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6905A - 식품 저장용 진공 용기 - Google Patents

식품 저장용 진공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6905A
KR20150086905A KR1020140007102A KR20140007102A KR20150086905A KR 20150086905 A KR20150086905 A KR 20150086905A KR 1020140007102 A KR1020140007102 A KR 1020140007102A KR 20140007102 A KR20140007102 A KR 20140007102A KR 20150086905 A KR20150086905 A KR 20150086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lid
container
flange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규
Original Assignee
이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규 filed Critical 이민규
Priority to KR1020140007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6905A/ko
Publication of KR20150086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9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8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flange fitting over the rim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진공용기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과 측벽에 의하여 내공간이 이 형성되는 용기본체에 뚜껑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용기본체의 측벽에는 테두리를 따라서 플랜지를 형성하면서 플랜지의 상측으로 돌출벽을 형성하여 돌출벽에 의하여 플랜지의 상면이 내측받침면과 외측받침면으로 구획되도록 하고, 뚜껑에는 그 돌출벽에 대응되게 내벽과 외벽으로 이루어지는 끼움부를 형성하면서 내벽과 외벽의 하단에는 각각 누름면과 가압면을 형성하며, 상기 돌출벽과 끼움부의 사이에 이격공간에 의하여 유로가 형성되도록 하여 누름면에 의하여 용기본체의 내공간에 잔류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면서 뚜껑이 결합되는 동시에 누름면과 내측받침면, 가압면과 외측받침면이 이중으로 밀폐되어 공기유입을 방지하면서 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체결수단이나 조작이 필요없이 뚜껑을 여닫는 작업만으로도 간단하게 내부를 진공상태를 만들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식품 저장용 진공 용기{A food container for vacuum}
본 발명은 각종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진공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되어지면서 일정한 내공간을 갖는 용기 본체와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뚜껑의 덮어줌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용기본체의 내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배출되면서 용기 본체의 내공간에 진공이 이루어져 압력차이에 의하여 뚜껑이 용기본체와 기밀이 유지되어져 용기본체에 담겨진 식품의 보존을 우수하게 함은 물론 이러한 용기본체나 뚜껑의 제조의 용이성에 따른 경제성과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토록 한 것이다.
현재 플라스틱으로 성형되어지는 식품보관을 위한 용기에 진공을 유도하여 보관토록 하는 이유는 일반적인 밀폐용기에 비하여 보관된 식품이 공기와 접촉되는 부분이 적어 변질되는 속도가 서서히 진행됨으로 보존기간이 길고 신선도의 유지가 우수하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최근에는 일반적인 밀폐용기를 대체하여 현재 급속하게 퍼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진공 용기의 일반적인 구조는 뚜껑이 덮여진 상태에서 용기본체의 내공간의 공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대부분 뚜껑의 상면에는 별도의 밸브가 장착되어지는 것이고, 이러한 밸브의 조작을 위한 펌핑수단이 구비되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밸브의 장착이 뚜껑의 상면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밸브가 뚜껑의 이면으로 연결되어짐으로 이러한 밸브의 장착부위에 이물질이 끼이게 될 경우에 이러한 이물질의 제거가 완벽한 제거가 불가능하여 이러한 이물질에 의하여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발생된다라는 것이고, 또한 이러한 밸브의 장착에 따른 제조 원가의 상승으로 소비자들에게는 경제적인 부담으로 가중시키게 된다라는 것이다.
