의 측면을 통해 외부 공기를 본체부의 내부로 공급하는 공급관, 공급관으로부터 연결되며 본체부의 내측면의 곡면을 따라 설치되는 곡선관, 및 곡선관의 단부로 물을 공급하는 송수관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사 현장 또는 가정에서 발생된 분진 입자를 물 입자와 결합하여 침전시킴으로써 매우 효과적으로 분진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좁은 실내 공간에서의 공사시에도 사용 가능한 분진 제거 장치가 제공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를 청소기 또는 공기 청정기의 용도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공사 현장 또는 가정에서 발생된 분진 입자를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분진으로 인한 미세 먼지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분진 제거 장치{Dust Removal Equipment}
본 발명은 분진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사 현장 또는 가정에서 발생된 분진 입자를 물 입자와 결합하여 침전시킴으로써 매우 효과적으로 분진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좁은 실내 공간에서의 공사시에도 사용 가능한 분진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사 현장의 분진을 제거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의 분진 제거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는 필터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분진 제거 성능이 충분하지 못하였으며 그로 인한 공사 현장의 민원 발생으로 인해 공사 진행에 많은 장애를 초래하였다.
아울러, 종래 기술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는 그 부피가 매우 커서 좁은 실내 공간에서의 공사 작업시에는 사용하기 어렵다는 기술적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는 대부분 필터식 집진기를 이용함으로써 필터의 처리 과정에서 분진으로 인한 2차 오염의 문제가 발생된다는 기술적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사 현장 또는 가정에서 발생된 분진 입자를 물 입자와 결합하여 침전시킴으로써 매우 효과적으로 분진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좁은 실내 공간에서의 공사시에도 사용 가능한 분진 제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는, 연속된 곡면으로 이루어진 내측면(110)이 구비된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200); 상기 덮개부(200)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동부(300); 상기 본체부(100)의 측면을 통해 외부 공기를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로 공급하는 공급관(150); 상기 공급관(150)으로부터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면(110)의 곡면을 따라 설치되는 곡선관(130); 및 상기 곡선관(130)의 단부로 물을 공급하는 송수관(192)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수관(192)에 연결 설치된 양수 펌프(4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200)의 중앙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하부로부터 공기를 수집하는 수집관(230)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급관(150)에 연결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관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사 현장 또는 가정에서 발생된 분진 입자를 물 입자와 결합하여 침전시킴으로써 매우 효과적으로 분진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좁은 실내 공간에서의 공사시에도 사용 가능한 분진 제거 장치가 제공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를 청소기 또는 공기 청정기의 용도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공사 현장 또는 가정에서 발생된 분진 입자를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분진으로 인한 미세 먼지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의 분진 제거 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는 본체부(100), 덮개부(200), 및 구동부(3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하우징으로서 본체부(100)의 내측면(110)은 원통의 곡면에서와 같은 연속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본체부(100)의 직경은 30 내지 50cm가 됨이 바람직할 것이며, 본체부(100)의 높이 또한 30 내지 50cm가 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는 소형화 장비로 제작됨으로써 좁은 실내 공간에서의 공사 작업시에도 사용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덮개부(200)는 본체부(1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배기 팬 등의 구동부(300)는 덮개부(200)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고정 설치되며, 본체부(100) 내부의 공기를 덮개부(200)의 중앙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체부(100)의 측면에는 외부 공기를 본체부(100)의 내부로 공급하는 공급관(150)이 본체부(100)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공급관(150)의 본체부(100)의 내부로의 돌출 단부에는 곡선관(130)이 연결 설치되어 있고, 공급관(150)의 본체부(100)의 외부로의 돌출 단부에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본체부(100)의 내부로 공급하는 흡입관(170)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한편, 곡선관(130)은 일단이 공급관(150)에 연결 설치되며, 본체부(100)의 내측면(110)의 곡면을 따라 내측면(110)에 접하도록 곡선형으로 설치되며, 이와 같은 곡선관(130)은 본체부(100)의 내측면(110)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흡입관(170)의 단부를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는 공급관(150) 및 공급관(150)에 연결 설치된 곡선관(130)을 통해 본체부(100)의 내부로 공급되게 된다.
한편, 본체부(100)의 외부로부터 본체부(10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제1 송수관(191)과 제2 송수관(192)이 본체부(100)의 측면을 관통하며 설치되어 있다.
제1 송수관(191)의 일단은 본체부(10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곡선관(130)의 단부의 측면에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제1 송수관(191)의 타단은 본체부(100)의 외부에 설치된 물통(50) 속에 설치됨으로써, 물통(50) 속의 물은 제1 송수관(191)을 통해 곡선관(130)의 내부로 공급된다.
