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6911A - 음주운전 판단방법, 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음주운전 판단방법, 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6911A
KR20150086911A KR1020140007110A KR20140007110A KR20150086911A KR 20150086911 A KR20150086911 A KR 20150086911A KR 1020140007110 A KR1020140007110 A KR 1020140007110A KR 20140007110 A KR20140007110 A KR 20140007110A KR 20150086911 A KR20150086911 A KR 20150086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information
drunk driving
vehicl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홍
오영달
김은정
Original Assignee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동차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07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6911A/ko
Publication of KR20150086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9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60K28/06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60W2040/0836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due to alcoh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06Direction of trav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2Brake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8Steering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5Direction of ga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9Attention level, e.g. attentive to driving, reading or sl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4Drug level, e.g. alcoh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30Driving sty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음주운전 판단 방법, 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음주운전 시 운전자의 행동 특성에 따른 운전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실제 운전자의 행동 특성에 따른 운전자 정보를 수집하는 운전자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운전자 정보와 운전자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운전자 정보를 비교해서 음주운전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 정보는 음주 상태에서 운전자의 시선 분산도, 졸음 정도 및 시나리오 실행 시간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운전자의 시선 분산도와 졸음 정도를 포함하는 운전자 정보와 차량의 가속 및 감속 패턴, 속도, 조향각, 차선 이동, 조향, 제동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이용해서 운전자의 음주운전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해서 음주운전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음주운전 판단방법, 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METHOD FOR DETERMINING DRUNK DRIVING, DRUNK DRIVING PREVEN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음주운전 판단방법, 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와 차량 정보를 기반으로 음주운전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음주운전 판단방법, 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주운전은 10대 중과실 사고 중 하나로, 최근에는 음주운전으로 인한 졸음 운전이나 대형사고와 같은 2차 사고는 사회적으로 중범죄로 인식되고 있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의 운전자 중 약 18%의 운전자는 음주운전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약 17%의 운전자는 음주 상태의 운전자 차량에 동승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음주운전의 단속비용은 매년 약 90억원이 소요되고, 보험회사의 행정비용도 약 262억원에 달할 정도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상습 음주운전자 대중교통 운전 취업제한과 신차 제작시 음주운전경보장치(알코올 인터락 장치)를 의무적으로 장착하게 하는 관련 법규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상기 알코올 인터락 장치는 운전자의 호흡에 알코올 성분이 검출되면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음주운전 방지장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차량 운전자의 호흡 부위에 음주측정단을 설치하여 음주 상태 여부를 판단해서 차량의 시동을 방지하는 음주운전방지 시동제어장치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운전자의 날숨에 포함된 알코올 농도, 운전자의 안구 상태, 운전자 행동을 이용해서 음주 상태 여부를 판단해서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3-0083943호(2003년 11월 1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070847호(2009년 7월 1일 공개)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음주운전 방지장치는 알코올 센서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호흡에서 나오는 알코올 성분을 검출하는 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센서의 정확성과 운전자별 음주 현상이 상이함에 따라 정확하게 음주운전 여부를 검출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차량에 음주운전 방지장치를 장착하더라도 불법적인 방법으로 악용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운전자 인지 및 행동 특성을 기반으로 차량 정보를 취득하여 음주운전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의 인지 및 행동 특성과 차량의 거동 정보를 이용해서 음주운전 여부를 판단하는 음주운전 판단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주운전 방지장치의 오남용 및 악용 사례를 방지할 수 있는 음주운전 판단방법, 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주운전 판단 시 위험을 경고하거나 차량 시동을 제어하는 음주운전 판단방법, 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주운전 방지 장치는 음주운전 시 운전자의 행동 특성에 따른 운전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실제 운전자의 행동 특성에 따른 운전자 정보를 수집하는 운전자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운전자 정보와 운전자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운전자 정보를 비교해서 음주운전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 정보는 음주 상태에서 운전자의 시선 분산도, 졸음 정도 및 시나리오 실행 시간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 정보는 차량의 가속 및 감속 패턴, 속도, 조향각, 차선 이동, 조향, 제동 정보를 포함하며,상기 저장부는 상기 차량 정보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운전자에게 