또한 용기 본체의 내공간의 공기를 펌핑수단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제거하게 됨으로 이러한 외력에 의하여 용기 본체는 물론 뚜껑이 용기본체의 내공간으로 빨려들어가게 되면서 용기본체의 형태의 변형은 물론 이로 인하여 진공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어 음식물의 보존에 문제점을 야기토록 하는 등의 문제점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용기본체의 성형을 플라스틱 원료중에서 대부분 투명이면서 경질을 사용하게 되고 그 두께도 두껍게 성형을 하게 됨으로 실질적으로 상당한 원가상승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KR100856933 B1 KR1020060003562 A KR200280847 Y1
따라서 본 발명은 일반적인 플라스틱의 저장용기로도 사용이 가능하면서 단순히 뚜껑을 덮어주는 것만으로도 진공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다양한 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하면서 사용의 편리성과 원가상승요인을 제거함으로서 경제성은 물론 진공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보존의 우수성을 제공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용기본체에 뚜껑이 덮여질 경우에 용기본체의 내공간의 면적을 줄이게 되도록 하고 이로인하여 용기본체의 내공간에 있던 공기가 압력에 의하여 자연적인 배기가 용기 본체와 뚜껑이 결합되어지는 상단테두리와 요입홈테의 틈새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뚜껑이 덮여지면서 용기본체의 내공간에 존재하는 공기의 배기가 이루어지면서 완전히 닫힐 경우에는 이러한 통기로를 차단토록 함으로서 용기본체의 내공간의 압력이 용기본체의 외부와 압력의 차이를 갖도록 함으로서 자연적으로 진공이 유지토록 함은 물론 자연적인 밀폐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저장용 진공용기에 의하면, 별도의 패킹이나 펌핑이 필요없이도 용기본체와 뚜껑의 구조적인 결합으로 진공기능을 갖도록 되므로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생산의 원가를 절감시키면서도 진공이 가능토록 하고, 단순 덮어주는 것만으로 진공이 가능함으로 사용의 편의성을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냉장 보관할 경우에 냉각에 의해 진공상태를 더 긴밀히 유지할 수 있으므로 용기에 담겨진 식품의 맛을 일정하게 유지함은 물론, 이로 인한 기밀이 유지됨으로 용기에서 냄새가 새나오지 않고 위생적이고 청결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뚜껑을 여닫는 과정에서 별도의 조작이 필요없이도 간편하게 뚜껑을 여닫을 수 있고, 뚜껑을 닫음과 동시에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내부를 진공상태를 만들게 되므로 음식물의 보존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빈번하게 개방하는 경우에도 일정한 진공이 유지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인 밀폐용기와 같이 별도의 체결수단이 필요치 않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함은 물론, 외관이 미려하고, 측면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으므로 냉장고와 같이 협소한 공간에 용기를 쌓아서 보관할 수 있으면서도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식품 저장용 진공용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용기본체와 뚜껑의 끼움 구조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용기본체와 뚜껑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뚜껑 차단에 따른 공기 빠짐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돌출벽과 끼움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뚜껑 차단에 따른 공기 빠짐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플랜지와 누름면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식품 저장용 진공용기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닥면(11)과 측벽(12)에 의하여 내공간(13)이 형성되는 용기 본체(10)와 용기본체(10)의 측벽(12)에 결합되는 뚜껑(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본체(10)는 대략적인 사각형 또는 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측벽(12)의 상단부에 외주면을 따라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플랜지(14)가 형성되고, 플랜지(14)의 상부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되게 돌출벽(15)이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14)는 수평에 가깝게 형성되며, 돌출벽(15)은 플랜지(14)와 직교하게 수직에 가깝게 돌출 형성되며, 돌출벽(15)에 의하여 플랜지(14)의 상면이 내측받침면(14a)과 외측받침면(14b)으로 분할된다.
상기 용기본체와 결합되는 뚜껑(20)은 중앙부가 하측으로 내입되게 누름면(21)이 형성되어 용기본체(10)의 내공간(13)에 내입되어 내공간의 면적을 줄이게 된다.
또한 상기 누름면(21)이 형성된 테두리에는 용기본체(10)의 돌출벽(15)과 대응되게 끼움부(25)가 형성되며, 끼움부(25)는 용기본체(10)의 돌출벽(15)의 내,외면에 밀착되게 내벽(25a)과 외벽(25b)으로 구성된다.
상기 끼움부(25)의 내입된 깊이는 돌출벽(15)의 돌출된 길이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내벽(25a)의 하단과 연결되는 누름면(21)은 플랜지(14)의 내측받침면(14a)에 밀착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부(25)의 외벽(25b) 하단에는 플랜지(14)의 외측받침면(14b)에 밀착되게 가압면(22)이 형성된다.
상기 용기본체(10)의 돌출벽(15)의 단면 두께는 뚜껑(20)의 끼움부(25)의 내입된 홈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돌출벽(15)과 끼움부(25)의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며, 이격공간을 통하여 뚜껑을 덮을 경우에 용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용기본체(10)의 돌출벽(15)은 내면(15a)이 뚜껑(20)의 내벽(25a)에 밀착되게 형성되면서 돌출벽(15)의 외면(15b)이 뚜껑(20)의 외벽(25b)과 이격되게 형성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돌출벽(15)의 내면(15a)과 끼움부(25)의 내벽(25a) 사이의 간격은 돌출벽(15)의 외면(15b)과 끼움부(25)의 외벽(25b)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는 것으로, 돌출벽(15)의 내면(15a)과 끼움부(25)의 내벽(25a)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은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거나 또는 이격공간의 폭이 매우 협소하게 이루어지면서 누름면(21)이 플랜지(14)의 내측받침면(14a)에 밀착되기 직전까지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정도로 형성된다.
