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254B1 -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254B1
KR102117254B1 KR1020190025533A KR20190025533A KR102117254B1 KR 102117254 B1 KR102117254 B1 KR 102117254B1 KR 1020190025533 A KR1020190025533 A KR 1020190025533A KR 20190025533 A KR20190025533 A KR 20190025533A KR 102117254 B1 KR102117254 B1 KR 102117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image analysis
floor
stone
ana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섭
Original Assignee
이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섭 filed Critical 이태섭
Priority to KR1020190025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4Curling stone; Shuffleboard; Similar slid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어로 된 경기장의 하우스와, 상기 하우스를 향하여 미끄럼 투구되는 컬링스톤과, 하나 이상의 스마트 폰·PC·노트북 등을 포함하는 운용자 단말기와, 하나 이상의 카메라와, 하나 이상의 스마트 폰·PC·노트북 등을 포함하는 이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계되는 자동 분석 장치를 포함하는 경기 관제용 DID 장치로 이루어지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경기 관제용 DID 장치는 서버 컴퓨터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 컴퓨터는, 상기 운용자 단말기, 카메라 및 이용자 단말기와 연계되며, 경기가 관리되고, 경기결과 정보를 분석하여 경기 참여자별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구성되는, 경기관리 및 결과분석 프로그램과,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스톤을 추적하고, 촬영된 스톤 영상을 분석하여 스톤의 위치 및 경기결과가 자동으로 계산되도록 구성되는, 스톤 추적 및 영상 분석 프로그램과,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 확인하며, 스킵용 이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경기 지시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킵 지도용 모바일 소프트웨어와, 상기 하우스 중앙부 공중에 설치된 상기 카메라가 점수 계산을 위한 눈금 매기기(Calibration) 과정을 스스로 진행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스 위치 자동 조정 소프트웨어와, 경기 진행 및 정지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카메라로 하여금 스스로 촬영 또는 정지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캠 원격제어 운용 프로그램과, 상기 프로그램 및 소프트웨어를 관제하고 컨트롤하도록 구성되는, 자동 분석 컴퓨터 모듈로 이루어지는 제어부; 및 상기 경기관리 및 결과분석 프로그램에 의해 진행되고, 경기 결과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경기관리 및 결과분석 데이터베이스와, 경기 참여자별 데이터로 생성된 경기결과 정보를 경기 참여자 별로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이용자 관리 데이터베이스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플로어 컬링 경기를 지능형 영상분석 기술을 바탕으로 시스템화 하여 실내에서 누구나 함께 즐길 수 있는 생활 스포츠를 제공하고, 경기 참여자의 경기결과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지속적인 관리 및 분석을 통해서 국민건강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Floor curling system using intelligent image analysis and its operation method}
본 발명은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플로어 바닥에서 활주(滑走)할 수 있는 컬링스톤과, 영상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컬링경기를 운용하고 경기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컬링은 동계스포츠 종목의 하나로서 긴장감, 책임감, 단결력, 소통 및 친화, 배려, 재미, 감사를 직접 체득할 수 있는 경기로서 주로 빙상 경기장에서 이루어진다.
근래에 와서 플로어형 컬링이 보급되면서, 계절에 관계없이 학교, 국민체육센터, 복지시설 등의 실내체육관 플로어에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가족형 국민생활체육으로 거듭나고 있으며, 동계스포츠를 체험할 기회가 매우 적은 온난지역 국가에서도 접할 수 있는 운동 종목이 되었다.
무거운 스톤(19.99kg)으로 된 컬링스톤을 합성수지로 경량화(6.00kg)하고, 보조기구를 개발함으로서 생활체육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경기가 단순하고 역동적이지 못해 젊은이들에게 어필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영상 분석 기술을 도입하여 실시간 점수 확인 기능, 스톤간의 충돌 시 효과음향 발생 및 득점영상 등을 전문적인 분석기술과 시청각적 재미를 더하는 신 개념 생활 스포츠로 개선하여 경기 참여자 모두가 적극적으로 재미(Interest)와 의사소통(Communication)이 가능한 스포츠 ICT 융복합 기술을 개발하고, 경기 기록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경기 참여자의 경기력 향상 및 향상정보를 제공되고 교육용 자료로 활용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2130호(2011.10.1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28080호(2018.12.11.)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스, 컬링스톤, 운용자 단말기, 카메라, 이용자 단말기, 네트워크, 경기 관제용 DID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경기 관제용 DID 장치는, 자동 분석 장치와 서버 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서버 컴퓨터는, 제어부와,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어부는, 경기관리 및 결과분석 프로그램, 스톤 추적 및 영상 분석 프로그램, 스킵 지도용 모바일 소프트웨어, 하우스 위치 자동 조정 소프트웨어, 스마트 캠 원격제어 운용 프로그램, 자동 분석 컴퓨터 모듈 및 효과음 생성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지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경기관리 및 결과분석 데이터베이스 및 이용자 관리 데이터베이스로 이루어지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하우스는 빙상종목의 컬링경기에 사용되는 하우스의 형태와 동일하며, 경기장의 일 측에 빛을 투사하여 플로어에 나타나도록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컬링스톤은, 상기 하우스로부터 소정 거리의 다른 일 측에서 상기 하우스를 향하여 플로어 상에서 활주(滑走) 되도록 폴리에틸렌(PE) 소재로서 상부에는 "ㄱ" 형상의 손잡이가 부착되고, 바닥에는 베어링 홀을 형성하고 복수 개의 베어링을 삽입 장착하도록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하우스, 