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2859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2859A
KR20150082859A KR1020140002326A KR20140002326A KR20150082859A KR 20150082859 A KR20150082859 A KR 20150082859A KR 1020140002326 A KR1020140002326 A KR 1020140002326A KR 20140002326 A KR20140002326 A KR 20140002326A KR 20150082859 A KR20150082859 A KR 20150082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amera
cameras
information
prov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훈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2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2859A/ko
Publication of KR20150082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8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7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for transmitting client requests to a VOD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전송되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 중 서로 다른 촬영 조건을 가지는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생성되는 제 1 콘텐츠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제 1 콘텐츠를 생성한 복수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카메라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받은 카메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제공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상기 선택된 카메라를 통해 생성된 제 1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제 1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TV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다. 디지털 TV 서비스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서비스에서는 제공할 수 없었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TV 서비스의 한 종류인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시청 프로그램의 종류, 시청 시간 등을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양 방향성을 제공한다. IPTV 서비스는 이러한 양 방향성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 예컨대 인터넷 검색, 홈쇼핑, 온라인 게임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인터넷과 TV의 융합이 이루어지고, 또한 스마트 기기와 통신 기술의 발달로 단방향의 TV에서 사용자의 참여를 이끄는 양방향 통신에 대한 사용자 욕구가 강해지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일정 사용료를 결제한 후에 이용할 수 있는 현장 중계 방송과 같은 콘텐츠는 일정 비용을 지불함에도 불구하고, 주관 방송사의 일방적인 화면만을 시청해야 하며, 자신이 원하는 부분만을 촬영한 영상이나, 자신이 원하는 앵글로 촬영한 영상을 시청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 예는, 사용자의 자유로운 콘텐츠 선택이 가능하도록 한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제안되는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전송되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 중 서로 다른 촬영 조건을 가지는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생성되는 제 1 콘텐츠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제 1 콘텐츠를 생성한 복수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카메라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받은 카메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제공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상기 선택된 카메라를 통해 생성된 제 1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제 1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콘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촬영 조건 정보 및 상기 촬영 조건에 의해 상기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각각 생성되는 미리 보기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촬영 조건은, 카메라의 촬영 각도이며,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각각은, 촬영 대상에 대하여, 기설정된 촬영 각도로 상기 촬영 대상을 촬영하여 상기 제 1 콘텐츠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촬영 조건은, 중심 객체이며,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각각은, 상기 제 1 콘텐츠 내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기할당된 특정 객체를 중심으로 상기 제 1 콘텐츠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선택된 카메라의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변경된 카메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제공자로 전송하여, 상기 변경된 카메라를 통해 생성된 제 1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각각 설정된 촬영 조건을 제외한 다른 촬영 조건이 요청되면, 상기 요청된 다른 촬영 조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제공자로 전송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콘텐츠 제공자는, 상기 다른 촬영 조건의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변경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제공자는, 미라캐스트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의 생성 및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콘텐츠 제공자와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전송되는 콘텐츠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를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처리부를 통해 신호 처리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 중 서로 다른 촬영 조건을 가지는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생성되는 제 1 콘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제 1 콘텐츠를 생성한 복수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카메라를 선택받고, 상기 선택받은 카메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제공자로 전송하며, 상기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상기 선택된 카메라를 통해 생성된 제 1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콘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촬영 조건 정보 및 상기 촬영 조건에 의해 상기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각각 생성되는 미리 보기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촬영 조건은, 카메라의 촬영 각도이며,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각각은, 촬영 대상에 대하여, 기설정된 촬영 각도로 상기 촬영 대상을 촬영하여 상기 제 1 콘텐츠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촬영 조건은, 중심 객체이며,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각각은, 상기 제 1 콘텐츠 내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기할당된 특정 객체를 중심으로 상기 제 1 콘텐츠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카메라의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변경된 카메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제공자로 전송하여, 상기 변경된 카메라를 통해 생성된 제 1 콘텐츠가 수신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각각 설정된 촬영 조건을 제외한 다른 촬영 조건이 요청되면, 상기 요청된 다른 촬영 조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제공자로 전송하며, 상기 다른 촬영 조건의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의 촬영 조건이 변경되도록 한다.
