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9806A - 다기능 스텝박스 및 그 스텝박스를 이용한 트레이닝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기능 스텝박스 및 그 스텝박스를 이용한 트레이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9806A
KR20210089806A KR1020200002417A KR20200002417A KR20210089806A KR 20210089806 A KR20210089806 A KR 20210089806A KR 1020200002417 A KR1020200002417 A KR 1020200002417A KR 20200002417 A KR20200002417 A KR 20200002417A KR 20210089806 A KR20210089806 A KR 20210089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tep box
training
user terminal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2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7622B1 (ko
Inventor
최진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좋은운동으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좋은운동으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좋은운동으로
Priority to KR1020200002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622B1/ko
Publication of KR20210089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9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0458Step exercisers without mo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7Measuring body composition by impedance, e.g. tissue hydration or fat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4Determining motor skills
    • A61B5/1125Grasping motions of h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61B5/225Measuring muscular strength of the fingers, e.g. by monitoring hand-grip fo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63B2071/063Spoken or verbal i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63B2220/52Weight, e.g. weight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74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powered illuminating means, e.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Multimedia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스텝박스 및 그 스텝박스를 이용한 트레이닝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텝박스에 센서와 조명 등의 구성을 탑재하고 사용자단말에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함으로써, 기존의 스텝박스를 이용한 기본적인 운동 외에도 다양한 훈련을 실시할 수 있고, 단독 훈련은 물론 단체 훈련에서도 개인별 맞춤 트레이닝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다기능 스텝박스 및 그 스텝박스를 이용한 트레이닝 시스템{Step box and training system using the step box}
본 발명은 다기능 스텝박스 및 그 스텝박스를 이용한 트레이닝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스텝박스에 내장된 센서와 사용자단말에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 능력에 따른 맞춤 운동이 가능토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앞꿈치만 사용해 올라섰다 내려섰다 하면서 종아리 및 힙업 등 하체 유연성 강화에 도움을 주는 유산소 운동기구인 스텝박스는 그 운동 효과가 증명되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스텝박스를 이용하면 계단 오르내리기, 사이드 스텝, 런지, 마운틴 클라이밍, 점핑 스쿼트 등의 다양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스텝박스를 이용한 가장 기본적인 운동법은 올라갔다 내려오기를 반복하는 계단 오르내리기이다. 즉 오른쪽 발을 스텝박스에 올려주고 이어서 왼쪽 발도 올려주며, 다시 오른발을 내려주고 이어서 왼발도 내려주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이다. 이렇게 가볍게 스텝박스를 오르내리는 운동만으로도 러닝머신 위를 달리는 것보다 3배 이상의 운동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스텝박스 위에서 양 옆으로 한발씩 내렸다가 올리기를 반복하는 사이드 스텝 운동도 가능하다.
또한 한쪽 발을 뒤로 뻗어 스텝박스에 올린 후 상체를 내리면서 균형을 유지하며 다시 몸을 일으키는 런지 운동과, 양손을 스텝박스에 올려 팔굽혀펴기 자세를 취한 후 무릎을 높이 차올리듯 한쪽 다리씩 움직이는 마운틴 클라이밍 운동과, 스텝박스를 앞에 두고 다리를 어깨너비만큼 벌려 자세를 잡아준 후 위로 점프하여 스텝박스로 올라가 스쿼트 동작을 취해주는 점핑 스쿼트 운동도 가능하다.
이러한 스텝박스는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언제 어디에서나 다양한 운동을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이지만, 가정에서 사용할 경우 올바른 운동 지도를 받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고, 스포츠센터 등에서 단체로 운동할 경우에는 운동 능력이 서로 다른 여러 사람들과 함께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개인별 맞춤 지도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스텝박스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0041호(2014.01.06. '스텝운동기구')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텝박스에 센서와 조명 등의 구성을 탑재하고 사용자단말에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함으로써, 기존의 스텝박스를 이용한 기본적인 운동 외에도 다양한 훈련을 실시할 수 있고, 단독 훈련은 물론 단체 훈련에서도 개인별 맞춤 트레이닝이 가능토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텝박스는, 소정 높이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나 이상 위치에 설치되어 설정된 색상의 빛을 발광시키는 조명부; 사용자단말 또는 코치단말과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통신처리부; 및 상기 통신처리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 또는 코치단말에서 설정한 바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에 따라 체중을 측정하거나 좌우 균형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센서를 통해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조명부를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킬 수 있다.
