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1750A - 골프 스윙 분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골프 스윙 분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1750A
KR20150081750A KR1020140001536A KR20140001536A KR20150081750A KR 20150081750 A KR20150081750 A KR 20150081750A KR 1020140001536 A KR1020140001536 A KR 1020140001536A KR 20140001536 A KR20140001536 A KR 20140001536A KR 20150081750 A KR20150081750 A KR 20150081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wing
file
button
play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현욱
Original Assignee
노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현욱 filed Critical 노현욱
Priority to KR1020140001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1750A/ko
Publication of KR20150081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7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스윙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윙 자세를 촬영하여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면서 라이브 영상 신호를 스크린 상에서의 간단한 키조작을 통해 원하는 설정 상태로 신속하게 편집 및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각 영상신호의 표시와 녹화 및 저장, 및 저장된 영상신호의 재생과 비교 및 편집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버튼 및 유틸리티 툴을 포함하는 메인 화면을 제시하며, 메인 화면 상의 녹화, 재생, 및 편집 버튼 선택여부를 확인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스윙 동영상을 녹화하여 데이터 저장부의 유저 목록에 녹화 파일로 저장하거나 메인 화면 상의 유틸리티 툴을 통한 데이터 저장부의 유저 목록과 녹화 파일의 선택 및 재생 버튼 선택여부를 확인하여 선택된 데이터 저장부의 녹화 파일을 재생하면서, 재생 중 스크린 상의 화면 재생바를 스윙 동영상의 어드레스 지점과 피니쉬 지점에 위치 지정하여 스윙 동영상에 대한 녹화 파일을 편집하고 편집된 녹화파일을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분석부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분석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여 라이브 녹화 또는 편집 저장된 영상 신호를 기저장된 모델의 스윙 자세와 비교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골프 스윙 분석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 golf swing}
본 발명은 골프 스윙 분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퍼의 스윙 자세를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촬영하여 스크린 상에 라이브 영상신호로 직접 디스플레이하면서 녹화하거나 녹화된 영상신호를 재생하면서 스크린 상에서의 간단한 키조작을 통해 원하는 설정 상태로 신속하게 편집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편집 저장된 영상신호를 기저장된 모델의 스윙 자세와 비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골퍼의 스윙 자세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자유롭게 분석 가능하도록 한 골프 스윙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건강 및 여가 선용을 위한 스포츠로서 골프에 대한 저변 확대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으며, 아마추어 골퍼도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아마추어 골퍼들은 자신의 스윙 자세를 연습하기 위해 인근에 마련된 골프 연습장에서 스스로 스윙연습을 하거나 프로 골퍼 또는 지정된 트레이너들로부터 스윙 자세를 교정받으면서 스윙 연습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프로 골퍼나 트레이너들로부터 스윙 자세를 교정받기 위해서는 고액의 비용을 지불해야 되므로 경제적인 부담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 공개특허 제10-2006-0115479호(2006.11.09 공개, 이하 '특허문헌 1'이라 약칭함)에는 회원 가입된 골퍼들의 골프 스윙자세를 촬영한 후 인터넷을 통해 그 스윙 자세에 대한 영상 정보와 프로 골퍼의 전문적인 자세 교정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하는 골프 스윙 자세 분석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의하면, 과금 처리된 후 해당 사용자의 스윙 자세를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한 후 저장 및 분석하여 관리하다가, 사용자의 재생 요청이 발생하면 그 캡쳐된 영상을 사용자의 요구에 맞춰 다양하게 디스플레이시킨 후 인터넷을 통해 서버로 각각 전송하는 다수개의 골프 스윙 분석 장치, 다수개의 골프 스윙 분석 장치로부터 회원 가입된 사용자들의 스윙 자세에 대한 영상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 및 분석하여 관리하다가, 임의의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각종 요청이 발생하면 그 요청에 맞춰 녹화 영상 제공 기능, 티칭 프로의 자세 분석 정보 제공 기능 및 각종 영상의 다운로드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로 구성되며, 인터넷을 통해 그 스윙 자세에 대한 영상 정보와 프로 골퍼의 전문적인 자세 교정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 제10-0620873호(2006.08.30 등록, 이하 '특허문헌 2'이라 약칭함)에는 영상 촬영 장치에 의해 기록되는 골프 스윙 동작의 영상 프레임 중에서 어드레스, 백 스윙탑, 임팩트, 피니쉬를 포함하는 4 개 이상의 기 설정된 표준 동작에 대응되는 영상 프레임을 추출하여 표준 동작과 비교 출력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의하면, 영상 촬영 장치에 의해 기록되는 골프 스윙 동작의 영상 프레임 중에서 어드레스, 백스윙탑, 임팩트, 피니쉬에 대응하는 영상 프레임을 추출하는 단계, 전체 스윙 동작을 어드레스-백스윙탑 구간, 백스윙탑-임팩트 구간 및 임팩트-피니쉬 구간으로 구분하는 단계, 각 구간마다 설정된 동작 간 진행 시간 비율을 표시한 소구간 비례 테이블을 사용하여 표준 동작에 대응하는 나머지 동작의 영상 프레임(n-4)개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n 개의 영상 프레임 각각을 대응하는 표준 동작의 이미지와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연습자가 자신의 동작과 표준 동작을 효과적으로 비교/분석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국내 공개특허 제10-2013-0011478호(2013.01.30 공개, 이하 '특허문헌 3'이라 약칭함)에는 골퍼의 각 방향에서 획득된 영상 정보를 토대로 골프 스윙 자세를 분석함에 따라 골프 스윙 자세 분석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 의하면, 다수의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골퍼의 각 방향에 대한 영상 정보 중 영상 정보 획득 명령 수신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소정 시간의 각 방향에 대한 영상 정보를 합성 및 처리하여 3D 형상의 각 방향에 대한 골프 스윙 자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각 방향에 대한 골프 스윙 자세 정보를 토대로 골프 스윙 자세를 분석, 교정 및 표시함에 따라, 골프 스윙 자세에 대한 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서는, 골퍼들의 스윙 자세를 촬영한 후 그 영상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요청하고 제공해주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사용이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에서는 연습자의 스윙 자세와 특정 선수의 스윙 동작이 주화면과 보조화면에서 디스플레이한다고 하더라도 연속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동영상에서 양자의 스윙 동작에 대한 차이점을 연습자가 한눈에 파악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연습자의 스윙 자세에 대한 녹화된 동영상을 이용하여 연습자가 필요로 하는 새로운 영상으로 편집하거나 파노라마 등으로 작성하는 것은 상당히 고 난이도의 편집 기술을 요하는 것으로서,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KR 10-2006-0115479 A 2006.11.09 KR 10-0620873 B1 2006.08.30 KR 10-2013-0011478 A 2013.01.3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골퍼의 스윙 자세를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촬영하여 스크린 상에 직접 디스플레이하면서 라이브 녹화하거나, 녹화된 영상 신호를 재생하면서 스크린 상에서의 간단한 키조작을 통해 원하는 설정 상태로 신속하게 편집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라이브 녹화 또는 편집 저장된 영상 신호를 기저장된 모델의 스윙 자세와 비교할 수 있도록 두 화면 동시 재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골퍼의 스윙 자세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자유롭게 분석 가능하도록 한 골프 스윙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영상 신호의 입력을 위한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구성되는 영상 입력부, 음성 신호의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으로 구성되는 음성 입력부, 키입력을 위한 키패드와 디스플레이를 위한 스크린이 하나의 장치에 구현되는 영상 출력 및 조작부, 및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분석 시스템에 있어서, 영상 