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9412A - 와이어 연결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와이어 연결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9412A
KR20190129412A KR1020180054017A KR20180054017A KR20190129412A KR 20190129412 A KR20190129412 A KR 20190129412A KR 1020180054017 A KR1020180054017 A KR 1020180054017A KR 20180054017 A KR20180054017 A KR 20180054017A KR 20190129412 A KR20190129412 A KR 20190129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wire
female connector
contact
flexibl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7263B1 (ko
Inventor
정상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054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263B1/ko
Publication of KR20190129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연결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플렉시블 케이블에 수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수 커넥터를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암 커넥터의 일측을 형성하며, 암커넥터의 타측에 터미널부를 구비하여 와이어부의 접촉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접촉 연결하게 함으로써, 전선 대 기판(Wire to board) 커넥터 대비 크기가 작고, 전선 대 기판 커넥터와 같이 일대다(多)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여 인쇄회로기판간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와이어 연결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와이어 연결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CONNECTOR ASSEMBLY FOR FLEXIBLE CABLE WITH WIRE CONNECTAB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와이어 연결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플렉시블 케이블에 수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수 커넥터를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암 커넥터의 일측을 형성하며, 암 커넥터의 타측에 터미널부를 구비하여 와이어부의 접촉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접촉 연결하게 함으로써, 전선 대 기판(Wire to board) 커넥터 대비 크기가 작고, 전선 대 기판 커넥터와 같이 일대다(多)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여 인쇄회로기판간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와이어 연결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렉시블 케이블은 FPC(Flexible Printed Cable), FFC(Flexible Flat Cable)로 구분되는 얇은 필름 형태의 케이블인데, 휨, 겹침, 말림, 꼬임 등의 유연성을 가지는 이점이 있어 각종 전자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FPC는 군사용으로 처음 사용되다가 카메라, 프린터 등과 같이 전자제품이 소형화되며 복잡해지는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민간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FPC는 복잡한 회로를 유연한 절연 필름 위에 형성한 연성 인쇄 회로 내지는 케이블로서, 구부릴 수 있고 내굴곡성(耐屈曲性, Flexibility Resistance)이 커서 설계가 자유롭기 때문에 3차원 배선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FC는 냉장고, 세탁기, TV 등 가전 제품용으로 개발 되었지만 최근 들어 자동차의 클러스터(Cluster), 네비게이션(Navigation), 헤드 램프(Head Lamp) 및 전기자동차 BMS(Battery Management Systems), 모듈(Module) 간의 연결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FFC는 다양한 회로패턴이 형성된 인쇄회로기판간의 전기적 신호 연결 또는 인쇄회로기판과 부품간의 전기적 신호 연결을 위하여 사용되는 얇은 판 형태의 케이블로서 FPC와 같이 구부릴 수 있고 내굴곡성이 커서 설계가 자유로워 3차원 배선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전선 대 기판 커넥터(Wire to board connector)는 인쇄회로기판과 다른 기기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전선(Wire)으로 처리하는 커넥터이다. 전선 대 기판 커넥터는 전선 분기(分岐)를 할 수 있어 전선 분기를 통하여 여러 개의 인쇄회로기판, 장치 등과의 연결이 가능하며 설계 자유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 대비 크기가 크고 가격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플렉시블 케이블을 전기전자부속품이나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인쇄회로기판에는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Connector)가 장착된다.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는 전선 대 기판 커넥터 대비 크기도 작고 가격 또한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플렉시블 케이블의 단자들은 접속하고자 하는 장치의 단자들과 일대일 방식으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플렉시블 케이블을 사용할 경우에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이나 장치 등에만 연결이 가능하여 설계 자유도가 낮아진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의 장점과 전선 대 기판 커넥터의 장점을 결합하기 위하여, 플렉시블 케이블에 수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암 커넥터의 일측에 수 커넥터를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암 커넥터의 일측을 형성하며, 암커넥터의 타측에 터미널부를 구비하여 와이어부의 접촉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접촉 연결하게 함으로써, 전선 대 기판(Wire to board) 커넥터 대비 크기가 작고,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전선 대 기판 커넥터와 같이 와이어(Wire)분기를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종래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의 일대일 연결에서 일대다(多)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여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판 및 장치 상호간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와이어 연결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일본공개특허 제2003-168325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플렉시블 케이블에 수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암 커넥터의 일측에 수 커넥터를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암 커넥터의 일측을 형성하며, 암커넥터의 타측에 터미널부를 구비하여 와이어부의 접촉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접촉 연결하게 함으로써, 전선 대 기판(Wire to board) 커넥터 대비 크기가 작고,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전선 대 기판 커넥터와 같이 와이어(Wire)분기를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종래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의 일대일 연결에서 일대다(多)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여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판 