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638B1 -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638B1
KR102234638B1 KR1020190175622A KR20190175622A KR102234638B1 KR 102234638 B1 KR102234638 B1 KR 102234638B1 KR 1020190175622 A KR1020190175622 A KR 1020190175622A KR 20190175622 A KR20190175622 A KR 20190175622A KR 102234638 B1 KR102234638 B1 KR 102234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iard
game
user
image
pool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황기
김대요
이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트콘
이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트콘, 이황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트콘
Priority to KR1020190175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6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은 당구 경기에 대한 경기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와, 카메라로부터 경기 영상을 전송받아서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당구대 단말기 및 당구대 단말기로부터 이용자가 원하는 경기 영상이 선택되면, 해당 경기 영상을 재생하도록 당구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당구 영상 처리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당구 영상 처리 서버가 당구대 단말기로부터 이용자가 원하는 경기 영상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재생 요청받아서 해당 경기 영상을 재생하도록 처리함으로써, 이용자가 자신의 경기 영상을 확인하여 복기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 및 그 방법{VIDEO ASSISTANT REFEREES SYSTEM FOR BILLIARD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당구 경기에 대한 경기 영상을 이용하여 경기 과정을 판독하고, 이를 통해 이용자가 자신의 당구 경기를 복기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를 여가 중심의 사회라고 한다. 이와 같은 배경에는 일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여가를 효과적으로 선용하는 것이 일을 보다 잘할 수 있고, 한편 우리의 삶을 보다 풍요롭게 할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여가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지만 능동적 여가 활동에는 스포츠 활동이 대표적이고, 효율적인 여가 활동으로 꼽히고 있다. 우리가 일상에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고, 가장 많은 동호인을 보유하고 있는 대표적인 스포츠 종목은 당구이다.
당구는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어두운 이미지로 부각되어 있어서 성인 남성을 제외하고는 거리를 두었던 스포츠 종목 중에 하나였다. 하지만 아시안 게임에서 당구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이 되고, 당구장이 체육 시설로 지정되면서 단순한 여가 활동에서 하나의 대중적인 스포츠로 자리매김하였다. 현재 당구는 대한민국 체육 시설 중 가장 많이 등록된 체육 시설이며, 연령과 성별 그리고 계절에 관계없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실내 스포츠 중 하나이다. 또한 우리나라 당구 선수들은 3 쿠션, 포켓볼 등 여러 차례의 국제 경기에서 세계적인 실력을 인정받고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 종목이다. 특히, 최근에는 생활 스포츠로서의 입지를 굳혀감에 따라 다양한 TV 프로그램을 통해 당구 경기가 중계되고 있어서 당구의 인기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당구는 경기(또는 게임)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개수 및 색상의 당구공을 이용하여 진행되며, 당구 경기를 위해서는 큐대와 당구대가 설치되어 있어야 하므로 통상적으로 당구장을 이용하게 된다. 당구장에는 복수 개의 당구대들 각각의 주변에 해당 당구대의 스코어를 표시하기 위한 보드판이 설치되어 있고, 이를 이용하여 스코어 및 시간을 카운트하여 표시한다. 최근에는 보드판을 대신하여 터치 스크린 형태나 키오스크 형태의 당구대 단말기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스코어 및 시간을 표시함은 물론, 당구 경기 진행에 따른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당구 경기는 당구대의 가장자리에 표시된 포인트와, 당구공이 위치한 각도, 당구공의 회전력, 당구공의 당점과 큐대의 힘 조절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이용자가 당구공을 쳐야 하기 때문에, 각 타구마다 당구공의 충돌에 따른 반발력, 당구대 쿠션의 탄성 및 반발력 등을 고려한 다양한 경우의 수와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운영해야 한다. 따라서 당구 경기는 매 게임 또는 각 타구마다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당구공의 위치나 각도 등을 고려한 타구 기술이 필요하다. 특히, 경기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기술들이 일관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5735호(공개일 2011년 07월 27일)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4548호(공개일 2014년 09월 29일)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44874호(공고일 2019년 12월 02일)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4883호(공고일 2012년 01월 17일)
본 발명의 목적은 경기력 향상을 위하여 당구 경기에 대한 경기 영상을 이용하여 경기 과정을 판독하고, 이를 통해 이용자가 자신의 경기를 복기할 수 있도록 하는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당구 경기의 경기 영상을 판독하여 득점 상황을 정확히 판별하는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당구 경기의 경기 영상을 판독하여 이용자에게 필요한 당구 레슨을 제공하는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당구 경기에 대한 경기 영상을 획득하고, 이용자가 원하는 경기 영상을 재생 및 판독하도록 처리하는데 그 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은 이용자가 자신의 경기를 복기하거나 이를 통해 이용자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반복 학습하는 당구 레슨을 제공할 수 있다.
이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은, 하나의 당구대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당구 경기에 대한 경기 영상을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상기 당구대의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경기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서 화면에 표시하고, 이용자로부터 영상 판독을 원하는 경기 영상을 선택받아서 재생을 요청하는 당구대 단말기; 및 상기 당구대 단말기를 통해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경기 영상을 수집하여 이용자별로 경기 영상을 분류하여 저장하고, 경기 영상을 분석하여 당구공의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된 당구공의 위치에 대응하여 경기 영상들 각각을 선택적으로 추출 가능하게 관리하고, 상기 당구대 단말기로부터 경기 영상이 판독 요청되면, 선택된 경기 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경기 영상을 상기 당구대 단말기로 전송하여 이용자가 자신의 당구 경기를 선택적으로 복기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당구 영상 처리 서버를 포함한다.
