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4194B1 - 영상분석을 위한 다채널 영상 전송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분석을 위한 다채널 영상 전송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4194B1
KR102124194B1 KR1020180165535A KR20180165535A KR102124194B1 KR 102124194 B1 KR102124194 B1 KR 102124194B1 KR 1020180165535 A KR1020180165535 A KR 1020180165535A KR 20180165535 A KR20180165535 A KR 20180165535A KR 102124194 B1 KR102124194 B1 KR 102124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image
images
tim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윤
김준호
김웅기
Original Assignee
포디리플레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디리플레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디리플레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5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1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05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enabling multiple viewpoints, e.g.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5Channel allocation; Bandwidth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분석을 위한 다채널 영상 전송 시스템은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소정 시간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복수의 카메라에 대응하는 다채널 영상들을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카메라 제어부 및 카메라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다채널 영상들을 시간별, 채널별, 시간 및 채널을 혼합한 적어도 하나의 기준으로 그룹핑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그룹핑된 영상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고, 그룹핑된 영상이 재생될 사용자 단말의 복수 개의 분할된 디스플레이 화면 영역 각각에 동일한 시점의 다른 영상 또는 다른 시점의 동일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분석을 위한 다채널 영상 전송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Multi channel transmitting system for image analysis and controlling method}
실시 예들은 영상분석을 위한 다채널 영상 전송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중들은 모바일을 이용한 동영상 재생을 선호한다. 이러한 선호에 발맞춰 기업들은 방송 플랫폼, 예를 들면 V-app, AfreecaTV, Youtube Live를 서비스 하고 있다. 이러한 플랫폼을 시청하는 대중들은 하나의 시점, 즉 하나의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시청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시청자들은 원하는 공간에서 촬영된 영상을 시청하길 원한다.
현재, 복수의 카메라로 하나의 피사체를 다양한 채널에서 촬영하여 획득한 복수의 영상을 기하학적으로 교정, 합성하여 다채널의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영상 서비스가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다채널 영상은 고화질의 개념을 뛰어넘는 사실감 넘치는 영상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미디어에 몰입감을 더욱 느끼게 되고 광고, 교육, 의료, 국방, 오락 등의 분야에서 영상 정보 전달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다.
종래의 다채널 영상에서는 채널/시간 스위칭이 다채널 영상 제작시에 미리 정해진 병합 방식으로 단순히 재생되는 차원이다. 즉, 종래에는 복수 개의 카메라에서 복수 개의 프레임을 획득하고, 획득한 프레임들 중 일부를 선별한 후 이들 프레임을 병합하여 하나의 채널 스위칭 영상을 제작하였다. 이러한 채널 스위칭 영상은 영상 제작 시에 제작자가 미리 결정한 채널의 프레임을 단순 병합한 것이므로, 해당 영상 파일을 재생하면 병합된 프레임들이 단일의 채널 이동 효과를 나타내는 채널 스위칭 효과를 내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다채널 영상에 따르면 사용자는 미리 제작된 채널 스위칭 효과를 단순 시청하는 것에 불과하였고, 시청자가 시각 스위칭 또는 채널 스위칭을 수동으로 조작하여 재생을 원하는 시점으로 채널을 돌려가면서 영상을 시청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또한, 다양한 공간에서 영상 촬영을 위해 다채널 또는 카메라 동기화 기법, 영상 보정 및 전송 방법이 필요하다.
한편, 영상분석을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스포츠 분야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다양한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다른 선수 간의 동일한 동작을 비교하거나, 같은 선수의 동일한 행위를 전/후로 나누어 비교하거나, 동일한 영상에서 다른 시점으로 비교분석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영상분석은 임의의 시점, 임의의 방향에서 촬영된 영상만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보다 상세한 분석에는 한계가 있었다.
