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3471A - 외벽설치 타워크레인 등반장치 - Google Patents
외벽설치 타워크레인 등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83471A KR20150083471A KR1020140002787A KR20140002787A KR20150083471A KR 20150083471 A KR20150083471 A KR 20150083471A KR 1020140002787 A KR1020140002787 A KR 1020140002787A KR 20140002787 A KR20140002787 A KR 20140002787A KR 20150083471 A KR20150083471 A KR 201500834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st
- tower crane
- ladder
- lock bar
- upper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어 등반하는 타워크레인의 등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벽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수직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레일걸림봉(110)이 수평 방향으로 마련된 레일부(100); 타워크레인마스트(11)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타워크레인마스트(11)와 함께 등반하며, 건물의 벽면에 고정될 경우 타워크레인마스트(11)의 하중을 벽면으로 전달하는 하부프레임(200); 상기 하부프레임(200)과 이격되어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중앙에는 타워크레인마스트(11)가 통과하는 공간이 마련되는 상부프레임(300); 상기 상부프레임(300)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부(100)를 타고 상기 상부프레임(300)과 함께 상승하는 승강부(400); 상기 승강부(400)에 장착되는 승강부실린더(430); 상기 승강부(400)에 장착되며 상승과정에서 레일걸림봉(110)에 접촉하면 하향 회동하였다가 상기 레일걸림봉(110)을 통과하면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원래의 자세로 복귀하면서 상향 회동이 제한되어 상기 레일걸림봉(110)에 거치되는 제1승강부회동걸쇠(410); 상기 승강부실린더(430)의 피스톤로드 하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승강부회동걸쇠(4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승과정에서 레일걸림봉(110)에 접촉하면 하향 회동하였다가 상기 레일걸림봉(110)을 통과하면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원래의 자세로 복귀하면서 상향 회동이 제한되어 상기 레일걸림봉(110)에 거치되는 제2승강부회동걸쇠(420); 상기 상부프레임(300)의 양측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상부프레임(300)의 연직하방으로 뻗어나가며, 수직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래더걸림봉(510)이 마련되는 래더(500); 타워크레인마스트(11)에 장착되는 마스트실린더(630); 상기 마스트실린더(630)의 본체 또는 타워크레인마스트(11)에 장착되며 상승과정에서 상기 래더걸림봉(510)과 접촉하며 하향 회동하였다가 래더걸림봉(510)을 통과하면 원래의 자세로 복귀하면서 상향 회동이 제한되어 상기 래더걸림봉(510)에 거치되는 제1마스트회동걸쇠(610); 및, 상기 마스트실린더(630)의 피스톤로드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승과정에서 상기 래더걸림봉(510)과 접촉하면 하향 회동하였다가 상기 래더걸림봉(510)을 통과하면 원래의 자세로 복귀하면서 상향 회동이 제한되어 상기 래더걸림봉(510)에 거치되는 제2마스트회동걸쇠(6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타워크레인을 건물의 벽면(주로 외벽)에 설치 후 작업의 진척도에 따라 타워크레인을 상승시킬 수 있는 등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한다는 특징이 있다.
현재 초고층 빌딩의 골조공기 단축을 위해 코어선행 공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고, 최대 양중 무게 증가와 양중 횟수(사이클)의 증가로 인해 소요 인양 장비가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나, 협소한 코어 평면 때문에 인양 장비 선정 및 배치에 어려움이 많다. 특히, 골조 공기에 큰 영향을 미치는 타워크레인을 코어 외벽에 설치해야 되는 사례들이 발생되고 있는데, 코어 내부와 달리 타워크레인 등반작업을 위한 지지 가설 장치의 설치 및 해체 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작업자 안전확보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타워 크레인의 코어 외벽 등반을 위한 지지가설 장치의 설치 시간을 단축하고, 작업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공법과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코어 외벽에 설치된 타워크레인은 타설 벽체의 높이가 일정 높이에 도달하면, 클라이밍(등반) 과정을 거쳐 다음 작업을 위한 위치로 상승하게 된다. 이 작업을 타워크레인 등반작업이라고 하는데, 대표적인 등반(登攀,Climbing) 방식인 래더(Ladder) 등반 방식은 도1에 도시된 것과 같다.
1) 등반하게 될 위치에 새로운 추가 서포트 프레임(Collar포함)을 설치한다.
2) 상부 서포트 프레임에 래더를 설치한다.
