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1598A -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1598A
KR20150081598A KR1020140001247A KR20140001247A KR20150081598A KR 20150081598 A KR20150081598 A KR 20150081598A KR 1020140001247 A KR1020140001247 A KR 1020140001247A KR 20140001247 A KR20140001247 A KR 20140001247A KR 20150081598 A KR20150081598 A KR 20150081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erminal
wire
coupled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4361B1 (ko
Inventor
김성일
유한주
장시호
임재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1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361B1/ko
Priority to US14/493,657 priority patent/US9444157B2/en
Priority to EP14188848.7A priority patent/EP2892111B1/en
Publication of KR20150081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6Fastening of connecting parts to base or case; Insulating connecting parts from base or c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81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another cable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40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wi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에너지를 절감하고, 전장부품에 연결되는 복수의 와이어(WIRE)의 배열을 정리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및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FFC) 및 와이어(Wire)를 연결하는 커넥터(CONNECTOR)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이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 1하우징,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하우징과 결합하는 제 2하우징 및 상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및 상기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 1하우징 및 상기 제 2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 1하우징이 상기 외상을 향하고, 상기 제 2하우징이 상기 저장실을 향하도록 상기 내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CONNECTO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에너지를 절감하고, 전장부품에 연결되는 복수의 와이어(WIRE)의 배열을 정리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저장실과,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냉장고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은 평상시 저장실의 온도 유지를 위해 도어에 의해 폐쇄된다.
본체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과,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을 포함하며, 내상과 외상 사이에는 저장실의 냉기 유출을 방지하도록 단열재가 발포된다.
내상과 외상 사이의 단열재가 발포되는 공간에는 단열재가 발포되기 전에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는 전선들의 어셈블리인 와이어 하니스(WIRE HARNESS)가 인입된다.
냉장고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즉 와이어 하니스와 냉장고에 구비되는 각종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커넥터(CONNECTOR)가 사용된다.
주로 사용되는 보드 투 와이어 방식의 커넥터(Board to wire type connector)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되는 헤더 및 케이블이 결합된 하우징으로 구성되며, 하우징에 케이블을 결합하는 공정은 대부분 수동으로 진행된다. 다수의 부품으로 커넥터를 구성하고, 수동으로 조립하기 때문에 커넥터 자체의 단가가 매우 높아 가격 경쟁력이 낮다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내상과 외상 사이에 단열재가 균일하게 발포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내상과 외상 사이에 인입되는 와이어 하니스의 부피를 줄임으로써 저장실의 수납능력이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및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FFC) 및 와이어(Wire)를 연결하는 커넥터(CONNECTOR)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이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 1하우징,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하우징과 결합하는 제 2하우징 및 상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및 상기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 1하우징 및 상기 제 2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 1하우징이 상기 외상을 향하고, 상기 제 2하우징이 상기 저장실을 향하도록 상기 내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상 및 상기 내상 사이에는 단열재가 충진되는 발포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은 상기 발포공간에 상기 단열재가 균일하게 충진되도록 상기 내상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하우징은 상기 제 1하우징의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서 제 1방향을 향하여 연장되고, 슬릿이 형성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함께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바디 내부에 마련되는 제 1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터미널의 일 단부는 상기 슬릿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터미널의 일 단부에는 상기 케이블 연결부와 이격되도록 커버홀더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커버홀더에 대응하도록 상기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을 삽입하도록 상기 커버를 회전시키면 상기 커버홀더는 상기 삽입홀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 연결부와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에는 제 2방향을 향하여 개구되는 하우징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체결공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와이어 삽입공이 마련되는 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터미널의 다른 단부는 상기 하우징 체결공에 수용되도록 상기 제 1터미널의 일 단부에서 상기 제 2방향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와이어 삽입공 내부에 수용되는 제 2터미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터미널은 상기 와이어 삽입공 내부에서 상기 케이싱을 관통하는 상기 제 1터미널의 다른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터미널은 상기 제 2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와이어 삽입공에 수용되어 상기 와이어 삽입공에 결합되는 상기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 체결부 및 상기 제 1터미널의 다른 단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 1방향을 향하여 상기 와이어 체결부에서 연장되는 터미널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결합부에는 상기 제 1터미널의 다른 단부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터미널 결합부 내측을 향하는 복수의 고정편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 1방향을 향하여 상기 제 2하우징에 결합되는 바인더(BIND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는 상기 