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998B1 -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헬스클럽 회원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헬스클럽 회원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998B1
KR102196998B1 KR1020180113747A KR20180113747A KR102196998B1 KR 102196998 B1 KR102196998 B1 KR 102196998B1 KR 1020180113747 A KR1020180113747 A KR 1020180113747A KR 20180113747 A KR20180113747 A KR 20180113747A KR 102196998 B1 KR102196998 B1 KR 102196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members
management server
wearable device
member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3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4233A (ko
Inventor
서남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좋은운동으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좋은운동으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좋은운동으로
Priority to KR1020180113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998B1/ko
Publication of KR20200034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헬스클럽 회원 운동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헬스클럽에 입장하는 회원들이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를 인식함으로써 자동으로 입장한 회원들을 체크하여, 입장한 회원들의 희망곡을 연속으로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며, 입장한 회원들의 운동능력을 바탕으로 조명 및 음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헬스클럽 회원 운동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헬스클럽 회원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Health club member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using 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헬스클럽 회원 운동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헬스클럽에 입장하는 회원들이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를 인식함으로써 자동으로 입장한 회원들을 체크하여, 입장한 회원들의 희망곡을 연속으로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며, 입장한 회원들의 운동능력을 바탕으로 조명 및 음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헬스클럽 회원 운동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헬스클럽에서는 회원의 운동 관리가 트레이너의 판단에 의해서 일정기간 어떤 운동과정을 추천하여 진행하게 하거나 본인의 판단에 의해서 운동을 선택하는 정도이며 특별한 경우 운동관리를 전문으로 하는 사람들에 있어서나 기록지에 기록하여 관리하는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헬스클럽을 옮기게 되면 개인의 운동 이력에 대한 자료 관리가 전적으로 자신의 판단이나 상담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밖에 없다.
근래에 들어 경제 성장을 기반으로 현대인들의 생활수준이 크게 향상됨에 따라 여가 활동과 더불어 건강에 대한 관심 또한 과거에 비해 크게 높아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건강 및 체형을 관리하기 위한 일환으로 헬스 운동을 할 수 있는 헬스클럽(또는 휘트니스 클럽)을 이용하는 인구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헬스클럽은 시간적, 공간적으로 운동할 여건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현대인들에게 적합한 시설로서, 육체적, 정신적 건강의 증진은 물론이고 체형 관리 및 운동 감각을 키우는 목적으로 활용된다. 이외에도 그 시설 규모에 따라 시간대의 이용객들로 하여금 친밀감과 상호 유대 관계를 증진시키는 매개체 역할과, 다양한 프로그램과 부속 시설을 통하여 현대인의 레저 욕구에 부응하도록 레저 및 레크레이션을 제공한다.
이러한 헬스 클럽에서 경영의 주목적은 회원 관리에 있다. 이에 따라 회원의 필요나 선호가 바람직하게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회원 관리의 프로그래밍 및 구축이 절실히 필요하고, 더 나아가서는 회원의 요구에 부합하고, 회원의 합리적인 관리에 가장 적절하도록 회원 지향적 관리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즉, 회원에게 더 좋고 더 값싸며 더 빠르고 더 편리한 시설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그러나, 기존의 헬스클럽의 회원 관리 방법은 회원 관리 업무가 모두 수작업에 의존하기 때문에 많은 노동 인력이 필요하였고, 이로 인해 매달 고정된 인건비로 인해 많은 수익 창출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더욱이, 출입에 필요한 회원증(회원 카드) 발급도 장시간 소요되고 있어 클럽의 시설과 관리가 고객에 대한 감각적 서비스에 뒤지고 있으며, 회원들의 개인적인 성향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인 조명 및 음향의 재생으로 인해 회원들의 운동 의욕을 고취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헬스 클럽 회원 관리 시스템에 관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088381호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헬스클럽에 입장하는 회원들이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를 인식함으로써 자동으로 입장한 회원들을 체크하여, 입장한 회원들의 희망곡을 연속으로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며, 입장한 회원들의 운동능력을 바탕으로 조명 및 