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089B1 - 체육 게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체육 게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089B1
KR101947089B1 KR1020170072221A KR20170072221A KR101947089B1 KR 101947089 B1 KR101947089 B1 KR 101947089B1 KR 1020170072221 A KR1020170072221 A KR 1020170072221A KR 20170072221 A KR20170072221 A KR 20170072221A KR 101947089 B1 KR101947089 B1 KR 101947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participant
information
score
phys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4477A (ko
Inventor
김태주
이운영
Original Assignee
김태주
이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주, 이운영 filed Critical 김태주
Priority to KR1020170072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089B1/ko
Publication of KR20180134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4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2Ball games, e.g. soccer 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5Enforcing rules, e.g. detecting foul play or generating lists of cheating p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6Athletics, e.g. track-and-field s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체육 게임 시스템은 복수의 체육 게임 기구를 포함하고, 체육 게임 기구 각각에 참여하는 게임 참여자에게 게임기능을 제공하고, 게임 참여자의 식별, 해당 체육 게임 기구에서의 게임 참여자의 입출여부 확인, 게임 참여자의 위치확인, 게임 참여자의 게임 스코어 획득 결과를 이동단말기의 존재여부, 해당 이동단말기에 부여된 고유ID 및 이동단말기의 고유ID에 대응하여 등록되는 볼의 태그ID를 이용하여 볼의 궤적정보 및 타겟의 위치정보, 이동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통해 자동으로 수행하는 체육 게임계 장치와; 체육 게임계 장치로부터 게임 참여자의 체육 게임 기구의 입출이력, 게임 참여자의 위치이력 및 스코어 획득에 관한 스코어 이력 정보를 수집하는 기구관리계 장치와; 기구관리계 장치로부터의 게임 입출이력 및 스코어 이력정보를 기초로 게임 참여자의 개인 스코어정보, 해당 게임 참여자가 속한 하위 단체 및 상위 단체의 단체별 스코어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스코어 정보를 해당 참여자의 이동단말기에 제공하는 스코어 관리부를 포함하는 중앙서버를 구비한다. 따라서, 시스템 운영자와 게임참여 단체는 관리의 전반적인 부담을 경감하고, 게임 참여자는 개인적 흥미와 단체의 친목성과를 함께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체육 게임 시스템 및 방법{SPORTS GAME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체육 게임 시스템 및 체육 게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남여노소 광범위한 계층에서 단순하게 즐길 수 있고, 개인적인 흥미와 단체적인 친목성과를 높일 수 있도록 게임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체육 게임 시스템 및 체육 게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직장, 학교, 친목단체, 소그룹 가족 모임이 늘어나면서 이에 부응하여 많은 테마파크가 등장하고 있다. 그런데, 회사 등 단체에서 구성원의 친목도모나 회사행사를 위해 진행하는 오락게임에서는 개개 구성원이 흥미를 갖지 못하고 마지못해 참가하는 경향이 많은 편이다. 또한, 개인적 흥미에 기능을 두고 있는 사이버 기구의 등장으로 인해 더욱더 회원들이 개인적인 취향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단체 오락게임에서는 육체적 움직임을 동반하면서 개인과 단체적인 흥미를 동시에 유발할 수 있는 게임기능의 도입이 많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육체적 움직임은 많은 활동량을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지나치게 적은 활동량이 소요되는 것도 피해야 한다. 한편으로는 테마파크 등 게임오락을 제공하는 측이나 오락에 참여하는 단체 입장에서는 참여구성원의 반감을 사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으로 구성원들이 오락게임에 참여할 수 있으면서 질서를 유지하는 통제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테마파크에는 여러 가지 게임 기구가 배치된다. 예를 들면, 등록특허 제10-1099120호(제1관련기술)에는 놀이기구로서 미니라이더(10), 키즈라이더(11), 두더지 잡기 게임기, 인형뽑기 자판기, 농구대, 펀치, 마시마로게임기, 에어하키, 미니 게이트볼 연습장, 각종 운동기구, 암벽타기, 골프연습장이 테마파크에 배치되는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제1관련기술은 다양한 사람들에게 호응을 줄 수 있지만, 그 호응의 범위가 그룹별로 단절되어 있어 넓은 계층 범위, 예를 들면, 노소 범위나, 계층별 범위를 넓게 포괄하기 어렵고 단체적인 친목을 도모하는 성격이 적다. 즉, 키즈 라이더는 어린이 그룹에서는 인기가 있지만, 어른 그룹은 골프 연습장에 더 흥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개인적 흥미와 단체적 흥미를 함께 유발하거나 결합하는 것에도 제약이 있다. 또한, 테마파크나 단체 주관자의 입장에서 여러 단체를 통솔할 때 그 각종 놀이기구의 순서배열 및 인적통제관리에서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다른 종래 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202456호의 오락용 농구 시스템은 다양한 타겟을 배치하여 농구공을 넣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육체적으로 가벼운 운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유용하지만, 단체오락에서는 개인들이 다양성이 부족하여 쉽게 흥미를 잃게 되고, 친목을 도모하는 하루, 또는 그 이상의 일과를 소비하기에는 단조롭기 때문에 실용성이 없다.
등록특허 제10-1099120호(2011. 12. 29) 등록실용신안 제20-0202456호(20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육체적 활동을 통해 단체 오락을 할 수 있으면서도, 단체 구성원 개개인이 오락에 참가하는 동기 또는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개개 구성원이 육체적 활동량에 대한 부담을 적당한 범위 내에서 가지면서 쉽게 게임에 참여할 수 있고, 또한 개개 구성원에 대해 통제나 규율을 최소한으로 유지하면서도 테마파크 입장이나 참가하는 개개 단체 주관자가 구성원들을 관리하는데 편리하여 운영의 편의성 및 관리의 효율성을 함께 도모할 수 있는 체육 게임 시스템 및 체육 게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볼을 던지거나 차거나, 타구하여, 골대 또는 목표물인 타겟에 통과시키거나 접촉시켜 스코어를 얻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기종목의 게임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체육 게임 시스템으로서, 테마파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체육 게임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체육 게임 기구 각각에 참여하는 게임 참여자에게 게임기능을 제공하고, 게임 참여자의 식별, 해당 체육 게임 기구에서의 게임 참여자의 입출여부 확인, 게임 참여자의 위치확인, 게임 참여자의 게임 스코어 획득 결과를 수신할 이동단말기의 존재여부, 해당 이동단말기에 부여된 고유ID 및 이동단말기의 고유ID에 대응하여 등록되는 볼의 태그ID를 이용하여 볼의 궤적정보 및 타겟의 위치정보확인을, 게임 참여자들의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통해 자동으로 수행하는 체육 게임계 장치와; 상기 체육 게임계 장치로부터 게임 참여자의 체육 게임 기구의 입출이력, 게임 참여자의 위치이력 및 스코어 획득에 관한 스코어 이력 정보를 수집하는 기구 관리계 장치와; 상기 체육 게임 시스템 내 테마파크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단말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계 장치와; 상기 각 장치들과 통신하며, 상기 기구관리계 장치로부터의 게임 입출이력 및 스코어 이력정보를 기초로 게임 참여자의 개인 스코어정보, 해당 게임 참여자가 속한 하위 단체 및 상위 단체의 단체별 스코어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스코어 정보를 해당 참여자의 이동단말기에 제공하는 스코어 관리부를 포함하는 중앙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기구 관리계 장치의 입출이력 및 스코어 이력정보를 통해 개인의 남은 게임을 파악하고 진행할 차후 게임을 안내하는 게임 안내부와, 상기 입출이력정보 및 스코어 이력정보, 상기 체육 게임계 장치 내의 사이트 센서 또는 상기 체육 게임계 장치 밖의 사이트 센서로부터의 게임 참여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게임 참여자 개인의 스코어 정보, 해당 개인이 속한 하위단체 및 상위단체를 적어도 포함하는 그룹 스코어 정보, 해당 단체 게임 참여자들의 현재 게임 진행상황정보 및 위치현황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활동정보를 게임 참여자 단체의 주관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활동정보 제공부와, 상기 활동정보 제공부가 제공하는 활동정보와 상기 게임 안내부가 제공하는 게임안내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계 장치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스코어 관리부와 상기 게임 안내부를 통해 현재의 참여자의 개인 스코어 및 향후 남아있는 게임의 내용 및 위치 등을 알려주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활동정보 제공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해당 참여자의 지금까지의 활동상황정보(게임진행상황, 스코어 상황, 현재 위치 등)을 참여자 본인의 이동단말기 및 참여자가 속하는 단체 관리자 또는 단체 주관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활동상황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관리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계 장치를 경유하여 각 게임 기구의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이트 센서는 체육 게임 시스템 내 테마 파크 내에 복수로 배치되어 게임 참여자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기구 관리계 장치와 상기 중앙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사이트 