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7794A - 지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지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7794A
KR20150087794A KR1020140153894A KR20140153894A KR20150087794A KR 20150087794 A KR20150087794 A KR 20150087794A KR 1020140153894 A KR1020140153894 A KR 1020140153894A KR 20140153894 A KR20140153894 A KR 20140153894A KR 20150087794 A KR20150087794 A KR 20150087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state
extract
group
composition
f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2719B1 (ko
Inventor
신현규
김온순
서창섭
이미영
전우영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50087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prost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121/00Preparations for use i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Abstract

본 발명은 지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지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사료용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prostate-related disease comprising Ponciri Fructus extract}
본 발명은 지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지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사료용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전립선은 샘조직과 섬유근조직으로 구성된 남성의 부속생식선으로, 물혹이나 결석이 생길 수 있으나 전립선염, 전립선 비대증, 및 전립선암이 가장 흔히 발생하는 질병이다. 한국인의 전립선 관련 질환은 서양인에 비해 전립선염이 많은 것이 특징이고, 전립선암의 빈도는 매우 낮으며, 노인인구의 증가로 전립선비대의 빈도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50세 이상의 환자의 비뇨기계질환은 전립선비대증, 전립선암, 전립선염 순서로 흔하게 나타난다.
먼저, 전립선 비대증은 50세 이상의 남성에서 하루 8회 이상 소변을 보는 빈뇨, 야간 빈뇨, 강하고 갑작스런 요의를 느끼면서 소변이 마려우면 참을 수 없는 절박뇨 등의 방광 저장 증상과 지연뇨(소변을 볼 때 뜸을 들여야 소변이 나오는 현상), 단절뇨(소변의 흐름이 끊기는 현상), 배뇨 시 힘을 주어야 하는 현상 등 방광의 배출 장애를 나타내는 증상을 통칭한 것으로, 5알파환원효소에 의해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T)으로부터 전환되는 디하이드로 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DHT)이 전립선 비대에 관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Urology. 2003 Apr;61(4 Suppl 1):2-7.). 최근 한국 전립선비대증 질환자는 2006년 45만 8955명에서 2011년 84만 2069명으로 83.5%로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전립선 비대증 환자수는 60세 이상 남성 5명에 2명 비율로 나타나 80세를 넘으면 절반 이상이 전립선 비대증상을 호소하게 된다. 향후 초고령화 사회로의 돌입 및 수진율 향상 등으로 전립선 비대증 환자 수는 앞으로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요청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전립선염은 전체 비뇨기과 환자의 약 3~12%를 차지하는 질병이나 50세 미만의 비뇨기과 환자에서는 가장 흔한 질환이다. 특히 전립선염의 가장 현저한 증상인 만성 골반동통은 전립선비대증이나 성기능장애에 의한 고통보다 더 심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활동적인 젊은 연령대에 흔히 나타나 삶의 질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하지만 원인이 확실치 않고 증상이나 검사에서 특징적인 소견이 없어 진단과 치료에 어려움이 있다. 5알파환원효소에 의해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T)으로부터 전환되는 디하이드로 테스토스테론 (dihydrotestosterone, DHT)이 전립선염에 미치는 영향이 보고된 바 있다(The Journal of Urology, Volume 170, Issue 6, Part 1, December 2003, Pages 2486-2489)
전립선암은 전립선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malignant tumor)으로, 전립선암 또한 5알파환원효소에 의한 테스토스테론의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J Steroid Biochem Mol Biol. 2002 Nov;82(4-5):393-400.). 서양의 경우 전립선암은 남성암 중 가장 흔한 암으로서 높은 발생 빈도를 보인다. 그러나 위 전립선암은 특이한 증상이 없어 조기 발견이 어려우므로, 암 조직이 커지면서 배뇨에 지장을 받거나, 전립선암이 뼈 등의 다른 장기로 전이되어 골 동통 등의 증상이 나타난 후에야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전립선 암의 예방 및 치료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이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염, 전립선암을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환자수는 초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에 따라 꾸준히 증가하여 그 예방 및 치료제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바, 본 발명자들은 안전하고 효능이 우수한 전립선 관련 질병 치료제를 찾기 위해 여의 노력한 결과, 천연약제로서 지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을 디하이드로 테스토스테론으로 전환시키는 5알파환원효소의 활성을 감소시켜 전립선 관련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지실(Ponciri Fructus)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상기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지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지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사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지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지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지실"은 운향과(Rut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묵인 탱자나무(Poncirus trifoliata Rafinesque)의 익지 않은 열매를 말한다. 지름 3cm의 둥근 모양이다. 탱자나무의 개화기는 3-5월, 결실기는 9-11월이며 채취시기는 9-10월이다. 우리나라 남부의 제주도와 가덕도 등의 섬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국내 주요산지인 경주 및 중남부지방에서 재배채취 된다. 익은 열매는 지각이라고 하며, 지실과 지각은 효능이 달라 다른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따르면 지실은 항염증 효능, 위염 및 위궤양에 관한 효능, 대사성 골다공증질환 관련 효능, 및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전립선 관련 질환의 치료용도로는 알려진바 없으며, 이는 본 발명자들에 의해서 최초로 규명되었다. 본 발명에서 지실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것을 구입하거나, 자연에서 채취 또는 재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추출물"이란 상기 지실의 추출물을 의미한다. 