컬링스톤 이외에 투구용 스틱, 스틱 및 스톤 보관대 등 빙상 컬링경기에 준하는 용품이 수반되어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운용자 단말기는, 스마트 폰·PC·노트북 등을 구성되며, 운용자가 경기 참여자의 이력 등 관련 정보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 컴퓨터에 등록되도록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카메라는, 하우스와 플로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영상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 컴퓨터에 송신하고, 상기 서버 컴퓨터로부터 줌-인, 줌-아웃 명령을 수신하여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이용자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스마트 폰·PC·노트북 등으로 구성되며, 스킵(skip)이 스톤 투구자(thrower)에게 투구 방향, 강도 등을 지시하고 소통하는 스킵용 이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그 외 경기 참여자들 간에 소통되도록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경기 관제용 DID 장치는, 상기 운용자 단말기, 이용자 단말기 및 카메라 등 외부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자동 분석 장치와 연계되고, 경기 참여자들의 경기 운용 정보가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되며, 상기 모니터에서 경기 참여자 정보가 직접 등록되고, 경기 결과를 DB에 저장되도록 명령을 할 수 있는 등 다목적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경기 관제용 DID 장치는, 상기 자동 분석 컴퓨터 모듈을 이용하여 경기 참여자의 정보가 입력되는 UI를 제공되며, 경기 결과 관리 및 전체 시스템을 모니터링 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경기관리 및 결과분석 프로그램은, 상기 운용자 단말기, 카메라 및 이용자 단말기와 연계되며, 경기를 관리하고, 경기결과 정보를 분석하여 경기 참여자별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스톤 추적 및 영상 분석 프로그램은,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스톤을 추적하고, 촬영된 스톤 영상을 분석하여 스톤의 위치 및 경기결과가 자동으로 계산되도록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스톤 추적 및 영상 분석 프로그램은, 현재의 경기 진행상황을 분석하고, 계산된 점수를 스코어판에 기록하며, 상기 경기 관제용 DID 장치 및 이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스킵 지도용 모바일 소프트웨어는,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 확인하며, 스킵용 이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경기 지시가 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스킵 지도용 모바일 소프트웨어는, 스킵이 스킵용 이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지시한 사항을 경기 참여자가 모니터링 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하우스 위치 자동 조정 소프트웨어는, 상기 하우스 중앙부 공중에 설치된 카메라가 점수 계산을 위한 눈금 매기기(Calibration) 과정이 스스로 진행되도록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스마트 캠 원격제어 운용 프로그램은, 경기 진행 및 정지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카메라로 하여금 스스로 촬영 또는 정지되도록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스마트 캠 원격제어 운용 프로그램은, 상기 카메라가 원격으로 줌-인, 줌-아웃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자동 분석 컴퓨터 모듈은, 상기 자동 분석 장치에 내장되어 프로그램 및 소프트웨어를 관제하고 컨트롤되도록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효과음 생성 프로그램은, 이벤트 발생 시 해당 효과음이 재생되도록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경기관리 및 결과분석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경기관리 및 결과분석 프로그램에 의해 진행된 경기 결과 정보가 저장 및 분석되도록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이용자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경기 참여자별 데이터로 생성된 경기결과 정보가 관리되고, 지속적으로 경기 참여자의 정보가 업데이트되고 분석되어 향상 정보가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a) 경기 참여자의 정보가 등록되는 단계, (b) 상기 경기 참여자들의 경기가 운용되는 단계, (c) 경기 참여자별 경기결과가 자동으로 계산되고 DB에 저장되는 단계 및 d) DB를 이용하여 이용자별 이력 및 경기결과가 관리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a) 경기 참여자의 정보가 등록되는 단계는, 운용자 단말기 및 경기 관제용 DID 장치의 모니터를 이용하여 경기 참여자의 정보가 등록되도록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b) 경기 참여자들의 경기가 운용되는 단계는, (ba) 하우스 중앙부 공중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자동 눈금 매기기를 진행하는 단계와, (bb) 하우스 형태 및 스톤위치를 분석하는 지능 분석 단계와, (bc) 스킵의 투구가 지도되는 단계 및 (bd) 효과음 발생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b) 경기 참여자들의 경기가 운용되는 단계의 (bb) 영상 분석 단계는, 하우스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 이미지 에지(Edge)를 검출하는 단계, 가림 물체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하우스 원 영역 추출하는 단계, 스톤 위치 추출단계, 스톤 거리 측정 및 순서화 단계, 스톤 넘버링 단계를 포함되어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bb) 영상 분석 단계는, 경기 관제용 DID 장치의 모니터에 위치 정보가 순서화되어 오버레이(Overlay) 형태로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bb) 영상 분석 단계는, 엔드별 스톤 위치 검출결과를 기반으로 스코어가 자동 계산되어 경기 관제용 DID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bc) 스킵의 투구가 지도되는 단계는, 스킵용 이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 확인하며, 경기 지시를 하며, 경기 참여자와 소통되도록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bd) 효과음 발생 단계는, 스톤과 스톤이 충돌할 때, 스톤이 하우스에 안착하거나, 엔드(end)가 끝나거나, 승리할 때 등 각 상황에 맞는 이벤트 발생 시 해당 효과음이 재생되도록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c) 경기 참여자별 경기결과가 자동으로 계산되고 DB에 저장되는 단계는, 자동 계산된 각 팀의 최종 점수가 경기 관제용 DID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되며, 경기 참여자별 개인 경기결과가 DB에 저장되도록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c) 