음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헬스클럽 회원 운동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헬스클럽 회원 관리 시스템은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모듈;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모듈;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을 포함하는 회원관리서버;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다양한 색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식별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 및 헬스클럽 입구의 소정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상기 식별코드를 감지하여 상기 회원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비콘;을 포함하며,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입장한 회원의 운동능력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원관리서버는 상기 비콘으로부터 수신 받은 식별코드를 통해 입장회원들을 체크하여, 저장되어 있는 입장한 회원들의 희망곡들을 연속으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원관리서버는 상기 비콘으로부터 수신 받은 식별코드를 통해 입장회원들을 체크하여 입장한 회원들의 평균 운동능력을 산출하여 조명장치 및 음악재생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비콘에서 입장한 회원의 웨어러블 기기를 인식하여, 인식정보를 회원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회원관리서버에서 수신된 인식 정보와 대응되도록 저장된 회원정보를 검색하여 입장한 회원을 체크하고 웹사이트에 업로드하는 단계; 및 상기 회원관리서버의 저장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입장한 회원들 각각의 운동능력 정보를 파악하고, 해당 그룹의 평균 운동능력을 산출하여 적합한 운동 강도를 설정하고, 설정된 운동 강도에 맞게 조명 및 음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헬스클럽과 같이 다수의 회원이 이용하여 회원 관리 및 시설 운영 관리가 요구되는 시설들에서 회원이 웨어러블 기기를 착용하고 입장하게 되면 비콘이 웨어러블 기기를 감지하여 회원관리서버에 감지정보를 전송하면, 회원관리서버에서 저장된 회원정보를 통해 입장회원을 식별하여 입장정보를 자동으로 회원관리서버의 웹사이트에 업로드 하여 간편하게 회원 정보를 포함한 방문 현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강사도 웹사이트에 접속된 테블릿pc 등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담당 회원의 입장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장한 회원이 신입 회원일 경우, 강사가 웹사이트에 접속되어 있는 테블릿 pc 등을 통해 신입 회원의 입장을 즉시 파악하여 안내 및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입장한 회원의 헬스클럽 등록 기간을 파악하여 만료일이 다가올 경우 회원에게 고지하여 재등록 안내를 할 수도 있으며, 헬스클럽에 설치된 cctv와 연동하여 cctv영상과 회원관리서버에 저장된 회원정보를 비교하여 정식회원의 웨어러블 기기를 비회원이 습득하여 착용하고 들어올 경우에도 즉시 확인하여 조치가 가능하다.
또한, 웨어러블 기기를 착용한 회원이 입장하면 회원관리서버에서 저장된 회원의 운동능력 정보를 웨어러블 기기에 무선으로 송신하고, 웨어러블 기기는 회원의 운동능력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를 통해 운동능력에 해당하는 색상을 표시함으로써, 강사가 해당회원의 운동능력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회원관리서버에 저장된 회원정보를 토대로 입장한 회원들의 희망곡을 연속으로 재생할 수 있으며, 이때, 입장회원이 많아 모든 회원의 희망곡을 재생하기 위한 시간이 너무 많이 걸려 모든 곡의 재생이 힘든 경우에도, 각각의 희망곡의 일부만 재생하는 방식으로 입장한 회원 전체의 희망곡을 모두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여 회원들의 운동의욕을 고취시켜 운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룹 운동을 실시할 경우, 회원관리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그룹 운동에 참여하는 회원들의 운동능력 정보를 바탕으로 적절하게 조명, 음향, 공조시스템 및 영상을 제어함으로써 회원들의 흥미를 배가시켜서 헬스 트레이닝을 보다 적극적으로 하게 되어 운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헬스클럽 회원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헬스클럽 회원 관리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이하에서 설명하게 되는 각 구성부와 서버 및 시스템은 반드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독립적인 구성부나 서버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또는 하나 이상의 서버 또는 하나 이상의 시스템의 집합으로 구현되거나 일부가 공유될 수도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헬스클럽 회원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헬스클럽 회원 관리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헬스클럽 회원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헬스클럽 회원 관리 시스템은 회원관리서버(100), 비콘(200) 및 웨어러블 기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비콘(200)은 헬스클럽의 입구 소정위치에 장착되어, 입장하는 회원이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300)의 식별코드를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회원관리서버(100)에 전송하는 구성으로, 비콘(200) 이외에 NFC 리더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원관리서버(100)는 웨어러블 기기(300)의 식별코드와 연계하여 회원정보를 저장하고 회원의 입장 및 퇴장을 관리하며, 조명장치 및 음악재생장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통신모듈(101), 제어모듈(102) 및 저장모듈(103)을 포함한다.