상기 추출물은 각 성분의 분쇄물을 건조 중량의 약 5 내지 30배,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20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메탄올, 에탄올 등과 같은 탄소수 1(C1) 내지 4(C4)의 저급 알콜과 같은 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약 1:0.1 내지 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로 용출할 수 있으며, 추출 온도는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에서, 추출기간은 약 1시간 내지 4일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여과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추출물인 한, 이에 제한되지는 않고,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추출물은 각각 약학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분획물"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분획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다양한 용매를 처리하여 수행하는 용매 분획법,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수행하는 한외여과 분획법,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를 수행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법, 및 이의 조합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지실을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에 소정의 용매를 처리하여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얻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데에 사용되는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알코올 등의 극성 용매; 헥산(Hexan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등의 비극성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 중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4의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분획물은 지실 추출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헥산(hexane),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분획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상기 분획물은 지실 추출물을 물,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부탄올로 분획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특히 지실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5알파환원효소의 활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억제하여 전립선 관련 질환의 치료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도 5 및 도 6).
상기 분획물은 각각 약학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5알파환원효소의 활성 감소 효과를 이용하여,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5알파환원효소(5 alpha reductase)"는 남성호르몬의 일종인 테스토스테론을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로 전환시키는 효소를 의미하며, 위 효소에는 1형 및 2형이 존재한다. 5알파환원효소 억제제는 전립선 비대증 등 전립선 관련 질환 치료제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전립선의 성장을 막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지실 추출물이 전립선염,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암 등의 전립선 관련 질환의 유발과 관계가 높은 5알파환원효소의 활성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실험예 1 및 도 1).
뿐만 아니라, TP(testosterone propionate)에 의해 유도된 전립선 비대 동물 모델에서도 지실 추출물이 전립선 무게의 증가를 억제하고, 전립선의 발생과 성장과 유지에 필수적인 DHT(디하이드로 테스토스테론) 수치의 증가를 유의하게 억제하였으며, 전립선 상피세포의 과증식을 매우 억제하였다. 특히, 이러한 효과는 현재 전립선 관련 질환에 대한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피나스테리드에 이를 정도의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실험예 2, 도 2 내지 4).
본 발명에서의 용어, "전립선 관련 질환"은 남성의 생식 및 비뇨기관인 전립선에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하며, 그 예로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염, 전립선암, 전립선 농양, 및 전립선 석회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립선의 문제로 인하여 발생하는 다양한 질환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전립선 농양은 세균이 요도를 통해 전립선까지 파고들어가 급성 염증에 이어 고름 주머니를 만들면서 주변의 전립선조직을 급속히 괴사시키는 병으로, 발병 시 갑자기 심한 고열과 함께 오한이 나타나고, 소변을 보고 싶어도 소변을 배출하지 못하는 요폐 증상으로 극심한 배뇨통을 느끼게 된다. 전립선 석회화는 전립선에 석회 결석이 가라앉아 생기는 질환을 말한다. 상기 결석은 소변을 포함한 체액 내에 구성성분이 너무 많아지면 모두 액체화되지 못하고 남는 칼슘, 수산염, 인산염 등이 결정화된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전립선 관련 질환의 발병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란,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전립선 관련 질환 발병 의심 개체에 투여하여 전립선 관련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도록 하거나 이롭게 되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담체와 함께 제제화되어 식품, 의약품, 사료 첨가제 및 음용수 첨가제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투여되는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상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항산화제, 완충액 및/또는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희석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결합제, 윤활제 등을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 등으로 제제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투여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상기 투여 방식의 비제한적인 예로, 조성물을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투여 방식에 따라 다양한 제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단일제제로도 사용할 수 있고, 공인된 전립선 관련 질환 치료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진 약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복합제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란, 전립선 관련 질환이 발병되었거나 발병할 가능성이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은 구체적으로, 전립선 관련 질환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위험이 있는 개체에 상기 조성물을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0.001 내지 1000 mg/kg의 양,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00 m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mg/k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적합한 총 1일 사용량은 올바른 의학적 판단범위 내에서 처치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상, 특정 환자에 대한 구체적인 치료적 유효량은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경우에 따라 다른 제제가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비롯한 구체적 