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5947A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5947A
KR20150085947A KR1020140005966A KR20140005966A KR20150085947A KR 20150085947 A KR20150085947 A KR 20150085947A KR 1020140005966 A KR1020140005966 A KR 1020140005966A KR 20140005966 A KR20140005966 A KR 20140005966A KR 20150085947 A KR20150085947 A KR 201500859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preview screen
mobile terminal
screen
camer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5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2646B1 (ko
Inventor
민동옥
이영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5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646B1/ko
Priority to US14/597,061 priority patent/US9407803B2/en
Publication of KR20150085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5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8Window management, e.g. event handling follow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04N23/632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for displaying or modifying preview images prior to image capturing, e.g. variety of image resolutions or captur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7/14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camera and display on the same optical axis, e.g. optically multiplexing the camera and display for eye to eye conta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전후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이미지를 촬영 또는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에 출시되는 스마트폰이나 디지털 카메라 등 이동단말기는, 전면 및 후면 카메라를 함께 구비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전면 카메라는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의 표시 면과 같은 방향을 향하는 카메라를 말하고, 후면 카메라는 반대 방향을 향하는 카메라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전면 및 후면 카메라에 대한 미리보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된다. 따라서, 전면 카메라는 촬영자 자신을 촬영하는데 주로 이용되고, 후면 카메라는 촬영자 외의 피사체를 촬영하는데 주로 이용될 것이다.
하지만, 기존 이동단말기는 상술한 전면 및 후면 카메라 각각을 활용하거나, 전면 및 후면 카메라를 동시에 촬영한 이미지를 합성하는 정도에 그치는 것이 현 실정이다. 따라서, 전면 및 후면 카메라를 좀 더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뿐만 아니라 심미적인 효과 또한 향상 시킬 수 있는 제어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전면 및 후면 카메라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카메라; 터치스크린; 및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가 활성화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제 1 카메라에 대한 제 1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되는 제 1 미리보기 화면 중 제 1 형상을 갖는 일영역에 제 2 카메라에 대한 제 2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며, 상기 제 2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에 포함되는 인물의 포즈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인물의 포즈를 기초로 상기 일영역의 형상을 제 2 형상으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제공한다.
상기 이동단말기는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촬영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 1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 1 이미지 상에 상기 제 2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 2 이미지를 합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이미지를 상기 제 1 이미지 상에 합성하는데 있어서, 상기 출력되는 제 1 및 제 2 미리보기 화면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2 이미지를 합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카메라는 상기 터치스크린이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카메라는 상기 터치스크린이 향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카메라; 터치스크린; 및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가 활성화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제 1 카메라에 대한 제 1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되는 제 1 미리보기 화면 중 소정 영역에 제 2 카메라에 대한 제 2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며, 상기 제 1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인물의 얼굴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얼굴이 상기 출력되는 제 1 미리보기 화면 상에서 상기 출력되는 제 2 미리보기 화면에 가려지면, 상기 인식된 얼굴을 상기 소정 영역에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제어부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소정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소정 영역에 상기 제 2 미리보기 화면을 상기 인식된 얼굴 보다 우선적으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카메라; 소정 상대방과 영상 통화 세션을 수립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터치스크린; 및 상기 영상 통화 세션이 수립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제 1 카메라에 대한 제 1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되는 제 1 미리보기 화면 중 제 1 영역에 제 2 카메라에 대한 제 2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며, 상기 제 2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에 포함되는 인물이 다른 인물로 전환될 경우, 상기 제 2 미리보기 화면의 출력을 상기 제 1 영역에서 제 2 영역으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카메라; 터치스크린; 및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가 활성화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제 1 카메라에 대한 제 1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되는 제 1 미리보기 화면 중 제 1 영역에 제 2 카메라에 대한 제 2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며, 상기 소정 영역에 소정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출력되는 제 1 미리보기 화면 중 제 2 및 제 3 영역 각각에 상기 제 2 미리보기 화면을 분할출력하는 제어부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에서 인식된 제 1 및 제 2 얼굴을 상기 제 2 및 제 3 영역 각각에 나누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카메라 및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가 활성화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제 1 카메라에 대한 제 1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되는 제 1 미리보기 화면 중 제 1 형상을 갖는 일영역에 제 2 카메라에 대한 제 2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 2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에 포함되는 인물의 포즈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한 인물의 포즈를 기초로 상기 일영역의 형상을 제 2 형상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이동단말기는,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촬영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 1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 1 이미지 상에 상기 제 2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 2 이미지를 합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되는 제 1 및 제 2 미리보기 화면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2 이미지를 합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카메라는 상기 터치스크린이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카메라는 상기 터치스크린이 향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카메라 및 터치스크린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가 활성화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제 1 카메라에 대한 제 1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되는 제 1 미리보기 화면 중 소정 영역에 제 2 카메라에 대한 제 2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인물의 