또,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 또는 코치단말에서 설정한 바에 따라 휘슬 또는 훈련 설명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권취된 상태로 보관되되,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를 잡아 당기면 상기 본체 외부로 인출되는 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밴드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권취된 상태로 보관되는 탄성밴드; 상기 탄성밴드의 종단에 연결된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악력을 측정하는 악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밴드부의 악력센서에서 측정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 상기 밴드부는,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미세 전류를 인가하고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밴드부의 임피던스측정부에서 측정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닝 시스템은, 스텝박스; 상기 스텝박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 채널을 연결하고 설정 정보를 입력하거나 훈련 컨텐츠를 출력하는 사용자단말; 및 상기 사용자단말 측으로 훈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운용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스텝박스는 앞서 설명한 스텝박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스텝박스 또는 상기 운용서버와 통신 채널을 연결하고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설정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화면 출력하거나, 상기 운용서버로부터 수신한 훈련 컨텐츠를 화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수단; 및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설정 정보를 상기 스텝박스 측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운용서버로부터 수신한 훈련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화면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앱운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사용자단말은, 사용자의 운동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앱운용부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운동 영상에서 사용자의 안면을 인식하여 운동 강도를 분석한 후 훈련 프로그램의 난이도를 재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텝박스와 그 스텝박스를 이용한 트레이닝 시스템, 그리고 사용자단말이나 코치단말에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먼저 스텝박스를 이용하여 기본적인 계단 오르내리기, 사이드 스텝, 런지, 마운틴 클라이밍, 점핑 스쿼트 등의 훈련을 진행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스텝박스를 이용하여 가정에서 개인적으로 운동을 진행할 경우에는 올바른 훈련 자세나 훈련 강도를 지도 받기가 어려웠지만,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닝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개인 훈련 시에도 올바르게 코치를 받으며 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단말을 통해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운용서버 측으로 훈련 프로그램을 요청하면, 운용서버는 사용자의 회원 정보를 참고하여, 해당 사용자가 진행하려는 훈련에 대하여 가장 적절한 난이도의 훈련 프로그램 정보 제공해줄 수 있다. 운용서버에서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훈련 프로그램 정보에는 동영상 형태의 훈련 컨텐츠, 조명 제어 명령, 목표 시간이나 회수 정보, 휘슬 제어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훈련 컨텐츠를 확인하면서 올바른 운동 자세를 참고할 수 있고, 목표 시간과 회수 정보의 설정에 따라 휘슬 구령에 맞춰 훈련을 진행함으로써 무리하지 않으면서도 최적의 난이도로 훈련을 진행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스포츠센터 등에서 현장 코치의 지도를 받아 운동을 할 시에도 코치단말에서 입력한 목표 시간이나 회수, 휘슬 구령에 맞춰 훈련할 수가 있다.
또한 기존에는 운동을 진행하는 사용자의 운동량이나 목표 달성 여부 등의 정보를 따로 기록하지 아니하였다. 따라서 다음 회차의 운동 진행시 난이도를 조절하는 등의 작업이 주먹구구식으로 이루어질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스텝박스는 사용자단말 및 운용서버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운동 기록이 모두 기록되기 때문에, 추후 훈련 진행시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즉 스텝박스에 설치된 압력센서, 터치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나 좌우 균형 감각을 실시간으로 기록할 수 있고, 제어부는 이러한 운동 기록을 사용자단말로 전송하며, 사용자단말의 앱운용부는 해당 사용자의 운동 기록을 운용서버에 전송함으로써 회원정보에 매칭 저장할 수 있다. 즉 개개인의 운동 기록, 운동량 등의 정보가 자동 저장됨으로써 추후 훈련을 진행할 시 해당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맞춤 훈련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스텝박스의 압력센서 및 터치센서를 통해 제어부에서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동시에 조명부를 통해 운동 상태가 표시될 수 있어서, 단체 훈련시 코치가 사용자별 맞춤 지도가 가능하다. 예컨대 코치단말에서 복수의 스텝박스에 대하여 목표 시간 및 목표 회수를 지정한 후 단체 훈련이 가능토록 설정하였다고 하자. 이후 훈련이 진행되면 운동 능력이 부족한 사람의 경우 목표 시간이나 목표 회수를 빠르게 쫓아가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조명부를 통해 미리 설정된 색상의 조명이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코치가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올바르게 훈련을 따라갈 경우 파란색의 조명이 발광되지만, 훈련에 뒤처지는 사용자의 스텝박스에는 빨간색 조명을 섞어 발광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빨간색 조명이 섞여서 점등되는 스텝박스를 코치가 확인하였다면, 해당 사용자를 배려하여 전체 훈련 난이도를 조절하거나, 해당 사용자에 대해서만 난이도를 조절하여 맞춤 지도가 가능하다.
또한 스텝박스에 설치된 압력센서를 이용할 경우 체중계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앱운용부는 측정된 체중 정보를 사용자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단말은 운용서버로 체중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회원에 대한 체중 증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함으로써, 사용자는 추후 그래프를 통해 체중 감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스텝박스의 좌우에 각각 설치된 압력센서를 통해 점핑 스쿼드 등의 훈련시 신체의 좌우 균형을 살피고 그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고, 이렇게 저장된 좌우 균형 정보는 추후 운동 자세를 교정하는 기초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더불어 스텝박스에 설치된 압력센서를 통해 푸시업 훈련을 할 시에도 올바른 자세 유지와 카운팅이 가능하다.
한편 스텝박스에 설치된 터치센서와 조명부를 이용하면 동체시력 반응 훈련도 가능하다. 즉 여러대의 스텝박스를 적절한 높이에 설치한 후, 사용자단말 또는 코치단말에서 설정한 바에 따라, 또는 운용서버에서 제공하는 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복수 스텝박스의 조명부 중 특정 위치의 조명부에서 빛이 점등하면, 빠르게 해당 스텝박스를 터치토록 하고, 터치센서를 통해 터치 여부가 감지되면, 제어부가 해당 조명은 소등되도록 한 후 카운팅을 하는 것이다.
더불어 스피커를 이용하여 훈련을 지도하는 설명이 출력되거나 코치가 없을 경우에도 휘슬 음성이 출력되어 훈련을 진행할 수가 있다.
한편 스텝박스의 본체에는 밴드가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스텝박스를 이용한 기본 운동과 밴드를 이용한 운동이 모두 가능하여, 상체 및 하체 단련을 위한 훈련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스텝박스를 이용한 기본 훈련을 실시할 때, 균형 감각이 부족한 사람은 밴드를 잡아서 균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고, 밴드만을 이용한 단독 훈련도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트레이닝 시스템에서 스텝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스텝박스에서 밴드부가 인출된 상태 및 밴드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도1에 도시된 트레이닝 시스템에서 스텝박스와 사용자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5는 도1에 도시된 트레이닝 시스템에서 사용자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화면 출력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이하에서 설명하게 되는 각 구성부와 서버 및 시스템은 반드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독립적인 구성부나 서버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또는 하나 이상의 서버 또는 하나 이상의 시스템의 집합으로 구현되거나 일부가 공유될 수도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닝 시스템은 스텝박스(10), 사용자단말(20), 코치단말(30) 및 운용서버(40)를 포함한다.