및 장치 상호간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와이어 연결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는, 플렉시블 케이블(Flexible Cable)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 커넥터(Male Connector), 일측이 상기 수 커넥터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수 커넥터 삽입 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에는 접촉연결부와 접촉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부를 구비하는 암 커넥터(Female Connector) 및 상기 터미널부와 접촉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연결부를 구비하는 와이어(Wire)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은, FPC(Flexible Printed Cable) 또는 FFC(Flexible Flat Cable)에 해당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 커넥터는 상기 암 커넥터와의 체결을 위한 제1 록킹돌기를 가지고, 상기 암 커넥터는, 상기 수 커넥터와의 체결을 위한 제1 록킹홈; 및 상기 와이어부와의 체결을 위한 제2 록킹돌기를 가지며,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암 커넥터와의 체결을 위한 제2 록킹홈 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암 커넥터는, 상기 와이어부와의 접촉면 양측 말단에 상기 와이어부와의 밀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1 전자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암 커넥터와의 밀착면 양측 말단에 상기 암 커넥터와의 밀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2 전자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인쇄회로기판은 경성(硬性) 인쇄회로기판 또는 연성(軟性)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은, 수 커넥터(Male Connector)를 플렉시블 케이블(Flexible Cable)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암커넥터의 일측을 상기 수 커넥터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수 커넥터 삽입 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하며, 타측은 접촉연결부와 접촉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터미널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와이어(wire)부에 상기 터미널부와 접촉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은, FPC(Flexible Printed Cable) 또는 FFC(Flexible Flat Cable)에 해당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수 커넥터에 상기 암 커넥터와의 체결을 위한 제1 록킹돌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암 커넥터에 상기 수 커넥터와의 체결을 위한 제1 록킹홈 및 상기 와이어부와의 체결을 위한 제2 록킹돌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와이어부에 상기 암 커넥터와의 체결을 위한 제2 록킹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암 커넥터에, 상기 와이어부와의 접촉면 양측 말단에 상기 와이어부와의 밀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1 전자석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부에, 상기 암 커넥터와의 밀착면 양측 말단에 상기 암 커넥터와의 밀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2 전자석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경성(硬性) 인쇄회로기판 또는 연성(軟性)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플렉시블 케이블에 수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암 커넥터의 일측에 수 커넥터를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암 커넥터의 일측을 형성하며, 암커넥터의 타측에 터미널부를 구비하여 와이어부의 접촉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접촉 연결하게 함으로써, 전선 대 기판(Wire to board) 커넥터 대비 크기가 작고,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전선 대 기판 커넥터와 같이 와이어(Wire)분기를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종래 플렉시블 케이블 커넥터의 일대일 연결에서 일대다(多)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여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판 및 장치 상호간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와이어 연결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리된 일측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암 커넥터와 와이어부가 분리된 타측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터미널부와 접촉연결부의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터미널부와 접촉연결부의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분기(分岐)"라는 용어의 뜻은 여러 가닥의 전기선을 가지는 플렉시블 케이블의 신호 라인을 1번 라인부터 n번 라인까지 정의 하였을 때, 하나의 라인(예컨데, 1번 라인)에서 오는 신호를 여러 갈래로 나누어 다른 인쇄회로기판에 전송한다는 의미와, 1번 라인부터 n번 라인까지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나누어 다른 인쇄회로기판에 전송한다(예컨데, 1번 내지 10번 라인까지 있는 신호를, 1번 내지 3번 라인만 다른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00)의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00)의 분리된 일측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00)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00)의 암 커넥터(130)와 와이어부(140)가 분리된 타측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00)의 터미널부(131)와 접촉연결부(141)의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00)의 터미널부(131)와 접촉연결부(141)의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100)는 크게 플렉시블 케이블(110), 수커넥터(120), 암커넥터(130), 와이어부(140), 와이어(150), 터미널부(131) 및 접촉연결부(14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일 실시예에서는 제1 록킹돌기(121), 제1 록킹홈(132), 제2 록킹돌기(133), 제2 록킹홈(142), 제1 전자석부(134) 및 제2 전자석부(14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0)은 금속 배선이 가늘게 인쇄된 판으로 커넥터, 반도체, 컨덴서 및 저항 등의 각종 소자 등을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금속 배선을 통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소자 등의 상호간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판을 의미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0)은 경성(硬性) 인쇄회로기판 또는 연성(軟性)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플렉시블 케이블(110)은 인쇄회로기판 상호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플렉시블 케이블(110)은 평판 형상의 케이블로 굽힘이 자유로운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며, 내측에 전기선이 평형으로 배열되어 넓은 폭을 갖게 될 수 있다. 플렉시블 케이블(110)은 FPC(Flexible Printed Cable) 또는 FFC(Flexible Flat Cable)에 해당될 수 있다.