조성물,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구체적 조성물과 함께 사용되거나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와 의약 분야에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상기 투여 방식의 비제한적인 예로, 조성물을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투여 방식에 따라 다양한 제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빈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일 1회 투여하거나 또는 용량을 분할하여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지실은 천연 물질로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안전성이 입증되었으므로, 상식할 수 있으면서도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식품의 형태로 제조되어 섭취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인 것일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functional food)이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와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하는데, 상기 식품은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에 유용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품에 포함되는 추출물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식품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식품이 음료인 경우에는 100㎖를 기준으로 1 내지 30g, 바람직하게는 3 내지 20g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 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사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사료용 조성물은 사료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첨가제는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는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의약외품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을 사용되는 섬유, 고무제품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인체에 대한 작용이 약하거나 인체에 직접 작용하지 아니하며, 기구 또는 기계가 아닌 것과 이와 유사한 것, 감염형 예방을 위하여 살균, 살충 및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제 중 하나에 해당하는 물품으로서,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 및 사람이나 동물의 구조와 기능에 약리학적 영향을 줄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을 제외한 물품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약외품은 피부외용제 및 개인위생용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또는 연고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 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상기 지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음용수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음용수 첨가제는 상기 지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음용수 첨가제 형태로 따로 제조하여 음용수에 혼합시키는 방식으로 사용하거나, 음용수 제조시 직접 첨가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음용수 첨가제는 액상 또는 건조 상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건조된 분말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음용수 첨가제를 건조된 분말 형태로 제조하기 위한 건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음용수 첨가제는 필요에 따라 기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 가능한 첨가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음용수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결착제, 유화제, 보존제 등; 사료 또는 음용수의 효용 증대를 위하여 첨가하는 아미노산제, 비타민제, 효소제, 생균제, 향미제, 비단백질태질소화합물, 규산염제, 완충제, 착색제, 추출제 또는 올리고당 등이 있으며, 그 외에 사료 혼합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이 함께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5알파환원효소의 활성을 저해하여,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염, 전립선암 등 전립선 관련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개선, 및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지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천연 약제로서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가축 사료용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을 포함한 다양한 제품에 응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것이어서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치료, 및 개선 효능 이외에 체내에 심각한 자극을 가한다거나 유해한 작용을 유발함이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지실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5알파환원효소의 활성의 저해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전립선 비대 유도된 동물 모델에서 지실 추출물 처리에 따른 전립선 무게를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전립선 비대 유도된 동물 모델에서 지실 추출물 처리에 따른 DHT (디하이드로 테스토스테론)의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전립선 비대 유도된 동물 모델에서 지실 추출물 처리에 따른 전립선의 조직병리학적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표시된 NC는 정상군, BPH는 전립선 비대증 유발군, Fin는 전립선 비대증 유발군 + 피나스테리드 투여군, GO-10은 전립선 비대증 유발군 + 지실추출물 투여군을 나타낸다.
도 5는 지실 추출물의 분획물의 농도에 따른 5알파환원효소의 활성의 저해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전립선 비대 유도된 동물 모델에서 지실 추출물의 분획물의 처리에 따른 전립선 무게를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NC: 정상군, BPH: 전립선 비대증 유발군, Fin: 전립선 비대증 유발군 + 피나스테리드 투여군, Hexane: 전립선 비대증 유발군 + 지실 헥산 분획물 투여군, EA: 전립선 비대증 유발군 + 지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투여군, BuOH: 전립선 비대증 유발군 + 지실 부탄올 분획물 투여군, Water: 전립선 비대증 유발군 + 지실 물 분획물 투여군).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지실 추출물의 제조 ( 실험예 1에 사용)
시판되는 지실을 구입하여 분쇄한 후, 분쇄물 1 kg에 70% 에탄올 10 L를 넣고 초음파 추출기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3회 초음파 추출하였다. 상기 초음파 추출액을 와트만 (Whatman, 46 x 57 cm)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한 후, 냉각 콘덴서가 장착된 농축 장치로 40 ℃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감압 농축된 추출물의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정제수 1500 mL을 넣어 현탁시킨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152.2 g의 추출물을 얻었다 (수율: 15.22%).