와이어 삽입공에 결합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와 상하로 이격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와이어 삽입공에 결합되면 상기 제 2하우징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와이어 삽입공 내부에서 상기 와이어 체결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 체결공에 대응하는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는 상기 바디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체결공에 대한 상기 케이싱의 결합력을 보강하도록 상기 걸림턱에 결합되는 홀더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 유닛은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고, 상기 제 1방향을 향하는 상기 홀더 유닛의 일 단부에는 상기 걸림턱에 체결되는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커넥터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FFC)이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 1하우징, 와이어(Wire)가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하우징과 결합하는 복수의 제 2하우징, 상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및 상기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 1하우징 및 상기 복수의 제 2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부재 및 서로 결합하는 상기 복수의 제 2하우징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 2하우징 각각에 형성되는 상기 와이어 삽입공에 결합되는 바인더(BIND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2하우징은 서로 측면 결합하고, 상기 복수의 제 2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는 상기 복수의 제 2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 2하우징 중 다른 하나의 측면에는 상기 돌출 리브가 결합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 2하우징 중 다른 하나의 내측을 향하여 함몰되는 리브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 1하우징의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 내부에 마련되는 제 1터미널 및 상기 제 2하우징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1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터미널 및 상기 제 2터미널은 전류가 흐르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터미널은 제 1방향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부 및 상기 제 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 2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케이블 연결부에서 연장되는 터미널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터미널은 상기 와이어 삽입공에 수용되어 상기 와이어 삽입공에 결합되는 상기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 체결부 및 상기 제 2하우징을 관통하는 상기 터미널 연결부와 상기 와이어 삽입공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와이어 체결부에서 연장되는 터미널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하우징은 상기 바디에서 상기 제 1방향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케이블 연결부가 결합되는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함께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의 내벽에는 상기 수용공간의 외측을 향하여 함몰되는 축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축 결합공에 결합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과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에 결합시키는 힌지모듈 및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FFC) 및 와이어(Wire)를 연결하도록 상기 내상에 설치되는 커넥터(CONNECTOR)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내상의 외측을 향하여 상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이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커버가 마련되는 제 1하우징, 상기 저장실을 향하여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하우징에 마련되는 하우징 체결공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 2하우징, 상기 제 1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터미널 및 상기 제 2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와이어 삽입공에서 상기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및 상기 와이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힌지모듈을 관통하여 상기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이 상기 힌지모듈을 관통하여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은 상기 외상 및 상기 내상 사이에 형성되는 발포공간에 단열재가 균일하게 충진되도록 상기 내상의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FFC)을 사용함으로써 내상과 외상 사이에 단열재가 균일하게 발포되도록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냉장 내지 냉동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이 결합되는 제 1하우징과 복수의 와이어가 결합되는 제 2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CONNECTOR)를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케이블 내지 와이어의 배열을 정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커넥터가 설치된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설치되는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의 커넥터를 구성하는 제 1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제 1하우징의 커버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6의 제 1하우징을 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4의 커넥터를 구성하는 제 1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4의 커넥터를 구성하는 제 2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제 2하우징을 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4의 커넥터를 구성하는 제 2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4의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도 4의 커넥터를 구성하는 바인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바인더가 제 2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설치되는 커넥터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와이어 하니스는 와이어 다발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커넥터가 설치된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저장실(20)과, 저장실(20)을 개폐하는 도어(30)와, 도어(30)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상부 힌지(41) 및 하부 힌지(43)를 포함하는 힌지모듈(4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저장실(20)을 형성하는 내상(11)과,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3)을 포함하며, 저장실(20)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를 포함한다.
냉기공급장치는 압축기(C)와, 응축기(미도시)와, 팽창밸브(미도시)와, 증발기(26)와, 송풍팬(27)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본체(10)의 내상(11)과 외상(13) 사이에는 저장실(20)의 냉기 유출을 방지하도록 단열재(15)가 발포된다.