수 커넥터(120)는 플렉시블 케이블(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플렉시블 케이블(110)에 전송 되는 전기적 신호를 후술하는 암 커넥터(13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 커넥터(120)는 후술하는 암 커넥터(130)와의 고정 체결을 위한 제1 록킹돌기(121)를 가질 수 있다.
암 커넥터(130)는 수 커넥터(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수 커넥터(120)에서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를 인쇄회로기판(10) 및 후술하는 와이어부(14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암 커넥터(130)의 일측은 수 커넥터(12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수 커넥터(12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일측의 내부에 수 커넥터(120)가 삽입되면 수 커넥터(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호간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암 커넥터(130)의 타측은 후술하는 와이어부(140)의 접촉연결부(141)와 접촉을 통한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터미널부(131)를 구비할 수 있다. 터미널부(131)는 암 커넥터(130)의 타측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터미널부(131)는 플렉시블 케이블(110) 내측 전기선의 개수와 같은 수의 터미널(131a)을 구비할 수 있다. 터미널(131a)은 수 커넥터(120)를 통하여 플렉시블 케이블(110) 내측의 전기선과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암 커넥터(130)는 수 커넥터(120)의 제1 록킹돌기(121)와 고정 체결이 가능한 제1 록킹홈(132)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암 커넥터(130)는 후술하는 와이어부(140)와 고정 체결이 가능한 제2 록킹돌기(133)를 가질 수 있다. 제1 록킹돌기(121)는 제1 록킹홈(132)과 체결되며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암 커넥터(130)는 와이어부(140)와의 접촉면 양측 말단에 제1 전자석부(134)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선 후술하기로 한다.
와이어부(140)는 암 커넥터(130)와 접촉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암 커넥터(130)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와이어(150)를 통하여 분기(分岐)할 수 있다.
예컨데, 플렉시블 케이블(110) 내측의 전기선을 일측에서부터 타측까지 순서대로 1번 라인부터 n번 라인으로 정의 하였을 때, 수 커넥터(120) 및 암 커넥터(130) 또한 1번 라인부터 n번 라인까지 순서대로 전기적인 연결이 되도록 구성되고, 개별적 라인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암 커넥터(130)의 터미널부(131) 또한 1번부터 n번까지의 n개의 터미널(131a)을 구비하여 각 라인의 신호를 개별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 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접촉 연결이라 함은, 와이어부(140)의 접촉연결부(141)도 1번 와이어부터 n번 와이어까지 정의된 번호와 일치하는 신호를 개별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구성 되어 있어,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터미널부(131)와 접촉연결부(141)가 단순히 접촉되는 것 만으로 각 라인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와이어와 연결된 접촉연결부(141)가 터미널(131a) 각각에 접촉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연결 됨으로써 사용자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하나 이상의 신호 라인을 선택적으로 분기하여 다른 인쇄회로기판과 연결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중복적으로 필요한 라인이 있을 경우도 와이어(150)를 분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와이어부(140)는 암 커넥터(130)와 고정 체결이 가능한 제2 록킹홈(142)을 가질 수 있다. 제2 록킹돌기(133)는 제2 록킹홈(132)과 체결되며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와이어부(140)는 암 커넥터(130) 타측과의 접촉면 양측 말단에 구비된 제2 전자석부(143)와 암 커넥터(130)의 제1 전자석부(134)를 통하여 암 커넥터(130)와의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전자석부(134)와 제2 전자석부(143)는 서로 극성이 반대되는 전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전자석부(134)는 암 커넥터(130)의 하우징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전자석부(143)는 와이어부(130)의 하우징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밀착 상태를 유지한다는 것은 제1 전자석부(134)와 제2 전자석부(143)가 서로 다른 전기적 극성을 가짐으로써 제1 및 제2 전자석부(134, 143)의 상호간의 전기적 인력으로 인해 암 커넥터(130)와 와이어부(140)의 접촉면이 밀착 상태가 유지되고, 터미널부(131)와 후술하는 접촉연결부(141)의 전기적 연결 또한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있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에 플렉시블 케이블을 직접 삽입 체결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있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암 또는 수 커넥터에 플렉시블 케이블용 수 또는 암 커넥터를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으로는 플렉시블 케이블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일대일 연결만이 가능하였다. 또한, 이러한 전기적 신호를 다른 인쇄회로기판이나 장치에 전송하고 싶으면, 인쇄회로기판의 배선 디자인을 변경하여 배선을 연결한 커넥터를 따로 실장 해주어야 했다. 별도의 커넥터를 실장하면, 실장되는 커넥터의 수와 면적만큼 인쇄회로기판의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으며, 새로 실장된 커넥터 또한 다른 인쇄회로기판과 일대일의 연결만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전기적 신호의 분기를 위해 일반적인 전선 대 기판 커넥터(Wire to board)를 실장한다고 상정하는 경우에도 인쇄회로기판의 배선 디자인과 커넥터가 차지하는 공간만큼 인쇄회로기판의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100)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커넥터 어셈블리(100)의 구성에 필요한 최소한의 크기로 커넥터 어셈블리(100)를 제작함으로써 전선 대 기판 커넥터보다 작은 크기의 커넥터를 제작할 수 있어 인쇄회로기판의 크기를 늘리지 않아도 되고, 하나의 커넥터로 여러 인쇄회로기판에 신호를 분기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간의 일대다(多)의 연결이 가능해져 설계 자유도가 크게 높아진다.