얼굴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된 얼굴이 상기 출력되는 제 1 미리보기 화면 상에서 상기 출력되는 제 2 미리보기 화면에 가려지면, 상기 인식된 얼굴을 상기 소정 영역에 우선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는, 소정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소정 영역에 상기 제 2 미리보기 화면을 상기 인식된 얼굴 보다 우선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카메라, 소정 상대방과 영상 통화 세션을 수립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및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 통화 세션이 수립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제 1 카메라에 대한 제 1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되는 제 1 미리보기 화면 중 제 1 영역에 제 2 카메라에 대한 제 2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에 포함되는 인물이 다른 인물로 전환될 경우, 상기 제 2 미리보기 화면의 출력을 상기 제 1 영역에서 제 2 영역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는, 소정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소정 영역에 상기 제 2 미리보기 화면을 상기 인식된 얼굴 보다 우선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카메라, 소정 상대방과 영상 통화 세션을 수립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및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 통화 세션이 수립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제 1 카메라에 대한 제 1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되는 제 1 미리보기 화면 중 제 1 영역에 제 2 카메라에 대한 제 2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에 포함되는 인물이 다른 인물로 전환될 경우, 상기 제 2 미리보기 화면의 출력을 상기 제 1 영역에서 제 2 영역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카메라 및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가 활성화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제 1 카메라에 대한 제 1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되는 제 1 미리보기 화면 중 제 1 영역에 제 2 카메라에 대한 제 2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영역에 소정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출력되는 제 1 미리보기 화면 중 제 2 및 제 3 영역 각각에 상기 제 2 미리보기 화면을 분할출력하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할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 에서 인식된 제 1 및 제 2 얼굴을 상기 제 2 및 제 3 영역 각각에 나누어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전면 카메라를 통한 이미지를 후면 카메라를 통한 이미지에 보다 손쉽게 합성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동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통화 상대방이 변경된 것을 직관적으로 안내해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동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통화 상대방이 복수 명이라는 것을 직관적으로 안내해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후면커버를 분리하여 리어 케이스의 표면을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전면 및 후면 카메라를 함께 활용하여 감성적인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 각각은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라, 전면 및 후면 카메라를 함께 활용하여 감성적인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제어 방법의 상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속에 풍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기초로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을 출력하기 위한 일영역의 형상을 변경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 상에 인식된 얼굴을 기초로,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 자체를 회전하여 출력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 1 및 제 2 카메라 각각에 대한 제 1 및 제 2 미리보기 화면의 출력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 1 및 제 2 카메라 각각에 대한 제 1 및 제 2 미리보기 화면의 출력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 2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이 전환됨에 따라, 제 2 카메라에 대한 미리보기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을 변경시키는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 2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이 전환됨에 따라, 제 2 카메라에 대한 미리보기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을 변경시키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 2 미리보기 화면 상에 존재하는 복수 명의 인물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표시하는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 2 미리보기 화면 상에 존재하는 복수 명의 인물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표시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동영상의 녹화 도중 제 2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 포함되는 인물이 사라지거나 나타날 경우, 사용자에게 안내해 주기 위한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제 1 및 제 2 카메라를 모두 이용하여 녹화한 동영상의 재생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단말기(100)와 이동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00)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CBMS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OMA-BCAST (Open Mobile Alliance-BroadCAST), CMMB (China Multimedia Mobile Broadcasting), MBBMS (Mobile Broadcasting Business Management System),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위치정보 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136), 터치 센서(정압/정전)(137)로 구성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단말기의 방위, 이동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센싱부(140)의 예로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e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호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호칭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향 출력 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이동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이동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17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스크린(151)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터치스크린(15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터치 제스처는 터치 스크린(151)를 접촉 터치하거나 근접 터치하여 구현되는 제스처를 의미하며, 터치 입력은 터치 제스처에 의해 수신되는 입력을 의미한다.
터치 제스처는 동작에 따라 태핑(tapping), 터치 드래그(touch & drag), 플리킹(flicking), 프레스(press), 멀티 터치(multi touch), 핀치 인(pinch in), 핀치 아웃(pinch out) 등으로 구분된다.
태핑은 터치 스크린(151)을 가볍게 한번 눌렀다 떼는 동작으로, 일반 퍼스널 컴퓨터에서의 마우스의 클릭과 같은 터치 제스처를 의미한다.
또한, 터치 드래그는 터치 스크린(151)에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특정 위치로 이동한 후 떼는 동작으로, 객체를 드래그하는 경우, 해당 객체는 드래그 방향에 따라 지속적으로 이동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플리킹은 터치 스크린(151)을 터치한 후 특정 방향(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으로 이동 후 접점을 떼는 동작을 의미하며, 이동단말기(100)는 플리킹에 의해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플리킹 방향, 속도 등을 토대로 특정 동작의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플리킹 방향을 토대로 전자 책(e-book)의 페이지 넘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레스는 터치 스크린(151)을 터치 후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터치를 유지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멀티 터치는 터치 스크린(151)의 복수의 지점을 동시에 터치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핀치 인은 터치 스크린(151)을 멀티 터치 중인 복수의 포인터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즉, 터치 스크린(151)에서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시작되고,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드래그를 의미한다.