3) 설치된 래더를 발판으로 타워크레인 마스트 하단에 설치된 유압 장치를 이용하여 마스트 하단을 상부 서포트 프레임까지 등반한다.
4) 하부 서포트 프레임을 해체한다.
상기 작업 순서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워크레인 외벽 등반 작업을 위해서는 추가 서포트 프레임 설치와 타워크레인 상승 후, 하부 서포트 프레임 해체 작업이 필요하다. 이 두 작업을 위해서는 작업자의 고소작업을 위한 별도의 발판이 필요하며, 서포트 프레임 설치를 위한 작업시간이 소요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추가 프레임 설치가 필요 없는 등반장치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하부프레임을 해체할 필요가 없는 등반장치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등반 작업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등반장치를 제공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어 등반하는 타워크레인의 등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벽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수직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레일걸림봉(110)이 수평 방향으로 마련된 레일부(100); 타워크레인마스트(11)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타워크레인마스트(11)와 함께 등반하며, 건물의 벽면에 고정될 경우 타워크레인마스트(11)의 하중을 벽면으로 전달하는 하부프레임(200); 상기 하부프레임(200)과 이격되어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중앙에는 타워크레인마스트(11)가 통과하는 공간이 마련되는 상부프레임(300); 상기 상부프레임(300)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부(100)를 타고 상기 상부프레임(300)과 함께 상승하는 승강부(400); 상기 승강부(400)에 장착되는 승강부실린더(430); 상기 승강부(400)에 장착되며 상승과정에서 레일걸림봉(110)에 접촉하면 하향 회동하였다가 상기 레일걸림봉(110)을 통과하면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원래의 자세로 복귀하면서 상향 회동이 제한되어 상기 레일걸림봉(110)에 거치되는 제1승강부회동걸쇠(410); 상기 승강부실린더(430)의 피스톤로드 하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승강부회동걸쇠(4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승과정에서 레일걸림봉(110)에 접촉하면 하향 회동하였다가 상기 레일걸림봉(110)을 통과하면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원래의 자세로 복귀하면서 상향 회동이 제한되어 상기 레일걸림봉(110)에 거치되는 제2승강부회동걸쇠(420); 상기 상부프레임(300)의 양측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상부프레임(300)의 연직하방으로 뻗어나가며, 수직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래더걸림봉(510)이 마련되는 래더(500); 타워크레인마스트(11)에 장착되는 마스트실린더(630); 상기 마스트실린더(630)의 본체 또는 타워크레인마스트(11)에 장착되며 상승과정에서 상기 래더걸림봉(510)과 접촉하며 하향 회동하였다가 래더걸림봉(510)을 통과하면 원래의 자세로 복귀하면서 상향 회동이 제한되어 상기 래더걸림봉(510)에 거치되는 제1마스트회동걸쇠(610); 및, 상기 마스트실린더(630)의 피스톤로드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승과정에서 상기 래더걸림봉(510)과 접촉하면 하향 회동하였다가 상기 래더걸림봉(510)을 통과하면 원래의 자세로 복귀하면서 상향 회동이 제한되어 상기 래더걸림봉(510)에 거치되는 제2마스트회동걸쇠(6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추가 프레임을 설치하지 않아도 타워크레인을 상부로 옮길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해당 높이의 작업이 완료되면 도2의 두번째 그림처럼 상부프레임(300)을 건물의 벽면에 고정시키는 고정앙카를 제거하고 타워크레인마스트(11)의 하중 대부분을 하부프레임(200)이 지지하는 상태에서 상부프레임(300)만 레일부(100)를 따라 상승시킨 후 상승이 완료되면 상부프레임(300)을 건물의 벽면에 고정시키고, 도2의 세번째 그림처럼 하부프레임(200)을 건물의 벽면에 고정시키는 고정앙카를 제거하고 타워크레인마스트(11)의 하중 대부분을 래더(500)를 통하여 상부프레임(300)이 지지하는 상태에서 타워크레인마스트(11)와 하부프레임(200)을 함께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는 달리 별도의 추가 프레임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둘째, 타워크레인 등반 과정에서 하부프레임(200)을 해체할 필요가 없다.
다시 말하면, 종래에는 하부프레임(200)을 해체하여 옮겼으나 본 발명의 경우 하부프레임(200)이 타워크레인마스트(11)에 일체로 고정되어 함께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하부프레임(200)을 건물의 벽면에 고정하는 고정앙카의 설치 및 제거 작업만 반복하면 된다.