스텝박스(10)는 계단 오르내리기, 사이드 스텝, 런지, 마운틴 클라이밍, 점핑 스쿼트 등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운동기구이며, 크기와 외관은 기존의 스텝박스와 유사하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텝박스(10)는 사용자 개인 운동 능력에 따른 맞춤 지도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자세한 구성은 이하에서 다시 설명토록 한다.
사용자단말(20) 및 코치단말(30)은 스텝박스(10)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 채널을 연결하고 정보를 송수신하여 스텝박스(10)를 동작시키기 위한 설정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사용자단말(20) 및 코치단말(30)은 운용서버(40)와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 채널을 연결하고 스텝박스(10)를 통해 실시한 운동 정보를 운용서버(40)로 전송하거나, 운용서버(40)로부터 훈련 영상 등의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해 줄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단말(20) 및 코치단말(30)은 통상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일 수 있으며, 운용서버(40) 또는 별도의 앱스토어 등에서 제공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된 상태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스텝박스(10) 및 운용서버(40)와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단말(20)과 코치단말(30)은 그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사용자단말(20)에 대해서만 설명토록 한다.
운용서버(40)는 사용자단말(20)로부터 운동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별 운동 결과를 저장한 후 맞춤 운동이 가능하도록 트레이닝 코스를 추천하거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동영상이나 음원 형태의 훈련 컨텐츠를 사용자단말(20) 측으로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트레이닝 시스템에서 스텝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3은 도2에 도시된 스텝박스에서 밴드부가 인출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4는 도1에 도시된 트레이닝 시스템에서 스텝박스와 사용자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박스(10)는 본체(11a,11b), 밴드부(12), 조명부(13), 압력센서(14), 터치센서(15), 음향센서(16), 스피커(17), 통신처리부(18) 및 제어부(19)를 포함한다.
본체(11a,11b)는 스텝박스(10)의 외관을 형성하되, 스텝박스(10)의 나머지 구성들이 필요에 따라 분리될 수 있도록 도2의 (a)와 같이 기본본체(11a)와 분리본체(11b)가 착탈 가능한 형태로 분리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예컨대 분리본체(11b)에는 스피커(17) 등의 구성이 탑재되어 필요에 따라 도2의 (b)와 같이 기본본체(11a)에 결합된 상태로 사용되거나, 분리본체(11b) 없이 기본본체(11a)만으로도 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기본본체(11a)의 바닥은 미끄럼 방지 소재로 제작되고, 필요에 따라 다단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토록 기본본체(11a)가 설계될 수도 있다. 또 기본본체(11a)는 필요에 따라 바닥에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밴드부(12)는 스텝박스(10)를 이용하여 밴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사용자의 악력이나 체성분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밴드부(12)는 탄성밴드(12a), 손잡이(12b), 악력센서(12c) 및 임피던스측정부(12d)를 포함한다.
탄성밴드(12a)는 기본본체(11a) 내부 공간에 탄성력을 갖는 권취수단에 권취된 상태로 보관된다. 즉 기본본체(11a) 내부에 탄성밴드(12a)가 내장되어 있고, 탄성밴드(12a)의 종단에 손잡이(12b)가 연결되어 있다. 만약 밴드 운동을 하지 않을 시에는 탄성밴드(12a)가 기본본체(11a) 내부에 권취된 상태로 보관되고 손잡이(12b)는 기본본체(11a) 상부에 형성된 홈에 안착되어 표면은 평탄한 상태가 된다. 즉 스텝박스(10)를 이용한 기본 운동시에는 탄성밴드(12a)나 손잡이(12b)가 본체(11a,11b)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방해를 주지 않는다. 하지만 밴드 운동이 필요할 시에는 밴드부(12)의 손잡이(12b)를 잡아 당겨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밴드(12a)를 인출시킬 수가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텝박스(10)를 이용하면 스텝박스(10)를 이용한 기본 운동과 밴드를 이용한 운동이 모두 가능하다.
한편,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부(12)의 손잡이(12b) 내부에는 악력센서(12c) 및 임피던스측정부(12d)가 설치되어 있다. 악력센서(12c)는 사용자가 손잡이(12b)를 파지할 때의 악력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고, 임피던스측정부(12d)는 사용자의 신체에 미세한 전류를 통과시킬 때 발생하는 임피던스를 계측하기 위해 마련된다. 신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얻어진 정보를 이용하면 인체의 구성 성분인 체수분, 단백질, 무기질, 체지방 등의 체성분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이러한 악력센서(12c) 및 임피던스측정부(12d)에서 측정된 센싱 정보들은 탄성밴드(12a) 내에 매설된 케이블이나 별도의 무선모듈(미도시)을 통해 스텝박스(10)의 제어부(19)로 전송되거나, 실시하기에 따라 사용자단말(20)로 전송될 수 있다.
조명부(13)는 본체(11a,11b)의 복수 지점에 설치되어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광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명부(13)가 기본본체(11a)의 전방 좌우측, 후방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예시를 도시하였다.