경기 참여자별 경기결과가 자동으로 계산되고 DB에 저장되는 단계는, 자동 계산된 각 팀의 최종 점수가 경기 관제용 DID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되며, 경기 참여자별 개인 경기 결과가 DB에 저장되도록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d) DB를 이용하여 이용자별 이력 및 경기결과가 관리되는 단계는, 상기 (a) 경기 참여자의 정보가 등록되는 단계에서 등록된 경기 참여자의 매 경기 결과 상황, 향상 정보를 자동 저장하고 검색될 수 있도록 하며, 누적된 이용자별 경기 데이터를 축적하여 지속적으로 관리 및 분석하여 성적관리까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특징은, 하우스, 컬링스톤, 운용자 단말기, 카메라, 이용자 단말기, 네트워크, 경기 관제용 DID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다른 특징은, 상기 경기 관제용 DID 장치는, 자동 분석 장치와 서버 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서버 컴퓨터는, 제어부와,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제어부는, 경기관리 및 결과분석 프로그램, 스톤 추적 및 영상 분석 프로그램, 스킵 지도용 모바일 소프트웨어, 하우스 위치 자동 조정 소프트웨어, 스마트 캠 원격제어 운용 프로그램, 자동 분석 컴퓨터 모듈 및 효과음 생성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경기관리 및 결과분석 데이터베이스 및 이용자 관리 데이터베이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하우스는 빙상종목의 컬링경기에 사용되는 하우스의 형태와 동일하며, 경기장의 일 측에 빛을 투사하여 플로어에 나타나도록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컬링스톤은, 상기 하우스로부터 소정 거리의 다른 일 측에서 상기 하우스를 향하여 플로어 상에서 활주(滑走) 되도록 폴리에틸렌(PE) 소재로서 상부에는 "ㄱ" 형상의 손잡이가 부착되고, 바닥에는 베어링 홀을 형성하고 복수 개의 베어링을 삽입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하우스, 컬링스톤 이외에 투구용 스틱, 스틱 및 스톤 보관대 등 빙상 컬링경기에 준하는 용품이 수반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운용자 단말기는, 스마트 폰·PC·노트북 등을 구성되며, 운용자가 경기 참여자의 이력 등 관련 정보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 컴퓨터에 등록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카메라는, 하우스와 플로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영상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 컴퓨터에 송신되고, 상기 서버 컴퓨터로부터 줌-인, 줌-아웃 명령을 수신하여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이용자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스마트 폰·PC·노트북 등으로 구성되며, 스킵(skip)이 스톤 투구자(thrower)에게 투구 방향, 강도 등을 지시하고 소통하는 스킵용 이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그 외 경기 참여자들 간에 소통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경기 관제용 DID 장치는, 상기 운용자 단말기, 이용자 단말기 및 카메라 등 외부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자동 분석 장치와 연계되고, 경기 참여자들의 경기 운용 정보를 모니터를 통하여 제공되며, 상기 모니터에서 경기 참여자 정보가 직접 등록되고, 경기 결과가 DB에 저장되도록 명령을 할 수 있는 등 다목적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경기 관제용 DID 장치는, 상기 자동 분석 컴퓨터 모듈을 이용하여 경기 참여자의 정보가 입력되는 UI를 제공되며, 경기 결과 관리 및 전체 시스템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경기관리 및 결과분석 프로그램은, 상기 운용자 단말기, 카메라 및 이용자 단말기와 연계되며, 경기를 관리하고, 경기결과 정보가 분석되어 경기 참여자별 데이터로 생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스톤 추적 및 영상 분석 프로그램은,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스톤을 추적하고, 촬영된 스톤 영상을 분석하여 스톤의 위치 및 경기결과가 자동으로 계산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스톤 추적 및 영상 분석 프로그램은, 현재의 경기 진행상황을 분석되고, 계산된 점수가 스코어판에 기록되며, 상기 경기 관제용 DID 장치 및 이용자 단말기에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스킵 지도용 모바일 소프트웨어는,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이 실시간 확인되며, 스킵용 이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경기 지시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스킵 지도용 모바일 소프트웨어는, 스킵이 스킵용 이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지시한 사항을 경기 참여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하우스 위치 자동 조정 소프트웨어는, 상기 하우스 중앙부 공중에 설치된 카메라가 점수 계산을 위한 눈금 매기기(Calibration) 과정이 스스로 진행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스마트 캠 원격제어 운용 프로그램은, 경기 진행 및 정지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카메라로 하여금 스스로 촬영 또는 정지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스마트 캠 원격제어 운용 프로그램은, 상기 카메라가 원격으로 줌-인, 줌-아웃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자동 분석 컴퓨터 모듈은, 상기 자동 분석 장치에 내장되어 프로그램 및 소프트웨어가 관제되고 컨트롤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효과음 생성 프로그램은, 이벤트 발생 시 해당 효과음이 재생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경기관리 및 결과분석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경기관리 및 결과분석 프로그램에 의해 진행된 경기 결과 정보가 저장 및 분석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이용자 관리 데이터베이스는, 경기 참여자별 데이터로 생성된 경기결과 정보를 관리하고, 지속적으로 경기 참여자의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분석하여 향상 정보가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의 특징은, (a) 경기 참여자의 정보가 등록되는 단계, (b) 상기 경기 참여자들의 경기가 운용되는 단계, (c) 경기 참여자별 경기결과가 자동으로 계산되고 DB에 저장되는 단계 및 d) DB를 이용하여 이용자별 이력 및 경기결과가 관리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의 다른 특징은, 상기 (a) 경기 참여자의 정보가 등록되는 단계는, 운용자 단말기 및 경기 관제용 DID 장치의 모니터를 이용하여 경기 참여자의 정보가 등록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b) 경기 참여자들의 경기가 운용되는 단계는, (ba) 하우스 중앙부 