실시예 2: 동물 실험용 지실 추출물의 제조 ( 실험예 2에 사용)
시판되는 지실을 입수하여 분쇄한 후, 분쇄물 10 kg에 대하여 70% 에탄올 100 L를 가하였다. 그 후 초음파 추출기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3회 초음파 추출하였다. 상기 초음파 추출액을 어드벤텍 2호(Advantec No. 2, 110 mm)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한 후, 냉각 콘덴서가 장착된 농축 장치로 60℃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감압 농축된 추출물의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하여 정제수 1000 mL을 넣어 현탁시킨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1368.6g의 추출물을 얻었다(수율 13.69%).
실시예 3: 지실 추출물의 분획물의 제조 ( 실험예 3, 4에 사용)
3-1. 지실 헥산 분획물 제조
상기 실시예 2의 지실 추출물 1.3 kg을 3.0 L의 증류수에 현탁시킨 다음, 헥산(hexane) 4.5 L를 넣어 용매분획을 3회 실시하였다. 헥산 분획물을 수득하여 감압 농축 후 동결건조하여 헥산 분획물 62.5 g을 수득하였다 (수율: 4.81%).
3-2. 지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 GO10 - EA ) 제조
상기 실시예 3-1의 헥산 분획 후 남은 물 분획물에 에틸아세테이트 4.5 L를 넣어 용매분획을 3회 실시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수득하여 감압 농축 후 동결건조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213.3 g을 수득하였다 (수율: 16.41%).
3-3. 지실 부탄올 분획물 ( GO10 -B) 제조
상기 실시예 3-2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후 남은 물 분획물에 부탄올 4.5 L를 넣어 용매분획을 3회 실시하였다. 부탄올 분획물을 수득하여 감압 농축 후 동결건조하여 부탄올 분획물 545.5 g을 수득하였다 (수율: 41.96%).
3-4. 지실 물 분획물 ( GO10 -W) 제조
상기 실시예 3-3의 부탄올 분획 후 남은 물 분획물을 감압 농축 후 동결건조하여 물 분획물 421.4 g을 수득하였다 (수율: 32.42%).
실험예 1: 지실 추출물에 의한 5알파환원효소의 활성 억제 효과 확인
5알파환원효소는 테스토스테론을 디하이드로 테스토스테론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하며, 5알파환원효소의 활성 저해가 전립선 관련 질환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에, 상기 조성물이 전립선 관련 질환의 치료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질환 치료 마커인 5알파환원효소의 활성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지실 추출물의 상기 5알파환원효소에 대한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테스토스테론에서 디하이드로 테스토스테론으로 전환될 때 사용되는 NADPH 양의 변화를 흡광도 변화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5알파환원효소의 활성을 계산하였다. 이는 하기 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실시한 것이다(Methods Find Exp Clin Pharmacol. 1998;20(4):283-7, Bioorg Med Chem Lett. 2011;21(11):3439-42).
1-1. 랫트 간에서 분리한 5알파환원효소를 포함하는 효소 조성물 제조
12주 령의 암컷 SD 래트(중앙실험동물, 대한민국)를 디에칠에테르로 마취한 후 해부하여 간을 적출하고 4배 용량의 완충용액(10 mM Tris-HCl (pH 7.0), 50 mM EDTA, 5 mM MgCl2, 50 mM NaCl, 132 mM Sucrose, 0.004% 2-mercaptoethanol)을 첨가하여 세포파쇄기로 균질화하였다. 상기 간세포 파쇄액을 원심분리(10,000xg) 하여 얻은 상등액을 다시 초원심분리(105,000xg)하여 마이크로솜 분획을 얻고 상기 완충용액에 현탁하여 -80 ℃에 보관하였다.
1-2. 5알파환원효소에 대한 효소 저해율 측정
본 발명의 지실 추출물의 5알파환원효소 활성 저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실 추출물의 농도를 달리한 하기의 5개 그룹에 대하여 각각 3번에 걸쳐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룹 1: 상기 실험예 1-1의 5알파환원효소 조성물 25 μg
-그룹 2: 그룹 1에 50 μg의 테스토스테론(T0028, TCI, 일본)을 첨가한 조성물
-그룹 3: 그룹 2에 실시예 1의 지실 추출물 60 μg/ml을 반응시킨 조성물
-그룹 4: 그룹 2에 실시예 1의 지실 추출물 70 μg/ml을 반응시킨 조성물
-그룹 5: 그룹 2에 실시예 1의 지실 추출물 80 μg/ml을 반응시킨 조성물
그룹 1 내지 5에 50 μM의 NADPH 용액(N1630, Sigma-aldrich, 미국)을 첨가하였다. 그 후 37℃에서 60분간 반응시키면서 ELISA 측정기(Benchmark Plus, Bio-Rad. USA)를 이용하여 5분 간격으로 340nm에서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흡광도 변화 값을 바탕으로 하기의 식에 의하여 5알파환원효소의 활성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 도 1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통계학적인 분석은 ANOVA로 수행하였으며, ** P<0.01는 그룹 1과 비교 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경우, # P<0.05, ## P<0.01 는 그룹 2와 차이가 유의한 경우를 고려하였다.