입력부와의 정보 교환 및 데이터 저장부를 로딩하여 하나 이상의 카메라 연결 상태 확인 및 코덱 선택을 위한 카메라 옵션 화면을 제시하고,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각 영상신호의 표시와 녹화 및 저장, 및 저장된 영상신호의 재생과 비교 및 편집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버튼 및 유틸리티 툴을 포함하는 메인 화면을 제시하며, 메인 화면 상의 녹화, 재생, 및 편집 버튼 선택 여부를 확인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스윙 동영상을 녹화하여 데이터 저장부의 유저 목록에 녹화 파일로 저장하거나 메인 화면 상의 유틸리티 툴을 통한 데이터 저장부의 유저 목록과 녹화 파일의 선택 및 재생 버튼 선택 여부를 확인하여 선택된 데이터 저장부의 녹화 파일을 재생하면서, 재생 중 스크린 상의 화면 재생바를 스윙 동영상의 어드레스 지점에 위치 지정한 후 편집 구간 시작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 화면 재생바를 스윙 동영상의 피니쉬 지점에 위치 지정한 후 편집 구간 끝 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 및 편집 실행 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각각 확인하여 스윙 동영상에 대한 녹화 파일을 편집하고 스크린에 표시하며 편집된 녹화파일을 데이터 저장부에 파일 목록 또는 유저 목록에 저장하는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분석부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분석시스템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스윙 분석 프로그램이 구동과 동시에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구비한 영상 입력부와의 정보 교환 및 데이터 저장부를 로딩하여 하나 이상의 카메라 연결 상태 확인 및 코덱 선택을 위한 카메라 옵션 화면을 제시하고 시작 버튼이 입력되기를 대기하는 제1단계, 카메라 옵션 화면 상에서 시작 버튼이 입력되면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각 영상신호의 표시와 녹화 및 저장, 및 저장된 영상신호의 재생과 비교 및 편집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버튼 및 유틸리티 툴을 포함하는 메인 화면을 제시하고 메인 화면 상의 녹화 버튼 선택여부를 확인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스윙 동영상을 녹화하여 데이터 저장부의 유저 목록에 녹화 파일로 저장하는 제2단계, 제2단계에서 녹화파일 저장 후 또는 메인 화면 상의 유틸리티 툴을 통한 데이터 저장부의 유저 목록과 녹화 파일의 선택 및 재생 버튼 선택여부를 확인하여 선택된 데이터 저장부의 녹화 파일을 재생하면서, 재생 중 화면 재생바를 스윙 동영상의 어드레스 지점에 위치 지정한 후 편집 구간 시작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 화면 재생바를 스윙 동영상의 피니쉬 지점에 위치 지정한 후 편집 구간 끝 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 및 편집 실행 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각각 확인하여 스윙 동영상에 대한 녹화 파일을 편집하고 스크린에 표시하며 편집된 녹화파일을 데이터 저장부에 파일 목록 또는 유저 목록에 저장하는 제3단계, 및 제2단계에서 선택 파일의 재생 중, 비교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스크린 화면을 이분할한 후 현재 재생중인 파일을 이분할된 화면 중의 어느 하나로 이동시켜 재생하면서 유틸리티 툴을 통한 데이터 저장부의 비교 파일 선택 및 해당 비교 파일에 대한 재생 버튼 선택여부를 확인하여 나머지 한쪽의 분할 화면에 비교파일을 재생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분석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골퍼의 스윙 자세를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촬영하여 스크린 상에 라이브 영상신호로 직접 디스플레이하면서 녹화하거나, 녹화된 영상신호를 재생하면서 스크린 상에서의 간단한 키조작을 통해 원하는 설정 상태로 신속하게 편집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편집 저장된 영상신호를 기저장된 모델의 스윙 자세와 비교할 수 있도록 두 화면 동시 재생,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의 느린 재생,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의 초당 지정된 장수의 프레임 재생, 동시 재생되는 두 화면의 겹치기 표시, 드로잉 툴을 이용한 다양한 그리기, 스윙 자세 단계별 다수의 화면 캡쳐, 및 지정된 스윙 구간에서의 궤적 표시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골퍼의 스윙 자세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자유롭게 분석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골프 스윙 분석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h는 본 발명에 의한 골프 스윙 분석부에서 처리되는 각 단계별 예시화면이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에서 골프 스윙 분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골프 스윙 분석시스템 및 방법의 구성 및 전체적인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골프 스윙 분석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록도로서,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골프스윙 분석시스템은, 영상 신호의 입력을 위한 하나 이상의 카메라(11,12)로 구성되며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 분석부(100)에 의해 구동되어 외부 영상신호를 촬영하고 촬영된 라이브 영상신호를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 분석부(100)로 전달하는 영상 입력부(10), 음성 신호의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으로 구성되는 음성 입력부(20), 키입력을 위한 키패드와 디스플레이를 위한 스크린이 하나의 장치에 구성되는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키입력을 스크린 상에 직접 입력받아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 분석부(100)로 전달하고 상기 라이브 영상신호 또는 재생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 및 조작부(30), 음성 신호의 출력을 위한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는 음성 출력부(40),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 분석부(10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어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프린터(50),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 분석부(100)에 의해 엑세스되어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저장하거나 판독하는 데이터 저장부(60),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 분석부(10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어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콤팩트 디스크 상에 기록하기 위한 시디 기록부(70), 및 녹화와 편집 및 스윙 분석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고 관리하는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 분석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디 기록부(70)는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USB 포트로 대체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a 내지 도 2h는 본 발명에 의한 골프 스윙 분석부에서 처리되는 각 단계별 예시화면으로서,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 분석부(100)는 영상 입력부(10)와의 정보 교환 및 데이터 저장부(60)를 로딩하여 하나 이상의 카메라 연결 상태 확인 및 코덱 선택을 위한 카메라 옵션 화면(도 2a 및 도 2b 참조)을 제시하고,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각 영상신호의 표시와 녹화 및 저장, 및 저장된 영상신호의 재생과 비교 및 편집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버튼 및 유틸리티 툴을 포함하는 메인 화면(도 2c 참조)을 제시한다. 이때 카메라 옵션 화면에는 도 2a(두 카메라 모두에서 라이브 입력신호가 없을 경우를 예시함) 또는 도 2b(두 카메라 중에서 왼쪽 카메라에만 라이브 입력신호가 있을 경우를 예시함)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영상 입력부(10)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제1카메라(11) 및 제2카메라(12))에 대한 연결 상태 확인을 위한 각 카메라의 라이브 영상신호 표시화면, 녹화시간 제한 여부 설정 및 제한시간 표시, 음성 녹음 여부 설정, 각 카메라에 대한 영상과 음성 코덱과 장치 및 입력 선택을 위한 하나 이상의 선택창이 포함되어 제시되며, 메인 화면에는 도 2c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각 영상신호의 표시를 위한 전체 또는 분할 화면(201), 화면상에 재생되는 영상신호의 현재 재생 위치를 지시하는 화면 재생바(202),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신호의 녹화버튼(203), 재생버튼(204)과 편집실행버튼(205) 및 삭제버튼(206), 일시정지버튼(220), 편집 구간의 시작 버튼(205a)과 끝 버튼(205b), 두 화면 동시 재생 버튼(207)과 비교버튼(208), 정방향의 느린 재생버튼(209a)과 역방향의 느린 재생버튼(도면에는 미도시됨), 정방향의 한 프레임 재생버튼(210a) 또는 역방향의 한 프레임 재생버튼(210b) 등의 기능을 각각 선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선택 버튼, 스윙 단계별 다수의 표준 동작 지정 버튼(211), 비디오 툴 상자(212), 드로잉 툴 상자(213), 화면 캡쳐 툴 상자(214), 화면 겹쳐 보기 툴 상자(215), 스윙 궤적 표시 툴 상자(216)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틸리티 툴을 포함하여 제시된다.