또한, 핀치 아웃은 터치 스크린(151)을 멀티 터치 중인 복수의 포인터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즉, 터치 스크린(151)에서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 중 적어도 하나의 지점으로부터 시작되고, 멀티 터치되는 복수의 지점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드래그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1, 102, 10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도 전자부품이 실장 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는 전자부품은 사용자가 탈착이 필요한 배터리, USIM카드 및 메모리카드 등이 있다. 이 때, 상기 리어 케이스(102)는 그 표면을 커버하기 위한 후면커버(10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103)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후면커버(103)를 제거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이 노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커버(103)를 결합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만 노출될 수도 있고, 상기 후면커버(103)의 사이즈를 작게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 일부도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후면커버(103)가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배면 전체를 커버하는 경우 카메라(121')나 음향 출력부(152')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케이스(101, 102)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 출력 모듈(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부(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 출력 모듈(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 3 조작 유닛(133)은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후면커버를 분리하여 리어 케이스의 표면을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01), 리어 케이스(102), 후면커버(또는 배터리 커버)(103), 카메라(121'), 인터페이스부(170), 마이크(122), 스피커 모듈음향출력부(154152'), 배터리(191), 배터리 장착부(104), USIM카드 장착부(166), 메모리카드 장착부(167)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리어 케이스(102) 표면에는 배터리 장착부(104), USIM카드 장착부(105) 및 메모리카드 장착부(106)와 같은 외장부품이 실장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는 외장부품은 이동단말기(100)의 기능이 다양화 되고 다양해진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이동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동단말기(100)의 성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전력소모가 큰점을 보완하기 위해 배터리(191)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교체형의 경우 사용자가 탈부착할 수 있도록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배터리 장착부(104)를 형성한다. 상기 배터리 장착부(104)에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실장되는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 단자를 구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IM카드 장착부(166)나 메모리카드 장착부(167)는 배터리 장착부(104)의 옆에 형성될 수도 있고, 배터리 장착부(104)의 바닥면에 형성하여, 배터리(191)를 상기 배터리 장착부(104)로부터 분리하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터리 장착부(104)의 크기가 더 커질 수 있어 배터리(191)의 대형화가 가능하다.
도 4에는 USIM카드 장착부(166)나 메모리카드 장착부(167)는 리어 케이스(102)의 후면에 실장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그 외에 측면에서 삽입하는 방식으로 이동단말기(100)에 삽입 분리 가능하다.
상기 후면커버(103)는 상기 리어케이스의 표면을 커버하여,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된 배터리(191), USIM카드, 메모리카드 등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며, 외부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상기 외장부품을 보호한다. 최근에는 방수기능을 부가하여, 상기 외장부품에 물이 투입되지 않도록 상기 리어 케이스(102)와 상기 후면커버(103)를 결합시 밀폐되도록 하는 방수구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카메라(121, 이하 전면 카메라라고 호칭함) 및 도 3에 도시된 카메라(121', 이하 후면 카메라라고 호칭함)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사진 및 동영상의 촬영, 또는 영상 통화를 이용하는 경우에 활용할 수 있는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이동단말기(100)는 터치스크린(151)을 통하여 카메라(121, 121')에 대한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출력되는 미리보기 화면을 참고하여 사진을 촬영함으로써,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사진을 손쉽게 촬영할 수 있을 것이다. 두 개 이상의 카메라에 대한 미리보기 화면을 하나의 터치스크린(151)에 출력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이동단말기(100)는 터치스크린(151)에 제 1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고, 제 1 미리보기 화면의 일영역에 제 2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여 제공한다.
전면 카메라(121)는, 터치스크린(151)이 표시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을 향하는 카메라로서, 주로 촬영자 자신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일 것이다. 후면 카메라(121')는, 터치스크린(151)이 표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카메라로서, 주로 촬영자 외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일 것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는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순차적으로 후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전면 및 후면 카메라를 함께 활용하여 감성적인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 각각은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라, 전면 및 후면 카메라를 함께 활용하여 감성적인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제어 방법의 상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S501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제 1 및 제 2 카메라(전면 및 후면 카메라, 121, 121')를 활성화할 수 있다. 그리고 S502단계에서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151)을 통하여 제 1 카메라에 대한 제 1 미리보기 화면(600a)을 출력할 수 있다(도 6 (a) 및 도 7 (a) 참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예시에서 상기 제 1 카메라는 후면 카메라(121')이다.
