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138B1 - 이중 밀폐 용기 - Google Patents

이중 밀폐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138B1
KR101296138B1 KR1020110109546A KR20110109546A KR101296138B1 KR 101296138 B1 KR101296138 B1 KR 101296138B1 KR 1020110109546 A KR1020110109546 A KR 1020110109546A KR 20110109546 A KR20110109546 A KR 20110109546A KR 101296138 B1 KR101296138 B1 KR 101296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ain body
support
side wall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5089A (ko
Inventor
박용민
한영수
이서현
Original Assignee
박용민
이서현
한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민, 이서현, 한영수 filed Critical 박용민
Priority to KR1020110109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138B1/ko
Publication of KR20130045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A47J47/10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4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the element being a valve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 공간을 한정하며, 상기 수용 공간의 상면은 개방되도록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수용 공간을 밀폐하거나 상기 밀폐 상태를 해제하는 밀폐밸브를 구비하는, 탄성 재질의 제1 덮개; 및 상기 제1 덮개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덮개에 결합되고, 상기 밀폐밸브에 의해 형성된 상기 수용 공간의 밀폐 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덮개는, 판재 형태의 주면부; 및 상기 제1 덮개에 결합되도록 상기 주면부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주면부 및 상기 제1 덮개 사이에 닫힌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에 의해 한정된 영역 내에 배치되어, 상기 주면부와 상기 제1 덮개 사이를 이격시키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이중 밀폐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중 밀폐 용기{DOUBLE-SHIELDED CONTAINER}
본 발명은 김치 등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밀폐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물품, 주로 식품의 저온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이다. 냉각방식에 따라 전기 냉장고·가스 냉장고·얼음 냉장고·전자 냉장고 등이 있으며, 전기 냉장고가 가장 많이 보급되어있다.
냉장고에 보관되는 물품은 용기에 수납된 식품, 야채, 과일, 생선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그 중에서 식품으로서, 김치 등과 같은 반찬에서는 냄새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냄새를 해결하기 위하여, 냉장고 내에 탈취제 등을 배치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냄새가 용기 밖으로 나온 상태에서 처리하는 것이어서, 사후적이고 간접적인 방법에 불과하다.
따라서 용기 자체에서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김치와 같은 경우에는, 김치가 보관된 용기 내로 공기가 들어가서 시어지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내부의 공기를 펌핑하여 용기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고 또한 진공 상태의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이중 밀폐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중 밀폐 용기는, 수용 공간을 한정하며, 상기 수용 공간의 상면은 개방되도록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수용 공간을 밀폐하거나 상기 밀폐 상태를 해제하는 밀폐밸브를 구비하는, 탄성 재질의 제1 덮개; 및 상기 제1 덮개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덮개에 결합되고, 상기 밀폐밸브에 의해 형성된 상기 수용 공간의 밀폐 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덮개는, 판재 형태의 주면부; 및 상기 제1 덮개에 결합되도록 상기 주면부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주면부 및 상기 제1 덮개 사이에 닫힌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에 의해 한정된 영역 내에 배치되어, 상기 주면부와 상기 제1 덮개 사이를 이격시키는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측벽부와 상기 지지대 중 적어도 하는, 리세스부를 가지는, 제1 부분; 및 상기 리세스부에 탈착 가능하게 억지 끼움되는 돌출부를 가지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닫힌 공간에 배치되고 탈취제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수용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폐밸브는, 상기 제1 덮개에 형성된 제1 연통공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차단 부재; 및 상기 제1 연통공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덮개에서 돌출 형성되어, 일 높이에서 상기 차단 부재를 지지하는 제1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도립 절두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차단 부재는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해제장치는, 상기 제2 덮개에 형성된 제2 연통공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조작 부재; 상기 제2 덮개에 형성되어, 상기 조작 부재를 지지하는 제2 지지 부재; 및 상기 조작 부재와 상기 차단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덮개의 외면은 상기 조작 부재의 상면과 동일하거나 상기 조작 부재의 상면보다 더 높이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덮개와 상기 본체의 상부의 접촉되는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덮개와 상기 본체보다 연성이 큰 소재로 형성되는 밀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폐 부재는 실리콘 소재의 띠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하부에서 상기 상면 측으로 갈수록 상기 수용 공간의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하부에서 상기 상면 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이중 밀폐 용기에 의하면, 용기 내부의 공기를 펌핑하여 용기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고, 진공 상태의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용기 내부에 보관된 김치가 시어지는 것을 늦출 수 있고, 상기 김치 냄새가 용기 밖으로 나오는 것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밀폐 용기(100)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지지대(141)의 분리 가능한 구성을 보인 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이중 밀폐 용기(100)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기 위해 펌핑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의 펌핑에 의한 이중 밀폐 용기(100)의 진공 상태를 해소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밀폐 용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밀폐 용기(100)의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이중 밀폐 용기(100)는, 본체(110)와, 제1 덮개(130)와, 제2 덮개(150)와, 밀폐 밸브(170)와, 해제 장치(1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수용 공간(R)을 한정하도록 형성되며, 상면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그에 의해, 본체(110)의 하부(111) 측은 닫혀 있으며 상부(113) 측은 뚫려 있다. 본체(110)는 형상적으로 하부(111)에서 상부(113)로 갈수록 수용 공간(R)의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체(110)는 하부(111)에서 상부(113)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110)의 상부(113) 측 외면에는 걸림부(115)가 돌출 형성된다.