공중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자동 눈금 매기기를 진행하는 단계와, (bb) 하우스 형태 및 스톤위치를 분석하는 영상 분석 단계와, (bc) 스킵이 투구를 지도하는 단계 및 (bd) 효과음 발생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b) 경기 참여자들의 경기가 운용되는 단계의 (bb) 영상 분석 단계는, 하우스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 이미지 에지(Edge)를 검출하는 단계, 가림 물체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하우스 원 영역 추출하는 단계, 스톤 위치 추출단계, 스톤 거리 측정 및 순서화 단계, 스톤 넘버링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bb) 영상 분석 단계는, 경기 관제용 DID 장치의 모니터에 위치 정보를 순서화하여 오버레이(Overlay) 형태로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bb) 영상 지능 분석 단계는, 엔드별 스톤 위치 검출결과를 기반으로 스코어를 자동 계산하여 경기 관제용 DID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bc) 스킵이 투구를 지도하는 단계는, 스킵용 이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 확인하며, 경기 지시를 하며, 경기 참여자와 소통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bd) 효과음 발생 단계는, 스톤과 스톤이 충돌할 때, 스톤이 하우스에 안착하거나, 엔드(end)가 끝나거나, 승리할 때 등 각 상황에 맞는 이벤트 발생 시 해당 효과음이 재생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c) 경기 참여자별 경기결과가 자동으로 계산되고 DB에 저장되는 단계는, 자동 계산된 각 팀의 최종 점수가 경기 관제용 DID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되며, 경기 참여자별 개인 경기결과가 DB에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c) 경기 참여자별 경기결과가 자동으로 계산되고 DB에 저장되는 단계는, 자동 계산된 각 팀의 최종 점수가 경기 관제용 DID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되며, 경기 참여자별 개인 경기결과가 DB에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d) DB를 이용하여 이용자별 이력 및 경기결과가 관리되는 단계는, 상기 (a) 경기 참여자의 정보가 등록되는 단계에서 등록된 경기 참여자의 매 경기결과 상황, 향상 정보를 자동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하며, 누적된 이용자별 경기 데이터를 축적하여 지속적으로 관리 및 분석하여 성적관리까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은,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몸체를 만들고, 미끄럼 유발 수단으로 베어링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중량이 가볍고, 실내의 플로어를 비롯한 딱딱하고 평탄한 곳이면 어디에서나 쉽게 경기를 할 수 있어, 노약자와 어린이가 함께 참여하는 가족 친화적이며,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경기를 할 수 있는 민주적인 생활체육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은, 실내에서 전 경기가 진행됨으로서, 대기 환경의 오염에 따른 미세먼지 등 유해물질 또는 폭염 등으로 인해 운동을 꺼려하는 사람들에게 흥미로운 실내경기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은, 기후적으로 동계스포츠를 접할 수 없는 동남아를 비롯한 중동지역 등에서 즐겁고 흥미로운 운동 종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은, 외부 장치, 프로그램 및 소프트웨어에 의해 경기가 진행되고, 경기 참여자의 경기결과가 데이터베이스화됨으로서, 이용자의 경기력 향상에 이바지하고 지속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컬링 스톤 및 하우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운용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각 장치의 운용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스톤하우스 내의 이미지 분석도 및 경기 운용 단계별 공정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스톤하우스 내의 넘버링 및 충돌 스톤 이미지 분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 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은, 남녀노소, 장애인 비장애인 등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신 개념 생활 스포츠로서 기존의 플로어 컬링 경기를 개선하여 경기 참여자 모두가 적극적으로 재미(Interest)와 의사소통(Communication)이 가능한 스포츠 ICT 융복합 기술로써, 경기 참여자 이력이 관리되며, 스톤의 움직임과 스코어를 자동으로 감지 및 계산하며, 모바일 등으로 운용이 가능한 시스템으로서, 하우스 및 컬링스톤 등 용품 이외에 컬링스톤을 추적하여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카메라, 이용자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운용자 단말기, 경기를 진행하는 이용자 단말기, 각종 프로그램 및 소프트웨어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데이터베이스로 이루어지는 서버 컴퓨터 및 경기 진행 상황을 지시하고 모니터에 표시되며 소통하는 경기 관제용 DID 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DB에 등록된 경기 참여자의 점수 관리 및 향상 정보가 제공되어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컬링스톤 및 하우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운용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각 장치의 운용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내는 공정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스톤하우스 내의 이미지 분석도 및 경기 운용 단계별 공정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스톤하우스 내의 넘버링 및 충돌 스톤 이미지 분석도이다.
<실시 예 1>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은, 하우스(2), 컬링스톤(1), 운용자 단말기(11), 카메라(12), 이용자 단말기(13), 네트워크, 경기 관제용 DID 장치(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상기 경기 관제용 DID 장치(14)는, 자동 분석 장치(14.2)와 서버 컴퓨터(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상기 서버 컴퓨터(100)는, 제어부(110)와, 데이터베이스(120)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상기 제어부(110)는, 경기관리 및 결과분석 프로그램(111), 스톤 추적 및 영상 분석 프로그램(112), 스킵 지도용 모바일 소프트웨어(113), 하우스 위치 자동 조정 소프트웨어(114), 스마트 캠 원격제어 운용 프로그램(115), 자동 분석 컴퓨터 모듈(116) 및 효과음 생성 프로그램(117)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상기 데이터베이스(120)는, 경기관리 및 결과분석 데이터베이스(121) 및 이용자 관리 데이터베이스(122)로 이루어진다.