실시 예들은 영상분석을 위한 다채널 영상 전송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이를 위한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분석을 위한 다채널 영상 전송 시스템은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소정 시간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대응하는 다채널 영상들을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카메라 제어부; 및 상기 카메라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다채널 영상들을 시간별, 채널별, 시간 및 채널을 혼합한 적어도 하나의 기준으로 그룹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그룹핑된 영상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그룹핑된 영상이 재생될 사용자 단말의 복수 개의 분할된 디스플레이 화면 영역 각각에 동일한 시점의 다른 영상 또는 다른 시점의 동일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동일한 시점의 다른 영상은, 각각의 다른 영상을 비교하기 위한 분석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시점의 동일한 영상은, 상기 동일한 영상에 대해 확대 또는 축소한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영상 또는 상기 동일한 영상에서 영상분석을 위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비교한 분석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간 및 채널을 혼합한 기준은, 제1 내지 제N(N은 2 이상의 자연수) 시간에 해당하는 제1 내지 제M(M은 2 이상의 자연수) 채널의 영상들을 혼합하거나,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에 해당하는 제M 내지 제1 채널의 영상들을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간 및 채널을 혼합한 기준은, 제N 내지 제1 시간에 해당하는 제1 내지 제M 채널의 영상들을 혼합하거나, 상기 제N 내지 제1시간에 해당하는 제M 내지 제1 채널의 영상들을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정 시간 중 어느 한 시간에 해당하는 이벤트를 중심으로 ±y(y는 자연수) 시간별 채널에 해당하는 영상들을 그룹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분석을 위한 다채널 영상 전송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소정 시간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대응하는 다채널 영상들을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다채널 영상들을 시간별, 채널별, 시간 및 채널을 혼합한 적어도 하나의 기준으로 그룹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그룹핑된 영상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그룹핑된 영상이 재생될 사용자 단말의 복수 개의 분할된 디스플레이 화면 영역 각각에 같은 시점의 다른 영상 또는 다른 시점의 동일한 영역을 표시하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분석을 위한 다채널 영상의 재생 장치에 있어서, 다채널 영상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다채널 영상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화면; 및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영역 각각에 상기 저장된 다채널 영상을 동일한 시점의 다른 영상 또는 다른 시점의 동일한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동일한 시점의 다른 영상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영역에 표시된 다른 영상에 대해 재생, 멈춤, 시간 변환, 채널 변환, 확대 및 축소 중 하나를 수행하고, 상기 다른 시점의 동일한 영상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영역에 표시된 동일한 영상 중 선택된 영상에 대해서 재생, 멈춤, 시간 변환, 채널 변환, 확대 및 축소 중 하나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다채널 영상을 위한 전송 시스템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공간 이동 시 다채널 영상의 데이터 전송의 편리성을 높이고, 처리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다채널 영상을 재생장치의 화면을 분할하여 다양한 조합, 예를 들면 동일한 시간의 다른 영상, 또는 다른 시간의 동일한 영상에 대해 상세하게 비교해가면서 분석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분석을 위한 다채널 영상 전송 시스템(100)의 개략 도이다.
도 2는 다채널 영상을 생성하는 예시 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분석을 위한 다채널 영상 전송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 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제어부(110)의 개략 도이다.
도 5a 내지 5c는 도 1에 도시된 영상 서버(200)의 개략 도이다.
도 6 및 7은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재생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다양하게 분할하여 다채널 영상을 표시하는 예시 도들이다.
도 8 내지 11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분석을 위한 다채널 영상을 표시하는 예시 도들이다.
본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임의로 선정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실시 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 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실시 예들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하기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은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실시 예들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오로지 예시를 위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분석을 위한 다채널 영상 전송 시스템(100)의 개략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송 시스템(100)은 복수의 카메라(111 내지 113), 복수의 카메라(111 내지 113)를 제어하고, 복수의 카메라(111 내지 113)로부터 촬영된 다채널 영상들을 처리 및 전송하는 카메라 제어부(110), 카메라 제어부(110)로부터 전송된 다채널 영상들을 처리 및 저장하는 영상 서버(200)를 포함한다. 영상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50)로부터 다채널 영상에 대한 요청, 스위칭 영상에 대한 요청, 특정 이벤트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저장된 다채널 영상을 사용자 단말(150)에 전송한다.
영상 서버(200)는 영상 처리 장치(130) 및 영상 저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특정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복수의 카메라(1 내지 N)가 배치될 수 있다. 피사체의 주위에 어레이로 배열된 복수의 카메라에서 피사체를 다각도에서 촬영한 복수의 영상을 수신한다. 복수의 카메라 배열 방법은, 예컨대 임의의 카메라를 기준으로 N개의 카메라들을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일렬로 배치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피사체를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원주상에 N개의 카메라들을 순차적으로 배치할 수도 있고, 중앙에 배치된 카메라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두 개의 카메라와 피사체 간의 거리를 일치시키고 나머지 카메라는 피사체와의 거리를 상이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피사체는 고정된 피사체일 수도 있고, 움직이는 피사체일 수도 있다.
