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1022B1 - 방송카메라와 연동된 주문형 방송서비스방법 - Google Patents

방송카메라와 연동된 주문형 방송서비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1022B1
KR100811022B1 KR1020060108046A KR20060108046A KR100811022B1 KR 100811022 B1 KR100811022 B1 KR 100811022B1 KR 1020060108046 A KR1020060108046 A KR 1020060108046A KR 20060108046 A KR20060108046 A KR 20060108046A KR 100811022 B1 KR100811022 B1 KR 100811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ing
broadcast
information
video
camer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8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일
Original Assignee
이원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일 filed Critical 이원일
Priority to KR1020060108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현장에서 다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동영상을 그대로 시청자에게 제공하여 시청자가 원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을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방송카메라와 연동된 주문형 방송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카메라와 연동된 주문형 방송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은 와이브로(WiBro:무선 휴대 인터넷)기술서비스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기술서비스로 상징되는 통신방송융합서비스(이하 "통방융합서비스"라 함)의 일환으로서, 예컨대 한 방송채널의 스포츠 생중계 동영상(이하 동영상이라 함은 '오디오'를 포함한 의미임)을 다양한 복수의 소스화면 그대로 주조종실을 경유해 시청자의 인터넷TV 또는 디지털 TV,DMB 휴대 단말기 등의 동영상 저장장치로 전송하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시청자는 리모콘 또는 버튼으로 화면 하단에 나타난 여러 종류의 축소동영상을 보고 자신이 선호하는 소동영상을 클릭, 확대하여 주화면과 부화면 등 수시로 2개 이상의 화면으로 동시 시간대에 보고 싶은 장면을 놓치지 않을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시청자 자신이 화면을 편집하여 더욱 재미있고 즐거운 시청을 그때마다 할 수 있게 된다.
방송채널, 방송카메라, 주문형 방송서비스

Description

방송카메라와 연동된 주문형 방송서비스방법{On-demand broadcasting service associated with cameras}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방송카메라와 연동된 주문형 방송서비스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개요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방송처리장치(2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방송처리장치(200)의 구성형태를 예시한 도면.
도4는 도1에 도시된 사용자 방송단말장치(300)의 요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5a와 도5b는 도4에 도시된 표시부(330)의 화면출력형태를 예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 : 방송카메라, 200 : 방송처리장치,
210 : 동영상 촬영정보수집부, 220 : 동영상 촬영정보편집부,
230 : 방송정보처리부, 300 : 사용자 방송단말장치,
310 : 방송정보수신부, 320 : 정보입력부,
330 : 표시부, 340 : 음성출력부,
350 : 방송출력제어부, 360 : 데이터메모리,
370 : 방송정보처리부.
본 발명은 촬영현장에서 다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동영상을 그대로 시청자에게 제공하여 시청자가 원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을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방송카메라와 연동된 주문형 방송서비스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청자는 지금까지 사실상 방송국이 보내주는 화면만을 아무 선택권없이 시청하고 있다.
예를 들면 중계화면 중 언듯 짧게 비춰주는 관중석의 어느 열성적인 응원장면을 계속 구경하는 것이 재미를 더 해 줄 것 같은데 중계카메라가 마음대로 엉뚱한 장면만 가끔씩 보여주고 있는데에 대해 아쉬움을 느껴본 시청자가 많을 것이다.
이는 화면의 선택권이 중계차 안의 연출자에게 있기 때문에 시청자는 연출자가 컷트(cut)해서 보내주는 화면만 볼 수 있게 됨으로써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시청자 중 스포츠, 예컨대 축구경기 매니아(mania)는 일반 시청자와는 달리 상대 골문앞 등의 상황을 수시로 눈여겨 보는 등 경기 관전의 수준이 달라, 되도록 많은 경기 정보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시청자는 연출자에 의해 미리 컷트된 동영상만을 시청할 수 있기 때문에 연출자가 컷트시키지 않는 이상 경기 판단의 중요한 순간정보를 놓치게 된다.
