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7110A - 클립 - Google Patents
클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87110A KR20150087110A KR1020150003452A KR20150003452A KR20150087110A KR 20150087110 A KR20150087110 A KR 20150087110A KR 1020150003452 A KR1020150003452 A KR 1020150003452A KR 20150003452 A KR20150003452 A KR 20150003452A KR 20150087110 A KR20150087110 A KR 201500871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gaging
- fixing member
- state
- elastic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2—Releasable fastening devices locking by rotation
- F16B21/04—Releasable fastening devices locking by rotation with bayonet catch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과제) 클릭 발생부에 기인한 외관 저하의 문제를 해소하고, 또한 전환시의 안정된 클릭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일방부재(8)에 타방부재(7)를 착탈 가능하게 구속하는 경우에 이용되며, 일방부재(8)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를 가진 고정부재(1)와, 고정부재(1)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내측 끼움된 상태에서 타방부재(7)의 개구(7a)를 통과하고, 소정 각도 회동시키면 상기 타방부재를 이간 불가능하게 하는 로크부(22)를 가진 회동부재(2)로 이루어지는 클립(3)으로서, 회동부재(2) 및 고정부재(1)의 일방측에 설치된 탄성걸어맞춤편(27)과, 타방측에 설치되어 탄성걸어맞춤편이 걸리거나 벗겨지는 걸어맞춤부(13)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수단(4)을 구비하며, 걸어맞춤수단(4)이 타방부재(7)보다도 고정부재(1)측에 배치되고, 회동부재(2)를 회동시켜서 걸어맞춤부(13)에 대한 탄성걸어맞춤편(27)의 걸어맞춤상태와 걸어맞춤해제상태를 전환하는 것에 동반하여 클릭감을 발생시킨다.
(해결수단) 일방부재(8)에 타방부재(7)를 착탈 가능하게 구속하는 경우에 이용되며, 일방부재(8)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를 가진 고정부재(1)와, 고정부재(1)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내측 끼움된 상태에서 타방부재(7)의 개구(7a)를 통과하고, 소정 각도 회동시키면 상기 타방부재를 이간 불가능하게 하는 로크부(22)를 가진 회동부재(2)로 이루어지는 클립(3)으로서, 회동부재(2) 및 고정부재(1)의 일방측에 설치된 탄성걸어맞춤편(27)과, 타방측에 설치되어 탄성걸어맞춤편이 걸리거나 벗겨지는 걸어맞춤부(13)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수단(4)을 구비하며, 걸어맞춤수단(4)이 타방부재(7)보다도 고정부재(1)측에 배치되고, 회동부재(2)를 회동시켜서 걸어맞춤부(13)에 대한 탄성걸어맞춤편(27)의 걸어맞춤상태와 걸어맞춤해제상태를 전환하는 것에 동반하여 클릭감을 발생시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2피스 타입의 클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방부재(예를 들면, 장치나 기기류 또는 그들에 타방부재와의 관계로 설치되는 부재)에 타방부재(예를 들면, 장치나 기기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부품이나 커버 등의 부속품)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거나 구속하는 경우에 매우 적합한 클립에 관한 것이다.
도 9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클립인 반사판 장착장치(A)를 나타내고 있다. 이 구조는 고정부재인 보디(12)와, 보디(12)에 회동 가능하게 내측에서 끼워지는 래치부(11)로 이루어지며, 반사판 장착 금속부재(본원의 일방부재에 대응, 2)에 반사판(본원의 타방부재에 대응, 1)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거나 구속할 경우에 이용된다. 즉, 구조 특징은, 구성부재가 합성수지제의 보디(12) 및 금속제의 래치부(11)로 이루어지는 점, 래치부(11)가 반사판(1)에 설치된 긴 구멍 형상의 삽입구멍(22)에 삽입되고, 또한 회동하는 것에 의해 반사판(1)을 이간 불가능하게 하는 가로편(본원의 로크부에 대응, 11a)을 가지고 있는 점, 반사판(1)이 가로편(11a)을 양측에서 규제하는 1쌍의 다월(dowel, 23)을 가지고 있는 점, 보디(12)가 래치 수납부의 내벽에 형성되어 래치부(1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휨부(15)를 가지고 있는 점에 있다.
그리고 작동 특징은 반사판측 삽입구멍(22)에 대해 가로편(11a)을 그 길이 방향에 일치시켜서 삽입한 후, 가로편(11a)을 90도 회전하여 삽입구멍(22)의 길이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향한 상태에서 반사판(1)을 매달아 유지한다. 그때, 가로편(11a)은 다월(23)을 타고 넘어 쌍으로 된 다월(23) 사이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부주의하게 회전하지 않게 된다. 또한, 가로편(11a)이 다월(23)을 타고 넘을 때는, 래치부(11)가 하방으로 약간 이동하지 않으면 안 되지만, 그 이동은 휨부(15)가 상하폭을 줄임으로써 실행된다.
상기한 종래 구조에서는, 래치부(11)가 회동 조작되어 가로편(11a)이 휨부(15)의 탄성에 저항해서 반사판(1)의 다월(23)에 올라앉은 동일 도면 (b)의 형태로부터, 가로편(11a)이 동일 도면 (c)와 같이 다월(23)을 타고 넘어 다월(23)과 다월(23) 사이에 배치되는 걸어맞춤상태[이 상태에서는 반사판(1)을 이간 불가능하게 한다], 혹은 삽입구멍(22)의 길이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걸어맞춤해제상태[이 상태에서는 가로편(11a)이 삽입구멍(22)으로부터 빠져서 반사판(1)을 이간 가능하게 한다]로 클릭감(click feeling)을 동반하여 전환된다. 이로 인해, 이 종래 구조라도, 전환시의 클릭감 즉 절도감(節度感)에 의해 양호한 전환 조작성이 얻어진다.