제2 송수관(192)의 일단은 본체부(10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도 1에서와 같이 외부 공기를 본체부(100)의 내부로 공급하는 곡선관(130)의 배출 단부에 인접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제2 송수관(192)의 타단은 본체부(100)의 외부에 설치된 물통(50) 속에 설치됨으로써, 물통(50) 속의 물은 제2 송수관(192)을 통해 곡선관(130)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송수관(191)의 일단이 곡선관(130)의 측면을 통해 곡선관(13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결과, 제1 송수관(191)의 일단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곡선관(130)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 포함된 분진 등의 오염 물질을 곡선관(130)의 내부에서 침전시키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송수관(191)의 일단은 도 1에서와 같이 곡선관(130)의 배출 단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결과, 제2 송수관(192)의 일단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곡선관(130)의 내부에서 제1 송수관(191)의 일단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에 의해 미처 침전되지 않고 곡선관(130)의 배출 단부를 통해 외부 공기와 함께 본체부(100)의 내부로 배출되는 분진 등의 오염 물질을 추가적으로 침전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제1 송수관(191)과 제2 송수관(192)의 배출 단부에는 각각 분사 노즐(193)을 설치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덮개부(200)의 중앙에 형성된 홀의 하부에는 본체부(100) 내부의 하부 바닥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원통형 부재인 수집관(230)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수집관(230)의 공기 흡입력이 상부로 갈수록 저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에서와 같이 수집관(230)은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변단면을 갖는 원통의 형태로 제작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덮개부(200)의 중앙에 형성된 홀의 상부에는 원통형 부재인 결합구(210)가 설치되어 있으며, 구동부(300)는 결합구(210)의 상부에 결합 설치된다.
구동부(300)에는 구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350)이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제어 모듈(350)에 구비된 제1 스위치(351)를 이용하여 구동부(30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 모듈(350)에 구비된 속도 조절부(353)를 이용하여 구동 모터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 모듈(350)은 외부 전원에 연결되며 외부 전원을 구동부(300)로 전달하는 기능 또한 수행하며, 본체부(100)의 측면에 구비된 투명창(120)을 통해 사용자는 본체부(100) 내부에서의 분진 침전물의 양과 상태 확인하고 필요시 본체부(100) 내부의 분진 침전물을 제거 처리하게 된다.
한편, 도 1에서의 본체부(100), 덮개부(200), 구동부(300), 및 제어 모듈(350)은 도 2에서와 같은 결합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사용자가 제어 모듈(350)을 이용하여 구동부(300)의 배기 팬을 구동시키는 경우에 배기 팬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수집관(230)은 본체부(100)의 하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배기 팬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한편, 수집관(230)의 하단부가 본체부(100)의 원형 바닥면 중앙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관계로 수집관(230)의 하단부를 통해 수집되는 본체부(100) 내부의 공기는 도 3에서와 같은 싸이클론 형태의 흐름을 갖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본체부(100) 내부의 공기가 구동부(3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본체부(100) 내부의 기압은 낮아지게 되며, 그에 따라 흡입관(170)의 단부를 통해 본체부(100)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구동부(300)의 구동에 의해 본체부(100) 내부의 기압이 낮아짐에 따라 물통(50)의 내부에 담겨진 물은 제1 송수관(191)과 제2 송수관(192)을 통해 곡선관(130)의 내부와 곡선관(130)의 외부로 각각 분사 공급됨으로써, 곡선관(130)을 통해 본체부(100)의 내부로 공급되는 외부 공기에 포함된 분진 입자는 제1 송수관(191)과 제2 송수관(192)을 통해 분사 공급되는 물 입자와 결합됨으로써 침전물의 형태로 본체부(100)의 바닥에 쌓이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도 2에서와 같이 제2 송수관(192)에 양수 펌프(400)를 연결 설치함으로써 제2 송수관(192)을 통해 본체부(100)의 내부로 물을 강제 공급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제1 송수관(191)을 통해 공급되는 물과 곡선관(130)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모두 구동부(300)에 구비된 배기 팬의 회전에 의해 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된 음압에 의해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제1 송수관(191)을 통해 공급되는 물과 곡선관(130)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상호 비례적인 공급량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공기보다 물의 단위 중량이 높기 때문에 동일한 음압이 적용되는 경우에 제1 송수관(19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곡선관(130)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체적을 갖게 되며, 그 결과 곡선관(130)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제1 송수관(191)을 통해 공급되는 물과 충분히 접촉하지 못하게 된다.