압력센서(14)는 기본본체(11a)의 상부에 설치되어 기본본체(11a)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압력센서(14)를 이용하면 스텝박스(1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거나, 균형 잡기 훈련시 좌우 균형이 이루어지는 지 확인할 수도 있다.
터치센서(15)는 기본본체(11a)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터치센서(15)를 이용하면 스텝박스(10)를 이용한 동체시력 반응 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
음향센서(16)는 소리를 감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컨대 음향센서(16)를 이용할 경우 소리에 반응하여 조명부(13)를 점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스피커(17)는 음성을 출력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컨대 사용자단말(20)을 통해 훈련 영상이 재생될 경우 스텝박스(10)의 스피커(17)를 통해 음성이 출력되거나, 코치를 대신하여 스피커(17)를 통해 훈련 프로그램에 따른 휘슬(Whistle) 음원이 출력될 수 있다.
통신처리부(18)는 사용자단말(20) 또는 코치단말(30)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 채널을 연결하고 정보를 송수신 처리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컨대 통신처리부(18)는 블루투스, RF통신 또는 와이파이 방식으로 사용자단말(20) 또는 코치단말(30)과 통신 채널을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19)는 통신처리부(18)를 통해 사용자단말(20)과의 통신 채널을 연결하며, 사용자단말(20)로부터 훈련 프로그램이 수신되면 이에 대응하여 조명부(13)를 제어하고 스피커(17)를 통해 특정 음향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9)는 압력센서(14), 터치센서(15), 음향센서(16)를 통해 측정된 센싱 정보에 따라 조명부(13) 또는 스피커(17)를 제어하거나, 센싱 정보를 사용자단말(20) 측으로 전송 처리하여 사용자단말(20)의 앱운용부(25)에서 운동 정보를 수집하거나 훈련 프로그램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9)는 밴드부(12)의 악력센서(12c) 또는 임피던스측정부(12d)에서 측정된 센싱 정보를 사용자단말(20) 측으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악력 및 체성분 분석이 가능토록 한다.
이 외에도 스텝박스(10)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미도시), 충전포트(미도시), 사용자단말(20)에서 설정한 훈련 프로그램 정보를 임시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텝박스(10)의 구성들은 기본본체(11a) 또는 분리본체(11b)에 적절하게 분배된 상태로 탑재되고, 필요에 따라 결합 또는 분리된 상태로 사용 가능하다.
사용자단말(20) 및 코치단말(30)은 스텝박스(10) 및 운용서버(40)와 통신채널을 연결하여 훈련 프로그램을 설정하거나 각종 훈련 컨텐츠를 출력해주기 위해 마련된다. 사용자단말(20)과 코치단말(30)에는 운용서버(40) 또는 앱스토어에서 제공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상태로, 전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거나 훈련 컨텐츠가 재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20)과 코치단말(30)은 그 구성이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도4를 통해 사용자단말(20)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토록 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20)은 통신부(21), 디스플레이(22), 입력수단(23), 저장부(24), 앱운용부(25), 카메라(26) 및 마이크(27)를 포함한다.
통신부(21)는 스텝박스(10)의 통신처리부(18)와 블루투스, RF통신,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 채널을 연결하고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 하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통신부(21)는 운용서버(40)와 인터넷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 채널을 연결하고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2)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훈련에 필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해 주기 위해 마련되며, 입력수단(23)은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마련된다. 실시하기에 따라 입력수단(23)과 디스플레이(22)가 일체로 제작되는 터치스크린이 사용자단말(20)에 탑재될 수도 있다.
저장부(24)는 전용 애플리케이션 구동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훈련 프로그램 정보, 운용서버(40)로부터 수신한 훈련 컨텐츠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다.
앱운용부(25)는 사용자단말(20)에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훈련에 필요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아 스텝박스(10) 또는 운용서버(40) 측으로 전송 처리하고, 스텝박스(10)나 운용서버(40)로부터 수신한 운동 정보 또는 훈련 컨텐츠를 화면 출력하거나 저장 처리하기 위해 마련된다. 앱운용부(25)에 의해 구동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자단말(20)의 디스플레이(22)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출력되고, 이를 통해 다양한 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예시에 대해서는 이하 도5를 통해 설명토록 한다.
카메라(26)는 사용자의 실시간 운동 모습을 촬영하기 위해 마련된다. 카메라(26)로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은 앱운용부(25)에 의해 운용서버(40)로 전송되어 저장된 후 추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로딩되어 사용자단말(20)의 디스플레이(22)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26)에서 촬영된 영상은 앱운용부(25)에서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훈련 프로그램의 난이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앱운용부(25)는 안면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얼굴의 표정 변화 등을 분석한 후 사용자의 운동 강도를 판단한 후 훈련 프로그램의 난이도를 재설정할 수 있다.
마이크(27)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마련된다. 즉 앱운용부(25)는 운용서버(40)와 연동하여 음성 AI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27)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앱운용부(25)가 운용서버(40)로 전송하면, 운용서버(40)에서 음성 명령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희망하는 운동코스, 예컨대 사이클링, 밴드 운동, 서킷 트레이닝, 인터벌 트레이닝 등의 훈련 프로그램을 추출할 수 있고, 이를 사용자단말(20)에 전송하면 앱운용부(25)는 운용서버(40)로부터 수신된 훈련 프로그램을 세팅하여 영상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고, 스텝박스(10)의 조명부(13)나 스피커(17)도 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이 제어된다.
도5는 도1에 도시된 트레이닝 시스템에서 사용자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화면 출력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20)에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면 사용자가 훈련에 필요한 정보를 적절하게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화면상에 출력된다.