그런데 이상과 같은 구조에서는,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다월(23)이 장착 부품인 반사판(1)에 설치되기 때문에 외관적인 문제를 일으키기 쉽다. 또한, 사용 장소로서 먼지 등이 많은 옥외에서의 사용을 상정하면, 클릭감을 발생하는 개소인 가로편(11a) 및 다월(23)이 항상 노출되어 있는 관계로 먼지나 모래 등이 다월 주위나 가로편의 하면측에 부착하거나 비집고 들어가면 회동 조작성이 나빠지거나, 클릭감도 발생하지 않게 될 우려도 있다. 또한, 보디(11)는 탄성부인 휨부(15)를 일부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강도적(强度的)으로 문제가 되기 쉽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소하여 클릭감 발생부에 기인한 외관적인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없으며, 또한, 클릭감 발생부가 외부의 먼지나 모래 등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하고, 전환시의 안정된 클릭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다른 목적은 이하의 내용 설명 중에서 명백하게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발명은, 도 1∼도 7을 참조하여 특정하면, 일방부재(8)에 타방부재(7)를 착탈 가능하게 구속하는 경우에 이용되며, 상기 일방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를 가진 대략 통 형상의 고정부재(1)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내측 끼움된 상태에서 상기 타방부재에 설치된 개구(7a)를 통과하고, 소정 각도 회동시키면 상기 타방부재를 이간 불가능하게 하는 로크부(22)를 가진 회동부재(2)로 이루어지는 클립(3)으로서, 상기 회동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일방측에 설치된 탄성걸어맞춤편(27)과, 타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걸어맞춤편이 걸리거나 벗겨지는 걸어맞춤부(13)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수단(4)을 구비하며, 상기 걸어맞춤수단이 상기 타방부재보다도 상기 고정부재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켜서 상기 걸어맞춤부에 대한 상기 탄성걸어맞춤편의 걸어맞춤상태와 걸어맞춤해제상태를 전환하는 것에 동반하여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상의 본 발명에 있어서, 「일방부재」와 「타방부재」는, 일방부재에 타방부재를 구속 즉 장착하거나 연결하거나 걸어 고정하는 관계이면 좋다. 「클릭감」은 절도감과 같은 의미이며, 클릭 음을 발생하지 않아도 좋으며, 걸어맞춤부에 대한 탄성걸어맞춤편의 걸어맞춤상태와 걸어맞춤해제상태의 전환이 회동부재의 회동 조작시에 체감할 수 있으면 좋다.
이상의 본 발명은 청구항 2∼6에서 특정한 바와 같이 구체화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가) 상기 걸어맞춤수단은,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에 내측 끼움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의 통 형상 내지는 통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2).
(나) 상기 고정부재는, 통 형상의 하측 주위 벽에 설치되어 상기 일방부재의 장착구멍에 탄성걸어맞춤하는 상기 체결부인 탄성걸어맞춤다리와, 통 형상의 상측 통 내에 설치된 상기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통 형상의 상측 개구가 상기 회동부재에 설치된 플랜지부에 의해 폐색되는 구성이다(청구항 3).
(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걸어맞춤부의 하방에, 또한 상기 체결부의 내측에 설치된 대략 원통 형상의 벽부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벽부의 내측에 끼워 넣어지고, 또한 상기 벽부의 단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 상기 벽부 내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탄성돌조와 상기 탄성걸어맞춤편을 돌출하고 있는 축부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4)
(라)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에 삽입되는 축부를 가지며, 상기 탄성걸어맞춤편이 상기 축부의 일부로부터 상기 축부와의 사이에 틈새를 유지한 상태에서 축선 위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고, 또한 그 연장 돌출단에 상기 걸어맞춤부와 걸거나 벗기는 걸어맞춤돌출부를 형성하고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5).
(마)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고정부재(1)의 통 내 주위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직경 방향인 외측으로 일단(一段) 변위하고 있는 대략 ㄴ자형의 단차부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탄성걸어맞춤편은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에 의해 상기 단차부에 걸어 맞춘 걸어맞춤상태와 상기 단차부끼리의 사이를 형성하고 있는 내주면에 압접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걸어맞춤해제상태로 전환되는 구성이다(청구항 6).