센서는, 특정 게임 기구 내에 위치하는 제1사이트 센서와, 특정 게임 기구를 벗어났지만 상기 체육 게임계 장치 내에 위치하는 제2사이트 센서, 상기 체육 게임계 장치를 벗어났지만 전체 체육 게임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제3사이트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육 게임 시스템은 정문관리계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문관리계 장치는 게임 참여자의 이동단말기를 통해 게임 참여자의 고유ID를 등록하여 상기 중앙서버에 전달하는 고유ID 등록부와, 상기 고유ID가 등록된 이동단말기를 통해 게임 참여자의 체육 게임 시스템의 입출여부를 확인하여 정문입출정보를 제공하는 정문관리계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단말기의 고유ID는 적어도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며, 상기 체육 게임계 장치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고유ID를 상기 정문관리계 장치 또는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전달받아 해당 이동단말기 소지자인 게임 참여자가 각각의 체육 게임 기구에 입출할 때의 아이덴티티를 식별하여 입출정보를 제공하는 입출 센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육 게임 기구는 상기 타겟으로 게임 참여자가 볼을 보내기 위해 위치하는 장소에는 게임 참여자가 지니고 있는 이동단말기와 해당 이동단말기에 대응하여 등록된 볼의 태그ID를 통해 게임 참여자를 식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이트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겟은 해당 볼이 타겟으로 보내질 때 상기 볼의 태그의 궤적을 통해 득점 획득의 성공여부를 확인하여 스코어 정보를 생성하는 스코어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기구 관리계 장치는 상기 입출 센서부의 입출정보 및 상기 스코어 센서의 스코어 정보를 기초로 각 체육 게임 기구에서의 게임 참여자의 입출이력정보 및 스코어 이력정보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육 게임계 장치는 다양한 체육 게임 기구를 포함하며, 각 체육 게임 기구에는 게임 참여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사이트 센서기, 타겟의 위치와 볼 위치 및 볼궤적 위치를 파악하는 볼위치 센서기, 상기 입출 센서부의 일부인 입출 센서기와 스코어 센서기가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구 관리계 장치는, 상기 체육 게임 시스템의 도처에 위치하는 위치센서로서 사이트 센서로부터 게임 참여자의 이동단말기의 위치를 감지할 때 그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이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이트 센서가 감지한 게임 참여자의 위치, 즉 게임 참여자의 이동 단말기의 위치는 상기 위치 이력부를 통해 수집되어, 상기 게임 안내부 및 상기 활동정보 제공부로 전달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육 게임 시스템의 체육 게임 기구는 농구 게임 기구, 축구 게임 기구, 핸드볼 게임 기구, 골프 게임 기구, 야구 게임 기구, 테니스 게임 기구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사이트 센서는 체육 게임 시스템 내 테마 파크 내에 복수로 배치되어 게임 참여자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중앙서버로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육 게임 시스템은 체육 게임계 장치의 실질 게임 내용과 동일한 사이버 게임계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이버 게임계 장치는 게임 참여자가 체육 게임계 장치에 입장하기 전에 사이버 게임계 장치에서 사이버 게임을 통해 체육 게임계 장치의 게임내용을 예행연습할 수 있는 게임기능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게임 참여자는 무작위 순으로 상기 체육 게임 기구에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으며, 상기 중앙서버의 활동정보 제공부는 게임 참여자가 속한 단체 주관자의 통솔정보를 단체주관자의 사전 요청 또는 임시요청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계 장치를 통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공하며, 연중으로 일별, 주별, 월별, 연별, 역대별 스코어 및 랭킹정보를 체육 게임 시스템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게임 참여자의 이동단말기에 정기적, 간헐적으로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볼을 던지거나 차거나, 타구하여, 골대 또는 목표물인 타겟에 통과시키거나 접촉시켜 스코어를 얻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기종목의 게임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다양한 복수의 체육 게임 기구를 포함하는 체육 게임계 장치, 상기 체육 게임계 장치의 각종 체육 게임 기구군에서 게임 참여자의 입출 및 게임 활동 행위에 따른 스코어를 수집 관리하는 기구 관리계 장치, 상기 체육 게임 장치에 복수개 설치되는 디스플레이계 장치, 상기 장치들과 통신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체육 게임 시스템을 이용한 체육 게임 방법으로서, 상기 체육 게임계 장치가, 상기 체육 게임 기구 각각에 참여하는 게임 참여자에게 게임기능을 제공하고, 게임 참여자의 식별, 해당 체육 게임 기구에서의 게임 참여자의 입출여부 확인, 게임 참여자의 위치확인, 게임 참여자의 게임 스코어 획득 결과를 이동단말기의 존재여부, 해당 이동단말기에 부여된 고유ID 및 이동단말기의 고유 ID에 대응하여 등록되는 볼의 태그ID를 이용하여 볼의 궤적정보 및 타겟의 위치정보, 이동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통해 자동으로 수행하는 메인 단계와; 상기 기구 관리계 장치가 체육 게임계 장치로부터 게임 참여자의 체육 게임 기구의 입출이력, 게임 참여자의 위치이력 및 스코어 획득에 관한 스코어 이력 정보를 수집하는 기구관리계 장치 정보 수집단계와; 상기 중앙서버가 상기 체육 게임계 장치 내의 사이트 센서 또는 상기 체육 게임계 장치 밖의 사이트 센서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게임 참여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게임 참여자 개인의 스코어 정보를 개인 게임 참여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기구 관리계 장치로부터의 게임 입출이력 및 스코어 이력정보를 기초로 게임 참여자의 개인 스코어정보, 해당 게임 참여자가 속한 하위 단체 및 상위 단체의 단체별 스코어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스코어 정보를 해당 참여자의 이동단말기에 제공하는 스코어정보 제공단계와; 상기 중앙서버가, 상기 기구 관리계 장치의 입출이력 및 스코어 이력정보를 통해 게임 참여자 개인의 남은 게임을 파악하고 진행할 차후 게임을 안내하기 위한 게임안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서버가 게임 참여자의 개인 스코어 및 향후 남아있는 게임의 내용 및 위치 정보와, 해당 게임 참여자의 현재까지의 활동상황정보(게임진행상황, 스코어 상황, 현재 위치 등)을 게임 참여자 본인의 이동단말기 및 참여자가 속하는 단체 관리자 또는 단체 주관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서버가, 상기 활동상황정보와 게임안내정보를 체육 게임 시스템의 각 게임 기구에 설치된 디스플레이계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육 게임 시스템은 정문관리계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단계 전에, 상기 정문관리계 장치가 게임 참여자의 이동단말기를 통해 게임 참여자의 고유ID를 등록하여 상기 중앙서버에 전달하는 고유ID 등록부와, 상기 고유ID가 등록된 이동단말기를 통해 게임 참여자의 체육 게임 시스템의 입출여부를 확인하여 정문입출정보를 제공하는 정문관리계 처리 단계를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서버가 상기 정문관리계 장치로부터의 이동단말기 고유 ID와, 상기 기구 관리계 장치로부터의 입출이력정보 및 스코어 이력정보, 상기 체육 게임계 장치로부터 게임 참여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해당 게임 참여자가 수행하게 될 게임종류, 게임방법 및 진행절차를 게임 참여자의 이동단말기를 통해 자동으로 안내하는 게임안내단계 및, 상기 입출이력정보 및 스코어 이력정보, 상기 체육 게임계 장치 또는 체육 게임 시스템으로부터의 게임 참여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게임 참여자 개인의 스코어 정보, 해당 개인이 속한 하위단체 및 상위단체를 적어도 포함하는 그룹 스코어 정보, 해당 단체 게임 참여자들의 현재 게임 진행상황 및 위치현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활동정보를 게임 참여자 단체의 주관자 단말기에 적어도 제공하는 활동정보 제공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육 게임계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체육 게임 기구에는 사이트 센서기, 볼위치 센서기, 입출 센서기, 스코어 센서기가 설치되고,
상기 스코어정보 제공단계이전에, 상기 중앙서버가 상기 사이트 센서기로부터의 게임 참여자의 위치 감지신호와, 상기 볼위치 센서기로부터의 타겟의 위치와 볼 위치 및 볼궤적 위치정보와, 상기 입출 센서기로부터의 입출 정보와, 상기 스코어 센서기로부터의 스코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육 게임 시스템의 체육 게임 기구는 농구 게임 기구, 축구 게임 기구, 핸드볼 게임 기구, 골프 게임 기구, 야구 게임 기구, 테니스 게임 기구를 적어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육 게임 시스템은 체육 게임계 장치의 실질 게임 내용과 동일한 사이버 게임계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단계 전에, 상기 사이버 게임계 장치가 게임 참여자에게 체육 게임계 장치에 입장하기 전에 사이버 게임계 장치에서 사이버 게임을 통해 체육 게임계 장치의 게임내용을 예행연습할 수 있는 게임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게임 참여자는 무작위 순으로 상기 체육 게임 기구에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으며, 상기 중앙서버가 게임 참여자가 속한 단체 주관자의 통솔정보를 단체주관자의 사전 요청 또는 임시요청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계 장치를 통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서버가 일별, 주별, 월별, 연별, 역대별 스코어 및 랭킹정보를 체육 게임 시스템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게임 참여자의 이동단말기에 정기적, 간헐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체육 기구의 내용이 볼을 이용하여 타겟에 맞추거나 넣는 방식이어서 게임방식의 난이도를 다양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순화할 수 있어 남여노소 다양한 계층에서 참여할 수 있다.