도5에 도시된 화면 예시에서 도면부호 101은 마이 페이지 버튼으로, 이를 통해 사용자는 회원 정보를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으며, 그동안 훈련한 운동 기록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20)에서 입력 및 수집된 회원 정보나 운동 기록 정보는 운용서버(40)로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도면부호 102 부분에는 사용자 닉네임이나 소속 클럽 등의 정보가 출력되고, 카메라(26)를 이용한 실시간 운동 사진이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 그리고 운용서버(40)를 통한 훈련 영상 링크 페이지 이동 버튼, 운용서버(40)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 연결 버튼 등이 배치되어 있다. 사용자단말(20)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운용서버(40)로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고, 추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로딩되어 사용자단말(20)에서 출력될 수 있다.
도면부호 103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무선통신 연결 버튼으로 이 버튼의 온, 오프를 통해 앱운용부(25)는 통신부(21)와 스텝박스(10)의 통신처리부(18) 사이의 블루투스 연결을 수행하거나 해제하고, 또한 와이파이 망에 접속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와이파이 접속이 끊어진 상태라면 통신부(21)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운용서버(40)와 통신 채널을 연결하게 된다.
도면부호 104는 악력 및 체성분 분석 버튼으로, 이 버튼을 활성화 시키면 밴드부(12)의 손잡이(12b)에 설치된 악력센서(12c)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파지 악력에 대한 정보, 그리고 임피던스측정부(12d)에서 측정된 임피던스 정보가 스텝박스(10)의 제어부(19)를 통해 사용자단말(20)로 전송되고, 앱운용부(25)는 자체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악력과 체성분 정보(체수분, 단백질, 무기질, 체지방)를 디스플레이(22)를 통해 화면 출력되도록 하거나, 운용서버(40)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앱운용부(25)는 스텝박스(10)로부터 수신한 악력 및 임피던스 정보를 운용서버(40)로 전송하고, 운용서버(40)에서 악력 및 체성분 정보를 분석한 후 그 결과를 사용자단말(20)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디스플레이(22)를 통해 확인할 수도 있다.
도면부호 105는 음향 제어 버튼으로 이 버튼의 온, 오프를 통해 앱운용부(25)는 스텝박스(10) 측으로 음향 온 오프 명령을 전송하게 되고, 스텝박스(10)의 제어부(19)는 사용자단말(20)로부터 음향 온 오프 명령을 수신하면 그에 대응하여 스피커(17)의 음향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하기에 따라 사용자는 음향 제어 버튼을 통해 스피커(17)의 볼륨을 조절할 수도 있다.
도면부호 106은 체중 측정 버튼으로, 이 버튼을 활성화 시킨 후 사용자가 스텝박스(10)의 기본본체(11a) 양측에 올라서면, 압력센서(14)에서 측정된 정보가 제어부(19)를 통해 사용자단말(20)로 전송되고, 앱운용부(25)는 압력센서(14)에서 측정된 사용자의 체중 정보를 디스플레이(22)에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물론 앱운용부(25)는 사용자의 체중 정보를 운용서버(40)로 전송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부호 107은 전체조명 설정 버튼으로 이 버튼을 통해 사용자는 스텝박스(10)의 조명부(13) 전체 동작을 상세하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조명 제어 버튼을 통해 스텝박스(10)의 조명부(13) 전체를 수동으로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킬 수도 있고, 조명부(13)가 점등되는 시간 등을 설정할 수도 있으며, 조명부(13)의 색상이 랜덤하게 발광되도록 하거나 도면부호 116의 조명 색상 설정 버튼을 통해 특정 색상의 빛이 밝혀지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도면부호 108은 선택조명 설정 버튼으로 이 버튼을 통해 사용자는 스텝박스(10)에 설치된 복수의 조명부(13) 동작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스텝박스(10)의 기본본체(11a)에는 전방 좌우측, 후방 좌우측에 각각 조명부(13)가 설치되어 있는데, 사용자는 선택조명 설정 모드에 진입한 후, 화면출력 영역 전후방에 각각 배치된 조명그림을 선택하고, 특정 위치의 조명부(13)에서는 특정 색상의 빛이 발광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좌측 전방 조명을 선택하고 빨간색을 선택하면, 앱운용부(25)가 스텝박스(10) 측으로 선택조명 설정 명령을 전송하고, 스텝박스(10)의 제어부(19)는 좌측 전방 조명이 빨간색으로 발광되도록 하는 것이다. 반대로 이미 점등되어 있는 조명을 선택하면, 해당 조명이 소등되도록 할 수 있다.
도면부호 109는 터치조명 설정 버튼으로 사용자는 터치조명 설정 모드를 통해 사용자가 스텝박스(10)를 터치하면 터치센서(15)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9)가 조명부(13)를 자동 점등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스텝박스(10) 상판을 손이나 발로 터치할 경우 점등 또는 소등이 이루어지도록 설정하거나, 전체 조명부(13)가 점등(또는 소등)된 상태에서 특정 부위를 터치하면 해당 위치의 조명부(13)가 소등(또는 점등)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터치조명 설정 모드를 통해 목표시간, 목표 회수 및 조명 위치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목표 시간을 1초로 설정하고, 목표 회수를 1로 설정하며, 조명 위치를 프론트로 설정하면, 휘슬 소리에 맞추어 설정된 목표 시간 내에 목표 시간 만큼 스텝박스(10)를 터치하여, 설정된 조명부(13)가 점등되도록 훈련할 수 있다.