S503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제 1 미리보기 화면(600a) 중, 제 1 형상(601-1)을 갖는 일영역에 제 2 카메라에 대한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을 출력한다(도 6 (a) 및 도 7 (a) 참조). 여기서 제 1 형상은,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형상 또는 시스템 상에서 기설정된 형상을 띌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예시에서의 제 1 형상은 도 6 (a) 및 도 7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이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예시에서 상기 제 2 카메라는 전면 카메라(121)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 2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의 포즈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을 출력하기 위한 영역의 형상을 변경하도록 제안한다. 따라서, S504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우선, 제 2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에 인물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단 시 S507단계로, 포함된다고 판단 시 S505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S505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제 2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의 포즈를 분석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포즈란, 인물 전신에 대한 포즈뿐만 아니라, 인물의 손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시에 따르면, 제 2 카메라인 전면 카메라(121)에 대한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이 출력되고 있으며,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은 촬영자의 모습을 포함한다. 그리고, 촬영자의 포즈를 분석한 결과, 제어부(180)는 촬영자가 손을 이용하여 하트를 형상하는 손동작을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촬영자의 포즈를 분석한 결과 상기 제 1 형상(601-1)을 갖는 일영역을 제 2 형상(601-2)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제 2 형상(601-2)로 변경된 일영역을 통하여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로부터 촬영 명령을 수신하면, S507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상기 제 1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 1 이미지 상에, 상기 제 2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 2 이미지를 합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6 (c)는, 합성하여 저장된 이미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즉, 저장된 이미지는, 도 6 (b)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미리보기 화면(600a 및 600b)에 대응되도록 저장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이 출력되는 영역의 형상 또한 동일하게 합성된 이미지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상기 제 2 이미지를 상기 제 1 이미지 상에 합성하는데 있어서, 상기 출력되는 제 1 및 제 2 미리보기 화면(600a 및 600b)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2 이미지를 합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저장되는 이미지 또한 터치스크린(151)을 통하여 표시되는 제 1 및 제 2 미리보기 화면에 대응하도록 합성되어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촬영자의 손동작을 기초로 변형된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을 표시하는 일영역의 제 2 형상(601-2)이 '하트 형상'인 경우를 예시로 하였다. 도 7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도 6에서와는 다른 형상을 예시로 한다.
도 7 (a)를 참조하면, 제 1 형상(601-1)을 갖는 일영역에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이 출력되고 있으며, 상기 제 1 형상(601-1)은 직사각 형상인 것으로 도시된다. 제 2 카메라인 전면 카메라(121)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 상에 촬영자의 손동작은 'V' 형상을 갖고 있으며, 제어부(180)는 촬영자의 포즈를 분석한 결과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이 출력되는 일영역의 형상을 제 3 형상(601-3)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7 (b)를 참조하면, 제 3 형상(601-3)은 '별 형상'을 가진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촬영자의 포즈를 분석하여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을 출력하기 위한 일영역의 형상을 변경하도록 제안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미지 속에 풍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기초로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을 출력하기 위한 일영역의 형상을 변경하도록 제안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속에 풍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기초로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을 출력하기 위한 일영역의 형상을 변경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 1 및 제 2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제 1 및 제 2 카메라 각각에 대한 제 1 미리보기 화면(600a) 및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151) 상에 제 1 미리보기 화면(600a)를 표시하고, 제 1 미리보기 화면(600a)의 제 1 형상(601-1)을 갖는 소정 영역에,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을 표시할 수 있다.
제 1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에 풍경이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80)는, 도 8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이 표시되는 소정 영역의 형상을 제 1 형상(601-1)에서 제 4 형상(601-4)로 전환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예시에서, 상기 제 4 형상(601-4)는 엽서 형상이며, 엽서 형상에는 현재 이미지의 촬영 날짜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이 표시되는 소정 영역의 형상을 변경하는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형상의 변경뿐만 아니라,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 자체를 회전하도록 제안한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 상에 인식된 얼굴을 기초로,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 자체를 회전하여 출력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이미지 상에서 얼굴을 분석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통하여, 이미지 상에 포함된 인물 각각에 대한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알고리즘은, 이미지 속의 인물의 눈, 코 또는 입의 형상 및/또는 상대적인 위치를 분석하고, 분석된 눈, 코 또는 입을 이용하여 인물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기 알고리즘을 통하여 인식된 결과를 얼굴 인식 정보라고 호칭하기로 한다. 얼굴 인식 정보는, 이미지가 출력되고 있는 전체 영역 상에서 인식된 얼굴의 상대적인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진 상에 등장하는 인물의 수가 복수일 경우, 얼굴 인식 정보는 복수 명의 인물 중 적어도 한 명의 인물 각각에 대한 개별적인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상에 복수 명의 인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이미지의 얼굴 인식 정보는 그 복수 명의 인물 중에서 적어도 한 명에 대한 얼굴 인식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얼굴 인식 정보는, 이미지에 대한 검색 동작 시마다 분석될 수도 있지만, 한 번 분석된 얼굴 인식 정보가 해당 이미지의 메타 데이터 형태로 저장되어 반복적인 분석이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9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 1 및 제 2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제 1 및 제 2 카메라 각각에 대한 제 1 미리보기 화면(600a) 및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151) 상에 제 1 미리보기 화면(600a)를 표시하고, 제 1 미리보기 화면(600a)의 제 1 형상(601-1)을 갖는 소정 영역에,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 2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의 얼굴을 식별하고, 식별된 얼굴 결과를 기초로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회전되는 정도(각)를 판단할 때, 상기 식별된 얼굴이 똑바르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얼굴이 똑바르다는 것은, 식별된 얼굴에서 인식된 양 눈이 지면과 평행(즉, 터치스크린(151)의 일변과 평행)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회전 동작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제어부(180)는,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이 출력되는 상기 일영역을 제 1 형상(601-1)에서 제 4 형상(601-4)로 변경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동일할 것이다.
