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4583B1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583B1
KR101984583B1 KR1020120091611A KR20120091611A KR101984583B1 KR 101984583 B1 KR101984583 B1 KR 101984583B1 KR 1020120091611 A KR1020120091611 A KR 1020120091611A KR 20120091611 A KR20120091611 A KR 20120091611A KR 101984583 B1 KR101984583 B1 KR 101984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user
humidity
sensor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5679A (ko
Inventor
안세영
김성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1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583B1/ko
Priority to US13/911,619 priority patent/US9288840B2/en
Priority to CN201310259807.2A priority patent/CN103516897B/zh
Priority to EP13003281.6A priority patent/EP2680553B1/en
Publication of KR20140025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입김에 의해서 이동 단말기의 소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의 사용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자,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를 탑재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러한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단말기를 편리하게 조작하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를 하나의 사용자 입력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발명은, 습도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온습도센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보조센서, 및 상기 감지된 습도 및 온도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 1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제 2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제 1 구간과 상기 제 2 구간이 겹치는 구간인 제 3구간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의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발명은, 습도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단계, 보조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습도 및 온도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 1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제 2 구간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구간과 상기 제 2 구간이 겹치는 구간인 제 3구간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의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이동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온습도 센서를 보조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의 입김이 인식되는 구간을 인식하는데 있어서, 그 구간의 정확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본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a은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대 습도를 감지하여 입김을 인식하는 방법의 일례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람의 입김을 인식하여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사람의 입김을 습도 센서와 온도 센서에 불었을 때, 감지되는 습도와 온도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입김을 인식하여 기능을 소정 실행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중 감지된 온도와 습도를 이용하여 통화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는 상대 습도를 이용하여 사람의 입김을 감지하는 방법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사람의 입김이 인가됨에 따라서 감지되는 상대 습도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대 습도 및 보조 센싱부(143)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김이 입력되는 것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상대 습도 및 보조 센싱부(143)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김이 입력되는 것을 감지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센싱부(143)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의 잠금이 해제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의 잠금이 해제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감지된 사람의 입김에 대응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소정 기능을 실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감지된 사람의 입김에 대응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소정 기능을 실행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감지된 사람의 입김에 대응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소정 기능을 실행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감지된 사람의 입김에 대응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소정 기능을 실행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감지된 사람의 입김에 대응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소정 기능을 실행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00)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CBMS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OMA-BCAST (Open Mobile Alliance-BroadCAST), CMMB (China Multimedia Mobile Broadcasting), MBBMS (Mobile Broadcasting Business Management System),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GSM(G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현재의 습도, 현재의 온도,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 온습도 센서(142), 가속도 센서(144) 및 스퀴즈 센서(145)를 포함할 수 있다.
온습도 센서(142)는 이 온습도 센서(142) 주변 환경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습도에는 절대 습도와 상대 습도가 있는데, 온습도 센서(142)는 절대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온습도 센서(142)가 온도를 추가적으로 감지하게 되면, 제어부(180)는 절대 습도와 온도를 이용하여 상대 습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하 본발명의 실시예들은 온습도 센서(142) 자체가 상대 습도를 감지한다고 기술하지만, 이는 제어부(180)가 온습도 센서(142)를 통해 감지한 절대 습도와 온도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이하에서 상대 습도를 이용하여 본발명의 실시예들이 설명되고 있으나, 절대 습도를 이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가속도 센서(144)는 이동 단말기가 움직이는 가속도를 측정한다. 이 경우 가속도의 값은, 가속도 자체의 값 자체인 스칼라 수치뿐 만 아니라, 가속도의 방향까지 포함하는 벡터 수치일 수 있다.
스퀴즈 센서(145)(145, Squeeze Sensor)는 사용자에 의해서 이동 단말기가 눌려지는 압력을 감지한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호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호칭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음성출력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 활성화/비활성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같거나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를 위해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즉, 이동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 둘 다의 방향으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한편, 터치 패드(135) 전용 디스플레이가 별도로 장착됨으로써,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최근 습도 또는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많은 산업 분야에서 개발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하에서는 습도 또는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이하, 습도 센서 및 온도 센서)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 개시한다.