따라서, 시청자가 자신이 선호하는 장면들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더욱 즐겁게 시청할 수 있는 방송서비스가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복수의 방송카메라에서 촬영된 소스동영상을 시청자의 방송시청단말기로 제공하고, 이에 대해 시청자로부터 선택된 소스동영상이 방송시청단말기를 통해 방송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방송프로그램에 대해 시청자가 원하는 장면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방송시청을 보다 재미있게 즐길 수 있도록 해 주는 방송카메라와 연동된 주문형 방송서비스방법을 제공함에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카메라와 연동된 주문형 방송서비스방법은 중계방송프로그램을 포함한 생방송 및 녹화방송에 대한 방송프로그램을 위해 촬영현장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다수개의 방송카메라로 촬영현장을 촬영하는 제1 단계와, 다수개의 방송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다수개의 동영상정보를 방송처리장치로 제공하는 제2 단계, 방송처리장치에서 상기 방송카메라로부터 제공되는 다수개의 동영상촬영정보를 편집하여 편집동영상정보를 생성하고, 이 편집동영상정보와 상기 방송카메라로부터 제공되는 다수개 동영상촬영정보를 합성한 후, 이를 하나의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방송정보로서 방송단말장치로 송출하는 제3 단계 및, 방송단말장치에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제공되는 하나의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방송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한 화면상에 표시출력하되, 표시부를 통해 표시출력되는 다수의 동영상정보 중 시청자에 의해 선택된 동영상에 대해서는 확대하여 출력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하면 시청자는 하나의 방송프로그램에 대해 현장에서 촬영된 다수의 동영상정보 중 자신이 원하는 촬영 동영상을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됨으로써, 방송프로그램을 더욱 흥미롭고 현장감있는 체험영상으로 즐길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방송카메라와 연동된 주문형 방송서비스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 개요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방송카메라와 연동된 주문형 방송서비스시스템은 하나의 방송프로그램을 위해 촬영현장에 배치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서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는 다수의 방송카메라(100 : 1001 ~100N)와, 하나의 방송프로그램에 대해 각 방송카메라(100)로부터 제공되는 다수의 동영상촬영정보를 수집하여 송출하는 방송처리장치(200) 및, 방송처리장치(200)로부터 소정 통신망(1)을 통해 제공되는 동영상정보를 표시출력하는 사용자 방송단말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통신망(1)은 방송정보를 송출하는 각종 형태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 예컨대, 방송망이나, 위성망, 케이블망, 또는 IP망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방송단말장치(300)는 통신망(1)에 대응되는 형태의 각종 단말기 예컨대, 인터넷TV, 디지털TV, 휴대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처리장치(2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방송카메라(100)으로부터 각각 제공되는 다수의 카메라별 동영상촬영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동영상촬영정보수집부(210)와, 상기 동영상촬영수집부(210)로부터 제공되는 방송카메라별 동영상촬영정보를 편집하여 하나의 동영상편집정보를 생성하는 동영상촬영정보편집부(220) 및, 상기 동영상촬영정보수집부(210)와 상기 동영상촬영정보편집부(220)로부터 인가되는 동영상정보를 합성하여 하나의 방송프로그램정보로서 사용자방송단말기(300)로 송출하는 방송정보처리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축구나 야구 등과 같은 스포츠 중계방송의 경우 상기 방송처리장치(2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방송카메라(100)가 방송중계현장의 특정 위치에 고정 또는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각 방송카메라(100)의 동영상촬영정보(N)가 방송중계차에 구비된 방송 부조정실(200A)로 제공되며, 이 방송부조정실(200A)에서 생성된 방송정보(N+1)가 방송국 주조정실(200B)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방송카메라(100)는 포지션(position) 및 카메라워크(camara work)에 의해 설정된 기능에 따라 예컨대 취재용, 축구공 중심의 추적화면, 미드필드 추적, 축구장 전체 조망, 골문 앞 상황, 관중 응원장면 포착, 중계석 장면 등을 촬영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방송단말장치(300)는 TV나 컴퓨터, 휴대단말기 등 방송정보가 화면으로 표시 출력되는 표시부와, 음성출력부 및 상기 표시부 및 음성출력부를 통해 메인으로 출력될 동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정보입력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각종 형태의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도4는 상기 사용자 방송단말장치(300)의 요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럭구성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방송단말장치(300)는 방송처리장치(200)로부터 통신망(1)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정보를 수신하는 방송정보수신부(310)와, 이후에 설명할 표시부(330)를 통해 메인 표시출력될 동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패널이나 번호키 또는 리모콘 등의 형태로 구성되는 정보입력부(320), 방송정보가 화면으로 표시출력되는 표시부(330), 표시부(330)를 통해 표시출력되는 화면에 대응되는 음성정보가 출력되는 음성출력부(340), 상기 표시부(330) 및 음성출력부(340)로 출력되는 방송출력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방송출력제어부(340), 본 발명에 따른 방송정보 출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프로그램과 이후에 설명할 방송정보처리부(370)로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메모리(360) 및, 상기 방송정보수신부(310)로부터 제공되는 방송정보를 표시부(330) 및 