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2890A -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 - Google Patents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2890A
KR20150082890A KR1020140002387A KR20140002387A KR20150082890A KR 20150082890 A KR20150082890 A KR 20150082890A KR 1020140002387 A KR1020140002387 A KR 1020140002387A KR 20140002387 A KR20140002387 A KR 20140002387A KR 20150082890 A KR20150082890 A KR 20150082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camera
thread
product
s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1376B1 (ko
Inventor
조훈식
김정은
조현우
조현지
Original Assignee
조훈식
조현우
조현지
김정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훈식, 조현우, 조현지, 김정은 filed Critical 조훈식
Priority to KR1020140002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376B1/ko
Priority to PCT/KR2015/000211 priority patent/WO2015105361A1/ko
Publication of KR20150082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9/00Applications of bobbin-winding or -changing devices; Indicating or control devices associated therewith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세부적으로는 제1, 2, 3, 4 카메라를 구비하여 보빈의 밑실 소진여부와 보빈의 정보, 윗실의 정보 및 제품의 정보를 QR코드로 확인할 수 있으며 보빈에 QR코드를 부착하여 사용된 밑실의 정보를 알 수 있으며 제품에 QR코드를 부착하여 제품의 이력관리를 할 수 있기 위한 자동봉제기의 밑실 감지 통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 카메라로 인하여 보빈의 밑실 소진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외부플랜지 표면에 보빈QR코드가 부착되어 있어 밑실의 이력을 확인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제1, 2, 3, 4 카메라를 이용하여 작업이력을 촬영하여 특정 상황의 동영상을 볼 수 있는 블랙박스의 기능이 있다.

Description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 {Automatic sewing filed for record management is an integrated device}
본 발명은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세부적으로는 제1, 2, 3, 4 카메라를 구비하여 보빈의 밑실 소진여부와 보빈의 정보와 제품의 정보를 QR코드로 확인할 수 있으며, 보빈에 QR코드를 부착하여 사용된 밑실의 정보를 알 수 있으며, 제품에 QR코드라벨을 부착하여 제품의 이력관리를 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봉제작업중에 발생하는 실수로 인하여 자동차의 에어백이나 시트벨트, 사이드에어백의 부전개, 전개지연을 발생시키는 많은 봉제상의 실수를 차단 및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동일한 실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블랙박스 기능이 내장되고 봉제전반의 이력정보가 생성되어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제기는 직물, 가죽 등을 봉제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대량의 제품을 연속적으로 봉제하는 산업용 봉제기의 경우 밑실의 소진시점을 작업자가 감에만 의존해 작업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밑실이 낭비되거나 밑실의 소진시점을 놓쳐 봉제품에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동봉제장비로 작업중 밑실 소진된 후,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헛박음질된 불량제품이 발생되어 제품을 폐기하거나 박음질을 뜯어내고, 밑실을 교체 후 바늘구멍에 맞춰 다시 정밀작업을 실시하거나, 헛박음질된 부분부터 다시 작업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되면 제품의 폐기와 잠재적인 불량 상태의 제품이 발생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밑실의 잔량을 예측하지 못하고 계속 작업시 제품에 헛박음질이 되어 불량을 초래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사용자에게 불만을 받아 제품의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밑실의 소진 시점을 감지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90193호(2007.02.2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윗실이 걸림되어 있는 바늘에 밑실이 감김되어 있는 보빈으로부터 밑실을 공급하여 재봉하는 재봉기용 밑실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빈(130)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232)와 반사된 광을 감지하는 수광부(234)로 구성되어 보빈(130)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보빈(130)에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광이 조사되는 보빈(130)에는 광이 통과하는 다수의 통공(132)이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천공되며,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보빈(130)의 정지가 감지되면 이를 작업자에게 알리는 경고발생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밑실(140)이 소진됨과 동시에 이를 작업자에게 알려 밑실(140)의 신속한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광 투과방식을 통해 밑실의 소진시점을 감지하는 방법으로 보빈에 구멍을 통공을 형성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보빈의 형태에 따라 통공을 보빈 일부에만 형성할 수 없어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밑실소진만을 감지하게되면 밑실의 소재를 잘못 사용하여 자동차의 시트에 내장된 사이드에어백의 전개를 방해하는 실수, 즉 윗실은 강력한 실인 300D3P를 사용하고, 밑실은 상대적으로 약한 30S3P를 사용하여 이 윗실과 밑실의 강도차에 의해, 측면충돌시 사이드에어백의 폭발력에 의해 밑실이 파열되면서 시트가 뜯어져, 사이드에어백이 돌출되어 차량탑승자의 측면 신체를 보호하는 메커니즘에서 밑실을 30S3P가 아닌 재질의 실을 사용할 경우는 부전개 즉 사이드에어백이 시트내에서는 폭발하였으나, 시트를 뜯고 나오지 못해 탑승자가 더욱 큰 상해를 당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불량은 해당 봉제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발생될 