통신모듈(101)은 비콘(200) 및 웨어러블 기기(300)와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비콘(200) 및 웨어러블 기기(3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모듈(101)은 수신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모듈(102)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102)로부터 전달 받은 데이터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제어모듈(102)은 회원관리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조명장치, 음악재생장치, 공조시스템과 연계되어 조명, 음악재생 및 냉난방 시스템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모듈(102)은 중앙처리장치(CPU:Central Processing Unit), 디지털신호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이 될 수 있다.
저장모듈(103)은 회원관리서버(100)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저장모듈(103)에 저장되는 회원정보에는 회원의 운동능력, 회원이 신청한 희망곡 등이 있으며, 회원이 소지한 웨어러블 기기(300)의 식별코드와 연계하여 회원의 정보를 저장하며, 저장모듈(103)에 저장되는 각 종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삭제, 변경 및 추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웨어러블 기기(300)는 회원이 손목, 발목 또는 헤어밴드 형태로 머리에 착용하여 헬스클럽에 입장 시 비콘(200)에 의해 감지되며, 통신부(301), 제어부(302), 표시부(303) 및 메모리(304)를 포함한다.
통신부(301)는 회원관리서버(100) 및 비콘(200)과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회원관리서버(100) 및 비콘(200)과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301)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302)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2)로부터 전달 받은 데이터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302)는 회원관리서버(100)로부터 회원운동능력 정보를 수신 받아 회원운동능력에 해당하는 색상을 표시하도록 표시부(303)를 제어하는 역할 및 회원관리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추천 동영상 및 관련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표시부(302)는 제어부(302)의 제어신호에 따라 회원운동능력에 해당하는 색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회원관리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추천 동영상 및 관련 콘텐츠를 재생한다.
메모리(304)는 각각의 웨어러블 기기(300)에 할당된 식별코드를 저장하고 있으며, 메모리(304)에 저장된 식별코드에 대응되도록 회원정보를 저장함으로써, 비콘(200)이 입장 회원이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300)의 식별코드를 감지하여 회원관리서버(100)로 전송하면, 회원관리서버(100)는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되도록 저장된 회원정보를 통해 입장 회원을 식별한다. 또한, 회원관리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은 추천 동영상 및 관련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헬스클럽 회원 관리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회원들이 헬스클럽에 등록을 하게 되면 회원들에게 웨어러블 기기(300)가 지급되며, 각각의 웨어러블 기기(300)의 메모리(304)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코드에 대응되도록 등록 회원의 운동능력정보, 희망곡, 등록기간 등의 회원정보가 회원관리서버(100)의 저장모듈(103)에 저장된다는 점을 밝히는 바이다.
도 4는 입장 회원 체크 및 웨어러블 기기(300)의 운동능력에 따른 표시부(303) 점등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기기(300)를 착용한 회원이 입장(S10)하면, 헬스클럽의 입구 소정위치에 장착된 비콘(200)에서 웨어러블 기기(300)의 메모리(304)에 저장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인식된 정보를 회원관리서버(100)로 송신(S11)한다.
회원관리서버(100)는 수신된 식별코드 인식 정보와 대응되도록 저장된 회원정보를 검색하여 입장한 회원을 체크하고 곧바로 웹사이트에 업로드함과 동시에 입장한 회원의 운동능력 정보를 웨어러블 기기(300)로 송신(S12)한다.
상기와 같이, 입장정보를 자동으로 회원관리서버(100)의 웹사이트에 업로드하여 간편하게 회원 정보를 포함한 방문 현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강사도 웹사이트에 접속된 테블릿pc 등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담당 회원의 입장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장한 회원이 신입 회원일 경우, 강사가 웹사이트에 접속되어 있는 테블릿 pc 등을 통해 신입 회원의 입장을 즉시 파악하여 안내 및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입장한 회원의 헬스클럽 등록 기간을 파악하여 만료일이 다가올 경우 회원에게 고지하여 재등록 안내를 할 수도 있으며, 헬스클럽에 설치된 cctv와 연동하여 cctv영상과 회원관리서버에 저장된 회원정보를 비교하여 정식회원의 웨어러블 기기(300)를 비회원이 습득하여 착용하고 들어올 경우에도 즉시 확인하여 조치가 가능하다.