둘째, 단체 종류나 소속에 관계없이 구성원들이 체육 게임 기구에 하루나 정해진 시간 내에서 편리할 때 찾아와서 자동 시스템으로 게임을 할 수 있고, 그 결과를 개인별, 단체별로 집계하여 개인과 소속단체에 게임 결과를 알 수 있다. 단체 주관자 입장에서는 소속 구성원들을 게임중에 특별히 관리할 필요가 없고, 구성원이 체육 게임 시스템의 테마파크 내 어디에 현재 위치하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현실적으로 관리가 편리하다.
셋째, 단체 구성원 입장에서는 자신들이 참여하는 게임에 대해 주관자의 지나친 통솔을 받지 않고 적당한 시기에 체육기구에 참여하여 개인적으로 게임을 하면 되기 때문에 심적 부담이 적고, 게임내용 자체가 단순히 넣기와 맞추기이기 때문에 게임의 어려움이나 육체적, 심적 부담도 덜면서 개인적인 기록에 적극적이 될 수 있고, 자신의 개인기록이 자신이 속하는 소단체, 하위단체, 상위단체의 성과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적, 단체적 흥미를 함께 가지고, 소속 단체에 대한 참여정신을 높일 수 있다.
넷째, 테마파크 입장에서도 단체 입장객의 관리를 구성원의 휴대폰을 통해 관리하기 때문에, 테마파크의 입출과 개별 체육기구의 입출을 관리하기가 편리하여 관리인건비를 쉽게 줄일 수 있다. 또한, 테마파크에서 일별, 월별, 연별 게임기록 결과를 테마파크에 참여한 적이 있는 단체나 개인회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따라서, 개인기록이나 단체기록의 결과에 흥미를 유발 할 수 있어, 자연스러운 영업효과를 올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육 게임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육 게임 시스템에서 종류별 게임 기구를 포함하는 체육 게임계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체육 게임계 장치의 농구 게임 기구와 다른 구성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관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육 게임 시스템에서 종류별 게임 기구를 포함하는 사이버 게임계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농구 게임 기구의 구현예와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축구 게임 기구의 구현예와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체육 게임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육 게임 시스템(1)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육 게임 시스템(1)은 실질적으로 육체적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기구 종목 시설을 포함하는 체육 게임계 장치(100)와, 체육 게임계 장치(100)의 체육내용과 사이버 공간 상에서 유사한 기능을 가진 사이버 게임게 장치(200)와, 체육 게임계 장치의 각종 체육 게임 기구군(ME100)에서 고객의 입출 및 게임 활동 행위에 따른 스코어를 수집 관리하는 기구 관리계 장치(300)와, 체육 게임의 결과와 게임안내, 단체별 통제정보 안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계 장치(400)와, 체육 게임 시스템(1) 영역(즉 체육 게임 시스템의 테마파크) 내외를 입출하는 고객을 관리하는 정문관리계 장치(600)와, 이들 체육 게임계 장치(100), 사이버 게임계 장치(200), 기구 관리계 장치(300), 디스플레이계 장치(400), 정문관리계 장치(600) 및 중앙서버(500)를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으로 연결하는 통신망(700)과, 고객의 휴대폰과 같은 이동단말기(H1, H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체육 게임계 장치(100)는 다양한 기구종목의 체육 게임 기구(ME10, ME20, ME30, ME40, ME50, ME60)(도 2 참조)를 포함하는 체육 게임 기구군(ME100)과, 체육 게임 기구군(ME100)에 대해 고객의 입출 및 위치 등의 활동을 점검하는 체육기구 입출 센서부(MES01)와, 체육 게임 기군군(ME100)에서의 고객의 게임 결과에 따른 스코어 정보를 수집하는 체육기구 스코어 센서부(MES0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버 게임계 장치(200)는 체육 게임 기구군(ME100)과 동일한 스포츠 내용을 사이버 공간에서 실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역시 다양한 기구종목의 체육 게임 기구(CY10, CY20, CY30, CY40, CY50, CY60)(도 2 참조)를 포함하는 사이버게임 기구군(CY200)과, 사이버 게임 기구군(CY100)에 대해 고객의 입출 및 위치 등의 활동을 점검하는 사이버 기구 입출 센서부(CYS01)와, 사이버 게임 기군군(CY200)에서의 고객의 게임결과에 따른 스코어를 점검하는 사이버 기구 스코어 센서부(CYS02)를 포함할 수 있다.
기구 관리계 장치(300)는 체육 게임 기구군(ME100)의 체육 게임 기구들 마다, 그리고, 사이버 게임 기구군(CY200)의 사이버 게임 기구들 마다 기구관리부 단말기(301, 302)(도 3 참조)를 포함하여 체육 게임 기구군(ME100) 및 사이버 게임 기구군(CY200)에서 고객의 활동을 체크하여 중앙서버(500)에 전달하는 입출이력부(310)와, 스코어 이력부(320), 체육 게임 시스템(1)에 도처에 위치하는 위치센서인 사이트 센서(ST)로부터 게임 참여자의 이동단말기(H1, H2)의 위치를 감지할 때 그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이력부(330)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이트 센서(ST)는 특정 체육 게임 기구 내, 예를 들면, 농구 게임 기구(ME10) 내에 위치하는 제1사이트 센서(ST11, S12, S13, S14), 특정 게임 기구를 벗어났지만 체육 게임계 장치(100) 내에 위치하는 제2사이트 센서(S02), 체육 게임계 장치(100)를 벗어났지만 전체 체육 게임 시스템(1) 내, 즉, 체육 게임 시스템의 테마파크 내에 존재하는 제3사이트 센서(S0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계 장치(400)는 기구 관리계 장치(300)에서의 데이터와, 중앙서버(500)의 게임안내부(530)의 안내 내용, 게임 참여자의 전반적인 활동상황, 단체광고안내정보 등을 중앙서버(500)의 제어부(570)의 제어하에서 시각적, 청각적으로 알려주도록 고객이 성취한 스코어와 그 소속 단체의 스코어 등을 알 수 있도록 하고, 차후 앞으로 남은 게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정문관리계 장치(600)는 고객이 정문을 입출할 때의 사항을 확인하는 정문입출확인부(610)와, 고객의 휴대폰 등의 이동단말기(H1, H2)에 체육 게임 시스템의 운영을 위한 전용앱을 중앙서버(500)의 전용앱 업데이트 관리부(560)로부터 지원받아 제공하는 초기 전용앱 제공부(620)와, 고객의 이동단말기(H1, H2)의 전화번호를 고유ID로 등록하는 고유ID등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정문관리계 장치(600)의 모든 데이터는 중앙서버(500)에 제공될 수 있다.