그리고 돌출벽(15)의 내면(15a)과 내벽(25a)이 밀착되는 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각(α,β)을 갖도록 서로 대응되게 형성하면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형태의 상광하협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뚜껑(20)의 정위치 끼움을 유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용기본체(10)에 형성된 돌출벽(15)의 외면(15b)과 뚜껑(20)에 형성된 외벽(25b)은 서로 대응되는 면이 수직으로 형성되도록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유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14)의 내측받침면(14a)과 외측받침면(14b)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단차를 갖도록 하면 용기본체(10)의 내공간(13)에 잔류하고 있는 공기를 더 배출시키게 할 수 있다.
뚜껑(20)은 가압면(22)의 일부 또는 전부가 용기본체(10)의 플랜지(14)의 외측받침면(14b)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개방요소(23)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본체(10)는 바닥면(11)을 뚜껑(20)의 누름면(21) 상측에 끼울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용기본체(10)의 측벽(12)이 하부측으로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하여 바닥면(11)이 뚜껑(20)의 누름면(21)에 밀착되면서도 측벽(21)의 하부가 뚜껑(20)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끼움부(25)의 내벽(25a) 안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를 다층으로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측벽(21)의 하부는 뚜껑(20)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끼움부(25)에 밀착되도록 형성하여 용기를 다층으로 끼움 결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공간(13)을 갖는 용기본체(10)의 상부에 뚜껑(20)을 삽입하면 뚜껑(20)에 형성된 'ㄷ'자 형태의 끼움부(25)가 용기본체(10)의 돌출벽(15)에 끼움된다.
이때, 뚜껑(20)에 형성된 누름면(21)이 용기본체(10)의 내공간(13)에 잔류하고 있는 공기를 밀어내면서 하부로 압축하게 되고, 압축되는 공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벽(15)과 끼움부(25)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을 유로로 활용하여 공기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돌출벽(15)은 끼움부(25)의 내벽(25a)과 외벽(25b)중에서 내벽(25a)에 가깝게 밀착되면서 결합이 이루어지며 돌출벽(15)에 의하여 뚜껑(20)의 정위치 결합이 유도된다.
또한, 돌출벽(15)의 내면(15a)과 끼움부(25)의 내벽(25a)이 밀착되는 면이 서로 대응되게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형태의 상광하협의 경사면으로 이루어게 되므로 경사면에 의하여 뚜껑(20)의 정위치 끼움을 더 유도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뚜껑(20)의 누름면(21)이 내측받침면(14a)에 밀착될 때까지 경사면을 타고 공기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용기본체(10)에 담겨있던 공기를 배출한 상태에서 용기본체(10)에 형성되는 플랜지(14)의 내측받침면(14a)과 외측받침면(14b)이 뚜껑(20)에 형성되는 누름면(21)과 가압면(22)에 의하여 이중으로 밀폐가 이루어지면서 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또한, 이렇게 진공상태가 이루어진 용기를 냉장고 등에 넣어서 냉장 보관하거나, 냉동 보관하면 용기 내부의 공기가 압축되면서 진공압력을 더 높일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뚜껑(20)이 쉽게 개방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면(22)에 형성된 개방요소(23)를 들어올리면 뚜껑(20)이 경사지게 들어 올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뚜껑(20)의 누름면(21)과 가압면(22)이 용기본체(10)의 플랜지(14)의 내,외측받침면(14a,14b)에 밀착된 상태를 해제하게 되면서 유로를 개방하여 용기에 걸려있는 진공상태를 일시에 해제시킬 수 있어 뚜껑(20)을 쉽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10: 용기본체 11: 바닥면
12: 측벽 13: 내공간
14: 플랜지 14a: 내측받침면
14b: 외측받침면
15: 돌출벽 15a: 내면
15b: 외면
20: 뚜껑 21: 누름면
22: 가압면 23: 개방요소
25: 끼움부 25a: 내벽
25b: 외벽

Claims (4)

  1. 바닥면(11)과 측벽(12)에 의하여 내공간(13)이 형성되는 용기본체(10)와 용기본체(10)의 측벽(12)에 결합되는 뚜껑(20)으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는 측벽(12)의 상단부에 외주면을 따라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플랜지(14)가 형성되되 플랜지(14)의 상측으로는 돌출벽(15)이 형성되어 플랜지(14)의 상면이 내측받침면(14a)과 외측받침면(14b)으로 구획되고,