Figure pat00001

(단, △OD340: 분당 340nm에서의 흡광도 변화, A: 총 반응 부피(ml), B: 효소액 부피(ml), C: 반응 용기의 광학측정 길이(cm). 6.22는 NADPH의 분자흡광계수)
그룹 1 그룹 2 그룹 3 그룹 4 그룹 5
활성-1 2.53 4.47 4.34 3.71 3.34
활성-2 2.48 4.51 4.52 3.70 3.16
활성-3 2.71 4.74 4.43 3.97 3.11
평균 2.57 4.57 4.43 3.79 3.20
표준편차 0.12 0.15 0.09 0.15 0.12
(단위: mU/ml, U=unit)
그룹 1 그룹 2 그룹 3 그룹 4 그룹 5
활성(%)-1 -2.3 94.7 88.3 57.0 38.3
활성(%)-2 -4.5 97.0 97.3 56.4 29.3
활성(%)-3 6.8 108.3 92.8 69.9 27.1
평균 0.00 100.00 92.79 61.11 31.58
표준편차 5.97 7.25 4.51 7.64 5.97
(단위: %)
상기 표 2는 지실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그룹 1 및 그룹 2에 대하여, 표 1의 활성값을 토대로 5알파환원효소의 기질인 테스토스테론이 포함되지 않은 그룹 1의 활성은 0%로, 5알파환원효소의 기질인 테스토스테론이 포함된 그룹 2의 활성은 100%로 환산한 것이다. 따라서 어떠한 저해제도 없을 경우 기질인 테스토스테론에 대한 5알파환원효소의 활성값인 100%를 기준으로 지실 추출물 첨가 시의 효소 활성을 비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그룹 2 조성물에 각기 다른 농도의 지실 추출물을 첨가한 그룹 3 내지 5에서의 5알파환원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여, 농도에 따른 지실 추출물의 5알파환원효소 활성 저해 효과를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5알파환원효소의 활성(%)은 지실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100에서 92.79, 61.11로, 그룹 5에 이르러서는 31.58(%)로 매우 급격하게 저해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지실 추출물은 5알파환원효소에 대한 저해제로서, 테스토스테론(T)를 디하이드로 테스토스테론(DHT)로 전환시켜 전립선 관련 질환에 관여하는 중요한 효소인 5알파환원효소를 억제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실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5알파환원효소의 활성(%)이 급격히 감소하여 5알파환원효소의 작용을 현저하게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서 지실 추출물은 0.1μg/ml 이상 90μg/ml 이하의 농도에서 5알파환원효소의 활성 저해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1-3. 5알파환원효소에 대한 효소 저해율 측정(대조군: 피나스테라이드 )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인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를 시료로 이용하여 5알파환원효소의 활성 억제 효과를 대조하였다. 피나스테라이드는 현재 당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제2형 5알파환원효소의 저해제이다.
상기 실험예 1-2의 그룹 3 내지 5에서 측정한 지실의 효소 저해율 및 이를 바탕으로 5알파환원효소의 활성을 50% 억제하는 농도인 IC50을 계산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0.25 μM, 0.5 μM, 및 1 μM 농도의 피나스테라이드(F1293, Sigma-aldrich, 미국)의 효소 저해율 및 IC50을 계산하였다.
상기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 P<0.05, ** P<0.01은 그룹 1과 비교시 유의한 경우, # P<0.05, ## P<0.01은 그룹 2와 비교시 차이가 유의한 경우를 고려하였다.