셋째, 등반 작업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추가 프레임의 설치, 하부프레임(200)의 해체와 재설치와 같은 고난이도 작업이 불필요하여 타워크레인의 등반 작업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래더 등반 작업 과정을 도시한다.
도2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등반 과정을 도시한다.
도3은 레일부(100)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4는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레일부(100), 상부프레임(300), 중간프레임(700), 및 하부프레임(200)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다.
도5는 도4의 각 높이에서 내려다 본 구조를 도시하는데, (a) 상부프레임(300), (b) 중간프레임(700), 및 (c) 하부프레임(200) 구조를 각각 도시한다.
도6은 상부프레임(300)에 장착되는 승강부(400)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7은 타워크레인마스트(11)에 장착되넌 마스트실린더(630)와 래더(500)의 작동 구조를 도시한다. 래더(500)는 길이가 일부 생략되어 있는데, 제1마스트회동걸쇠(610)만 거치되는 것이 아니라 상부로 연장되어 제2마스트회동걸쇠(620)도 거치된다.
도2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따른 등반 과정을 도시한다.
도3은 레일부(100)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4는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레일부(100), 상부프레임(300), 중간프레임(700), 및 하부프레임(200)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다.
도5는 도4의 각 높이에서 내려다 본 구조를 도시하는데, (a) 상부프레임(300), (b) 중간프레임(700), 및 (c) 하부프레임(200) 구조를 각각 도시한다.
도6은 상부프레임(300)에 장착되는 승강부(400)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7은 타워크레인마스트(11)에 장착되넌 마스트실린더(630)와 래더(500)의 작동 구조를 도시한다. 래더(500)는 길이가 일부 생략되어 있는데, 제1마스트회동걸쇠(610)만 거치되는 것이 아니라 상부로 연장되어 제2마스트회동걸쇠(620)도 거치된다.
본 발명은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어 등반하는 타워크레인의 등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100)는 건물의 벽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하부프레임(200)은 타워크레인마스트(11)에 장착되어 함께 움직이고, 상부프레임(300)에는 래더(500)와 승강부(400)가 장착되어 함께 움직이고, 승강부(400)는 레일부(100)를 따라 상승하고, 타워크레인마스트(11)는 래더(500)에 거치되어 래더(500)를 타고 상승하는 구조이다.
상부프레임(300)과 하부프레임(200)이 모두 건물의 벽면에 고정될 경우 타워크레인마스트(11)의 하중의 일부는 상부프레임(300)을 통하여 건물의 벽면으로 전달되고 하중의 나머지는 하부프레임(200)을 통하여 건물의 벽면으로 전달되며, 상부프레임(300)을 레일부(100)를 따라 상승시키는 과정에서는 하부프레임(200)만 건물의 벽면에 고정되어 타워크레인마스트(11)의 하중이 하부프레임(200)을 통하여 건물의 벽면으로 전달되며, 타워크레인마스트(11)의 상승과정에서는 상부프레임(300)만 건물의 벽면에 고정된 상태가 되는 바, 타워크레인마스트(11)의 하중은 대부분 래더(500)와 상부프레임(300)을 통하여 건물의 벽면으로 전달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부프레임(300) 및 중간프레임(700)에 장착된 승강부(400)와 연결된 레일부(100)를 통하여 벽면으로 전달된다. 즉 작업 과정에서는 도2의 첫번째 그림처럼 하부프레임(200)과 상부프레임(300)이 모두 건물의 벽면에 고정된 상태가 되고, 작업이 완료되면 도2의 두번째 그림처럼 상부프레임(300)을 건물의 벽면에 고정시키는 고정앙카를 제거하고 타워크레인마스트(11)의 하중 대부분을 하부프레임(200)이 지지하는 상태에서 상부프레임(300)만 레일부(100)을 따라 상승시킨 후 상승이 완료되면 상부프레임(300)을 건물의 벽면에 고정시키고, 도2의 세번째 그림처럼 하부프레임(200)을 건물의 벽면에 고정시키는 고정앙카를 제거하고 타워크레인마스트(11)의 하중 대부분을 래더(500)를 통하여 상부프레임(300)이 지지하는 상태에서 타워크레인마스트(11)와 하부프레임(200)을 함께 상승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수행하는 장치들의 구성을 보다 세부적으로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레일부(100)는 건물의 벽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나란하게 2줄이 설치되며, 그 각각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레일걸림봉(110)이 수평 방향으로 마련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3줄이나 그 이상이 설치될 수도 있다.
