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7472A - 와전류 검사용 자동화 장비 및 자동화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와전류 검사용 자동화 장비 및 자동화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7472A
KR20150087472A KR1020140007188A KR20140007188A KR20150087472A KR 20150087472 A KR20150087472 A KR 20150087472A KR 1020140007188 A KR1020140007188 A KR 1020140007188A KR 20140007188 A KR20140007188 A KR 20140007188A KR 20150087472 A KR20150087472 A KR 20150087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dy current
inspection object
marking
unit
conveying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강
김형진
박건태
이민기
Original Assignee
기초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초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기초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07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7472A/ko
Publication of KR20150087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4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9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 G01N27/9013Arrangements for sc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electric or electromagnetic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9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 G01N27/9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with two or more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9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 G01N27/904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by analysing electrical sig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9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 G01N27/9093Arrangements for supporting the sensor; Combinations of eddy-current sensors and auxiliary arrangements for marking or for rejecting

Abstract

본 발명은 와전류 검사용 자동화 장비 및 자동화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검사체에 대한 합격의 유무 판단과 더불어 불량품과 합격품을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으므로 서로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합격품은 마킹 처리하므로 검사체의 추적 및 관리를 유용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누설부분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는 각종 용접제품, 압력용기, 접합부품, 열처리부품 등에 유용하게 사용 및 비파괴 검사를 실시할 수 있으며, 검사체에 대해 와전류 검사를 자동화 처리할 수 있는 와전류 검사용 자동화 장비 및 자동화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와전류 검사용 자동화 장비 및 자동화 처리방법{AUTOMATION APPARATUS AND TREATING METHOD FOR EDDY CURRENT TEST}
본 발명은 비파괴검사 장비인 와전류 검사용 자동화 장비 및 자동화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검사체에 대한 합격의 유무 판단과 더불어 불량품과 합격품을 분리 처리하여 서로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합격품은 마킹 처리를 통해 제품(검사체)의 추적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와전류 검사용 자동화 장비 및 자동화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밀부품의 용접부, 압력용기, 접합부, 열처리 제품 및 각종 구조물의 완성품에 대한 누설(leak) 유무 및 열처리 유무를 판단하는데 있어 제품을 파단 및 절단하지 않고는 그 이상 유무를 검사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비파괴 검사를 수행하고 있는데, 비파괴 검사에는 초음파탐상 검사(ultrasonic testing), 방사선투과 검사(radiograpic testing), 자분탐상 검사(magnetic particle testing), 와전류 검사(eddy current test), 액체침투탐상 검사(penetrant testing), 누설 검사(leak test), 음향탐상 검사(acustic emission test) 등이 활용되고 있다.
여기서, 와전류 검사는 와전류가 검사체 표면 근방의 균열 등의 불연속에 의하여 변화하는 것 또는 검사체의 전자기 특성이나 형상 치수 등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검사체에 존재하는 결함을 찾아내는 방식의 것으로서, 와전류 검사장비가 사용되고 있으며, 용접이나 열처리 또는 건설 분야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와전류 검사장비를 통해서는 검사체에 흐르는 와전류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검사체에 존재하는 결함의 유무나 재질 평가 등의 시험이 가능하다.