이 특징에 있어서, 상기 당구 영상 처리 서버는 추출된 경기 영상을 당구 경기에 참여한 이용자가 구비하는 이용자 단말기로 더 전송하되; 상기 이용자 단말기는 추출된 경기 영상을 전송받아서 자신의 당구 경기를 복기할 수 있도록 재생한다.
이 특징에 있어서, 상기 당구대 단말기는 이용자가 자신의 경기 영상 중 원하는 경기 영상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비하여 원하는 경기 영상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고; 상기 당구 영상 처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경기 영상의 재생 속도, 화면 크기, 부분 확대 및 반복 재생을 적어도 조절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이 특징에 있어서, 상기 당구 영상 처리 서버는, 수집된 경기 영상을 적어도 당구대별, 이용자별, 당구 경기별로 저장 및 관리하고, 선택된 경기 영상을 당구공의 위치에 따른 샷 단위 또는 시간 단위로 추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당구 경기에 대한 경기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이용자 자신의 경기 영상을 판독 요청하여 해당 경기 영상을 재생함으로써, 이용자가 자신의 경기 영상을 판독하여 이용자 자신의 당구 경기를 복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은 경기 영상을 판독하여 득점 상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경기 영상 판독을 통해 이용자의 샷 동작을 정확히 파악하여 당구 레슨에 활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은 당구 대회의 심판 과정에서 경기 영상을 판독하여 오심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심판 판정의 공정성과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은 당구 경기, 연습, 훈련 시, 카메라와 연동되는 당구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경기 영상으로부터 당구공의 위치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이용자에게 가장 효과적인 코스와 당점을 알려줌으로써, 샷 처리 시, 득점 확률을 높일 수 있으며, 이용자에게 필요한 당구 레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은 당구대 단말기 및 이용자 단말기와 연동해서 당구 레슨 정보를 제공하여 이용자가 당구 레슨을 반복 학습하도록 함으로써, 이용자에게 적합한 교육을 제공하여 보다 인기있는 생활 스포츠로 자리 잡는데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은 당구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당구 산업을 보다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당구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당구 영상 처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2)은 카메라(100)를 이용하여 당구 경기에 대한 경기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이용자가 당구 경기 중 또는 당구 경기가 종료되어 자신의 경기 영상 중 원하는 일부 또는 전체의 경기 영상을 판독 요청하면, 해당 경기 영상을 당구대 단말기(200)로 전송하여 재생하고, 이를 통해 이용자가 자신의 경기 영상을 판독하여 이용자 자신의 당구 경기를 복기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또 본 발명의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2)은 당구 경기 중에 특정 샷에 대한 경기 영상 판독이 요청되면, 실시간으로 해당 경기 영상을 재생 및 판독하여 이용자의 샷에 대한 복기 및 판정을 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2)은 통신망(4, 6), 카메라(100), 당구대 단말기(200), 이용자 단말기(400) 및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를 포함한다. 카메라(100), 당구대 단말기(200), 이용자 단말기(400) 및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들은 통신망(4, 6)을 통해 상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통신망(4, 6)은 예를 들어,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이동 통신망 등을 포함하고, 이들 각각의 단일 통신망 또는 혼합된 복합 통신망으로 제공될 수 있다. 통신망(4, 6)은 카메라(100)와 당구대 단말기(200), 당구대 단말기(200)와 이용자 단말기(400) 및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들 간에 상호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통신망(6)은 유무선 통신망으로 구비되어 카메라(100)와 당구대 단말기(200)를 연결하고, 통신망(4)은 유선 통신망, 무선 통신망, 이동 통신망 등으로 구비되어 당구대 단말기(200)와 이용자 단말기(400), 당구대 단말기(200)와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와 이용자 단말기(400)들을 연결한다.
카메라(100)는 복수 개의 당구공이 구비된 하나의 당구대(10)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가 구비된다. 카메라(100)는 예를 들어, 고정형의 고해상도 카메라, 딥러닝 학습 가능한 카메라 등으로 구비되고, 당구대(10)의 상부면 전체를 촬영하기 위하여 당구대(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카메라(100)는 복수 개인 경우, 하나는 당구대(10)의 상부에 구비되고, 나머지는 당구대(10)의 측면 상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100)는 당구 경기가 시작되면, 복수 개의 당구공이 포함된 당구대(10)를 촬영하여 당구 경기에 대한 경기 영상을 실시간 획득하고, 통신망(6)을 통하여 당구대 단말기(200)로 경기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카메라(100)는 경기 영상에서 당구공들 각각을 인식하고, 당구공의 위치를 감지한다. 이를 위해 당구공의 표면에는 획득된 경기 영상에서 당구공을 인식하기 위한 마커(marker)가 구비된다. 카메라(100)는 마커를 인식하여 당구대(10) 내에서의 당구공을 검지하고 이를 통해 당구공들 각각의 위치와 당구공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만약, 하나의 당구대(10)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카메라(100)가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경기 영상들을 매칭시켜서 당구공의 위치를 인식 및 판별한다.
또 카메라(100)는 딥러닝 학습이 가능한 분석 알고리즘 또는 인공지능(AI) 엔진 내장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카메라(100)는 획득된 경기 영상으로부터 현재 당구공의 위치 및 움직임을 인식하고, 이를 통해 당구 경기를 분석 및 딥러닝 학습하여 당구대 단말기(200)로 현재 당구공의 위치에서 가장 득점할 확률이 높은 추천 코스 및 당점에 대한 당구 추천 정보와, 이를 통해 이용자가 당구 기술을 학습할 수 있는 당구 레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용자 단말기(400)는 무선 통신 가능하고 당구 경기에 참여하는 이용자가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로,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한다. 이용자 단말기(400)는 통신망(4)을 통하여 당구대 단말기(200)와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 각각과 연결된다. 이용자 단말기(400)는 당구대 단말기(200)와 연동해서 이용자 정보와 설정 정보를 입력한다. 여기서 이용자 정보에는 이용자명, 이용자 단말기(400)의 전화번호, 당구 점수 등이 포함되고, 설정 정보에는 당구 경기에 대한 경기 종류, 참여자수, 경기 규칙 등을 포함한다.