수 있으며, 봉제특성상 밑실은 은폐되는 특성이 있어 식별이 쉽지 않아 종래에는 이를 완벽히 해결하는 기술이 없었고, 이를 오로지 작업자의 감과 판단에 맡기다 보니 고의 또는 실수로 잠재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아날로그센서는 아날로그센싱의 부정확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센서의 정확성이 100% 확보되지 않으면 부정확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과, 일반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이 없었으므로 인해 작업자가 보완적으로 밑실 보빈의 잔사량 상태나 윗실 재질의 상태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90193호(2007.02.27)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양 외측과 중간에 플랜지를 구비하고 일측의 보빈 축에 바코드를 구비하여 한 공정을 작업하기 위한 밑실을 사전에 권취하고, 이후에 제1 카메라에 바코드가 인식되면 작업을 중단시키고, 알람을 발생하며 제2 카메라로 보빈에 부착된 보빈QR코드를 통해 밑실의 재질을 정확히 사용하도록 하며, 제3 카메라로 제품 외부에 부착되는 제품QR코드를 인식하여 해당 제품을 봉제하는 전 과정의 정보를 서버에 저장하여 제품QR코드를 통해 제조과정을 소비자가 스마트폰 등으로 확인할 수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양측에 원판 형태의 외부플랜지가 구비되며 상기 외부플랜지와 일정간격을 두고 외부플랜지보다 작은 형상으로 구비되는 중간플랜지가 구비되어 제1, 2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챔버 표면에 바코드가 형성되어 있는 보빈과;
상기 보빈이 결합되고, 내부에 보빈의 안착유무를 확인하는 감지센서와 밑실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가 구비되는 침판과;
상기 침판 상단에 노루발이 결합된 바늘이 위치하며 측면에 제2 카메라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카메라 타측에 제3 카메라가 구비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측면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보빈의 정보 및 작업상황을 표시하는 스크린이 구비되고, 상기 스크린 측면에 작업의 불가능 및 작업가능 여부를 알려주는 타워램프와 스피커가 구비되고, 제품의 정보를 저장하는 컴퓨터가 연결되며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로 이루어지는 제어부와;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1, 2, 3 발판으로 구성되고, 본체부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보빈은 외부플랜지 표면에 보빈QR코드가 부착되어 보빈에 권취된 밑실의 종류 및 길이 정보를 스크린으로 표시하여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상기 제1 카메라는 보빈에 권취된 밑실을 촬영하며 밑실이 소진되어 바코드가 인식되면 타워램프가 점등되고, 스피커에서 알람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카메라로 인하여 보빈의 밑실 소진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외부플랜지 표면에 보빈QR코드가 부착되어 있어 밑실의 이력을 확인할 수 있고, 제3 카메라로 제품QR코드를 인식하여 제품의 정보를 확인하여 이력관리를 할 수 있으며, 컴퓨터에서 보빈QR코드와 제품QR코드를 합성하여 봉제작업공장, 작업자, 작업일자, 시간, 사용된 밑실의 종류, 길이, 두께, 제품의 땀수, 땀간격, 속도, 장력 및 윗실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고, 밑실 소진시 제1 챔버에 형성된 바코드가 제1 카메라에 인식되어 작업을 중단시키고, 알람소리와 타워램프의 점등이나 무선통신을 통해 작업자의 휴대기기로 작업자에게 알려줄 수 있으며 사용자가 봉제이력을 확인할 수 있고, 제3 카메라로 제품의 봉제과정을 확인할 수 있어 불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밑실 공급장치와 검출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의 침판 평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의 윗실과 플레이트 및 제4 카메라의 결합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의 윗실 저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의 보빈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의 보빈 평면도.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의 보빈 측면도.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의 밑실이 권취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의 타 실시예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의 타 실시예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의 침판 평면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의 윗실과 플레이트 및 제4 카메라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의 윗실 저면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의 보빈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의 보빈 평면도이고,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의 보빈 측면도이고,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의 밑실이 권취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의 타 실시예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의 타 실시예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그 결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침판(20), 본체부(30), 제어부(40) 및 컨트롤부(50)로 이루어져 있다.
세부적으로는,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30)는 침판(20) 상단에 노루발(31)이 결합된 바늘(32)이 위치하며 측면에 제2 카메라(33)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카메라(33) 타측에 제3 카메라(34)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40)는 스크린(41)과 타워램프(42)와 스피커(43)와 경고정보 또는 전달메세지를 송수신한 수 있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폰 또는 무선통신기기에 Wifi나 블루투스의 무선망으로 연결된 통신장비(46)와 컴퓨터(44) 및 서버(45)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컨트롤부(50)는 제1, 2, 3 발판(51)(52)(53)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30)에는 블랙박스 저장소(35)가 구비되어 제3 카메라(34)가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한다.