도 3은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대 습도를 감지하여 입김을 인식하는 방법의 일례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S301단계에서 온습도 센서(142)는 상대 습도를 감지한다.
S302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상기 온습도 센서(142)가 감지한 상대 습도의 값을 H_cur에 대입한다. 사람의 입김은 습도가 높기 때문에, 만약 사용자가 온습도 센서(142)에 입김을 인가할 경우 온습도 센서(142)가 측정하는 상대 습도의 값은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온습도 센서(142)가 측정한 상대 습도의 값이 소정 임계치를 넘을 경우 사람의 입김이 인가되었다고 감지할 수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하는 장소에 따라서, 사람의 입김이 인가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습도가 높아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영장이나 사우나 같은 장소에서 온습도 센서(142)를 통해 측정되는 상대 습도의 값은 소정 임계치를 넘을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사람의 입김이 인가되지 않았음에도 마치 사람의 입김이 인가되었다고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람의 입김을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서는, 소정 시간 동안의 평균 습도 값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소정 시간 동안 온습도 센서(142)가 측정한 상대 습도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측정된 상대 습도 값이 산출된 평균값보다 소정 임계치만큼 더 클 경우, 사람의 입김이라고 감지할 수 있다.
이렇게 평균값을 산출하여 사람의 입김을 감지하는데 이용하게 되면, 습도가 높은 장소에 이동 단말기(100)를 배치하더라도, 제어부(180)의 오인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S303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온습도 센서(142)가 감지한 상대 습도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값을 H_avr에 대입한다.
그리고, S404단게에서 제어부(180)는 산출된 평균값인 H_avr값과 현재 측정된 상대 습도 값인 H_cur의 값을 비교한다. 만일, H_avr값에 소정 임계치인 H_TH를 더한 값보다, H_cur값이 더 클 경우 제어부(180)는 사람의 입김이 인가되었다고 감지할 수 있다.
S304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사람의 입김이 인가되었음을 감지할 경우 S305단계로 이동한다. S305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어플리케이션의 소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소정 기능은 사람의 입김을 인식한 것에 대응하는 기능일 수 있다. 이 어플리케이션의 소정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 도 4 내지 도 7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S304단계에서 만일, 제어부(180)는 사람의 입김이 인가되었음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S301단계로 이동한다.
도 4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람의 입김을 인식하여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401)의 입김을 인식하기 위해서 습도와 온도를 감지할 수 있고, 사용자(401)는 입김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 (a)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는 디스플레이가 꺼져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401)는 이동 단말기(100)의 습도 센서, 온도 센서의 위치에 입김(402)을 불 수 있다. 상기 습도 센서와 온도 센서의 위치는 이동 단말기(100)에 따라서 다르게 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401)는 상기 입김(402)을 이동 단말기(100)의 습도 센서와 온도 센서의 위치에 분다고 가정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입김은 습도와 온도가 높으므로 입김(402)이 이동 단말기(100)에 닿게 되면 습도 센서와 온도 센서가 감지하는 습도 및 온도가 순간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른 습도와 온도의 변화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사람의 입김을 습도 센서와 온도 센서에 불었을 때, 감지되는 습도와 온도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a)는 온도 센서에서 감지하는 온도의 변화를 시간에 따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 (b)는 습도 센서에서 감지하는 습도의 변화를 시간에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180)는 습도 센서가 감지한 습도가 제 1 소정값(502) 이상이고, 온도 센서가 감지한 온도가 제 2 소정값(501) 이상일 경우 사람의 입김이 입력되었다고 감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람의 입김을 상기 센서들에 네 차례 불었으며, 1250[ms], 1335[ms], 1365[ms] 및 1395[ms]에 입김을 불었다. 상기 네 차례 각각의 온도 및 습도의 변화를 살펴보면, 온도와 습도가 동시 급작스럽게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온도의 변화를 살펴보면 네 경우 모두 제 2 소정값(501)이상 온도가 상승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습도의 변화도 네 경우 모두 제 1 소정값(502)이상 상승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상기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온도와 습도 두 수치 모두가 각각의 소정값 이상 나타낸다면 사람의 입김이 입력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도 4로 복귀하면, 도 4 (b)는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입김(402)을 감지하였을 때, 꺼져 있던 디스플레이를 켜고 음성 인식 모드의 활성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음성 인식 모드란,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단말기의 소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 경우 상기 입김(402)를 감지하였을 때, 상기 음성 인식 모드를 활성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100)의 설정에 따라서 다른 어떠한 기능도 수행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401)는 이동 단말기(100)의 음성 인식 모드를 실행하기 위하여 별다른 조작 없이 간편하게 입김을 불어서 음성 인식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입김을 인식하여 기능을 소정 실행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a)의 이동 단말기(100)는 호 신호가 수신되고 있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a)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100)는 김태희라는 사람으로부터 전화를 수신하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 사용자(401)는 위와 같이 전화가 수신되고 있을 때, 특수한 상황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401)가 회의 중 이라던지 조용한 도서관에서 전화를 받아야 하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화를 받게 되면 상대방의 목소리가 조용한 공간에 퍼지게 되어서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401)는 전화를 수신할 때 자동으로 속삭임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전화를 받기를 원할 수 있다.