본체(10)의 후방 하측에는 냉매를 압축하고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압축기(C)와 응축기가 설치되는 기계실(23)이 마련된다.
저장실(20)은 격벽(17)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며, 본체(10)의 우측에는 냉장실(21)이 마련되고, 본체(10)의 좌측에는 냉동실(22)이 마련된다.
냉장실(21) 및 냉동실(22)은 각각 본체(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냉장실 도어(31) 및 냉동실 도어(33)에 의해 개폐되며, 냉장실 도어(31) 및 냉동실 도어(33)의 배면에는 음식물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복수의 도어가드(35)가 마련된다.
저장실(20)에는 복수의 선반(24)이 마련되어 저장실(20)을 복수개로 구획할 수 있으며, 선반(24)의 상부에는 음식물 등의 물품이 적재된다.
또한, 저장실(20)에는 복수의 저장박스(25)가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인입 및 인출되도록 마련된다.
저장실(20)을 형성하는 내상(11) 및 내상(11)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3)의 사이에는 발포공간(S)이 마련되며, 발포공간(S)에 단열재(15)가 충진된다.
발포공간(S)에 단열재(15)가 충진되기 전에 발포공간(S)에는 본체(10)의 후면에 마련되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PCB)(미도시)과 연결되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FFC)(200) 및 센서나 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부품에 연결되는 와이어(Wire)(300)들의 어셈블리인 와이어 하니스(Wire harness)(2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Connector)(100)가 인입된다.
커넥터(100)는 외상(13) 및 내상(11)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내상(11)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00)는 제 1하우징(110, 도4참고)이 외상(13)을 향하고, 제 2하우징(120, 도4참고)이 저장실(20)을 향하도록 내상(11)에 설치될 수 있다.
커넥터(100)는 내상(11)을 관통하도록 내상(11)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상(11)에는 커넥터(1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커넥터 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100)는 제 1하우징(110, 도4참고)이 외상(13)을 향하고, 제 2하우징(120, 도4참고)이 저장실(20)을 향하도록 커넥터 결합부(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100)가 발포공간(S)에 인입된 후, 단열재(15)가 충진된다. 구체적으로, 커넥터(100)는 내상(11)에 형성되는 커넥터 결합부(미도시)에 결합되고, 단열재(15)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200)이 제 1하우징(110, 도4참고)에 결합되어 내상(11)의 외면에 밀착 고정된 후 충진된다.
단열재(15)의 단열성을 보강하기 위해 단열재(15)와 함께 진공단열재(Vacuum Insulation Panel, VIP)(미도시)를 충진시킬 수도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200)은 발포공간(S)에 단열재(15)가 균일하게 충진되도록 내상(11)의 외면에 밀착 내지 고정될 수 있다.
커넥터(100)가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200) 및 와이어(300)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200) 및 와이어(300) 중 어느 하나는 힌지모듈(40)을 관통하여 커넥터(1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설치되는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커넥터를 구성하는 제 1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제 1하우징의 커버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제 1하우징을 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4의 커넥터를 구성하는 제 1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4의 커넥터를 구성하는 제 2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제 2하우징을 다른 측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4의 커넥터를 구성하는 제 2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4의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내지 도 3을 참조한다.
도 4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0)는 제 1하우징(110), 적어도 하나의 제 2하우징(120) 및 연결부재(140,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하우징(110)은 바디(111), 베이스(112) 및 커버(114)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11)는 제 1하우징(110)의 외관을 형성하고, 베이스(112) 및 커버(114)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200)이 삽입되는 수용공간(117)을 형성한다. 베이스(112)는 바디(111)에서 제 1방향(A)을 향하여 연장되고, 커버(114)는 베이스(112)와 마주하도록 바디(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커버(114)에는 커버(114)의 길이방향으로 회전축(115)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115)은 수용공간(117)의 외측을 향하여 함몰되도록 수용공간(117)의 내벽에 형성되는 축 결합공(116)에 결합되고, 커버(114)는 회전축(115)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커버(114)가 회전축(115)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수용공간(117)은 개폐될 수 있다.