즉 각각의 레일부(100)는 "]" 단면의 채널부재와 "[" 단면의 채널부재가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I" 단면의 대칭 형상을 이루고, 레일걸림봉(110)은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채널부재 사이의 공간을 가로지르도록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레일걸림봉(110)에는 승강부(400)의 제1승강부회동걸쇠(410)와 제2승강부회동걸쇠(420)가 거치된다.
이러한 레일부(1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앙카에 의하여 건물의 벽면에 장착된 레일장착브라켓(120)에 끼워져 고정되는데, 레일장착브라켓(120)과 레일부(100)는 체결수단에 의하여 고정될 수도 있고 체결수단이 풀리면 레일부(100)가 레일장착브라켓(120)에 끼워진 상태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도 있는 구조이다.
하부프레임(200)은 타워크레인마스트(11)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타워크레인마스트(11)와 함께 등반(상승)하며, 건물의 벽면에 고정앙카로 고정될 경우 타워크레인마스트(11)의 하중을 벽면으로 전달한다. 즉 하부프레임(200)은 타워크레인마스트(11)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타워크레인마스트(11)와 일체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하부프레임(200)의 구체적 형상은 도4 또는 도5(c)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타워크레인마스트(11)를 통하여 전달되는 타워크레인 전체 하중을 견디면서 건물의 벽면으로 하중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떤 구조라도 가능한 바 세부적인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부프레임(300)은 도4 또는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200)과 이격되어 하부프레임(2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중앙에는 타워크레인마스트(11)가 통과하는 공간(44)이 마련된다.
이러한 상부프레임(300)의 경우도 타워크레인마스트(11)가 등반(상승)하는 과정에서 타워크레인마스트(11)로부터 래더(500)를 통하여 전달되는 타워크레인 전체 하중을 견디면서 건물의 벽면으로 하중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떤 구조라도 가능하다.
상부프레임(300)은 하부프레임(200)과는 달리 타워크레인마스트(11)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상부프레임(300)의 중앙에 마련된 공간(44)으로 타워크레인마스트(11)가 통과하는 구조이다. 다만 상부프레임(300)의 중앙에 마련된 공간(44)과 타워크레인마스트(11) 사이의 간격을 채워 지지하는 다수 개의 착탈식 쇄기(도시 생략)가 구비되거나, 또는 상부프레임(300)에 체결되어 타워크레인마스트(11)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지지볼트(도시 생략)가 구비됨으로써, 상부프레임(300)이나 타워크레인마스트(11)가 상승할 경우에는 착탈식 쇄기를 제거하거나 지지볼트를 풀게 되고, 상부프레임(300)과 타워크레인마스트(11)의 상승(등반)이 완료되면 착탈식 쇄기를 상부프레임(300)과 타워크레인마스트(11) 사이의 간격에 끼우거나 지지볼트를 체결하여 타워크레인마스트(11)를 압착 지지함으로써 상부프레임(300) 중앙을 관통하는 타워크레인마스트(11)를 전후좌우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흔들림을 방지한다.
승강부(400)는 도4 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300)에 2줄로 나란하게 장착되어 상부프레임(300)과 일체를 이루고, 각각의 승강부(400)는 이와 대응하는 레일부(100)를 타고 상부프레임(300)과 함께 상승하는데, 레일부(100)가 3줄 또는 그 이상이 설치될 경우에는 승강부(400)도 3줄 또는 그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부(400)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실린더(430)가 장착되어 승강 작동시 사용된다.
승강부(400)에는 레일부(100)의 "I" 단면에 결합되어 상승과정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Π" 단면 형상(레일부(100)를 향하는 면이 개방되고 걸림작용이 이루어지는 형상)이 레일부(100)와 맞닿는 면에 구비되며 레일부(100)에 대응하도록 상부프레임(300)에 수직 방향으로 나란하게 장착된다.
제1승강부회동걸쇠(410)는 승강부(400)에 내측에 장착되며 상승과정에서 레일걸림봉(110)에 접촉하면 하향 회동하였다가 레일걸림봉(110)을 통과하면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원래의 자세로 복귀하면서 일정 각도 이상의 상향 회동이 제한되어 레일걸림봉(110)에 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2승강부회동걸쇠(420)는 승강부실린더(430)의 피스톤로드 하단부에 장착되어 제1승강부회동걸쇠(410)의 하부에 위치하는데, 승강부실린더(430)의 수축과 팽창 작동에 따라 피스톤로드를 따라 승강부(400)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제2승강부회동걸쇠()는 상승과정에서 레일걸림봉(110)에 접촉하면 하향 회동하였다가 레일걸림봉(110)을 통과하면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원래의 자세로 복귀하면서 일정 각도 이상의 상향 회동이 제한되어 레일걸림봉(110)에 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제1승강부회동걸쇠(410)와 제2승강부회동걸쇠(420) 사이의 거리는 레일부(100)에 구비된 레일걸림봉(110) 사이의 간격 및 승강부실린더(430)의 행정거리(수축된 상태와 팽창된 상태의 상대적 거리 차이)를 고려하여 결정하게 된다.