시료 농도 효소 저해율 (%) IC50
지실
(μg/ml)
60
70
80
7.21 ±4.51
38.89 ±7.64
68.42 ±5.97

73.92 ± 0.63
피나스테라이드
(μM)
0.25
0.5
1
10.53 ± 2.60
60.90 ±15.35
78.20 ±12.42

0.60 ± 0.12
상기 표 3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지실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5알파환원효소의 활성 억제율(%)이 급격히 증가하여 5알파환원효소의 작용이 현저하게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지실 추출물의 IC50은 73.92 ± 0.63 (μg/ml), 현재 당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5알파환원효소의 억제제인 피나스테라이드의 IC50은 0.60 ± 0.12 (μM)로 나타났다. 이는 지실 추출물이 천연 추출물인 것을 고려할 때, 그 5알파환원효소 활성 저해 효과가 우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본 발명에서 지실 추출물이 5알파환원효소를 억제하여 5알파환원효소가 중요하게 작용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을 예방 및 치료, 개선할 수 있음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실험예 2: 동물 모델에서의 전립선 비대증 치료 효과 확인 (추출물)
2-1. 동물모델 제작
10 주령의 수컷 wistar 랫트(중앙실험동물 구입, 한군당 6마리)를 1주일간 순화시킨 후, TP(testosterone propionate)를 3 ㎎/㎏으로 피하에 4주간 주입하여 전립선 비대 유도군을 제작하였다.
TP 주입 한 시간 전에 실시예 2의 지실 추출물을 200 ㎎/㎏으로 4주간 경구 투여하여 실험군을 제작하였다.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5α-환원 효소 억제제(reductase inhibitor)인 피나스테리드(finasteride)를 10 ㎎/㎏으로 경구투여 하여, 양성대조군을 제작하였다. 용매 대조군에는 옥수수 기름(corn oil)을 피하에 주입하였다.
2-2. 전립선 무게 측정
실험예 2-1에서 제작한 동물 모델로부터 전립선을 적출한 후 그 무게를 측정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NC: 정상군, BPH: 전립선 비대증 유발군, Fin: 전립선 비대증 유발군 + 피나스테리드 투여군, GO-10: 전립선 비대증 유발군 + 지실추출물 투여군, 이하 동일). 통계학적인 분석은 ANOVA로 수행하였으며, * P<0.05, ** P<0.01는 정상군(NC)과 비교 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경우, # P<0.05, ## P<0.01는 유발군(BPH)과 차이가 유의한 경우를 고려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보는 것 같이 정상군(NC)에 비하여 전립선 비대증 유발군(BPH)의 전립선 무게가 2배 이상 증가하였으나, 지실 추출물을 투여한 군(GO-10) 의 경우 전립선 무게 증가를 유의하게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억제 효과는 현재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피나스테리드(Fin)과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는바, 이는 지실 추출물의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2-3. 전립선의 DHT 변화 측정
전립선의 발생과 성장과 유지에 필수적인 DHT(디하이드로 테스토스테론)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4주 간의 약물투여를 종료한 후 희생시킨 마우스에서 분리한 전립선 조직에서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추출 완충용액[조성: 50 mM 트리스(Tris) pH 8.0, 150 mM NaCl, 0.02% 아지드화나트륨(sodium azide), 0.2% SDS, 1 mM PMFS, 10 ㎕/㎖ 아프로티닌(aprotinin), 1% 이가펠 630(igapel 630, Sigma Chem.Co. USA), 10 mM 불화소다(Sodium Fluoride,NaF), 0.5mM 에틸렌디아민 사초산(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0.1 mM 에틸렌 글라이콜 테트라산(ethylene glycol tetraacetic acid, EGTA) 및 0.5% 소듐옥시콜레이트(sodium deoxycholate)]을 이용해 전립선을 균질화하였다. 균질액을 20분 동안 14000 rpm에서 원심분리 한 뒤 상등액과 불용성 응집체를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한 상등액의 단백질 농도는 바이오-라드 단백질 분석 키트(Bio-Rad protein assay kit, Bio-Rad,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등액에서 DHT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DHT에 특정 반응하는 ELISA kit(Dakara, Japan)를 사용하였으며, 제조사의 방법에 따라 각 DHT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측정한 값은 단백질 정량값 대비(relative units)로 환산하였다. 통계학적인 분석은 ANOVA로 수행하였으며, * P<0.05, ** P<0.01는 정상군(NC)과 비교 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경우, # P<0.05, ## P<0.01는 유발군(BPH)과 차이가 유의한 경우를 고려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보는 것 같이 정상군(NC)에 비하여 전립선 비대증 유발군(BPH)의 DHT 수치가 매우 증가되었으나, 지실 추출물을 투여한 군(GO-10) 의 경우 상기 DHT 수치의 증가를 유의하게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억제 효과는 현재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피나스테리드(Fin)과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는바, 이는 지실 추출물의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2-4. 전립선의 조직병리학적 변화 비교
조직병리학적 실험을 위해서, 전립선 비대증 유발군에 지실 추출물을 투여한 군(GO-10)을 대상으로 복측 전립선 조직을 10% 중성완충-포르말린으로 24시간 고정한 후 파라핀 포매(paraffin embedding)를 실시하였다. 포매 조직을 4 ㎛ 두께로 절단하여 절편을 만들고, 헤마톡실린(hematoxylin)과 에오신 와이(Eosin Y; ThermoShandon, USA)로 염색하였다. 그 후 바로 절편을 봉입액으로 봉입하였으며, 염색과 봉입이 끝난 슬라이드는 광학현미경으로 검사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상군(NC)에 비하여 전립선 비대증 유발군(BPH)에서 상피세포의 높이와 수가 과증식된 결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지실 추출물을 투여한 군(GO-10) 의 경우 상피세포의 과증식이 매우 감소하였다. 특히, 이러한 효과는 현재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피나스테리드(Fin)에 비하여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는바, 이는 지실 추출물의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실험예 3: 지실 추출물 분획물에 대한 5알파환원효소에 대한 효소 활성 측정
지실 추출물의 분획물에 대한 5알파환원효소 활성 저해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실 분획물의 농도를 달리한 하기의 5개 그룹에 대하여 실험예 1-2에 기재된 방법으로 각각 3번에 걸쳐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고, 5알파환원효소의 활성을 계산하였다. 통계학적인 분석은 ANOVA로 수행하였으며, * P<0.05, ** P<0.01은 그룹 1과 비교시 유의한 경우, # P<0.05, ## P<0.01은 그룹 2와 비교시 유의한 경우로 고려하였다.