이후, 웨어러블 기기(300)의 제어부(302)는 수신 받은 운동능력 정보를 토대로, 운동능력에 해당하는 색을 점등하도록 표시부(303)를 제어하고, 제어신호를 받은 표시부(303)는 운동능력에 해당하는 색을 점등(S13)한다.
운동능력에 해당하는 색을 예로 들면, 운동능력이 약할수록 연한 색을 점등하도록 하고, 운동능력이 강해질수록 점점 진한 색으로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노란색-초록색-파란색-빨간색)
상기와 같이, 웨어러블 기기(300)를 착용한 회원이 입장하면 회원관리서버(100)에서 저장된 회원의 운동능력 정보를 웨어러블 기기(300)에 무선으로 송신하고, 웨어러블 기기(300)는 회원의 운동능력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303)를 통해 운동능력에 해당하는 색상을 표시함으로써, 강사가 해당회원의 운동능력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입장한 회원들이 각자 개별운동을 하는 경우에, 입장 회원들의 희망곡을 연속 재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기기(300)를 착용한 회원이 입장(S20)하면, 헬스클럽의 입구 소정위치에 장착된 비콘(200)에서 웨어러블 기기(300)의 메모리(304)에 저장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인식된 정보를 회원관리서버(100)로 송신(S21)한다.
회원관리서버(100)는 수신된 식별코드 인식 정보와 대응되도록 저장된 회원정보를 검색하여 입장한 회원을 체크(S22)하고 곧바로 웹사이트에 업로드한다.
상기와 같이, 입장정보를 자동으로 회원관리서버(100)의 웹사이트에 업로드하여 간편하게 회원 정보를 포함한 방문 현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강사도 웹사이트에 접속된 테블릿pc 등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담당 회원의 입장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장한 회원이 신입 회원일 경우, 강사가 웹사이트에 접속되어 있는 테블릿 pc 등을 통해 신입 회원의 입장을 즉시 파악하여 안내 및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입장한 회원의 헬스클럽 등록 기간을 파악하여 만료일이 다가올 경우 회원에게 고지하여 재등록 안내를 할 수도 있으며, 헬스클럽에 설치된 cctv와 연동하여 cctv영상과 회원관리서버에 저장된 회원정보를 비교하여 정식회원의 웨어러블 기기(300)를 비회원이 습득하여 착용하고 들어올 경우에도 즉시 확인하여 조치가 가능하다.
이후, 회원관리서버(100)의 저장모듈(103)에 저장되어 있는 입장한 회원들의 희망곡을 연속으로 재생(S23)한다.