승강부(4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승강부실린더(430)가 수축되고 제1승강부회동걸쇠(410)와 제2승강부회동걸쇠(420)가 각각 레일걸림봉(110)에 거치된 상태에서 승강부실린더(430)가 팽창하면서 피스톤로드가 뻗어나오면 제2승강부회동걸쇠(420)는 하부에 있는 레일걸림봉(110)에 거치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1승강부회동걸쇠(410)는 상승하면서 제1승강부회동걸쇠(410) 바로 위에 있는 레일걸림봉(110)에 접촉되어 하향 회동하면서 상승을 계속하여 레일걸림봉(110)을 통과하면 스프링(도시 생략)의 탄성력으로 원래의 자세로 복귀하여 레일걸림봉(110)에 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 다음 과정으로 팽창된 승강부실린더(430)가 수축하면 제1승강부회동걸쇠(410)는 레일걸림봉(110)에 거치된 상태로 하강이 방지되고 제2승강부회동걸쇠(420)는 상승하면서 제2승강부회동걸쇠(420)의 바로 위에 있는 레일걸림봉(110)에 접촉되어 하향 회동하면서 상승을 계속하여 레일걸림봉(110)을 통과하면 스프링(도시 생략)의 탄성력으로 원래의 자세로 복귀하여 레일걸림봉(110)에 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결과적으로 승강부실린더(430)의 팽창과 수축 과정을 통하여 승강부(400) 전체가 레일걸림봉(110) 사이의 거리만큼 상승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승강부(400)가 단계적으로 레일부(100)를 따라 상승하게 되고, 승강부(400)와 일체를 이루는 상부프레임(300)도 타워크레인마스트(11)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아울러, 승강부(400)의 제1승강부회동걸쇠(410)와 제2승강부회동걸쇠(420)에는 각각 제1승강부레버(415)와 제2승강부레버(425)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1승강부레버(415)와 제2승강부레버(425)를 도6에 도시된 "a" 위치에서 "b" 위치로 올리면 제1승강부회동걸쇠(410)와 제2승강부회동걸쇠(420)의 방향이 상하로 바뀌면서 레일걸림봉(110)에 접촉되어 회동하는 방향이 하향에서 상향으로 전환되고 회동제한 방향이 상향에서 하향으로 전환된다. 즉 제1승강부회동걸쇠(410)와 제2승강부회동걸쇠(420) 각각이 180도 회전하면서 상부측을 향하던 경사면이 하부측을 향하도록 방향이 전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b" 위치)에서 승강부실린더(430)가 작동하면 승강부(400)가 단계적으로 레일부(100)를 따라 하강하거나, 레일부(100)를 상승시킬 수 있는데, 도2의 마지막 단계(지면상에서 우측)처럼 상부프레임(300)이 레일부(100)의 상단부에 근접하여 더 이상 상승할 수 없는 단계에 이르면, 레일부(100) 전체를 상부로 이송시킬 수도 있다.
래더(5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300)의 양측면에 각각 장착되어 상부프레임(300)의 연직하방으로 뻗어나가는데, 래더(500) 각각에는 수직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래더걸림봉(510)이 마련된다.
마스트실린더(63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워크레인마스트(11)에 장착되어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면서 타워크레인마스트(11)를 상승시키는 작용을 한다.