다음으로는, 도 7 및 도 8을 통해 와이어 연결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제조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연결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제조방법을 일련의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플렉시블 케이블을 준비한다(S501). 플렉시블 케이블은 FFC 또는 FPC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 커넥터에 제1 록킹돌기를 형성하고(S502), 플렉시블 케이블과 수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S503).
다음으로, 암 커넥터에 제1 록킹홈, 제2 록킹돌기 및 터미널부를 형성한다(S504). 제1 록킹홈은 제1 록킹돌기와 체결되며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터미널부는 플렉시블 케이블에서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를 접촉방식을 통하여 와이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와이어부에 제2 록킹홈 및 접촉연결부를 형성한다(S505). 제2 록킹홈은 제2 록킹돌기와 체결되며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촉연결부는 터미널부에서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를 접촉방식을 통하여 와이어에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암 커넥터와 와이어부를 연결한다(S506). 암커넥터의 터미널부와 와이어부의 접촉연결부는 접촉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플렉시블 케이블을 준비한다(S601). 플렉시블 케이블은 FFC 또는 FPC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 커넥터에 제1 록킹돌기를 형성하고(S602), 플렉시블 케이블과 수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S603).
다음으로, 암 커넥터에 제1 록킹홈, 제1 전자석부 및 터미널부를 형성한다(S604). 제1 록킹홈은 제1 록킹돌기와 체결되며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자석부는 와이어부와의 접촉면 양단에 삽입될 수 있다. 터미널부는 플렉시블 케이블에서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를 접촉방식을 통하여 와이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와이어부에 제2 전자석부 및 접촉연결부를 형성한다(S605). 제2 전자석부는 암 커넥터와의 접촉면 양단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전자석부는 제1 전자석부와 반대되는 전기적 극성을 가진다. 접촉연결부는 터미널부에서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를 접촉방식을 통하여 와이어에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암 커넥터와 와이어부를 연결한다(S606). 암커넥터의 터미널부와 와이어부의 접촉연결부는 접촉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와이어 연결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제조방법은 도면에 제시된 순서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다. 간단히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방법은 일련의 블록들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블록들의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몇몇 블록들은 다른 블록들과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고 기술된 것과 상이한 순서로 또는 동시에 일어날 수도 있으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는 다양한 다른 분기, 흐름 경로, 및 블록의 순서들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방법의 구현을 위하여 도시된 모든 블록들이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0:인쇄회로기판
100:커넥터 어셈블리
110:플렉시블 케이블
120:수 커넥터
121:제1 록킹돌기
130:암 커넥터
131:터미널부
131a:터미널
132:제1 록킹홈
133:제2 록킹돌기
134:제1 전자석부
140:와이어부
141:접촉연결부
142:제2 록킹홈
143:제2 전자석부
150:와이어

Claims (10)

  1. 플렉시블 케이블(Flexible Cable)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 커넥터(Male Connector);
    일측이 상기 수 커넥터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수 커넥터 삽입 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에는 접촉연결부와 접촉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부를 구비하는 암 커넥터(Female Connector); 및
    상기 터미널부와 접촉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연결부를 구비하는 와이어(Wire)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연결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은,
    FPC(Flexible Printed Cable) 또는 FFC(Flexible Flat Cable)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연결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 커넥터는 상기 암 커넥터와의 체결을 위한 제1 록킹돌기;를 가지고,
    상기 암 커넥터는, 상기 수 커넥터와의 체결을 위한 제1 록킹홈; 및 상기 와이어부와의 체결을 위한 제2 록킹돌기;를 가지며,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암 커넥터와의 체결을 위한 제2 록킹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연결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 커넥터는, 상기 와이어부와의 접촉면 양측 말단에 상기 와이어부와의 밀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1 전자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암 커넥터와의 밀착면 양측 말단에 상기 암 커넥터와의 밀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2 전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연결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경성(硬性) 인쇄회로기판 또는 연성(軟性) 인쇄회로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연결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6. 수 커넥터(Male Connector)를 플렉시블 케이블(Flexible Cable)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암커넥터의 일측을 상기 수 커넥터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수 커넥터 삽입 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하며, 타측은 접촉연결부와 접촉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터미널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와이어(wire)부에 상기 터미널부와 접촉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연결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은,