그리고,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침판(20)은 외면에 덮개가 형성되고, 슬라이드 방식으로 덮개가 개폐되며, 덮개가 개폐된 침판(20) 내부에는 보빈(10)의 안착유무를 확인하는 감지센서(21)와 밑실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2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침판(20)에는 내부의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공기노즐(23)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5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30) 측면에 구비된 윗실(38)은 플레이트(37)에 위치되며 하단에 제4 카메라(36)가 구비되어 있으며, 도 5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윗실(38) 하단에 윗실QR코드(38a)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6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보빈(10)은 침판(20) 내부에 삽입되며 외부플랜지(11)가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외부플랜지(11)와 일정간격을 두고 외부플랜지(11)보다 작은 형상으로 구비되는 중간플랜지(12)가 구비되고, 도 4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부플랜지(11) 표면에 보빈QR코드(1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부플랜지(11)와 중간플랜지(12)의 결합으로 인하여 형성된 제1, 2, 3 챔버(13)(14)(15)에 밑실이 권취되고, 상기 제2 챔버(14) 표면에는 바코드(14a)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 6d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빈(10)에 밑실이 3구획으로 나뉘어져 권취된다.
또한, 상기 중간플랜지(12)는 높낮이가 가변적으로 선택되어 사용이 가능하며 이는 밑실의 권취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빈(10)은 제1 챔버(13)와 제2 챔버(14)에 밑실이 권취되며 상기 제1, 2 챔버(13)(14)에 권취된 밑실 표면에 한번 더 밑실이 권취된 제3 챔버(15)로 구획되어 있으며 밑실소진시에는 제3 챔버(15)가 가장먼저 소진되고, 그 뒤로 제2 챔버(14)가 소진되며 마지막으로 제1 챔버(13)의 밑실이 소진된다.
또한, 상기 제1, 2, 3, 4 카메라(22)(33)(34)(36)는 밑실 또는 윗실의 갯수에 따라 다수개의 카메라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밑실이 권취된 보빈(10)을 침판(20)에 내설하게되면 감지센서(21)가 보빈(10)의 안착유무를 확인하고, 제1 카메라(22)가 촬영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스크린(41)에 표시한다.
이때, 보빈(10)을 침판(20)에 내설하면 본체부(30)에 구비된 제2 카메라(33)가 외부플랜지(11)에 형성된 보빈QR코드(11a)를 인식하여 컴퓨터(44)와 서버(45)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44)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서버(45)와 연결되며, 본체부(30) 내부에 별도의 컴퓨터가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4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컴퓨터(44)가 본체부의 컴퓨터로 신호를 전송하면 스크린(41)에 정보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제4 카메라(36)가 윗실(38) 하단에 부착되어 있는 윗실QR코드(38a)를 인식하여 컴퓨터(44)와 서버(45)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4 카메라(36)가 촬영하는 영상을 스크린(41)에서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봉제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발판(52)을 가압하여 상기 노루발(31)을 올린 후, 옷감을 고정 후, 제3 발판(53)을 가압하여 작업을 실시한다.
이때, 제품(100)에 구비된 제품QR코드(34a)는 제3 카메라(34)가 촬영하여 작업자, 작업일자, 작업시간, 제품(100)의 땀수 및 장력을 컴퓨터(44)로 전송시킨다.
그리고, 작업도중 밑실이 소진되면 타워램프(42)가 점등되고, 동시에 스피커(44)에서 알람이 울린다.
여기서, 타워램프(42)와 스피커(44)는 밑실이 소진되면 제1 챔버(13)에 형성된 바코드(14a)가 나타나게 되어 보빈(10)을 촬영하고 있는 제1 카메라(22)가 바코드(14a)를 인식하여 타워램프(42)와 스피커(43)에서 점등과 동시에 알람이 울리게 된다.
이때, 통신장비(46)가 연결되어 있으면 해당 통신장비(46)에도 경고를 전달하는 진동이나 알람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41)에서는 보빈(10)을 촬영하고 있는 제1 카메라(22)의 영상이 표시되며 보빈QR코드(11a)를 인식하는 제2 카메라(33)의 영상도 스크린(41)에 표시된다.
여기서, 침판(20) 내부에 먼지 등이 많아 밑실의 식별이 어려울 경우에는 침판(20)에 장착된 공기노즐(23)로 공기를 분사하여 내부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기노즐(23)은 회전이 가능하여 제1 카메라(22)과 보빈(10) 및 감지센서(21) 위치한 곳으로 회전하여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44)는 제2 카메라(33)에서 보빈QR코드(11a)와 제3 카메라(34)에서 제품QR코드(34a)를 각각 전송받아 실의 종류, 길이, 두께, 작업자, 작업일자, 작업시간, 제품(100)의 땀수 및 장력을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여 제품(100)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이 완료되면 제1 발판(51)을 가압하여 작업을 종료시키면 제1 카메라(22)가 제2 챔버(14)의 표면에 형성된 바코드(14a)가 인식되면 제1 챔버(13) 이하만큼의 밑실이 남아있어서 다음공정을 할 정도의 밑실이 없다는 의미이므로 정지된 모터에 신호를 보내어 제3 발판(53)을 가압하여도 모터가 구동되지 않으며 타워램프(42)가 점등됨과 동시에 스피커(44)에서 알람이 울리며, 컴퓨터(44)에 저장되어 있던 제품의 작업이력이 서버(45)로 전송된다.