이때, 입장한 회원들이 많을 경우에는, 회원들의 희망곡을 모두 재생하게 되면 시간이 너무 많이 걸려 입장한 회원 중 일부는 자신의 희망곡이 재생되기도 전에 운동을 마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입장한 회원들 각각의 희망곡의 일부만 재생하는 방식으로 입장한 회원 전체의 희망곡을 모두 재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원관리서버(100)를 통해 미리 입장한 회원들의 운동 평균시간을 60분으로 설정한 경우, 입장한 회원이 20명 이상이 되면, 평균적인 노래의 재생시간이 3분에서 4분임을 고려할 때 모든 희망곡을 재생할 경우, 재생시간이 60분을 초과하게 되어 일부 입장 회원들은 자신의 희망곡을 듣지 못하고 운동을 마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회원관리서버(100)의 제어모듈(102)에서 미리 입장한 회원들의 희망곡들의 전체 재생시간을 계산하여, 총 재생시간이 60분을 넘어가게 되면, 입장한 회원들의 희망곡의 재생시간이 60분 이내가 되도록, 희망곡들의 하이라이트 부분만 잘라서 재생하거나, 희망곡들의 1절만 재생할 수 도 있으며, 이때 입장회원들의 희망곡이 중복될 경우에는 이를 한곡으로 인식하여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희망곡들의 재생은 회원들의 입장순서에 따라 재생되거나 또는 입장 순서와 상관없이 무작위로 재생될 수도 있으며, 회원이 퇴장을 하게 되면 퇴장한 회원의 희망곡을 재생 목록에서 자동으로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회원관리서버(100)의 저장모듈(103)에 저장된 회원정보를 토대로 입장한 회원들의 희망곡을 연속으로 재생할 수 있으며, 이때, 입장회원이 많아 모든 회원의 희망곡을 재생하기 위한 시간이 너무 많이 걸려 모든 곡의 재생이 힘든 경우에도, 각각의 희망곡의 일부만 재생하는 방식으로 입장한 회원 전체의 희망곡을 모두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여 회원들의 운동의욕을 고취시켜 운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6은 입장한 회원들이 그룹운동을 하는 경우에, 입장 회원들의 운동능력정보를 바탕으로 조명 및 음악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기기(300)를 착용한 회원이 입장(S30)하면, 헬스클럽의 입구 소정위치에 장착된 비콘(200)에서 웨어러블 기기(300)의 메모리(304)에 저장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인식된 정보를 회원관리서버(100)로 송신(S31)한다.
회원관리서버(100)는 수신된 식별코드 인식 정보와 대응되도록 저장된 회원정보를 검색하여 입장한 회원을 체크(S32)하고 곧바로 웹사이트에 업로드한다.
상기와 같이, 입장정보를 자동으로 회원관리서버(100)의 웹사이트에 업로드하여 간편하게 회원 정보를 포함한 방문 현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강사도 웹사이트에 접속된 테블릿pc 등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담당 회원의 입장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장한 회원이 신입 회원일 경우, 강사가 웹사이트에 접속되어 있는 테블릿 pc 등을 통해 신입 회원의 입장을 즉시 파악하여 안내 및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입장한 회원의 헬스클럽 등록 기간을 파악하여 만료일이 다가올 경우 회원에게 고지하여 재등록 안내를 할 수도 있으며, 헬스클럽에 설치된 cctv와 연동하여 cctv영상과 회원관리서버(100)에 저장된 회원정보를 비교하여 정식회원의 웨어러블 기기(300)를 비회원이 습득하여 착용하고 들어올 경우에도 즉시 확인하여 조치가 가능하다.
이후, 회원관리서버(100)의 제어모듈(102)에 저장되어 있는 입장한 회원들 각각의 운동능력 정보를 파악(S33)하고, 해당 그룹의 평균 운동능력을 산출하여, 해당 그룹의 운동능력에 적합하도록 운동 강도를 설정하고, 설정된 운동 강도에 맞게 조명 및 음향을 제어(S34)한다.
구체적으로, 그룹운동에 참여하기 위해 입장한 회원이 30명이고, 이 회원들의 운동능력이 각기 다른 경우에 회원관리서버(100)의 제어모듈(102)에서 입장한 회원들의 평균 운동능력에 맞게 총 운동시간이 설정(45분, 50분, 60분 등)되고, 각각의 총 운동시간 내에서의 세부 루틴 시간이 설정(총 운동시간이 45분으로 설정된 경우, 웜업 5분, 약한 운동 15분, 강한 운동 20분, 쿨다운 5분)된다.
이후, 운동이 시작되면 제어모듈(102)이 조명장치 및 음악재생장치를 제어하여 웜업 및 쿨다운에서는 노래는 재생하지 않은 상태로 노란색 조명이 나오도록 하고, 약한 운동에서는 템포가 느린 노래가 재생되는 상태로 초록색 조명이 나오도록 하고, 강한 운동에서는 템포가 빠른 노래가 재생되는 상태로 빨간색 조명이 나오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음악의 템포(빠르기)를 1~10이라고 하면, 그룹운동에 참여하는 회원 30명중 20명 이상이 운동능력 상위권인 경우 약한 운동 및 강한 운동에서 템포가 6~10 사이인 음악이 재생(약한 운동 : 6~7, 강한 운동 : 8~10)되고, 그룹운동에 참여하는 회원 30명중 25명 이상이 운동능력이 상위권인 경우 약한 운동 및 강한 운동에서 템포가 8~10 사이인 음악이 재생(약한 운동 : 8, 강한 운동 : 9~10)되며, 그룹운동에 참여하는 회원 30명중 20명 이상이 운동능력이 하위권인 경우 약한 운동 및 강한 운동에서 템포가 3~5 사이인 음악이 재생(약한 운동 : 3, 강한 운동 : 4~5)된다. 이와 같이 참여하는 회원들의 운동능력에 따라 재생되는 음악의 템포가 제어되는 것이다.