중앙서버(500)는 정문관리계 장치(600)의 정문입출 확인부(610) 및 고유ID 등록부(630)를 통해 얻은 개인고객 및 그 소속단체의 ID를 관리하는 개인단체 ID 관리부(510)와, 기구관리계 장치(300)의 스코어 이력부(320)로부터의 데이터를 통해 개인 스코어, 그 개인이 속한 단체 스코어, 전체 스코어 등 스코어를 관리하는 스코어 관리부(520)와, 기구 관리계 장치(300)의 입출 이력부(310) 및 스코어 이력부(320)의 데이터를 통해 개인의 남은 게임을 파악하고 진행할 차후 게임을 안내하는 게임 안내부(530)와, 개인, 소단체, 대단체, 전체의 스코어, 이벤트, 광고, 게임안내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계 장치(400)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관리부(540)와, 체육 게임 시스템(1)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데이터를 총괄적으로 분류 기록하는 종합 DB 관리부(550)와, 고객 이동단말기(H1, H2)로 제공되는 전용앱을 갱신하여 정문관리계 장치(600)의 초기 전용앱 제공부(620)에 제공하거나, 직접 통신망(700)을 통해 개인 이동단말기(H1,H2)에 제공하는 전용앱 업데이트 관리부(560)와, 중앙서버(500)와 체육 게임 시스템(1) 내의 전체 기구, 장치들의 동작과 관련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570)와, 체육 게임 시스템(1) 내에 입장한 고객 및 단체의 이동이력 및 위치, 현재의 게임진행 상태, 게임 참여자들이 속하는 단체의 통솔정보, 광고 등을 사전예약정보 또는 임시광고정보로서 소속단체 관리자 이동단말기나 디스플레이계 장치(400) 등으로 전달하는 활동정보 제공부(58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700)은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망(710), 인터넷(720), 블루투스(730), 유선의 전용선(740), 사물인터넷인 IoT(750), WiFi(7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육 게임계 장치(100)의 구성에 관한 보다 상세한 내용 및 그 주변 관련 구성과의 관계에 대해 도2,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육 게임 시스템(1)에서 종류별 체육 게임 기구를 포함하는 체육 게임계 장치(100)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체육 게임계 장치(100)에서 체육 게임 기구군(ME100)은 다양한 게임 기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농구 게임 기구(ME10), 축구 게임 기구(ME20), 핸드볼 게임 기구(ME30), 골프 게임 기구(ME40), 야구 게임 기구(ME50), 테니스 게임 기구(ME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체육기구 입출 센서부(MES01) 및 스코어 센서부(MES02)는 각 게임 기구 마다 각각 체육기구 입출센서기(MES11, MES21, MES31, MES41, MES51, MES61) 등과 체육기구 스코어 센서기(MES12, MES22, MES32, MES42, MES52, MES6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각 게임 기구 마다 사이트 센서기(ST) 및 볼위치 또는 볼궤적 위치를 감지하는 볼위치 센서기(P)를 배치할 수 있다(보다 상세한 것은 도 3 및 도 5,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체육 게임계 장치(100)의 농구 게임 기구(ME10)와 다른 구성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관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농구 게임 기구(ME10)의 구현예와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농구게임 기구(ME10)는 볼(B)을 투사하여 넣을 때의 골대가 되는 타겟(TG1, TG2, TG3)을 포함하는 농구기구(ME11)와, 직접 게임 참여자(이하 "참여자"는 게임 참여자를 칭한다)의 위치(또는 투사 위치)에 해당하는 사이트 센서기(ST11, ST12, ST13, ST14)와, 타겟(TG1, TG2, TG3)의 위치와 볼(B)의 태그(T)로부터의 위치를 파악하는 볼위치 센서기(P), 그리고, 입출 센서부(MES01)의 일부인 입출 센서기(MES11)와 스코어 센서기(MES12)를 포함한다. 또한, 농구 게임 기구(ME10) 내에는 기구관리계 장치(300)에 포함되는 기구관리 단말기(301)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기구관리계 장치(300)는 기구관리 단말기(301, 302)의 하위 서버로서 기능할 수 있고, 중앙서버(500)의 상위 서버로 기능할 수 있다.
농구기구(ME11)는 태그(T)(도 5 참조)가 부착된 볼(B)이 투사되는 골대로서 타겟(TG11, TG12, TG13)을 포함하며, 이 타겟은 난이도 등에 따라서 모양이 다양하게, 예를 들면, 삼각형 타겟(TG11), 원형 타겟(TG12), 사각형 타겟(TG13)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는, 타겟의 골대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투사의 위치가 되는 사이트 센서기의 위치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특히 사이트 센서기(ST14)는 어드밴티지 룰을 정하거나, 단순히, 난이도별 점수 체크를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참여자는 자신의 이동단말기(H1)를 들고 농구게임 기구(ME10)에 입장하면, 기구입구(150)에서, 입출센서기(MES11)에서, 예를 들면, 블루투스(730)(도 1 참조) 통신을 통해 포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기구관리계 장치(300)는 정문관리계 장치(600)에서 등록된 고유ID(예를 들면, 등록된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다시 기구관리계 장치 단말기(301)를 통해 입출이력을 확인하고, 처음 농구게임 기구(ME10)에 입장한 경우, 투사할 볼(B)의 태그ID와 이동단말기(H1)의 고유ID를 연계시킨다. 이후, 지정된 사이트 센서기(ST11, S12, ST13, ST14)에서 볼(B)과 참여자를 식별하고(참여자는 이동단말기(H1)로 식별), 투사된 해당 볼(B)이 타겟(TG11, TG12, TG13)에 투사되면, 볼위치센서(P11, P12, P13)는 볼(B)의 태그(T)를 통해 볼(B)의 골인이 성공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코어 센서기(MES12)는 볼위치센서(P11, P12, P13)로부터의 성공회수를 카운트하여 단말기(301)에 전달할 수 있다.