복수의 카메라(1 내지 N)와 카메라 제어부(11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할 수 있으며, 복수의 카메라(1 내지 N)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카메라 제어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카메라 제어부(110)는 복수의 카메라(1 내지 N)를 동기화하는 동기화 신호를 통해 복수의 카메라(1 내지 N)를 제어할 수 있다. 카메라 제어부(110)는 복수의 카메라(1 내지 N)로부터 촬영된 영상들을 임시 저장하고, 코덱 변경을 통해 촬영된 영상의 크기를 줄이고 빠른 전송이 가능하게 한다. 카메라 제어부(11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카메라 제어부(110)는 카메라 구동 제어부(111), 영상 변환부(112) 및 전송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구동 제어부(111)는 카메라 동기화 및 촬영을 제어한다.
영상 변환부(112)는 복수의 카메라(1 내지 N)로부터 생성된 영상들을 통신망(120)을 통해 빠른 전송이 용이하도록 코덱 변경을 통해 영상들을 크기를 줄인다. 또한, 촬영 현장에 적합하거나, 유선 또는 무선 전송에 적합한 데이터 전송 방식을 결정할 수도 있다.
전송부(113)는 변환된 영상들을 통신망(120)을 통해 영상 서버(200)에 전송한다.
영상 서버(200)는 카메라 제어부(110)로부터 전송된 다채널 영상들을 시간별, 채널별, 시간 및 채널을 혼합한 적어도 하나의 기준으로 그룹핑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15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그룹핑된 영상을 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 영상 서버(20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영상 서버(200)는 영상 처리 장치(110) 및 영상 저장부(140)를 포함한다. 영상 처리 장치(110)는 영상 처리부(131), 영상 변환부(132), 전송부(133) 및 영상분할부(134)를 포함한다.
영상 처리부(131)는 카메라 제어부(110)로부터 전송된 다채널 영상들, 즉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 대해 영상 보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들이 초점이 맞지 않을 수 있으므로, 카메라 간 초점이 동일하도록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131)는 전송된 다채널 영상들을 보정한다. N개의 카메라 배열의 기하학적 오차는 다채널 영상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시각적인 흔들림으로 나타나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각 영상의 크기 또는 사이즈, 기울기 또는 중심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보정할 수 있다.
영상 변환부(132)는 다채널 영상들을 시간별, 채널별, 시간 및 채널을 혼합한 적어도 하나의 기준으로 그룹핑한다. 영상 변환부(132)는 여러 공간을 하나로 묶어 그룹핑한다. 그룹핑하는 방법을 다양한 기준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전송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50)에 효과적인 다채널 영상 내지 스위칭 영상을 전송하기 위해, 모든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데이터 낭비를 주지 않고, 그룹핑된 영상들을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필요한 데이터만을 전송할 수 있게 한다. 영상 변환부(132)는 t 시간의 이벤트를 중심으로 ±y(y는 자연수임) 시간별 채널 영상을 묶어 그룹핑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채널 1에서, t3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일 수 있다. 여기서 이벤트는 미리 정해진 경우, 예를 들면 야구 경기에서 홈런 장면, 또는 아웃 장면이거나,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이벤트,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일 수 있다.
그룹핑의 기본 방식으로 시간별로 채널 영상들을 하나로 묶는 방식이다. t1에 촬영된 채널 1 내지 채널 5의 영상들을 하나로 그룹핑하여 그룹핑된 영상을 생성한다. 유사하게 t2에 촬영된 채널 1 내지 채널 5의 영상들을 하나로 그룹핑하여 그룹핑된 영상을 생성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시간별로 그룹핑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카메라가 배치된 경우, 사용자 단말(150)은 동일한 시간에 피사체를 둘러싼 모든 방향에서 촬영된 영상들을 확인할 수 있다. 시간별로 채널 영상들을 묶는 방식을 설명하였지만, 채널별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카메라 순서대로, 즉 제1 내지 제5 채널의 순서로 그룹핑할 수 있지만,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반대 순서로, 즉 제5 채널 내지 제1 채널의 순서로 그룹핑할 수도 있다.