음성출력부(34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정보입력부(320)로부터 인가되는 동영상선택정보를 근거로 상기 표시부(330)의 화면출력 영상 및 음성출력부(340)의 출력음성을 변경시키도록 제어하는 방송정보처리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330)는 기본적으로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출력화면(331)와 해당 방송프로그램에 대해 방송처리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다수의 동영상정보가 축소된 형태로 표시출력되는 부출력화면(33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주출력화면(331)은 PIP기능이 지원되어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예컨대 제1 내지 제3 주출력화면(3311,3312,3313)으로 분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출력화면(332)은 해당 방송프로그램을 위해 촬영을 행한 다수, 예컨대 N개의 방송카메라(100)별 동영상정보와 1개의 편집동영상정보로 구성된 N+1개의 화면(3320 ~ 332N)으로 구성되고, 이 각 화면에 대해서는 식별번호(0~N)를 부여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화면의 선택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방송카메라와 연동된 주문형 방송서비스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 방송단말장치(30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이는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제공사 또는 방송국으로부터 다운받거나 또는 방송단말장치(300)의 제조시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하나의 방송프로그램을 위해 N개의 방송카메라(100)가 촬영현장에 배치된다. 특히, 스포츠 중계의 경우 그 기능에 따라 방송카메라(100)가 고정 설치되거나 또는 방송기사에 의해 움직이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N개의 방송카메라(100)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은 방송처리장치(200)의 동영상 촬영정보 수집부(210)로 제공된다. 동영상 촬영정보수집부(210)는 카메라별 N개의 동영상촬영정보를 동영상 촬영정보편집부(220) 및 방송처리부(230)로 제공한다. 동영상 촬영정보편집부(220)는 동영상 촬영정보 수집부(210)로부터 제공되는 N개의 동영상촬영정보를 편집하여 하나의 동영상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방송정보처리부(230)로 제공한다. 방송정보처리부(230)는 해당 방송프로그램에 대해 N+1개 식별코드(0~N)별 동영상정보를 방송정보로서 송출한다. 이때, N+1개의 동영상정보는 하나의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1개의 편집동영상(식별코드 "0")과 N개 방송카메라(100)에 대응되는 N개의 동영상촬영정보(식별코드 "1~N")이다.
상기 방송처리부(230)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정보는 통신망(1)을 통해 시청자의 사용자 방송단말장치(300)로 제공된다. 즉, 시청자에 의해 사용자 방송단말장치(300)를 통해 방송채널이 선택되면, 해당 방송채널에서 제공되는 방송프로그램이 표시부(330)를 통해 표시출력된다. 예컨대,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화면이 표시부(330)로 출력된다. 또한, 사용자 방송단말장치(300)는 표시부(330)의 주출력화면(331)에 대응되는 음성이 음성출력부(340)를 통해 음성출력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시청자는 방송단말장치(300)의 정보입력부(320)를 이용하여 표시부(330)의 부출력화면(332)에 표시출력된 N+1개의 화면 중 임의 화면, 예컨대 "4"를 선택하여 "4"에 해당하는 동영상이 주출력화면(331)을 통해 출력되도록 변경설정할 수 있다. 즉, 축구 중계방송프로그램 시청시 시청자는 자신이 원하는 위치의 동영상, 예컨대 골문앞이나 관중석 또는 중계석을 임의로 설정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청자는 방송단말장치(300)의 정보입력부(320)를 조작하여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출력화면(331)으로 다수, 예컨대 3개의 동영상이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시청자는 축구 골문과 관중석 및 중계석을 동시에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현장에서 촬영된 다수의 동영상정보가 사용자 방송단말장치로 제공되고, 시청자는 사용자 방송단말장치를 이용하여 해당 방송프로그램에 대해 자신이 원하는 촬영 동영상을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시청자는 각종 방송프로그램, 예컨대 스포츠 중계방송 또는 음악회 프로그램, 연예 프로그램 등을 더욱 흥미롭고 현장감있는 체험영상으로 즐길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시청자의 사용자 방송단말장치(300)와 방송처리장치(200)가 양방향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예컨대, 사용자 방송단말장치(300)로 부터의 요구에 따라 방송처리장치(200)에서 방송카메라(100)의 촬영상태를 변동시키고, 이에 따른 방송정보를 사용자 방송단말장치(300)로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시청자는 하나의 방송프로그램에 대해 현장에서 촬영된 다수의 동영상정보 중 자신이 원하는 촬영 동영상을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됨으로써, 방송프로그램을 더욱 흥미롭고 현장감있는 체험영상으로 즐길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중계방송프로그램을 포함한 생방송 및 녹화방송에 대한 방송프로그램을 위해 촬영현장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다수개의 방송카메라로 촬영현장을 촬영하는 제1 단계와,
    다수개의 방송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다수개의 동영상정보를 방송처리장치로 제공하는 제2 단계,
    방송처리장치에서 상기 방송카메라로부터 제공되는 다수개의 동영상촬영정보를 편집하여 편집동영상정보를 생성하고, 이 편집동영상정보와 상기 방송카메라로부터 제공되는 다수개 동영상촬영정보를 합성한 후, 이를 하나의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방송정보로서 방송단말장치로 송출하는 제3 단계 및,