도 1을 다시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상기 하우스(2)는 빙상종목의 컬링경기에 사용되는 하우스의 형태와 동일하며, 경기장의 일 측에 빛을 투사하여 플로어에 나타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상기 컬링스톤(1)은, 상기 하우스(2)로부터 소정 거리의 다른 일 측에서 상기 하우스를 향하여 플로어 상에서 활주(滑走) 되도록 폴리에틸렌(PE) 소재로서 상부에는 "ㄱ" 형상의 손잡이(1.1)가 부착되고, 바닥에는 베어링 홀을 형성하고 복수 개의 베어링(1.2)을 삽입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은 상기 하우스(2), 컬링스톤(1) 이외에 투구용 스틱(3), 스틱 및 스톤 보관대(미도시) 등 빙상 컬링경기에 준하는 용품이 수반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컬링스톤(1)은 폴리에틸렌(PE) 소재를 사용하여 6kg 중량으로 몸체를 만들고 손잡이(1.1)를 적색(Red)과 황색(Yellow)으로 제작되어지며, 상기 하우스는 지름 1800mm, 활주 거리는 15m 이상 기준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상기 운용자 단말기(11)는, 스마트 폰·PC·노트북 등을 구성되며, 경기 참여자의 이력 등 관련 정보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 컴퓨터(100)에 등록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상기 카메라(12)는, 하우스(2)와 플로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영상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 컴퓨터(100)에 송신하고, 상기 서버 컴퓨터(100)로부터 줌-인, 줌-아웃 명령을 수신하여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상기 이용자 단말기(13)는, 하나 이상의 스마트 폰·PC·노트북 등으로 구성되며, 스킵(skip)이 스톤 투구자(thrower)에게 투구 방향, 강도 등을 지시하고 소통하는 스킵용 이용자 단말기를 포함하여 그 외 경기 참여자들 간에 소통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상기 경기 관제용 DID 장치(14)는, 상기 운용자 단말기(11), 이용자 단말기(13) 및 카메라(12) 등 외부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자동 분석 장치(14.2)와 연계되고, 상기 자동 분석 장치(14.2)는 프로그램 및 소프트웨어를 관제하고 컨트롤하는 자동 분석 컴퓨터 모듈(116)을 내장함으로서, 상기 운용자 단말기(11) 및 이용자 단말기(13)의 경기 참여자의 이력 등 관련 정보와, 상기 카메라(12)에서 얻어지는 영상을 자동 분석하여 경기 참여자들의 경기 운용 정보를 모니터(14.1)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경기 관제용 DID 장치(14)는, 상기 자동 분석 컴퓨터 모듈(116)을 이용하여 경기 참여자의 정보가 입력하는 UI를 제공되며, 경기 결과 관리 및 전체 시스템이 모니터링 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모니터(14.1)에서 경기 참여자 정보가 직접 등록되고, 경기 결과를 DB에 저장되도록 명령을 할 수 있는 등 다목적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상기 경기관리 및 결과분석 프로그램(111)은, 상기 운용자 단말기(11), 카메라(12) 및 이용자 단말기(13)와 연계되며, 경기를 관리하고, 경기결과 정보를 분석하여 경기 참여자별 데이터로 생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상기 스톤 추적 및 영상 분석 프로그램(112)은, 상기 카메라(12)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스톤을 추적하고, 촬영된 스톤 영상을 분석하여 스톤의 위치 및 경기결과를 자동으로 계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스톤 추적 및 영상 분석 프로그램(112)은, 현재의 경기 진행상황을 분석하고, 계산된 점수를 스코어판에 기록하며, 상기 경기 관제용 DID 장치(14) 및 이용자 단말기(13)에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상기 스킵 지도용 모바일 소프트웨어(113)는, 상기 카메라(12)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 확인하며, 스킵용 이용자 단말기(13)를 이용하여 경기 지시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스킵 지도용 모바일 소프트웨어(113)는, 스킵이 스킵용 이용자 단말기(13)를 통하여 지시한 사항을 경기 참여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상기 하우스 위치 자동 조정 소프트웨어(114)는, 상기 하우스(2) 중앙부 공중에 설치된 카메라(12)가 점수 계산을 위한 눈금 매기기(Calibration) 과정을 스스로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상기 스마트 캠 원격제어 운용 프로그램(115)은, 경기 진행 및 정지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카메라(12)로 하여금 스스로 촬영 또는 정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스마트 캠 원격제어 운용 프로그램(115)은, 상기 카메라(12)가 원격으로 줌-인, 줌-아웃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상기 자동 분석 컴퓨터 모듈(116)은, 상기 자동 분석 장치(14.2)에 내장되어 프로그램 및 소프트웨어를 관제하고 컨트롤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상기 효과음 생성 프로그램(117)은, 이벤트 발생 시 해당 효과음이 재생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벤트는 스톤과 스톤이 충돌할 때는 충돌 음향을, 스톤이 하우스에 안착하거나, 엔드(end)가 끝나거나, 승리할 때 등 각 상황에 맞는 다양한 음향을 재생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상기 경기관리 및 결과분석 데이터베이스(121)는, 상기 경기관리 및 결과분석 프로그램(111)에 의해 진행된 경기 결과 정보를 저장 및 분석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의 상기 이용자 관리 데이터베이스(122)는, 경기 참여자별 데이터로 생성된 경기결과 정보를 관리하고, 지속적으로 경기 참여자의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분석하여 향상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향상 정보에는, 경기 참여자별 데이터를 토대로 투구성향 및 획득 점수를 분석하여, 개인별 이상적이 투구 순서를 제공함으로서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실시 