일 예로, 상기 와전류 검사장비는 중이온 가속기에서 선형가속기에 속하는 냉각모듈(Cryomodule) 및 가속관(cavity)에 장착되는 제품 및 부품을 검사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부연하여, 선형가속기의 냉각모듈(Cryomodule) 및 가속관(cavity)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용접이나 파이프 가공을 통한 제작작업이 필수적으로 수행되는데, 용접 후에 완성된 제품을 파괴하지 않고 그에 따른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는 쉽지 않은 형편으로서, 비파괴 검사를 위한 와전류 검사장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사용되고 있는 와전류 검사장비는 육안 검사 및 수동의 형태가 대부분으로서, 측정에 대한 오차뿐만 아니라 측정자의 측정반복 오차에 의한 측정오차 또한 발생하고 있으며, 수동으로 제품을 검사하므로 인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많은 인건비가 소요되어 다량의 제품을 검사하는데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와전류 검사장비는 자동화 장비라 하더라도 검사체에 대하여 단순히 합격이나 불합격만을 판단하는 수준의 것으로서, 합격품과 불량품을 이격시켜 분리 처리하지 못함에 따라 서로 혼입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합격품과 불량품을 분리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거나 비파괴 검사를 다시 실시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은, 탐촉자 코일의 임피던스 평형을 조정할 수 있는 와전류 검사 장치 및 와전류 처리 방법의 구성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4884호(2012.01.17. 공고)(발명의 명칭 : 와전류 검사 장치 및 와전류 처리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검사체에 대한 합격의 유무 판단과 더불어 불량품과 합격품을 분리 처리하여 서로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합격품은 마킹 처리를 통해 검사체의 추적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와전류 검사용 자동화 장비 및 자동화 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검사시간을 단축하고 측정자에 의한 측정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하며, 누설부분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는 각종 용접제품, 압력용기, 접합부품, 열처리부품 등에 유용한 검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와전류 검사용 자동화 장비 및 자동화 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전류 검사용 자동화 장비는, 검사체를 이송 처리하기 위한 이송컨베이어; 상기 이송컨베이어 상에 검사체를 로딩 처리하기 위한 도입부; 상기 이송컨베이어 상에 로딩되어 이송 처리되는 검사체에 대해 와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와전류측정부; 상기 와전류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와전류를 입력받아 검사체의 합격 유무를 판정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합격 판정된 양품의 검사체에 대해 마킹 처리하기 위한 마킹부; 상기 제어부 또는 마킹부를 거친 검사체를 이송컨베이어 상에서 배출 처리하되, 양품과 불량품에 대해 분리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도입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시작점 앞쪽 또는 측면에 근접 배치될 수 있으며, 검사체가 적재되는 검사체보관대; 상기 검사체보관대에 적재된 검사체를 1개씩 앞쪽으로 밀어내주어 이송컨베이어 상에 검사체를 위치되게 하는 로딩처리용 푸셔; 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마킹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끝단부 상측에 위치하여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양품의 검사체에 잉크 마킹 또는 레이저 마킹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끝단부 측면에 위치하되 마킹부 이전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불량 판정된 검사체의 불량품을 밀어내 이송컨베이어 상에서 배출시키는 불량처리용 푸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끝단부 측면에 위치하되 마킹부 측에 배치되며, 상기 마킹부를 통하여 마킹 처리된 양품의 검사체를 배출 처리하기 위한 양품배출수단; 상기 불량처리용 푸셔에 의해 배출되는 불량품 검사체를 보관하기 위한 불량품보관대; 상기 양품배출수단에 의해 배출되는 양품 검사체를 보관하기 위한 양품보관대; 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품배출수단은, 상기 마킹부를 통하여 마킹 처리된 양품의 검사체를 붙잡기 위한 홀딩부재; 상기 홀딩부재의 위치 이동을 위한 위치조정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딩부재는 그립퍼 또는 전자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에서 검사체에 대해 불합격 판정시, 검사체가 불량품임을 알리기 위한 불량품표시부; 를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검사체에 대한 합격 유무 판정시, 그 합격 유무 판정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에는 상면에 검사체의 이송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전류 검사용 자동화 처리방법은, (A) 와전류 검사를 위한 검사체를 이송컨베이어의 시작점 상에 로딩시키는 단계; (B)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움직여 검사체를 와전류측정부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 (C) 상기 와전류측정부에서 검사체에 대해 와전류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값을 제어부로 보내는 단계; (D) 상기 제어부에서 와전류측정부로부터 입력받은 측정값을 기준하여 검사체에 대해 양품 또는 불량품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양품 판정이 이루어지면, 검사체를 마킹부 상에 위치시킨 후, 마킹부를 통해 검사체에 마킹 처리하는 단계; (F) 상기 마킹 처리된 양품 검사체에 대해 이송컨베이어 상에서 배출시키되, 양품보관대로 배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D)단계에서 불량품 판정이 이루어지면, 불량품표시부를 통해 경보를 표출하고, 불량품에 대해 마킹부로 