음주 운전으로 인한 위험을 경고하는 위험 경고부 및 음주 운전 상태에서 운전자에게 위험을 경고하고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험 경고부는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경고등을 점등 또는 점멸하거나, 경고 영상을 표시하거나, 햅틱 반응을 통해 음주운전으로 인한 위험을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주운전 판단 방법은 (a) 음주운전시 운전자의 행동 특성에 따른 운전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b) 차량 주행 중 가속 및 감속 패턴, 속도, 조향각, 차선 이동, 조향, 제동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c) 상기 운전자 정보 및 차량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해서 음주운전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단계는 운전자를 촬영한 이미지에서 운전자의 시선 방향, 눈의 크기를 분석해서 상기 운전자의 시선 분산도, 졸음 정보 및 시나리오 실행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운전자 정보를 추출하여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단계는 수집된 운전자 정보 및 차량 정보와 저장부에 저장된 운전자 정보 및 차량 정보의 임계치를 비교해서 음주운전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주운전 방지장치의 제어방법은 (d) 음주운전 판단 방법을 이용해서 운전자의 음주운전 상태로 판단되면, 운전자에게 음주운전으로 인한 위험을 경고하는 단계 및 (e) 차량 주행을 정지시키도록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f) 운전자의 음주운전 사실을 감독기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단계는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경고등을 점등 또는 점멸하거나, 경고 영상을 표시하거나, 햅틱 반응을 통해 음주운전으로 인한 위험을 운전자에게 경고하고,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차량 주행이 정지됨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주운전 판단방법, 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운전자의 시선 분산도와 졸음 정도를 포함하는 운전자 정보와 차량의 가속 및 감속 패턴, 속도, 조향각, 차선 이동, 조향, 제동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이용해서 운전자의 음주운전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음주운전 방지장치의 오남용 및 악용 사례를 방지하고, 음주운전 상태의 운전자에서 위험을 경고하거나 차량 시동을 제어함으로써 음주운전으로 인한 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음주운전 뿐만 아니라, 졸음운전이나 부주의 상태에서의 운전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주운전 판단방법을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혈중 알코올 농도별 정체구간 각가속도 그래프,
도 3은 혈중 알코올 농도별 중앙선과의 거리 그래프,
도 4는 혈중 알코올 농도별 앞차와의 거리 그래프,
도 5는 혈중 알코올 농도별 운전자의 상대 시선 분산도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주운전 판단방법을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장치의 제어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주운전 판단방법, 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주운전 판단방법을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주운전 판단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주운전 시 운전자의 행동 특성에 따른 운전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0), 실제 운전자의 행동 특성에 따른 운전자 정보를 수집하는 운전자 정보 수집부(20) 및 저장부(10)에 저장된 운전자 정보와 운전자 정보 수집부(20)에서 수집된 운전자 정보를 비교해서 음주운전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운전자 정보는 음주 상태에서 운전자의 시선 분산도, 졸음 정도 및 시나리오 실행 시간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운전자 정보 수집부(20)는 운전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과 촬영된 이미지에서 운전자의 시선 방향, 눈의 크기 정보를 분석해서 운전자의 시선 분산도, 졸음 정보 및 시나리오 실행 시간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분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주운전 판단방법을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장치는 미리 설정된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정보 수집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정보는 차량의 가속 및 감속 패턴, 속도, 조향각, 차선 이동, 조향, 제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 정보 수집부(40)는 차량에 마련된 가속도센서, 차속센서, 조향각 센서와 차량의 측면에 설치되는 차선 감지센서, 가속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에 설치되는 페달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주운전 판단방법을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장치는 운전자의 호흡에 포함된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는 알코올 측정부(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저장부(10)는 미리 설정된 차량 정보와 알코올 기준 농도값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단부(30)는 차량 정보 수집부(40)에서 수집된 차량 정보 또는 알코올 측정부(50)에서 측정된 알코올 농도를 이용해서 운전자의 음주운전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주운전 판단방법을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장치는 운전자에게 음주 운전으로 인한 위험을 경고하는 위험 경고부(60) 및 음주 운전 상태에서 운전자에게 위험을 경고하고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험 경고부(60)는 운전자의 음주운전 상태에서 경고 알람을 출력하는 스피커(도면 미도시), 차량의 계기판에 설치되고 점등 또는 점멸되는 경고등(도면 미도시), 차량의 전면 유리에 경고 영상이나 문자를 표시하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 장치(도면 미도시) 및 차량의 스티어링 휠이나 시트, 가속 페달에 설치되어 진동을 발생하는 햅틱 모듈(도면 미도시)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차량에 마련된 각 전기장치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Electronic Control Unit)으로 마련되거나, 별도의 제어유닛으로 마련되어 상기 전자제어유닛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차량의 시동을 가능 또는 방지하도록 전자제어유닛 또는 시동장치에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0)는 통신모듈(도면 미도시)을 통해 감독기관 서버(도면 미도시)로 운전자의 음주운전 사실을 통지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음주 상태에서 운전자의 행동 특성에 따른 운전자 정보와 차량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을 활용하여 운전자의 음주운전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에서 운전자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이용해서 음주운전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표 1은 국내외에서 발표된 문헌을 분석해서 얻은 음주에 따른 운전자 행동 특성 테이블이다.