지금까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이 출력되는 소정 영역의 형상 및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을 회전하여 출력하는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 도 10 및 도 11에서는, 제 1 및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을 출력하는 경우, 특히 영상을 녹화하는 경우, 미리보기 화면 출력의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제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 1 및 제 2 카메라 각각에 대한 제 1 및 제 2 미리보기 화면의 출력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 1 및 제 2 카메라 각각에 대한 제 1 및 제 2 미리보기 화면의 출력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S1001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제 1 및 제 2 카메라를 활성화한다. S1002단계에서 제어부(180)는, 도 11 (a)에서와 같이, 터치스크린(151)을 통하여 제 1 카메라에 대한 제 1 미리보기 화면(600a)을 출력하고, S1003단계에서 출력되는 제 1 미리보기 화면(600a) 상의 소정 영역(1100) 상에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을 출력할 수 있다.
S1004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제 1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명 인물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도 11 (b)는, 상기 인식 결과 상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 (b)에 도시된 예시에서, 제어부(180)는 6명의 인물에 대한 얼굴을 인식하였으며, 인식 결과를 나타내는 얼굴 인디케이터(1101a 내지 1101f)를 인식된 얼굴 각각의 위치에 표시하고 있다.
도 11 (c)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촬영자가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인식된 얼굴 중 일부가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의 출력에 의해서 가려진 것으로 가정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경우에 상기 인식된 얼굴의 출력을 우선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안한다. S1005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제 1 미리보기 화면(600a) 상에서 상기 인식된 얼굴이 상기 출력되는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에 의해서 가려지는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도 11 (c)에서와 같이 가려진다면 S1006단계로 진행하고, 가려지지 않는다면 제어 방법을 종료한다. S1006단계에서 제어부(180)는 도 11 (d)에서와 같이, 상기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 보다 상기 인식된 얼굴을 우선적으로 표시하도록 터치스크린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카메라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데 있어서, 영상 통화를 하는 경우에 대한 제어 방법 또한 제안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 2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이 전환됨에 따라, 제 2 카메라에 대한 미리보기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을 변경시키는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 2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이 전환됨에 따라, 제 2 카메라에 대한 미리보기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을 변경시키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12 및 도 1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S1201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소정 상대방과 영상 통화 세션을 수립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영상 통화는, 이동단말기(100)가 구비한 제 1 및 제 2 카메라를 모두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동단말기(100)는 영상 통화 세션이 수립되면, 수립된 세션을 통하여 상대방 이동단말기에게 제 1 및 제 2 카메라에서 수신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대방 단말기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통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S1202단계에서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151)을 통하여 제 1 카메라에 대한 제 1 미리보기 화면(600a)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S1203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제 1 미리보기 화면(600a) 중 제 1 영역(1100-1)에 제 2 카메라에 대한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을 출력한다. 도 13 (a)에 도시된 예시에서 제 1 카메라는 후면 카메라(121')이고, 제 2 카메라는 전면 카메라(121)이다.
더 나아가, 제어부(180)는 영상 통화 세션을 통하여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를 제 3 영역(1301)에 출력할 수 있다. 영상 통화를 수행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도 13의 도시된 예시에서는 제 3 영역(1301)에 통화 상대방의 얼굴이 표시된다.
S1204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상기 제 2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한 명의 인물의 얼굴을 인식한다.
도 12 및 도 13과 관련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영상 통화의 참여자가 변경될 경우, 이러한 변경을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안내해 줄 수 있는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 2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에 포함되는 인물의 얼굴을 인식한다. 그리고 영상 통화의 참여자 인물이 다른 인물로 전환되는 경우, 이동단말기(100)는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이 출력되는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안내해주도록 제안하는 것이다. S1205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상기 제 2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에 포함되는 인물이 다른 인물로 전환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다른 인물로 전환된다면, S1206단계로 진행하고, 다른 인물로 전환되지 않는다면 제어 방법을 종료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예시에서, 도 13 (a)에서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에 출력되던 인물이 도 13 (b)에서 다른 인물로 전환되었다.
S1206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의 출력을 상기 제 1 영역(1100-1)에서 제 2 영역(1100-2)으로 전환하도록 터치스크린(151)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3 (c)에 도시된 예시에서와 같이, 제어부(180)는 도 13 (b)에서의 인물 전환에 대응하여, 제 2 영역(1100-2)에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 2 미리보기 화면 상에 복수 명의 인물이 출력되는 경우, 복수 명이라는 사실을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안내해 줄 수 있는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 2 미리보기 화면 상에 존재하는 복수 명의 인물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표시하는 제어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 2 미리보기 화면 상에 존재하는 복수 명의 인물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표시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14 및 도 15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S1401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제 1 및 제 2 카메라를 활성화한다. S1402단계에서 제어부(180)는, 도 15 (a)에서와 같이, 터치스크린(151)을 통하여 제 1 카메라에 대한 제 1 미리보기 화면(600a)을 출력하고, S1403단계에서 출력되는 제 1 미리보기 화면(600a) 상의 소정 영역(1100) 상에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을 출력할 수 있다.