회원관리서버(100)를 통해 운동의 강도에 따른 조명의 색 및 재생되는 노래의 종류는 다양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그룹 운동을 실시할 경우, 회원관리서버(100)의 저장모듈(103)에 저장되어 있는 그룹 운동에 참여하는 회원들의 운동능력 정보를 바탕으로 적절하게 조명 및 음향을 제어함으로써 회원들의 흥미를 배가시켜서 헬스 트레이닝을 보다 적극적으로 하게 되어 운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회원관리서버(100)의 제어모듈(102)에서 음악 및 조명의 제어를 함과 동시에, 공조시스템과 연계하여 회원들의 운동능력 정보를 바탕으로 적절하게 선풍기, 에어컨, 방향제, 산소발생기 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총 운동시간 중 상대적으로 약한 운동과 상대적으로 강한 운동이 모두 포함된 경우에, 예를 들어, 총 운동시간은 45분으로, 웜업 5분, 약한 운동 15분, 강한 운동 20분, 쿨다운 5분으로 구성되도록 설정된 경우, 제어모듈(102)이 공조시스템을 제어하여 약한 운동을 하는 동안에는 선풍기, 에어컨을 약하게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강한 운동을 하는 동안에는 선풍기, 에어컨을 강하게 작동하도록 하면서 산소발생기를 작동시켜 실내에 부족한 산소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운동을 마무리하는 쿨다운 단계에서는 회원들이 차분한 상태에서 운동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적절한 향을 공급하기 위해 방향제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회원관리서버(100)에 저장된 회원들 각각의 운동능력 및 운동목표에 맞는 추천 동영상 및 관련 콘텐츠(각종 웨이트 동작, 댄스, 요가, 필라테스 등)를 회원들의 웨어러블 기기(300)를 통해 텍스트 또는 동영상 형태로 제공하여 회원들이 운동 시 각자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기기(300)를 통해 운동 동작 등을 참고하면서 운동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회원이 사정 상 헬스클럽을 방문하지 못하는 날에도 회원관리서버(100)에 접속해서 회원들 각자의 웨어러블 기기(300)로 회원관리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추천 동영상 및 관련 컨텐츠를 보면서 운동할 수도 있으며, 또한 헬스클럽 웹사이트에 로그인하여 추천 동영상 및 관련 콘텐츠를 제공 받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회원들이 헬스클럽에서 운동 시 또는 집에서 운동 시 회원관리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추천 동영상 및 관련 콘텐츠를 통해 효율적으로 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회원의 운동능력 및 운동목표가 바뀌게 되면, 회원관리서버(100)에서도 바뀐 운동능력 및 운동목표에 맞는 추천 동영상 및 관련 콘텐츠를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회원관리서버(100)에 저장된 회원정보는 다양한 관련시설들(다른 지역의 헬스클럽, 수영장, 기타 체육시설)과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어, 하나의 헬스클럽에 등록하여 회원정보가 저장된 이후에 수영장, 기타 체육시설을 새로 등록한다거나 혹은 이사를 하여 다른 지역의 헬스클럽, 기타 체육시설에 새로 등록하더라도 회원정보의 공유를 통해 회원관리 서비스를 바로 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헬스클럽과 같이 다수의 회원이 이용하여 회원 관리 및 시설 운영 관리가 요구되는 시설들에서 회원이 웨어러블 기기를 착용하고 입장하게 되면 비콘이 웨어러블 기기를 감지하여 회원관리서버에 감지정보를 전송하면, 회원관리서버에서 저장된 회원정보를 통해 입장회원을 식별하여 입장정보를 자동으로 회원관리서버의 웹사이트에 업로드 하여 간편하게 회원 정보를 포함한 방문 현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강사도 웹사이트에 접속된 테블릿pc 등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담당 회원의 입장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장한 회원이 신입 회원일 경우, 강사가 웹사이트에 접속되어 있는 테블릿 pc 등을 통해 신입 회원의 입장을 즉시 파악하여 안내 및 오리엔테이션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입장한 회원의 헬스클럽 등록 기간을 파악하여 만료일이 다가올 경우 회원에게 고지하여 재등록 안내를 할 수도 있으며, 헬스클럽에 설치된 cctv와 연동하여 cctv영상과 회원관리서버에 저장된 회원정보를 비교하여 정식회원의 웨어러블 기기를 비회원이 습득하여 착용하고 들어올 경우에도 즉시 확인하여 조치가 가능하다.