(바) 상기 로크부는, 하면에 설치되어 타방부재의 상면에 맞닿음 가능한 돌기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7).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걸어맞춤수단이 클립 구성부재인 고정부재 및 회동부재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특허문헌 1에 비하여 외관을 해친다고 하는 문제가 없어진다. 또한,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걸어맞춤수단이 특허문헌 1과 같이 일방부재나 타방부재에 관계없이, 게다가 걸어맞춤수단이 타방부재보다도 고정부재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형태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먼지 등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하기 쉬운 점에서 우수하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걸어맞춤수단이 고정부재의 통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특허문헌 1에 비하여, 사용 개소로서 먼지 등이 많은 옥외라도 먼지나 모래 등이 통 내로 침입하기 어려워져 양호한 클릭 발생 작동을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고정부재가 일방부재의 장착구멍에 대해서 체결부로서 탄성걸어맞춤다리를 걸어 맞추어 원터치 조작에 의해 장착 가능한 점에서 특허문헌 1과 같다. 더불어서, 본 발명에서는, 고정부재가 탄성걸어맞춤편과 걸거나 벗기는 걸어맞춤부를 상측 통 내에 설치하고, 그 통의 상측 개구를 회동부재의 플랜지부에서 폐색하기 때문에, 통 내로의 먼지나 모래 등의 침입의 우려가 더욱 확실하게 저지되며, 그것에 의해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고정부재가 걸어맞춤부 하방에, 또한 체결부의 내측에 설치된 대략 원통 형상의 벽부를 가지며, 회동부재가 그 벽부의 내측에 끼워 넣어지는 축부 및 그 축부에 설치되어 상기 벽부 단면에 끼워 맞추어 상기 벽부 내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탄성돌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 부재의 걸어맞춤부인 벽부 및 탄성돌조를 걸어맞춤수단과 함께 형성하기 쉬워지고, 또 회동부재를 고정부재에 원터치 조작에 의해 빠짐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특히, 회동부재가 고정부재의 내측에 삽입되는 축부를 가지며, 탄성걸어맞춤편을 그 축부의 일부로부터 상기 축부와의 사이에 틈새를 유지한 상태에서 축선 위 방향으로 연장 돌출했기 때문에, 탄성걸어맞춤편의 추가에 동반하는 대형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6의 발명에서는, 걸어맞춤부 및 탄성걸어맞춤편이 복수로 이루어지는 구성과, 탄성걸어맞춤편이 단차부에 걸어 맞춘 걸어맞춤상태와 단차부끼리의 사이를 형성하고 있는 내주면에 압접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걸어맞춤해제상태로 전환되는 구성에 의해 전환용의 클릭감을 확실하게 얻을 수 있고, 그것에 의해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서는, 회동부재가 도 5와 같이 플랜지부와 로크부의 사이에 타방부재를 끼워 넣고 로크부를 통하여 이간 불가능하게 구속한 상태에서, 로크부 하면의 돌기에 의해 타방부재에 대한 안정된 끼움지지상태가 얻어지는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형태의 클립을 고정부재와 회동부재를 분해한 상태로 나타내는 모식 외관도이다.
도 2는 상기 고정부재에 회동부재를 빠짐 방지하여 조립한 상태로 나타내며, (a)는 상면도, (b)는 (a)의 A-A선 단면도, (c)는 하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2 (b)의 B-B선 단면도, (b)는 (a)의 상태로부터 회동부재를 회동하고 있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클립을 이용하여 일방부재에 타방부재를 구속하는 조작예를 나타내며, (a)는 상면도, (b)는 (a)의 C-C선 단면도, (c)는 하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로부터 구속완료상태를 나타내며, (a)는 상면도, (b)는 (a)의 D-D선 단면도, (c)는 하면도이다.
도 6은 상기 고정부재 단품으로 나타내며, (a)는 상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 (d)는 (b)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회동부재 단품으로 나타내며, (a)는 상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 (d)는 (b)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회동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며, (a)는 변형예 1과 4를 나타내는 단면도, (b)는 변형예 2를 나타내는 단면도, (c)는 변형예 3과 4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특허문헌 1의 구조를 나타내며, (a)는 특허문헌 1의 도 3, (b) 및 (c)는 특허문헌 1의 도 4와 도 5이다.
도 2는 상기 고정부재에 회동부재를 빠짐 방지하여 조립한 상태로 나타내며, (a)는 상면도, (b)는 (a)의 A-A선 단면도, (c)는 하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2 (b)의 B-B선 단면도, (b)는 (a)의 상태로부터 회동부재를 회동하고 있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클립을 이용하여 일방부재에 타방부재를 구속하는 조작예를 나타내며, (a)는 상면도, (b)는 (a)의 C-C선 단면도, (c)는 하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로부터 구속완료상태를 나타내며, (a)는 상면도, (b)는 (a)의 D-D선 단면도, (c)는 하면도이다.
도 6은 상기 고정부재 단품으로 나타내며, (a)는 상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 (d)는 (b)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회동부재 단품으로 나타내며, (a)는 상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 (d)는 (b)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회동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며, (a)는 변형예 1과 4를 나타내는 단면도, (b)는 변형예 2를 나타내는 단면도, (c)는 변형예 3과 4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특허문헌 1의 구조를 나타내며, (a)는 특허문헌 1의 도 3, (b) 및 (c)는 특허문헌 1의 도 4와 도 5이다.
이하, 본 발명의 형태 및 변형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설명에서는, 클립의 구조를 상세히 서술한 후, 주된 작동을 명백히 하고, 마지막에 도 8의 변형예에 대해서 언급한다.
(구조)
형태의 클립(3)은, 일방부재(8)에 타방부재(7)를 착탈 가능하게 구속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것으로, 일방부재(8)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인 탄성걸어맞춤다리 (16)를 가진 개략 통 형상의 고정부재(1)와, 고정부재(1)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내측 끼움된 상태에서 타방부재(7)에 설치된 개구(7a)를 통과하고, 소정 각도 회동시키면 타방부재(7)를 이간 불가능하게 하는 로크부(22)를 가진 회동부재(2)로 이루어진다.