예 2>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은, (a) 경기 참여자의 정보가 등록되는 단계(S100), (b) 상기 경기 참여자들의 경기가 운용되는 단계(S200), (c) 경기 참여자별 경기 결과가 자동으로 계산되고 DB에 저장되는 단계(S300) 및 d) DB를 이용하여 이용자별 이력 및 경기결과가 관리되는 단계(S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의 상기 (a) 경기 참여자의 정보가 등록되는 단계(S100)는, 운용자 단말기(11) 및 경기 관제용 DID 장치(14)의 모니터(14.1)를 이용하여 경기 참여자의 정보가 등록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의 상기 (b) 경기 참여자들의 경기가 운용되는 단계(S200)는, (ba) 하우스 중앙부 공중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자동 눈금 매기기(Calibration)를 진행하는 단계(S210)와, (bb) 하우스 형태 및 스톤위치를 분석하는 영상 분석 단계(S220)와, (bc) 스킵의 투구가 지도되는 단계(S230) 및 (bd) 효과음 발생 단계(S240)를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b) 경기 참여자들의 경기가 운용되는 단계(S200)의 (bb) 영상 분석 단계(S220)는, 하우스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S221), 이미지 에지(Edge)를 검출하는 단계(S222), 가림 물체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223), 하우스 원 영역 추출하는 단계(S224), 스톤 위치 추출단계(S225), 스톤 거리 측정 및 순서화 단계(S226), 스톤 넘버링 단계(S227)를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bb) 영상 분석 단계(S220)는, 경기 관제용 DID 장치(14)의 모니터(14.1)에 위치 정보를 순서화하여 오버레이(Overlay) 형태로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bb) 영상 분석 단계(S220)는, 엔드별 스톤 위치 검출결과를 기반으로 스코어를 자동 계산하여 경기 관제용 DID 장치(14)의 모니터(14.1)에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bb) 영상 분석 단계(S220)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스톤의 위치에 따른 점수 자동 계산, 엔드별 누적 점수 자동 계산, 엔드 종료 시점을 파악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각 단계(S221 ~ S227)는, 상기 알고리즘에 의해 스톤 충돌 시 즉각적인 검출이 가능하도록 하우스 이미지를 30 프레임/sec 이상으로 캡쳐될 수 있도록 하며, 프레임 당 최단 분석 시간을 확보하여 실시간 반응이 가능하도록 하며, 캡쳐 화면의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 심화분석을 시행하여 가밀 물체인지 스톤의 진입인지 판결하며, 스톤 형태 지식을 학습하여 입력하고, 그것을 활용하여 이미지로부터 스톤의 위치를 계산하고, 카메라의 그림자 등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인식기능을 가지며, 스톤과 하우스의 원주를 분석하여 스톤 열의 위치를 계산하여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를 산출하고 순서화 하여 넘버링 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bc) 스킵의 투구가 지도되는 단계(S230)는, 스킵용 이용자 단말기(13)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12)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 확인하며, 경기 지시를 하며, 경기 참여자와 소통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bd) 효과음 발생 단계(S240)는, 스톤과 스톤이 충돌할 때, 스톤이 하우스에 안착하거나, 엔드(end)가 끝나거나, 승리할 때 등 각 상황에 맞는 이벤트 발생 시 해당 효과음이 재생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의 상기 (c) 경기 참여자별 경기결과가 자동으로 계산되고 DB에 저장되는 단계(S300)는, 자동 계산된 각 팀의 최종 점수가 경기 관제용 DID 장치(14)의 모니터(14.1)에 표시되며, 경기 참여자별 개인 경기결과가 DB에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c) 경기 참여자별 결기결과가 자동으로 계산되고 DB에 저장되는 단계(S300)는, 자동 계산된 각 팀의 최종 점수가 경기 관제용 DID 장치(14)의 모니터(14.1)에 표시되며, 경기 참여자별 개인 경기결과가 DB에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의 상기 (d) DB를 이용하여 이용자별 이력 및 경기결과가 관리되는 단계(S400)는, 상기 (a) 경기 참여자의 정보가 등록되는 단계(S100)에서 등록된 경기 참여자의 매 경기의 결과 상황, 향상 정보가 자동 저장되고 검색될 수 있도록 하며, 누적된 이용자별 경기 데이터를 축적하여 지속적으로 관리 및 분석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을 이용한 경기운용 및 데이터 활용은 다음과 같다.
1. 경기 참여자 등록
가. 최초 경기 참여자(총 8명) 정보 등록
- 운용자 단말기 또는 경기 관제용 DID 장치의 모니터에서 등록
- 팀을 나누고 스킵(Skip) 및 투구자(Thrower)를 정하고 투구(Delivery) 순서를 정한다.
나. 유경험자의 경기 참여자 등록
- 이용자 관리 데이터베이스의 이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경기 참여자로 등록된다.
- 이용자 관리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되는 향상정보를 참조하여 이상적인 투구순서를 정한다.
2. 경기 진행 및 운용
가. 순서대로 각 팀에서 번갈아 가며 제1 구, 제2 구를 투구한다.
-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스톤의 영상이 이용자 단말기 및 경기 관제용 DID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된다.
- 이때, 스톤에는 하우스의 중심부로부터 가까운 순으로 관리번호가 넘버링 되며, 충돌할 때 충돌 효과음이 재생되고, 하우스에 안착하면 다른 효과음이 재생된다.
- 스킵은 스킵용 이용자 단말기로 다음 투구자에게 투구방향과 작전을 지시하고 협의한다.
- 이때, 이용자 단말기 및 경기 관제용 DID 장치의 모니터에 스킵의 지시 사항이 표시된다.
나. 엔드가 끝나면, 하우스 중앙부 공중의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이미지를 토대로 점수가 산출된다.
다. 이용자 단말기 및 경기 관제용 DID 장치의 모니터에 스코어 시트와 함께 획득한 점수가 표시된다.
라. 상기 "가→나→다" 과정이 반복되면서 각 엔드의 경기가 진행되고 종료된다.