베이스(112)에는 복수의 슬릿(Slit)(113)이 형성될 수 있다. 바디(111) 내부에 수용되는 제 1터미널(140)의 일부는 수용공간(117)에 삽입되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복수의 슬릿(113)을 통해 수용공간(117) 내부로 노출될 수 있다.
바디(111)에는 제 2방향(B)을 향하여 개구되는 하우징 체결공(118)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체결공(118)에 대응하는 바디(111)의 외주면에는 바디(111)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턱(119)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119)은 바디(11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하우징(110)에는 내상 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내상 결합부(미도시)는 바디(111)에 결합되어 제 1하우징(110)을 걸림턱(119)이 형성되는 부분과 수용공간(117)이 형성되는 부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커넥터(100)는 내상 결합부(미도시)에 의해 내상(11)에 고정될 수 있다.
내상 결합부(미도시)의 일 면은 내상(11)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내상 결합부(미도시)의 일 면은 내상(11)의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내상 결합부(미도시)는 내상(11)에 형성되는 커넥터 결합부(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하우징(120)은 케이싱(121) 및 홀더 유닛(127)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21) 및 홀더 유닛(127)은 상하로 위치 할 수 있다. 홀더 유닛(127)은 바디(111)의 걸림턱(119)에 대응하도록 케이싱(12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 2하우징(120)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21)은 제 1하우징(110)에 형성되는 하우징 체결공(118)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와이어 삽입공(122)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케이싱(121)은 제 1방향(A)을 향하여 하우징 체결공(118)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하우징(120)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 1하우징(110)과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 2하우징(120)은 서로 측면 결합하도록 돌출리브 및 리브 수용부(124a,124b)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제 2하우징(120)은 4개의 와이어 삽입공(122)을 가지는 제 1유닛(125) 및 2개의 와이어 삽입공(122)을 가지는 제 2유닛(126)을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제 1유닛(125)의 측면에는 제 1유닛(125)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 리브(123a)가 형성될 수 있고, 제 2유닛(126)의 측면에는 제 1유닛(125)의 돌출 리브(123a)와 결합할 수 있도록 제 2유닛(126)의 내측을 향하여 함몰되는 리브 수용부(124b)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유닛(125) 및 제 2유닛(126)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제 1유닛(125)의 측면에는 돌출 리브(123a)와 상하로 제 1유닛(125) 내측을 향하여 함몰되는 리브 수용부(124a)가 형성될 수 있고, 제 2유닛(126)의 측면에는 제 1유닛(125)에 형성되는 리브 수용부(124a)에 결합되도록 리브 수용부(124b)와 상하로 제 2유닛(126)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 리브(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유닛(125) 및 제 2유닛(126)에 형성되는 각각의 돌출 리브 및 리브 수용부(124a,124b)는 슬라이드 형식으로 결합 가능하다. 돌출 리브 및 리브 수용부(124a,124b)의 개수 및 위치는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복수의 제 2하우징(120)은 각각 서로 다른 개수의 와이어 삽입공(122)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홀더 유닛(127)은 케이싱(121)의 상면에 결합되는 고정부(128), 케이싱(121)의 상면과 이격되도록 고정부(128)에서 제 1방향(A)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129) 및 연장부(129)의 일 단부에 형성되어 걸림턱(119)에 체결되는 돌기부(130)를 포함한다. 홀더 유닛(127)을 사용함으로써, 하우징 체결공(118)에 대한 케이싱(121)의 결합력을 보강할 수 있다.
연결부재(140,150)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200) 및 와이어(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제 1하우징(110) 내부에 마련되는 제 1터미널(140)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하우징(120) 내부에 마련되는 제 2터미널(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터미널(140) 및 제 2터미널(150)은 전류가 흐르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터미널(140) 및 제 2터미널(150)의 재질은 구리 합금(Copper Alloy)을 포함한다.