주된 주요부는, 회동부재(2) 및 고정부재(1)의 일방측에 설치된 탄성걸어맞춤편(27)과, 타방측에 설치되어 탄성걸어맞춤편(27)이 걸리거나 벗겨지는 걸어맞춤부(13)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수단(4)을 구비하고 있는 점, 걸어맞춤수단(4)이 타방부재(7)보다도 고정부재(1)측에 배치되어, 회동부재(2)를 회동시켜서 걸어맞춤부 (13)에 대한 탄성걸어맞춤편(27)의 걸어맞춤상태와 걸어맞춤해제상태를 전환하는 것에 동반하여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점, 걸어맞춤수단(4)이 회동부재(2)를 고정부재(1)에 내측 끼움 상태에서 고정부재(1)의 통부(11)의 통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점, 또한, 고정부재(1)가 하측 통부(15)의 주위 벽에 설치되어 일방부재(8)의 장착구멍 (8a)에 체결부로서 탄성 걸어 맞추는 탄성걸어맞춤다리(16), 및 통부(15)의 내측에 설치된 대략 원통 형상의 벽부(18)를 가지고 있는 점, 회동부재(2)가 고정부재(1)의 통 내에 삽입되는 축부(23)와 통부(11)의 상측 개구를 폐색하는 플랜지부(20), 및 벽부(18)의 내측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벽부(18)의 단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 상기 벽부 내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탄성돌조(26)를 가지고 있는 점 등에 있다. 이하, 이들의 구체적 구성을 명백하게 한다.
여기서, 고정부재(1) 및 회동부재(2)는, 어느 것이나 모두 수지 성형체이지만, 수지 이외라도 상관없다. 또한, 일방부재(8)는 차재용 배터리를 차체측에 구속하는 금속제의 가늘고 긴 판 형상의 프레임을 상정하고 있다. 이 프레임은 도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1)를 장착하기 위해 설치된 대략 직사각형의 장착구멍(8a)을 가지고 있다. 타방부재(7)는 차재용 배터리를 덮는 배터리용 커버를 상정하고 있다. 이 커버에는 회동부재(2)의 로크부(22)에 대응한 개구(7a)가 설치되어 있다. 즉, 이 개구(7a)는 로크부(22)가 동일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삽입하고, 또한, 로크부(22)가 그 삽입된 상태에서 90도 회동되었을 때에 빼내기 불가능하게 되는 크기의 직사각형의 구멍이다.
고정부재(1)는 도 1 및 도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상기의 장착구멍 (8a)보다 한층 큰 직사각형의 플랜지부(10)와, 플랜지부(10)의 상면에 세워 설치된 상측의 통부(11)와, 플랜지부(10)의 하면에 설치되어 장착구멍(8a)에 삽입되는 단면 직사각형인 하측의 통부(15)를 일체로 가지고 있다.
통부(11)는 원통 형상의 내주면(17)을 형성하고 있음과 아울러, 그 내주면 (17)을 4등분 하는 개소에 설치되어 일단(一段) 외측으로 변위하고 있는 4개의 통 부분(11a, 11b)을 가지고 있다. 즉, 통부(11)는 4개로 분할되어 있음과 아울러, 분할 부끼리의 사이에 통 부분(11a 또는 11b)을 개재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통 부분 (11a)끼리는 대향하고, 통 부분(11b)끼리도 대향하고 있다. 또한, 이들 통 부분 (11a, 11b)은 회동부재측의 탄성걸어맞춤편(27)이 걸어 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13)를 내측에 형성하고 있다.
각 걸어맞춤부(13)는 종단면이 대략 ㄴ자형의 단차부(13a 또는 13b)를 형성하고 있다. 단차부(13a)에는 양측을 노치한 세로 홈(14)이 설치되어 있지만, 단차부(13b)에는 그와 같은 세로 홈(14)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내주면(17)은 단차부(13a, 13b)의 돌출 단면과 연속하고 있다. 그리고 내주면(17)은 도 1 및 도 6의 (d)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고 있는 4개소 중, 대향하고 있는 2개소의 것이 하측 통부(15)의 하단까지 연장된 연장부(17a)를 가지고 있다. 또한, 그 연장부(17a)끼리의 사이를 형성하고 있는 내주면(17)은 플랜지부(10)보다 조금 하측까지 연장되어 대략 원통 형상의 벽부(18)를 형성하고 있다.
하측의 통부(15)는 대향한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된 탄성걸어맞춤다리(16)와, 통 내에 설치된 상기 내주면의 연장부(17a)와, 상기한 벽부(18)와, 각 연장부(17a)의 양측에 설치된 합계 4개소의 규제부(19)를 가지고 있다.
탄성걸어맞춤다리(16)는 통부(15)의 측면에 설치된 ㄷ자형의 슬릿(15a)을 통하여 탄성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10)에는 탄성걸어맞춤다리 (16)용의 형 뽑기 구멍(10a)과, 벽부(18)용의 형 뽑기 구멍(10b)이 설치되어 있다. 형 뽑기 구멍(10b)은 플랜지부(10)로부터 통부(15)의 측면 부분도 노치한 상태로 되어 있다. 벽부(18)는 도 6의 (d)로부터 추찰(推察)되는 바와 같이 대향한 연장부 (17a)의 위 양측에 위치하여 후술하는 회동부재의 탄성돌조(26)를 끼워 맞춘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하기 쉽게 하기 위해 하단면을 평면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벽부(18)에는 동일 도면의 확대도와 같이 완만한 오목부(18b)가 원호 형상의 내주에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8b)는 탄성돌조(26)와의 끼워 맞춤 상태에서 덜컥거림을 없애기 위한 구성이다. 각 규제부(19)는 연장부(17a)의 양측과 통부(15)의 측면을 접속한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으며, 도 4 및 도 5의 (c)와 같이 회동부재(2)의 회동을 소정의 범위로 규제하는 스토퍼 면이다.
한편, 회동부재(2)는 도 1 및 도 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상기 통부 (11)의 상측 개구를 폐색하는 플랜지부(20)와, 플랜지부(20)의 상면에 단면 대략 +자형의 머리부(21)를 통하여 설치된 로크부(22)와, 플랜지부(20)의 하면에 돌출 설치된 축부(23)를 일체로 가지고 있다.