음주에 따른 운전자 행동 특성
1 가속페달 조작, 핸들 조작, 브레이크 조작 등 운전조작능력 저하
2 거리판단, 속도판단, 상대 물체와의 간격 등 상황인식능력 저하
3 청력과 평형감각이 저하되면 기계적인 오조작의 가능성 증가
4 좌우 시력, 특히 야간 시력 저하
5 정서의 불안정, 감적억제력 저하
6 주의력 부족, 위험 대처능력 저하
표 1에 기재된 음주에 따른 운전자 행동 특성을 이용해서 표 2와 같은 운전자 및 차량 정보 취득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표 2는 운전자 및 차량 정보 취득 파라미터 테이블이다.
구분 운전자 및 차량 정보 취득 파라미터
운전자 정보 시선 방향(운전자의 시선 분산도)
눈의 크기(운전자의 졸음 정도 추정)
시나리오 실행 시간
차량
정보
차량 속도(규정속도 위반 확인)
차량 가속도(급 가속, 급 감속 확인)
브레이크 페달(보행자 및 신호를 발젼 후 브레이크 자공시간 확인)
편측거리 오차(직선 곡선 구간에서의 주행 흔들림 확인)
조향각(전체 구간에서의 주행 흔들림 확인)
앞차와의 거리(앞차와의 거리 유지 확인)
보행자와의 거리(돌발 상황에서의 처리 능력 확인)
차량의 좌표(차량의 위치 확인)
예를 들어, 음주 상태에서 운전자의 행동 특성 분석 결과는 도 2 내지 도 5에 예시되어 있다.
도 2는 혈중 알코올 농도별 정체구간 각가속도 그래프이고, 도 3은 혈중 알코올 농도별 중앙선과의 거리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4는 혈중 알코올 농도별 앞차와의 거리 그래프이고, 도 5는 혈중 알코올 농도별 운전자의 상대 시선 분포 그래프이다.
즉, 도 2의 (a) 내지 (c)에는 각각 운전자의 비 음주 상태, 혈중 알코올 농도 0.05인 상태, 0.1인 상태에서의 정체구간 각가속도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a)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가 상승함에 따라 정체 구간에서의 각가속도 최대값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도 3의 (a) 내지 (c)에는 각각 운전자의 비 음주 상태, 혈중 알코올 농도 0.05인 상태, 0.1인 상태에서의 직선 및 곡선 구간 차선 중앙과의 거리 편차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a)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가 상승함에 따라 직선 및 곡선 구간에서의 차선 중앙과의 거리 편차값이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도 4의 (a) 내지 (c)에는 각각 운전자의 비 음주 상태, 혈중 알코올 농도 0.05인 상태, 0.1인 상태에서의 앞차와의 거리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의 (a)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가 상승함에 따라 앞차와의 거리 평균값이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도 5의 (a) 내지 (c)에는 각각 운전자의 비 음주 상태, 혈중 알코올 농도 0.05인 상태, 0.1인 상태에서의 운전자의 상대 시선 분산도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a)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가 상승함에 따라 운전자의 상대 시선이 분산되어 분산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운전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가 상승하면 각가속도의 최대값이 상승하고, 차선 중앙과의 거리 편차값이 증가하며, 앞차와의 거리 평균값이 감소하고, 운전자의 상대 시선 분산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갖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음주 상태에서의 운전자 행동 특성에 따른 운전자 정보와 차량 정보를 이용해서 음주운전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다음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주운전 판단방법을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장치의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주운전 판단방법을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장치의 제어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의 S10단계에서 운전자 정보 수집부(20)는 운전자를 촬영한 이미지에서 운전자의 시선 방향, 눈의 크기를 분석해서 추출되는 운전자의 시선 분산도, 졸음 정보 및 시나리오 실행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운전자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차량 정보 수집부(40)는 차량에 마련된 각 센서의 감지신호를 이용해서 차량의 가속 및 감속 패턴, 속도, 조향각, 차선 이동, 조향, 제동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수집한다(S12).