도 6 (b)는 입김(402)으로 전화를 받았을 때 자동으로 속삭임 모드로 통화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속삭임 모드란, 조용한 공간에서 전화 받기 좋은 설정을 가지는 모드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자신의 목소리는 증폭시키고, 통화 상대방의 목소리 크기는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마이크가 변환한 전기신호를 증폭시켜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전기신호를 감쇄시켜 상기 음향 출력부로 출력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이렇게 속삭임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통화를 하게 되면, 조용한 공간에서 상대방의 목소리가 울려 퍼지는 일을 우려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401)는 작은 목소리로 통화하더라도 상대방에게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정확하게 전달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에서와 같이 사용자(401)는 입김을 하나의 제어 입력으로 활용할 수 있어서, 입김을 이용하게 되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를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중 감지된 온도와 습도를 이용하여 통화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401)는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고 있다. 도 7 (a)는 통화를 하는 사용자(401)의 입의 위치와 이동 단말기(100)와의 거리가 d1이고 도 7 (b)는 상기 거리가 d2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d1은 d2보다 멀다.
경우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401)는 굉장히 시끄러운 환경에서 통화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클럽, 나이트 또는 콘서트장에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통화의 상대방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401)이 하는 말을 정확하게 듣기 어려울 때가 있으며 특히 도 7 (a)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과 사용자(401)의 거리가 멀 경우 대화를 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경우 도 7 (b)에서와 같이 사용자(401)는 이동 단말기(100)의 마이크를 자신의 입 쪽으로 가져갈 수 있다. 이렇게 이동 단말기(100)의 마이크를 자신의 입 쪽으로 가져갈 경우 통화의 상대방에게 좀 더 자신의 목소리를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7 (b)와 같이 사용자(401)가 마이크를 자신의 입 쪽으로 가져가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목소리를 증폭시킬 수 있다면 더 명확하게 자신의 목소리를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이동 단말기(100)의 마이크 근처에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를 위치시키면 사용자(401)가 입을 마이크 쪽으로 가져갈 때 감지되는 온도와 습도가 상승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감지 되는 습도와 온도 각각의 수치가 소정값 이상이라고 한다면 사용자의 입이 마이크와 가까워 졌음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입과 마이크가 가까워 졌음을 감지한다면 사용자의 목소리를 증폭시켜서 통화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사용자(401)는 통화를 하고 있는 상황에 따라서 자신의 목소리를 증폭시키고자 할 때, 이동 단말기(100)의 마이크쪽으로 자신의 입을 가까이 위치시키고 통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조작 없이 자신의 입을 마이크쪽으로 위치 시키는 것 만으로 목소리를 증폭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대 습도의 변화로 사람의 입김을 감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온도와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대습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상대 습도를 이용하여 사람의 입김을 감지하는 방법은 문제점이 있다. 그 문제점에 대해서는 도 8와 함께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는 상대 습도를 이용하여 사람의 입김을 감지하는 방법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사람의 입김이 인가됨에 따라서 감지되는 상대 습도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x축은 시간이고, y축은 상대 습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를 참조하면, 사람의 입김이 총 세 번 인가되었으며, 식별 부호 801은 가장 첫 번째 인가된 입김의 구간을 나타내고 있다. 입김이 구간으로 표시된 것은, 입김이 순식간에 인가된 것이 아니라, 그 구간 동안 입김이 인가되었음을 나타낸 것이다.