플랜지부(20)는 대략 원형이며, 주위의 일부(20a)가 노치되어 있다. 머리부 (21)는 기부(基部, 21a)가 플랜지부(20)의 상면 중앙에 일체화된 상태에서, 타방부재(7)의 두께와 거의 같던지, 약간 길게 설치되어 있다. 로크부(22)는 타방부재(7)에 설치된 직사각형의 개구(7a)에 대해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면, 개구(7a)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삽입되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로크부(22)는 전후면이 중앙을 오목부(22a)로 형성함으로써, 손으로 쥐기 쉽게 되어 있다.
축부(23)는 플랜지부(20)의 하면 중앙에 세워 설치되어 상측 통부(11)에서 하측 통부(15) 내로 삽입되는 길이이며, 선단 주위에 설치된 규제 돌기(24)와, 규제 돌기(24)의 상측 주위에 ㄷ자형 슬릿(23a)으로 구획된 상태로 설치된 탄성돌조 (26)와, 상하 대략 중간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탄성걸어맞춤편(27)을 가지고 있다.
즉, 축부(23)는 선단에서 상하 대략 중간까지가 공동(空洞)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공동이 세로 벽(23b)에 의해 2분할되어 있다. 규제 돌기(24) 및 탄성돌조 (26)는 축 주위 중, 그 분할된 각 주위 부분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양측의 규제 돌기(24)는 각각 상기 단차부(13a)의 양측에 설치된 세로 홈(14)에 대응한 2개 구성이며, 회동부재(2)를 고정부재(1)에 조립할 때에 대응하는 세로 홈(14)을 따라서 끼워 넣어진다. 양측의 탄성돌조(26)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향하여 점차 외측으로 내밀도록 경사져 있다.
탄성걸어맞춤편(27)은 축 주위 중, 각 탄성돌조(26)와 대략 90도 변위한 축 주위의 양측으로 탄성돌조(26)보다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탄성걸어맞춤편(27)은 축부(23)의 대응부를 언더필(underfill)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틈새 (28)를 통하여 직경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환언하면, 탄성걸어맞춤편 (27)은 축부(23)의 일부로부터 해당 축부와의 사이에 틈새(28)를 유지한 상태에서 축선 위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고, 또한 그 연장 돌출단에 걸어맞춤부(13)와 걸거나 벗기는 걸어맞춤돌기(27a)를 가지고 있다. 걸어맞춤돌기(27a)는 도 3과 같이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동일 도면 (a)와 같이 단차부(13a나 13b)에 걸어 맞춘다. 걸어맞춤돌기(27a)는 그 걸어 맞춤에 의해 회동부재(2)의 회전 규제용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걸어맞춤돌기(27a)는 그 걸어맞춤상태로부터 회동부재(2)를 회동 조작하면, 탄성걸어맞춤편(27)의 직경 축소, 즉 틈새(28)측으로의 변형을 동반하여 동일 도면 (b)와 같이 내주면(17)에 삼각형의 정상부를 압접 슬라이드 이동하는 걸어맞춤해제상태로 전환된다. 즉, 걸어맞춤돌기(27a)는 그와 같은 삼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회전시에 매끄러운 슬라이드 이동이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부호 25는 축부(23) 중, 탄성걸어맞춤편(27)끼리 사이의 축 부분에 설치된 언더필부, 부호 25a는 축부(23) 중, 틈새(28)의 바로 상측의 축 부분에 설치된 언더필부이다.
(작동)
이하, 이상의 클립(3)의 주된 작동 특징을 도 3∼도 5를 참조하여 명백하게 한다.
(가) 클립(3)은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1)에 대해 회동부재의 축부(23)를 통부(11)에서 통부(15)측으로 압입(押入)하지만, 그때는 각 규제 돌기(24)를 대응하는 세로 홈(14)에 위치 맞춤한다. 그러면, 축부(23)는 고정부재측의 통부(11)에서 통부(15)로 압입(押入)되는 과정에서, 각 탄성돌조(26)가 단차부(13a)의 돌출 단면에 닿아서 탄성 직경 축소하고, 통과함과 동시에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여 도 5의 (b)와 같이 돌조 선단이 벽부(18)의 단면측에 끼워 맞춘다. 회동부재(2)는 그 벽부(18)의 단면에 대한 탄성돌조(26)의 끼움 맞춤에 의해, 고정부재(1)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빠짐 방지되어 조립된다. 도 2∼도 5는 이상과 같이 하여 회동부재(2)가 고정부재(1)에 빠짐 방지된 상태 즉 조립된 클립(3)을 나타내고 있다.
(나) 그런데, 이상의 클립(3)은, 사용예로서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일방부재(8)에 타방부재(7)를 착탈 가능하게 구속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그때, 이상의 클립(3)은, 플랜지부(10)가 일방부재(8)에 맞닿을 때까지, 일방부재(8)의 장착구멍(8a)에 대해서 하측의 통부(15)를 압입(押入) 조작하면, 탄성걸어맞춤다리(16)가 장착구멍(8a)의 구멍 위 가장자리에 닿아서 탄성 직경 축소하고, 통과함과 동시에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는 것에 의해, 도 4의 (b)와 같이 일방부재(8)를 플랜지부(10)와 탄성걸어맞춤다리(16)의 사이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탄성걸어맞춤다리(16)의 돌조 선단이 장착구멍(8a)의 구멍 위 가장자리에 걸어 맞추어서 고정된다. 물론, 순서로서는, 고정부재(1)를 단품으로 일방부재(8)의 장착구멍 (8a)에 탄성걸어맞춤다리(16)를 통하여 걸어맞춤 고정한 후, 회동부재(2)를 그 고정부재(1)에 조립하도록 해도 좋다.