실시 예는,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다중 각도 영상 또는 다중 객체 영상을 생성하고, 이 중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각도 영상 또는 특정 객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나은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자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자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 리스트 화면을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 부가 정보 화면을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표시되는 콘텐츠 재생 화면을 보여준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 부가 정보 화면을 보여준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대해서 기술하여 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 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 두고자 한다.
즉,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어 '포함하는'은 열거된 것과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네트워크를 이용해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네트워크 운영자(300),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제공자(CP : Contents Provider)(300),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10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네트워크 예컨대, 인터넷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 운영자(3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콘텐츠 제공자(200)가 제공하는 콘텐츠들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기반 소프트웨어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자(200)에게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콘텐츠가 정상적으로 실행되기 위해 필요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하드웨어 정보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 운영자(300)는 콘텐츠 제공자(200)들이 제공한 콘텐츠들을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제공할 때 필요한 기본 화면 프레임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콘텐츠를 선택하거나, 다양한 명령을 입력하거나, 그에 따른 출력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3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운영자(3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조자와 동일 주체일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자(200)는 네트워크상에서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재생가능한 포맷으로 구성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콘텐츠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될 수 있는 임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자(200)가 제공하는 콘텐츠는 콘텐츠 제공자(200)가 인터넷을 통해 직접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제공할 수도 있고, 네트워크 운영자(300)를 거쳐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제공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에는 콘텐츠 제공자(200) 별로 콘텐츠의 재생, 검색, 목록의 표시 등을 하기 위한 전용 펌웨어가 장착될 수 있다. 펌웨어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조 과정 중에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설치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사용 중에 콘텐츠 제공자(200)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300)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의 펌웨어는 콘텐츠 제공자(200)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재생 또는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펌웨어는 콘텐츠 제공자(200)가 제공하는 콘텐츠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콘텐츠 제공자(200)가 VOD 사업자인 경우는 펌웨어는 VOD 재생 프로그램일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자(200)가 AOD, MOD 사업자인 경우에는 AOD, MOD 재생 프로그램일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자(200)가 화상 전화 사업자인 경우에는 화상 전화 프로그램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콘텐츠 제공자(200)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 또는 실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네트워크 모듈이 장착된 TV, 셋톱박스 등의 방송 수신 장치, 네트워크용 전화기 등 네트워크 모듈이 장착된 임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방송 수신 기능이 있는 방송 수신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임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제공자(2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제공될 각종 콘텐츠를 만들거나 또는 배포하는 사업자일 수 있다. 콘텐츠 제공자(200)는 TV 방송국, 라디오 방송국, VOD 사업자, AOD 사업자, 게임 사업자,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자, 날씨 정보 제공자, 사진 관련 서비스 제공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V 방송국은 기존의 지상파나 케이블 방송국을 의미하며, 이러한 방송국은 사용자들이 시청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저장하고 이를 디지털로 바꾸어서 전송할 수 있다.
라디오 방송국은 오디오 콘텐츠를 제공하며, 비디오 콘텐츠와 함께 또는 비디오 콘텐츠 없이 오디오 콘텐츠만을 제공할 수 있다.
VOD 사업자 및 AOD 사업자는 TV 방송국이나 라디오 방송국과는 다른 특성을 가진다. 즉, VOD나 AOD의 경우에는 내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 혹은 영화, 음악 들을 저장해 놓고 나서 재생하여 볼 수 있도록 서비스해준다. 예를 들어, 현재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는 시간이 없어서 제대로 보지 못했던 방송 프로그램이 있는 경우, 이러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해서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받거나 바로 재생을 해서 볼 수 있다.
AOD 사업자는 오디오 콘텐츠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MOD(Music On Demand) 서비스 제공자는 내가 원하는 음악을 다운로드 받아서 들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화상 전화 사업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자와 화상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날씨 정보 제공자는 여러 지역의 날씨 정보를 제공해주며, 사진 관련 서비스 제공자는 사진을 편집 및 저장하는 툴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콘텐츠 제공자(200)는 PF(Packet Filter) 서버, EPG 서비스 제공자, ECG(Electronic Content Guide) 서비스 업자, 포털 서버(Portal Server) 운영자 등 인터넷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서버 운영자일 수 있다.