제 1터미널(140)은 제 1하우징(110)의 바디(111) 내부에 마련될 수 있고, 케이블 연결부(141), 커버홀더(142) 및 터미널 연결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연결부(141)는 제 1방향(A)을 향하는 제 1터미널(140)의 일 단부에 형성되고, 수용공간(117)의 바닥면, 즉, 베이스(112)에 형성되는 슬릿(113)에 체결되어 수용공간(117)에 삽입되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20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커버홀더(142)는 케이블 연결부(141)와 상하로 이격되도록 제 1방향(A)을 향하는 제 1터미널(140)의 일 단부에 형성된다. 커버(114)에는 커버홀더(142)의 위치 및 개수에 대응하도록 커버(114)의 길이방향으로 삽입홀(144)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144)은 커버(114)의 상부에서 커버(114)를 고정시키는 커버홀더(142)에 의해 커버(114)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한다. 수용공간(117)에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200)을 삽입하기 위해 커버(114)를 수용공간(117) 외측을 향하여 회전시키면 커버홀더(142)는 삽입홀(144)에 결합되어 케이블 연결부(141)와 마주할 수 있다.
삽입홀(144)의 개수는 커버홀더(142)의 개수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다.
터미널 연결부(143)는 케이블 연결부(141) 및 커버홀더(142)에서 연장되어 제 2방향(B)을 향하는 제 1터미널(140)의 다른 단부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터미널 연결부(143)는 바디(111)에 형성되는 관통홀(145)을 통과하여 하우징 체결공(118) 내부로 노출된다.
제 2터미널(150)은 제 2하우징(120)의 케이싱(121) 내부에 마련될 수 있고, 와이어 체결부(151) 및 터미널 결합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체결부(151)는 제 2방향(B)을 향하도록 와이어 삽입공(122)에 수용되고, 와이어 삽입공(122)에 삽입되는 와이어(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와이어 체결부(151)는 와이어 삽입공(122)에 삽입되는 와이어(300)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아치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와이어 체결부(151) 형태는 아치형태에 한정하지 않는다.
터미널 결합부(152)는 제 1방향(A)을 향하여 와이어 체결부(151)에서 연장되고, 제 1터미널(140)의 터미널 연결부(143)와 결합할 수 있도록 복수의 고정편(1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하우징(120)의 케이싱(121)이 제 1하우징(110)의 하우징 체결공(118)에 삽입되면 제 1터미널(140)의 터미널 연결부(143)는 제 1방향(A)을 향하는 케이싱(121)의 일 면에 형성되는 개구홀(131)을 관통하여 터미널 결합부(152)와 결합한다. 제 1터미널(140)의 터미널 연결부(143)는 제 2터미널(150)의 터미널 결합부(152) 내부에 삽입될 수 있고, 터미널 결합부(152) 내측을 향하는 복수의 고정편(153)은 터미널 연결부(143)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도 14는 도 4의 커넥터를 구성하는 바인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바인더가 제 2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0)는 바인더(Binder)(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인더(160)는 하우징 체결공(118)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 2하우징(120)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인더(160)는 제 1방향(A)을 향하도록 제 2하우징(120)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바인더(160)는 상하로 이격되는 삽입부(161) 및 지지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161)는 제 2터미널(150) 하부에 위치하도록 와이어 삽입공(122)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162)는 삽입부(161)가 와이어 삽입공(122)에 결합되면 케이싱(121)의 하단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삽입부(161)는 와이어 삽입공(122) 내부에서 와이어 체결부(151)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바인더(160)는 제 2하우징(120)에 형성되는 와이어 삽입공(122)의 개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삽입부(161)는 와이어 삽입공(122)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를 가질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설치되는 커넥터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14)를 수용공간(117)의 외측을 향하여 회전시킨 후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200)은 제 2방향(B)을 향하여 제 1하우징(110)의 수용공간(117)에 삽입된다. 복수의 제 2하우징(120)에 형성되는 와이어 체결공()에는 각각의 전자부품(미도시)에 연결되는 와이어(300)가 삽입되고, 복수의 제 2하우징(120)은 서로 측면 결합된 상태에서 제 1방향(A)을 향하여 제 1하우징(110) 후방에 형성되는 하우징 체결공(118)에 결합된다. 이 때,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200)은 수용공간(117) 내부에서 제 1터미널(140)과 결합하고, 와이어(300)는 와이어 삽입공(122) 내부에서 일 단부가 제 1터미널(140)과 결합하는 제 2터미널(150)과 결합한다. 따라서,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200)과 와이어(300)는 커넥터(1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커넥터(100)에는 발포과정 중, 발포액(단열재)이 침투하여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200) 및 와이어(3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200) 및 와이어(300)를 감싸는 커버(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는 와이어와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을 연결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복수의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을 서로 연결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냉장고 뿐만 아니라, 단열재 및 보온재를 발포, 충진시켜 제조하는 김치 냉장고, 온장고 등에도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냉장고 10 : 본체
11 : 내상 13 : 외상
15 : 단열재 17 : 격벽
20 : 저장실 21 : 냉장실
22 : 냉동실 23 : 기계실
24 : 선반 25 : 저장박스