S1404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제 1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명 인물의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도 15 (b)는, 상기 인식 결과 상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 (b)에 도시된 예시에서, 제어부(180)는 2명의 인물에 대한 얼굴을 인식하였으며, 인식 결과를 나타내는 얼굴 인디케이터(1101a 및 1101b)를 인식된 얼굴 각각의 위치에 표시하고 있다.
S1405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상기 제 1 영역(1100-1)에 소정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입력되었다면 S1406단계로 진행, 입력되지 않았다면 제어 방법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소정 터치 제스처는, 도 15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영역(1100-1) 상에 수신되는 터치(10a) 입력 후, 상기 터치(10a)가 유지된 채 드래그(10b)되는 입력일 수 있다.
S1406단계에서 제어부(180)는 도 15 (d)에서와 같이 상기 출력되는 제 1 미리보기 화면(600a) 중 제 2 영역(1100-2) 및 제 3 영역(1100-3) 각각에 상기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을 분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을 분할하여 출력하는 것이란, 상기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에 복수 명의 인물이 포함될 경우, 상기 복수 명의 인물 각각이 상기 제 2 영역(1100-2) 및 제 3 영역(1100-3)에 나누어 출력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촬영 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제 1 및 제 2 미리보기 화면(600a 및 600b)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1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제 1 이미지 상에, 상기 제 2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제 2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미지의 녹화 도중 전면 카메라(121)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이 사라지거나 나타날 경우, 이미지의 재생 시 해당 시점을 안내해 주기 위한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동영상의 녹화 도중 전면 카메라(121)로부터 수신되는 이미지에 포함되는 인물이 사라지거나 나타날 경우, 사용자에게 안내해 주기 위한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어부(180)는 제 1 및 제 2 카메라를 활성화하고 녹화를 수행하며, 녹화가 진행 중임을 나타내는 녹화 인디케이터(1600)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도 16 (a)에서와 같이, 터치스크린(151)을 통하여 제 1 카메라에 대한 제 1 미리보기 화면(600a)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되는 제 1 미리보기 화면(600a) 상의 소정 영역(1100) 상에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을 출력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녹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그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녹화 프로그레시브 바(1604)를 더 출력할 수 있다.
도 16 (a)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 상에는 촬영자의 얼굴 모습이 보이며, 상기 제 2 카메라는 전면 카메라(121)이다. 제어부(180)는 상기 전면 카메라(121)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에 포함된 촬영자의 얼굴을 인식한다. 계속하여 녹화가 진행되고 있는 도중, 제 2 미리보기 화면(600b) 상에서 촬영자의 모습이 사라졌다고 가정한다(도 16 (b) 참조).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촬영자의 모습이 사라진 시점 정보를 저장한다. 더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저장한 시점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제 1 시점 인디케이터(1601a)를 상기 출력되는 녹화 프로그레시브 바(1604)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6 (c)에서는, 다시 촬영자의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제어부(180)는 촬영자의 모습이 다시 나타난 시점 정보 또한 저장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80)는 도 16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한 시점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제 2 시점 인디케이터(1601b)를 상기 출력되는 녹화 프로그레시브 바(1604)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 상에 아무런 인물도 감지하지 못한 구간을 녹화 프로그레시브 바(1604) 상에서 다른 구간과 식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녹화 프로그레시브 바(1604) 상에 표시되는 제 1 및 제 2 시점 인디케이터(1601a 및 1601b) 사이의 구간은 촬영자의 모습이 사라진 구간이기 때문에 제 1 색으로 표시하고, 녹화 프로그레시브 바(1604) 상에 다른 구간은 제 2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6 (d)에서와 같이, 녹화 종료 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부(180)는 녹화를 종료하고 녹화된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녹화 종료 명령은, 녹화 버튼(1603)을 터치(10c)하는 입력일 수 있다. 도 16의 예시에서 저장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제어 방법에 대해서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제 1 및 제 2 카메라를 모두 이용하여 녹화한 동영상의 재생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 (a) 내지 (d)는 도 16에서 저장된 동영상의 재생 상태도를 도시한다. 재생 상태도를 참조하면, 이동단말기(100)는 재생의 진행 정도를 나타내기 위한 재생 프로그레시브 바(1704)를 출력하고 있으며, 현재 재생 진행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재생 지점 인디케이터(1703)를 상기 재생 프로그레시브 바(1704) 상에 출력한다. 그리고, 이동단말기(100)는 제 1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된 이미지에 대한 제 1 재생 화면(1700a) 및 제 2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된 이미지에 대한 제 2 재생 화면(1700b)을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재생 프로그레시브 바(1704) 상에서, 촬영자의 모습이 보여지는 제 1 및 제 2 출현 구간(1701a 및 1701b)과 보여지지 않는 비출현 구간(1702)을 식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7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전면 카메라(121)를 통하여 녹화된 이미지 상에서 비출현 구간의 재생 시, 전면 카메라(121)를 통한 이미지를 보여주지 않도록 제안하는 것이다. 촬영자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면, 전면 카메라(121)의 영상을 재생할 필요성이 없기 때문이다.