도면부호 110은 음향반응 조명 설정 버튼으로 사용자는 이 버튼을 통해 스텝박스(10)의 음향센서(16)를 통해 특정 소리가 입력되면 제어부(19)가 조명부(13)를 점등시키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음향반응 조명 설정 모드에 진입한 후, 소리 반응 점멸 명령을 입력하면 앱운용부(25)에서 스텝박스(10) 측으로 입력된 명령을 전송하고, 스텝박스(10)의 제어부(19)에서 소리 반응 점멸 설정을 함으로써 음향센서(16)를 통해 특정 소리가 입력될 경우 조명부(13)가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소리 반응 조명부(13)가 점멸될 시, 일정주기로 조명이 깜박거리게 하거나, 복수의 조명부(13)들을 돌아가면서 순차적으로 조명이 점멸되도록 하거나, 소리 반응시 항상 점등 상태가 되도록 하는 등의 설정이 가능하다.
도면부호 111은 사용자 설정 버튼으로 사용자는 이 버튼을 통해 운동 종류에 따른 타임(10초~600초 등 선택), 카운트(1회, 2회 등 선택), 라이트(전방 조명, 후방 조명) 기능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도면부호 112, 113, 114는 각각 사용자의 운동 목표에 따른 시간, 회수, 라이트 점등을 설정하는 버튼이다.
도면부호 115는 화면 출력 영역으로 사용자가 운용서버(40) 측으로 훈련 컨텐츠를 요청하면, 앱운용부(25)가 운용서버(40)에서 제공하는 훈련 컨텐츠를 수신한 후 화면 출력 영역을 통해 재생시켜줄 수 있다. 또한 화면 출력 영역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촬영한 운동 영상이 출력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116은 조명 색상 선택 버튼으로, 사용자는 조명 색상 선택 버튼을 통해 특정 색상의 조명을 선택하거나, 랜덤 발광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면부호 117 및 118은 밴드를 이용한 운동, 사이클링 운동, 스텝박스(10)를 이용한 운동 등 특정 훈련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버튼이고, 도면부호 119는 휘슬 등의 시그널을 설정하고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버튼이다.
도면부호 120은 사용자가 설정한 값에 따라 설정 프로그램을 재생, 정지 및 반복되도록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다. 프로그램 설정 모드를 통해 사용자는 기 설정된 훈련 코스에 맞게 자동 세팅된 조명, 시간, 스텝박스(10) 대형에 따라 훈련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프로그램 설정에 따라 훈련을 진행할 시 선택조명 설정 버튼(108), 터치조명 설정 버튼(109), 음향반응 조명 설정 버튼(110), 사용자 설정 버튼(111)은 비활성화 되고, 밴드 운동 프로그램(117), 박스 운동 프로그램(118)이 활성화 된 상태에서는 화면 출력 영역(115)을 통해 훈련 컨텐츠가 재생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텝박스(10)와 그 스텝박스(10)를 이용한 트레이닝 시스템, 그리고 사용자단말(20)이나 코치단말(30)에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먼저 스텝박스(10)를 이용하여 기본적인 계단 오르내리기, 사이드 스텝, 런지, 마운틴 클라이밍, 점핑 스쿼트, 서킷 트레이닝, 인터벌 트레이닝 등의 훈련을 진행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스텝박스를 이용하여 가정에서 개인적으로 운동을 진행할 경우에는 올바른 훈련 자세나 훈련 강도를 지도 받기가 어려웠지만,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닝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개인 훈련 시에도 올바르게 코치를 받으며 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단말(20)을 통해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운용서버(40) 측으로 훈련 프로그램을 요청하면, 운용서버(40)는 사용자의 회원 정보를 참고하여, 해당 사용자가 진행하려는 훈련에 대하여 가장 적절한 난이도의 훈련 프로그램 정보 제공해줄 수 있다. 운용서버(40)에서 사용자단말(20)로 제공하는 훈련 프로그램 정보에는 동영상 형태의 훈련 컨텐츠, 조명 제어 명령, 목표 시간이나 회수 정보, 휘슬 제어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단말(20)의 디스플레이(22)를 통해 출력되는 훈련 컨텐츠를 확인하면서 올바른 운동 자세를 참고할 수 있고, 목표 시간과 회수 정보의 설정에 따라 휘슬 구령에 맞춰 훈련을 진행함으로써 무리하지 않으면서도 최적의 난이도로 훈련을 진행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스포츠센터 등에서 현장 코치의 지도를 받아 운동을 할 시에도 코치단말(30)에서 입력한 목표 시간이나 회수, 휘슬 구령에 맞춰 훈련할 수가 있다.
