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495B1 -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495B1
KR102063495B1 KR1020180028824A KR20180028824A KR102063495B1 KR 102063495 B1 KR102063495 B1 KR 102063495B1 KR 1020180028824 A KR1020180028824 A KR 1020180028824A KR 20180028824 A KR20180028824 A KR 20180028824A KR 102063495 B1 KR102063495 B1 KR 102063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content
specific
enlarged
area
processing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7501A (ko
Inventor
정혜미
채다행
서혜경
한승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80028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495B1/ko
Publication of KR20190107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8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selecting a Region Of Interest [ROI], e.g. for requesting a higher resolution version of a selected reg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은,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시청하는 시청자로부터 확대 대상 정보를 포함하는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에 포함된 확대 대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포함된 특정 객체를 확대 대상 객체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판단된 확대 대상 객체를 기초로 확대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에 따른 특정 과거 시간으로부터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하되, 해당 재생 중에 상기 확대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이 다른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보다 더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제어방법{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PLAYING MULTIMEDIA CONTENTS}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청자의 요청에 따라 일명 타임 시프팅(또는 타임머신) 처리를 수행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송이나 VOD(Video On Demand) 등 멀티방송 콘텐츠를 시청하던 중에 실시간으로 다시 돌려보기를 원하는 시청자들의 니즈에 부합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업체들은 일명 타임시프트 또는 타임머신 기능을 제공하고 있고, 또는 TV 등을 생산하는 제조업체들은 TV에 상술한 타임시프트 또는 타임머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스포츠 생중계를 시청하던 시청자가 경기 주요 장면을 다시 보기 위해 리모컨을 조작하는 경우 방송 제공업체에서는 특정 과거 시간으로 되돌린 녹화된 콘텐츠를 해당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또는 TV 자체에서 생중계 방송을 일정 시간단위로 녹화하고 있다가 시청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특정 과거 시간으로 방송을 되돌려 재생할 수도 있다.
그런데 시청자들이 이처럼 타임시프트 또는 타임머신 기능을 이용하는 이유는 경기 중요 장면을 보다 정확하게 시청하기 위함인데, 종래의 방식에서는 이미 방송된 내용을 단지 시간만 되돌려 다시 재생하는 것에 불과하여 이러한 시청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시청자가 야구 경기의 경우 타자가 친 공이 아웃 라인을 벗어났는지를 정확하게 확인하고자 타임시프트 기능을 이용하는 하는 경우, 종래에는 방송이 되었던 장면이 다시 반복 재생될 뿐, 공이 아웃 라인과 만나는 부분이 확대되거나 하지는 못하였다.
즉, 종래에는 시청자가 방송 콘텐츠를 과거로 시간을 되돌리는 것만 선택할 수 있었고, 그 외 각 시청자가 원하는 대상(관심 있는 대상이나 영역 등)을 별도로 지정하거나 이를 처리하는 기술이 제시된 바가 없다.
공개특허 제10-2009-0095856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시청자가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해 타임시프트 기능을 이용할 때 자신이 원하는 대상 또는 영역을 별도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는,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시청하는 시청자로부터 확대 대상 정보를 포함하는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을 입력받는 시청자 요청 입력부와; 상기 시청자 요청 입력부에 상기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이 입력된 경우, 상기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에 포함된 확대 대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시청자가 시청하고 있던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포함된 특정 객체를 확대 대상 객체로 판단하는 객체 판단부와; 상기 객체 판단부에서 판단된 확대 대상 객체를 기초로 확대 영역을 설정하는 확대 영역 설정부와; 상기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에 따른 특정 과거 시간으로부터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하되, 해당 재생 중에 상기 확대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이 다른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보다 더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은,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시청하는 시청자로부터 확대 대상 정보를 포함하는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에 포함된 확대 대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포함된 특정 객체를 확대 대상 객체로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판단된 확대 대상 객체를 기초로 확대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에 따른 특정 과거 시간으로부터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하되, 해당 재생 중에 상기 확대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이 다른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보다 더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시청자는 자신이 중점적으로 시청하거나 다시 확인하고자 하는 대상 또는 영역을 지정하여, 그 지정된 대상에 대해 과거 특정 시간으로부터 되돌려 재생되도록 함은 물론이고 해당 선택된 대상에 대해서만 화면상의 다른 객체와 달리 확대 표시가 되도록 할 수 있어서 다양한 시청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의 처리에 따라 시청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영상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각 신호는 한 번의 연결 등에 의해 전송되는 하나의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특정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일련의 신호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각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되거나 상대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전송되는 복수 개의 신호들이 편의상 하나의 신호명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100)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우선 본 실시예에서는 시청자들이 스포츠 경기를 생방송으로 시청하는 상황을 전제로 하는데, 이를 위해 방송 카메라(300)는 스포츠 경기장에 구비되어 경기 상황을 실시간 촬영하여 전송한다.