이동하기 이전에 이송컨베이어 상에서 배출시키되 불량품보관대로 배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검사체에 대한 합격의 유무 판단과 더불어 불량품과 합격품을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는 자동화 장비를 제공할 수 있으며, 검사를 완료한 검사체의 양품과 불량품에 대해 상호간에 제품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합격품은 마킹 처리하므로 검사체의 추적 및 관리를 보다 유용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검사시간을 단축하고 측정자에 의한 측정오차를 줄일 수 있으며, 누설부분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는 각종 용접제품, 압력용기, 접합부품, 열처리부품 등에 유용하게 사용 및 비파괴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전류 검사용 자동화 장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전류 검사용 자동화 장비를 나타낸 개략적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 이송컨베이어의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일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 배출부의 불량처리용 푸셔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 배출부의 양품배출수단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 배출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전류 검사용 자동화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전류 검사용 자동화 장비는, 검사체(1)를 이송 처리하기 위한 이송컨베이어(11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110) 상에 검사체(1)를 로딩(loading) 처리하기 위한 도입부(12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110) 상에 로딩되어 이송 처리되는 검사체(1)에 대해 와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와전류측정부(130)와, 상기 와전류측정부(130)로부터 측정된 와전류를 입력받아 검사체(1)의 합격 유무를 판정하기 위한 제어부(140)와,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합격 판정된 양품의 검사체에 대해 마킹 처리하기 위한 마킹부(150)와, 상기 제어부(140) 또는 마킹부(150)를 거친 검사체를 이송컨베이어(110) 상에서 배출 처리하되 양품과 불량품에 대해 분리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16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어부(140)에서 검사체(1)에 대해 불합격 판정시, 검사체가 불량품임을 알리기 위한 불량품표시부(170)를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검사체(1)에 대한 합격 유무 판정시, 그 합격 유무 판정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80)를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이송컨베이어(110)는 검사체(1)의 이송을 위한 것으로서, 벨트컨베이어가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상기 이송컨베이어(110)에는 도 3에 나타낸 예시에서와 같이, 그 상면에 검사체의 이송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111)를 구비함으로써 이송컨베이어(110)를 통해 이송되는 검사체(1)를 지지하면서 안내하도록 하여 안정된 이송뿐만 아니라 검사체(1)의 방향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와전류 검사에 정확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111)는 검사체(1)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입부(12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110)의 시작점 앞쪽 또는 측면에 근접 배치되며 와전류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검사체(1)를 적재하기 위한 검사체보관대(121)와, 상기 검사체보관대(121)에 적재된 검사체(1)를 1개씩 앞쪽으로 밀어내주어 이송컨베이어(110)의 시작점 상에 검사체(1)를 위치되게 하는 로딩처리용 푸셔(122)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사체보관대(121)는 검사체의 형상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배치 위치에 따라 하단부의 정면 또는 측면에 개구를 형성함으로써 로딩처리용 푸셔(122)가 검사체를 용이하게 밀어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로딩처리용 푸셔(122)는 검사체보관대(121)의 앞쪽에 배치되며, 전후진 실린더의 결합을 통해 검사체(1)를 밀어내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와전류 측정부(130)와 제어부(140)는 본체(101)를 구비하여 본체(101) 상에 구비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본체(101)는 이송컨베이어(110) 상의 중간지점에 설치하되 이송컨베이어(110)가 본체(110)를 관통하여 배치되게 한다.
이때, 상기 본체(101)에는 상기 불량품표시부(170)와 디스플레이부(180) 또한 구비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량품표시부(170)는 경광등이나 경보음향 또는 이들의 혼합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데, 경보음향은 단순 기계음의 알람 또는 "불량품입니다."라는 목소리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80)는 LCD(액정표시패널) 등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OK"나 "NO"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와전류측정부(130)는 비접촉의 형태로 검사체에 대해 와전류를 측정할 수 있는 기존의 공지된 와전류 측정장비를 모두 적용할 수 있다 할 것인데, 본체(101)에 구비하되 이송컨베이어(110) 상에 위치하는 검사체(1)에 대해 와전류의 측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위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와전류측정부(130)에 대한 구성요소를 특정하는 것이 아니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와전류측정부(130)로부터 측정된 와전류 값을 입력받아 기 설정된 기준값에 대비하여 비교 연산함으로써 검사체(1)의 합격 유무를 판정하게 된다.