또한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 분석부(100)는 메인 화면 상에서의 녹화, 재생, 및 편집 버튼 선택 여부를 확인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스윙 동영상을 녹화하여 데이터 저장부(60)의 유저 목록에 녹화 파일로 저장하거나 메인 화면 상의 유틸리티 툴(예를 들면 비디오 툴이 될 수 있으며, 비디오 툴의 경우 도면에서는 분류(class)와 제목(title) 및 모델(model) 등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음)을 통한 데이터 저장부(60)의 분류와 제목에서 각각 유저 목록과 녹화 파일을 선택하고 재생 버튼 선택여부를 확인하여 선택된 데이터 저장부(60)의 녹화 파일을 재생하면서, 재생 중 스크린 상의 화면 재생바를 스윙 동영상의 어드레스 지점에 위치 지정한 후 편집 구간 시작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 화면 재생바를 스윙 동영상의 피니쉬 지점에 위치 지정한 후 편집 구간 끝 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 및 편집 실행 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각각 확인하여 스윙 동영상에 대한 녹화 파일을 편집하고 스크린에 표시하며 편집된 녹화파일을 데이터 저장부에 파일 목록 또는 유저 목록에 저장한다.
또한 이러한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분석부(100)는 메인 화면 상의 유틸리티 툴을 통한 데이터 저장부(60)의 유저 목록과 녹화 파일의 선택 및 재생 버튼 선택여부를 확인하여 선택된 데이터 저장부(60)의 녹화 파일을 재생하면서, 재생 중 비교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스크린 화면을 이분할한 후 현재 재생중인 파일을 이분할된 화면 중의 어느 하나로 이동시켜 재생하면서 유틸리티 툴을 통한 데이터 저장부(60)의 비교 파일 선택 및 해당 비교 파일에 대한 재생 버튼 선택여부를 확인하여 나머지 한쪽의 분할 화면에 비교파일을 재생한다.
또한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분석부(100)는, 메인 화면 상의 삭제 버튼 선택 여부를 확인하여 삭제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현재 지정된 재생화면의 파일 삭제 확인 메시지를 출력하고, 삭제 확인 선택이 있는 경우에만 현재 지정된 재생화면의 녹화 파일을 삭제한다.
또한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분석부(100)는, 메인 화면 상의 파일정보 수정 버튼 선택 여부를 확인하여 파일정보 수정 버튼(221)이 선택되는 경우 녹화된 파일정보의 상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도 2d 참조)을 제시하고, 파일정보의 수정 정보를 입력받아 수정된 정보의 적용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파일 정보를 수정 입력된 파일 정보로 변경하여 저장한다.
또한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분석부(100)는, 선택 파일의 재생 중, 화면 재생바를 스윙 동영상의 임팩트 지점에 위치 지정한 후 임팩트 지정 버튼을 선택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하나 이상의 유틸리티 툴을 통한 선택에 따라 스윙 단계별로 분류되는 다수의 표준 동작(예를 들면 제1 표준동작으로서의 어드레스, 제2 표준동작으로서의 9시 방향 백스윙 어드레스, 제3 표준동작으로서의 12시 방향 백스윙 어드레스, 제4 표준동작으로서의 탑스윙, 제5 표준동작으로서의 9시 방향 다운스윙, 제6 표준동작으로서의 임팩트, 제7 표준동작으로서의 3시 방향 팔로우스로우, 제8 표준동작으로서의 피니쉬 등으로 구별할 수 있음)에 대한 캡쳐 화면 또는 스윙 궤적 화면 또는 중첩 재생화면을 제공한다. 이때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 분석부(100)는 화면 재생바를 스윙 동영상의 임팩트 지점에 위치 지정한 후 임팩트 지정 버튼을 선택하는지의 여부가 확인되면, 화면 캡쳐 툴의 선택 여부를 다시 확인하여 화면 캡쳐 툴(214)을 상세하게 확대시켜 제시하고, 제시된 화면 캡쳐 툴에서 캡쳐할 화면 수의 설정 및 확인이 있게 되면 스윙 동영상을 설정된 화면 수(예를 들면 8 또는 16일 수 있으며, 도 2f 및 도 2g에는 캡쳐화면을 8로 설정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음)로 캡쳐하여 제공하거나, 스윙 궤적 표시 툴의 선택 여부를 다시 확인하여 스윙 궤적 표시 툴(216)을 상세하게 확대시켜 제시하고, 제시된 스윙 구간의 지정 및 확인이 있게 되면 지정된 스윙 구간의 궤적을 한 화면(도 2h 참조)에 제공하거나, 화면 겹쳐 보기 툴의 선택 여부를 다시 확인하여 현재의 재생화면과 선택 파일의 재생화면을 한 화면으로 겹쳐 재생한다.
또한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분석부(100)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느린 재생버튼의 선택 여부를 확인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느린 재생을 실시하거나,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좌, 우 양측 동시 일시정지 버튼의 선택 여부를 확인하여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좌,우 양측 동시 일시정지를 실시하거나, 정방향 또는 역방향 초당 지정된 장수의 프레임 재생 버튼의 선택 여부를 확인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 초당 지정된 장수의 프레임 재생한다.