이용자 단말기(400)는 당구 경기 중에 당구대 단말기(200)로부터 당구 추천 정보와 경기 분석 정보를 전송받아서 모니터링하도록 출력한다. 이용자 단말기(400)는 당구대 단말기(200) 또는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로부터 이용자가 선택한 경기 영상을 전송받아서 자신의 경기 영상을 재생 및 복기할 수 있다.
당구대 단말기(200)는 예컨대,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키오스크(kiosk) 단말기로 구비되고, 하나의 당구대(10)에 대응하여 당구대(10)의 주변에 설치된다. 당구대 단말기(200)는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가 식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당구대 단말기(200)는 통신망(6)을 통하여 카메라(100)와 연결되고, 통신망(4)을 통하여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 및 이용자 단말기(400)와 연결된다.
당구대 단말기(200)는 카메라(100)로부터 전송되는 경기 영상을 실시간으로 재생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당구대 단말기(200)는 식별 정보, 이용자 정보 및 설정 정보와 함께 카메라(100)로부터 전송된 경기 영상을 통신망(4)을 통해 실시간으로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당구대 단말기(200)는 이용자가 자신의 경기 영상 중 원하는 경기 영상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당구대 단말기(200)는 선택된 경기 영상을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로부터 전송받아서 재생하여 화면에 표시하거나 이용자 단말기(400)로 전송한다. 이 때, 당구대 단말기(200)는 원하는 경기 영상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경기 영상의 재생 속도와 화면 크기 및 부분 확대 등을 조절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이용자가 정확한 경기 복기 및 학습을 위해 선택된 경기 영상을 반복 재생할 수도 있다. 또 당구대 단말기(200)는 카메라(100)로부터 당구 추천 정보와 당구 레슨 정보가 전송되면, 해당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이용자가 당구공의 위치에 따른 다양한 당구 기술을 학습할 수 있다.
그리고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는 예를 들어, 당구장들 각각에 구비되거나, 본 발명의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2)을 구축하여 복수 개의 당구장들을 원격지에서 통합 관리하는 관리업체 또는 당구 대회를 운영하는 경기 운영 단체 등에 구비될 수 있다.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는 통신망(4)을 통하여 복수 개의 당구대 단말기(200)들 및 복수 개의 이용자 단말기(400)들과 연결된다.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는 복수 개의 당구대 단말기(200)들로부터 경기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당구대별, 이용자별, 당구 경기별 등으로 경기 영상을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는 경기 영상을 분석하여 당구공의 위치를 인식하고, 분석 알고리즘 또는 인공지능(AI) 엔진 등을 이용하여 당구 경기에 대한 경기 영상을 분석 및 딥러닝 학습하여 현재 당구공의 위치에서 가장 득점 확률이 높은 코스와 당점을 포함하는 당구 추천 정보와, 경기 진행에 따른 시간, 코스, 타점, 속도 등을 분석한 경기 분석 정보를 당구대 단말기(200) 또는 이용자 단말기(400)로 제공한다.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는 당구공의 위치를 인식하고, 해당 당구공의 위치들 각각에서 이루어지는 구간 즉, 샷 단위로 경기 영상을 추출할 수 있도록 경기 영상의 속성(예를 들어, 당구 경기의 참가자, 당구 경기 진행 시간, 당구공의 위치 정보, 당구공의 움직임 경로 및 속도 등)을 저장 및 관리한다. 또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는 시간 단위로 경기 영상을 추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는 당구대 단말기(200)로부터 이용자가 원하는 경기 영상의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되어 영상 판독이 요청되면, 해당 경기 영상을 추출하여 당구대 단말기(200) 또는 이용자 단말기(400)로 전송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2)은 이용자 자신의 경기 영상을 판독하여 경기 과정을 복기하거나, 경기 영상을 판독하여 득점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2)은 경기 영상 판독을 통해 이용자의 샷 동작을 정확히 파악하여 당구 레슨에 활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2)은 당구 대회의 심판 과정에서 경기 영상을 판독하여 오심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심판 판정의 공정성과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의 구성들의 기능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카메라(100)는 객체를 인식하는 지능형 카메라 또는 딥러닝 학습 가능한 카메라로 구비된다. 이러한 카메라(100)는 당구 경기가 시작되면, 서로 다른 마커가 구비된 복수 개의 당구공과 당구대가 포함된 고해상도의 경기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한다. 카메라(100)는 경기 영상에서 마커를 통해 객체 즉, 복수 개의 당구공을 검지하고 이를 통해 당구공 각각의 위치 및 움직임을 감지한다. 카메라(100)는 획득된 경기 영상과 당구공의 움직임에 따른 위치 정보 등을 당구대 단말기(200)로 실시간 전송한다. 또 카메라(100)는 딥러닝 학습이 가능한 분석 알고리즘 또는 인공지능(AI) 엔진 등을 구비하여 획득된 경기 영상으로부터 현재 위치의 당구공을 인식하고, 이를 통해 당구 경기를 분석 및 딥러닝 학습하여 당구대 단말기(200)로 현재 당구공의 위치에 따른 추천 코스 및 당점에 대한 당구 추천 정보와 당구 레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카메라(100)는 분석 알고리즘 또는 인공지능(AI) 학습을 위한 엔진 내장형의 카메라로 구비된다. 즉, 이 실시예의 카메라(100)는 제어부(102), 통신부(104), 카메라 모듈(106), 객체 검지부(108), 딥러닝 학습부(110) 및 저장부(112)를 포함한다.