제1 덮개(130)는 본체(110)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본체(11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제1 덮개(130)의 중앙부(131)에는 제1 연통공(135)이 개구된다. 제1 연통공(135)에 대응해서는, 밀폐 밸브(170)가 설치된다. 밀폐 밸브(170)는 본체(110)에 제1 덮개(130)가 얹혀진 상태에서, 본체(110)와 제1 덮개(130)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 공간(R)의 밀폐 상태를 유지하거나 그를 해제하게 된다. 제1 덮개(130)의 주변부(133)는 본체(110)의 상부(113)에 얹혀진다. 주변부(133)와 본체(110)의 상부(113)의 마주하는 면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밀폐 부재(121)가 개재될 수 있다. 밀폐 부재(121)는 제1 덮개(130)와 본체(110) 보다 연성이 큰 소재로서, 예를 들어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며, 형태적으로는 띠를 이룰 수 있다. 밀폐 부재(121)에 의해 제1 덮개(130)와 본체(110) 사이의 밀폐력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제2 덮개(150)는 제1 덮개(130)의 상측에 위치하며, 제1 덮개(130)에 결합되어 제1 덮개(130)와 일체를 이룬다. 제2 덮개(150)는 제1 덮개(130)에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판재 형태의 주면부(151)와, 주면부(151)의 가장자리에서 돌출 형성되는 측벽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주면부(151)와 측벽부(153), 그리고 제1 덮개(130)에 의해서는 닫힌 공간(C)이 한정된다. 닫힌 공간(C)에는 탈취제를 수용하는 수용 부재(147)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덮개(150)의 주면부(151)와 제1 덮개(130)의 주면 사이를 이격시키도록, 닫힌 공간(C) 내에 지지대(141)가 배치될 수 있다. 주면부(151)의 중앙부에는, 제1 연통공(135)에 대응하여 제2 연통공(155)이 형성된다. 제2 연통공(155)에 대응해서는 해제 장치(190)가 설치된다. 주면부(151)의 제2 연통공(155)을 둘러싸는 영역에는 손잡이(159)가 형성될 수 있다. 측벽부(153)에는 본체(110)의 걸림부(115)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 날개(157)가 형성될 수 있다.
밀폐 밸브(170)는, 차단 부재(171)와, 제1 지지 부재(173)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 부재(171)는 제1 연통공(135)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차단 부재(171)는 구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173)는 제1 연통공(135)에 대응하도록 제1 덮개(130)에서 돌출하여, 일 높이에서 차단 부재(171)를 지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 부재(173)는 도립 절두원추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해제 장치(190)는, 조작 부재(191)와, 제2 지지 부재(193)와, 연결 부재(195)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 부재(191)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2 덮개(150)의 제2 연통공(155)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제2 지지 부재(193)는 제2 덮개(150)에 형성되어, 조작 부재(191)를 지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2 지지 부재(193)는 절두원추형으로 본체(110)를 향해 연장하는 것일 수 있다. 연결 부재(195)는 조작 부재(191)와 차단 부재(171)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와이어가 될 수 있다. 조작 부재(191)의 상면은 제2 덮개(150)의 외면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라면, 제2 덮개(150) 위에 다른 이중 밀폐 용기(100)를 적층하더라도, 조작 부재(191)에 의해 적층에 제약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조작 부재(191)도 제2 지지 부재(193)와 접촉되어, 그들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는, 닫힌 공간(C) 내로 수용 공간(R)의 공기가 일부 유입되더라도, 그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어 냄새가 퍼지는 것을 추가로 차단하게 된다.