상기와 같은 작업이 완료되면 제품QR코드(34a)를 사용자가 확인시 인터넷 상에서 제품(100)의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작업도중 밑실이 소진되어 제1 챔버(13) 표면에 형성된 바코드(14a)를 제1 카메라(22)가 인식하여 타워램프(42)가 점등되고, 스피커(43)에서 알람이 울리게 됨과 동시에 작업이 중지되면 덮개부를 개폐하여 밑실이 소진된 보빈(10)을 제거 후, 새로운 보빈(10)을 삽입한다.
이때, 컴퓨터(44)에서 설정한 규격의 밑실이 권취된 보빈(10)을 삽입하면 제2 카메라(33)가 보빈QR코드(11a)를 인식하여 기존의 보빈(10)과 동일한 밑실이 권취되어 있으면 타워램프(42)가 작업준비 램프를 점등시키고, 상기 스피커(43)에서 발생하는 알람이 중지된다.
이후, 덮개를 닫고, 다시 제3 발판(53)을 가압하여 작동시킨다.
그러나, 컴퓨터(44)에서 설정한 규격 외 또는 권취되어 공급되는 및실의 경우 작업자가 권취하여 재사용하는 등의 타종류의 보빈(10)을 삽입 하게되면 외부플랜지(11)에 형성된 보빈QR코드(11a)를 제2 카메라(33)가 인식하여 컴퓨터(44)와 서버(45)의 보빈QR코드(11a) 사용이력을 찾아서 보빈QR코드(11a)가 서버(45)에 존재할 경우 스피커(43)와 타워램프(42) 및 통신장비(46)에서 알람을 울리게 한다.
또한, 상기 제2, 3 카메라(33)(34)는 블랙박스 기능이 구비되어 작업중 침판(20)이 개방되면 상기 침판(20) 개방 전 30초~1분과 개방 후 최대 5분까지 편집되어 본체부(30)에 장착된 블랙박스 저장소(35)에 저장된 후, 서버(45)로 전송된다.
또한, 제2, 카메라(33)는 측면을 촬영하고 있으며 제3 카메라(34)는 상부에서 촬영을 하고 있어 사각지대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1 카메라 역시 제2, 3 카메라(33)(34)와 같이 블랙박스 기능을 설정하면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컴퓨터(44)에서 서버(45)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불러온 후, 초기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으며 보빈QR코드(11a)와 제품QR코드(34a)를 확인 후, 기존에 서버(45)에 입력되어 있는 봉제작업공장, 작업자, 작업일자, 시간, 사용된 밑실의 종류, 길이, 두께, 제품(100)의 땀수, 땀간격, 속도, 장력 및 윗실의 종류를 매치시켜 DB형태로 구축하여 서버(45)에 저장하고, 설정값을 변경하여 이력사항을 추가 및 수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실시예로 자동차의 시트, 에어백 및 시트벨트의 봉제에 사용될 수 있다.
즉, 자동차의 시트, 안전벨트, 에어백 등을 봉제하기 위해서, 서버(45)에 저장되어 있는 자동차의 시트, 에어백 및 시트벨트 등의 데이터베이스 중 작업을 실시할 품목을 컴퓨터(44)로 선택 후, 스크린(41)에 표시된 윗실과 밑실을 공급한 뒤, 제2 카메라(33)가 보빈(10)의 보빈QR코드(11a)를 확인하고, 덮개를 닫으면 타워램프(42)에서 작업 실시등이 점등되면 작업을 실시한다.
이때, 제3 카메라(34)는 제품(100)의 제품QR코드(34a)를 인식하여 컴퓨터(44) 및 서버(45)에 전송하고, 작업이 실시되는 침판(20)을 촬영한다.
그리고, 상기 보빈(10)은 밑실이 총 세 구획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제1 챔버(13)와 제2 챔버(14)에 권취되고, 제1, 2 챔버(13)(14)에 권취된 밑실위에 한번 더 권취된 제3 챔버(15)로 구획된다.
또한, 봉제작업에 따라 제3 챔버(15)의 밑실을 소진 후에는 제2 챔버(14)에 권취된 밑실이 소진되면 바코드(14a)가 제1 카메라(22)에 식별되어 알람이 발생한다.
이때, 알람이 발생되면 초기설정값으로 한 공정을 마무리할 수 있게 설정된 밑실 잔사량이 제1 챔버(13)에 남아 있음으로 인해, 현재 진행중인 봉제공정은 밑실소진없이 마무리할 수 있음으로 현재의 공정을 마무리할 수 있다.
그리고, 공정이 완료되면 모터가 정지되고, 스피커(43)와 타워램프(42)에 경고 신호와 경고등이 점등되며, 침판(20)의 덮개 개폐 후, 보빈(10)을 교체한다.