제어부(102)는 카메라(100)의 제반 동작을 처리하도록 통신부(104), 카메라 모듈(106), 객체 검지부(108), 딥러닝 학습부(110) 및 저장부(112)를 제어한다. 통신부(104)는 카메라 모듈(106)로부터 획득된 경기 영상과, 객체 검지부(108)로부터 검지된 당구공의 위치 정보 즉, 현재 당구공의 위치에 따른 당구대(10)에 대한 좌표값을 당구대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카메라 모듈(106)은 당구대(10)의 상부면 전체를 촬영하여 경기 영상을 획득한다. 객체 검지부(108)는 당구공의 마커를 인식하여 경기 영상에서 당구공들 각각을 인식하고, 각각의 당구공의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딥러닝 학습부(110)는 경기 영상과 당구공의 위치 정보를 분석하고, 현재 당구공의 위치에서의 득점을 위한 최적의 코스와 당점을 추천하여 당구 추천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당구대 단말기(200)로 제공한다. 이 때, 딥러닝 학습부(110)는 이용자의 경기 결과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통해 이용자의 단점을 파악하여 반복적으로 훈련할 수 있도록 딥러닝 학습하여 이용자에게 필요한 당구 레슨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저장부(112)는 경기 영상과, 당구공의 위치 정보와, 경기 분석 및 딥러닝 학습에 따른 다양한 정보들을 임시로 저장한다.
따라서 카메라(100)는 당구 경기에 대한 경기 영상을 획득하여 당구대 단말기(200)로 제공하고, 당구대 단말기(200)가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와 연동해서 당구 경기를 분석 및 딥러닝 학습하도록 하거나, 자체적으로 경기 영상을 통해 당구 경기를 분석 및 딥러닝 학습하여 이용자에게 필요한 당구 추천 정보와 당구 레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당구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당구대 단말기(200)는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가 당구장 및 당구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 예를 들어, ID 정보, IP(Internet Protocol) 주소 등을 구비한다. 당구 경기 시작을 위하여 이용자 정보 예를 들어, 이용자명, 이용자 단말기(400)의 전화번호, 당구 점수 등을 입력하고, 설정 정보 예를 들어, 경기 종류, 경기 참여자 수, 경기 규칙 등을 입력한다. 이 때, 당구대 단말기(200)는 터치 스크린 등을 이용하거나, 이용자 단말기(400)와 연동해서 해당 정보를 입력하거나 설정할 수 있다. 당구대 단말기(200)는 당구 경기 시, 경기 시간과, 카메라(100)로부터 전송된 경기 영상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한다. 당구대 단말기(200)는 전송된 경기 영상으로부터 당구공들 각각의 마커를 인식하여 당구공을 감지하고, 이를 통해 각각의 당구공의 위치를 감지한다.
당구대 단말기(200)는 경기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영상 처리하여 당구공의 이동량, 회전 방향 및 속도를 산출하고, 이를 통해 당구공의 움직임 및 이동 경로를 판별한다. 당구대 단말기(200)는 당구공의 위치가 감지되면, 감지된 위치에서 득점을 위한 코스와 당점을 분석하여 추천 샷, 즉 가장 효과적인 코스와 당점을 화면에 표시한다.
당구대 단말기(200)는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로부터 현재 당구공의 위치에 대응되는 당구 레슨 정보를 전송받아서 화면에 표시하여 이용자에게 알려준다. 당구대 단말기(200)는 이용자가 경기 이력이 있는 이용자인 경우,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와 연동해서 이용자의 과거 경기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과거 경기에서 샷 처리된 여러가지 코스와 당점들 및 득점 확률 등을 표시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당구대 단말기(200)는 당구 경기 시, 당구 경기와 관련된 각종 정보들 예를 들어, 이용자 정보, 설정 정보, 경기 영상 및 당구공의 움직임과 이동 경로에 따른 위치 정보 등을 통신망(4)을 통하여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또 당구대 단말기(200)는 당구 경기 중이거나 당구 경기가 종료되면, 이용자가 원하는 경기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당구대 단말기(200)는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기 영상을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로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당구대 단말기(200)는 이용자가 하나의 경기 영상에서 샷 단위 또는 시간 단위로 일부 구간을 선택하거나 하나의 경기 영상 전부를 선택하여 해당 경기 영상을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당구대 단말기(200)는 이용자가 자신의 당구 경기를 확인 및 복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용자가 선택한 경기 영상을 통신망(4)을 통해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로부터 전송받아서 선택된 경기 영상의 재생 속도와 화면 크기 및 부분 확대 등을 조절하여 화면에 표시하거나, 선택된 경기 영상을 반복 재생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이 실시예의 당구대 단말기(200)는 제어부(202), 통신부(204),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패널)(206), 저장부(208), 음성 출력부(210), 당구공 인식부(212), 경기 영상 선택부(214) 및 정보 제공부(216)를 포함한다.
제어부(202)는 당구대 단말기(200)의 제반 동작을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202)는 통신부(204), 터치 스크린(206), 저장부(208), 음성 출력부(210), 당구공 인식부(212), 경기 영상 선택부(214) 및 정보 제공부(216)들 각각의 기능이 상호 연동되어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통신부(204)는 통신망(4, 6)에 연결되어 카메라(100)와 이용자 단말기(400) 및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들과 상호 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통신부(204)는 카메라(100)로부터 획득된 경기 영상과 당구공의 위치 정보 등을 전송받는다. 통신부(204)는 이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입력된 이용자 정보, 설정 정보 등을 전송받는다. 통신부(204)는 이용자 단말기(400)로 해당 이용자에 대응되는 당구공의 위치와, 당구공의 위치에서 코스 및 당점을 추천한 당구 추천 정보를 전송한다. 통신부(204)는 당구 경기와 관련된 각종 정보들 예를 들어, 식별 정보, 이용자 정보, 설정 정보, 경기 영상 및 영상 선택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통신부(204)는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로부터 이용자가 선택 요청한 경기 영상을 전송받는다.