PF 서버는 콘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모든 방송 정보와 로케이션 정보 등을 대신 관리해주는 업체가 서비스를 한다. 이 서비스는 주로 해당 방송국의 방송 시간이나 방송에 필요한 위치 정보 및 사용자가 접속을 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EPG 서비스는 방송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시간대 별로 조회하고, 채널별로 파악할 수 있도록 EPG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ECG 서비스는 콘텐츠 제공자가 가지고 있는 콘텐츠의 정보와 접속 서버의 위치 및 접근 권한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콘텐츠를 가지고 있는 서버들을 쉽게 접속하도록 하는 기능과 콘텐츠의 정보를 상세하게 알려 주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일 수 있다.
포털 서버는 각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웹서비스로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면 방송국이나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업체의 웹서버로 연결할 수 있다. 포털 서버의 역할은 각 방송국이나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자들이 제공하는 프로그램 리스트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기본적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고, IP 어드레스를 할당받아서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패킷을 받아 처리하며, 데이터 패킷이 비디오, 오디오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경우에는 저장하거나 재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면서 양방향으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전송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 또는 조작 버튼 등의 사용자 입력부에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들, 즉 다양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들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자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자의 구성도이다.
먼저, 콘텐츠 제공자는 콘텐츠를 저장하고, 사용자 접속 및 요청에 의해 상기 저장하고 있는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를 기본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를 생성하는 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콘텐츠 제공자는 카메라(210), 카메라 선택부(220) 및 통신 모듈(230)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콘텐츠 제공자에게서 제공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일 수 있으나, 아래에서는 생중계로 제공되는 콘텐츠임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상기 생중계로 제공되는 콘텐츠뿐 아니라, 영화 콘텐츠, 음악 콘텐츠, 녹화중계 콘텐츠 등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것이다.
카메라(210)는 콘텐츠 생성을 위하여, 기설정된 촬영 범위의 객체를 촬영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210)는 제 1 카메라(211), 제 2 카메라(212) 및 제 3 카메라(2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카메라(210)가 3개로 구성된다고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상기 카메라의 수는 더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 1 내지 3 카메라(211, 212, 213)는 서로 동일한 타이틀을 가지는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때, 상기 제 1 내지 3 카메라(211, 212, 213)는 서로 다른 촬영 조건을 가지고 상기 콘텐츠 생성을 위한 촬영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의 촬영 조건은 촬영 각도일 수 있다.
즉, 제 1 카메라(211)는 제 1 촬영 각도를 가지고 제 1 콘텐츠를 생성하고, 제 2 카메라(212)는 제 2 촬영 각도를 가지고 제 1 콘텐츠를 생성하며, 제 3 카메라(213)는 제 3 촬영 각도를 가지고 제 1 콘텐츠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제 1 콘텐츠는 축구 중계 콘텐츠, 예를 들어, "2014년 월드컵 A팀과 B팀 경기의 생중계 방송"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내지 3 카메라(211, 212, 213)는 상기 동일한 A팀과 B팀 경기의 중계를 위한 제 1 콘텐츠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제 1 내지 3 카메라(211, 212, 213)는 서로 다른 촬영 각도를 가지고 상기 "2014년 월드컵 A팀과 B팀 경기의 생중계 방송"을 위한 제 1 콘텐츠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카메라(211)는 운동장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된 상측에서 상기 제 1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고, 제 2 카메라(212)는 운동장의 좌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 3 카메라(213)는 운동장의 우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내지 3 카메라(211, 212, 213)는 서로 다른 촬영 각도로 객체를 촬영하여, 각각 제 1 콘텐츠를 생성한다.
카메라 선택부(220)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210) 중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할 특정 카메라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통해 제 1 콘텐츠의 시청을 원하는 요청이 있으면, 상기 카메라 선택부(220)는 상기 제 1 콘텐츠를 생성하는 복수의 카메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즉, 상기 제 1 콘텐츠가 서로 다른 촬영 각도를 가지는 3대의 카메라를 통해 생성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선택부(220)는 상기 3대의 카메라에 대한 정보 및 상기 3대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의 미리 보기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카메라 선택부(220)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통신 모듈(230)로 전송한다.
통신 모듈(230)은 상기 복수의 카메라(210)와 연결되며, 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 다시 말해서 특정 촬영 각도에 의해 촬영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때, 통신 모듈(230)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와 직접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생성된 콘텐츠를 별도의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서버에 상기 콘텐츠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230)은 콘텐츠의 무선 전송이 가능한 모듈이며, 바람직하게 미라캐스트 모듈(MiraCast module)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는 서로 다른 촬영 각도를 가지는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생성되며, 이에 따라 콘텐츠 제공자(2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특정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한다.