이때, 상기 보빈(10)을 컴퓨터(44)에 설정된 동일한 재질의 밑실과 동일한 재질의 밑실이 권취된 보빈(10)으로 교체하면 작업 재시작 알람 및 타워램프(42)가 점등되고, 서버(45)에 설정입력되지 않은 다른 종류의 밑실이 권취된 보빈(10)을 삽입하면 알람 발생과 동시에 타워램프(42)에서 작업중지 등이 점등된다.
그리고, 이러한 예외적인 상황은 제2, 3카메라(33)(34)의 블랙박스 기능이 작동되고, 이 정보를 통신장비(46)에도 전송하여 작업자 및 관리자에게 전송한다.
그리고, 밑실 소진 전 보빈(10)과 동일한 종류의 보빈(10)으로 교체시 작업 재시작 알람 및 타워램프(42)가 점등되어 작업을 재개한다.
또한, 작업이 완료되면 컴퓨터(44)에 작업정보를 표시하고, 서버(45)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시트내에 장착되어 시트봉제부위를 뜯고 전개되는 원리의 사이드에어백의 경우 윗실을 강한실인 300DPS로 쓰며 밑실을 약한 실인 30S3P로 사용하여 서로 재질과 강도를 다르게 하여 박음질한 후, 전개되도록 하는 원리로써, 봉제작업자가 컴퓨터(44)에 입력되어 있는 보빈(10)을 사용하지 않고, 다른 보빈(10)의 사용을 방지하여 리콜을 방지하고, 봉제작업시 서버(45)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어 있는 보빈(10)과 윗실(38)을 정확하게 사용하여 잘못된 윗실과 밑실의 사용을 방지하여 리콜을 방지하고, 봉제작업시 서버(45)에 저장되어 있는 차량종류별, 품목별 및 공정별 봉제목표설정 데이터베이스 중 컴퓨터(44)로 작업을 진행하려고 하는 품목을 입력 후,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료를 불러오면 스크린(41)에 표기되어 봉제작업자가 이에 맞는 윗실과 밑실을 공급 후, 작업을 시작한다.
그리고, 제1, 2, 3, 4 카메라(22)(33)(34)(36)로 봉제작업공장, 작업자, 작업일자, 시간, 사용된 밑실의 종류, 길이, 두께, 제품(100)의 땀수, 땀간격, 속도, 장력 및 윗실의 종류를 컴퓨터(44)에 전송과 동시에 서버(45)에 저장한다.
이로 인하여, 사고 발생시 자동차 에어백, 시트의 불량을 저하하고, 봉제작업에 의한 에어백, 측면에어백의 결함을 방지하고, 더 나아가 자동차의 시트벨트, 항공기, 선박의 에어백, 구명조끼, 군용 낙하산, 산업용 하역 포대, 레저용 안전벨트 등을 안전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품QR코드(34a)를 스마트폰과 같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봉제이력을 확인하고, 해당제품의 기준에 맞는 봉제가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보빈QR코드(11a), 제품QR코드(34a) 및 윗실QR코드(38a)는 신호를 인식하여 작동하는 RFID, 바코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타 실시예로서, 컨트롤부(550)를 노루발(331)을 조정 후, 바늘(332)이 침판(220)에 삽입되며 직물, 가죽 등이 봉제되도록 밑실이 권취되며 침판(220) 내측에 삽입되는 보빈(110)과, 상기 본체부(330)와와 보빈(110)의 작동 및 이상유무를 작업자에게 소리 또는 표시등을 통해 알려주는 스크린(441), 타워램프(332) 및 스피커(443)와 봉제작업을 통제할 수 있는 제어부(440)와 제1, 2, 3, 4 카메라(222)(333)(334)(336)가 RFID를 이용하여 보빈RFID(111a)와 제품RFID(334a) 및 윗실RFID(338a)를 인식하여 봉제이력정보를 스캔해 이상유무를 확인 후, 봉제이력정보가 후술되는 컴퓨터(444)와 서버(445)에 저장된다.
그리고, 제4 카메라(336)는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윗실(338)의 하단에 부착되어 있는 윗실RFID(338a)를 인식하는 기능을 하여 윗실(338)의 종류, 재질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침판(220) 내부에 공기노즐(223)이 구비되어 침판(220) 내부에 있는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하여 제1 카메라(222)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제품(100a)에 부착된 RFID에 기록된 봉제목표 설정정보를 RFID스캐너가 스캔하여 봉제기를 설정 및 통제하게 되는데, 그 봉제목표 설정정보는 사전 설정정보인 모터속도와 봉제작업자가 설정하는 땀간격, 장력, 윗실의 재질 및 밑실의 재질을 봉제직전에 사전점검하고, 봉제작업에 따라 발생한 땀수 및 각도가 있는 봉제작업의 경우 각 정지시점간의 봉제땀수와 한 공정의 봉제소요시간정보로 사전 사후에 스크린(441), 타워램프(442), 스피커(443)를 통해 경고를 주어, 사전에 봉제기의 상태를 점검하는 목표설정점검을 한 후에 작업을 실시한다.