터치 스크린(206)은 이용자 정보와 설정 정보를 입력하고, 카메라(100)로부터 전송된 경기 영상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표시되도록 출력한다. 터치 스크린(206)은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경기 영상을 재생 속도, 화면 크기, 부분 확대 및 반복 재생 등으로 조절되어 화면에 표시되도록 출력한다. 터치 스크린(206)은 당구공의 위치가 감지되면, 감지된 위치에서 득점을 위한 코스와 당점을 분석하여 가장 효과적인 코스와 당점 즉, 당구 추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터치 스크린(206)은 이용자의 과거 경기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여러가지 코스와 당점들 및 득점 확률 등을 화면에 표시한다.
저장부(208)는 터치 스크린(206)을 통해 입력되거나 이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전송된 이용자 정보와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208)는 카메라(100)로부터 전송된 경기 영상을 저장한다. 이러한 경기 영상은 경기 중에 통신부(204)를 통해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로 실시간 전송되며, 경기가 종료되면 삭제된다. 저장부(208)는 당구대 단말기(200)의 처리 과정에 따라 이용자에게 해당 정보를 안내하거나 설명하는 음성 안내 정보를 저장한다.
음성 출력부(210)는 예컨대, 스피커로 구비되고, 제어부(202)의 제어를 받아서 당구 경기의 진행에 따른 다양한 안내 메시지, 설명 등을 포함하는 음성 안내 정보를 출력한다.
당구공 인식부(212)는 경기 영상으로부터 당구공들 각각의 마커를 인식하여 당구공의 위치를 감지한다. 여기서 마커는 수구(cue ball)와 목적구(object ball)로 구분하여 표시되고, 수구 또한 이용자를 구분할 수 있도록 구분하여 표시된다. 당구공 인식부(212)는 경기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영상 처리하여 당구공의 이동량, 회전 방향 및 속도를 산출하고, 이를 통해 당구공의 움직임 및 이동 경로를 판별한다. 당구공 인식부(212)는 감지된 당구공의 위치에서 득점을 위한 코스와 당점을 분석하여 가장 효과적인 코스와 당점을 추출하여 당구 추천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자 단말기(400) 또는 터치 스크린(206)에 표시하도록 제공한다. 당구공 인식부(212)는 이용자가 경기 이력이 있는 이용자인 경우,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로부터 이용자의 과거 경기 관련 정보를 전송받아서 여러가지 코스와 당점들 및 득점 확률 등을 분석하여 경기 분석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터치 스크린(206)에 표시하도록 제공한다.
경기 영상 선택부(214)는 경기 중 또는 경기가 종료되면, 이용자가 인터페이스 화면을 이용하여 자신의 경기 영상을 확인 및 복기하기 위하여, 하나의 경기 영상을 선택한다. 이 때, 경기 영상 선택부(214)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이용하여 하나의 경기 영상에서 원하는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할 수 있다. 경기 영상 선택부(214)는 예를 들어, 이용자가 샷 처리 후, 자신의 샷의 코스와 당점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거나, 정확한 득점 여부를 판별하거나, 전체 경기 과정을 복기하고자 할 경우에 해당 구간 또는 전체의 경기 영상을 선택한다.
그리고 정보 제공부(216)는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와 이용자 단말기(400)로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한다. 즉, 정보 제공부(216)는 카메라(100)로부터 경기 영상이 전송되면, 통신부(204)를 통해 경기 영상을 실시간으로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로 전달하도록 처리하고, 이용자 정보, 설정 정보, 경기 영상, 당구 추천 정보 및 경기 분석 정보 등 각종 정보들을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처리한다. 정보 제공부(216)는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로부터 선택된 경기 영상이 전송되면, 통신부(204)를 통해 경기 영상을 실시간으로 이용자 단말기(400)로 전달하도록 처리한다. 또 정보 제공부(216)는 이용자 단말기(400)로 당구 추천 정보와 경기 분석 정보를 제공하도록 처리하고,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로부터 당구 레슨 정보가 전송되면, 이용자 단말기(400)로 전달하도록 처리한다.