첫 번째 입김이 인가된 구간(801) 동안 온습도 센서(142)에 의해서 측정되는 상대 습도의 값은 도면과 같이 증가할 수 있다. 이렇게 측정되는 상대 습도의 값이 소정 임계치(H_TH)값을 넘을 경우, 제어부(180)는 사람의 입김이 인가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 시간 동안 습도의 평균 값을 이용하여, 측정된 상대 습도의 값이 평균 값에 소정 임계치(H_TH)를 더한 값 보다 더 커질 경우, 제어부(180)는 사람의 입김이 인가되었다고 감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180)에 의해서 인식되는 사람의 입김은, 도 8의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특정 시간이 아니라, 입김 구간(802)으로써 인식된다.
이상적으로 제어부(180)가 인식하는 사람의 입김의 구간은 실제 사람의 입김이 인가되는 구간(801)이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제어부(180)가 인식할 수 있는 사람의 입김 구간(802)는 801구간과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이렇게 인식에 차이가 나는 이유는, 습도의 특성상 순식간에 변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발생되는 구간의 오차는 사람의 입김을 입력 장치로써 활용하기에 장애물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입김의 입력을 멈추기를 원하는데, 실제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입김이 계속 입력되고 있다고 잘못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인가된 입김의 구간(801)과 제어부(180)가 인식하는 입김의 구간(802)의 차이를 교정하기 위해서,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센서와 결합하여 사람의 입김을 감지할 것을 제안한다. 이하 도 9 및 도 10과 함께 이 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명세서를 간명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다른 센서를 보조센싱부라고 호칭하기로 한다.
도 9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대 습도 및 보조 센싱부(143)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김이 입력되는 것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와 동일한 습도 그래프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의 간결함을 위하여 y축은 생략되어 있으나, 도 8의 y축과 동일하게 측정된 상대 습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9가 가지는 도 8하고의 가장 큰 차이점은, 보조 센싱부(143)의 입력 구간(804)이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도 8에서는 제어부(180)는 상대 습도가 임계치를 넘은 구간(803)을 제어부에 의해 감지되는 입김 구간(802)로 인식하였다. 하지만 본발명의 실시예에서는 802구간과 803구간을 따로 인식하는 것을 제안한다.
보조 센싱부(143) 입력 구간(804)는 사용자에 의해서 결정되는 구간일 수 있다. 보조 센싱부(143)의 예를 들면, 스퀴즈 센서(145)(Squeeze sensor) 혹은 가속도 센서(144)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보조 센싱부(143) 입력 구간(804)는 사용자가 상기 센서들을 이용하여 입력을 지속시키는 구간일 수 있다.
본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80)는 상대 습도가 임계치를 넘은 구간(803)과 보조 센싱부(143) 입력 구간(804)이 겹치는 구간을 제어부에 의해 감지되는 입김 구간(802)으로 할 수 있다. 이렇게 본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실제 인가된 입김 구간(801)과 제어부에 의해 감지되는 입김 구간(802)의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왜냐하면, 실제 구간의 오차가 발생하는 가장 큰 이유는 구간의 시작점이 아니라 구간이 끝나는 지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보조 센싱부(143)를 이용하여 구간이 끝나는 지점을 사용자에 의해서 지정 받을 수 있다면, 오차를 최대한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보조 센싱부(143)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순서 일례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상대 습도 및 보조 센싱부(143)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김이 입력되는 것을 감지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S1001단계에서 온습도 센서(142)는 상대 습도를 감지한다.
S1002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상기 온습도 센서(142)가 감지한 상대 습도의 값을 H_cur에 대입한다.