제1마스트회동걸쇠(610)는 마스트실린더(630)의 본체 또는 타워크레인마스트(11)에 장착되며 상승과정에서 래더걸림봉(510)과 접촉하면 하향 회동하였다가 래더걸림봉(510)을 통과하면 원래의 자세로 복귀하면서 일정 각도 이상의 상향 회동이 제한되어 래더걸림봉(510)에 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2마스트회동걸쇠(620)는 마스트실린더(630)의 피스톤로드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승과정에서 래더걸림봉(510)과 접촉하면 하향 회동하였다가 래더걸림봉(510)을 통과하면 원래의 자세로 복귀하면서 상향 회동이 제한되어 상기 래더걸림봉(510)에 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마스트실린더(630)가 수축되고 제1마스트회동걸쇠(610)와 제2마스트회동걸쇠(620)가 각각 해당 위치의 래더걸림봉(510)에 거치된 상태에서 마스트실린더(630)가 팽창하면서 피스톤로드가 뻗어나오면 제2마스트회동걸쇠(620)는 래더걸림봉(510)에 거치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1마스트회동걸쇠(610)는 거치되었던 래더걸림봉(510) 상부로 이동하여 그 보다 한단계 위에 있는 래더걸림봉(510)에 도달할 때까지 상승하고 래더걸림봉(510)에 도달(접촉)하면 하향 회동하였다가 래더걸림봉(510)을 통과하면 무게중심의 편중(회동축과 무게중심의 불일치)에 의하여 자동으로 회동하면서 원래의 자세로 복귀하여 래더걸림봉(510)에 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 다음 과정으로 팽창된 마스트실린더(630)가 수축하면 제1마스트회동걸쇠(610)는 래더걸림봉(510)에 거치된 상태로 하강이 방지되고 제2마스트회동걸쇠(620)는 거치되었던 래더걸림봉(510) 상부로 이동하여 그 보다 한단계 위에 있는 래더걸림봉(510)에 도달할 때까지 상승하고 래더걸림봉(510)에 도달(접촉)하면 하향 회동하였다가 래더걸림봉(510)을 통과하면 무게중심의 편중(회동축과 무게중심의 불일치)에 의하여 자동으로 회동하면서 원래의 자세로 복귀하여 래더걸림봉(510)에 거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결과적으로 마스트실린더(630)의 팽창과 수축 과정을 통하여 타워크레인마스트(11) 전체가 래더걸림봉(510) 사이의 거리만큼 상승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 타워크레인마스트(11)가 단계적으로 래더(500)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중간프레임(700)은 도4 또는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3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부프레임(300)과 함께 상승하며 타워크레인마스트(11)에 걸리는 벤딩모멘트를 전달받아 상부프레임(300)과 함께 건물의 벽면으로 전달하여 타워크레인마스트(11)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중간프레임(700)의 구체적인 형상도 상부프레임(300)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형태로 변경이 가능한 바 구체적인 형상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100:레일부
110:레일걸림봉
120:레일장착브라켓
200:하부프레임
300:상부프레임
400:승강부
410:제1승강부회동걸쇠
415:제1승강부레버
420:제2승강부회동걸쇠
425:제2승강부레버
430:승강부실린더
500:래더(ladder)
510:래더걸림봉
610:제1마스트회동걸쇠
620:제2마스트회동걸쇠
630:마스트실린더
700:중간프레임
11:타워크레인마스트
44:타워크레인마스트(11)가 통과하는 공간
110:레일걸림봉
120:레일장착브라켓
200:하부프레임
300:상부프레임
400:승강부
410:제1승강부회동걸쇠
415:제1승강부레버
420:제2승강부회동걸쇠
425:제2승강부레버
430:승강부실린더
500:래더(ladder)
510:래더걸림봉
610:제1마스트회동걸쇠
620:제2마스트회동걸쇠
630:마스트실린더
700:중간프레임
11:타워크레인마스트
44:타워크레인마스트(11)가 통과하는 공간
Claims (4)
- 건물의 벽면에 설치되어 등반하는 타워크레인의 등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벽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수직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레일걸림봉(110)이 수평 방향으로 마련된 레일부(100);
타워크레인마스트(11)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타워크레인마스트(11)와 함께 등반하며, 건물의 벽면에 고정될 경우 타워크레인마스트(11)의 하중을 벽면으로 전달하는 하부프레임(200);
상기 하부프레임(200)과 이격되어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중앙에는 타워크레인마스트(11)가 통과하는 공간이 마련되는 상부프레임(300);
상기 상부프레임(300)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부(100)를 타고 상기 상부프레임(300)과 함께 상승하는 승강부(400);
상기 승강부(400)에 장착되는 승강부실린더(430);
상기 승강부(400)에 장착되며 상승과정에서 레일걸림봉(110)에 접촉하면 하향 회동하였다가 상기 레일걸림봉(110)을 통과하면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원래의 자세로 복귀하면서 상향 회동이 제한되어 상기 레일걸림봉(110)에 거치되는 제1승강부회동걸쇠(410);