또한, 웨어러블 기기를 착용한 회원이 입장하면 회원관리서버에서 저장된 회원의 운동능력 정보를 웨어러블 기기에 무선으로 송신하고, 웨어러블 기기는 회원의 운동능력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를 통해 운동능력에 해당하는 색상을 표시함으로써, 강사가 해당회원의 운동능력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회원관리서버에 저장된 회원정보를 토대로 입장한 회원들의 희망곡을 연속으로 재생할 수 있으며, 이때, 입장회원이 많아 모든 회원의 희망곡을 재생하기 위한 시간이 너무 많이 걸려 모든 곡의 재생이 힘든 경우에도, 각각의 희망곡의 일부만 재생하는 방식으로 입장한 회원 전체의 희망곡을 모두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여 회원들의 운동의욕을 고취시켜 운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룹 운동을 실시할 경우, 회원관리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그룹 운동에 참여하는 회원들의 운동능력 정보를 바탕으로 적절하게 조명, 음향, 공조시스템 및 영상을 제어함으로써 회원들의 흥미를 배가시켜서 헬스 트레이닝을 보다 적극적으로 하게 되어 운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회원관리서버
101 : 통신모듈
102 : 제어모듈
103 : 저장모듈
200 : 비콘
300 : 웨어러블 기기
301 : 통신부
302 : 제어부
303 : 표시부
304 : 메모리

Claims (4)

  1.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모듈;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모듈;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을 포함하는 회원관리서버;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부;
    다양한 색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식별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 및
    헬스클럽 입구의 소정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웨어러블 기기의 상기 식별코드를 감지하여 상기 회원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비콘;을 포함하며,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입장한 회원의 운동능력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회원관리서버의 상기 제어모듈에서 헬스클럽에 설치된 cctv영상과 상기 회원관리서버에 저장된 회원정보를 비교하여 정식회원의 상기 웨어러블 기기를 비회원이 습득하여 착용하고 들어올 경우에도 확인이 가능하며,
    상기 회원관리서버는 상기 비콘으로부터 수신 받은 식별코드를 통해 입장회원들을 체크하여, 저장되어 있는 입장한 회원들의 희망곡들을 연속으로 재생하되, 상기 회원관리서버의 상기 제어모듈에서 입장한 회원들의 희망곡들의 전체 재생시간을 계산하여 재생시간이 기 설정된 입장한 회원들의 평균 운동시간을 초과할 경우 입장한 회원들의 희망곡의 일부만 재생하고 회원들의 희망곡이 중복되면 이를 한곡으로 인식하여 재생하며 회원이 퇴장을 하면 퇴장한 회원의 희망곡을 재생 목록에서 자동으로 삭제하여 입장한 회원 전체의 희망곡을 기 설정된 평균 운동시간 이내에 모두 재생할 수 있도록 제어하며,
    상기 회원관리서버의 상기 제어모듈에서 상기 비콘으로부터 수신 받은 식별코드를 통해 입장회원들 각각의 운동능력을 체크하여 해당 그룹의 평균 운동능력을 산출하여 총 운동시간을 설정하고, 총 운동시간 내에서 웜업, 약한 운동, 강한 운동, 쿨다운을 포함하는 세부 루틴 시간을 각각 설정한 후 각각의 세부 루틴의 운동 강도에 맞게 조명장치 및 음악재생장치를 제어하여 운동의 강도가 높을수록 조명의 색을 진하게 제어하고, 템포가 빠른 노래가 재생되도록 제어하며, 해당 그룹의 평균 운동능력이 높을수록 더 빠른 템포의 노래가 재생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회원관리서버의 상기 제어모듈이 각각의 세부 루틴의 운동 강도에 맞게 공조시스템을 제어하여 총 운동 중에 상대적으로 약한 운동과 상대적으로 강한 운동이 모두 포함된 경우에 상대적으로 약한 운동을 하는 동안에는 선풍기, 에어컨을 상대적으로 약하게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상대적으로 강한 운동을 하는 동안에는 선풍기, 에어컨을 상대적으로 강하게 작동하도록 하면서 산소발생기를 작동시켜 실내에 부족한 산소를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운동을 마무리하는 쿨다운 단계에서는 회원들이 차분한 상태에서 운동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향을 공급하기 위해 방향제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헬스클럽 회원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113747A 2018-09-21 2018-09-21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헬스클럽 회원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196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747A KR102196998B1 (ko) 2018-09-21 2018-09-21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헬스클럽 회원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3747A KR102196998B1 (ko) 2018-09-21 2018-09-21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헬스클럽 회원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233A KR20200034233A (ko) 2020-03-31