(다) 타방부재(7)를 일방부재(8)에 장착하거나 구속할 경우는,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타방부재(7)를 일방부재(8)에 가깝게 하여 회동부재의 로크부 (22)를 타방부재의 개구(7a)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삽입한 후, 로크부(22)를 쥐고 소정 각도(이 예에서는θ가 90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한다. 그러면, 이 형태에서는 로크부(22)가 도 5의 (a)와 같이 개구(7a)에 대한 방향이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되어 타방부재(7)를 이간 불가능하게 구속한다. 또한, 이 구속을 해방하여 타방부재(7)를 재차 일방부재(8)로부터 이간할 경우는, 로크부(22)를 쥐고 상기와는 반대 방향으로 소정 각도(이 예에서는θ가 90도)만 회전 조작하여 도 4의 상태로 전환하는 것으로 된다. 이상과 같은 타방부재(7)의 구속 또는 그 구속을 해방하는 전환 조작 자체는 특허문헌 1과 닮아있지만, 전환 조작에 동반하는 클릭감(절도감)을 발생하는 구성 및 회전 범위를 규제하는 구성은 완전히 상위하다. 이하, 그들의 작동에 대해서 상세히 서술한다.
(라) 이상의 클립(3)은 도 2∼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회동부재(2)가 고정부재(1)에 탄성돌조(26)에 의해 빠짐 방지된 상태에 있어서, 도 3의 (a)와 같이 걸어맞춤수단(4)을 구성하고 있는 각 탄성걸어맞춤편의 걸어맞춤돌기(27a)와 걸어맞춤부(3)의 대응하는 단차부(13b)가 걸어 맞추어져 있다. 이 걸어맞춤은, 상기한 바와 같이 회동부재(2)가 단차부(13b)에 대한 걸어맞춤돌기(27a)의 걸어맞춤력에 저항하여 회동되었을 때에 걸어맞춤해제한다. 걸어맞춤해제한 상태에서는, 도 3 (b)의 실선으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탄성걸어맞춤편(27)이 틈새(28)를 줄이는 방향으로 직경 축소하여 변위하고, 그에 따라 걸어맞춤돌기(27a)가 내주면(17)에 올라앉아 내주면(17)을 압접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회동된다. 이 회동은, 도 3 (b)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각 걸어맞춤돌기(27a)가 내주면(17)으로부터 걸어맞춤부(3)의 대응하는 단차부(13a)에 걸어 맞추었을 때에 정지된다. 즉, 각 걸어맞춤돌기(27a)는 대응하는 단차부(13a)까지 회동되면, 탄성걸어맞춤편(27)이 원래 상태로 직경 확대하여 변위하고, 그에 따라 그 대응하는 단차부(13a)에 대해서 소정의 걸어맞춤력으로 걸어 맞춘다.
(마) 따라서, 이 형태에서는 회동부재(2)를 회동 조작하여 로크부(22)가 도 4와 같이 개구(7a)와 겹치는 걸림고정해제상태[타방부재(7)를 이간 가능하게 하는 상태]와, 로크부(22)가 도 5와 같이 개구(7a)와 교차하는 걸림고정상태[타방부재 (7)를 이간 불가능하게 하는 상태]로 전환될 때, 걸어맞춤수단(4) 즉 각 걸어맞춤돌기(27a)와 걸어맞춤부(3)가 대응하는 단차부(13a 또는 13b)의 걸거나 벗기는 것에 의해 양호한 클릭감이 얻어진다. 또한, 이 형태에서는 걸어맞춤수단(4)이 특허문헌 1과 같이 일방부재(8)나 타방부재(7)에 관계없이 설치되고, 또한 통부(11)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특허문헌 1에 비하여 외관적인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점, 걸어맞춤수단(4)이 도 4와 같이 타방부재(7)보다도 안쪽의 고정부재(1)측에 배치되는 점, 걸어맞춤수단(4)이 플랜지부(20)로 폐색되는 통부(11)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점으로부터, 특허문헌 1에 비하여, 사용 개소로서 먼지 등이 많은 옥외라도 먼지나 모래 등이 통 내로 침입하기 어렵고, 그에 따라 양호한 클릭 발생 작동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바) 그런데, 이상과 같이 회동부재(2)의 회동 과정에서는, 도 5의 (b)와 같이 탄성돌조(26)가 벽부(18)의 하단면에 그 선단돌조를 끼워 맞춘 상태에서 회동된다. 이 형태에서는 그 회동 범위가 도 4의 (c)와 같이 축부(23)의 주위에 있어서 180도 변위한 개소에 있는 양 규제 돌기(24)의 하나가 대응하는 규제부(19)에 해당되는 제 1 위치에서 대략 90도 회동 즉 도 5의 (c)와 같이 축부(23)의 주위에 있어서 180도 변위한 개소에 있는 양 규제 돌기(24)의 다른 하나가 대응하는 규제부 (19)에 해당되는 제 2 위치까지이다. 제 1 위치에서는, 걸어맞춤수단(4)이 도 4의 (b)와 같이 각 걸어맞춤돌기(27a)를 걸어맞춤부(3)가 대응하는 단차부(13b)와 걸어 맞추고 있다. 제 2 위치에서는 걸어맞춤수단(4)이 도 5의 (b)와 같이 각 걸어맞춤돌기(27a)를 걸어맞춤부(3)가 대응하는 단차부(13a)와 걸어 맞추고 있다.