그에 따라 곡선관(130)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제1 송수관(191)을 통해 공급되는 물에 의해 미처 침전되지 않은 분진 등의 오염 물질을 포함한 상태에서 곡선관(130)의 배출 단부를 통해 본체부(100)의 내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2 송수관(192)에 연결 설치된 양수 펌프(400)에 의해서 제2 송수관(192)을 통해 본체부(100)의 내부로 강제 공급되는 물이 도 1에서와 같이 곡선관(130)의 배출 단부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잔여 오염 물질을 침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외부 공기에 포함된 분진 등의 오염 물질의 농도가 높지 않은 경우에는 양수 펌프(400)에 의한 제2 송수관(192)을 통한 물의 강제 공급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제2 스위치(352)의 온/오프 동작을 통해 양수 펌프(400)의 구동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제2 스위치(352)를 '오프'시킴으로써 양수 펌프(400)가 물을 강제 공급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2 송수관(192) 또한 제1 송수관(191)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동부(300)에 구비된 배기 팬의 회전에 의해 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된 음압에 의해 물을 이송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2 스위치(352)를 '온'시키는 경우에는 양수 펌프(400)가 소정의 출력에 따라 구동됨으로써, 제2 송수관(192)을 통해 물을 강제 공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제2 스위치(352)를 '온' 상태로 설정하여 양수 펌프(400)로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도, 양수 펌프(400)가 선택적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350)은 구동부(300)에 구비된 배기 팬의 모터 회전 속도가 소정의 기준 속도 이하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제2 송수관(192)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양수 펌프(400)를 가동하여 제2 송수관(192)을 통해 물 입자가 충분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동부(300)의 저속 구동으로 인해 제2 송수관(192)을 통해 물 입자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본체부(100) 내부로 배출시키는 곡선관(130)의 내부와 곡선관(130)의 배출 단부로 각각 제1 송수관(191)과 제2 송수관(192)을 통해 물이 공급됨에 따라, 외부 공기에 포함된 분진 등의 오염 물질은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물에 의해 침전되게 된다.
그 결과, 본체부(100)의 바닥에는 외부 공기로부터 걸러진 오염 물질의 침전물이 쌓이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본체부(100)의 측면에 형성된 투명 창을 통해 오염 물질의 상태 및 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되며, 필요시 덮개부(200)를 제거하고 본체부(100)의 바닥면에 쌓인 오염 물질을 버리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본체부(100)의 높이(a)와 수집관(230)의 수직 길이(b)는 약 3:2 내지 4:3의 비율을 형성토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00)의 높이(a)와 수집관(230)의 수직 길이(b)의 비율이 3:2 미만인 경우에는 도 3에서와 같은 공기의 회오리 흐름이 형성되지 않으며, 해당 비율이 4:3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본체부(100)의 바닥에 적층되는 침전물에 수집관(230)의 하단이 닿게 됨으로써 수집관(230)을 통한 공기 수집의 기능이 저해되기 쉽다.
한편, 본체부(100)의 상단으로부터 곡선관(130)의 설치 위치까지의 수직 거리(c)와 본체부(100)의 높이(a)의 비율은 0.2 내지 0.3이 되도록 함으로써 본체부(100)의 측면 상단에 설치된 곡선관(130)을 통해 도 3에서와 같은 공기의 회오리 흐름이 충분히 발생토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곡선관(130)의 본체부(100)의 내측면(110)에서의 설치 구간은 본체부(100)의 내측면(110)의 원주상에의 1/2 내지 2/3을 차지하도록 함으로써 곡선관(130)에 의한 공기의 회오리 흐름이 지나치게 과도하지 않으면서도 충분히 발생토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흡입관(170)의 단부에는 가정용 청소기, 공사용 집진 커버 등이 선택적으로 교체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흡입관(170)을 공급관(150)으로부터 분리 및 제거하고, 공급관(150)의 내부에 공기 청정 필터를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제거 장치를 공기 청정기의 용도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50: 물통, 100: 본체부,
110: 내측면, 120: 투명창,
130: 곡선관, 150: 공급관,
191: 제1 송수관, 192: 제2 송수관,
193: 분사 노즐, 200: 덮개부,
210: 결합구, 230: 수집관,
300: 구동부, 350: 제어 모듈,
351: 제1 스위치, 352: 제2 스위치,
353: 속도 조절부, 400: 양수 펌프.

Claims (3)

  1. 연속된 곡면으로 이루어진 내측면(110)이 구비된 본체부(100);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200);
    상기 덮개부(200)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동부(300);
    상기 본체부(100)의 측면을 통해 외부 공기를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로 공급하는 공급관(150);
    상기 공급관(150)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면(110)의 곡면을 따라 상기 내측면(110)에 접하도록 곡선형으로 설치되는 곡선관(130);
    일단이 상기 곡선관(130)에서의 외부 공기의 배출 단부의 측면에 삽입되어 상기 곡선관(130)의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송수관(192);
    상기 덮개부(200)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하부로부터 공기를 수집하는 수집관(230);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쌓인 침전물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측면에 구비된 투명창(120); 및
    상기 송수관(192)에 연결 설치된 양수 펌프(400)
    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3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기압이 낮아짐에 따라 상기 송수관(192)을 통해 물이 상기 곡선관(130)의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구동부(300)에 구비된 배기 팬의 회전 속도가 소정의 기준 속도 이하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송수관(192)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상기 양수 펌프(400)를 가동하여 상기 송수관(192)을 통한 물의 공급이 증가되도록 하는 제어 모듈(3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100)의 바닥에는 외부 공기에 포함된 분진과 물이 결합된 침전물이 쌓이고,
    상기 본체부(100)의 바닥에 쌓인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덮개부(200)는 상기 본체부(100)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제어 모듈(350)에는 상기 구동부(300)에 구비된 배기 팬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 조절부(353)가 구비되는 것인 분진 제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곡선관(130)에서의 외부 공기의 배출 단부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물을 공급하는 송수관을 더 포함하는 분진 제거 장치.