한편, 시청자들은 시청자 단말기(200)를 통해 스포츠 생방송을 시청하게 되는데, 여기서 시청자 단말기(200)는 셋탑박스를 포함하는 텔레비전과 같이 댁내에 구비된 장치일 수 있고, 스마트폰과 같이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일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방송 카메라(300)가 전송한 촬영 콘텐츠 즉,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중계 처리 하여 시청자 단말기(2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때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타임시프트 기능 수행을 위해 방송 카메라(300)로부터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일정 부분 녹화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시청자 단말기(200)를 조작하는 시청자의 각종 요청에 따라 전송 콘텐츠에 대한 처리를 각 시청자마다 개별적으로 수행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1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의 일 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사용자 요청 입력부(110), 객체 판단부(120), 확대 영역 설정부(130), 표시 제어부(140), 콘텐츠 수신부(150), 콘텐츠 저장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수신부(150)는 외부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방송 카메라(300)에 촬영된 촬영 콘텐츠를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간 방송 중개를 일 예로 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콘텐츠 수신부(150)가 별도로 필요하지만,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100)가 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시청자 단말기(200)에 제공하는 VOD 서비스 서버인 경우에는 이러한 콘텐츠 수신부(150)는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콘텐츠 저장부(1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수신부(150)에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때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전체는 저장할 수도 있고, 또는 그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일부(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 분량만큼)만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시청자 요청 입력부는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시청하는 시청자로부터 확대 대상 정보를 포함하는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이란, 현재 시청자가 시청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과거의 특정 시점으로 되돌려서 시청할 수 있도록 해 달라는 요청인데, 일명 '타임머신'기능이라고도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시청자가 실시간 방송 영상을 시청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으므로, 시청자가 현재 실시간 방송 영상을 시청하던 중에 이미 지나간 영상을 다시 보려고 하는 경우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확대 대상 정보는 시청자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중 선택한 영역 또는 선택한 위치에 대응되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청자가 시청자 단말기(200)에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화면상의 특정 위치를 터치하거나 또는 화면상의 특정 영역을 지정한 경우, 그 터치된 위치 또는 지정된 영역에 대한 정보가 확대 대상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확대 대상 정보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100)에 의해 확대 처리 되는 영역을 특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객체 판단부(120)는 시청자 요청 입력부에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이 입력된 경우, 그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에 포함된 확대 대상 정보를 기초로 현재 시청자가 시청하고 있던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포함된 특정 객체를 확대 대상 객체로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포함된 특정 객체는 동영상 분석을 통해 판단될 수 있는 것인데, 여기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는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야구 경기 방송 콘텐츠인 경우 특정 타자, 투수, 포수 등과 같은 야구 선수는 물론이고, 야구공, 베이스 등과 같은 사물에 해당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특정 타자의 특정 신체 부위(예를 들어 다리 또는 오른팔, 얼굴 등)가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포함된 각각의 객체에 해당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시청자가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시청하던 중에 특정 위치(예를 들어 날아가고 있는 야구공)를 터치한 경우, 객체 판단부(120)는 시청자가 현재 시청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및 시청자가 터치한 위치 등을 고려한 영상 분석 알고리즘을 통해서, 시청자가 현재 시청 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에서 야구공을 선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는데, 이때 날아가고 있는 야구공이 바로 확대 대상 객체에 해당하는 것이다.
확대 영역 설정부(130)는 객체 판단부(120)에서 판단된 확대 대상 객체를 기초로 확대 영역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예와 같이 날아가고 있는 야구공이 확대 대상 객체라고 판단한 경우 확대 영역 설정부(130)는 그 야구공을 포함하는 특정 영역을 확대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확대 영역이 정사각형으로 구성되는 경우, 확대 영역 설정부(130)는 야구공을 중심에 두고 그 야구공의 크기보다 20% 더 큰 정사각형 영역을 확대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20%'는 기 설정된 값일 수도 있고, 또는 시청자에 의해 지정되어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에 포함된 값일 수 있다. 물론 확대 영역이 확대 대상 객체와 동일한 형태 및 크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확대 영역은 화면상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적으로 그 위치나 크기가 변경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확대 영역 설정부(130)는 특정 과거 시간으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되는 중에 확대 대상 객체가 이동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확대 영역이 함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특정 객체가 이동하는지 여부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각 프레임에 대한 분석을 통해 판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처리에 따라 시청자는 화면상에서 움직이는 야구공을 따라서 확대 영역도 함께 이동되는 것을 볼 수 있게 된다.