(변형예)
이상의 클립(3)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 가능하다. 즉, 변형예 1에서는, 동일 도면 (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회동부재(2)가 로크부(22)의 하면에 있어서 양측 부근에 설치된 볼록형의 돌기(5)를 가지고 있다. 변형예 2에서는, 동일 도면 (b)에 나타내어지는 상기 볼록형의 돌기(5)에 대신하여 회동부재(2)가 로크부(22)의 하면에 설치된 역 삼각형의 돌기(5a)를 가지고 있다. 변형예 3에서는, 동일 도면 (c)에 나타내어지는 상기 돌기(5 나 5a)에 대신하여 회동부재(2)가 로크부(22)의 하면에 설치된 역 직각 삼각형의 돌기(5b)를 가지고 있다.
이상의 돌기(5, 5a, 5b)는, 회동부재(2)가 도 5와 같이 플랜지부(20)와 로크부(22)의 사이에 타방부재(7)를 끼워 넣어서 이간 불가능하게 구속한 상태에서, 타방부재(7)에 대한 안정된 끼움 지지 상태가 얻어진다. 또한, 회동부재(2)가 도 4의 상태에서 도 5의 상태, 도 5의 상태에서 도 4의 상태로 회동되어 전환될 때는, 상기 걸어맞춤수단(4)에 의한 클릭감과 함께, 돌기(5, 5a, 5b)가 개구(7a)로 빠지거나 개구(7a)에서 타방부재(7)의 상면으로 올라앉을 때의 클릭감도 얻어진다. 또한, 이상과 같은 돌기의 형상으로서는, 돌기(5, 5a, 5b) 이외에도, 예를 들면, 로크부 (22)의 하면에 있어서, 도 8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보아 역삼각형이나 역 직각 삼각형을 로크부(22)의 전후 방향에 설치해도 좋다.
변형예 4는, 동일 도면 (a)의 플랜지부(20)의 상면에 돌기(6)를 설치하거나, 동일 도면 (c)의 타방부재(7)의 하면에 돌기(9)를 설치하는 구성이다. 돌기(6 이나 9)의 형상은, 볼록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동일 도면 (b)의 돌기(5a)와 같이 역 삼각형 형상으로 하거나, 동일 도면 (c)의 돌기(5b)와 같이 역 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하거나, 또한 그 이외의 형상이라도 좋다. 이들 돌기(6 이나 9)는 로크부 (22)와 플랜지부(20)의 사이에 타방부재(7)를 끼움 지지했을 때, 그 타방부재(7)에 대한 더욱 안정된 끼움 지지 상태가 얻어지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클립은, 각 청구항에서 특정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좋고, 세부는 이 형태 및 변형예를 참고로 하여 더 변경하거나 전개 가능한 것이다. 그 일례로서, 형태에서는 걸어맞춤부를 고정부재에 설치함과 아울러 탄성걸어맞춤편을 회동부재에 설치한 구성을 나타냈지만, 그 변형예로서는 걸어맞춤부를 회동부재에 설치함과 아울러 탄성걸어맞춤편을 고정부재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용도로서는,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분야에 응용 가능하며, 또한, 명칭도 장착 장치나 로크 장치 등으로 불러도 상관없다.
1: 고정부재
2: 회동부재
3: 클립
4: 걸어맞춤수단
5: 로크부측의 돌기
5a: 로크부측의 돌기
5b: 로크부측의 돌기
6: 플랜지부측의 돌기
7: 타방부재(7a는 개구, 9는 돌기)
8: 일방부재(8a는 장착구멍)
10: 플랜지부
11: 상측의 통부(11a, 11b는 통 부분)
15: 하측의 통부
13: 걸어맞춤부(걸어맞춤수단, 13a, 13b는 단차부)
16: 탄성걸어맞춤다리(체결부)
17: 내주면(17a는 연장부)
18: 벽부
19: 규제부
20: 플랜지부
21: 머리부
22: 로크부
23: 축부
24: 규제 돌기
26: 탄성돌조
27: 탄성걸어맞춤편(걸어맞춤수단, 27a는 걸어맞춤돌기)
28: 틈새
2: 회동부재
3: 클립
4: 걸어맞춤수단
5: 로크부측의 돌기
5a: 로크부측의 돌기
5b: 로크부측의 돌기
6: 플랜지부측의 돌기
7: 타방부재(7a는 개구, 9는 돌기)
8: 일방부재(8a는 장착구멍)
10: 플랜지부
11: 상측의 통부(11a, 11b는 통 부분)
15: 하측의 통부
13: 걸어맞춤부(걸어맞춤수단, 13a, 13b는 단차부)
16: 탄성걸어맞춤다리(체결부)
17: 내주면(17a는 연장부)
18: 벽부
19: 규제부
20: 플랜지부
21: 머리부
22: 로크부
23: 축부
24: 규제 돌기
26: 탄성돌조
27: 탄성걸어맞춤편(걸어맞춤수단, 27a는 걸어맞춤돌기)
28: 틈새
Claims (7)
- 일방부재에 타방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구속하는 경우에 이용되며, 상기 일방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를 가진 통 형상의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내측 끼움된 상태에서 상기 타방부재에 설치된 개구를 통과하고, 소정 각도 회동시키면 상기 타방부재를 이간 불가능하게 하는 로크부를 가진 회동부재로 이루어지는 클립으로서,
상기 회동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일방측에 설치된 탄성걸어맞춤편과, 타방측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걸어맞춤편이 걸리거나 벗겨지는 걸어맞춤부로 이루어지는 걸어맞춤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걸어맞춤수단이 상기 타방부재보다도 상기 고정부재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켜서 상기 걸어맞춤부에 대한 상기 탄성걸어맞춤편의 걸어맞춤상태와 걸어맞춤해제상태를 전환하는 것에 동반하여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수단은,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에 내측 끼움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의 통 형상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통 형상의 하측 주위 벽에 설치되어 상기 일방부재의 장착구멍에 탄성걸어맞춤하는 상기 체결부인 탄성걸어맞춤다리와, 통 형상의 상측 통 내에 설치된 상기 걸어맞춤부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통 형상의 상측 개구가 상기 회동부재에 설치된 플랜지부에 의해 폐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걸어맞춤부의 하방에, 또한 상기 체결부의 내측에 설치된 원통 형상의 벽부를 가지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벽부의 내측에 끼워 넣어지고, 또한 상기 벽부의 단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 상기 벽부 내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탄성돌조와 상기 탄성걸어맞춤편을 돌출하고 있는 