3. 경기 정보 저장 및 활용
가. 경기관리 및 결과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경기관리 및 결과분석 프로그램에 의해 경기 참여자 개인별 경기결과 정보가 분석되고 저장된다.
나. 개인별로 분석된 경기 정보는 이용자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누적되어 저장되고, 본인 또는 운용자에게 활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은,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몸체를 만들고, 미끄럼 유발 수단으로 베어링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중량이 가볍고, 실내의 플로어를 비롯한 딱딱하고 평탄한 곳이면 어디에서나 쉽게 경기를 할 수 있어, 노약자와 어린이가 함께 참여하는 가족 친화적이며,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경기를 할 수 있는 민주적인 생활체육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은, 실내에서 전 경기가 진행됨으로서, 대기 환경의 오염에 따른 유해물질 또는 폭염 등으로 인해 운동을 꺼려하는 사람들에게 흥미로운 실내경기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은, 기후적으로 동계스포츠를 접할 수 없는 동남아를 비롯한 중동지역 등에서 즐겁고 흥미로운 운동 종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은, 외부 장치, 프로그램 및 소프트웨어에 의해 경기가 진행되고, 경기 참여자의 경기결과가 데이터베이스화됨으로서, 이용자의 경기력 향상에 이바지하고 지속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1 : 컬링스톤
1.1 : 손잡이
1.2 : 베어링
2 : 하우스
3 : 투구용 스틱
10 :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11 : 운용자 단말기
11.1 : 스마트 폰
11.2 : PC
11.3 : 노트북
12 : 카메라(스마트 캠)
13 : 이용자 단말기(스킵용 이용자 단말기)
13.1 : 스마트 폰
13.2 : PC
13.3 : 노트북
14 : 경기 관제용 DID 장치
14.1 : 모니터
14.2 : 자동 분석 장치
100 : 서버 컴퓨터
110 : 제어부
111 : 경기관리 및 결과분석 프로그램
112 : 스톤추적 및 영상 분석 프로그램
113 : 스킵 지도용 모바일 소프트웨어
114 : 하우스 위치 자동조정 장치(소프트웨어)
115 : 스마트 캠 원격제어 운용 프로그램
116 : 자동 분석 컴퓨터 모듈
117 : 효과음 생성 프로그램
120 : 데이터베이스
121 : 경기관리 및 결과분석 데이터베이스
122 : 이용자 관리 데이터베이스

Claims (13)

  1. 플로어로 된 경기장의 일 측에 설치되는 하우스(2)와, 상기 하우스로부터 소정 거리의 다른 일 측에서 상기 하우스를 향하여 미끄럼 투구되는 컬링스톤(1)과, 하나 이상의 스마트 폰·PC·노트북 등을 포함하는 운용자 단말기(11)와, 하나 이상의 카메라(12)와, 하나 이상의 스마트 폰·PC·노트북 등을 포함하는 이용자 단말기(13)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운용자 단말기(11)·이용자 단말기(13)·카메라(12)를 연계하여 얻어지는 정보를 자동 분석하는 자동 분석 장치(14.2)를 포함하는 경기 관제용 DID 장치(14)로 이루어지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경기 관제용 DID 장치(14)는 서버 컴퓨터(100)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 컴퓨터(100)는,
    상기 운용자 단말기(11), 카메라(12) 및 이용자 단말기(13)와 연계되며, 경기를 관리하고, 점수 정보를 분석하여 경기 참여자별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구성되는, 경기관리 및 결과분석 프로그램(111)과,
    상기 카메라(12)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스톤을 추적하고, 촬영된 스톤 영상을 분석하여 스톤의 위치 및 경기결과를 자동으로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스톤 추적 및 영상 분석 프로그램(112)과,
    상기 카메라(12)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 확인하며, 스킵용 이용자 단말기(13)를 이용하여 경기 지시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킵 지도용 모바일 소프트웨어(113)와,
    상기 하우스(2) 중앙부 공중에 설치된 상기 카메라(12)가 점수 계산을 위한 눈금 매기기(Calibration) 과정을 스스로 진행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스 위치 자동 조정 소프트웨어(114)와,
    경기 진행 및 정지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카메라(12)로 하여금 스스로 촬영 또는 정지하도록 구성되는, 스마트 캠 원격제어 운용 프로그램(115)과,
    상기 프로그램 및 소프트웨어를 관제하고 컨트롤하도록 구성되는, 자동 분석 컴퓨터 모듈(116)로 이루어지는 제어부(110); 및
    상기 경기관리 및 결과분석 프로그램(111)에 의해 진행되고, 경기 결과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경기관리 및 결과분석 데이터베이스(121)와,
    경기 참여자별 데이터로 생성된 경기결과 정보가 경기 참여자 별로 관리되도록 구성되는 이용자 관리 데이터베이스(122)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톤 추적 및 영상 분석 프로그램(112)은, 현재의 경기 진행상황을 분석하고, 계산된 점수를 점수판에 기록하여 상기 경기 관제용 DID 장치(14) 및 이용자 단말기(13)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킵 지도용 모바일 소프트웨어(113)는, 스킵이 스킵용 이용자 단말기(13)의 모니터에서 지시한 사항이 경기 참여자에 의해 모니터링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기 관제용 DID 장치(14)는, 상기 자동 분석 컴퓨터 모듈(116)을 이용하여 경기 참여자의 정보가 입력되는 UI를 제공하며, 경기 결과 관리 및 전체 시스템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에서 어느 한 항으로 구성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을 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경기 참여자의 정보가 등록되는 단계(S100);
    (b) 경기 참여자들의 경기가 운용되는 단계(S200);
    (c) 경기 참여자별 경기결과가 자동으로 계산되고 DB에 저장되는 단계(S300);
    (d) DB를 이용하여 이용자별 이력 및 경기결과가 관리되는 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a) 경기 참여자의 정보가 등록되는 단계(S100)는, 운용자 단말기(11) 및 경기 관제용 DID 장치(14)의 모니터(14.1)를 이용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b) 경기 참여자들의 경기가 운용되는 단계(S200)는, (ba) 하우스(2) 중앙부 공중에 카메라(12)를 설치하여 자동 눈금 매기기(Calibration)를 진행하는 단계(S210)와, (bb) 하우스 형태 및 스톤위치를 분석하는 영상 분석 단계(S220)와, (bc) 스킵의 투구가 지도되는 단계(S230) 및 (bd) 효과음 발생 단계(S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bb) 영상 분석 단계(S220)는, 하우스 이미지를 캡처하는 단계(S221), 이미지 에지를 검출하는 단계(S222), 가림 물체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S223), 하우스 원 영역 추출하는 단계(S224), 스톤 위치 추출단계(S225), 스톤 거리 측정 및 순서화 단계(S226), 스톤 넘버링 단계(S2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bb) 영상 분석 단계(S220)는, 엔드별 스톤 위치 검출결과를 재료로 하여 스코어를 자동 계산하여 경기 관제용 DID 장치(14)의 모니터(14.1)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bc) 스킵의 투구가 지도되는 단계(S230)는, 스킵용 이용자 단말기(13)를 이용하여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c) 경기 참여자별 경기결과가 자동으로 계산되고 DB에 저장되는 단계(S300)는, 자동 계산된 각 팀의 최종 점수가 경기 관제용 DID 장치(14)의 모니터(14.1)에 표시되며, 경기 참여자별 개인 경기결과가 DB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