내림차순으로, t1에 촬영된 제1 채널 영상과, t2에 촬영된 제2 채널 영상, t3에 촬영된 제3 채널 영상, t4에 촬영된 제4 채널 영상과, t5에 촬영된 제5 채널 영상을 하나로 그룹핑하여 그룹핑된 영상을 생성한다. 유사하게, t2에 촬영된 제1 채널 영상, t3에 촬영된 제2 채널 영상, t4에 촬영된 제3 채널 영상, t5에서 촬영된 제4 채널 영상, t6에서 촬영된 제5 채널 영상을 하나로 그룹핑하여 그룹핑된 영상을 생성한다. 유사하게, 오름차순으로, t1에 촬영된 제5 채널 영상과, t2에 촬영된 제4 채널 영상, t3에 촬영된 제3 채널 영상, t4에 촬영된 제2 채널 영상과, t5에 촬영된 제1 채널 영상을 하나로 그룹핑하여 그룹핑된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시간별 및 채널별을 혼합한 영상들을 그룹핑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그룹핑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시 도 5a를 참조하면, 영상 변환부(132)에서 변환된 그룹핑된 영상들을 영상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사용자 단말(150)의 요청이 있는 경우, 영상 처리 장치(130)가 영상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들을 추출하여, 전송부(133)를 통해 사용자 단말(150)에 전송한다.
영상 분할부(132)는 그룹핑된 영상이 재생될 사용자 단말의 복수 개의 분할된 디스플레이 화면 영역 각각에 동일한 시점의 다른 영상, 다른 시점의 동일한 영상을 표시하도록 영상을 분할한다. 여기서, 영상 분할은 그룹핑된 영상들에 대해 사용자 단말의 요청 또는 사용자 단말의 분할된 디스플레이 화면 영역에 맞도록 영상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시점의 다른 영상은 각각의 다른 영상을 비교하기 위한 분석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시점의 동일한 영상은 동일한 영상에 대해 확대 또는 축소한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분할부(132)는 다른 영상 또는 동일한 영상에서 영상분석을 위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를 비교한 분석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도 6 및 7은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재생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다양하게 분할하여 다채널 영상을 표시하는 예시 도들이다.
도 6a에 도시된 것처럼, 다채널 영상이 생성되면, 도 6b 및 6c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 전체에 재생할 수 있으며, 줌인 또는 줌아웃, 가로축의 채널변환 및 세로축의 시간변환 선택을 통해 다채널 영상을 편리하게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도 7a 내지 7d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플레이 화면을 2 분할, 4 분할, 3 분할, 16 분할 등을 하여 다양한 다채널 영상을 함께 표시하여 영상 비교 분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8 내지 11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분석을 위한 다채널 영상을 표시하는 예시 도들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화면(800)을 2 분할하여, 각각의 분할된 영역에 동일한 시점의 다른 영상을 표시한다. 도시된 것처럼, 좌측은 사용자의 골프 스윙의 임팩트시, 예를 들면 t1에서의 영상이고, 우측은 프로골퍼의 골프 스윙의 임팩트시, 예를 들면 t1에서의 영상이다. 따라서, 좌우 영상을 함께 표시하여 영상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의 특징 추출을 통해 필요한 분석 가이드 또는 분석 정보, 예를 들면 각각의 팔의 각도(801 및 802)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화면(800)을 2 분할하여, 각각의 분할된 영역에 동일한 시점의 다른 영상을 표시한다. 도시된 것처럼, 동일한 인물이지만, 과거의 영상과 현재의 영상을 함께 비교하여 투구 릴리스 동작시의 팔의 각도를 비교해 볼 수 있다.