도 17 (b)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재생 지점 인디케이터(1703)가 상기 재생 프로그레시브 바(1704) 상의 1702 구간을 지나가고 있으며, 제 2 재생 화면(1700b) 상에 촬영자의 모습이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소정 터치 제스처를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동영상을 재생 시 비출현 구간에서는 전면 카메라(121)를 통한 이미지를 출력하지 않도록 터치스크린(151)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제스처의 예시로는, 재생 프로그레시브 바(1704) 상의 비출현 구간(1702) 상에 터치(10d) 입력일 수 있다.
도 17 (d)는 상기 터치 제스처에 대응하여, 전면 카메라(121)를 통한 이미지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한 재생 상태도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재생이 진행됨에 따라서, 재생 지점 인디케이터(1703)가 비출현 구간(1702)을 지나 제 2 출현 구간(1701b)에 진입하면, 제어부(180)는 다시 전면 카메라(121)에 대한 제 2 재생 화면(1700b)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단말기110: 무선통신부
120: A/V 입출력부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150: 출력부
160: 메모리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190: 전원공급부

Claims (18)

  1. 제 1 및 제 2 카메라;
    터치스크린; 및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가 활성화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제 1 카메라에 대한 제 1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되는 제 1 미리보기 화면 중 제 1 형상을 갖는 일영역에 제 2 카메라에 대한 제 2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며,
    상기 제 2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에 포함되는 인물의 포즈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인물의 포즈를 기초로 상기 일영역의 형상을 제 2 형상으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촬영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 1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 1 이미지 상에 상기 제 2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 2 이미지를 합성하여 저장하는,
    이동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이미지를 상기 제 1 이미지 상에 합성하는데 있어서, 상기 출력되는 제 1 및 제 2 미리보기 화면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2 이미지를 합성하는,
    이동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메라는 상기 터치스크린이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카메라는 상기 터치스크린이 향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에 배치되는,
    이동단말기.
  5. 제 1 및 제 2 카메라;
    터치스크린; 및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가 활성화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제 1 카메라에 대한 제 1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되는 제 1 미리보기 화면 중 소정 영역에 제 2 카메라에 대한 제 2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며,
    상기 제 1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인물의 얼굴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얼굴이 상기 출력되는 제 1 미리보기 화면 상에서 상기 출력되는 제 2 미리보기 화면에 가려지면, 상기 인식된 얼굴을 상기 소정 영역에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소정 영역에 상기 제 2 미리보기 화면을 상기 인식된 얼굴 보다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이동단말기.
  7. 제 1 및 제 2 카메라;
    소정 상대방과 영상 통화 세션을 수립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터치스크린; 및
    상기 영상 통화 세션이 수립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제 1 카메라에 대한 제 1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되는 제 1 미리보기 화면 중 제 1 영역에 제 2 카메라에 대한 제 2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며,
    상기 제 2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에 포함되는 인물이 다른 인물로 전환될 경우, 상기 제 2 미리보기 화면의 출력을 상기 제 1 영역에서 제 2 영역으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
  8. 제 1 및 제 2 카메라;
    터치스크린; 및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가 활성화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제 1 카메라에 대한 제 1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출력되는 제 1 미리보기 화면 중 제 1 영역에 제 2 카메라에 대한 제 2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며,
    상기 소정 영역에 소정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출력되는 제 1 미리보기 화면 중 제 2 및 제 3 영역 각각에 상기 제 2 미리보기 화면을 분할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에서 인식된 제 1 및 제 2 얼굴을 상기 제 2 및 제 3 영역 각각에 나누어 출력하는,
    이동단말기.
  10. 제 1 및 제 2 카메라 및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가 활성화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제 1 카메라에 대한 제 1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되는 제 1 미리보기 화면 중 제 1 형상을 갖는 일영역에 제 2 카메라에 대한 제 2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 2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에 포함되는 인물의 포즈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한 인물의 포즈를 기초로 상기 일영역의 형상을 제 2 형상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는,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촬영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 1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 1 이미지 상에 상기 제 2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 2 이미지를 합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되는 제 1 및 제 2 미리보기 화면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2 이미지를 합성하는,
    이동단말기의 제어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메라는 상기 터치스크린이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카메라는 상기 터치스크린이 향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에 배치되는,
    이동단말기의 제어 방법.
  14. 제 1 및 제 2 카메라 및 터치스크린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가 활성화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제 1 카메라에 대한 제 1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되는 제 1 미리보기 화면 중 소정 영역에 제 2 카메라에 대한 제 2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인물의 얼굴을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된 얼굴이 상기 출력되는 제 1 미리보기 화면 상에서 상기 출력되는 제 2 미리보기 화면에 가려지면, 상기 인식된 얼굴을 상기 소정 영역에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이동단말기의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는, 소정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소정 영역에 상기 제 2 미리보기 화면을 상기 인식된 얼굴 보다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이동단말기의 제어 방법.