이와 다르게,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서로 다른 촬영 각도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객체를 중심으로 콘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축구 경기의 생중계를 위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경우, 하나의 카메라는 운동장을 중심으로 제 1 콘텐츠를 생성하고, 다른 하나의 카메라는 관중석을 중심으로 제 1 콘텐츠를 생성하며, 또 다른 하나의 카메라는 선수 대기실을 중심으로 제 1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 1 콘텐츠 내에는 다수의 객체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객체는 상기 제 1 콘텐츠의 내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상기 제 1 콘텐츠 내에 포함되는 다수의 객체 중 어느 하나의 객체를 중심으로 콘텐츠를 생성한다.
그리고, 통신 모듈(230)은 디스플레이장치(100)를 통해 특정 객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객체를 중심으로 촬영되고 있는 카메라를 선택하고, 그에 따라 상기 선택된 카메라를 통해 생성된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콘텐츠 제공자(200)는 복수의 카메라가 아닌 한대의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와는 다르게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촬영 조건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구동시키는 카메라 회전부(240) 및 이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250)가 구비된다.
상기 카메라는 하나의 콘텐츠별로 각각 할당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카메라는 사용자별로 각각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콘텐츠 제공자(200)의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가 3명인 경우, 상기 카메라는 적어도 3대 이상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3개의 카메라는 상기 3명의 사용자별로 각각 할당되게 된다.
그리고, 카메라 회전부(240)는 상기 할당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카메라(210)의 촬영 조건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210)는 디폴트의 촬영 조건에 따라 제 1 콘텐츠를 생성하며, 통신 모듈(230)은 상기 제 1 콘텐츠를 제 1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 모듈(230)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제 1 콘텐츠의 생성 조건, 다시 말해서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의 변경 요청이 있다면, 상기 변경 요청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250)에 전달한다.
제어부(250)는 상기 변경 요청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조건으로 상기 제 1 콘텐츠의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카메라 회전부(24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
카메라 회전부(240)는 상기 제어부(25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콘텐츠를 생성하고 있는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변경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촬영 조건은 상기 카메라의 촬영 각도일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객체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카메라가 제 1 사용자에게 할당된 경우, 상기 카메라는 디폴트 조건으로 상기 제 1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콘텐츠는 상기 제 1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콘텐츠의 전송과 함께, 상기 콘텐츠의 정보 및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 변경을 위한 부가 정보들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될 수 있는 촬영 각도나, 객체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사용자에 의해 특정 촬영 각도나 객체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카메라 회전부(240)는 상기 선택된 촬영 각도로 상기 카메라(210)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상기 선택된 객체를 중심으로 상기 카메라(210)에 의해 상기 콘텐츠가 생성되도록 상기 카메라(2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콘텐츠는 실시간으로 촬영되고 있는 영상이라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상기 콘텐츠는 상기와 같은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서로 다른 촬영 조건에 의해 미리 생성되어 서버에 저장된 영상일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콘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콘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콘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콘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콘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콘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상기 콘텐츠 제공자(300)의 서버에 접속하고, 그에 따라 상기 콘텐츠 제공자(300)로부터 전송되는 콘텐츠 및 이의 부가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특정 제어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제공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콘텐츠 제공자(300)를 통해 제공되는 특정 콘텐츠의 생성을 위한 카메라의 촬영 조건 정보일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 키, 채널 키, 볼륨 키, 설정 키 등의 로컬 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콘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콘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콘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콘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콘텐츠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의 제어부(17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통해 특정 콘텐츠 제공자(200)에서 제공되는 방송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방송 서버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의 선택, 수신 및 디스플레이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상기 특정 콘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콘텐츠의 생성 조건, 다시 말해서 상기 콘텐츠를 생성하는 카메라의 촬영 조건에 대한 부가 정보들을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상기 출력되는 부가 정보 중 어느 하나의 부가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부가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통해 콘텐츠 제공자(200)에게 전송한다.
이어서, 제어부(170)는 상기 전송한 부가 정보에 의해 생성되는 콘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디스플레이 방법을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다수의 콘텐츠 제공자(200)에 의해 제공되는 서버 중 사용자 선택에 따른 특정 콘텐츠 제공자(200)로부터 제공되는 서버에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100단계).