    FPC(Flexible Printed Cable) 또는 FFC(Flexible Flat Cable)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연결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 커넥터에 상기 암 커넥터와의 체결을 위한 제1 록킹돌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암 커넥터에 상기 수 커넥터와의 체결을 위한 제1 록킹홈 및 상기 와이어부와의 체결을 위한 제2 록킹돌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와이어부에 상기 암 커넥터와의 체결을 위한 제2 록킹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연결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암 커넥터에, 상기 와이어부와의 접촉면 양측 말단에 상기 와이어부와의 밀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1 전자석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부에, 상기 암 커넥터와의 밀착면 양측 말단에 상기 암 커넥터와의 밀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제2 전자석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연결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경성(硬性) 인쇄회로기판 또는 연성(軟性) 인쇄회로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연결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제조방법.
KR1020180054017A 2018-05-11 2018-05-11 와이어 연결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KR102537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017A KR102537263B1 (ko) 2018-05-11 2018-05-11 와이어 연결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017A KR102537263B1 (ko) 2018-05-11 2018-05-11 와이어 연결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412A true KR20190129412A (ko) 2019-11-20
KR102537263B1 KR102537263B1 (ko) 2023-05-25

Family

ID=68729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017A KR102537263B1 (ko) 2018-05-11 2018-05-11 와이어 연결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2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650B1 (ko) 2021-04-29 2021-12-20 (주)티에이치엔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
KR102632052B1 (ko) * 2023-07-25 2024-02-01 (주)에프에이솔루션 전기제품 테스트장비용 전원공급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8325A (ja) 2001-11-29 2003-06-1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構造
US20100120280A1 (en) * 2008-11-11 2010-05-13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nector having three-way interconnection
JP2014165115A (ja) * 2013-02-27 2014-09-08 Yazaki Corp マグネットコネクタ
KR20150081598A (ko) * 2014-01-06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8325A (ja) 2001-11-29 2003-06-1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構造
US20100120280A1 (en) * 2008-11-11 2010-05-13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nector having three-way interconnection
JP2014165115A (ja) * 2013-02-27 2014-09-08 Yazaki Corp マグネットコネクタ
KR20150081598A (ko) * 2014-01-06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650B1 (ko) 2021-04-29 2021-12-20 (주)티에이치엔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
KR102632052B1 (ko) * 2023-07-25 2024-02-01 (주)에프에이솔루션 전기제품 테스트장비용 전원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7263B1 (ko)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2801B2 (en) Cable holding member, plug connector, connector device, flat cable, and method for assembling plug connector
US7922526B2 (en) Electrical equipment
CN102842784B (zh) 电力连接器和电连接器组件及具有它们的系统
US10680362B2 (en) Connector, and header and socket which are used in connector
US10305205B2 (en) Connector, and header and socket which are used in connector
JP5155700B2 (ja) コネクタ
CN101364679A (zh) 电连接组件
US10566723B2 (en) Connector, and header and socket which are used in connector
JP2018527671A (ja) デジタル平面インターフェースを有する通信ノード
US20090098761A1 (en) Flat multi-conductor cable connector
US8586872B2 (en) Metal core substrate
JP5277280B2 (ja) 差し込みコネクタのための接触場
KR20190129412A (ko) 와이어 연결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US20200288572A1 (en) Circuit device
US11881645B2 (en) Multi-part printed circuit board adapter plug
JP2005160235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20220077638A1 (en) Charging socket with interface
CN103581519A (zh) 车内照相机装置
JP2006260803A (ja) フレキシブル配線板用コネクタ
US20210336369A1 (en) Machine case and cable connector assembly
JPH09199217A (ja) 複合形コネクタ
JP2000150027A (ja) 基板用コネクタ
US20240079802A1 (en)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US11095075B2 (en) Electrical device with a plug connector having a flexible section
CN117954877A (zh) 用于扁平柔性电缆的连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