더불어, 사용자단말(20)에 설치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운용서버(40)와 연계하여 음성AI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단말(20)에 설치된 마이크(27)를 통해 사용자가 음성으로 명령을 입력하면, 앱운용부(25)가 운용서버(40)로 음성 명령을 전송하고, 운용서버(40)에서 음성 명령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희망하는 운동코스, 예컨대 사이클링, 밴드 운동, 서킷 트레이닝, 인터벌 트레이닝 등의 훈련 프로그램을 추출한 후, 이를 사용자단말(20)에 전송하면 앱운용부(25)는 운용서버(40)로부터 수신된 훈련 프로그램을 세팅하여 영상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고, 스텝박스(10)의 조명부(13)나 스피커(17)도 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기존에는 운동을 진행하는 사용자의 운동량이나 목표 달성 여부 등의 정보를 따로 기록하지 아니하였다. 따라서 다음 회차의 운동 진행시 난이도를 조절하는 등의 작업이 주먹구구식으로 이루어질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스텝박스(10)는 사용자단말(20) 및 운용서버(40)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운동 기록이 모두 기록되기 때문에, 추후 훈련 진행시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즉 스텝박스(10)에 설치된 압력센서(14), 터치센서(15)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나 좌우 균형 감각을 실시간으로 기록할 수 있고, 제어부(19)는 이러한 운동 기록을 사용자단말(20)로 전송하며, 사용자단말(20)의 앱운용부(25)는 해당 사용자의 운동 기록을 운용서버(40)에 전송함으로써 회원정보에 매칭 저장할 수 있다. 즉 개개인의 운동 기록, 운동량 등의 정보가 자동 저장됨으로써 추후 훈련을 진행할 시 해당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맞춤 훈련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스텝박스(10)의 압력센서(14) 및 터치센서(15)를 통해 제어부(19)에서 사용자의 운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동시에 조명부(13)를 통해 운동 상태가 표시될 수 있어서, 단체 훈련시 코치가 사용자별 맞춤 지도가 가능하다. 예컨대 코치단말(30)에서 복수의 스텝박스(10)에 대하여 목표 시간 및 목표 회수를 지정한 후 단체 훈련이 가능토록 설정하였다고 하자. 이후 훈련이 진행되면 운동 능력이 부족한 사람의 경우 목표 시간이나 목표 회수를 빠르게 쫓아가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9)는 조명부(13)를 통해 미리 설정된 색상의 조명이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코치가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올바르게 훈련을 따라갈 경우 파란색의 조명이 발광되지만, 훈련에 뒤처지는 사용자의 스텝박스(10)에는 빨간색 조명을 섞어 발광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빨간색 조명이 섞여서 점등되는 스텝박스(10)를 코치가 확인하였다면, 해당 사용자를 배려하여 전체 훈련 난이도를 조절하거나, 해당 사용자에 대해서만 난이도를 조절하여 맞춤 지도가 가능하다.
또한 스텝박스(10)에 설치된 압력센서(14)를 이용할 경우 체중계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앱운용부(25)는 측정된 체중 정보를 사용자단말(20)로 전송하고, 사용자단말(20)은 운용서버(40)로 체중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회원에 대한 체중 증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함으로써, 사용자는 추후 그래프를 통해 체중 감량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스텝박스(10)의 좌우에 각각 설치된 압력센서(14)를 통해 점핑 스쿼드 등의 훈련시 신체의 좌우 균형을 살피고 그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고, 이렇게 저장된 좌우 균형 정보는 추후 운동 자세를 교정하는 기초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더불어 스텝박스(10)에 설치된 압력센서(14)를 통해 푸시업 훈련을 할 시에도 올바른 자세 유지와 카운팅이 가능하다.
한편 스텝박스(10)에 설치된 터치센서(15)와 조명부(13)를 이용하면 동체시력 반응 훈련도 가능하다. 즉 여러대의 스텝박스(10)를 적절한 높이에 설치한 후, 사용자단말(20) 또는 코치단말(30)에서 설정한 바에 따라, 또는 운용서버(40)에서 제공하는 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복수 스텝박스(10)의 조명부(13) 중 특정 위치의 조명부(13)에서 빛이 점등하면, 빠르게 해당 스텝박스(10)를 터치토록 하고, 터치센서(15)를 통해 터치 여부가 감지되면, 제어부(19)가 해당 조명은 소등되도록 한 후 카운팅을 하는 것이다.
더불어 스피커(17)를 이용하여 훈련을 지도하는 설명이 출력되거나 코치가 없을 경우에도 휘슬 음성이 출력되어 훈련을 진행할 수가 있다.
한편 스텝박스의 본체(11a,11b)에는 밴드부(12)가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스텝박스(10)를 이용한 기본 운동과 밴드를 이용한 운동이 모두 가능하여, 상체 및 하체 단련을 위한 훈련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스텝박스(10)를 이용한 기본 훈련을 실시할 때, 균형 감각이 부족한 사람은 밴드를 잡아서 균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고, 밴드만을 이용한 단독 훈련도 가능하다.
더불어 밴드부(12)의 손잡이(12b)에 설치된 악력센서(12c)를 통해 사용자의 악력을 테스트할 수 있고, 이렇게 측정된 정보는 사용자단말(20)로 전송되어 화면 출력되거나 앱운용부(25)에 의해 운용서버(40)로 전송되어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후 주기별로 변화된 테스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밴드부(12)의 손잡이(12b)에 설치된 임피던스측정부(12d)에서 사용자 신체로 미세한 전류를 인가하고, 신체 구간에서 전압을 측정하여 신체의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고, 이렇게 측정된 임피던스 정보는 사용자단말(20)의 앱운용부(25)나 운용서버(40)에서 분석하여 체지방 정보를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사용자단말(2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하나의 운용서버(40)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실시하기에 따라 자체 운용서버(40) 외에 외부서버의 데이터를 연동 분석하여 최근의 운동량, 주기별 운동량, 신체 밸런스 등을 분석한 후 사용자에게 맞는 최적의 유/무산소 운동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20)의 앱운용부(25)는 안면인식, 지문인식, 홍채인식, 음성인식 등의 다양한 로그인 방식을 지원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분석한 후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훈련 프로그램에 연동시킬 수 있다.