다음으로, 지지대(141)의 구체적 구성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지지대(141)의 분리 가능한 구성을 보인 요부의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지지대(141)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부분(142)과 제2 부분(14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부분(142)은 제2 덮개(150)에 연결되고, 제2 부분(145)은 제1 덮개(13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 부분(142)의 자유단에는 리세스부(14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2 부분(145)의 단부에는 돌출부(14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146)는 리세스부(143)에 억지 끼움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2 덮개(150)가 제1 덮개(130)로부터 분리되고, 그러한 분리를 통해 지지대(141)의 탈취제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구성과 달리, 지지대(141)를 단일 부재로 형성하여 제1 덮개(130)나 제2 덮개(150)에만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이중 밀폐 용기(100)의 사용 방법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이중 밀폐 용기(100)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기 위해 펌핑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본체(110)의 수용 공간(R)에 김치 등의 반찬을 수용하고서, 수용 공간(R)을 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한 손으로 해제 장치(190)의 조작 부재(191)를 잡아당긴다. 이에 의해, 연결 부재(195)에 의해 조작 부재(191)에 연결된 차단 부재(171)는, 제1 지지부재(173)와 접촉되어 제1 지지부재(173)와 틈새가 생기지 않은 상태에서, 상측으로 들려짐으로써 상기 틈새를 허용하는 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수용 공간(R)이 제1 연통공(135) 및 제2 연통공(155)을 통하여 외부와 연통된 상태에서, 제2 덮개(150)를 다른 손으로 눌러서 펌핑하게 된다. 이러한 펌핑에 의해, 수용 공간(R)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체(110)는 형상적으로 하부(111)에서 상부(113)로 갈수록 수용 공간(R)의 폭이 좁아지거나 하부(111)에서 상부(113)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이러한 펌핑을 위한 압박에도 쉽게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본체(110)의 상부(113) 측 외면에는 걸림부(115)가 돌출 형성된다.
수용 공간(R) 내부의 공기가 배출된 상태에서 해제 장치(190)의 조작 부재(191)를 놓으면, 차단 부재(171)가 하강하여 제1 지지부재(173)와 다시 밀착되어 상기 틈새를 차단하게 된다(도 1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차단 부재(171)가 중력에 의해 제1 지지부재(173)를 가압하게 되므로, 그들 사이의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서 외기가 그들 사이를 통해 수용 공간(R) 내로 들어갈 수 없게 된다.
도 4는 도 3의 펌핑에 의한 이중 밀폐 용기(100)의 진공 상태를 해소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덮개(130 및 150)를 본체(11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 해제 장치(190)의 조작 부재(191)를 잡아당기면 된다. 그에 의해, 연결 부재(195)에 의해 조작 부재(191)에 연결된 차단 부재(171)는, 제1 지지부재(173)와 접촉되어 제1 지지부재(173)와 틈새가 생기지 않은 상태에서, 상측으로 들려짐으로써 상기 틈새를 허용하는 상태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외기가 제2 연통공(155)과 제1 연통공(135)을 차례로 통과하여, 수용 공간(R) 내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중 밀폐 용기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이중 밀폐 용기 110: 본체
130: 제1 덮개 135: 제1 연통공
150: 제2 덮개 155: 제2 연통공
170: 밀폐 밸브 190: 해제 장치

Claims (13)

  1. 수용 공간을 한정하며, 상기 수용 공간의 상면은 개방되도록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수용 공간을 밀폐하거나 상기 밀폐 상태를 해제하는 밀폐밸브를 구비하는, 탄성 재질의 제1 덮개; 및
    상기 제1 덮개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덮개에 결합되고, 상기 밀폐밸브에 의해 형성된 상기 수용 공간의 밀폐 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와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덮개는, 판재 형태의 주면부; 및 상기 제1 덮개에 결합되도록 상기 주면부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주면부 및 상기 제1 덮개 사이에 닫힌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에 의해 한정된 영역 내에 배치되어, 상기 주면부와 상기 제1 덮개 사이를 이격시키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이중 밀폐 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와 상기 지지대 중 적어도 하는,
    리세스부를 가지는, 제1 부분; 및
    상기 리세스부에 탈착 가능하게 억지 끼움되는 돌출부를 가지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이중 밀폐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닫힌 공간에 배치되고 탈취제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수용 부재를 더 포함하는, 이중 밀폐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밸브는,
    상기 제1 덮개에 형성된 제1 연통공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차단 부재; 및
    상기 제1 연통공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덮개에서 돌출 형성되어, 일 높이에서 상기 차단 부재를 지지하는 제1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이중 밀폐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도립 절두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차단 부재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중 밀폐 용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장치는,
    상기 제2 덮개에 형성된 제2 연통공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조작 부재;
    상기 제2 덮개에 형성되어, 상기 조작 부재를 지지하는 제2 지지 부재; 및
    상기 조작 부재와 상기 차단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이중 밀폐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덮개의 외면은 상기 조작 부재의 상면과 동일하거나 상기 조작 부재의 상면보다 더 높이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이중 밀폐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와 상기 본체의 상부의 접촉되는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덮개와 상기 본체보다 연성이 큰 소재로 형성되는 밀폐 부재를 포함하는, 이중 밀폐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부재는 실리콘 소재의 띠인, 이중 밀폐 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부에서 상기 상면 측으로 갈수록 상기 수용 공간의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이중 밀폐 용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부에서 상기 상면 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되는, 이중 밀폐 용기.