-그룹 1: 상기 실험예 1-1의 5알파환원효소 조성물 25 μg
-그룹 2: 그룹 1에 50 μg의 테스토스테론(T0028, TCI, 일본)을 첨가한 조성물
-그룹 3: 그룹 2에 실시예 3-2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GO10-EA), 실시예 3-3의 부탄올 분획물 (GO10-B), 실시예 3-4의 물 분획물 (GO10-W) 각각을 50 μg/mL의 농도로 반응시킨 조성물
-그룹 4: 그룹 2에 GO10-EA, GO10-B, GO10-W 각각을 100 μg/mL의 농도로 반응시킨 조성물
-그룹 5: 그룹 2에 GO10-EA, GO10-B, GO10-W 각각을 200 μg/mL의 농도로 반응시킨 조성물
그 결과,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특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경우 5알파환원효소의 활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억제하였으며, 200 μg/mL 이상의 농도에서 특히 현저한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동물 모델에서의 전립선 비대증 치료 효과 확인 ( 분획물 )
4-1. 동물모델 제작
10 주령의 수컷 wistar 랫트(중앙실험동물 구입, 한군당 6마리)를 1주일간 순화시킨 후, TP(testosterone propionate)를 3 ㎎/㎏으로 피하에 4주간 주입하여 전립선 비대 유도군을 제작하였다.
TP 주입 한 시간 전에 실시예 3에서 제조한 4종류의 분획물 각각을 100 ㎎/㎏으로 4주간 경구 투여하여 실험군을 제작하였다.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5α-환원 효소 억제제(reductase inhibitor)인 피나스테리드(finasteride)를 10 ㎎/㎏으로 경구투여 하여, 양성대조군을 제작하였다. 용매 대조군에는 옥수수 기름(corn oil)을 피하에 주입하였다.
이하, 상기 제작된 동물 모델 그룹은 다음과 같이 표시한다. NC: 정상군, BPH: 전립선 비대증 유발군, Fin: 전립선 비대증 유발군 + 피나스테리드 투여군, Hexane: 전립선 비대증 유발군 + 지실 헥산 분획물(실시예 3-1) 투여군, EA: 전립선 비대증 유발군 + 지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실시예 3-2) 투여군, BuOH: 전립선 비대증 유발군 + 지실 부탄올 분획물(실시예 3-3) 투여군, Water: 전립선 비대증 유발군 + 지실 물 분획물(실시예 3-4) 투여군.