S1003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온습도 센서(142)가 감지한 상대 습도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값을 H_avr에 대입한다.
그리고, S1004단게에서 제어부(180)는 산출된 평균값인 H_avr값과 현재 측정된 상대 습도 값인 H_cur의 값을 비교한다. 만일, H_avr값에 소정 임계치인 H_TH를 더한 값보다, H_cur값이 더 클 경우 제어부(180)는 사람의 입김이 인가되었다고 감지할 수 있다.
S1004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사람의 입김이 인가되었음을 감지할 경우 S1005단계로 이동한다. S1005단계에서 제어부(180)는 보조 센싱부(143)를 통하여 입력이 인가되었는지 감지한다. 만일 보조 센싱부(143)를 통해서 입력이 인가되었으면, 제어부(180)는 S1006단계로 이동한다. S1006단계에서 제어부(180)는 어플리케이션의 소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소정 기능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S1004단계에서 만일, 제어부(180)는 사람의 입김이 인가되었음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S1001단계로 이동하여, 상대 습도의 측정을 반복한다.
도 11은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센싱부(143)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a)는 보조 센싱부(143)의 예로 가속도 센서(144)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180)는 가속도 센서(144)를 활용하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흔들고 있는 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흔들고 있는 구간을 도 9의 보조 센싱부(143) 입력 구간(804)으로 감지할 수 있다.
도 11 (a)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입김을 이용하여 입력하기 위해서, 이동 단말기(100)의 센서에 입김을 인가하면서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를 흔들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입김이 끝나는 지점을 결정하기 위하여, 보조 센싱부(143)에 의해 감지되는 흔드는 입력을 멈출 수 있다.
도 11 (b)는 보조 센싱부(143)의 예로 스퀴즈 센서(145)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180)는 스퀴즈 센서(145)를 활용하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꽉 잡고 있는 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꽉 쥐고 있는 구간을 도 9의 보조 센싱부(143) 입력 구간(804)으로 감지할 수 있다.
도 11 (b)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입김을 이용하여 입력하기 위해서, 이동 단말기(100)의 센서에 입김을 인가하면서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를 꽉 쥘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입김이 끝나는 지점을 결정하기 위하여, 보조 센싱부(143)에 의해 감지되는 꽉 쥐는 입력을 멈출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습도 센서 및 보조 센싱부(143)를 이용하여 실행되는 이동 단말기 의 소정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소정 기능의 예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의 잠금이 해제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최근에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이 늘어나는 추세이기 때문에, 이동 단말기의 화면을 잠그는 방법 및 그 잠긴 화면을 해제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도 12와 관련된 본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람의 입김을 감지하고, 입김이 감지될 경우 터치 스크린의 잠금을 해제할 것을 제안한다. 도 12 (a)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상태도를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부(180)는 화면이 잠겨 있는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부(151)에 화면이 잠겨있음을 나타내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고,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안내(1201)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화면이 잠겨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김이 인가되었음을 감지할 경우, 도 12 (b)에서와 같이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사람의 입김을 감지하여 잠금을 해제할 경우, 사용자에게 다양한 입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51)가 정전식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경우, 겨울철에 장갑을 착용하거나, 기타 정전식 터치 스크린을 조작할 수 없는 경우에, 좀 더 편하게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3은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의 잠금이 해제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a)는 잠금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의 상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상태도에는 촛불들이 각 단에 4개씩 3단에 해당하는 촛불이 출력되고 있다. 그리고 각 단에는 촛불 소거 오브젝트(1301)가 디스플레이 되어 있다. 이 촛불 소거 오브젝트(1301)는 그 단에 촛불의 갯수를 줄이기 위한 오브젝트로써, 사용자는 이 촛불 소거 오브젝트(1301)를 활성화 한 상태에서 그 단에 켜져 있는 촛불의 갯수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손가락(1302)를 이용하여 촛불 소거 오브젝트(1301)를 터치하고 있는 상태일 경우 촛불 소거 오브젝트(1301)가 활성화될 수 있다. 이렇게 촛불 소거 오브젝트(1301)가 활성화 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김이 입력될 경우 그 단에 해당하는 촛불이 꺼지도록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80)에 의해서 촛불이 꺼지도록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간편하게 촛불이 꺼지는 것으로 표현한다.