그러면 S14단계에서 판단부(30)는 수집된 운전자 정보와 차량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과 저장부(10)에 저장된 운전자 정보와 차량 정보의 임계치를 비교해서 음주운전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14단계의 판단결과 음주운전 상태로 판단되면, 제어부(70)는 음주운전에 따른 위험을 경고하도록 위험 경고부(60)를 제어한다(S16).
이에 따라, 위험 경고부(60)는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계기판에 마련된 경고등을 점등 또는 점멸하거나, 경고 영상을 표시하거나 또는 햅틱 반응을 통해 위험을 경고한다.
이때, 위험 경고부(60)는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차량 시동이 정지됨을 안내할 수 있다.
S18단계에서 제어부(70)는 운전자가 차량 주행을 정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S18단계의 판단사 결과 차량 주행이 정지되면, 제어부(70)는 음주운전 방지장치의 구동을 정지하고 종료한다.
반면, S18단계의 판단 결과 차량이 계속해서 주행 중이면, 제어부는 내부의 타이머를 이용해서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되는 시점에 차량의 시동을 정지하도록 차량의 전자제어유닛으로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감독기관 서버로 음주운전 사실을 통지하도록 통신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S20).
한편, S14단계의 판단결과 운전자가 비 음주운전 상태이면, 제어부(70)는 차량의 주행이 정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22단계의 판단결과 차량이 계속해서 주행 중이면 제어부(70)는 S10단계로 진행하도록 제어하고, 차량의 주행이 정지되면 음주운전 방지장치의 구동을 정지하고 종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운전자의 시선 분산도와 졸음 정도를 포함하는 운전자 정보와 차량의 가속 및 감속 패턴, 속도, 조향각, 차선 이동, 조향, 제동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이용해서 운전자의 음주운전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운전자의 음주운전 상태를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운전자 정보 및 차량 정보를 이용해서 운전자의 졸음운전이나 부주의 운전 상태를 판단해서 차량 사고를 방지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운전자의 시선 분산도와 졸음 정도를 포함하는 운전자 정보와 차량의 가속 및 감속 패턴, 속도, 조향각, 차선 이동, 조향, 제동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이용해서 운전자의 음주운전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기술에 적용된다.
10: 저장부 20: 운전자 정보 수집부
30: 판단부 40: 차량 정보 수집부
50: 알코올 측정부 60: 위험 경고부
70: 제어부

Claims (10)

  1. 음주운전 시 운전자의 행동 특성에 따른 운전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실제 운전자의 행동 특성에 따른 운전자 정보를 수집하는 운전자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운전자 정보와 운전자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된 운전자 정보를 비교해서 음주운전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전자 정보는 음주 상태에서 운전자의 시선 분산도, 졸음 정도 및 시나리오 실행 시간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 정보는 차량의 가속 및 감속 패턴, 속도, 조향각, 차선 이동, 조향, 제동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차량 정보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운전자에게 음주 운전으로 인한 위험을 경고하는 위험 경고부 및
    음주 운전 상태에서 운전자에게 위험을 경고하고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경고부는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경고등을 점등 또는 점멸하거나, 경고 영상을 표시하거나, 햅틱 반응을 통해 음주운전으로 인한 위험을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주운전 방지장치.
  5. (a) 음주운전시 운전자의 행동 특성에 따른 운전자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b) 차량 주행 중 가속 및 감속 패턴, 속도, 조향각, 차선 이동, 조향, 제동 정보를 포함하는 차량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c) 상기 운전자 정보 및 차량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해서 음주운전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판단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운전자를 촬영한 이미지에서 운전자의 시선 방향, 눈의 크기를 분석해서 상기 운전자의 시선 분산도, 졸음 정보 및 시나리오 실행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운전자 정보를 추출하여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판단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수집된 운전자 정보 및 차량 정보와 저장부에 저장된 운전자 정보 및 차량 정보의 임계치를 비교해서 음주운전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판단방법.