도 9a 및 9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화면(800)을 2 분할 또는 3 분할하여, 각각의 분할된 영역에 다른 시점의 동일한 영상을 표시한다. 여기서, 동일한 영상을 동일한 피사체를 다른 위치에서 촬영한 영상을 의미한다. 도 9a에 도시된 것처럼, 동일한 인물의 타격자세로서,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된 영상들을 비교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것처럼, 슛 장면을 촬영한 영상이고, 공을 차는 순간과, 발 부분을 확대한 영상, 공의 출발 각도를 촬영한 영상을 함께 비교해 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분석은 시간, 채널, 확대 및 축소를 각 영상들끼리 동기화하거나, 비 동기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인물 간의 동일한 동작을 비교하거나, 같은 인물의 동일한 행위를 Before/After로 나누어 비교분석하는 경우는, 재생시 Play/Pause, 시간변환, 채널변환, 확대/축소 등의 동작을 두 영상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영상에서 다른 시점으로 비교분석하는 경우 재생시, Play/Pause, 시간변환, 채널변환, 확대/축소 등의 동작을 분할된 영상 중 선택된 영상에만 적용할 수 있으며, 시간 변환 등 일부 동기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촬영된 영상의 스윙동작을 분석하여, 분석정보, 예를 들면 볼 스피드 및 출발각도 등을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좌우 2개의 영상을 비교분석하면서, 각각의 영상에 추출된 분석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각각 영상에서 데이터를 추출, 분할된 영상들 간에 추출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분석할 수 있다. 다채널 영상특성상 시간의 흐름에 따른 데이터뿐만 아니라 시간이 정지한 시점에서 시점 변화에 따른 데이터도 추출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영상 서버(130)는 영상처리부(131), 영상변환부(132), 전송부(133) 및 영상 분할부(134)를 포함하며, 전송부(133)는 메시지 핸들러(133-1), 스트리머(133-2), 채널 매니저(13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송부(133)는 스트리밍 장치일 수 있으며, 영상서버(130)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영상서버(130)와 분리되어 별도의 장치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a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전송부(133)는 처리된 영상 또는 저장된 영상을 실시간 전송한다. 예를 들면 실시간 스트리밍을 위한 장치일 수 있다.
메시지 핸들러(133-1)는 사용자 단말과 세션 관리, 프로토콜 관리를 수행한다. 스트리머(133-2)는 영상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영상들의 집합이다. 채널 매니저(133-3)는 사용자 단말의 신호를 받아 영상을 GOP단위로 스케쥴링한 후 스트리머(133-2)에 전달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별한 요청, 예를 들면 채널 변경 요청, 채널 이동 요청이 없는 경우, 채널 매니저(133-3)는 스트리머(133-2)에 각각의 GOP단위로 스케쥴링된 영상을 전달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5, 즉 카메라 5에서 촬영된 영상들, GOP1 내지 GOPN의 순서로 스케쥴링하여 스트리머(133-2)에 전달한다. 스트리머(133-2)는 채널 매니저(133-3)의 스케쥴링에 따라 GOP 영상들을 모아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한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로부터 채널 이동 요청이 수신된 경우, 채널 매니저(133-3)는 채널 5, 즉 카메라 5에서 촬영된 영상 중 GOP1 내지 3과, 채널 4의 GOP4, 채널 3의 GOP5, 채널 2의 GOP6, 채널 7의 GOP7의 순서로 스케쥴링하여 스트리머(133-2)에 전달한다. 스트리머(133-2)는 채널 매니저(133-3)의 스케쥴링에 따라 GOP 영상들을 모아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150)과 영상 서버(200) 간의 실시간 스트리밍을 구현하기 위한 신호 흐름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 단말(150)에서 영상 서버(200)로의 연결 요청에 따라 영상 서버(200)에서 요청을 받아들이고, 세션을 할당한다. 사용자 단말(150)에서 인증 요청에 따라 디바이스 ID를 할당하고, 인증 요청에 응답하면, 사용자 단말(150)에서 인증 또는 디바이스 ID 프로토콜 세션이 개시된다. 사용자 단말(150)에서 스트리밍 세션을 위해 연결 요청을 하면, 영상 서버(200)에서 요청을 받아들이고, 스트림을 할당한다. 사용자 단말(150)에서 인증 요청을 하면 영상 서버(200)에서 인증 요청에 응답한다. 사용자 단말(150)에서 인증 또는 디바이스 ID를 이용하여 스트리밍 세션이 개시된다. 사용자 단말(150)에서, 프로토콜 세션을 Alive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소정의 시간, 예를 들면 1초에 한 번씩 Alive 유지 요청을 영상 서버(200)에 전송한다. 영상 서버(200)는 이러한 요청에 대해 응답하고, 세션을 관리한다. 따라서, 영상 서버(200)와 사용자 단말(150)간에 접속 상태 또는 이벤트 상태가 유지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 단말(150)에서 재생 요청을 전송하면, 영상 서버(200)에서 재생 요청에 응답하면서, 재생 영상을 사용자 단말(150)에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150)에서 정지 요청을 전송하면, 정지 요청에 응답하면서 재생 영상을 정지한다.