이후 기구관리 단말기(301)는 참여자가 농구게임 기구(ME10)의 게임을 완료하였는지의 여부 및 농구게임 기구(ME10)를 떠났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기구관리계 장치(300)의 입출이력부(310) 및 스코어 이력부(320)에 전달하고, 이어서 입출이력부(310) 및 스코어 이력부(320)는 중앙서버(500)의 스코어 관리부(520)에 전달하게 된다. 이후 중앙서버(500)는 스코어 관리부(520)와 게임안내부(530)를 통해 현재의 참여자의 개인 스코어 및 향후 남아있는 게임의 내용 및 위치 등을 알려주고, 필요에 따라서 활동정보 제공부(580)를 통해 실시간으로 해당 참여자의 지금까지의 활동상황정보(게임진행상황, 스코어 상황, 현재 위치 등)을 참여자 본인의 이동단말기 및 참여자가 속하는 단체 관리자 또는 단체 주관자의 단말기로 보내준다. 또한, 활동상황 정보는 디스플레이 관리부(540)를 통해 디스플레이계 장치(400)를 경유하여 각 게임 기구의 디스플레이 단말기(410, 420, 430, 440)(도 3 참조)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축구 게임 기구(ME20)의 구현예와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에서 나타낸 축구 게임 기구(ME20)의 기본 구조 역시 도 3 및 도 5의 농구 게임 기구(ME10)의 기본구조와 동일하지만, 구기종목별 특성상 타겟(TG21, T22, T23, T24, T25, 26)의 모양이나, 볼(B)이 타겟에 도달하는 방식에서 다소 차이가 있을 뿐이다. 즉, 농구는 손으로 하는 것이지만 축구는 발로하는 것이기 때문에 축구 골대(TG21, TG22, TG23)를 설치하게 되지만, 그 크기를 달리하여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공간에 맞추는 것, 즉 타겟에 접촉시키거나 통과시키는 방식의 타겟(TG23, TG25, TG26)을 배치할 수도 있다. 즉, 타겟(TG23, TG25, TG26)은 접촉만 하면 성공이 되는 평판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개구로 구성하여 통과할 때만 성공이 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어떤 타겟(T23)은 개구이고, 다른 타겟(TG25, 26)은 접촉가능한 평판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타겟(T23)에 근접 위치하는 볼위치센서(23)는 농구 게임 기구(ME10)의 볼위치센서와 같은 종류의 근접 센서기기를 사용하지만, 타겟(TG25, TG26)에 근접한 볼위치센서(P25, P26)는 접촉센서 또는 충격측정센서를 사용할 수 도 있다.
그 밖에, 핸드볼 게임 기구(ME30)의 경우에도 손으로 볼을 골대에 넣는 것인가 목표물에 맞추는 것인가에 따라서 그리고 난이도에 따라서, 골대의 모양이 변경되거나 센서의 종류가 변경될 수 있지만, 볼을 이용하여 타겟을 향해 보내거나, 통과시키거나, 맞추는 패턴이라는 점에서는 같다. 또한, 골프 게임 기구(ME40)도 골프대를 이용하여 볼을 타겟인 홀로 집어넣거나 타겟에 맞추는가에 따라서 그리고 난이도에 따라서, 골대의 모양이 변경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타겟에 볼을 보내서 통과시키거나 맞춘다는 점에서는 같다. 야구의 경우에는 볼을 손으로 타겟을 향해 던지거나, 볼을 야구배트로 타격하여 맞추는 방식이 될 수 있고, 테니스 게임 기구 역시 볼은 타겟을 향해 던지거나 테니스 라켓으로 볼을 타격하여 타겟에 맞추는 방식을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요지는, 볼을 타겟에 통과시키거나 맞추는 단순한 방식으로 게임을 할 경우 매우 광범위한 계층에서, 심지어 노년층에서도 어린아이처럼 즐겁고 쉽게 게임에 몰두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발견한 것과, 많은 단체 구성원이 동시에 테마파크에 참여하여도 게임 기구에 입장하는 순서나, 개인적 통제와 같은 관리의 어려움 없이 단체게임의 성격을 유지하면서도 개인적 흥미도 함께 유발하는 방법을 위해, 핸드폰으로 개인식별정보, 개인위치확인정보, 개인 게임 진행상황정보를 수집하여, 개인스코어 관리 안내, 단체 스코어 관리 안내 및 게임진행안내를 시스템 차원에서 자동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것에 있다.
즉, 단체가 게임을 위해 청군, 백군, 홍군 등으로 세분하여도 해당 소속 구성원 또는 참여자는 임의로 순서에 관계없이 정해진 복수의 게임 기구에 편리할 때 참여하기만 하면 그 개인의 활동상황, 소단체별 기록, 대단체별 기록을 시스템 차원에서 자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게임진행의 관리가 매우 쉽다는 점이다. 또한, 단체관리자 입장에서도 구성원의 인솔, 통제 등의 어려움을 겪지 않아도 되고, 구성원 또는 참여자들도 자율적인 방식으로 쉬우면서도 재미 또는 흥미를 가지고 게임을 진행할 수 있으며, 종목의 선택이나 난이도 조절도 볼과 타겟의 거리 및 타겟의 모양에 따라서 매우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어 게임 단체의 육체적 능력 단계를 기준으로 다양한 계층에서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게임계 장치(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육 게임 시스템에서 종류별 게임 기구를 포함하는 사이버 게임계 장치(200)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바람직하게는, 사이버 게임계 장치(200)는 체육 게임계 장치(100)와 게임의 내용이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의 체육 게임 기구군(ME100)에 대응하는 사이버 게임 기구군(CY200)에서 제1 내지 제6 사이버 게임 기구(CY10 ∼ CY60)는 사이버 농구게임 기구, 사이버 축구 게임 기구, 사이버 핸드볼 게임 기구, 사이버 골프 게임 기구, 사이버 야구 게임 기구, 사이버 테니스 게임 기구로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현실적 게임인 체육 게임계 장치(100)에서 게임을 하기 전에 사이버 게임계 장치(200)에서 예행 연습, 게임하는 방법 등을 안내받을 수 있다. 즉, 사이버 게임계 장치(200)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체육 게임계 장치(100)의 특정 체육 게임 기구에 입장하기 전에 사이버 공간을 통해 게임의 내용 및 게임 룰, 방법 등을 참가자에게 안내하는 것이다.
물론, 사이버 게임계 장치(200)를 통해서도 체육 게임계 장치(100)와 같이 점수를 획득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현실의 체육 게임계 장치(100)에 참여하기 전에 행하는 사이버 예행연습의 효과도 한층 높일 수 있다. 게임의 주된 부분은 현실의 체육 게임에 높은 비중(예를 들면 90%)을 두고 사이버 게임에는 낮은 비중(예를 들면, 10%)으로 게임비중을 할당할 수도 있다. 또한, 현실의 체육 게임 대 사이버 게임의 비중을 8:2, 7:3: 6:4, 5:5 등으로 정할 수도 있다. 즉, 강조점을 육체적 게임에 얼마만큼 비중을 두는가에 따라서 현실의 체육 게임 대 사이버 게임의 비중을 정할 수 있다.