이러한 당구대 단말기(200)는 제어부(202), 통신부(204) 및 저장부(208) 중 어느 하나에 식별 정보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가 해당 당구장 및 당구대를 판별한다. 당구대 단말기(200)는 카메라(100)로부터 경기 영상이 전송되면, 해당 경기 영상을 표시하고,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로부터 선택된 경기 영상이 전송되면, 해당 경기 영상을 표시되도록 재생한다. 또 당구대 단말기(200)는 카메라(100)와 이용자 단말기(400) 및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들과 연동해서 이용자에게 당구 경기 진행 중에 코스 및 당점 등을 추천해주고, 이용자의 경기 이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당구 영상 처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는 당구 경기에 대한 경기 영상을 수집 및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는 경기 영상을 당구대별, 이용자별, 당구 경기별 등으로 분류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는 경기 영상에 대한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의 경기 영상에서의 일부를 추출하거나 전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저장 및 관리한다.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는 당구대 단말기(200)로부터 이용자가 선택한 경기 영상을 요청받으면, 해당 경기 영상을 추출하거나 선택하여 당구대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는 이용자의 당구 경기 시, 당구공 및 당구공의 위치를 인식하고, 분석 알고리즘 또는 인공지능(AI) 엔진을 이용하여 당구 경기에 대한 경기 영상을 분석 및 딥러닝 학습하여 당구 추천 정보와 당구 레슨 정보 및 당구 레슨 결과를 당구대 단말기(200) 또는 이용자 단말기(400)로 제공한다.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는 당구대 단말기(200)들 각각으로부터 식별 정보와, 이용자 정보와, 설정 정보와, 경기 영상 및 당구 추천 정보 등 각종 정보들을 전송받아서 해당 당구대의 당구 경기에 대한 각종 정보들을 저장, 관리하고, 실시간으로 당구대의 경기 상황을 모니터링한다.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는 분석 알고리즘 또는 인공지능(AI) 엔진을 이용하여 경기 영상과 각종 정보들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딥러닝 등의 기계 학습으로 이용자에게 적합한 당구 레슨 정보와, 생성된 당구 레슨 정보의 스케쥴링(scheduling)을 관리하기 위한 레슨 스케쥴링 정보를 생성한다.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는 당구 레슨 정보와 레슨 스케쥴링 정보를 이용자 단말기(400)로 전송한다.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는 경기 영상과 각종 정보들을 이용하여 실제 경기 결과를 분석한다.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는 당구대 단말기(200)로부터 경기 분석 정보를 전송받아서 이용자에게 필요한 레슨 코스를 당구 레슨 정보와 레슨 스케쥴링 정보에 추가하여 관리한다.
또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는 카메라(100)로부터 전송되는 경기 영상을 이용하여 당구대 단말기(200) 또는 이용자 단말기(400)로 전송된 당구 레슨 정보에 대한 당구 레슨 결과를 분석하여 해당 이용자의 단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당구 레슨 정보를 당구대 단말기(200) 또는 이용자 단말기(400)로 전송한다. 이 때,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는 당구 레슨 정보를 학습한 당구 레슨 결과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이용자가 반복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 실시예의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는 서버(310)와 데이터베이스(350)를 포함한다. 서버(310)는 제어부(312), 통신부(314), 정보 관리부(316), 경기 영상 관리부(318), 모니터링부(320), 딥러닝 학습부(322), 경기 영상 추출부(324) 및 레슨 결과 분석부(326)를 포함한다.
제어부(312)는 복수 개의 당구대 단말기(200)들과 연동해서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의 제반 기능을 처리하도록 통신부(314), 정보 관리부(316), 경기 영상 관리부(316), 모니터링부(320), 딥러닝 학습부(322), 경기 영상 추출부(324), 경기 분석 처리부(326) 및 데이터베이스(350)들 각각의 기능이 상호 유기적으로 처리되도록 제어한다.
통신부(314)는 통신망(4)에 연결되고, 당구대 단말기(200)로부터 식별 정보, 이용자 정보, 설정 정보, 경기 영상 및 위치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전송받는다. 통신부(314)는 당구대 단말기(200) 또는 이용자 단말기(400)로 경기 분석 정보와, 당구 레슨 정보 및 레슨 스케쥴링 정보를 전송한다.
정보 관리부(316)는 당구대 단말기(200)의 식별 정보를 통해 당구장 및 당구대를 판별하고, 식별 정보에 매칭해서 예를 들어, 당구장명, 당구대 위치(번호) 등을 포함하는 당구대 단말기 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정보 관리부(318)는 당구대 단말기(200)로부터 이용자 정보를 전송받아서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 관리한다. 정보 관리부(318)는 이용자 정보에 매칭되어 과거의 경기 이력 정보와, 당구 레슨에 대한 영상 및 설명 등이 포함된 당구 레슨 정보 및 당구 레슨에 포함되는 다양한 레슨 코스 및 당점들에 대한 순위, 시간 등을 설정하는 레슨 스케쥴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 관리한다.
경기 영상 관리부(316)는 복수 개의 당구대 단말기(200)들로부터 경기 영상을 수집하고, 수집된 경기 영상을 당구대별, 이용자별, 당구 경기별 등으로 분류하여 경기 영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 관리한다. 경기 영상 관리부(316)는 경기 영상을 샷 단위, 시간 단위 등으로 추출 가능하도록 경기 영상들 각각에 대한 속성 정보를 경기 영상 정보에 포함시켜 저장, 관리한다.
모니터링부(320)는 당구대 단말기(200)로부터 경기 영상을 전송받아서 실시간으로 화면에 출력하여 각 당구대에서의 당구 경기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한다. 모니터링부(320)는 당구대 단말기(200)로부터 당구 추천 정보와 위치 정보를 전송받아서 화면에 표시하도록 출력하여 모니터링한다. 모니터링부(320)는 이용자에게 당구 레슨 정보가 제공되면, 당구대 단말기(200)를 통해 카메라(100)로부터 획득된 당구 레슨 정보를 연습한 경기 영상을 전송받아서 해당 당구 레슨 정보의 당구 레슨 결과를 화면에 표시하여 모니터링한다.
딥러닝 학습부(322)는 분석 알고리즘 또는 인공지능(AI) 엔진을 이용하여 실제 당구 선수들의 당구 경기를 분석 및 딥러닝 학습하여 당구 추천 정보와 당구 레슨 정보를 생성한다. 딥러닝 학습부(322)는 당구대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경기 영상과 각종 정보들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딥러닝 학습을 처리하여, 이용자에게 적합한 당구 레슨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당구 레슨 정보에 대한 레슨 스케쥴링 정보를 생성한다. 딥러닝 학습부(320)는 당구 레슨 결과를 분석 및 딥러닝 학습하여 최적의 코스와 당점을 판단한다.