또한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분석부(100)는, 비교파일의 재생 중 드로잉 툴의 선택 여부를 확인하여 이분할된 화면 중 상단 메뉴바로 선택된 어느 한 화면에 대한 드로잉 툴의 입력을 활성화하여 재생 화면 상에 원하는 형태로의 그리기 입력이 가능하도록 관리하고, 녹화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이러한 그리기 입력된 상태 및 레슨 등에 의한 음성 강의 내용을 함께 녹화할 수도 있다. 이때 드로잉 툴에서 제공하는 도구로서는 사선 그리기, 수평선 그리기, 수직선 그리기, 사선 화살표 그리기, 스윙 플랜을 위한 각도 그리기, 원 그리기, 사각형 그리기, 자유곡선 그리기, 그림 지정 또는 프린트를 위한 화면 캡쳐하기, 화면 비교를 위한 화면 전체 이동하기, 지우개, 바로 이전에 그린 그림부터 하나씩 지우거나 지워진 그림을 차례로 하나씩 되살리기, 1회 이상 절곡된 관절 각도 그리기, 모양 그리기, 지정 화면 확대하기, 화면 좌우 방향 바꾸기, 시계 형식으로 그림 그리기, 화면 밝기 조정하여 그리기, 직각 그리기, 글자쓰기, 그리기 색깔 선택하기, 선의 굵기 지정하기 등의 도구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에서 골프 스윙 분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동작 흐름도로서, 도 1과 같이 구성되는 골프 스윙 분석 시스템에서 영상 입력부(10)와 음성 입력부(20) 및 영상 출력 및 조작부(30)와 데이터 저장부(60)와의 유기적인 연결 상태에서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 분석부(100)에 의해 수행되는 스윙 분석 프로그램의 처리과정을 예시하고 있으며, 스윙 분석 프로그램은 크게 제1단계 내지 제5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단계(S101-S104)는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구비한 영상 입력부(10)와의 정보 교환 및 데이터 저장부(60)를 로딩하는 단계(S101,S102), 정보 교환 및 로딩 결과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카메라 연결 상태 확인 및 코덱 선택을 위한 카메라 옵션 화면(도 2a 및 도 2b)을 제시하는 단계(S103), 상기 카메라 옵션 화면 제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시작 버튼이 선택되기를 대기하는 단계(S1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단계(S105-S113)는 카메라 옵션 화면 상에서 시작 버튼이 입력되면(S104의 Y분기) 실행되는 단계로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각 영상신호의 표시와 녹화 및 저장, 및 저장된 영상신호의 재생과 비교 및 편집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버튼 및 유틸리티 툴을 포함하는 메인 화면(도 2c)을 제시하는 단계(S105), 제시된 메인 화면 상의 녹화 버튼 선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06), 상기 확인 결과 메인 화면 상의 녹화 버튼 선택이 확인되면(S106의 Y분기) 영상 입력부(10)를 구성하는 두 카메라의 상태를 체크하여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라이브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단계(S107), 상기 카메라 체크결과 두 카메라 모두 라이브 상태가 아닌 경우(S107의 N분기) 카메라 선택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다시 녹화버튼 확인하는 단계로 복귀하는 단계(S108), 상기 카메라 체크결과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라이브 상태인 경우(S107의 Y분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스윙 동영상 녹화를 개시하고 녹화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단계(S109), 메인 화면 상의 녹화버튼이 다시 선택되거나 또는 기 설정된 최대 녹화시간이 경과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110,S111), 상기 확인 결과 메인 화면 상의 녹화버튼이 다시 선택되거나(S110의 Y분기) 또는 기 설정된 최대 녹화시간이 경과되는 경우(S111의 Y분기) 녹화를 정지하고 녹화 동작상태표시를 정지하는 단계(S112), 데이터 저장부(60)의 유저 목록에 녹화된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S1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이러한 제2단계는, 도 3c 및 3d에 예시된 바와 같이 메인 화면 상의 삭제 버튼 선택에 따른 현재 지정된 재생화면의 녹화 파일 삭제단계(S127-S130), 메인 화면 상의 파일정보 수정 버튼 선택에 따른 파일 정보 변경단계(S131-S135),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느린 재생버튼의 선택에 따른 느린 재생 실시단계(S136-S137),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좌, 우 양측 동시 일시정지 버튼의 선택에 따른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좌,우 양측 동시 일시정지 실시단계(S138-S139), 정방향 또는 역방향 초당 지정된 장수의 프레임 재생 버튼의 선택에 따른 프레임 재생단계(S140-S141)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녹화 파일 삭제단계(S127-S130)는 삭제 버튼 선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27), 확인 결과 삭제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S127의 Y분기) 현재 지정된 재생화면의 파일 삭제 확인 메시지를 출력하고 삭제 확인 입력을 대기하는 단계(S128), 삭제 확인 선택이 있는 경우(S128의 Y분기) 현재 지정된 재생화면의 녹화 파일을 삭제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파일 정보 변경단계(S131-S135)는 메인 화면 상의 파일정보 수정 버튼 선택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31), 확인 결과 파일정보 수정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S131의 Y분기) 녹화된 파일정보의 상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제시하는 단계(S132), 파일정보의 수정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133), 수정된 정보의 적용 여부를 다시 확인하는 단계(S134), 수정된 정보의 적용 요청이 있는 경우(S134의 Y분기) 해당 파일 정보를 수정 입력된 파일 정보로 변경하여 저장하는 단계(S1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느린 재생 실시단계(S136-S137)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느린 재생버튼의 선택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36), 확인 결과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느린 재생버튼의 선택이 확인되는 경우(S136의 Y분기)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느린 재생을 실시하는 단계(S1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시 정지 실시단계(S138-S139)는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좌, 우 양측 동시 일시정지 버튼의 선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38), 확인 결과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좌, 우 양측 동시 일시정지 버튼의 선택이 확인되는 경우(S138의 Y분기)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좌,우 양측 동시 일시정지를 실시하는 단계(S13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 재생단계(S140-S141)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 초당 지정된 장수의 프레임 재생 버튼의 선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40), 정방향 또는 역방향 초당 지정된 장수의 프레임 재생 버튼의 선택이 확인되는 경우(S140의 Y분기) 정방향 또는 역방향 초당 지정된 장수의 프레임을 재생하는 단계(S1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3단계(S114-S126)는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메인 화면 상의 유틸리티 툴을 통한 데이터 저장부(60)의 유저 목록과 녹화 파일의 선택 및 재생 버튼을 선택하면 실시되는 단계로서, 제2단계의 녹화 파일 저장 후 또는 메인 화면 상의 유틸리티 툴(예를 들면 비디오 툴)을 통한 데이터 저장부(60)의 유저 목록과 녹화 파일의 선택 및 재생 버튼 선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14, S115), 데이터 저장부(60)의 유저 목록과 녹화 파일의 선택 및 재생 버튼 선택이 확인되는 경우(S115의 Y분기) 선택된 데이터 저장부(60)의 녹화 파일을 재생하는 단계(S116), 녹화 파일 재생 중 화면 재생바를 스윙 동영상의 어드레스 지점에 위치 지정한 후 편집 구간 시작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17, S118), 화면 재생바를 스윙 동영상의 피니쉬 지점에 위치 지정한 후 편집 구간 끝 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19, S120), 및 편집 실행 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21), 상기 각각의 확인 결과 녹화 파일 재생 중에 화면 재생바를 스윙 동영상의 어드레스 지점에 위치 지정한 후 편집 구간 시작버튼이 선택되고 다시 화면 재생바를 스윙 동영상의 피니쉬 지점에 위치 지정한 후 편집 구간 끝 버튼이 선택되며 또 다시 편집 실행 버튼이 연달아 선택되는 경우(S121의 Y분기) 지정된 편집 구간 이외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영상신호를 제거하고 지정된 구간 