체육기구 입출 센선부(MES01) 및 체육기구 스코어 센서부(MES02)와 마찬가지로 사이버 기구 입출센서부(CYS01) 및 사이버 기구 스코어 센서부(CYS02)도 대응하는 입출 센서기(CYS11 ∼ CYS61) 및 스코어 센서기(CY12 ∼CYS62)를 포함하며, 긴기능도 동일하다. 사이버 게임계 장치(200)는 전자장치이기 때문에 이러한 사이버 기구 입출센서부(CYS01) 및 사이버 기구 스코어 센서부(CYS02)를 장치내에 미리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체육 게임 시스템의 동작 및 체육 게임 방법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스텝S1: 정문관리계 장치(600)의 정문입출 확인부(610)가 새로운 입장객(또는 게임 참여자, 또는 참여자)의 이동단말기(H1)의 블루투스단자를 통해 입장객의 신규입장을 확인하고 시스템 미등록자이면, 초기 전용앱 제공부(620)에 의해 체육 게임 시스템(1)용 앱프로그램인 전용앱을 이동단말기(H1)로 다운로드하고, 고유ID등록부(630)가 이동단말기(H1)의 전화번호를 고유ID로 등록한다. 전화번호 외에 입장일 날자(최초등록일), 입장객 성명 등을 추가로 고유ID에 함께 등록하여 고유ID의 고유성을 추가로 확보할 수도 있다. 또한, 입장객이 단체에 속하면 그 단체도 고유ID를 부여하여 함께 등록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정문관리계 장치(600)의 정문입출확인부(610), 초기 전용앱 제공부(620), 고유ID 등록부(630)의 모든 데이터는 통신망(700)을 경유하여 중앙서버(500)의 개인단체 ID관리부(510)에 전달된다. 그러면, 중앙서버(500)는 게임안내부(530)를 통해 향후 체육 게임 시스템(1)의 테마파크에서 참여자(입장객)가 하게될 게임 방법 등의 안내를 이동단말기(H1)의 전용앱으로 단개별로 보내면서 안내를 한다. 스텝S1에서는 입장객이 단지 정문에서 등록을 한 상태이므로, 실제 체육 게임을 하기전 예행연습으로서 사이버 게임계 장치(200)에서 미리 향후 진행하게 될 실제 체육 게임의 가상연습을 안내할 수 있다. 사이버 가상 게임은 주체측(즉 단체 게임을 신청한 단체 주관자)의 선택에 따라서 단순히 연습용일 수도 있고, 예행연습을 겸하면서 그 예행연습의 성과에 대해 일정부분 점수를 보너스로 줄 수도 있다. 그러나, 메인 게임은 실제 육체적 활동을 통한 체육 게임계 장치(100)에서의 활동을 위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텝S2에서, 등록된 고유ID를 가진 이동단말기(H1)가 체육 게임계 장치(100)내 체육 게임 기구군(ME100) 중 어느 한 체육 게임 기구에 입장하였는가의 여부를 체육기구 입출 센서부(MES01)에서 판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참여자가 각 체육 게임 기구인 농구 게임 기구(ME10), 축구 게임 기구(ME20), 핸드볼 게임 기구(ME30), 골프 게임 기구(ME40), 야구 게임 기구(ME50), 테니스 게임 기구(ME60) 중 어느 하나에 입장하면, 참여자의 핸드폰과 같은 이동단말기(H1)가 각 체육 게임 기구에 배치된 입출 센서기(MES11, MES21, MES31, MES41, MES51, MES61)에서 감지한다. 감지방식은 블루투스를 이용하거나 태그방식으로 근접방식일 수도 있고, 일정 거리를 둔 방식일 수도 있지만, 이 부분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고, 이 감지방식 자체는 특별히 본 발명의 영역이 아니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S3에서, 참여자의 이동단말기(H1)와 해당 체육 게임 기구의 볼(B)에 태그(T)에 등록된 볼 태그ID를 매치시킨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참여자가 농구 게임 기구(ME10)에 입장할 경우, 기구입구(150)에서 입출센서기(MES11)는 참여자의 이동단말기(H1)의 입장을 감지하고, 기구관리계 장치(300)는 기구관리 단말기(301)를 통해 참여자의 입장을 확인하고, 이동단말기(H1) 고유ID와 대응하는 볼(B)을 제공한다. 즉, 볼(B)에 부착된 태그의 볼 태그ID와 이동단말기(H1)의 고유ID를 스코어 이력부(320)에 등록한다.
스텝S4에서, 스코어 센서기(MES12)는 해당 볼(B)과 해당 이동단말기(H1)가 특정 사이트에 동시에 위치하는가를 사이트 센서기(S11, S12, S13, S14)를 통해 확인한다. 사이트 센서기(S11, S12, S13, S14)로 확인된 위치정보는 기구관리 단말기(301)를 통해 기구 관리계 장치(300)의 스코어 이력부(320)에 등록된다.
스텝S5에서, 참여자는 볼(B)을 골대, 즉 타겟(TG11, TG12, TG13) 중 어느 하나로 투사한다. 보내기의 위치와 순서는 일정하게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이트 S11, S12, S13에 대응하여 타겟 TG11, TG12, TG13에 각각 한번 씩 보내기를 할 수 있다. ST14는 단순히, 불리한 사람을 위한 어드밴티지 사이트일 수도 있고, 어드밴티지 여부와 관계없는 단순 보내기 위치로 사용될 수도 있다.
스텝S6에서, 볼은 타겟으로 보낸 결과는 볼 위치센서(P)와 볼(B)의 태그(T)의 근접으로 확인하고 스코어 센서기(12)에서 볼위치센서(P)의 신호를 산출하여 기구관리 단말기(301)를 경유하여 스코어 이력부(320)로 보내고, 스코어 이력부(320)는 중앙서버(500)의 스코어 관리부(520)에 등록한다. 또한, 사이트 센서(ST)로부터의 게임 참여자의 위치, 즉, 게임 참여자의 이동 단말기(H1, H2)의 위치도 위치 이력부(330)를 통해, 게임 안내부(530), 활동정보 제공부(580)로 전달된다.
스텝S7에서, 중앙서버(500)가 개인별, 소단체, 대단체별, 전체별 기록을 산출하고, 게임의 진행사항, 스코어 결과, 참여자의 이동현황 등은 활동정보 제공부(580)에서 체크하며, 이러한 정보는, 해당 참여자의 이동단말기(H1)에 전달될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는,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관리부(540)를 경유하여 디스플레이계 장치(400)의 해당 디스플레이 단말기(410, 420, 430, 440)에도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활동정보 제공부(580)로부터 참여자 소속 단체 관리자의 단말기에도 참여자의 활동정보, 소속 단체 관리자의 통솔정보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중앙서버(500)의 모든 동작은 제어부(570)에서 주관한다.
스텝S8에서, 참여자가 농구 게임 기구(ME10)에서, 해당 게임과정을 종료한 경우, 나머지 참여자가 수행해야 할 다른 종목의 게임이 아직 남아 있나를 중앙서버(500)의 게임안내부(530)가 기구관리계 장치(300)의 입출이력부(310)와 스코어 이력부(320)의 데이터를 기초로 확인한다. 수행해야 할 체육 게임이 남아 있는 경우, 스텝S9로 진행한다.
스텝S9에서, 중앙서버(500)는 이동단말기(H1)로 다음 수행할 체육 게임의 내용을 안내한다. 예를 들면, 나머지 게임 종류, 체육 게임 기구의 위치(현재위치로부터 찾아가는 방법 등), 게임방법 등을 안내하고, 스텝S2로 진행하여 스텝S2에서 스텝S8까지의 프로세스를 반복한다.