상기 마킹부(15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110)의 끝단부 상측에 위치하여 구비되는 것으로서,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양품으로 판정된 검사체의 표면에 잉크 마킹 또는 레이저 마킹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부연하여, 상기 마킹부(150)는 잉크 마킹기 또는 레이저 마킹기로 구성할 수 있는데, 승강실린더 또는 모터 결합을 통해 승강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양품 검사체에는 년/월/일 등의 일련번호나 합격품 표시 등으로 다양하게 마킹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160)는 도 2와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예시에서와 같이, 상기 이송컨베이어(110)의 끝단부 측면에 위치하되 마킹부(150) 이전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140)를 통하여 불량 판정된 검사체의 불량품을 밀어내 이송컨베이어(110) 상에서 배출시키기 위한 불량처리용 푸셔(161)와, 상기 이송컨베이어(110)의 끝단부 측면에 위치하되 마킹부(150) 측에 근접 배치되며 상기 마킹부(150)를 통하여 마킹 처리된 양품의 검사체를 이송컨베이어(110) 상에서 배출시키기 위한 양품배출수단(162)과, 상기 불량처리용 푸셔(161)에 의해 배출되는 불량품 검사체를 보관하기 위한 불량품보관대(163)와, 상기 양품배출수단(162)에 의해 배출되는 양품 검사체를 보관하기 위한 양품보관대(164)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품배출수단(162)은 상기 마킹부(150)를 통하여 마킹 처리된 양품의 검사체를 붙잡기 위한 홀딩부재(162a)와, 상기 홀딩부재(162a)의 위치 이동을 위한 위치조정부재(162b)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홀딩부재(162a)는 검사체를 움켜쥐기 위한 형태로 그립퍼일 수 있고, 검사체가 금속재일 경우 전자석일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상기 위치조정부재(162b)는 홀딩부재에 대해 회전에 의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모터에 기어가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정부재(162b)는 홀딩부재에 대해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실린더 또는 모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조정부재(162b)는 홀딩부재에 대해 승강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실린더 또는 모터일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양품배출수단(162)은 필요에 따라 홀딩부재를 회전 이동함과 더불어 승강 동작되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홀딩부재를 전후 이동함과 더불어 승강 동작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양품배출수단(162)은 불량품 검사체의 배출을 위한 불량처리용 푸셔와 같이 푸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양품 검사체의 품질 보호를 위해 그립퍼나 전자석 등의 홀딩부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자동화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입부(120), 와전류측정부(130), 마킹부(150), 배출부(160) 측 각각에는 이송컨베이어(110)를 통해 이송되는 검사체의 위치 인식 및 장비의 안전한 구동을 위해 위치감지센서 등 다수의 센서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당해분야에서 자명한 정도의 것이라 할 것이다.
덧붙여, 상기 검사체(1)는 누설부분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는 각종 용접제품, 압력용기, 접합부품, 열처리부품일 수 있는데, 특히 선형가속기의 냉각모듈(Cryomodule) 또는 가속관(Cavity)에 장착되는 QWR, HWR, SSR1, SSR2 중에서 어느 1종일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와전류 검사용 자동화 장비는 아래와 같은 처리방식으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입부(120)의 로딩처리용 푸셔(122)를 구동하여 검사체보관대(121)에 적재되어 있는 검사체(1)를 밀어내 이송컨베이어(110)의 시작점 상에 검사체(1)를 위치되게 한다(S1).
이송컨베이어(110)를 움직여 로딩 상태에 있는 검사체(1)를 단계별로 이송 처리하되 와전류측정부(130)의 아래쪽에 검사체(1)를 위치시킨다.
와전류측정부(130)에서는 검사체(1)를 측정(S2)하고, 그 측정된 값을 제어부(140)로 보내며, 제어부(140)에서는 검사체(1)에 대해 측정된 값에 기준하여 양품 또는 불량품의 여부를 판정한다(S3).
이때, 제어부(140)를 통해 이루어지는 검사체(1)의 합격 여부 판정은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므로 시각을 통한 확인을 가능하게 한다.