도 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분석을 위한 다채널 영상 전송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 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00에서,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소정 시간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단계 302에서, 복수의 카메라에 대응하는 다채널 영상들을 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
단계 304에서, 카메라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다채널 영상들을 시간별, 채널별, 시간 및 채널을 혼합한 적어도 하나의 기준으로 그룹핑 하여 저장한다. 시간별로 그룹핑하여 그룹핑된 영상을 저장하거나, 채널별로 그룹핑하여 그룹핑된 영상을 저장하거나, 시간별 및 채널별을 조합하여 그룹핑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그룹핑된 영상이 재생될 사용자 단말의 복수 개의 분할된 디스플레이 화면 영역 각각에 동일한 시점의 다른 영상 또는 다른 시점의 동일한 영상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그룹핑된 영상에 대해 사용자 단말의 요청 또는 분할된 디스플레이 화면 영역에 맞도록 영상을 분할할 수 있다.
단계 306에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그룹핑된 영상을 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 여기서, 통신망은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으며, 단계 302에서 언급된 통신망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서버(200)는, 이벤트 발생에 따라 다채널 영상을 디코딩 및 렌더링하여 사용자 단말(150)에 전송하거나, 영상 서버(200)는 다채널 영상 또는 그룹핑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150)에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50)에서 전송된 다채널 또는 그룹핑된 영상을 재생하는 중에, 사용자 요청에 따른 이벤트 발생에 따라 압축되어 전송된 영상을 디코딩 및 렌더링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시간 영상 재생을 위해 빠른 영상 채널 변환이 필요하므로, 다음과 같이 디코딩 및 렌더링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카메라 1 내지 10의 다채널 영상이 존재하는 경우, 카메라 2에 해당하는 영상에서 이벤트가 우측으로 발생한 경우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150)에서, 사용자가 카메라 2에서 촬영된 영상부터 카메라 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일 수 있다. 이 경우, 압축된 다채널 영상에 대해, 디코딩은 카메라 1부터 카메라 2로 수행하여 임시 메모리 또는 버퍼에 디코딩된 영상을 저장하고, 이후 카메라 2부터 렌더링을 시작한다.
카메라 1 내지 10의 다채널 영상이 존재하는 경우, 카메라 7에 해당하는 영상에서 이벤트가 좌측으로 발생한 경우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150)에서, 사용자가 카메라 7에서 촬영된 영상부터 카메라 1에서 촬영된 영상을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일 수 있다. 이 경우, 압축된 다채널 영상에 대해, 디코딩은 카메라 1부터 카메라 7로 수행하여 임시 메모리 또는 버퍼에 디코딩된 영상을 저장하고, 이후 카메라 7부터 카메라 1로 렌더링을 시작한다.
일 실시 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소정 시간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대응하는 다채널 영상들을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카메라 제어부; 및
    상기 카메라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다채널 영상들을 시간별, 채널별, 시간 및 채널을 혼합한 적어도 하나의 기준으로 그룹핑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그룹핑된 영상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그룹핑된 영상이 재생될 사용자 단말의 복수 개의 분할된 디스플레이 화면 영역 각각에 동일한 시점의 다른 영상 또는 다른 시점의 동일한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이 채널 변경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각각의 GOP단위로 스케줄링하여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이 채널 변경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채널 변경에 상응하는 각각의 GOP단위의 순서대로 스케줄링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석을 위한 다채널 영상 전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시점의 다른 영상은,
    각각의 다른 영상을 비교하기 위한 분석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석을 위한 다채널 영상 전송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시점의 동일한 영상은,
    상기 동일한 영상에 대해 확대 또는 축소한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석을 위한 다채널 영상 전송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영상 또는 상기 동일한 영상에서 영상분석을 위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비교한 분석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석을 위한 다채널 영상 전송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및 채널을 혼합한 기준은,
    제1 내지 제N(N은 2 이상의 자연수) 시간에 해당하는 제1 내지 제M(M은 2 이상의 자연수) 채널의 영상들을 혼합하거나,
    상기 제1 내지 제N 시간에 해당하는 제M 내지 제1 채널의 영상들을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석을 위한 다채널 영상 전송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및 채널을 혼합한 기준은,
    제N 내지 제1 시간에 해당하는 제1 내지 제M 채널의 영상들을 혼합하거나,
    상기 제N 내지 제1시간에 해당하는 제M 내지 제1 채널의 영상들을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석을 위한 다채널 영상 전송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 중 어느 한 시간에 해당하는 이벤트를 중심으로 ±y(y는 자연수) 시간별 채널에 해당하는 영상들을 그룹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석을 위한 다채널 영상 전송 시스템.