  12.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c) 경기 참여자별 경기결과가 자동으로 계산되고 DB에 저장되는 단계(S300)는, 자동 계산된 각 팀의 최종 점수가 경기 관제용 DID 장치(14)의 모니터(14.1)에 표시되며, 경기 참여자별 개인 경기결과가 DB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
  13.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d) DB를 이용하여 이용자별 이력 및 경기결과가 관리되는 단계(S400)는, 상기 (a) 경기 참여자의 정보가 등록되는 단계(S100)에서 등록된 경기 참여자의 매 경기 결과 상황, 향상 정보를 자동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하며, 누적된 이용자별 경기 데이터를 축적하여 지속적으로 관리 및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운용방법.

















KR1020190025533A 2019-03-06 2019-03-06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117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533A KR102117254B1 (ko) 2019-03-06 2019-03-06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533A KR102117254B1 (ko) 2019-03-06 2019-03-06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7254B1 true KR102117254B1 (ko) 2020-06-01

Family

ID=71083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533A KR102117254B1 (ko) 2019-03-06 2019-03-06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2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2130A (ko) 2010-04-06 2011-10-12 박진현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상 피팅 방법과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180098111A (ko) * 2017-02-24 2018-09-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딥러닝에 기반한 컬링 경기 전략 추천 장치 및 그 방법
KR101928080B1 (ko) 2017-02-24 2018-12-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컬링 시뮬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컬링 경기의 진행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2130A (ko) 2010-04-06 2011-10-12 박진현 네트워크를 이용한 가상 피팅 방법과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180098111A (ko) * 2017-02-24 2018-09-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딥러닝에 기반한 컬링 경기 전략 추천 장치 및 그 방법
KR101928080B1 (ko) 2017-02-24 2018-12-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컬링 시뮬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컬링 경기의 진행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7737B2 (en) Athletic training system and method
US11322043B2 (en) Remote multiplayer interactive physical gaming with mobile computing devices
US9975031B2 (en) Public safety and commercial delivery management system integrating activity and event performance data collection
US10478699B2 (en) Full scale practice and training system, method and software medium utilizing programmable chassis driven drones and tackling dummies in singular and multiple variants such as use by positional players in sole and team-based sports as well as other non-athletic training applications
KR101145126B1 (ko) 당구게임 교육 시스템과 교육 제어방법
US10398957B2 (en) Pitching simulator systems and methods
US7361083B2 (en) Multimedia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or refereeing in dart machines
US8926443B2 (en) Virtual golf simulation device,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virtual golf simulation
CN103596625A (zh) 存储和分析高尔夫数据的系统和方法
CN103648593A (zh) 用于分析高尔夫数据的系统
KR102061485B1 (ko) 경기 관리 서버, 시스템 및 방법
US11173376B2 (en) Full scale practice, training and diagnostic system method and software medium including highlighted progression illuminations and field embedded pressure sensors for use by positional players in sole and team-based sports as well as other non-athletic training applications
KR20210139021A (ko) 회원간에 이루어지는 스포츠 게임 관리 시스템
KR20140063105A (ko) 스포츠 경기 원격 판정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08367A (ko) 투구연습장치와 이를 이용한 투수의 투구분석방법 및오프라인의 투구연습장치의 투구정보를 온라인과 연계하여야구게임을 수행하는 방법
US201903887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ports performance data over a wireless network
KR102117254B1 (ko)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플로어 컬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888164B1 (ko) 골프 중계 방송 영상의 스트리밍을 이용한 골프 시뮬레이션 서비스 시스템
KR101247794B1 (ko) 골프 레슨을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74182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모의 골프 경기 방법 및 그 장치
KR102234638B1 (ko)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103701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and sports performance data over a wireless network
Khurana et al. Beyond adaptive sports: challenges & opportunities to improve accessibility and analyt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