  8. (d)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음주운전 판단방법을 이용해서 운전자의 음주운전 상태로 판단되면, 운전자에게 음주운전으로 인한 위험을 경고하는 단계 및
    (e) 차량 주행을 정지시키도록 차량의 시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f) 운전자의 음주운전 사실을 감독기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의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경고등을 점등 또는 점멸하거나, 경고 영상을 표시하거나, 햅틱 반응을 통해 음주운전으로 인한 위험을 운전자에게 경고하고,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이 경과하면 차량 주행이 정지됨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주운전 방지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40007110A 2014-01-21 2014-01-21 음주운전 판단방법, 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500869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110A KR20150086911A (ko) 2014-01-21 2014-01-21 음주운전 판단방법, 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110A KR20150086911A (ko) 2014-01-21 2014-01-21 음주운전 판단방법, 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911A true KR20150086911A (ko) 2015-07-29

Family

ID=53876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110A KR20150086911A (ko) 2014-01-21 2014-01-21 음주운전 판단방법, 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691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1653A1 (ko) * 2015-10-06 2017-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주운전 방지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차량 보조 장치
CN107323261A (zh) * 2017-06-28 2017-11-07 亿信标准认证集团四川有限公司 基于汽车使用的安全行驶系统
CN107599837A (zh) * 2016-07-12 2018-01-19 深圳市金博通科技有限公司 车载酒精检测系统
KR20180120347A (ko) 2017-04-27 2018-11-06 (주)에이텍티앤 음주측정 기반의 대중교통 출입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023169A (zh) * 2016-11-30 2019-07-16 沃尔沃卡车集团 防止驾驶员在醉酒时驾驶车辆的方法
CN111469853A (zh) * 2019-01-07 2020-07-31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响应于驾驶员损伤而限制车辆操作的系统和方法
EP3894254A4 (en) * 2018-12-12 2022-08-17 Gazelock AB ALCOHOLIC LOCK AND SYSTEM WITH MAPPING OF VISION PARAMETERS AND MOVEMENT PARAMETER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1653A1 (ko) * 2015-10-06 2017-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주운전 방지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차량 보조 장치
US10435027B2 (en) 2015-10-06 2019-10-08 Lg Electronics Inc. Driver assistance apparatus
CN107599837A (zh) * 2016-07-12 2018-01-19 深圳市金博通科技有限公司 车载酒精检测系统
CN110023169A (zh) * 2016-11-30 2019-07-16 沃尔沃卡车集团 防止驾驶员在醉酒时驾驶车辆的方法
CN110023169B (zh) * 2016-11-30 2022-08-09 沃尔沃卡车集团 防止驾驶员在醉酒时驾驶车辆的方法
KR20180120347A (ko) 2017-04-27 2018-11-06 (주)에이텍티앤 음주측정 기반의 대중교통 출입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323261A (zh) * 2017-06-28 2017-11-07 亿信标准认证集团四川有限公司 基于汽车使用的安全行驶系统
EP3894254A4 (en) * 2018-12-12 2022-08-17 Gazelock AB ALCOHOLIC LOCK AND SYSTEM WITH MAPPING OF VISION PARAMETERS AND MOVEMENT PARAMETERS
CN111469853A (zh) * 2019-01-07 2020-07-31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响应于驾驶员损伤而限制车辆操作的系统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6911A (ko) 음주운전 판단방법, 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469467B1 (ko) 차량 안전 지원 장치 및 방법
US117874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based on condition of driver
CN108068698B (zh) 车辆系统以及车辆
KR102051142B1 (ko) 차량용 운전자 위험 지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59908B1 (ko) 안전운전유도 게임 장치 및 방법
KR101555444B1 (ko) 차량탑재 상황감지 장치 및 그 방법
US9542847B2 (en) Lane departure warning/assistance method and system having a threshold adjusted based on driver impairment determination using pupil size and driving patterns
JP2018195301A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EP3316231A1 (en) Alert generation correlating between head mounted imaging data and external device
WO2014148025A1 (ja) 走行制御装置
JP2017151637A (ja) 表示装置
KR20130050113A (ko) 위험단계별 경고기능을 갖는 차량 운행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13767B1 (ko) 운전자 상태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WO2008029802A1 (fr) Dispositif fournissant des informations de voyage
JP2007265377A (ja) 運転者状態判定装置及び運転支援装置
JP2019059245A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
US20240000354A1 (en) Driving characteristic determination device, driving characteristic determin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4097519B2 (ja) 危険感受度推定装置、安全運転評価装置及び警報装置
JP2017033126A (ja) 安全運転促進装置及び安全運転促進方法
JP2012003421A (ja) 車線逸脱警報装置及び警報方法
JP2014013496A (ja) 運転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760113B2 (ja) 運転者状態推定装置
WO2018212090A1 (ja)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11685384B2 (en) Driver alertness detec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