  8.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소정 시간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대응하는 다채널 영상들을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카메라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다채널 영상들을 시간별, 채널별, 시간 및 채널을 혼합한 적어도 하나의 기준으로 그룹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그룹핑된 영상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그룹핑된 영상이 재생될 사용자 단말의 복수 개의 분할된 디스플레이 화면 영역 각각에 같은 시점의 다른 영상 또는 다른 시점의 동일한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이 채널 변경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각각의 GOP단위로 스케줄링하여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이 채널 변경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채널 변경에 상응하는 각각의 GOP단위의 순서대로 스케줄링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석을 위한 다채널 영상 전송 시스템의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0. 삭제
KR1020180165535A 2018-12-19 2018-12-19 영상분석을 위한 다채널 영상 전송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124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535A KR102124194B1 (ko) 2018-12-19 2018-12-19 영상분석을 위한 다채널 영상 전송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535A KR102124194B1 (ko) 2018-12-19 2018-12-19 영상분석을 위한 다채널 영상 전송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194B1 true KR102124194B1 (ko) 2020-06-23

Family

ID=71137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535A KR102124194B1 (ko) 2018-12-19 2018-12-19 영상분석을 위한 다채널 영상 전송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19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5425A (ja) * 1999-07-27 2001-0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装置、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20140069705A (ko) * 2012-11-29 2014-06-1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다채널 멀티 재생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81750A (ko) * 2014-01-06 2015-07-15 노현욱 골프 스윙 분석 시스템 및 방법
WO2017120482A1 (en) * 2016-01-08 2017-07-13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ng media delivery event locations for media transport
JP2017135464A (ja) * 2016-01-25 2017-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送信装置、映像送信システム、映像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5425A (ja) * 1999-07-27 2001-0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装置、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20140069705A (ko) * 2012-11-29 2014-06-1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다채널 멀티 재생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81750A (ko) * 2014-01-06 2015-07-15 노현욱 골프 스윙 분석 시스템 및 방법
WO2017120482A1 (en) * 2016-01-08 2017-07-13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ng media delivery event locations for media transport
JP2017135464A (ja) * 2016-01-25 2017-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送信装置、映像送信システム、映像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1739B2 (en) Panoramic virtual reality framework providing a dynamic user experience
WO2021179783A1 (zh) 基于自由视点的视频直播处理方法、设备、系统、芯片及介质
JP7123523B2 (ja) 自動的にテレビ番組を制作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10432987B2 (en) Virtualized and automated real time video production system
JP6432029B2 (ja) 低コストでテレビ番組を制作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9661275B2 (en) Dynamic multi-perspective interactive event visualization system and method
US201502081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User Control of Live Video Stream(s)
US20180191955A1 (en) Moving picture reproducing device, moving picture reproducing method, moving picture reproducing program, moving picture reproducing system, and moving picture transmission device
KR101530826B1 (ko) 360도 공간영상 재생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90394375A1 (en) Video 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Video Production
KR20160021706A (ko) 360도 공간영상 재생방법 및 그 시스템
CN113014943A (zh) 一种视频播放方法、视频播放器及视频直播系统
CN110730340B (zh) 基于镜头变换的虚拟观众席展示方法、系统及存储介质
JP2020524450A (ja) 多チャネル映像のための伝送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多チャネル映像再生方法及びその装置
US10764655B2 (en) Main and immersive video coordination system and method
KR102124194B1 (ko) 영상분석을 위한 다채널 영상 전송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96226B1 (ko) 복수개의 동영상을 동시에 출력하는 시스템
KR20200001597A (ko) 다채널 영상 생성 방법, 다채널 영상 재생 방법 및 다채널 영상 재생 프로그램
KR102149004B1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다채널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150030889A (ko) 멀티앵글영상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1134236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system
KR102149005B1 (ko) 객체 속도 계산 및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973190B1 (ko) 다채널 영상을 위한 전송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63495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제어방법
US20200226716A1 (en) Network-base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