    방송단말장치에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제공되는 하나의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방송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한 화면상에 표시출력하되, 표시부를 통해 표시출력되는 다수의 동영상정보 중 시청자에 의해 선택된 동영상에 대해서는 확대하여 출력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카메라와 연동된 주문형 방송서비스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60108046A 2006-11-03 2006-11-03 방송카메라와 연동된 주문형 방송서비스방법 KR100811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046A KR100811022B1 (ko) 2006-11-03 2006-11-03 방송카메라와 연동된 주문형 방송서비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046A KR100811022B1 (ko) 2006-11-03 2006-11-03 방송카메라와 연동된 주문형 방송서비스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1022B1 true KR100811022B1 (ko) 2008-03-11

Family

ID=39397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8046A KR100811022B1 (ko) 2006-11-03 2006-11-03 방송카메라와 연동된 주문형 방송서비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10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2057A1 (en) * 2007-12-24 2009-07-02 Won Il Le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broadcasting services in connection with video camera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356A (ko) * 2001-02-06 2001-05-07 곽병준 인터넷을 통한 스포츠 생중계 디지탈 시스템, 이를 이용한스포츠 생중계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10045817A (ko) * 1999-11-08 2001-06-05 구자홍 티브이 화면 출력 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73814A (ko) * 2000-01-20 2001-08-03 이근중 공연 실황을 중계하는 인터넷 방송 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18216A (ko) * 2000-09-01 2002-03-08 김한용 축구 경기 시청을 위한 디지털 방송 송출 시스템과 방법및 축구 경기 시청용 텔레비젼 수상기
KR20020050903A (ko) * 2000-12-22 2002-06-28 장효상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방송, 다자간 화상 회의,채팅서비스 제공 방법
KR20050073012A (ko) * 2004-01-08 2005-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앵글 방송의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5817A (ko) * 1999-11-08 2001-06-05 구자홍 티브이 화면 출력 방법 및 그 장치
KR20010073814A (ko) * 2000-01-20 2001-08-03 이근중 공연 실황을 중계하는 인터넷 방송 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18216A (ko) * 2000-09-01 2002-03-08 김한용 축구 경기 시청을 위한 디지털 방송 송출 시스템과 방법및 축구 경기 시청용 텔레비젼 수상기
KR20020050903A (ko) * 2000-12-22 2002-06-28 장효상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방송, 다자간 화상 회의,채팅서비스 제공 방법
KR20010035356A (ko) * 2001-02-06 2001-05-07 곽병준 인터넷을 통한 스포츠 생중계 디지탈 시스템, 이를 이용한스포츠 생중계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50073012A (ko) * 2004-01-08 2005-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앵글 방송의 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82057A1 (en) * 2007-12-24 2009-07-02 Won Il Le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broadcasting services in connection with video camer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8320B1 (ko) 방송망내의 대화형 애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AU2003269448B2 (en) Interactive broadcast system
KR101128848B1 (ko) 멀티 앵글 모바일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 및방법
CN111355966A (zh) 环绕自由视角直播方法及系统
JP2007150747A (ja) 受信装置及び本線映像配信装置
KR20090068711A (ko) 방송카메라와 연동된 주문형 방송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80176628A1 (en) Information device and display processing method
US8767067B2 (en) Broadcasting system, sending apparatus and sending method, receiving apparatus and receiving method, and program
JP2011082982A (ja) マルチアングル放送サービスの提供システム
KR100328482B1 (ko) 인터넷을 통한 중계방송 시스템
KR101164001B1 (ko) 방송 영상의 선택 시청 기능을 제공하는 iptv 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811022B1 (ko) 방송카메라와 연동된 주문형 방송서비스방법
JP2002165200A (ja) 遠隔観戦サービスシステム
JPH11261884A (ja) パノラマ映像放送方法および放送受信装置
US20150150040A1 (en) Interactive audio/video broadcast system,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nd user device for operation in the interactive audio/video broadcast system
KR20190107501A (ko)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제어방법
JP2008539636A (ja) マルチチャネルテレビ番組を受信する方法及び機器
KR100767873B1 (ko) 영상표시기기의 영상 선택장치 및 방법
KR20160062974A (ko) 개인방송용 게임 중계방송컨텐츠 제공시스템
CN117939183A (zh) 多机位自由视角导播方法、系统
KR2015008285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JPH09298730A (ja) ケーブルテレビにおける番組放送方式
KR20150051044A (ko) 화면분할을 통한 멀티앵글영상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9021695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デジタル放送録画装置、送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