또, 사용자단말(20)의 앱운용부(25)는 카메라(26)를 통해 촬영된 실시간 운동 영상을 분석하여 훈련 프로그램의 난이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앱운용부(25)는 안면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얼굴의 표정 변화 등을 분석한 후 사용자의 운동 강도를 판단한 후 훈련 프로그램의 난이도를 재설정하거나, 운동 코스를 변경, 일시정지, 지속 유무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스텝박스
11a : 기본본체
11b : 분리본체
12 : 밴드부
12a : 탄성밴드
12b : 손잡이
12c : 악력센서
12d : 임피던스측정부
13 : 조명부
14 : 압력센서
15 : 터치센서
16 : 음향센서
17 : 스피커
18 : 통신처리부
19 : 제어부
20 : 사용자단말
21 : 통신부
22 : 디스플레이
23 : 입력수단
24 : 저장부
25 : 앱운용부
26 : 카메라
27 : 마이크
30 : 코치단말
40 : 운용서버

Claims (10)

  1. 소정 높이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나 이상 위치에 설치되어 설정된 색상의 빛을 발광시키는 조명부;
    사용자단말 또는 코치단말과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통신처리부; 및
    상기 통신처리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 또는 코치단말에서 설정한 바에 따라 상기 조명부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압력에 따라 체중을 측정하거나 좌우 균형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특정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터치 여부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센서를 통해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조명부를 점등시키거나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 또는 코치단말에서 설정한 바에 따라 휘슬 또는 훈련 설명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박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권취된 상태로 보관되되,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를 잡아 당기면 상기 본체 외부로 인출되는 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박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권취된 상태로 보관되는 탄성밴드;
    상기 탄성밴드의 종단에 연결된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악력을 측정하는 악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밴드부의 악력센서에서 측정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 측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박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미세 전류를 인가하고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임피던스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밴드부의 임피던스측정부에서 측정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 측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박스.
  8. 스텝박스;
    상기 스텝박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 채널을 연결하고 설정 정보를 입력하거나 훈련 컨텐츠를 출력하는 사용자단말; 및
    상기 사용자단말 측으로 훈련 컨텐츠를 제공하는 운용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스텝박스는 제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의 스텝박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스텝박스 또는 상기 운용서버와 통신 채널을 연결하고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설정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화면 출력하거나, 상기 운용서버로부터 수신한 훈련 컨텐츠를 화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수단; 및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설정 정보를 상기 스텝박스 측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운용서버로부터 수신한 훈련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화면 출력하도록 처리하는 앱운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은,
    사용자의 운동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앱운용부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운동 영상에서 사용자의 안면을 인식하여 운동 강도를 분석한 후 훈련 프로그램의 난이도를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닝 시스템.
KR1020200002417A 2020-01-08 2020-01-08 다기능 스텝박스 및 그 스텝박스를 이용한 트레이닝 시스템 KR102437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417A KR102437622B1 (ko) 2020-01-08 2020-01-08 다기능 스텝박스 및 그 스텝박스를 이용한 트레이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2417A KR102437622B1 (ko) 2020-01-08 2020-01-08 다기능 스텝박스 및 그 스텝박스를 이용한 트레이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9806A true KR20210089806A (ko) 2021-07-19
KR102437622B1 KR102437622B1 (ko) 2022-08-30

Family

ID=77126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2417A KR102437622B1 (ko) 2020-01-08 2020-01-08 다기능 스텝박스 및 그 스텝박스를 이용한 트레이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76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969B1 (ko) 2022-10-04 2023-05-31 주식회사케이스텝박스 운동용 스텝박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32164A1 (en) * 1995-04-10 1996-10-17 Knecht Wendy S Step exercising system and method
KR20180044685A (ko) * 2016-10-24 2018-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Hmd 디바이스
US20190344123A1 (en) * 2018-05-14 2019-11-14 LiftLab, Inc. Strength training and exercise platfor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32164A1 (en) * 1995-04-10 1996-10-17 Knecht Wendy S Step exercising system and method
KR20180044685A (ko) * 2016-10-24 2018-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Hmd 디바이스
US20190344123A1 (en) * 2018-05-14 2019-11-14 LiftLab, Inc. Strength training and exercise platfor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969B1 (ko) 2022-10-04 2023-05-31 주식회사케이스텝박스 운동용 스텝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7622B1 (ko)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8333B1 (ko) 혼합 현실 기반 운동 장치를 이용한 팀 트레이닝 시스템
US9616288B2 (en) Virtual exerciser device
US20170333755A1 (en) Multi-sport biometric feedback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coaching with gym apparatus
KR101999748B1 (ko) IoT 운동기구, 운동지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동지도방법
US20180021629A1 (en) Interactive and Dynamic Fitness System
US20070135264A1 (en) Portable exercise scripting and monitoring device
KR20160054325A (ko) 맞춤형 개인 트레이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5944332A (zh) 一种可联网的虚拟现实智能健身系统
JP201700052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インソール
US20210178241A1 (en) Smart Bag
KR102437622B1 (ko) 다기능 스텝박스 및 그 스텝박스를 이용한 트레이닝 시스템
KR102196998B1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헬스클럽 회원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114585294A (zh) 游乐体验系统
JP2009082428A (ja) 運動処方提案装置
GB2483117A (en) An athletic performance measurement device for measuring a load and the number of repetitions
CN212789561U (zh) 运动垫
AU2023201742B2 (en) A sensor-enabled platform configured to measure athletic activity
US20230218967A1 (en) Camera equipped cycle and coordinated punch exercise device and methods
JP2009153856A (ja) ゴルフ改善支援システム
CN113908495B (zh) 运动监测和运动管理的拉力计及其系统、配置方法
KR102301575B1 (ko) 무선 이어폰과 스마트 폰을 활용한 음악 변조 청각 피드백 시스템
US20190329324A1 (en) Virtual exerciser device
US11426629B2 (en) Method for quantifying a sporting activity
WO2019120275A1 (zh) 基于物联网的便携式智能健身设备、运动系统及其应用方法
KR102538969B1 (ko) 운동용 스텝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