제어부(140)에 의한 합격 여부 판정이 이루어진 검사체(1)는 이송컨베이어(110)를 움직여 다시 이송 처리하게 되는데, 양품에 대해서는 이송컨베이어(110)를 통해 마킹부(150) 아래쪽에 양품 검사체를 위치시킨 후, 마킹부(150)를 움직여 양품 검사체의 표면에 일련번호나 합격 표시 등이 표시되도록 마킹 처리한다(S4).
마킹 처리가 완료된 양품 검사체에 대해 마킹부(150)를 원상 복귀시킨 후, 양품배출수단(162)의 홀딩부재(162a)를 움직여 이송컨베이어(110) 상에 위치된 양품 검사체를 붙잡은 상태에서 위치조정부재(162b)의 구동에 의해 홀딩부재(162a)를 회전 이동 또는 위치 이동시킴으로써 이송컨베이어(110) 상에서 배출하여 양품보관대(164)로 보낸다(S5).
한편, 제어부(140)에 의해 불합격 판정이 이루어진 불량품에 대해서는 불량품표시부(170)를 통해 알람 등의 경보를 표출함으로써 불량 사실을 보다 적극적으로 표출하게 되며, 청각을 통한 확인을 가능하게 한다(S6).
곧이어, 제어부(140)에 의해 불합격 판정이 이루어진 불량품에 대해서는 마킹부(150)로 이동하기 이전에 불량처리용 푸셔(161)를 구동하여 불량품 검사체를 밀어냄으로써 이송컨베이어(110) 상에서 배출하여 불량품보관대(163)로 보낸다(S7).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검사체에 대한 양품과 불량품을 분리 배출함으로써 서로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일련번호 등의 마킹 처리에 의해 검사체에 대한 추적 및 관리를 유용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또는 수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110: 이송컨베이어 111: 가이드
120: 도입부 121: 검사체보관대
122: 로딩처리용 푸셔 130: 와전류측정부
140: 제어부 150: 마킹부
160: 배출부 161: 불량처리용 푸셔
162: 양품배출수단 162a: 홀딩부재
162b: 위치조정부재 163: 불량품보관대
164: 양품보관대 170: 불량품표시부
180: 디스플레이부

Claims (11)

  1. 검사체를 이송 처리하기 위한 이송컨베이어;
    상기 이송컨베이어 상에 검사체를 로딩(loading) 처리하기 위한 도입부;
    상기 이송컨베이어 상에 로딩되어 이송 처리되는 검사체에 대해 와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와전류측정부;
    상기 와전류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와전류를 입력받아 검사체의 합격 유무를 판정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합격 판정된 양품의 검사체에 대해 마킹 처리하기 위한 마킹부;
    상기 제어부 또는 마킹부를 거친 검사체를 이송컨베이어 상에서 배출 처리하되, 양품과 불량품에 대해 분리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 검사용 자동화 장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시작점 앞쪽 또는 측면에 근접 배치될 수 있으며, 검사체가 적재되는 검사체보관대;
    상기 검사체보관대에 적재된 검사체를 1개씩 앞쪽으로 밀어내주어 이송컨베이어 상에 검사체를 위치되게 하는 로딩처리용 푸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 검사용 자동화 장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끝단부 상측에 위치하여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양품의 검사체에 잉크 마킹 또는 레이저 마킹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 검사용 자동화 장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끝단부 측면에 위치하되 마킹부 이전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불량 판정된 검사체의 불량품을 밀어내 이송컨베이어 상에서 배출시키는 불량처리용 푸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끝단부 측면에 위치하되 마킹부 측에 배치되며, 상기 마킹부를 통하여 마킹 처리된 양품의 검사체를 배출 처리하기 위한 양품배출수단;
    상기 불량처리용 푸셔에 의해 배출되는 불량품 검사체를 보관하기 위한 불량품보관대;
    상기 양품배출수단에 의해 배출되는 양품 검사체를 보관하기 위한 양품보관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 검사용 자동화 장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양품배출수단은,
    상기 마킹부를 통하여 마킹 처리된 양품의 검사체를 붙잡기 위한 홀딩부재;
    상기 홀딩부재의 위치 이동을 위한 위치조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 검사용 자동화 장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재는 그립퍼 또는 전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 검사용 자동화 장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검사체에 대해 불합격 판정시, 검사체가 불량품임을 알리기 위한 불량품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 검사용 자동화 장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검사체에 대한 합격 유무 판정시, 그 합격 유무 판정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 검사용 자동화 장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에는 상면에 검사체의 이송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 검사용 자동화 장비.