즉, 확대 영역으로 설정된 부분의 영상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른 영역의 영상보다 더 확대된 상태로 시청자 단말기(200)에 표시되도록 처리될 수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확대 영역이 확대 대상 객체의 이동을 따라 함께 움직이는 경우, 시청자는 그 확대 대상 객체가 확대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확대 대상 객체와 구별되는 별도의 고정 영역에 확대 영역이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 확대 대상 객체와 함께 확대 영역이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확대 대상 객체 이외의 다른 객체가 해당 확대 영역으로 인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시청자는 확대 대상 객체에 시선을 고정하면서도 실제로는 확대 대상 객체에 대한 확대 영상을 시청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확대 영역 설정부(130)는 특정 과거 시간으로부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하는 중에 그 확대 대상 객체에 대한 줌인 또는 줌아웃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확대 영역을 동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카메라(300)가 야구공을 촬영하고 있는 경우, 야구공까지의 거리가 상당히 멀어지고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 화면상의 야구공의 크기는 일정하고 따라서 확대 영역 설정부(130)는 그 야구공의 화면상에서의 크기를 기준으로 확대 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방송 카메라(300)가 어느 순간 줌인을 하여 화면상에서 야구공의 크기가 커지는 경우에는 확대 영역 설정부(130)는 그 확대된 야구공의 크기를 기준으로 확대 영역의 크기를 재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시청자는 방송 카메라(300)의 줌인 또는 줌아웃 상황에서도 확대 대상 객체에 대한 적절한 확대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표시 제어부(140)는 방송 카메라(300)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시청자 단말기(200)에 전송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특히 시청자의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에 따라 특정 과거 시간으로부터 해당 시청 중인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하되, 그 재생 중에 확대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이 다른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보다 더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140)는 확대 영역 설정부(130)에 의해 설정된 확대 영역의 영상이 확대된 새로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한 후, 시청자 단말기(200)에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표시 제어부(140)는 기 설정된 시간만큼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되돌릴 수 있고, 또한 기 설정된 속도로 재생되도록 처리할 수 있는데, 물론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과거로 돌리는 시점과 재생하는 속도는 시청자에 의해 직접 지정되어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에 포함된 것일 수도 있다.
특히, 표시 제어부(140)는 확대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예를 들어 확대 영역에 포함된 영상)이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되는 화면 영역 내(일 예로 그 확대 영역이 존해하는 그 위치)에서 확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되는 화면 영역과는 구별되는 별도의 화면 영역에 그 확대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화면 영역 좌측에 배치되도록 하고, 확대 영역에 포함된 영상이 화면 영역 우측에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표시 제어부(140)는 확대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의 해상도가 다른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해상도 보다 더 증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콘텐츠 중 특정 영역의 부분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경우 동일한 해상도를 유지하게 되면 확대된 영상이 선명하지 않게 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표시 제어부(140)는 확대 영역에 포함된 영상에 대한 해상도 변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확대 영역에 포함된 영상에 대한 해상도 변경은 기 설정된 다양한 알고리즘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확대 영역에 포함된 영상에 대한 보간법 적용을 통해 해상도 변경을 처리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예와 같이 확대 영역 설정부(130)에 의해 설정된 확대 영역의 영상이 확대된 새로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생성하는 경우, 미리 그 확대 영역의 영상 이미지에 대해 보간법 등을 통해 해상도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100)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즉, 촬영 영상이 송수신 및 처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방송 카메라(300)가 촬영 영상을 전송하면(단계 S1),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이를 저장함(단계 S3)과 아울러 시청자 단말기(200)에 전송한다(단계 S5).
시청자 단말기(200)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촬영 영상을 표시하는데(단계 S7), 시청자가 특정 장면을 되돌려 보기 위해 타임 시프트 기능을 선택한 경우(단계 S9)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100)에 전송한다(단계 S11).
이때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 신호에는 사용자가 시청자 단말기(200) 상에서 지정한 특정 영역(즉, 확대하여 보기를 원하는 객체를 포함하는 영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청자는 촬영 영상의 재생을 일시 정지하고, 타구(날아가는 야구공)를 포함하는 특정 영역을 리모컨 또는 터치 입력 등을 통해 지정한 후, 타임 시프트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데, 이때 시청자 단말기(200)는 해당 촬영 영상에 대한 정보, 일시 정지가 된 프레임 정보, 시청자에 의해 지정된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촬영 영상에 대한 정보, 일시 정지된 프레임 정보 및 시청자가 해당 프레임 영상에서 지정한 영역 정보를 기초로 멀티미디어 콘텐츠 즉, 촬영 영상에 대한 분석을 하여 확대 대상 객체를 판단한다(단계 S13).