KR1020190042843A 2019-04-12 2019-04-12 분진 제거 장치 KR102061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843A KR102061307B1 (ko) 2019-04-12 2019-04-12 분진 제거 장치
PCT/KR2020/004978 WO2020209696A1 (ko) 2019-04-12 2020-04-13 분진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843A KR102061307B1 (ko) 2019-04-12 2019-04-12 분진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1307B1 true KR102061307B1 (ko) 2020-02-11

Family

ID=69568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843A KR102061307B1 (ko) 2019-04-12 2019-04-12 분진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61307B1 (ko)
WO (1) WO20202096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9696A1 (ko) * 2019-04-12 2020-10-15 서성균 분진 제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2431A (ja) * 1995-10-31 1997-05-13 Nippon Spindle Mfg Co Ltd サイクロン集塵方法及びサイクロン集塵装置
JP2004033885A (ja) * 2002-07-02 2004-02-05 Mentec:Kk 集塵機
JP2005342576A (ja) * 2004-06-01 2005-12-15 Tazumi:Kk 湿式遠心集塵装置
JP2011036853A (ja) * 2009-07-13 2011-02-24 Shibata:Kk 超音波式霧発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535A (ko) * 2006-08-06 2006-09-27 윤장식 원심형식의 습식 공기 정화기
KR20100010614A (ko) * 2008-07-23 2010-02-02 송경애 물분사장치가 필요없는 동력절감 세정식 집진기
KR101535247B1 (ko) * 2013-10-16 2015-07-30 운해이엔씨(주) 세정수 정화유닛을 이용한 폐수 배출이 없는 백연 및 오염물질 제거용 스크러버
KR101881958B1 (ko) * 2016-11-09 2018-08-24 양진석 플라이 포집 및 공기 여과 기능을 갖는 집진장치
KR102061307B1 (ko) * 2019-04-12 2020-02-11 서성균 분진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2431A (ja) * 1995-10-31 1997-05-13 Nippon Spindle Mfg Co Ltd サイクロン集塵方法及びサイクロン集塵装置
JP2004033885A (ja) * 2002-07-02 2004-02-05 Mentec:Kk 集塵機
JP2005342576A (ja) * 2004-06-01 2005-12-15 Tazumi:Kk 湿式遠心集塵装置
JP2011036853A (ja) * 2009-07-13 2011-02-24 Shibata:Kk 超音波式霧発生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9696A1 (ko) * 2019-04-12 2020-10-15 서성균 분진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9696A1 (ko) 202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68273C (zh) 具有空气搅动的机器人真空吸尘器
WO2021120630A1 (zh) 清洁设备
CN113117401A (zh) 分离装置和清洁设备
US20060102000A1 (en) Wet type air cleaner
US7591885B2 (en) Wet type air cleaner
JP2005296623A (ja) 真空掃除機のフィルタ装置
KR100849416B1 (ko) 세정 기능을 갖는 집진 장치
WO2006118372A1 (en) Wet type air cleaner
EP1819418A2 (en) Wet type air cleaner
US20060102001A1 (en) Wet type air cleaner
KR102061307B1 (ko) 분진 제거 장치
EP4356809A1 (en) Recycling bucket and cleaning device
KR102042618B1 (ko) 분진 제거 장치
CN109806682B (zh) 一种烟尘颗粒过滤装置
KR20160138747A (ko) 비유동식 수벽을 이용한 원심분리식 집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385549B1 (ko) 압축공기 구동방식의 건습식 겸용 세정장치
EP1466551B1 (en) Self-evacuating vacuum cleaner for cleaning ponds or swimming pools.
KR200258515Y1 (ko) 집진기의 필터청소장치
KR100842371B1 (ko) 청소기용 습식 흡입장치
KR200363647Y1 (ko) 혼용(混用) 진공수집기
KR101114915B1 (ko) 분진 포집기능을 갖는 에어그라인딩 장치
JPH08257336A (ja) 空気清浄装置
KR101526912B1 (ko) 공기정화기가 구비된 진공청소기
CN108940595A (zh) 一种湿式静电除尘器
JP7441569B2 (ja) 液体循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