경기 영상 추출부(324)는 당구대 단말기(200)로부터 이용자가 원하는 경기 영상을 판독 요청받으면,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 경기 영상 정보를 통해 해당 경기 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경기 영상을 당구대 단말기(200)로 전송하도록 처리한다. 이 때, 경기 영상 추출부(324)는 경기 영상들을 당구대별, 이용자별, 당구 경기별 등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하나의 경기 영상에서도 샷 단위, 시간 단위 등으로 일부 경기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경기 분석 처리부(326)는 경기 영상과 각종 정보들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당구 경기를 분석 처리한다. 경기 분석 처리부(326)는 이용자에게 제공된 당구 레슨 정보의 레슨 결과, 즉, 당구 레슨 결과를 분석하여 경기 분석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당구대 단말기(200) 또는 이용자 단말기(400)로 제공하도록 처리한다. 경기 분석 처리부(326)는 분석된 당구 레슨 결과에 따라 이용자의 단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당구 레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50)로부터 추출하여 당구대 단말기(200) 또는 이용자 단말기(400)로 제공한다. 따라서 이용자는 해당 당구 레슨 정보를 집중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350)는 제어부(312)의 제어를 받아서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의 제반 기능을 처리하는 과정에 따라 수집 및 생성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 및 관리한다. 데이터베이스(350)는 이용자 정보(352), 당구대 단말기 정보(354), 경기 영상 정보(356), 경기 레슨 정보(358), 레슨 스케쥴링 정보(360), 경기 이력 정보(362) 및 경기 분석 정보(364) 등을 저장 및 관리한다. 여기서 경기 영상 정보(356), 당구 레슨 정보(358), 레슨 스케쥴링 정보(360), 경기 이력 정보(362) 및 경기 분석 정보(364)들은 이용자별로 저장 관리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350)는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에 포함되어 있으나, 독립적인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의 처리 수순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수순은 당구 경기 중 이용자가 원하는 경기 영상을 복기하기 위한 처리 과정을 나타낸다. 물론 당구 경기가 종료된 후, 이용자가 해당 경기 영상을 선택하여 복기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2)은 단계 S500에서 당구대 단말기(200)의 터치 스크린(206)을 이용하여 당구 경기(또는 연습 또는 훈련)에 참가하는 이용자의 개인 정보 즉, 이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당구 경기에 대한 설정 정보(예를 들어, 경기 종류, 경기 참가자 수, 당구 점수 등)를 입력하여 당구 경기를 시작한다. 물론 이용자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이용자 정보와 설정 정보를 입력하고, 이를 통신망(4)을 통하여 당구대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는 당구대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이용자 정보를 등록하여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 및 관리한다.
단계 S502에서 당구 경기가 시작되면, 카메라(100)는 당구 경기 진행 동안에 당구대의 상부면 전체를 촬영하여 실시간으로 경기 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당구대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이 때, 당구대 단말기(200)는 통신망(4)을 통하여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로 경기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달한다.
단계 S504에서 당구대 단말기(200)는 터치 스크린(206)에 경기 영상을 표시하고, 경기 영상에서 마커를 인식하여 복수 개의 당구공 및 당구공의 위치를 감지한다. 이 때, 당구대 단말기(200)는 경기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영상 처리하여 당구공의 이동량, 회전 방향 및 속도를 계산하여 당구공의 움직임 및 이동 경로를 판별한다. 또 당구대 단말기(200)는 인식된 당구공의 위치와 배열에 따라 득점을 위한 코스와 당점을 분석하여 터치 스크린(206) 상에 다양한 코스와 당점을 표시하고, 이용자에게 가장 효과적인 코스와 당점을 추천한다. 이 때, 당구대 단말기(200)는 해당 이용자가 경기 이력이 있는 경우, 이용자의 과거 경기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이용자의 이전 경기 결과로부터 가장 효율적인 샷을 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코스와 당점들 및 득점 확률 등을 표시한다. 따라서 이용자는 득점 확률이 높은 코스와 당점을 추천받아서 샷을 할 수 있다.
단계 S506에서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는 당구대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경기 영상을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 관리한다. 이 때,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는 경기 영상을 당구대별, 이용자별, 당구 경기별 등으로 분류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
단계 S508에서 당구대 단말기(200)는 당구 경기 중 또는 당구 경기가 종료되어 이용자가 경기 영상의 판독이 필요한 경우, 단계 S510에서 이용자가 원하는 경기 영상을 선택하여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로 경기 영상을 요청한다. 이 때, 당구대 단말기(200)는 원하는 경기 영상을 샷 단위 또는 시간 단위로 선택하거나 당구 경기 전체를 선택하여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512에서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는 당구대 단말기(200)로부터 경기 영상이 요청되면, 데이터베이스(350)로부터 해당 경기 영상을 추출하여 당구대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이어서 단계 S514에서 당구대 단말기(200)는 당구 영상 처리 서버(300)로부터 전송된 경기 영상을 재생하여 이용자 자신의 당구 경기를 복기한다. 이 때, 당구대 단말기(200)는 경기 영상을 재생 속도, 화면 크기, 부분 확대 및 반복 재생 등을 조절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2 :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
4, 6 : 통신망
100 : 카메라
200 : 당구대 단말기
300 : 당구 영상 처리 서버

Claims (4)

  1.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의 당구대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당구 경기에 대한 경기 영상을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서로 다른 식별 정보를 구비하고, 하나의 상기 당구대에 대응하여 상기 당구대의 주변에 설치되어 당구 경기에 필요한 이용자 정보와 설정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경기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서 화면에 재생하여 표시하고, 이용자로부터 영상 판독을 원하는 경기 영상을 선택받아서 재생을 요청하는 당구대 단말기; 및