26 : 증발기 27 : 송풍팬
30 : 도어 31 : 냉장실 도어
33 : 냉동실 도어 35 : 도어가드
40 : 힌지모듈 41 : 상부 힌지
43 : 하부 힌지 100 : 커넥터
110 : 제 1하우징 111 : 바디
112 : 베이스 113 : 슬릿
114 : 커버 115 : 회전축
116 : 축 결합공 117 : 수용공간
118 : 하우징 체결공 119 : 걸림턱
120 : 제 2하우징 121 : 케이싱
122 : 와이어 삽입공 123a : 돌출 리브
124a,124b : 리브 수용부 125 : 제 1유닛
126 : 제 2유닛 127 : 홀더 유닛
128 : 고정부 129 : 연장부
130 : 돌기부 140 : 제 1터미널
141 : 케이블 연결부 142 : 커버홀더
143 : 터미널 연결부 144 : 삽입홀
145 : 관통홀 150 : 제 2터미널
151 : 와이어 체결부 152 : 터미널 결합부
153 : 고정편 160 : 바인더
161 : 삽입부 162 : 지지부
200 :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210 : 와이어 하니스
300 : 와이어 131 : 개구홀

Claims (23)

  1.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및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FFC) 및 와이어(Wire)를 연결하는 커넥터(CONNECTOR);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이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 1하우징;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하우징과 결합하는 제 2하우징; 및
    상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및 상기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 1하우징 및 상기 제 2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 1하우징이 상기 외상을 향하고, 상기 제 2하우징이 상기 저장실을 향하도록 상기 내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상 및 상기 내상 사이에는 단열재가 충진되는 발포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은 상기 발포공간에 상기 단열재가 균일하게 충진되도록 상기 내상의 외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하우징은,
    상기 제 1하우징의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
    상기 바디에서 제 1방향을 향하여 연장되고, 슬릿이 형성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함께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바디 내부에 마련되는 제 1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터미널의 일 단부는 상기 슬릿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터미널의 일 단부에는 상기 케이블 연결부와 이격되도록 커버홀더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커버홀더에 대응하도록 상기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을 삽입하도록 상기 커버를 회전시키면 상기 커버홀더는 상기 삽입홀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 연결부와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제 2방향을 향하여 개구되는 하우징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체결공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와이어 삽입공이 마련되는 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터미널의 다른 단부는 상기 하우징 체결공에 수용되도록 상기 제 1터미널의 일 단부에서 상기 제 2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와이어 삽입공 내부에 수용되는 제 2터미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터미널은 상기 와이어 삽입공 내부에서 상기 케이싱을 관통하는 상기 제 1터미널의 다른 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터미널은,
    상기 제 2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와이어 삽입공에 수용되어 상기 와이어 삽입공에 결합되는 상기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 체결부; 및
    상기 제 1터미널의 다른 단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제 1방향을 향하여 상기 와이어 체결부에서 연장되는 터미널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결합부에는 상기 제 1터미널의 다른 단부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터미널 결합부 내측을 향하는 복수의 고정편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 1방향을 향하여 상기 제 2하우징에 결합되는 바인더(BIND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는,
    상기 와이어 삽입공에 결합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와 상하로 이격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와이어 삽입공에 결합되면 상기 제 2하우징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와이어 삽입공 내부에서 상기 와이어 체결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체결공에 대응하는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는 상기 바디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 2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체결공에 대한 상기 케이싱의 결합력을 보강하도록 상기 걸림턱에 결합되는 홀더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유닛은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고,
    상기 제 1방향을 향하는 상기 홀더 유닛의 일 단부에는 상기 걸림턱에 체결되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FFC)이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제 1하우징;
    와이어(Wire)가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하우징과 결합하는 복수의 제 2하우징;
    상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및 상기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 1하우징 및 상기 복수의 제 2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부재; 및
    서로 결합하는 상기 복수의 제 2하우징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 2하우징 각각에 형성되는 상기 와이어 삽입공에 결합되는 바인더(BIND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하우징은 서로 측면 결합하고,