또한, 작업의 완료 및 작업도중 밑실이 소진되어 경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통신장비(446)에도 같이 진동과 알람이 발생하여 통신장비(446)를 휴대하고 있는 작업자에게 경고 알람이 전달된다.
그리고, 제1, 2, 3, 4 카메라(222)(333)(334)(336)은 블랙박스의 기능을 더 할 수 있으며 작업이 진행동안 촬영되며 중간에 침판(220)의 개방 또는 밑실 소진 등으로 인하여 작업이 중단되면 작업을 중단한 시점으로부터 최대 작업중지전 30초~1분과 작업중단 후, 최대 5분까지 녹화되어 블랙박스 저장소(335)에서 편집 후, 컴퓨터(444)와 서버(445)에 저장된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110 : 보빈 11, 111 : 외부플랜지
11a : 보빈QR코드 11b, 111b : 정보문자
12, 112 : 중간플랜지 13, 113 : 제1 챔버
14, 114 : 제2 챔버 14a, 114a : 바코드
15, 115 : 제3 챔버 20, 220 : 침판
21, 221 : 감지센서 22, 222 : 제1 카메라
23, 223 : 공기노즐 30, 330 : 본체부
31, 331 : 노루발 32, 332 : 바늘
33, 333 : 제2 카메라 34, 334 : 제3 카메라
35, 335 : 블랙박스 저장소 34a : 제품QR코드
37, 337 : 플레이트 38, 338 : 윗실
38a : 윗실QR코드 40, 440 : 제어부
41, 441 : 스크린 42, 442 : 타워램프
43, 443 : 스피커 44, 444 : 컴퓨터
45, 445 : 서버 46, 446 : 통신장비
50, 550 :컨트롤부 51, 551 : 제1 발판
52, 552 : 제2 발판 53, 553 : 제3 발판
100, 100a : 제품 111a : 보빈RFID
334a : 제품RFID 338a : 윗실RFID

Claims (12)

  1. 밑실이 권취된 보빈(10)이 내설된 침판(20)에 바늘이 삽입되어 직물, 가죽 등을 봉제하되, 봉제작업의 이상유무에 따라 작업자에게 알람 또는 표시등을 통해 알려주는 알람장치가 형성된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에 있어서,
    양측에 원판 형상의 외부플랜지(11)가 구비되며 상기 외부플랜지(11)와 일정간격을 두고 외부플랜지(11)보다 작은 형상으로 구비되는 중간플랜지(12)가 구비되어 제1, 2, 3 챔버(13)(14)(15)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챔버(14) 표면에 바코드(14a)가 형성되어 있는 보빈(10)과;
    상기 보빈(10)이 결합되고, 내부에 보빈(10)의 안착유무를 확인하는 감지센서(21)와 밑실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22)가 구비되며 측면에 분진을 제거하기 위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노즐(23)이 장착된 침판(20)과;
    상기 침판(20) 상단에 노루발(31)이 결합된 바늘(32)이 위치하며 측면에 제2 카메라(33)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카메라(33) 타측에 제3 카메라(34)가 구비되며 윗실(38)을 안착시키는 투명한 플레이트(37)가 고정되며 상기 플레이트(37) 하단에 제4 카메라(36)가 부착된 본체부(30)와;
    상기 본체부(30) 측면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카메라(22)가 촬영하는 영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보빈(10)의 정보 및 작업상황을 표시하는 스크린(41)이 구비되고, 상기 스크린(41) 측면에 작업의 불가능 및 작업가능 여부를 알려주는 타워램프(42)와 스피커(43)가 구비되고, 제품(100)의 정보를 저장하며 본체부(3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컴퓨터(44)와 상기 본체부(30)와 컴퓨터(44)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45)로 이루어지며 상기 컴퓨터(44)와 서버(45)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통신장비(46)로 구성되는 제어부(40)와;
    상기 본체부(30)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1, 2, 3 발판(51)(52)(53)으로 구성되고, 본체부(30)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부(50);로 이루어지는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플랜지(11)는 표면에 밑실의 정보문자(11b)와 보빈QR코드(11a)가 부착되어 보빈(10)에 권취된 밑실의 종류 및 길이 정보를 스크린(41)으로 표시하여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22)는 보빈(10)에 권취된 밑실을 촬영하며 밑실이 소진되어 바코드(14a)가 인식되면 작업을 중지시킴과 동시에 타워램프(42)가 점등되고, 스피커(43) 및 통신장비(46)에서 알람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메라(33)는 외부플랜지(11) 표면에 부착된 보빈QR코드(11a)를 인식하여 보빈(10)의 정보를 컴퓨터(44)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카메라(34)는 QR코드가 부착되어 있는 제품(100)의 제품QR코드(34a)를 인식하여 제품(100)의 정보를 컴퓨터(44)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카메라(36)는 투명한 재질의 플레이트(37) 하단에 부착되되, 상기 플레이트(37)의 상단에는 윗실(28)이 안착되어 상기 윗실(38)의 밑면에 부착된 윗실QR코드(38a)를 제4 카메라(36)가 인식하여 컴퓨터(44)로 전송과 동시에 서버(45)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3, 4 카메라(22)(33)(34)(36)는 사진 또는 동영상을 컴퓨터(44)로 전송함과 동시에 서버(45)로 자료를 전송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3 카메라(33)(34)는 블랙박스 기능이 구비되어 작업중 침판(20)이 개방되면 상기 침판(20) 개방 전 30초~1분과 개방 후 최대 5분까지 편집되어 본체부(30)에 장착된 블랙박스 저장소(35)에 저장된 후, 통신장비(46), 컴퓨터(44) 및 서버(45)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44)로 전송된 보빈QR코드(11a)와 윗실QR코드(38a) 및 제품QR코드(34a)의 정보를 확인 후, 기존에 서버(45)에 입력되어 있는 봉제작업공장, 작업자, 작업일자, 시간, 사용된 밑실의 종류, 길이, 두께, 제품(100)의 땀수, 땀간격, 속도, 장력 및 윗실의 종류와 실제 사용된 윗실과 밑실의 종류, 실제작업의 속도, 땀수, 땀간격, 장력 및 밑실소진 여부를 매치시켜 DB형태로 구축하여 서버(45)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