KR1020110109546A 2011-10-25 2011-10-25 이중 밀폐 용기 KR101296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546A KR101296138B1 (ko) 2011-10-25 2011-10-25 이중 밀폐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546A KR101296138B1 (ko) 2011-10-25 2011-10-25 이중 밀폐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089A KR20130045089A (ko) 2013-05-03
KR101296138B1 true KR101296138B1 (ko) 2013-08-20

Family

ID=48657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546A KR101296138B1 (ko) 2011-10-25 2011-10-25 이중 밀폐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1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8739A (zh) * 2017-04-22 2017-07-11 朱思学 真空食品保鲜罐
CN111806872B (zh) * 2020-06-08 2021-11-12 浙江三童食品有限公司 一种双层式罐头瓶盖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1463U (ja) * 1993-03-16 1994-10-07 凸版印刷株式会社 ガス排気用口栓体
JPH09309559A (ja) * 1996-05-21 1997-12-02 Akio Nakagaki 弾性に富む可橈性容器用のキャップ
JP2808238B2 (ja) * 1994-06-03 1998-10-08 蝶プラ工業株式会社 電子レンジでの加熱調理による殺菌状態のまま密閉できる通気栓付き密閉容器
KR20020000099A (ko) * 2000-08-09 2002-01-04 박준명 유통용 발효식품 포장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1463U (ja) * 1993-03-16 1994-10-07 凸版印刷株式会社 ガス排気用口栓体
JP2808238B2 (ja) * 1994-06-03 1998-10-08 蝶プラ工業株式会社 電子レンジでの加熱調理による殺菌状態のまま密閉できる通気栓付き密閉容器
JPH09309559A (ja) * 1996-05-21 1997-12-02 Akio Nakagaki 弾性に富む可橈性容器用のキャップ
KR20020000099A (ko) * 2000-08-09 2002-01-04 박준명 유통용 발효식품 포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089A (ko) 201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60446A1 (en) Rubber seal for vacuum receptacle and lid for the receptacle using the same
KR200478674Y1 (ko) 식품 저장 용기
KR101296138B1 (ko) 이중 밀폐 용기
KR200465164Y1 (ko) 물김치의 건더기 침지를 위한 속뚜껑이 구비된 밀폐용기
KR101786163B1 (ko)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KR100556608B1 (ko) 용량가변 밀폐용기
KR101742611B1 (ko) 진공용기용 체크밸브
KR101636752B1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KR101395317B1 (ko) 진공용기용 고무밀봉재 및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
KR20050081348A (ko) 용량가변 밀폐용기
KR20160065691A (ko) 자석 부착형 용기
KR200474242Y1 (ko)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수직으로 승하강 되는 밀폐용기 속뚜껑
KR101944257B1 (ko) 다양한 진공용기에 사용 가능한 휴대용 진공기
KR200474108Y1 (ko) 식품보관용기용 속뚜껑 조립체
JP6634212B2 (ja) 容器
KR20160048635A (ko) 밀폐 용기
CN205658796U (zh) 多格保温瓶
KR101780035B1 (ko) 밀폐용기
JP5270721B2 (ja) 鶏卵収納容器及びそれを備える冷蔵庫
AU2016101479A4 (en) Beverage Cup
KR100679649B1 (ko) 냉장고의 반찬수납장치
KR20120006802U (ko) 손잡이가 두 개 구비된 뚜껑
KR20110006506A (ko) 진공식 밀폐용기
KR20150086905A (ko) 식품 저장용 진공 용기
KR101964035B1 (ko) 식음료 용기 보관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