스텝S8에서, 수행해야할 체육 게임이 남아있지 않으면, 스텝S10으로 이동하여 중앙서버(500)의 활동정보 제공부(580)가 그동안 활동한 최종 활동정보를 스코어관리부(520)로부터 취합하여 개인과 개인이 속한 단체에 보내고,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참여자의 이동단말기(H1, H2)의 위치를 확인하는 사이트 센서(ST)는 체육 게임 시스템(1) 내 테마파크의 도처에 설치하여 테마파크 내에 위치하면 어디에서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H1, H2)의 위치포착은 초음파발생기 방식, 블루투스 방식과 이동단말기(H1, H2)에 인스톨된 전용앱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체육 게임 기구 또는 사이버 게임 기구에 입장할 때 또는 퇴출할 때 참여자가 직접 자신의 입장 또는 퇴장을 등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의 특허청구범위를 일탈하지 않고도 당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체육 게임계 장치 200 사이버 게임계 장치
300 기구 관리계 장치 301, 302 기구관리 단말기
400 디스플레이계 장치
410, 420, 430, 440 디스플레이 단말기
500 중앙서버 510 개인단체등록부
520 스코어 관리부 530 게임 안내부
540 디스플레이 관리부 550 종합 DB 관리부
560 전용앱 업데이트 관리부 570 제어부
580 활동정보 제공부 600 정문관리계 장치
610 정문입출확인부 620 초기 전용앱 제공부
630 공유ID등록부 700 통신망
710 이동통신망 720 인터넷
730 블루투스 740 전용선
750 IoT 760 WiFi
CY200 사이버 게임 기구군 CYS01 사이버 기구 입출 센서부
CYS02 사이버 기구 스코어 센서부
CY10 ∼ CY60 제1 내지 제6 사이버 게임 기구
ME100 체육 게임 기구군 MES01 체육기구 입출 센서부
MES02 체육기구 스코어 센서부 ME10 농구 게임 기구
ME20 축구 게임 기구 ME30 핸드볼 게임 기구
ME40 골프 게임 기구 ME50 야구 게임 기구
ME60 테니스 게임 기구
ST 사이트 센서 TG 타겟(볼 투사의 목표지점)

Claims (15)

  1. 볼을 던지거나 차거나, 타구하여, 골대 또는 목표물인 타겟에 통과시키거나 접촉시켜 스코어를 얻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기종목의 게임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체육 게임 시스템으로서,
    테마파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체육 게임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체육 게임 기구 각각에 참여하는 게임 참여자에게 게임기능을 제공하고, 게임 참여자의 식별, 해당 체육 게임 기구에서의 게임 참여자의 입출여부 확인, 게임 참여자의 위치확인, 게임 참여자의 게임 스코어 획득 결과를 수신할 이동단말기의 존재여부, 해당 이동단말기에 부여된 고유ID 및 이동단말기의 고유ID에 대응하여 등록되는 볼의 태그ID를 이용하여 볼의 궤적정보 및 타겟의 위치정보확인을, 게임 참여자들의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통해 자동으로 수행하는 체육 게임계 장치와;
    상기 체육 게임계 장치로부터 게임 참여자의 체육 게임 기구의 입출이력, 게임 참여자의 위치이력 및 스코어 획득에 관한 스코어 이력 정보를 수집하는 기구 관리계 장치와;
    상기 체육 게임 시스템 내 테마파크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단말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계 장치와;
    상기 각 장치들과 통신하며, 상기 기구관리계 장치로부터의 게임 입출이력 및 스코어 이력정보를 기초로 게임 참여자의 개인 스코어정보, 해당 게임 참여자가 속한 하위 단체 및 상위 단체의 단체별 스코어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스코어 정보를 해당 참여자의 이동단말기에 제공하는 스코어 관리부를 포함하는 중앙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기구 관리계 장치의 입출이력 및 스코어 이력정보를 통해 게임 참여자 개인의 남은 게임을 파악하고 진행할 차후 게임을 안내하는 게임 안내부와, 상기 입출이력정보 및 스코어 이력정보, 상기 체육 게임계 장치 내의 사이트 센서 또는 상기 체육 게임계 장치 밖의 사이트 센서로부터의 게임 참여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게임 참여자 개인의 스코어 정보를 개인 게임 참여자 단말기에 제공하거나, 해당 개인이 속한 하위단체 및 상위단체를 적어도 포함하는 그룹 스코어 정보, 해당 단체 게임 참여자들의 현재 게임 진행상황정보 및 위치현황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활동정보를 게임 참여자 단체의 주관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활동정보 제공부와, 상기 활동정보 제공부가 제공하는 활동정보와 상기 게임 안내부가 제공하는 게임안내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계 장치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스코어 관리부와 상기 게임 안내부를 통해 현재의 참여자의 개인 스코어 및 향후 남아있는 게임의 내용 및 위치 등을 알려주고, 상기 활동정보 제공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해당 참여자의 현재까지의 활동상황정보(게임진행상황, 스코어 상황, 현재 위치 등)을 참여자 본인의 이동단말기 및 참여자가 속하는 단체 관리자 또는 단체 주관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활동상황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관리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계 장치를 경유하여 각 게임 기구의 디스플레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이트 센서는 체육 게임 시스템 내 테마 파크 내에 복수로 배치되어 게임 참여자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기구 관리계 장치와 상기 중앙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사이트 센서는, 특정 게임 기구 내에 위치하는 제1사이트 센서와, 특정 게임 기구를 벗어났지만 상기 체육 게임계 장치 내에 위치하는 제2사이트 센서, 상기 체육 게임계 장치를 벗어났지만 전체 체육 게임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제3사이트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육 게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육 게임 시스템은 정문관리계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문관리계 장치는 게임 참여자의 이동단말기를 통해 게임 참여자의 고유ID를 등록하여 상기 중앙서버에 전달하는 고유ID 등록부와, 상기 고유ID가 등록된 이동단말기를 통해 게임 참여자의 체육 게임 시스템의 입출여부를 확인하여 정문입출정보를 제공하는 정문관리계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단말기의 고유ID는 적어도 이동단말기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며,
    상기 체육 게임계 장치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고유ID를 상기 정문관리계 장치 또는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전달받아 해당 이동단말기 소지자인 게임 참여자가 각각의 체육 게임 기구에 입출할 때의 아이덴티티를 식별하여 입출정보를 제공하는 입출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육 게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육 게임 기구는 상기 타겟으로 게임 참여자가 볼을 보내기 위해 위치하는 장소에는 게임 참여자가 지니고 있는 이동단말기와 해당 이동단말기에 대응하여 등록된 볼의 태그ID를 통해 게임 참여자를 식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이트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겟은 해당 볼이 타겟으로 보내질 때 상기 볼의 태그의 궤적을 통해 득점 획득의 성공여부를 확인하여 스코어 정보를 생성하는 스코어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기구 관리계 장치는 상기 입출 센서부의 입출정보 및 상기 스코어 센서의 스코어 정보를 기초로 각 체육 게임 기구에서의 게임 참여자의 입출이력정보 및 스코어 이력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육 게임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육 게임계 장치는 다양한 체육 게임 기구를 포함하며,
    각 체육 게임 기구에는 게임 참여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사이트 센서기, 타겟의 위치와 볼 위치 및 볼궤적 위치를 파악하는 볼위치 센서기, 상기 입출 센서부의 일부인 입출 센서기와 스코어 센서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육 게임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 관리계 장치는, 상기 체육 게임 시스템의 도처에 위치하는 위치센서로서 사이트 센서로부터 게임 참여자의 이동단말기의 위치를 감지할 때 그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이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이트 센서가 감지한 게임 참여자의 위치, 즉 게임 참여자의 이동 단말기의 위치는 상기 위치 이력부를 통해 수집되어, 상기 게임 안내부 및 상기 활동정보 제공부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육 게임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육 게임 시스템의 체육 게임 기구는 농구 게임 기구, 축구 게임 기구, 핸드볼 게임 기구, 골프 게임 기구, 야구 게임 기구, 테니스 게임 기구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육 게임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육 게임 시스템은 체육 게임계 장치의 실질 게임 내용과 동일한 사이버 게임계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이버 게임계 장치는 게임 참여자가 체육 게임계 장치에 입장하기 전에 사이버 게임계 장치에서 사이버 게임을 통해 체육 게임계 장치의 게임내용을 예행연습할 수 있는 게임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육 게임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참여자는 무작위 순으로 상기 체육 게임 기구에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으며,
    상기 중앙서버의 활동정보 제공부는 게임 참여자가 속한 단체 주관자의 통솔정보를 단체주관자의 사전 요청 또는 임시요청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계 장치를 통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공하며, 연중으로 일별, 주별, 월별, 연별, 역대별 스코어 및 랭킹정보를 체육 게임 시스템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게임 참여자의 이동단말기에 정기적, 간헐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육 게임 시스템.