제어부(170)는 상기 서버에 접속되면, 상기 접속한 서버에서 제공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콘텐츠를 선택받는다(110단계). 이하에서는, 상기 선택된 콘텐츠가 자동차 레이스 중계 방송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제 1 콘텐츠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 리스트 화면을 보여준다.
도 6을 참조하면, 콘텐츠 리스트 화면에는 현재 접속한 서버의 정보(예를 들어, 제 1 방송 서버)가 표시되며, 이와 함께 상기 접속한 서버에서 제공하고 있는 콘텐츠들의 정보가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표시되는 콘텐츠들의 정보 중 시청을 원하는 어느 하나의 특정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상기와 같이 표시되는 콘텐츠 리스트 화면상에서 제 1 콘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제 1 콘텐츠를 생성하는 복수의 카메라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대한 미리 보기 영상을 수신한다(120단계).
즉, 상기 제 1 콘텐츠는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서로 다른 촬영 각도를 가지며, 상기 자동차 레이스 경기를 촬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텐츠 제공자(200)는 특정 사용자의 접속이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한 사용자로부터 제 1 콘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제 1 콘텐츠의 생성에 이용되고 있는 카메라의 정보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생성되는 영상에 대한 미리 보기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의 정보는 복수의 카메라에 각각 할당되는 카메라 고유 번호일 수 있으며, 여기에 더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각각에 대한 촬영 각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 정보 및 미리 보기 영상이 수신되면,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80)에 디스플레이한다(130단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 부가 정보 화면을 보여준다.
도 7을 참조하면, 콘텐츠 부가 정보 화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의 정보 및 상기 콘텐츠를 생성하는 카메라들에 대한 정보들이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콘텐츠 부가 정보 화면에는 상기 카메라들을 통해 생성되는 미리 보기 영상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상기 미리 보기 영상을 보면서, 자신이 원하는 촬영 각도로 촬영된 제 1 콘텐츠를 쉽게 선택할 수 있다.
즉, 도 7을 보면, 제 1 콘텐츠는 6대의 카메라를 통해 생성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6대의 카메라 중 카메라 1은 자동차의 측면을 중심으로 제 1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촬영 각도를 가진다. 그리고, 카메라 2는 자동차의 상면 및 좌측면을 중심으로 제 1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촬영 각도를 가진다. 그리고, 카메라 3은 자동차의 상면을 중심으로 제 1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촬영 각도를 가진다. 그리고, 카메라 4는 자동차의 후면 및 상면을 중심으로 제 1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촬영 각도를 가진다. 그리고, 카메라 5는 자동차의 후면을 중심으로 제 1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촬영 각도를 가진다. 그리고, 카메라 6은 자동차의 우측면 및 후면을 중심으로 제 1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촬영 각도를 가진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상기 표시되는 콘텐츠 부가 정보 화면을 통해 다수의 카메라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가 선택받는다(140단계). 이때, 제어부(170)는 상기 6대의 카메라 중 카메라 1을 선택받을 수 있다.
상기 카메라 1이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상기 선택된 카메라 1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한다(150단계). 콘텐츠 제공자(200)는 상기와 같은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 1 콘텐츠를 생성하고 있는 6대의 카메라 중 카메라 1을 통해 생성된 제 1 콘텐츠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제 1 콘텐츠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상기 전송되는 제 1 콘텐츠, 다시 말해서 상기 선택된 카메라 1을 통해 생성된 제 1 콘텐츠를 수신하고(160단계), 상기 수신한 제 1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180)에 디스플레이한다(170단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표시되는 콘텐츠 재생 화면을 보여준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80)에는 상기 6대의 카메라를 통해 각각 생성되는 콘텐츠 중 카메라 1을 통해 생성된 제 1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디스플레이 방법을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다수의 콘텐츠 제공자(200)에 의해 제공되는 서버 중 사용자 선택에 따른 특정 콘텐츠 제공자(200)로부터 제공되는 서버에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200단계).