4-2. 전립선 무게 측정
실험예 4-1에서 제작한 각 그룹으로부터 전립선을 적출한 후 그 무게를 측정하여 도 6에 나타내었다. 통계학적인 분석은 ANOVA로 수행하였으며, * P<0.05와 ** P<0.01는 정상군(NC)과 비교 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경우, # P<0.05와 ## P<0.01는 유발군(BPH)과 차이가 유의한 경우를 고려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상군(NC)에 비하여 전립선 비대증 유발군(BPH)의 전립선 무게가 2배 이상 증가하였으나, 지실 추출물의 분획물의 경우 전립선 무게 증가를 유의하게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부탄올 분획물(BuOH)과 물 분획물(Water)의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상기 억제 효과는 현재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피나스테리드(Fin)과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는바, 이는 지실 추출물의 분획물의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지실 추출물과 이의 분획물은 전립선염,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암 등의 전립선 관련 질환의 유발과 관계가 높은 5알파환원효소의 활성을 현저히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TP에 의해 유도된 전립선 비대 동물 모델에서도 지실 추출물이 전립선 무게의 증가를 억제하고, 전립선의 발생과 성장과 유지에 필수적인 DHT(디하이드로 테스토스테론) 수치의 증가를 유의하게 억제하였으며, 전립선 상피세포의 과증식을 매우 억제하였다. 특히, 이러한 효과는 현재 전립선 관련 질환에 대한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는 피나스테리드에 이를 정도의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지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 개선을 위하여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지실(Ponciri Fructus)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실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지실 추출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헥산(hexane),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분획하여 제조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는 5알파환원효소의 활성 감소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립선 관련 질환은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염, 전립선암, 전립선 농양, 및 전립선석회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환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7. 지실(Ponciri Fructus)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식품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인 것인, 식품 조성물.
  9. 지실(Ponciri Fructus)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의약외품 조성물.
KR1020140153894A 2014-01-21 2014-11-06 지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627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384 2014-01-21
KR20140007384 2014-0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794A true KR20150087794A (ko) 2015-07-30
KR101662719B1 KR101662719B1 (ko) 2016-10-07

Family

ID=53681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894A KR101662719B1 (ko) 2014-01-21 2014-11-06 지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62719B1 (ko)
WO (1) WO201511183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68296A (zh) * 2017-02-15 2017-05-17 四川双鑫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治疗前列腺疾病的丸剂药物及其制备方法
KR20210004208A (ko) * 2019-07-03 2021-01-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육계 및 금앵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618B1 (ko) 2017-07-18 2019-07-02 코스맥스 주식회사 발효 지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KR102232718B1 (ko) * 2019-01-16 2021-03-29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도공단풀의 신규 용도
KR20210131036A (ko) 2020-04-23 2021-11-0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지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난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548A (ko) * 2000-05-03 2001-11-14 서유헌 지실로부터 유효성분의 추출·정제방법 및 그 추출물을함유한 치매치료용 생약 조성물
KR100872108B1 (ko) * 2007-05-14 2008-12-05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지실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23174A (ko) * 2011-08-26 2013-03-07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지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췌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sci. Biotechnol. Biochem. 2009. Vol. 73, No. 10, pp. 2167-2171* *
Pharmazie. 2006. Vol. 61, No. 9, pp. 796-798*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68296A (zh) * 2017-02-15 2017-05-17 四川双鑫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治疗前列腺疾病的丸剂药物及其制备方法
KR20210004208A (ko) * 2019-07-03 2021-01-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육계 및 금앵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11832A1 (ko) 2015-07-30
KR101662719B1 (ko) 2016-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580B1 (ko) 다물린 에이 및 다물린 비 함량이 증가된 신규 돌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사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662719B1 (ko) 지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51907B1 (ko) 갈색거저리 유충의 추출물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현탁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80015495A (ko) 대사활성을 촉진시키는 탄시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비만 및 대사증후군 치료제
JP2012516842A (ja) 代謝症候群の抑制のためのスファランサス・インディクスおよびガルシニア・マンゴスターナ由来の組成物
KR101158856B1 (ko) 콩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고지혈증, 동맥경화, 지방간, 당뇨 또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08221B1 (ko) 금방동사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2519649B1 (ko) 캠퍼롤 및 에피카테킨 갈레이드를 포함하는 홍경천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U2004238122B2 (en) Composition for lowering lipid in body
KR102182724B1 (ko) 풀무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WO2015030336A1 (ko) 포도 및 오미자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2992933B1 (en) Ginsenoside f2 for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liver disease
KR101552813B1 (ko) 사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5534654B2 (ja) 抗炎症剤
KR102120220B1 (ko) 천연식물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부 비만 감소용 화장료 또는 식품 조성물
KR20180000136A (ko) 오신채를 유효성분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및 남성 갱년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50048495A (ko) 육종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63321B1 (ko) 와송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궁근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388984B1 (ko) 모새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0836711B1 (ko) 아라자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 보호용 약학적조성물
KR101340040B1 (ko) 맥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6830266B2 (ja) Nash改善用組成物、nash改善用食品組成物、nash改善用飲料組成物、nashから肝硬変への移行予防用組成物及びnashから肝細胞癌への移行予防用組成物
EP4173632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health functional food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 containing powder of novel hybrid mushroom as active ingredient
KR20110078237A (ko)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552816B1 (ko) 여로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