내에서의 스윙 동영상에 대한 녹화 파일만을 남겨 편집하는 단계(S122), 편집된 구간의 스윙 화면을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S123), 편집된 녹화파일을 저장하기 위해 데이터 저장부(60)에 파일 목록을 지정하는지 판단하는 단계(S124), 데이터 저장부(60)에 파일 목록이 지정되면(S124의 Y분기) 지정된 파일 목록에 편집 파일을 저장하는 단계(S125), 파일 목록이 지정되지 않으면(S124의 N분기) 편집 파일을 유저 목록에 저장하는 단계(S1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4단계(S142-S146)는 도 3e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단계에서 선택 파일의 재생 중, 비교버튼이 선택되면 실시되는 단계로서, 비교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42), 비교버튼이 선택되면(S142의 Y분기) 스크린 화면을 이분할한 후 현재 재생중인 파일을 이분할된 화면 중의 어느 하나(예를 들면 좌측 분할 화면)로 이동시켜 재생하는 단계(S143), 유틸리티 툴(예를 들면, 비디오 툴)을 통한 데이터 저장부(60)의 비교 파일 선택 및 해당 비교 파일에 대한 재생 버튼 선택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44, S145), 유틸리티 툴을 통한 데이터 저장부(60)의 비교 파일 선택 및 해당 비교 파일에 대한 재생 버튼 선택이 확인되면(S145의 Y분기) 나머지 한쪽 화면(예를 들면 우측 분할 화면)에 비교파일을 재생하는 단계(S1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4단계는 비교파일의 재생 중 드로잉 툴의 선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47), 확인 결과 드로잉 툴 선택이 확인되면(S147의 Y분기) 이분할된 화면 중 상단 메뉴바로 선택된 어느 한 화면에 대한 드로잉 툴의 입력을 활성화하여 재생 화면 상에 원하는 형태로의 그리기 입력을 지원하는 단계(S14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비교기능은 비교버튼이 다시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49), 비교버튼을 다시 선택하는 경우 비교 기능을 해제시켜 분할된 화면을 원래의 전체화면 상태로 복귀시켜 표시하는 단계(S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단계(S151-S161)는 도 3f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단계에서 선택 파일의 재생 중, 화면 재생바를 스윙 동영상의 임팩트 지점에 위치 지정한 후 임팩트 지정 버튼을 선택하게 되면 실시되는 단계로서, 화면 재생바를 스윙 동영상의 임팩트 지점에 위치 지정한 후 임팩트 지정 버튼을 선택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51, S152)를 포함하고, 화면 캡쳐 툴에 의한 스윙 단계별 다수의 표준 동작 캡쳐 화면 제공단계(S153-S156), 또는 스윙 궤적 표시 툴에 의한 스윙 궤적 화면 제공단계(S157-S160), 또는 화면 겹쳐보기 툴에 의한 중첩 재생화면 제공단계(S161, S162)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화면 캡쳐 툴에 의한 캡쳐 화면 제공단계(S153-S156)는 임팩트 지정이 확인되면 화면 캡쳐 툴의 선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53), 화면 캡쳐 툴의 선택이 확인되면(S153의 Y분기) 화면 캡쳐 툴을 제시하는 단계(S154), 제시된 화면 캡쳐 툴에서 캡쳐할 화면 수의 설정 및 확인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155), 제시된 화면 캡쳐 툴에서 캡쳐할 화면 수의 설정 및 확인이 있게 되면(S155의 Y분기) 스윙 동영상을 설정된 화면 수로 캡쳐하여 제공하는 단계(S1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공되는 스윙 단계별 다수의 표준 동작은 예를 들면 제1 표준동작으로서의 어드레스, 제2 표준동작으로서의 9시 방향 백스윙 어드레스, 제3 표준동작으로서의 12시 방향 백스윙 어드레스, 제4 표준동작으로서의 탑스윙, 제5 표준동작으로서의 9시 방향 다운스윙, 제6 표준동작으로서의 임팩트, 제7 표준동작으로서의 3시 방향 팔로우스로우, 제8 표준동작으로서의 피니쉬 등일 수 있다.
스윙 궤적 표시 툴에 의한 스윙 궤적 화면 제공단계(S157-S160)는 임팩트 지정이 확인되면 스윙 궤적 표시 툴의 선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57), 스윙 궤적 표시 툴의 선택이 확인되면(S157의 Y분기) 스윙 궤적 표시 툴을 제시하는 단계(S158), 제시된 스윙 구간의 지정 및 확인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59), 제시된 스윙 구간의 지정 및 확인이 있게 되면(S159의 Y분기) 지정된 스윙 구간의 궤적을 한 화면에 제공하는 단계(S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화면 겹쳐보기 툴에 의한 중첩 재생화면 제공단계(S161, S162)는 임팩트 지정이 확인되면 화면 겹쳐 보기 툴의 선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61), 화면 겹쳐 보기 툴의 선택이 확인되면(S161의 Y분기) 현재의 재생화면과 선택 파일의 재생화면을 한 화면으로 겹쳐 재생하는 단계(S1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서는 먼저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 분석부(100)가 도 1과 같이 영상 입력부(10)와 음성 입력부(20) 및 영상 출력 및 조작부(30)와 데이터 저장부(60)와의 유기적인 연결 상태에서 미리 탑재된 스윙 분석 프로그램을 구동하게 되면,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단계(S101-S104)에서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 분석부(100)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구비한 영상 입력부(10)와의 정보 교환 및 데이터 저장부(60)를 로딩(S101, S102)하여, 정보 교환 및 로딩 결과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카메라 연결 상태 확인 및 코덱 선택을 위한 카메라 옵션 화면(도 2a 및 도 2b)을 스크린 상에 제시(S103)하고, 카메라 옵션 화면 제시 상태에서 스크린을 통해 직접 사용자에 의해 시작 버튼이 선택되기를 대기(S104)한다. 이때 영상 입력부(10)의 두 카메라(11, 12)가 모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2a와 같이 화면 상에 아무런 영상신호가 나타나지 않고 카메라가 연결(왼쪽 카메라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라이브 영상 신호(도 2b의 왼쪽 화면과 같이)가 나타나게 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 카메라의 연결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제2단계(S105-S113)에서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 분석부(100)는 카메라 옵션 화면 상에서 시작 버튼이 입력되면(S104의 Y분기),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각 영상신호의 표시와 녹화 및 저장, 및 저장된 영상신호의 재생과 비교 및 편집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버튼 및 유틸리티 툴을 포함하는 메인 화면(도 2c)을 제시(S105)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렇게 제시된 메인 화면 상의전체 또는 분할 화면(201), 화면상에 재생되는 영상신호의 현재 재생 위치를 지시하는 화면 재생바(202),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신호의 녹화버튼(203), 재생버튼(204)과 편집실행버튼(205) 및 삭제버튼(206), 일시정지버튼(220), 편집 구간의 시작 버튼(205a)과 끝 버튼(205b), 두 화면 동시 재생 버튼(207)과 비교버튼(208), 정방향의 느린 재생버튼(209a)과 역방향의 느린 재생버튼, 정방향의 한 프레임 재생버튼(210a) 또는 역방향의 한 프레임 재생버튼(210b) 등의 기능을 각각 선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선택 버튼, 스윙 단계별 다수의 표준 동작 지정 버튼(211), 비디오 툴 상자(212), 드로잉 툴 상자(213), 화면 캡쳐 툴 상자(214), 화면 겹쳐 보기 툴 상자(215), 스윙 궤적 표시 툴 상자(216)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틸리티 툴을 사용하여 원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만약 녹화를 원하는 경우 녹화 버튼을 선택(S106)하게 되면,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 분석부(100)는 영상 입력부(10)를 구성하는 두 카메라의 상태를 체크하여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라이브 상태인지를 확인(S107)하고, 카메라 체크결과 두 카메라 모두 라이브 상태가 아닌 경우(S107의 N분기)에는 사용자가 알기 쉽게 카메라 선택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출력(S108)하고 다시 녹화버튼을 확인하는 단계(S106)로 복귀(S108)한다. 반면에 카메라 체크결과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라이브 상태인 경우(S107의 Y분기)에,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 분석부(100)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스윙 동영상 녹화를 개시하면서 예를 들어 적색 점멸등과 같은 표시등을 이용하여 그 녹화 동작상태 표시를 실시(S109)한다. 이와 같은 녹화 동작 중에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 분석부(100)는 다시 메인 화면 상의 녹화버튼이 다시 선택(S110) 또는 기 설정된 최대 녹화시간이 경과되는지를 확인(S111)하여, 메인 화면 상의 녹화버튼이 다시 선택되거나(S110의 Y분기) 또는 기 설정된 최대 녹화시간이 경과되면(S111의 Y분기) 녹화를 즉시 정지하고 녹화 동작상태표시를 정지(S112)한 후 데이터 저장부(60)의 유저 목록에 녹화된 파일을 저장(S113)하게 된다.