도 13과 관련된 본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80)가 각 촛불 소거 오브젝트(1301)가 활성화 된 상태에서 촛불을 끄는 갯수는, 사람의 입김이 인가되는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3 (b)의 경우를 예로 들면, 사용자의 손가락(1302)에 의해 1단의 촛불 소거 오브젝트(1301)가 터치되어 활성화 되어 있다. 이렇게 1단의 촛불 소거 오브젝트(1301)가 활성화 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김이 감지될 경우 제어부(180)는 1단에 표시되는 초의 촛불이 하나씩 꺼지도록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가 끄는 촛불의 갯수는 입김이 인가되는 시간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제어부(180)는 입김이 인가됨에 따라서 촛불을 하나씩 꺼지도록 제어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만큼 촛불이 꺼지면, 입김을 멈출 수 있다.
제어부(180)는 각 단에 남아있는 촛불의 갯수가 기 설정된 갯수하고 맞을 경우, 화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즉, 각 단에 꺼지는 촛불의 갯수를 이용하여 잠금 화면을 암호화 할 수 있다.
도 13 (b)의 경우를 예로 들면, 기설정된 촛불의 갯수가 1단에는 1개, 2단에는 2개, 3단에는 3개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각 단에 대응하는 촛불의 갯수가 기설정된 촛불의 갯수와 동일할 경우, 화면의 잠금을 해제하고 도 13 (c)의 홈스크린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서 입김이 인가되는 시간은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4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감지된 사람의 입김에 대응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소정 기능을 실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a)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서 사진 오브젝트 및 텍스트 오브젝트를 출력하고 있다. 사용자는 특정 터치 제스쳐를 통해 상기 사진 오브젝트 또는 텍스트 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특정 터치 제스쳐는 도 14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하고자 하는 오브젝트 모서리의 일 끝에서 건너편 모서리로 터치 드래그하는 입력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도 14 (b)에서와 같이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에 기설정된 형태의 인디케이터(1401)를 출력할 수 있다. 이 인디케이터(1401)는 오브젝트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오브젝트의 외곽을 선으로 둘러싼 폐곡선일 수 있다.
이렇게 특정 오브젝트가 선택된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사람의 입김을 감지하면, 선택된 오브젝트를 복사할 수 있다.
이렇게 복사된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제어부(180)는 사람의 입김을 감지하면, 복사된 오브젝트를 붙여넣기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4 (c)에서와 같이 특정 문서나 웹페이지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커서(1402)가 출력된 상태이고, 사용자로부터 입김을 감지한다면 제어부(180)는 복사된 오브젝트를 커서(1402)의 위치에 붙여넣을 수 있다.(도 14 (d) 참조)
도 15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감지된 사람의 입김에 대응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소정 기능을 실행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비밀 문자를 작성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비밀 문자 메시지라 함은, 그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 단말기(100-2)에서 그 문자 메시지를 바로 볼 수 없고, 특정 입력이 있어야 그 문자 메시지를 열람할 수 있는 메시지를 의미한다.
도 15의 제 1 이동 단말기(100-1)는 숫자 26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는 비밀 문자를 작성하여 제 2 이동 단말기(100-2)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5 (a)는 제 2 이동 단말기(100-2)가 비밀 문자를 수신한 상태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비밀 메시지는 도 15 (b)에서 볼 수 있듯이, 일반적인 수신 문자 메시지를 열람하는 방법으로 열람할 경우, 아무 메시지를 확인할 수 없다.