제어부(170)는 상기 서버에 접속되면, 상기 접속한 서버에서 제공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수신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된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콘텐츠를 선택받는다(210단계). 이하에서는, 상기 선택된 콘텐츠가 자동차 레이스 중계 방송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제 1 콘텐츠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70)는 제 1 콘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제 1 콘텐츠를 생성하는 복수의 카메라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 대한 미리 보기 영상을 수신한다(220단계). 이때, 상기 복수의 카메라 정보는 상기 제 1 실시 예와는 다르게 카메라의 촬영 각도 정보가 아닌 카메라의 촬영 대상 정보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콘텐츠는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카메라는 서로 다른 촬영 대상(객체)을 중심으로 촬영하여, 상기 자동차 레이스 경기를 촬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텐츠 제공자(200)는 특정 사용자의 접속이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한 사용자로부터 제 1 콘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제 1 콘텐츠의 생성에 이용되고 있는 카메라의 정보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생성되는 영상에 대한 미리 보기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의 정보는 복수의 카메라에 각각 할당되는 카메라 고유 번호일 수 있으며, 여기에 더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각각에 대한 촬영 대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 정보 및 미리 보기 영상이 수신되면,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80)에 디스플레이한다(230단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 부가 정보 화면을 보여준다.
도 10을 참조하면, 콘텐츠 부가 정보 화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의 정보 및 상기 콘텐츠를 생성하는 카메라들에 대한 정보들이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콘텐츠 부가 정보 화면에는 상기 카메라들을 통해 생성되는 미리 보기 영상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상기 미리 보기 영상을 보면서, 자신이 원하는 객체를 중심으로 촬영된 제 1 콘텐츠를 쉽게 선택할 수 있다.
즉, 도 10을 보면, 제 1 콘텐츠는 6대의 카메라를 통해 생성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6대의 카메라 중 카메라 1은 객체 1을 중심으로 제 1 콘텐츠를 생성하고. 그리고, 카메라 2는 객체 2를 중심으로 제 1 콘텐츠를 생성하며, 카메라 3은 객체 3을 중심으로 제 1 콘텐츠를 생성하고, 카메라 4는 객체 4를 중심으로 제 1 콘텐츠를 생성하며, 카메라 5는 객체 5를 중심으로 제 1 콘텐츠를 생성하고, 카메라 6은 객체 6을 중심으로 제 1 콘텐츠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객체 1 내지 6은 상기 자동차 레이스에 참여한 각각의 자동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6대의 자동차가 자동차 레이스에 참여한 경우, 상기 6개의 카메라는 서로 다른 자동차를 중심으로 제 1 콘텐츠를 생성하게 된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상기 표시되는 콘텐츠 부가 정보 화면을 통해 다수의 객체 정보 중 어느 하나의 객체를 선택받는다(240단계).
제어부(170)는 상기 선택된 객체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한다(250단계). 콘텐츠 제공자(200)는 상기와 같은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 1 콘텐츠를 생성하고 있는 6대의 카메라 중 상기 선택된 객체를 중심으로 콘텐츠를 생성하고 있는 카메라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카메라를 통해 생성된 제 1 콘텐츠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상기 전송되는 제 1 콘텐츠, 다시 말해서 상기 선택된 카메라를 통해 생성된 제 1 콘텐츠를 수신하고(260단계), 상기 수신한 제 1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부(180)에 디스플레이한다(270단계).
한편, 상기 원하는 카메라 각도 정보나 객체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정보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80)의 일측에 계속 디스플레이되고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언제든지 자신이 원하는 카메라 각도나 객체를 선택하여 그에 따른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각각 설정된 촬영 각도나,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촬영에 중심이 되는 객체는 선택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카메라에 기설정된 촬영 각도나 중심 객체의 변경 요청을 상기 콘텐츠 제공자(2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제공자(200)는 상기 변경 요청에 따라 상기 카메라 회전부(240)를 구동시켜, 상기 변경요청에 맞게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변경한다.