또한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 분석부(100)는 아울러 도 3c 및 3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삭제 버튼 선택 여부를 확인(S127)하여, 확인 결과 삭제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S127의 Y분기)에는 현재 지정된 재생화면의 파일 삭제 확인 메시지를 출력하고 삭제 확인 입력을 대기(S128)하였다가, 삭제 확인 선택이 있는 경우(S128의 Y분기) 현재 지정된 재생화면의 녹화 파일을 삭제(S130)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 분석부(100)는 메인 화면 상의 파일정보 수정 버튼 선택 여부를 확인(S131)하여, 확인 결과 파일정보 수정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S131의 Y분기)에는 녹화된 파일정보의 상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제시(S132)하여 해당 입력창을 통해 파일정보의 수정정보를 입력(S133)받고, 수정된 정보의 적용 여부를 확인(S134)하여, 수정된 정보의 적용 요청이 있는 경우(S134의 Y분기)에 해당 파일 정보를 수정 입력된 파일 정보로 변경하여 저장(S135)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 분석부(100)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느린 재생버튼의 선택 여부를 확인(S136)하여 그 확인 결과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느린 재생버튼의 선택이 확인되는 경우(S136의 Y분기)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느린 재생을 실시(S137)하거나,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좌, 우 양측 동시 일시정지 버튼의 선택 여부를 확인(S138)하여 그 확인 결과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좌, 우 양측 동시 일시정지 버튼의 선택이 확인되는 경우(S138의 Y분기)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좌,우 양측 동시 일시정지를 실시(S139)하거나, 정방향 또는 역방향 초당 지정된 장수의 프레임 재생 버튼의 선택 여부를 확인(S140)하여 그 확인 결과 정방향 또는 역방향 초당 지정된 장수의 프레임 재생 버튼의 선택이 확인되는 경우(S140의 Y분기) 정방향 또는 역방향 초당 지정된 장수의 프레임을 재생(S141)할 수도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제3단계(S114-S126)에서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 분석부(100)는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단계의 녹화 파일 저장 후 또는 메인 화면 상의 유틸리티 툴(예를 들면 비디오 툴)을 통한 데이터 저장부(60)의 유저 목록과 녹화 파일의 선택 및 재생 버튼 선택여부를 확인(S114, S115)하여, 데이터 저장부(60)의 유저 목록과 녹화 파일의 선택 및 재생 버튼 선택이 확인되는 경우(S115의 Y분기)에, 선택된 데이터 저장부(60)의 녹화 파일을 재생(S116)하면서, 녹화 파일 재생 중 화면 재생바를 스윙 동영상의 어드레스 지점에 위치 지정(S117)한 후 편집 구간 시작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S118)한다. 이때의 확인 결과 화면 재생바를 스윙 동영상의 어드레스 지점에 위치 지정한 후(S117의 Y분기) 편집 구간 시작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가 확인되면(S118의 Y분기), 다시 화면 재생바를 스윙 동영상의 피니쉬 지점에 위치 지정한 후(S119의 Y분기) 편집 구간 끝 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S120)하고 아울러 편집 실행 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S121)하여, 각각의 확인 결과 녹화 파일 재생 중에 화면 재생바를 스윙 동영상의 어드레스 지점에 위치 지정한 후 편집 구간 시작버튼이 선택되고 다시 화면 재생바를 스윙 동영상의 피니쉬 지점에 위치 지정한 후 편집 구간 끝 버튼이 선택되며 또 다시 편집 실행 버튼이 연달아 선택되는 경우(S121의 Y분기)이면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 분석부(100)는 지정된 편집 구간 이외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영상신호를 제거하고 지정된 구간 내에서의 스윙 동영상에 대한 녹화 파일만을 남겨 편집(S122)한 후, 그 편집된 구간의 스윙 화면을 스크린에 표시(S123)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편집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에 다시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 분석부(100)는 상기 편집된 녹화파일을 저장하기 위해 데이터 저장부(60)에 파일 목록을 지정하는지를 판단(S124)하여, 데이터 저장부(60)에 파일 목록이 지정되면(S124의 Y분기) 지정된 파일 목록에 편집 파일을 저장(S125)하고, 파일 목록이 지정되지 않으면(S124의 N분기) 편집 파일을 유저 목록에 저장(S126)한다.
다음으로 제4단계(S142-S146)에서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 분석부(100)는 도 3e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단계에서 선택 파일의 재생 중, 비교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S142)하여, 비교버튼이 선택되면(S142의 Y분기) 스크린 화면을 이분할한 후 현재 재생중인 파일을 이분할된 화면 중의 어느 하나(예를 들면 좌측 분할 화면)로 이동시켜 재생(S143)하면서, 유틸리티 툴(예를 들면, 비디오 툴)을 통한 데이터 저장부(60)의 비교 파일 선택(S144) 및 해당 비교 파일에 대한 재생 버튼 선택 여부를 확인(S145)하여, 유틸리티 툴을 통한 데이터 저장부(60)의 비교 파일 선택 및 해당 비교 파일에 대한 재생 버튼 선택이 확인되면(S145의 Y분기) 나머지 한쪽 화면(예를 들면 우측 분할 화면)에 비교파일을 재생(S146)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녹화된 파일과 임의로 지정한 파일(예를 들면 스윙 자세 교습을 위해 기저장된 모델들의 파일 중의 하나일 수 있음)을 한눈으로 비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제4단계에서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 분석부(100)는 비교파일의 재생 중 드로잉 툴의 선택 여부를 확인(S147)하여, 확인 결과 드로잉 툴 선택이 확인되면(S147의 Y분기) 이분할된 화면 중 상단 메뉴바로 선택된 어느 한 화면에 대한 드로잉 툴의 입력을 활성화하여 재생 화면 상에 스윙 자세 교정 또는 설명을 위해 원하는 형태로의 그리기 입력이 가능(S148)하게 한다. 추후 이러한 드로잉 툴에 의해 그리기 입력이 완료된 재생화면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녹화 버튼 및 편집 버튼의 조작을 통해 녹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비교기능 실행 도중 비교버튼이 다시 한번 선택되는 경우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 분석부(100)는 비교 기능을 해제시켜 분할된 화면을 원래의 전체화면 상태로 복귀 표시(S150)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제5단계(S151-S161)에서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 분석부(100)는 도 3f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단계에서 선택 파일의 재생 중, 화면 재생바를 스윙 동영상의 임팩트 지점에 위치 지정(S151)한 후 임팩트 지정 버튼을 선택하는지의 여부를 확인(S152)한다. 이때 임팩트 지정이 확인되면 화면 캡쳐 툴의 선택 여부를 확인(S153)하거나 스윙 궤적 표시 툴의 선택 여부를 확인(S157)하거나 화면 겹쳐 보기 툴의 선택 여부를 확인(S161)한다. 