도 15 (b)에서 제어부(180)가 사용자의 입김을 감지한다면, 도 15 (c)에서와 같이 비밀 메시지의 내용이 점점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도 15 (c)에서 입김을 더 감지할 경우 제어부(180)는 점점 더 비밀 메시지의 내용을 진하게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 단말기(100)는 비밀 메모를 작성하고, 열람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비밀 메모는 상기 비밀 메시지와 유사하게, 일반적으로 작성된 메모를 열람할 수는 없지만, 사용자의 입김이 감지되면 서서히 작성된 내용을 출력하는 메모를 의미한다. 상기 비밀 메모는 상기 비밀 메시지와 구성이 유사하므로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15에서 입김이 감지되는 시간은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6는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감지된 사람의 입김에 대응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소정 기능을 실행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제 1 이동 단말기(100-1)에서 제 2 이동 단말기(100-2)로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이용하여 생일 축하 메시지를 전송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입김을 감지하고 이에 반응할 수 있는 MMS 메시지를 작성하고 송신할 수 있다.
도 16 (b)를 참조하면, 수신 이동 단말기(100-2)의 제어부(180)는, 수신된 MMS 메시지를 출력한다. 그리고 수신 이동 단말기(100-2)의 제어부(180)는 수신된 MMS 메시지와 함께 입김을 불 경우 촛불을 끌 수 있다는 안내 문구(1601)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수신 이동 단말기(100-2)의 제어부(180)는 수신된 MMS 메시지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김을 감지하면 이에 반응하여, 소정의 변형을 가한 MMS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일 케이크 컨텐츠가 포함된 MMS 메시지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입김 입력에 반응하여, 제어부(180)는 출력되고 있는 생일 케이크의 촛불이 꺼지는 효과를 출력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수신 이동 단말기(100-2)의 제어부(180)는 입김의 감지가 지속되는 시간에 따라, MMS 메시지가 변형되는 정도를 달리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생일 축하 메시지에 포함되어 보내진 생일 케이크의 촛불이 꺼지는 갯수를 입김의 감지가 지속되는 시간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입김이 감지되는 시간이 1초 지속될 때 마다 촛불을 하나씩 끄는 효과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16에서 입김이 감지되는 시간은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7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감지된 사람의 입김에 대응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소정 기능을 실행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의 (a)는 화상 통화를 연결하고 있는 제 1 이동 단말기(100-1)이고, 도 17 (b)는 화상 통화를 연결하고 있는 제 2 이동 단말기(100-2)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화상 통화를 하는 도중 제 1 이동 단말기(100-1)에서 제 2 이동 단말기(100-2)에게 생일 케이크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제 1 이동 단말기(100-1)의 제어부(180-1)는 화상 통화의 상대방 얼굴을 제 1 영역(1701)에 출력한 채, 제 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디스플레이부(151-1)에 생일 케이크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이동 단말기(100-2)의 제어부(180-2)는 화상 통화의 상대방 얼굴을 제 2 영역(1702)에 출력한 채, 제 2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디스플레이부(151-2)에 생일 케이크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생일 케이크 컨텐츠를 수신 받은 제 2 이동 단말기(100-2)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2)의 센싱부(140-2)에 입김을 불어 이 생일 케이크 컨텐츠에 켜져 있는 촛불을 끌 수 있다. 즉 제 2 이동 단말기(100-2)의 제어부(180-2)는 생일 케이크 컨텐츠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김을 감지할 경우, 이에 반응하여 출력되고 있는 생일 케이크 컨텐츠의 촛불이 꺼지는 효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실제 케이크의 촛불을 끄는 것과 비슷한 효과를 느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입김이 감지되는 시간과 촛불이 꺼지는 갯수는 도 16을 참조하여 상술한 방법과 유사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7에서 입김이 감지되는 시간은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동일하다.
한편, 본발명의 실시예는 도 17에서와 같이 1:1 화상 통화에 한정하지 않고, 여러명과의 화상 통화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생일 케익을 수신한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신 받은 케이크에 있는 촛불을 입김을 입력하여 끌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촛불을 끌 경우 화상 채팅의 나머지 상대방들은 촛불이 꺼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8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감지된 사람의 입김에 대응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소정 기능을 실행하는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의 이동 단말기(100)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있다. 본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어부(180)가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입력 수단으로써 습도 센서를 활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입김을 이용하여 게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의 게임 실행 화면에서 제어부(180)는 얼음 장애물(1801)을 출력할 수 있다. 이렇게 출력된 얼음 장애물(1801)은 게임의 진행 상 제거되어야 하고, 사용자의 입김에 의해서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입김을 감지하면, 얼음 장애물(1801)를 제거할 수 있으며, 입김이 감지되는 시간에 비례하여 얼음 장애물(1801)이 제거되는 갯수를 결정할 수 있다.