  10. (A) 와전류 검사를 위한 검사체를 이송컨베이어의 시작점 상에 로딩시키는 단계;
    (B)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움직여 검사체를 와전류측정부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
    (C) 상기 와전류측정부에서 검사체에 대해 와전류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값을 제어부로 보내는 단계;
    (D) 상기 제어부에서 와전류측정부로부터 입력받은 측정값을 기준하여 검사체에 대해 양품 또는 불량품의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양품 판정이 이루어지면, 검사체를 마킹부 상에 위치시킨 후, 마킹부를 통해 검사체에 마킹 처리하는 단계;
    (F) 상기 마킹 처리된 양품 검사체에 대해 이송컨베이어 상에서 배출시키되, 양품보관대로 배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 검사용 자동화 처리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G) 상기 (D)단계에서 불량품 판정이 이루어지면, 불량품표시부를 통해 경보를 표출하고, 불량품에 대해 마킹부로 이동하기 이전에 이송컨베이어 상에서 배출시키되 불량품보관대로 배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전류 검사용 자동화 처리방법.
KR1020140007188A 2014-01-21 2014-01-21 와전류 검사용 자동화 장비 및 자동화 처리방법 KR201500874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188A KR20150087472A (ko) 2014-01-21 2014-01-21 와전류 검사용 자동화 장비 및 자동화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188A KR20150087472A (ko) 2014-01-21 2014-01-21 와전류 검사용 자동화 장비 및 자동화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472A true KR20150087472A (ko) 2015-07-30

Family

ID=53876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188A KR20150087472A (ko) 2014-01-21 2014-01-21 와전류 검사용 자동화 장비 및 자동화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74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148B1 (ko) * 2017-12-22 2018-08-09 조태문 용접품질 검사 시스템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148B1 (ko) * 2017-12-22 2018-08-09 조태문 용접품질 검사 시스템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0492B2 (en) Method for nondestructive testing of pipes
JP5877505B2 (ja) 表面特性検査装置、表面特性検査システム及び表面特性検査方法
KR20180000504A (ko) 비파괴 검사 자동화 장치 및 자동화 방법
JP6371546B2 (ja) 物品検査装置
KR20120088802A (ko) 자동 부품 검증 시스템
KR101539739B1 (ko) 원형 용접제품 용접부의 초음파검사 시스템
CN111289521A (zh) 加工品的表面损伤检查系统
KR20150087472A (ko) 와전류 검사용 자동화 장비 및 자동화 처리방법
JP2012139725A (ja) スポット溶接自動検査装置
JP2012020336A (ja) スポット溶接における一元制御・検知システム
US20170367356A1 (en) Pickling machine with detection device
JP6135443B2 (ja) 鋼片の検査・手入れ支援装置及び鋼片の検査・手入れ方法
KR200332887Y1 (ko) 비접촉식 부품외관검사장치
KR101315391B1 (ko) 전자기 유도 센서를 활용한 비파괴 용접품질 전수검사 시스템 및 그 전수검사 방법
JP4711300B2 (ja) 物品検査装置
KR101516641B1 (ko) 원헤드 타입 재료 두께측정 및 이중가접 검사장치와 검사방법
JP7265139B2 (ja) 鋼材の表層の検査方法及び鋼材表層検査システム
KR101872389B1 (ko) Dwtt 가혹시험 설비의 자동화 시스템
JPH11248638A (ja) プレス成形品の自動表面検査方法
JP7395950B2 (ja) 外観検査装置及び外観検査方法
JP7260293B2 (ja) 加工品の自動検査システム
KR101607928B1 (ko) 전동 파워스티어링용 삽입축 결함 자동검사장치
Singhatham et al. Designing of welding defect samples for data mining in defect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using 3D geometric scanners
JP2017173063A (ja) 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WO2019207890A1 (ja) 中子検査装置、中子検査システム、及び中子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