  10. 밑실이 권취된 보빈(110)이 내설된 침판(220)에 바늘이 삽입되어 직물, 가죽 등을 봉제하되, 봉제작업의 이상유무에 따라 작업자에게 알람 또는 표시등을 통해 알려주는 알람장치와 봉제작업을 통제할 수 있는 제어부가 형성된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에 있어서,
    양측에 원판 형상의 외부플랜지(111)가 구비되며 상기 외부플랜지(111)와 일정간격을 두고 외부플랜지(111)보다 작은 형상으로 구비되는 중간플랜지(112)가 구비되어 제1, 2, 3 챔버(113)(114)(115)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챔버(114) 표면에 바코드(11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플랜지(111) 표면에 보빈RFID(111a)가 부착된 보빈(110)과;
    상기 보빈(110)이 결합되고, 내부에 보빈(110)의 안착유무를 확인하는 감지센서(221)와 밑실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222)가 구비되며 측면에 분진을 제거하기 위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노즐(223)이 장착된 침판(220)과;
    상기 침판(220) 상단에 노루발(331)이 결합된 바늘(332)이 위치하며 측면에 상기 보빈RFID(111a)를 인식하는 제2 카메라(333)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카메라(333) 타측에 제품에 부착된 제품RFID(334a)를 인식하는 제3 카메라(334)가 구비되며 하단에 윗실RFID(338a)가 부착된 윗실(338)을 투명한 플레이트(337)에 안착시키며 상기 플레이트(337) 하단에 상기 윗실RFID(338a)를 인식하는 제4 카메라(336)가 부착된 본체부(330)와;
    상기 본체부(330) 측면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카메라(222)가 촬영하는 영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보빈(110)의 정보 및 작업상황을 표시하는 스크린(441)이 구비되고, 상기 스크린(441) 측면에 작업의 불가능 및 작업가능 여부를 알려주는 타워램프(442)와 스피커(443)가 구비되고, 제품(100a)의 정보를 저장하며 본체부(33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컴퓨터(444)와 상기 본체부(330)와 컴퓨터(444)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버(445)로 이루어지며 상기 컴퓨터(444)와 서버(445)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통신장비(446)로 구성되는 제어부(440)와;
    상기 본체부(330)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1, 2, 3 발판(551)(552)(553)으로 구성되고, 본체부(330)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부(550);로 이루어지는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3, 4 카메라(222)(333)(334)(336)가 각각의 보빈RFID(111a)와 윗실RFID(338a) 및 제품RFID(334a) 인식시에 컴퓨터(444) 또는 서버(445)에서 초기설정된 정보와 다르게 인식되면 스크린(441)과 타워램프(442) 및 스피커(443)를 통해 경고등과 알람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444)로 전송된 보빈RFID(111a)와 윗실RFID(338a) 및 제품RFID(334a)의 정보를 확인 후, 기존에 서버(445)에 입력되어 있는 봉제작업공장, 작업자, 작업일자, 시간, 사용된 밑실의 종류, 길이, 두께, 제품(100a)의 땀수, 땀간격, 속도, 장력 및 윗실의 종류와 실제 사용된 윗실과 밑실의 종류, 실제작업의 속도, 땀수, 땀간격, 장력 및 밑실소진 여부를 매치시켜 DB형태로 구축하여 서버(445)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
KR1020140002387A 2014-01-08 2014-01-08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 KR101551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387A KR101551376B1 (ko) 2014-01-08 2014-01-08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
PCT/KR2015/000211 WO2015105361A1 (ko) 2014-01-08 2015-01-08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387A KR101551376B1 (ko) 2014-01-08 2014-01-08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890A true KR20150082890A (ko) 2015-07-16
KR101551376B1 KR101551376B1 (ko) 2015-09-08

Family

ID=53524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387A KR101551376B1 (ko) 2014-01-08 2014-01-08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51376B1 (ko)