만약 화면 캡쳐 툴의 선택이 확인되면(S153의 Y분기) 화면 캡쳐 툴을 제시(S154)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캡쳐 화면 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제시된 화면 캡쳐 툴에서 캡쳐할 화면 수의 설정 및 확인이 있는지를 확인(S155)하여, 제시된 화면 캡쳐 툴에서 캡쳐할 화면 수의 설정 및 확인이 있게 되면(S155의 Y분기) 도 3f 및 도 3g에 예시된 바와 같은 스윙 동영상을 설정된 화면 수로 캡쳐하여 제공(S156)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윙 궤적 표시 툴의 선택이 확인되면(S157의 Y분기) 스윙 궤적 표시 툴을 제시(S158)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스윙 구간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하고, 제시된 스윙 구간의 지정 및 확인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S159)하여, 제시된 스윙 구간의 지정 및 확인이 있게 되면(S159의 Y분기) 지정된 스윙 구간의 궤적을 나타낸 화면을 도 3h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한 화면에 제공(S160)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면 겹쳐 보기 툴의 선택이 확인되면(S161의 Y분기) 현재의 재생화면과 선택 파일의 재생화면을 한 화면으로 겹쳐 재생(S162)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골퍼의 스윙 자세를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촬영하여 스크린 상에 라이브 영상신호로 직접 디스플레이하면서 녹화하거나 녹화된 영상신호를 재생하면서 스크린 상에서의 간단한 키조작을 통해 원하는 설정 상태로 신속하게 편집 및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편집 저장된 영상신호를 기저장된 모델의 스윙 자세와 비교할 수 있도록 두 화면 동시 재생,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의 느린 재생,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의 초당 지정된 장수의 프레임 재생, 동시 재생되는 두 화면의 겹치기 표시, 드로잉 툴을 이용한 다양한 그리기, 스윙 자세 단계별 다수의 화면 캡쳐, 및 지정된 스윙 구간에서의 궤적 표시가 가능하도록 하여 골퍼의 스윙 자세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자유롭게 분석 가능하게 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로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의 예로서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영상 입력부 11,12 : 카메라
20 : 음성 입력부 30 : 영상 출력 및 조작부
40 : 음성 출력부 50 : 프린터
60 : 데이터 저장부 70 : 시디 기록부
100 :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 분석부

Claims (17)

  1. 영상 신호의 입력을 위한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 구성되는 영상 입력부, 음성 신호의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으로 구성되는 음성 입력부, 키입력을 위한 키패드와 디스플레이를 위한 스크린이 하나의 장치에 구현되는 영상 출력 및 조작부, 및 영상 신호와 음성 신호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골프 스윙 분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입력부와의 정보 교환 및 데이터 저장부를 로딩하여 하나 이상의 카메라 연결 상태 확인 및 코덱 선택을 위한 카메라 옵션 화면을 제시하고,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각 영상신호의 표시와 녹화 및 저장, 및 저장된 영상신호의 재생과 비교 및 편집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버튼 및 유틸리티 툴을 포함하는 메인 화면을 제시하며, 메인 화면 상의 녹화, 재생, 및 편집 버튼 선택 여부를 확인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스윙 동영상을 녹화하여 데이터 저장부의 유저 목록에 녹화 파일로 저장하거나 메인 화면 상의 유틸리티 툴을 통한 데이터 저장부의 유저 목록과 녹화 파일의 선택 및 재생 버튼 선택여부를 확인하여 선택된 데이터 저장부의 녹화 파일을 재생하면서, 재생 중 스크린 상의 화면 재생바를 스윙 동영상의 어드레스 지점에 위치 지정한 후 편집 구간 시작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 화면 재생바를 스윙 동영상의 피니쉬 지점에 위치 지정한 후 편집 구간 끝 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 및 편집 실행 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각각 확인하여 스윙 동영상에 대한 녹화 파일을 편집하고 스크린에 표시하며 편집된 녹화파일을 데이터 저장부에 파일 목록 또는 유저 목록에 저장하는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분석;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분석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분석부는,
    메인 화면 상의 유틸리티 툴을 통한 데이터 저장부의 유저 목록과 녹화 파일의 선택 및 재생 버튼 선택 여부를 확인하여 선택된 데이터 저장부의 녹화 파일을 재생하면서, 재생 중 비교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스크린 화면을 이분할한 후 현재 재생중인 파일을 이분할된 화면 중의 어느 하나로 이동시켜 재생하면서 유틸리티 툴을 통한 데이터 저장부의 비교 파일 선택 및 해당 비교 파일에 대한 재생 버튼 선택 여부를 확인하여 나머지 한쪽의 분할 화면에 비교파일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분석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분석부는,
    선택 파일의 재생 중, 화면 재생바를 스윙 동영상의 임팩트 지점에 위치 지정한 후 임팩트 지정 버튼을 선택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하나 이상의 유틸리티 툴을 통한 선택에 따라 스윙 단계별로 분류되는 다수의 표준 동작에 대한 캡쳐 화면 또는 스윙 궤적 화면 또는 중첩 재생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분석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분석부에 의해 제시되는 메인 화면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각 영상신호의 표시를 위한 전체 또는 분할 화면, 각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신호의 녹화, 재생과 편집 및 삭제, 두 화면 동시 재생과 비교,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느린 재생,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한 프레임 재생 기능을 각각 선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선택 버튼, 스윙 단계별 다수의 표준 동작 지정 버튼, 비디오 툴 상자, 드로잉 툴 상자, 화면 캡쳐 툴 상자, 화면 겹쳐 보기 툴 상자, 스윙 궤적 표시 툴 상자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틸리티 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분석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분석부는,
    메인 화면 상의 삭제 버튼 선택 여부를 확인하여 삭제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현재 지정된 재생화면의 파일 삭제 확인 메시지를 출력하고, 삭제 확인 선택이 있는 경우에만 현재 지정된 재생화면의 녹화 파일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분석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분석부는,
    메인 화면 상의 파일정보 수정 버튼 선택 여부를 확인하여 파일정보 수정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녹화된 파일정보의 상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제시하고, 파일정보의 수정정보를 입력받아 수정된 정보의 적용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파일 정보를 수정 입력된 파일 정보로 변경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분석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편집 제어 및 스윙분석부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느린 재생버튼의 선택여부를 확인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느린 재생을 실시하거나,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좌, 우 양측 동시 일시정지 튼의 선택 여부를 확인하여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좌,우 양측 동시 일시정지를 실시하거나, 정방향 또는 역방향 초당 지정된 장수의 프레임 재생 버튼의 선택 부를 확인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 초당 지정된 장수의 프레임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분석시스템.