KR102196998B1 true KR102196998B1 (ko) 2020-12-30

Family

ID=70002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3747A KR102196998B1 (ko) 2018-09-21 2018-09-21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헬스클럽 회원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9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925B1 (ko) 2022-01-10 2022-07-05 김동욱 O2o 피트니스 네트워크 마케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마케팅 방법
KR102637088B1 (ko) 2022-12-02 2024-02-14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운동 시설에 대한 스마트 통합 정보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638B1 (ko) * 2022-04-12 2024-01-10 이관훈 스터디 카페 운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3381B2 (en) * 2013-12-23 2017-08-01 Nike, Inc. Athletic monitoring system having automatic pausing of media content
KR101687252B1 (ko) * 2014-11-06 2016-12-16 장재윤 맞춤형 개인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67014B1 (ko) * 2015-03-16 2016-10-17 이호재 운동 관리 시스템 장치
KR101796664B1 (ko) * 2015-12-24 2017-11-10 (주)프로차일드 헬스 트레이닝 시스템
KR20180065593A (ko) * 2016-12-08 2018-06-18 링크젠 주식회사 웨어러블 기기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
KR20180087512A (ko) * 2017-01-24 2018-08-02 주식회사 웨어러블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925B1 (ko) 2022-01-10 2022-07-05 김동욱 O2o 피트니스 네트워크 마케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마케팅 방법
KR102637088B1 (ko) 2022-12-02 2024-02-14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운동 시설에 대한 스마트 통합 정보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233A (ko)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8577B2 (en) Personal workout management system
JP6586144B2 (ja) メディア・コンテントの自動休止を有する運動競技の監視システム
KR102196998B1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헬스클럽 회원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U2004255366B2 (en) Sports training and testing methods, apparatus and system
US95019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ach decision support
CN112585637A (zh) 一种运动教学系统及其使用方法、运动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40063105A (ko) 스포츠 경기 원격 판정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31730B1 (ko) 오프라인 상의 운동정보를 이용한 트레드밀 운영시스템
US201903887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ports performance data over a wireless network
KR102213869B1 (ko) 당구 레슨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1124958A (ja) 観客分析装置、観客分析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4177597B (zh) 用于球抛掷机和智能球门的系统、设备和方法
KR102234638B1 (ko) 당구 영상 판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20086B1 (ko) 심박 측정을 통해 개인별 운동상태 피드백이 가능한 그룹 트레이닝 시스템
KR20140013260A (ko) 골프스윙 동영상의 개인휴대통신기기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372719A (zh) 一种智慧校园的管理方法及系统
KR20210089806A (ko) 다기능 스텝박스 및 그 스텝박스를 이용한 트레이닝 시스템
US11426629B2 (en) Method for quantifying a sporting activity
KR102213868B1 (ko) 당구 키오스크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KR101947089B1 (ko) 체육 게임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66432A (ko) 무인 운동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