  9. 볼을 던지거나 차거나, 타구하여, 골대 또는 목표물인 타겟에 통과시키거나 접촉시켜 스코어를 얻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기종목의 게임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다양한 복수의 체육 게임 기구를 포함하는 체육 게임계 장치, 상기 체육 게임계 장치의 각종 체육 게임 기구군에서 게임 참여자의 입출 및 게임 활동 행위에 따른 스코어를 수집 관리하는 기구 관리계 장치, 상기 체육 게임 장치에 복수개 설치되는 디스플레이계 장치, 상기 장치들과 통신하는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체육 게임 시스템을 이용한 체육 게임 방법으로서,
    상기 체육 게임계 장치가, 상기 체육 게임 기구 각각에 참여하는 게임 참여자에게 게임기능을 제공하고, 게임 참여자의 식별, 해당 체육 게임 기구에서의 게임 참여자의 입출여부 확인, 게임 참여자의 위치확인, 게임 참여자의 게임 스코어 획득 결과를 이동단말기의 존재여부, 해당 이동단말기에 부여된 고유ID 및 이동단말기의 고유 ID에 대응하여 등록되는 볼의 태그ID를 이용하여 볼의 궤적정보 및 타겟의 위치정보, 이동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통해 자동으로 수행하는 메인 단계와;
    상기 기구 관리계 장치가 체육 게임계 장치로부터 게임 참여자의 체육 게임 기구의 입출이력, 게임 참여자의 위치이력 및 스코어 획득에 관한 스코어 이력 정보를 수집하는 기구관리계 장치 정보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서버가 상기 체육 게임계 장치 내의 사이트 센서 또는 상기 체육 게임계 장치 밖의 사이트 센서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게임 참여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게임 참여자 개인의 스코어 정보를 개인 게임 참여자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기구 관리계 장치로부터의 게임 입출이력 및 스코어 이력정보를 기초로 게임 참여자의 개인 스코어정보, 해당 게임 참여자가 속한 하위 단체 및 상위 단체의 단체별 스코어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스코어 정보를 해당 참여자의 이동단말기에 제공하는 스코어정보 제공단계와;
    상기 중앙서버가, 상기 기구 관리계 장치의 입출이력 및 스코어 이력정보를 통해 게임 참여자 개인의 남은 게임을 파악하고 진행할 차후 게임을 안내하기 위한 게임안내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서버가 게임 참여자의 개인 스코어 및 향후 남아있는 게임의 내용 및 위치 정보와, 해당 게임 참여자의 현재까지의 활동상황정보(게임진행상황, 스코어 상황, 현재 위치 등)을 게임 참여자 본인의 이동단말기 및 참여자가 속하는 단체 관리자 또는 단체 주관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서버가, 상기 활동상황정보와 게임안내정보를 체육 게임 시스템의 각 게임 기구에 설치된 디스플레이계 장치가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육 게임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육 게임 시스템은 정문관리계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단계 전에, 상기 정문관리계 장치가 게임 참여자의 이동단말기를 통해 게임 참여자의 고유ID를 등록하여 상기 중앙서버에 전달하는 고유ID 등록부와, 상기 고유ID가 등록된 이동단말기를 통해 게임 참여자의 체육 게임 시스템의 입출여부를 확인하여 정문입출정보를 제공하는 정문관리계 처리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육 게임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가 상기 정문관리계 장치로부터의 이동단말기 고유 ID와, 상기 기구 관리계 장치로부터의 입출이력정보 및 스코어 이력정보, 상기 체육 게임계 장치로부터 게임 참여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해당 게임 참여자가 수행하게 될 게임종류, 게임방법 및 진행절차를 게임 참여자의 이동단말기를 통해 자동으로 안내하는 게임안내단계 및,
    상기 입출이력정보 및 스코어 이력정보, 상기 체육 게임계 장치 또는 체육 게임 시스템으로부터의 게임 참여자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게임 참여자 개인의 스코어 정보, 해당 개인이 속한 하위단체 및 상위단체를 적어도 포함하는 그룹 스코어 정보, 해당 단체 게임 참여자들의 현재 게임 진행상황 및 위치현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활동정보를 게임 참여자 단체의 주관자 단말기에 적어도 제공하는 활동정보 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육 게임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체육 게임계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체육 게임 기구에는 사이트 센서기, 볼위치 센서기, 입출 센서기, 스코어 센서기가 설치되고,
    상기 스코어정보 제공단계이전에, 상기 중앙서버가 상기 사이트 센서기로부터의 게임 참여자의 위치 감지신호와, 상기 볼위치 센서기로부터의 타겟의 위치와 볼 위치 및 볼궤적 위치정보와, 상기 입출 센서기로부터의 입출 정보와, 상기 스코어 센서기로부터의 스코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육 게임 방법.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트 센서는 체육 게임 시스템 내 테마 파크 내에 복수로 배치되어 게임 참여자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기구 관리계 장치와 상기 중앙서버로 제공하고, 상기 사이트 센서는, 특정 게임 기구 내에 위치하는 제1사이트 센서와, 특정 게임 기구를 벗어났지만 상기 체육 게임계 장치 내에 위치하는 제2사이트 센서, 상기 체육 게임계 장치를 벗어났지만 전체 체육 게임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제3사이트 센서를 포함하는 체육 게임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체육 게임 시스템은 체육 게임계 장치의 실질 게임 내용과 동일한 사이버 게임계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단계 전에, 상기 사이버 게임계 장치가 게임 참여자에게 체육 게임계 장치에 입장하기 전에 사이버 게임계 장치에서 사이버 게임을 통해 체육 게임계 장치의 게임내용을 예행연습할 수 있는 게임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육 게임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참여자는 무작위 순으로 상기 체육 게임 기구에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으며,
    상기 중앙서버가 게임 참여자가 속한 단체 주관자의 통솔정보를 단체주관자의 사전 요청 또는 임시요청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계 장치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중앙서버가 일별, 주별, 월별, 연별, 역대별 스코어 및 랭킹정보를 체육 게임 시스템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게임 참여자의 이동단말기에 정기적, 간헐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육 게임 방법.
KR1020170072221A 2017-06-09 2017-06-09 체육 게임 시스템 및 방법 KR101947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221A KR101947089B1 (ko) 2017-06-09 2017-06-09 체육 게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221A KR101947089B1 (ko) 2017-06-09 2017-06-09 체육 게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477A KR20180134477A (ko) 2018-12-19
KR101947089B1 true KR101947089B1 (ko) 2019-02-12

Family

ID=65009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221A KR101947089B1 (ko) 2017-06-09 2017-06-09 체육 게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08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526B1 (ko) * 2015-05-19 2015-12-14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시공간적 제약 없는 스크린 야구 경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456Y1 (ko) 1998-03-03 2001-04-02 김원택 오락용 농구 시스템
KR101099120B1 (ko) 2009-01-14 2011-12-29 이삼신 골프연습장을 포함하는 소형 테마파크
US9511278B2 (en) * 2011-03-09 2016-12-06 Andamiro Co., Ltd. Basketball game console, network basketball game console using the same, and basketball method
KR101677686B1 (ko) * 2015-01-21 2016-11-18 (주)나라소프트 스크린을 이용한 스포츠 연습 시뮬레이션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526B1 (ko) * 2015-05-19 2015-12-14 주식회사 리얼야구존 시공간적 제약 없는 스크린 야구 경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4477A (ko) 2018-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4796B2 (en) Sporting event prediction and skill game
ES2344590T3 (es) Juego interactivo a traves de decodificadores.
US8834303B2 (en) Arena baseball game system
US20090029754A1 (en) Tracking and Interactive Simulation of Real Sports Equipment
US20090291764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a controlled toy to interact with a computer game
US201403718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joint access to an apparatus
JP2015051147A (ja) ゲーム機、ゲーム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184134B1 (ko) 영상 골프 시스템 서버 및 네트워크 접속 장치
KR101177640B1 (ko) 온라인 골프게임 시스템
US20210205684A1 (en) Baseball Simulation Game
US20240033648A1 (en) Computerized method and computing platform for centrally managing skill-based competitions
KR20170079809A (ko) 스크린골프 장치 및 스크린골프 시스템
KR20210006481A (ko) 무인 카드 결제 기능을 갖는 스크린 골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US20140330412A1 (en) Computerized interactive sports system and a method of assessing sports skills of users
KR101947089B1 (ko) 체육 게임 시스템 및 방법
KR101420169B1 (ko) 스크린 골프 장치를 이용한 온라인 골프 대회 서비스 시스템
US11654357B1 (en) Computerized method and computing platform for centrally managing skill-based competitions
KR101236154B1 (ko) 스크린 화면 중앙 컨트롤 방식과 플레이 룸 순환방식을 적용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
CN114177597A (zh) 用于球抛掷机和智能球门的系统、设备和方法
KR20210004687A (ko) 무인 카드 결제 기능을 갖는 스크린 골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US20230372804A1 (en) Interactive Sports Training System
US20240181323A1 (en) Interactive Sports Training System
CN101468255A (zh) 高模效性的高尔夫球装置及其方法
US201902553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ercise Guidance and Tracking
TR2023001111A2 (tr) Spor branşlarinda raki̇bi̇ni̇ bulmayi kolaylaştiran si̇stem ve algori̇tmas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