상기 승강부실린더(430)의 피스톤로드 하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승강부회동걸쇠(4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승과정에서 레일걸림봉(110)에 접촉하면 하향 회동하였다가 상기 레일걸림봉(110)을 통과하면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원래의 자세로 복귀하면서 상향 회동이 제한되어 상기 레일걸림봉(110)에 거치되는 제2승강부회동걸쇠(420);
상기 상부프레임(300)의 양측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상부프레임(300)의 연직하방으로 뻗어나가며, 수직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래더걸림봉(510)이 마련되는 래더(500);
타워크레인마스트(11)에 장착되는 마스트실린더(630);
상기 마스트실린더(630)의 본체 또는 타워크레인마스트(11)에 장착되며 상승과정에서 상기 래더걸림봉(510)과 접촉하면 하향 회동하였다가 상기 래더걸림봉(510)을 통과하면 무게중심의 편중에 의하여 자동으로 회동하면서 원래의 자세로 복귀하고 상향 회동이 제한되어 상기 래더걸림봉(510)에 거치되는 제1마스트회동걸쇠(610); 및,
상기 마스트실린더(630)의 피스톤로드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승과정에서 상기 래더걸림봉(510)과 접촉하면 하향 회동하였다가 상기 래더걸림봉(510)을 통과하면 무게중심의 편중에 의하여 자동으로 회동하면서 원래의 자세로 복귀하고 상향 회동이 제한되어 상기 래더걸림봉(510)에 거치되는 제2마스트회동걸쇠(6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설치 타워크레인 등반장치. - 제1항에서,
상기 레일부(100)는,
"]" 단면의 채널부재와 "[" 단면의 채널부재가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I" 단면의 대칭 형상을 이루고, 상기 레일걸림봉(110)은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채널부재 사이의 공간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상기 승강부(400)는,
상기 레일부(100)의 "I" 단면에 결합되어 상승과정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Π"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설치 타워크레인 등반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제1승강부회동걸쇠(410)와 상기 제2승강부회동걸쇠(420)는 각각 제1승강부레버(415)와 제2승강부레버(425)가 구비되고,
상기 제1승강부레버(415)와 상기 제2승강부레버(425)를 다른 각도로 돌리면 상기 제1승강부회동걸쇠(410)와 상기 제2승강부회동걸쇠(420)가 상기 레일걸림봉(110)에 접촉되어 회동하는 방향이 하향에서 상향으로 전환되고 회동제한 방향이 상향에서 하향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설치 타워크레인 등반장치. - 제3항에서,
상기 상부프레임(3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프레임(300)과 함께 상승하는 중간프레임(700);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벽설치 타워크레인 등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2787A KR101553966B1 (ko) | 2014-01-09 | 2014-01-09 | 외벽설치 타워크레인 등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2787A KR101553966B1 (ko) | 2014-01-09 | 2014-01-09 | 외벽설치 타워크레인 등반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83471A true KR20150083471A (ko) | 2015-07-20 |
KR101553966B1 KR101553966B1 (ko) | 2015-09-18 |
Family
ID=53873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02787A KR101553966B1 (ko) | 2014-01-09 | 2014-01-09 | 외벽설치 타워크레인 등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53966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019375A (zh) * | 2018-10-14 | 2018-12-18 | 张家港市天运建筑机械有限公司 | 一种应用于建筑用塔式起重机的拼接式攀爬机构 |
CN109052196A (zh) * | 2018-10-14 | 2018-12-21 | 张家港市天运建筑机械有限公司 | 一种用于塔式起重机的伸缩式侧向防护装置 |
CN109179224A (zh) * | 2018-10-14 | 2019-01-11 | 张家港市天运建筑机械有限公司 | 一种应用于塔式起重机内部平台出入口的辅助安全机构 |
CN109737011A (zh) * | 2018-12-29 | 2019-05-10 | 三一重能有限公司 | 塔筒附件安装方法及系统 |
KR20200002398A (ko) * | 2018-06-29 | 2020-01-08 | 한국전력공사 |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 |
CN110945195A (zh) * | 2017-06-30 | 2020-03-31 | Hws混凝土塔有限公司 | 用于垂直及准垂直混凝土表面的自爬升设备 |