    상기 뚜껑(20)은 테두리를 따라서 용기본체(10)의 돌출벽(15)의 내,외면에 밀착되게 내벽(25a)과 외벽(25b)으로 구성되는 상측으로 내입된 끼움부(25)가 형성되되 내벽(25a)과 외벽(25b)의 하단에는 각각 플랜지(14)의 내측받침면(14a)과 외측받침면(14b)에 대응되게 누름면(21)과 가압면(22)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벽(15)과 끼움부(25)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어 뚜껑(20)을 닫을 때 누름면(21)에 의하여 용기본체(10)의 내공간(13)에서 압축되는 공기가 이격공간을 통하여 형성된 유로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누름면(21)과 가압면(22)에 의하여 이중 밀폐되어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식품 저장용 진공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의 돌출벽(15)은 내면(15a)이 뚜껑(20)의 내벽(25a)에 밀착되게 형성되면서 돌출벽(15)의 외면(15b)이 뚜껑(20)의 외벽(25b)과 이격되게 형성되고, 돌출벽(15)의 내면(15a)과 내벽(25a)이 밀착되는 면이 서로 대응되게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형태의 상광하협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뚜껑(20)의 정위치 끼움을 유도하면서 누름면(21)이 내측받침면(14a)에 밀착될 때까지 공기배출이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용 진공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에 형성된 돌출벽(15)의 외면(15b)과 뚜껑(20)에 형성된 외벽(25b)은 서로 대응되는 면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이격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용 진공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은 가압면(22)의 일부 또는 전부가 용기본체(10)의 플랜지(14)의 외측받침면(14b)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개방요소(23)를 더 포함하게 구성되어 뚜껑(20)을 일부만을 들어올려서 기울여 개방함으로써 용기 내부의 진공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용 진공용기.
KR1020140007102A 2014-01-21 2014-01-21 식품 저장용 진공 용기 KR201500869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102A KR20150086905A (ko) 2014-01-21 2014-01-21 식품 저장용 진공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102A KR20150086905A (ko) 2014-01-21 2014-01-21 식품 저장용 진공 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432U Division KR20150004669U (ko) 2015-11-16 2015-11-16 식품 저장용 진공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905A true KR20150086905A (ko) 2015-07-29

Family

ID=53876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102A KR20150086905A (ko) 2014-01-21 2014-01-21 식품 저장용 진공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69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26375A (zh) * 2019-06-17 2022-02-08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恒温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26375A (zh) * 2019-06-17 2022-02-08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恒温容器
CN114026375B (zh) * 2019-06-17 2023-07-18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恒温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95370S1 (en) Beverage container
KR101223759B1 (ko) 진공용기용 고무밀봉재 및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
KR200478674Y1 (ko) 식품 저장 용기
KR101616073B1 (ko) 패킹, 이 패킹을 이용한 진공냄비용 뚜껑 및 진공냄비
KR100559939B1 (ko) 밀폐 용기 뚜껑의 패킹 고정 구조
KR20130025932A (ko) 내부압력 자동배출 기능을 갖춘 식품용기용 밀폐뚜껑
KR20150004669U (ko) 식품 저장용 진공 용기
KR101357136B1 (ko) 결합력유지와 분리의 용이성을 갖는 다단적층밀폐용기.
KR20150086905A (ko) 식품 저장용 진공 용기
KR101786163B1 (ko)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KR100556608B1 (ko) 용량가변 밀폐용기
KR101395317B1 (ko) 진공용기용 고무밀봉재 및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
KR101325784B1 (ko) 진공가능한 밀폐냄비의 패킹결합구조
KR20150120912A (ko) 개폐가 용이한 식품보관용 밀폐용기
KR20110037611A (ko)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JP3180743U (ja) 弁体付き密閉容器
KR101296138B1 (ko) 이중 밀폐 용기
KR200474242Y1 (ko)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수직으로 승하강 되는 밀폐용기 속뚜껑
KR101859941B1 (ko) 밀폐용기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JP4974063B2 (ja) 保存容器
KR200258608Y1 (ko) 다단식 밀폐형 용기
KR200473692Y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KR20200090070A (ko) 호환성이 우수한 진공 패킹
KR200280872Y1 (ko) 진공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CV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