    상기 당구대 단말기를 식별하고, 상기 당구대 단말기를 통해 상기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경기 영상을 수집하여 이용자별로 경기 영상을 분류하여 저장하고, 경기 영상을 분석하여 당구공의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된 당구공의 위치에 대응하여 경기 영상들 각각을 선택적으로 추출 가능하게 관리하고, 상기 당구대 단말기로부터 경기 영상이 판독 요청되면, 선택된 경기 영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경기 영상을 상기 당구대 단말기로 전송하여 이용자가 자신의 당구 경기를 선택적으로 복기할 수 있도록 처리하고, 경기 영상을 분석하여 당구공의 위치를 인식하고, 당구 경기에 대한 경기 영상을 분석 및 딥러닝 학습하여 현재 당구공의 위치에서 가장 득점 확률이 높은 코스와 당점을 포함하는 당구 추천 정보와, 경기 진행에 따른 경기 분석 정보를 상기 당구대 단말기로 제공하는 당구 영상 처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당구대 단말기는, 이용자가 자신의 경기 영상 중 원하는 경기 영상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비하여 원하는 경기 영상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고, 상기 당구 영상 처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경기 영상의 재생 속도, 화면 크기, 부분 확대 및 반복 재생을 적어도 조절하여 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당구 영상 처리 서버는, 수집된 경기 영상을 적어도 당구대별, 이용자별, 당구 경기별로 저장 및 관리하고, 선택된 경기 영상을 당구공의 위치에 따른 샷 단위 또는 시간 단위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당구 영상 처리 서버는 추출된 경기 영상을 당구 경기에 참여한 이용자가 구비하는 이용자 단말기로 더 전송하되;
    상기 이용자 단말기는 상기 당구대 단말기로 당구 경기에 필요한 이용자 정보와 설정 정보를 전송 가능하게 구비하고, 추출된 경기 영상을 전송받아서 자신의 당구 경기를 복기할 수 있도록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
  3. 삭제
  4. 삭제
KR1020190175622A 2019-12-26 2019-12-26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34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622A KR102234638B1 (ko) 2019-12-26 2019-12-26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622A KR102234638B1 (ko) 2019-12-26 2019-12-26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638B1 true KR102234638B1 (ko) 2021-04-01

Family

ID=75441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622A KR102234638B1 (ko) 2019-12-26 2019-12-26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6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1692A (ko) * 2021-05-31 2022-12-07 이우룡 당구 영상판독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5735A (ko) 2010-01-21 2011-07-27 조영복 당구경기용 영상제공장치 및 그 방법
KR101072509B1 (ko) * 2011-03-31 2011-10-11 이인숙 회원제 당구게임 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04883B1 (ko) 2008-09-19 2012-01-17 김현수 당구 동영상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7247A (ko) * 2012-01-27 2013-08-06 (주) 토리랩 당구게임 동영상 분류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당구게임 동영상 서비스 시스템
KR20140114548A (ko) 2013-03-19 2014-09-29 이유정 당구장 영상관리 시스템
KR20190107501A (ko) * 2018-03-12 2019-09-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제어방법
KR102044874B1 (ko) 2018-07-17 2019-12-02 (주)와이제이컴퍼니 당구장 영상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883B1 (ko) 2008-09-19 2012-01-17 김현수 당구 동영상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85735A (ko) 2010-01-21 2011-07-27 조영복 당구경기용 영상제공장치 및 그 방법
KR101072509B1 (ko) * 2011-03-31 2011-10-11 이인숙 회원제 당구게임 운영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87247A (ko) * 2012-01-27 2013-08-06 (주) 토리랩 당구게임 동영상 분류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당구게임 동영상 서비스 시스템
KR20140114548A (ko) 2013-03-19 2014-09-29 이유정 당구장 영상관리 시스템
KR20190107501A (ko) * 2018-03-12 2019-09-2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제어방법
KR102044874B1 (ko) 2018-07-17 2019-12-02 (주)와이제이컴퍼니 당구장 영상 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1692A (ko) * 2021-05-31 2022-12-07 이우룡 당구 영상판독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2493569B1 (ko) * 2021-05-31 2023-01-30 이우룡 당구 영상판독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7737B2 (en) Athletic training system and method
KR101145126B1 (ko) 당구게임 교육 시스템과 교육 제어방법
KR20110017258A (ko) 사용자 참여형 피트니스 강좌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피트니스 훈련방법
KR20190010468A (ko) 프로젝터 및 로봇팔을 이용하여 반복적인 당구 훈련을 제공하는 당구 훈련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13869B1 (ko) 당구 레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40733B1 (ko) 당구 실력 향상을 위한 당구 학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234638B1 (ko)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96998B1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헬스클럽 회원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40063105A (ko) 스포츠 경기 원격 판정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903887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ports performance data over a wireless network
EP3009173A1 (en) Assisted-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billiards
KR101247794B1 (ko) 골프 레슨을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102213868B1 (ko) 당구 키오스크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102287721B1 (ko) 단말기를 이용한 당구 교습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40013260A (ko) 골프스윙 동영상의 개인휴대통신기기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2007548A (ja) 評価システム、および評価方法
CN112057833A (zh) 一种羽毛球正手高远球挥拍动作识别方法
KR20210114155A (ko) 딥 러닝을 활용한 스마트 점수 표시 시스템 및 동작 방법
US20240042281A1 (en) User experience platform for connected fitness systems
KR102117254B1 (ko)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338188B1 (ko) Ai를 활용한 3구 당구 궤적 분석 및 예측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CN117351569A (zh) 运动计数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925415A (zh) 一种基于ar的互动投影系统
JP2023042638A (ja) スポーツ上達支援装置及びスポーツ上達支援プログラム
TW202127401A (zh) 具自動分類與語音指導系統之互動平台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