CN111392609A (zh) * | 2020-04-02 | 2020-07-10 |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 侧挂式新型支承架、新型全自动爬升系统及其爬升方法 |
CN112591628A (zh) * | 2021-03-02 | 2021-04-02 |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塔吊侧向支撑装置及使用方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744365B (zh) * | 2017-01-19 | 2018-11-06 | 荆门思安机械设备有限公司 | 一种利用电梯导轨的自升式塔吊 |
KR101819167B1 (ko) * | 2017-05-30 | 2018-02-28 | 박무수 | 타워크레인 이동용 레일이 설치된 교량용 브라켓 |
KR101819166B1 (ko) * | 2017-05-30 | 2018-01-17 | 박무수 | 교량용 타워크레인 지지 브라켓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301508B2 (ja) | 2010-08-23 | 2013-09-25 | 三井住友建設株式会社 | クライミングクレーンの支持方法および支持冶具 |
-
2014
- 2014-01-09 KR KR1020140002787A patent/KR101553966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945195A (zh) * | 2017-06-30 | 2020-03-31 | Hws混凝土塔有限公司 | 用于垂直及准垂直混凝土表面的自爬升设备 |
KR20200002398A (ko) * | 2018-06-29 | 2020-01-08 | 한국전력공사 | 관형 송전철탑 조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 |
CN109019375A (zh) * | 2018-10-14 | 2018-12-18 | 张家港市天运建筑机械有限公司 | 一种应用于建筑用塔式起重机的拼接式攀爬机构 |
CN109052196A (zh) * | 2018-10-14 | 2018-12-21 | 张家港市天运建筑机械有限公司 | 一种用于塔式起重机的伸缩式侧向防护装置 |
CN109179224A (zh) * | 2018-10-14 | 2019-01-11 | 张家港市天运建筑机械有限公司 | 一种应用于塔式起重机内部平台出入口的辅助安全机构 |
CN109179224B (zh) * | 2018-10-14 | 2023-12-01 | 张家港市天运建筑机械有限公司 | 一种应用于塔式起重机内部平台出入口的辅助安全机构 |
CN109737011A (zh) * | 2018-12-29 | 2019-05-10 | 三一重能有限公司 | 塔筒附件安装方法及系统 |
CN109737011B (zh) * | 2018-12-29 | 2020-07-28 | 三一重能有限公司 | 塔筒附件安装方法及系统 |
CN111392609A (zh) * | 2020-04-02 | 2020-07-10 |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 侧挂式新型支承架、新型全自动爬升系统及其爬升方法 |
CN112591628A (zh) * | 2021-03-02 | 2021-04-02 |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塔吊侧向支撑装置及使用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53966B1 (ko) | 2015-09-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53966B1 (ko) | 외벽설치 타워크레인 등반장치 | |
CN107795112A (zh) | 一种高机动性建筑外墙高空作业平台结构 | |
KR101151866B1 (ko) | 거푸집 작업발판의 인양방법 | |
KR101223614B1 (ko) |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 |
CN205077885U (zh) | 建筑物核心筒液压智能爬升防护平台 | |
WO2020052291A1 (zh) | 附着于钢平台模架的施工电梯附墙架安装平台及方法 | |
US8701827B2 (en) | Climbing screen support system | |
KR20100001123U (ko) | 자립 오토 클라이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립 오토클라이밍 시스템 | |
CN202689495U (zh) | 自升式烟囱水塔施工塔架 | |
KR200425807Y1 (ko) | 인양형 갱폼 | |
CN107882317A (zh) | 一种用于建筑外墙高空作业的吊篮装置 | |
JP5825864B2 (ja) | タワークレーンのマスト支持構造、およびタワークレーンの支持方法 | |
KR20190002905U (ko) | 건물 난간용 로프 설치 장치 | |
KR200415037Y1 (ko) | 지씨에스용 갱폼 레벨 조절장치 | |
CN202380721U (zh) | 液压自升爬模系统 | |
CN103922231B (zh) | 超高层建筑內爬塔机的爬升方法 | |
CN203905435U (zh) | 一种燃烧器安装的多层升降平台 | |
KR102156971B1 (ko) | 갱폼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물의 외벽 시공방법 | |
CN206397107U (zh) | 钢筋混凝土电梯井施工用操作平台托架 | |
CN205421883U (zh) | 吊挂式操作平台 | |
CN203834912U (zh) | 一种电梯安装用平台 | |
JP2019157532A (ja) | 建物の建築方法 | |
CN104005549B (zh) | 一种燃烧器安装的多层升降平台 | |
JP5343253B2 (ja) | 建築構造体の解体工法および解体装置 | |
CN209958720U (zh) | 一种锅炉炉内快速安装检修平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