    상기 복수의 제 2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는 상기 복수의 제 2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 2하우징 중 다른 하나의 측면에는 상기 돌출 리브가 결합하도록 상기 복수의 제 2하우징 중 다른 하나의 내측을 향하여 함몰되는 리브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 1하우징의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 내부에 마련되는 제 1터미널; 및
    상기 제 2하우징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 1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터미널 및 상기 제 2터미널은 전류가 흐르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터미널은,
    제 1방향을 향하여 돌출되고,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부; 및
    상기 제 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 2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케이블 연결부에서 연장되는 터미널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터미널은,
    상기 와이어 삽입공에 수용되어 상기 와이어 삽입공에 결합되는 상기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와이어 체결부; 및
    상기 제 2하우징을 관통하는 상기 터미널 연결부와 상기 와이어 삽입공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와이어 체결부에서 연장되는 터미널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하우징은,
    상기 바디에서 상기 제 1방향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케이블 연결부가 결합되는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함께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내벽에는 상기 수용공간의 외측을 향하여 함몰되는 축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축 결합공에 결합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2.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과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에 결합시키는 힌지모듈; 및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FFC) 및 와이어(Wire)를 연결하도록 상기 내상에 설치되는 커넥터(CONNECTOR);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내상의 외측을 향하여 상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이 삽입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커버가 마련되는 제 1하우징;
    상기 저장실을 향하여 상기 와이어가 삽입되는 와이어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하우징에 마련되는 하우징 체결공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 2하우징;
    상기 제 1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터미널; 및
    상기 제 2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와이어 삽입공에서 상기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및 상기 와이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힌지모듈을 관통하여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이 상기 힌지모듈을 관통하여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은 상기 외상 및 상기 내상 사이에 형성되는 발포공간에 단열재가 균일하게 충진되도록 상기 내상의 외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40001247A 2014-01-06 2014-01-06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944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247A KR101944361B1 (ko) 2014-01-06 2014-01-06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14/493,657 US9444157B2 (en) 2014-01-06 2014-09-23 Connecto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EP14188848.7A EP2892111B1 (en) 2014-01-06 2014-10-14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247A KR101944361B1 (ko) 2014-01-06 2014-01-06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598A true KR20150081598A (ko) 2015-07-15
KR101944361B1 KR101944361B1 (ko) 2019-02-01

Family

ID=51726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247A KR101944361B1 (ko) 2014-01-06 2014-01-06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44157B2 (ko)
EP (1) EP2892111B1 (ko)
KR (1) KR1019443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412A (ko) * 2018-05-11 2019-1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와이어 연결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WO2020159206A1 (ko) * 2019-02-01 2020-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388B1 (ko) * 2013-11-04 2020-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102158689B1 (ko) * 2013-11-04 2020-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102309292B1 (ko) * 2015-01-05 2021-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도어
DE102016224705A1 (de) * 2016-12-12 2018-06-14 BSH Hausgeräte GmbH Elektrogerät mit verteilten elektrischen Einrichtungen
DE102017217635A1 (de) * 2017-10-04 2019-04-04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spezifischer Befestigung eines Deckels zum Abdecken eines Hinterlegteils
JP2021034161A (ja) * 2019-08-20 2021-03-01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ケーブル組立体及びコネクタ組立体