WO (1) WO201510536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407B1 (ko) * 2017-09-18 2018-06-20 이동훈 바늘 위치 센서 신호를 이용한 생산 정보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31889A (ko) * 2018-05-18 2019-11-27 박인철 밑실 소모의 예측불능에 의해 발생되는 봉제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오토프로세서 재봉기계 및 밑실 잔량 감지 알고리즘
WO2021107251A1 (ko) * 2019-11-26 2021-06-03 아리인포테크 주식회사 재봉틀 작업정보를 이용한 생산관리 방법 및 전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44008A (zh) * 2017-04-25 2017-08-15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缝纫机梭芯的检测控制装置及检测方法
CN107151872A (zh) * 2017-05-31 2017-09-12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缝纫机梭芯检测识别装置及方法
CN110222296A (zh) * 2019-06-10 2019-09-10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缝纫机文档管理方法
CN112991613B (zh) * 2019-12-18 2022-03-15 苏州美山子制衣有限公司 一种自助换针装置及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3097Y1 (ko) 2006-05-03 2006-12-07 조훈식 바코드를 이용한 재봉기용 북실 끝점 감지 장치
KR200433052Y1 (ko) 2006-09-26 2006-12-07 조훈식 다구획에 권취된 재봉기용 밑실
KR100824346B1 (ko) * 2007-05-18 2008-04-24 (주) 현암바씨스 재봉기의 밑실 잔사량 감지장치
KR101155238B1 (ko) * 2009-07-10 2012-06-13 이동민 무선 주파수 인식을 이용한 밑실 감지장치
KR20110034053A (ko) * 2009-09-28 2011-04-05 조훈식 기호가 인쇄된 보빈상에 분할권취된 북실끝점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101327435B1 (ko) 2011-12-30 2013-11-08 조훈식 자동 봉제 정보입력이 가능한 봉제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407B1 (ko) * 2017-09-18 2018-06-20 이동훈 바늘 위치 센서 신호를 이용한 생산 정보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9054567A1 (ko) * 2017-09-18 2019-03-21 아리인포테크 주식회사 바늘 위치 센서 신호를 이용한 생산 정보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291242A (zh) * 2017-09-18 2019-09-27 阿里信息技术股份公司 利用针位传感器信号的生产信息计算系统及其方法
KR20190131889A (ko) * 2018-05-18 2019-11-27 박인철 밑실 소모의 예측불능에 의해 발생되는 봉제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오토프로세서 재봉기계 및 밑실 잔량 감지 알고리즘
WO2021107251A1 (ko) * 2019-11-26 2021-06-03 아리인포테크 주식회사 재봉틀 작업정보를 이용한 생산관리 방법 및 전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05361A1 (ko) 2015-07-16
KR101551376B1 (ko) 2015-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1376B1 (ko) 봉제이력관리가 가능한 자동봉제기 통합장치
US9840795B2 (en) Device and method for acquiring and processing measurement quantities in a sewing machine
TWI472304B (zh) Button supply device
US20180207744A1 (en) Sensor for weld wire supply drum
JP6357584B2 (ja) 部品情報管理システム
CN104169052A (zh) 自动的自动化装置
KR101576634B1 (ko) 취출 로봇의 안전운용시스템
JP2009535147A (ja) バーコードを用いたミシン用ボビンの糸端の検知装置およびその方法
TW201503060A (zh) 作業支援系統、行動終端及作業支援方法
JPWO2016157392A1 (ja) 部品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部品情報管理方法
CN108713175A (zh) 用于操作直通式加工机的方法以及直通式加工机
CA3053748A1 (en) Machining center nc operation panel
KR101576778B1 (ko) 재봉기의 밑실 감지 장치
JP2016117586A (ja) 接合要素給送装置
KR100913908B1 (ko) 인서트 사출금형의 감시장치
US5177469A (en) Safety device for an IC handler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KR101327435B1 (ko) 자동 봉제 정보입력이 가능한 봉제기
JP2005153051A (ja) 加工機械の安全装置
JP2018003505A (ja) 機械式駐車設備の出入口扉復帰方法
KR100690193B1 (ko) 재봉기용 밑실 검출장치
JP2021127225A (ja) ラベル読取装置、納品管理装置および誤配防止システム
JPH08238976A (ja) 荷物監視装置
KR20110034053A (ko) 기호가 인쇄된 보빈상에 분할권취된 북실끝점감지장치 및 그 방법
US102868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a trim cover assembly
US20190310196A1 (en) Detection of fluorescence of foreign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