즉, 상술한 예에서는 시청자가 타구를 포함하는 영역을 지정하였으므로,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해당 영역 내에 포함된 타구를 확대 대상 객체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촬영 영상 내에서 특정 객체를 분석/판단하는 것은 각 프레임들 간의 비교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기술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판단된 확대 대상 객체를 포함하는 확대 영역을 설정하는데(단계 S15), 이때 확대 영역의 크기는 앞서 시청자가 지정한 영역의 크기와 같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기 구비된 알고리즘에 따라 해당 확대 대상 객체가 포함되도록 하는 적절한 크기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후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설정된 확대 영역의 영상은 다른 영역보다 확대되도록 하는 촬영 영상을 재 생성하는데(단계 S17), 상술한 예의 경우에는 타구가 촬영 영상 내에서 확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확대 대상 객체가 포함된 확대 영역을 추출한 후 확대 처리한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렇게 확대 처리된 이미지를 원 촬영 영상의 프레임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기 설정된 시간 또는 시청자에 의해 지정된 시간만큼 촬영 영상을 되돌리는데 이때 확대 영역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100)는 기 저장된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시간만큼 되돌리면서 그 확대 대상 객체가 포함된 확대 영역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시간이 되돌려진 촬영 영상을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100)가 시청자 단말기(200)로 전송하면(단계 S21), 시청자 단말기(200)는 이를 표시하게 되는데(단계 S23), 앞선 예의 경우 타구를 포함하는 확대 영역이 설정된 경우, 되돌려진 시점부터 재생될 때도 해당 타구가 확대 표시된 상태가 계속 유지되므로, 시청자는 타구의 과거 위치를 확인하면서도 그 타구가 확대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예를 들어 타구가 파울 라인을 넘었는지 등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5는 확대 대상 객체를 포함하는 확대 영역이 시청자 단말기(200) 상에서 표시되는 일 예들을 나타내고 있는데, 특히 배구 경기 영상에서 배구공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예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시청자에 의해 선택된 배구공(즉, 확대 대상 객체)을 포함하는 확대 영역이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5 이러한 확대 영역이 배구공의 이동과 함께 같이 이동하여 결국 배구공에 대한 확대 표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6은 확대 대상 객체인 배구공에 대해 방송 카메라(300)가 줌인 한 경우, 줌인에 따라 배구공의 크기가 커진 것을 반영하여 확대 영역 크기까지 비례적으로 커지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주로 야구공, 배구공과 같이 독립된 객체 전체를 확대 표시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선수들의 얼굴만을 확대 대상 객체로 판단하여 처리할 수도 있고, 이 경우 해당 선수가 이동한다 하여도 얼굴이 확대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
200 : 시청자 단말기 300 : 방송 카메라
110 : 사용자 요청 입력부 120 : 객체 판단부
130 : 확대 영역 설정부 140 : 표시 제어부
150 : 콘텐츠 수신부 160 : 콘텐츠 저장부

Claims (14)

  1. (a)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b)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시청하는 시청자로부터 확대 대상 정보를 포함하는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와;
    (c) 상기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에 포함된 확대 대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포함된 특정 객체를 확대 대상 객체로 판단하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에서 판단된 확대 대상 객체를 기초로 확대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에 따른 특정 과거 시간으로부터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하되, 해당 재생 중에 상기 확대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이 다른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보다 더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특정 과거 시간으로부터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 상기 확대 대상 객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확대 영역이 함께 이동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2. (a)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b)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시청하는 시청자로부터 확대 대상 정보를 포함하는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와;
    (c) 상기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에 포함된 확대 대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포함된 특정 객체를 확대 대상 객체로 판단하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에서 판단된 확대 대상 객체를 기초로 확대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에 따른 특정 과거 시간으로부터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하되, 해당 재생 중에 상기 확대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이 다른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보다 더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특정 과거 시간으로부터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 상기 확대 대상 객체의 줌인 또는 줌아웃 상황에 따라 상기 확대 영역의 크기를 동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되돌린 후, 상기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에 대응하는 속도로 재생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확대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의 해상도가 다른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해상도 보다 더 증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는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되는 화면 영역과는 구별되는 별도의 화면 영역에 상기 확대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8.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9.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시청하는 시청자로부터 확대 대상 정보를 포함하는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을 입력받는 시청자 요청 입력부와;
    상기 시청자 요청 입력부에 상기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이 입력된 경우, 상기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에 포함된 확대 대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시청자가 시청하고 있던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포함된 특정 객체를 확대 대상 객체로 판단하는 객체 판단부와;
    상기 객체 판단부에서 판단된 확대 대상 객체를 기초로 확대 영역을 설정하는 확대 영역 설정부와;