US11497306B2 (en) * 2020-03-30 2022-11-15 Ditto Sales, Inc. Power/data access module
CN117117555B (zh) * 2023-09-20 2024-03-26 浙江珠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一体式的连接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330B1 (ko) * 2002-09-19 2008-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단자고정구의 발포액누설방지구조
US20090121598A1 (en) * 2007-11-08 2009-05-14 Dae-Kil Kang Refrigerator
US20100120280A1 (en) * 2008-11-11 2010-05-13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nector having three-way interconnection
US20130137285A1 (en) * 2010-08-17 2013-05-30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for flat cable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8549A (en) * 1986-01-28 1990-02-06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Connector built from one or more single rowed housings, with long lasting locking mechanism
US5266043A (en) * 1992-01-31 1993-11-30 Augat Inc. Fully programmable connector
US5885107A (en) * 1997-09-03 1999-03-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US6146190A (en) * 1998-06-01 2000-11-14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flat flexible circuitry to discrete electrical terminals
US6361374B1 (en) * 2000-02-29 2002-03-26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module retainer especially suitable for wafer connectors and connector assembly utilizing same
KR100434230B1 (ko) * 2002-03-26 2004-06-04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고속통신용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
US7056142B2 (en) * 2002-04-15 2006-06-06 Yazaki Corporation Locking structure for connector
US6780069B2 (en) * 2002-12-12 2004-08-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nector assembly
TWI286866B (en) * 2003-03-07 2007-09-11 J S T Mfg Co Ltd Plug connector housing with locking mechanism and plug connector with the locking mechanism using the same
KR20070043446A (ko) 2005-10-21 2007-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7384306B2 (en) * 2006-07-26 2008-06-1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F connector with adjacent shielded modules
JP5653202B2 (ja) * 2010-12-16 2015-01-1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コネクタ
TWM429222U (en) * 2011-09-26 2012-05-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KR20130064837A (ko) 2011-12-09 2013-06-19 한국정밀공업 주식회사 밀폐 구조의 커넥터
KR101337218B1 (ko) 2012-08-23 2013-12-05 (주)우주일렉트로닉스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330B1 (ko) * 2002-09-19 2008-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단자고정구의 발포액누설방지구조
US20090121598A1 (en) * 2007-11-08 2009-05-14 Dae-Kil Kang Refrigerator
US20100120280A1 (en) * 2008-11-11 2010-05-13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nector having three-way interconnection
US20130137285A1 (en) * 2010-08-17 2013-05-30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for flat cabl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412A (ko) * 2018-05-11 2019-1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와이어 연결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WO2020159206A1 (ko) * 2019-02-01 2020-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1761699B2 (en) 2019-02-01 2023-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92111B1 (en) 2019-12-04
KR101944361B1 (ko) 2019-02-01
US20150194749A1 (en) 2015-07-09
US9444157B2 (en) 2016-09-13
EP2892111A1 (en)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361B1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N107664373B (zh) 冰箱
EP2679938B1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7110595B (zh) 冰箱及冰箱的门组件
CN105806036A (zh) 冰箱以及冰箱的显示单元
KR101349986B1 (ko) 냉장고의 리드와이어 연결구조
CN108826795A (zh) 制冷器具
CN105300015A (zh) 冰箱
AU2018206195A1 (en) Refrigerator
US8091379B2 (en) Refrigerator
RU2558939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бытовой прибор
JP2019109032A (ja) 冷蔵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7636409B (zh) 冷藏库
KR100693572B1 (ko) 냉장고의 제빙기 커넥터 설치구조
CN218864569U (zh) 冰箱
CN110542265A (zh) 线束固定装置和包括线束固定装置的冰箱
JP4460971B2 (ja) 冷却貯蔵庫
KR100549078B1 (ko) 냉장고
JP2014052141A (ja) 冷蔵庫
KR20140139737A (ko) 냉장고
KR100495628B1 (ko) 냉장고
KR20230038048A (ko) 냉장고
KR20060015971A (ko) 텔레비전을 구비한 냉장고
EP1883772A2 (en) A cool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