  16. 제 1 및 제 2 카메라, 소정 상대방과 영상 통화 세션을 수립하기 위한 무선통신부 및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 통화 세션이 수립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제 1 카메라에 대한 제 1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되는 제 1 미리보기 화면 중 제 1 영역에 제 2 카메라에 대한 제 2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에 포함되는 인물이 다른 인물로 전환될 경우, 상기 제 2 미리보기 화면의 출력을 상기 제 1 영역에서 제 2 영역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제어 방법.
  17. 제 1 및 제 2 카메라 및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카메라가 활성화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제 1 카메라에 대한 제 1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되는 제 1 미리보기 화면 중 제 1 영역에 제 2 카메라에 대한 제 2 미리보기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영역에 소정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출력되는 제 1 미리보기 화면 중 제 2 및 제 3 영역 각각에 상기 제 2 미리보기 화면을 분할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제어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카메라를 통하여 수신되는 이미지에서 인식된 제 1 및 제 2 얼굴을 상기 제 2 및 제 3 영역 각각에 나누어 출력하는,
    이동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40005966A 2014-01-17 2014-01-17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02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966A KR102102646B1 (ko) 2014-01-17 2014-01-17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4/597,061 US9407803B2 (en) 2014-01-17 2015-01-14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5966A KR102102646B1 (ko) 2014-01-17 2014-01-17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947A true KR20150085947A (ko) 2015-07-27
KR102102646B1 KR102102646B1 (ko) 2020-04-21

Family

ID=53545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5966A KR102102646B1 (ko) 2014-01-17 2014-01-17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07803B2 (ko)
KR (1) KR1021026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646B1 (ko) * 2014-01-17 2020-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70896B1 (ko) * 2014-04-11 2020-10-2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방법 및 전자 장치
US9749543B2 (en) * 2015-07-21 2017-08-2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having two cameras and method for storing images taken by two cameras
CN106131394A (zh) * 2016-06-15 2016-11-16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拍照的方法及装置
CN107277422B (zh) * 2017-07-27 2020-07-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视频通话方法、装置及系统
CN109413358A (zh) * 2017-08-18 2019-03-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视频通话显示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10367931B1 (en) 2018-05-09 2019-07-30 Fuvi Cognitive Network Corp. Apparatus, method, and system of cognitive communication assistant for enhancing ability and efficiency of users communicating comprehension
CN113905179B (zh) * 2018-07-27 2023-05-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切换摄像头的方法及终端
US11778131B1 (en) * 2018-10-11 2023-10-03 The Jemison Group, Inc. Automatic composite content generation
US11409434B2 (en) * 2019-06-30 2022-08-09 Lenovo (Beijing) Co., Ltd. Image collection and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1487423B2 (en) * 2019-12-16 2022-11-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ub-display input areas and hidden inputs
US11404028B2 (en) 2019-12-16 2022-08-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ub-display notification handl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5723A (ko) * 2007-06-01 2008-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및 그의 이미지 촬영 방법
KR20100066968A (ko) * 2008-12-10 2010-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27475A (ko) * 2009-09-10 2011-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127303A (ko) * 2012-05-14 2013-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236B1 (ko) * 2007-09-18 2009-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521932B1 (ko) * 2009-01-19 2015-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8661369B2 (en) * 2010-06-17 2014-02-2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126516B1 (ko) * 2011-02-25 2012-03-22 팅크웨어(주)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기기 및 방법,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US20120282914A1 (en) * 2011-05-06 2012-11-08 Lael Andrew Alexander Smart phone companion loop
US9082235B2 (en) * 2011-07-12 2015-07-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ing facial data for device authentication or subject identification
KR20130027774A (ko) * 2011-09-08 2013-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잠금 상태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901919B1 (ko) * 2012-08-27 2018-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메신저 영상 서비스 운용 방법
US11386257B2 (en) * 2012-10-15 2022-07-12 Amaze Software, Inc. Efficient manipulation of surfaces in multi-dimensional space using energy agents
KR101992306B1 (ko) * 2013-01-03 2019-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를 실행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076773B1 (ko) * 2013-01-04 2020-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데이터 획득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102114617B1 (ko) * 2014-01-08 2020-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02646B1 (ko) * 2014-01-17 2020-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69060B1 (ko) * 2014-05-02 2016-1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647734B1 (ko) * 2014-07-22 2016-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98098B1 (ko) * 2014-07-23 2017-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5723A (ko) * 2007-06-01 2008-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및 그의 이미지 촬영 방법
KR20100066968A (ko) * 2008-12-10 2010-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27475A (ko) * 2009-09-10 2011-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127303A (ko) * 2012-05-14 2013-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07803B2 (en) 2016-08-02
US20150207970A1 (en) 2015-07-23
KR102102646B1 (ko) 202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959B1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08594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9182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7821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65408B1 (ko) 이동 단말기
KR2015005264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6541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06433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03320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5581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0217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9538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2622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7447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8448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87099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912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2094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64963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53858B1 (ko) 이동 단말기
KR10198458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1912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08072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8269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수신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5004957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