    상기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에 따른 특정 과거 시간으로부터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하되, 해당 재생 중에 상기 확대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이 다른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보다 더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대 영역 설정부는 상기 특정 과거 시간으로부터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 상기 확대 대상 객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확대 영역이 함께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
  10.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시청하는 시청자로부터 확대 대상 정보를 포함하는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을 입력받는 시청자 요청 입력부와;
    상기 시청자 요청 입력부에 상기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이 입력된 경우, 상기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에 포함된 확대 대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시청자가 시청하고 있던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포함된 특정 객체를 확대 대상 객체로 판단하는 객체 판단부와;
    상기 객체 판단부에서 판단된 확대 대상 객체를 기초로 확대 영역을 설정하는 확대 영역 설정부와;
    상기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에 따른 특정 과거 시간으로부터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하되, 해당 재생 중에 상기 확대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이 다른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보다 더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대 영역 설정부는 상기 특정 과거 시간으로부터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중 상기 확대 대상 객체의 줌인 또는 줌아웃 상황에 따라 상기 확대 영역의 크기를 동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
  11. 삭제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에 대응하는 시간만큼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되돌린 후, 상기 타임 시프트 처리 요청에 대응하는 속도로 재생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
  13.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확대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의 해상도가 다른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해상도 보다 더 증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
  14.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되는 화면 영역과는 구별되는 별도의 화면 영역에 상기 확대 영역에 대응되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 장치.
KR1020180028824A 2018-03-12 2018-03-12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제어방법 KR102063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824A KR102063495B1 (ko) 2018-03-12 2018-03-12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824A KR102063495B1 (ko) 2018-03-12 2018-03-12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501A KR20190107501A (ko) 2019-09-20
KR102063495B1 true KR102063495B1 (ko) 2020-01-08

Family

ID=68067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824A KR102063495B1 (ko) 2018-03-12 2018-03-12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4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638B1 (ko) * 2019-12-26 2021-04-01 주식회사 위트콘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620B1 (ko) * 2014-05-15 2014-11-07 (주)엠비씨플러스미디어 이벤트 장면 재구성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5856A (ko) 2008-03-06 2009-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콘텐츠 녹화/재생 장치 및 타임시프트 방법
KR20140092211A (ko) * 2013-01-15 2014-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디어 컨텐츠 재생 중에 가상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11249B1 (ko) * 2015-08-10 2021-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620B1 (ko) * 2014-05-15 2014-11-07 (주)엠비씨플러스미디어 이벤트 장면 재구성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501A (ko) 2019-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3345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 of sporting event presentation based on viewer engagement
JP7123523B2 (ja) 自動的にテレビ番組を制作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AU2003269448B2 (en) Interactive broadcast system
US8358907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927104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mersive viewing experience
US8537157B2 (en) Three-dimensional shape user interface for media content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US8279282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05828206A (zh) 多路视频点播方法和装置
US20070092220A1 (en) System for reproducing video
CN113014943A (zh) 一种视频播放方法、视频播放器及视频直播系统
US9992517B2 (en) Providing enhanced content based on user interactions
US9491447B2 (en) System for providing complex-dimensional content service using complex 2D-3D content file, method for providing said service, and complex-dimensional content file therefor
KR102063495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제어방법
US11587266B2 (en) Adding augmented reality to a sub-view of a high resolution central video feed
KR101511758B1 (ko) 여러 대의 액션캠 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버퍼관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재생장치
US20150150040A1 (en) Interactive audio/video broadcast system,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nd user device for operation in the interactive audio/video broadcast system
WO2016043238A1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10033759A (ko) Ai 기반 영상 자동 추적 및 재생장치와 방법
KR102279404B1 (ko) 콘텐츠 수신 및 재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5037290A (ja) 映像制御装置、映像表示装置、映像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124194B1 (ko) 영상분석을 위한 다채널 영상 전송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0811022B1 (ko) 방송카메라와 연동된 주문형 방송서비스방법
CN105681705A (zh) 一种视频投影方法和系统
JP5003458B2 (ja) 画像信号処理装置、表示装置、画像信号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191092B2 (ja) ストリーミング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