축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내측에 삽입되는 축부를 가지며, 상기 탄성걸어맞춤편이 상기 축부의 일부로부터 상기 축부와의 사이에 틈새를 유지한 상태에서 축선 위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고, 또한 그 연장 돌출단에 상기 걸어맞춤부와 걸거나 벗기는 걸어맞춤돌출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통 내 주위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어 직경 방향인 외측으로 일단(一段) 변위하고 있는 ㄴ자형의 단차부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탄성걸어맞춤편은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에 의해 상기 단차부에 걸어 맞춘 걸어맞춤상태와 상기 단차부끼리의 사이를 형성하고 있는 내주면에 압접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걸어맞춤해제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크부는, 하면에 설치되어 타방부재의 상면에 맞닿음 가능한 돌기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4007564A JP6263391B2 (ja) | 2014-01-20 | 2014-01-20 | クリップ |
JPJP-P-2014-007564 | 2014-01-2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87110A true KR20150087110A (ko) | 2015-07-29 |
Family
ID=53767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03452A KR20150087110A (ko) | 2014-01-20 | 2015-01-09 | 클립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6263391B2 (ko) |
KR (1) | KR20150087110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60244A1 (ko) * | 2018-02-14 | 2019-08-22 | 펌텍코리아(주) | 누름버튼의 하강 거리가 조절되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757666B (zh) * | 2018-07-19 | 2024-04-12 | 深圳威特姆光电科技有限公司 | 边锁、连接机构及显示屏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29409U (ja) * | 1982-08-20 | 1984-02-23 | 株式会社ニフコ | 部品取付け用クリツプ |
JP2578735Y2 (ja) * | 1992-08-19 | 1998-08-13 |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 部品の締結構造 |
JP3644525B2 (ja) * | 1998-06-12 | 2005-04-27 | 株式会社三洋物産 | 固定構造 |
JP4375695B2 (ja) * | 2000-07-21 | 2009-12-02 | 株式会社ニフコ | 部品の取付装置 |
JP4806385B2 (ja) * | 2007-11-05 | 2011-11-02 | 株式会社ニフコ | クリップ |
JP4852570B2 (ja) * | 2008-06-05 | 2012-01-11 | 株式会社ニフコ | クリップ |
JP5453699B2 (ja) * | 2009-02-25 | 2014-03-26 |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 フロアマットをカーペットに固定する固定装置 |
JP2012225431A (ja) * | 2011-04-20 | 2012-11-15 | Nifco Inc | クリップ |
-
2014
- 2014-01-20 JP JP2014007564A patent/JP6263391B2/ja active Active
-
2015
- 2015-01-09 KR KR1020150003452A patent/KR2015008711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60244A1 (ko) * | 2018-02-14 | 2019-08-22 | 펌텍코리아(주) | 누름버튼의 하강 거리가 조절되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
KR20190098367A (ko) * | 2018-02-14 | 2019-08-22 | 펌텍코리아 (주) | 누름버튼의 하강 거리가 조절되는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
US11464315B2 (en) | 2018-02-14 | 2022-10-11 | Pum-Tech Korea Co., Ltd | Dropping pipette-type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pressing button having adjustable descending distan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5135172A (ja) | 2015-07-27 |
JP6263391B2 (ja) | 2018-0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333452B1 (en) | Cord lock | |
JP2004203260A (ja) | フック装置 | |
US10384583B2 (en) | Assist grip | |
JP2012096835A (ja) | グロメット | |
KR20120125539A (ko) | 슬라이딩 보조장치 | |
KR20150087110A (ko) | 클립 | |
JP2000135103A (ja) | 合成樹脂製バックル | |
JP4906574B2 (ja) | 可動式シャワーフック | |
CA2437852C (en) | A handle | |
JP2008232154A (ja) | フック | |
KR102319117B1 (ko) | 3웨이 오픈구조 자동차용 암레스트 | |
JP2013234743A (ja) | 部材の固定装置 | |
JP2001203791A (ja) | 携帯式電話に付設されるフリップの開閉構造 | |
JP3152973U (ja) | ランドセルのダルマ座金具 | |
JP2006090502A (ja) | ダンパー用連結装置 | |
JP2011144510A (ja) | マグネットキャッチ | |
JP2019013295A (ja) | コンパクト容器 | |
JP6068972B2 (ja) | スライド式サンバイザ | |
JP2003334112A (ja) | コンパクト容器 | |
JP2003195228A (ja) | 眼鏡のノッチ式テンプル開閉機構 | |
JP2003310369A (ja) | スライドレール | |
JP4531634B2 (ja) | 収納装置 | |
WO2016163365A1 (ja) | 開閉体のロック装置 | |
JP5294785B2 (ja) | 二段階開放型ハンドル装置 | |
JP5759050B1 (ja) | 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