  8. (a) 스윙 분석 프로그램이 구동과 동시에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구비한 영상 입력부와의 정보 교환 및 데이터 저장부를 로딩하여 하나 이상의 카메라 연결 상태 확인 및 코덱 선택을 위한 카메라 옵션 화면을 제시하고 시작 버튼이 입력되기를 대기하는 제1단계;
    (b) 카메라 옵션 화면 상에서 시작 버튼이 입력되면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각 영상신호의 표시와 녹화 및 저장, 및 저장된 영상신호의 재생과 비교 및 편집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버튼 및 유틸리티 툴을 포함하는 메인 화면을 제시하고, 메인 화면 상의 녹화 버튼 선택 여부를 확인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스윙 동영상을 녹화하여 데이터 저장부의 유저 목록에 녹화 파일로 저장하는 제2단계;
    (c) 제2단계에서 녹화파일 저장 후 또는 메인 화면 상의 유틸리티 툴을 통한 데이터 저장부의 유저 목록과 녹화 파일의 선택 및 재생 버튼 선택 여부를 확인하여 선택된 데이터 저장부의 녹화 파일을 재생하면서, 재생 중 화면 재생바를 스윙 동영상의 어드레스 지점에 위치 지정한 후 편집 구간 시작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 화면 재생바를 스윙 동영상의 피니쉬 지점에 위치 지정한 후 편집 구간 끝 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 및 편집 실행 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각각 확인하여 스윙 동영상에 대한 녹화 파일을 편집하고 스크린에 표시하며 편집된 녹화파일을 데이터 저장부에 파일 목록 또는 유저 목록에 저장하는 제3단계; 및
    (d) 제2단계에서 선택 파일의 재생 중, 비교버튼이 선택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스크린 화면을 이분할한 후 현재 재생중인 파일을 이분할된 화면 중의 어느 하나로 이동시켜 재생하면서 유틸리티 툴을 통한 데이터 저장부의 비교 파일 선택 및 해당 비교 파일에 대한 재생 버튼 선택 여부를 확인하여 나머지 한쪽의 분할 화면에 비교파일을 재생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분석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e) 제2단계에서 선택 파일의 재생 중, 화면 재생바를 스윙 동영상의 임팩트 지점에 위치 지정한 후 임팩트 지정 버튼을 선택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하나 이상의 유틸리티 툴을 통한 선택에 따라 스윙 단계별로 분류되는 다수의 표준 동작에 대한 캡쳐 화면 또는 스윙 궤적 화면 또는 중첩 재생화면을 제공하는 제5단계(S151-S161);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분석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b)에서 제시되는 메인 화면은,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각 영상신호의 표시를 위한 전체 또는 분할 화면, 각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신호의 녹화, 재생과 편집 및 삭제, 두 화면 동시 재생과 비교,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느린 재생,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한 프레임 재생 기능을 각각 선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선택 버튼, 스윙 단계별 다수의 표준 동작 지정 버튼, 비디오 툴 상자, 드로잉 툴 상자, 화면 캡쳐 툴 상자, 화면 겹쳐 보기 툴 상자, 스윙 궤적 표시 툴 상자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틸리티 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분석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b)는,
    (b1) 메인 화면 상의 삭제 버튼 선택여부를 확인하여 삭제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현재 지정된 재생화면의 파일 삭제 확인 메시지를 출력하고, 삭제 확인 선택이 있는 경우에만 현재 지정된 재생화면의 녹화 파일을 삭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분석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b)는,
    (b2) 메인 화면 상의 파일정보 수정 버튼 선택 여부를 확인하여 파일정보 수정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녹화된 파일정보의 상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제시하고 파일정보의 수정정보를 입력받아 수정된 정보의 적용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파일 정보를 수정 입력된 파일 정보로 변경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분석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b)는,
    (b3)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느린 재생버튼의 선택 여부를 확인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느린 재생을 실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분석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b)는,
    (b3)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좌, 우 양측 동시 일시정지 버튼의 선택 여부를 확인하여 좌측 또는 우측 또는 좌,우 양측 동시 일시정지를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분석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b)는,
    (b3) 정방향 또는 역방향 초당 지정된 장수의 프레임 재생 버튼의 선택 여부를 확인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 초당 지정된 장수의 프레임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분석방법.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d)는,
    비교파일의 재생 중 드로잉 툴의 선택 여부를 확인하여 이분할된 화면 중 상단 메뉴바로 선택된 어느 한 화면에 대한 드로잉 툴의 입력을 활성화하여 재생 화면 상에 원하는 형태로의 그리기 입력을 지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분석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e)는,
    (e1) 제2단계에서 선택 파일의 재생 중, 화면 재생바를 스윙 동영상의 임팩트 지점에 위치 지정한 후 임팩트 지정 버튼을 선택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e2) 임팩트 지정이 확인되면 화면 캡쳐 툴의 선택 여부를 다시 확인하여 화면 캡쳐 툴을 제시하는 단계; 및
    (e3) 상기 제시된 화면 캡쳐 툴에서 캡쳐할 화면 수의 설정 및 확인이 있게 되면 스윙 동영상을 설정된 화면 수로 캡쳐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스윙 분석방법.
KR1020140001536A 2014-01-06 2014-01-06 골프 스윙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817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536A KR20150081750A (ko) 2014-01-06 2014-01-06 골프 스윙 분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536A KR20150081750A (ko) 2014-01-06 2014-01-06 골프 스윙 분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750A true KR20150081750A (ko) 2015-07-15

Family

ID=53793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536A KR20150081750A (ko) 2014-01-06 2014-01-06 골프 스윙 분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175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597A (ko) 2017-08-23 2019-03-06 아이디어링크 주식회사 스윙 스피드 가변형 스마트 스윙 연습기 및 스마트 스윙 연습 시스템의 동작 방법
CN110806848A (zh) * 2019-11-02 2020-02-18 徐书诚 一种实现全景图像播放器显示计算机系统
KR102124194B1 (ko) * 2018-12-19 2020-06-23 포디리플레이코리아 주식회사 영상분석을 위한 다채널 영상 전송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10001808A (ko) * 2019-06-28 2021-01-06 유동열 줄넘기 운동 자세 및 체형 분석 시스템
KR20210065479A (ko) * 2019-11-27 2021-06-04 (주) 퍼블릭에이아이 듀얼 화면 기반의 온라인 코딩 강의 방법 및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597A (ko) 2017-08-23 2019-03-06 아이디어링크 주식회사 스윙 스피드 가변형 스마트 스윙 연습기 및 스마트 스윙 연습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124194B1 (ko) * 2018-12-19 2020-06-23 포디리플레이코리아 주식회사 영상분석을 위한 다채널 영상 전송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10001808A (ko) * 2019-06-28 2021-01-06 유동열 줄넘기 운동 자세 및 체형 분석 시스템
CN110806848A (zh) * 2019-11-02 2020-02-18 徐书诚 一种实现全景图像播放器显示计算机系统
CN110806848B (zh) * 2019-11-02 2023-11-03 徐书诚 一种实现全景图像播放器显示计算机系统
KR20210065479A (ko) * 2019-11-27 2021-06-04 (주) 퍼블릭에이아이 듀얼 화면 기반의 온라인 코딩 강의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0892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05474B2 (ja) 映像処理装置、映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561160B2 (en) Data editing program, data editing method, data edi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4646209B2 (ja) 実技分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81750A (ko) 골프 스윙 분석 시스템 및 방법
JP5201860B2 (ja) ダーツフォームチェックシステム
TWI567691B (zh) 立體空間的場景編輯方法與系統
KR102078136B1 (ko) 오디오 데이터를 가지는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4264368B2 (ja) 実技分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7116649A5 (ko)
US20090190898A1 (en) Image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16007302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video
RU2017102479A (ru) Создание электронных изображений, редактирование изображений и упроще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редактирования аудио/видео, способ кинопроизводства, начинающийся с неподвижных изображений и звуковых дорожек,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компьютерная программа
WO2017130615A1 (ja) 作業分析装置、作業分析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US20180369678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Sports Training
CN107506108B (zh)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方法以及计算机可读取的存储介质
KR101962916B1 (ko) 골프 스윙 자세 확인 및 교정 시스템
JP2005302155A (ja) 情報再生装置、情報再生方法、コンピュータで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8074337A (ja) 動画処理装置、動画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NL1018959C2 (nl) Inrichting, gebruik daarvan en werkwijze voor het opslaan en afspelen van beeld- en/of geluidsopnamen, alsmede samenstel van een dergelijke inrichting met een camera.
JP5805804B2 (ja) 構音訓練用録画・録音装置
JP2020135177A (ja) 動画を解析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装置、及び方法
KR100513100B1 (ko) 방송 문서 자동 제작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저장 매체
JP2005318618A (ja) 動画像管理装置及び方法
JP6679951B2 (ja) 指導アシストシステム、および指導アシスト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