상기와 같은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의 콘텐츠에 대한 다중 각도 영상 또는 다중 객체 영상을 생성하고, 이 중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각도 영상 또는 특정 객체 영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나은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와 같은 범용 프로세서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특히, 플래시 애플리케이션 또는 3D 플래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구현된 프로그램은 되어 디스플레이장치 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수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100: 디스플레이장치
130: 방송 수신부
131: 튜너 132: 복조부
13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3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140: 저장부 15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70: 제어부 180: 디스플레이부
185: 오디오 출력부 190: 전원 공급부
200: 콘텐츠 제공자
300: 네트워크 운영자

Claims (13)

  1.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전송되는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 중 서로 다른 촬영 조건을 가지는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생성되는 제 1 콘텐츠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제 1 콘텐츠를 생성한 복수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카메라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받은 카메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제공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상기 선택된 카메라를 통해 생성된 제 1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제 1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콘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촬영 조건 정보 및 상기 촬영 조건에 의해 상기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각각 생성되는 미리 보기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조건은,
    카메라의 촬영 각도이며,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각각은,
    촬영 대상에 대하여, 기설정된 촬영 각도로 상기 촬영 대상을 촬영하여 상기 제 1 콘텐츠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조건은,
    중심 객체이며,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각각은,
    상기 제 1 콘텐츠 내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기할당된 특정 객체를 중심으로 상기 제 1 콘텐츠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카메라의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변경된 카메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제공자로 전송하여, 상기 변경된 카메라를 통해 생성된 제 1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각각 설정된 촬영 조건을 제외한 다른 촬영 조건이 요청되면, 상기 요청된 다른 촬영 조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제공자로 전송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콘텐츠 제공자는,
    상기 다른 촬영 조건의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자는,
    미라캐스트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의 생성 및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8. 콘텐츠 제공자와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전송되는 콘텐츠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콘텐츠를 신호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처리부를 통해 신호 처리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 중 서로 다른 촬영 조건을 가지는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생성되는 제 1 콘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제 1 콘텐츠를 생성한 복수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카메라를 선택받고, 상기 선택받은 카메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제공자로 전송하며, 상기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상기 선택된 카메라를 통해 생성된 제 1 콘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콘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촬영 조건 정보 및 상기 촬영 조건에 의해 상기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각각 생성되는 미리 보기 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조건은,
    카메라의 촬영 각도이며,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각각은,
    촬영 대상에 대하여, 기설정된 촬영 각도로 상기 촬영 대상을 촬영하여 상기 제 1 콘텐츠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조건은,
    중심 객체이며,
    상기 복수의 카메라 각각은,
    상기 제 1 콘텐츠 내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기할당된 특정 객체를 중심으로 상기 제 1 콘텐츠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카메라의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변경된 카메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제공자로 전송하여, 상기 변경된 카메라를 통해 생성된 제 1 콘텐츠가 수신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각각 설정된 촬영 조건을 제외한 다른 촬영 조건이 요청되면, 상기 요청된 다른 촬영 조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콘텐츠 제공자로 전송하며, 상기 다른 촬영 조건의 요청에 따라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의 촬영 조건이 변경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140002326A 2014-01-08 2014-01-08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50082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326A KR20150082859A (ko) 2014-01-08 2014-01-08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326A KR20150082859A (ko) 2014-01-08 2014-01-08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859A true KR20150082859A (ko) 2015-07-16

Family

ID=53884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326A KR20150082859A (ko) 2014-01-08 2014-01-08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28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94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display transfer between video playback devices
KR101591535B1 (ko) 컨텐츠 및 메타데이터를 사용하는 기법
US10009656B2 (en) Multi-option sourcing of content
US2009016783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munication between multiple television viewers
US20150124171A1 (en) Multiple vantage point viewing platform and user interface
US20150296247A1 (en) Interaction of user devices and video devices
US20130222601A1 (en) Mobile video mixing system
KR102016171B1 (ko) 미디어 서비스들을 동기화하기 위한 방법
US20180227501A1 (en) Multiple vantage point viewing platform and user interface
US95783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media content sharing
CN105704399A (zh) 多画面电视节目的播出方法和系统
US85153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edia content
US8219083B2 (en) Service roaming system and method
KR20170081517A (ko) 시청자의 참여가 가능한 양방향 방송 제공 서버 및 방법
JP5836942B2 (ja) マルチメディアサービスを供給する方法
JP2012531863A5 (ko)
US20150150040A1 (en) Interactive audio/video broadcast system,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nd user device for operation in the interactive audio/video broadcast system
KR2015008285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837088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media content sharing
KR101288878B1 (ko) 다중 영상 방송 시스템, 방법, 단말기 방송 서버, 방송 중계 방법, 방송 수신기, 다중 방송 수신 방법 및 저장 매체
KR20150032852A (ko)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
KR20160062974A (ko) 개인방송용 게임 중계방송컨텐츠 제공시스템
TWI547154B (zh) A combination of broadcast and Internet interactive information common method and its system
EP3089457A1 (en) Enhanced content consumption by deep immersion
Thomas et al. Report on final demonstration. Fascinate deliverable D6. 3.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