본발명은 본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전술한 본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이동단말기110: 무선통신부
120: A/V 입출력부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150: 출력부
160: 메모리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190: 전원공급부

Claims (20)

  1. 습도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온습도센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보조센서; 및
    상기 감지된 습도 및 온도 적어도 하나에 따라 제 1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제 2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제 1 구간과 상기 제 2 구간이 겹치는 구간인 제 3구간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의 소정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센서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를 흔드는 동작에 따른 가속도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가속도의 변화를 기초로 상기 제 2 구간으로 설정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습도 및 온도를 기초로 상대 습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상대 습도를 기초로 상기 제 1 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상대 습도가 소정 임계치 이상인 구간을 상기 제 1 구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센서는 스퀴즈 센서(Squeeze Sensor)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퀴즈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를 누르는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압력을 기초로 상기 제 2 구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 기능은 상기 터치 스크린의 화면 잠금을 해제하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적어도 하나의 잠금 해제 오브젝트를 더 출력하고,
    상기 소정 기능은 상기 제 3 구간에 기초하여 상기 잠금 해제 오브젝트를 소거하고, 상기 소거된 잠금 해제 오브젝트의 패턴이 기설정된 패턴과 동일할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의 화면 잠금을 해제하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적어도 하나의 가상의 단을 배치하고;
    상기 각 가상의 단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잠금 해제 오브젝트를 출력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상기 각 가상의 단 중 어느 하나가 선택 되면, 상기 제 3 구간이 유지되는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가상의 단에 출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잠금 해제 오브젝트를 소거하고;
    상기 각 가상의 단에 소거된 상기 잠금 해제 오브젝트의 패턴이 기설정된 패턴과 동일할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의 화면 잠금을 해제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능은 소정 컨텐츠의 복사 또는 붙여넣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구간이 유지되는 시간에 대응하여 변화되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더 출력하고, 상기 소정 기능은 상기 제 3 구간이 유지되는 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메세지를 변화시키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20091611A 2012-06-27 2012-08-22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84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611A KR101984583B1 (ko) 2012-08-22 2012-08-22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3/911,619 US9288840B2 (en) 2012-06-27 2013-06-06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ing a blowing action
CN201310259807.2A CN103516897B (zh) 2012-06-27 2013-06-26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EP13003281.6A EP2680553B1 (en) 2012-06-27 2013-06-27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611A KR101984583B1 (ko) 2012-08-22 2012-08-22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679A KR20140025679A (ko) 2014-03-05
KR101984583B1 true KR101984583B1 (ko) 2019-05-31

Family

ID=50640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611A KR101984583B1 (ko) 2012-06-27 2012-08-22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5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347B1 (ko) 2019-12-30 2020-05-1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하이브리드형 무인항공 전자탐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8801A (ko) * 2003-12-12 2005-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대습도 표시 장치
KR20100036739A (ko) * 2008-09-30 2010-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입김의 세기에 따라 변하는 인터액티브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555511B1 (ko) * 2008-10-09 2015-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전 센서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홀드 기능 제어 방법 및장치
KR101242481B1 (ko) * 2011-01-04 2013-03-13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터치와 입김을 활용한 멀티 모달 인터페이스 지원 사용자 단말과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679A (ko) 201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501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지도 검색 방법
KR10147402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1608761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99816B1 (ko) 단말 장치 및 이의 필기 공유 방법
KR2014004364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69033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락이 설정된 대기화면에서 어플리케이션 실행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5008594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4391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2765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82498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16152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KR20150066422A (ko) 애플리케이션의 메시지 전송방법
KR10151362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스티커 기능 수행방법
KR101587099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8458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2068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표시정보 제어방법
KR10194973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23479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0240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11522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그래픽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153150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4400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4191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92624A (ko)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53858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