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650B1 -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 - Google Patents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650B1
KR102340650B1 KR1020210055676A KR20210055676A KR102340650B1 KR 102340650 B1 KR102340650 B1 KR 102340650B1 KR 1020210055676 A KR1020210055676 A KR 1020210055676A KR 20210055676 A KR20210055676 A KR 20210055676A KR 102340650 B1 KR102340650 B1 KR 102340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fc
support plate
connector
handle
fastening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창준
Original Assignee
(주)티에이치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이치엔 filed Critical (주)티에이치엔
Priority to KR1020210055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6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2Hand tools for cri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 부품의 와이어링 하네스에 적용되는 FFC(Flexible Flat Cable)를 커넥터에 체결시킬 때 사용하는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몸체;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힌지축에 의해 상기 제1몸체와 상호 교차하는 형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일단부에서 상기 제1몸체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몸체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몸체의 회동에 따라 상기 FFC 일면을 평평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판; 그리고, 상기 제1지지판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2몸체의 일단부에서 상기 제2몸체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몸체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2몸체의 회동에 따라 상기 FFC 타면을 평평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FFC와 커넥터 상호 간의 체결을 매우 용이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고, FFC를 접힘없이 커넥터에 정확히 및 견고히 체결할 수 있는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 {Connector fastening tool for FFC}
본 발명은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FFC와 커넥터 상호 간의 체결을 매우 용이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고, FFC를 접힘없이 커넥터에 정확 및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는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자동차의 점화, 등화, 충전 등을 위하여 와이어링 하네스(wiring harness)가 설치된다.
와이어링 하네스는 차체 내에 설치되는 배선으로 개별적으로 절연된 여러 가닥의 전선들을 함께 피복 처리하여 간단하고 말끔하게 묶음 처리된 전기배선이다.
이러한 와이어링 하네스에 적용되는 전선으로는 보통 환형 전선이 적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쉽게 구부릴 수 있고 내굴곡성이 큰 FFC(Flexible Flat Cable)가 널리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FFC는 연성을 갖는 얇은 판 형태의 케이블로서, 자동차의 클러스터(Cluster), 네비게이션(Navigation), 헤드 램프(Head Lamp) 및 전기자동차 BMS(Battery Management Systems), 모듈(Module) 간의 연결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FFC를 통해 자동차의 각 부품들 간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FFC의 일단에 형성된 단자를 커넥터에 체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의 FFC와 커넥터 간 체결은 작업자가 별도의 도구없이 손으로 직접 FFC를 잡고 커넥터에 체결시키는 수작업의 형태로 진행된다.
이와 같은 수작업의 경우, FFC를 잡고 있는 작업자의 손의 굴곡에 따라 FFC에도 굴곡이 생기게 되고, 이 상태로 FFC를 커넥터의 체결홈에 삽입해야 하므로, FFC와 커넥터 상호 간의 체결이 매우 어렵고,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연성의 FFC가 커넥터에 바로 삽입되지 못하고 접히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FFC가 커넥터의 체결홈 주위 일측에 걸려 단자가 밀리거나 커넥터에 덜 체결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제품의 전체적인 품질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KR 10-2019-0129412 A KR 10-1411554 B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FFC의 파지부위에 굴곡이 생기지 않도록 FFC의 일면과 타면을 평평하게 지지하여 FFC와 커넥터 상호 간의 체결을 매우 용이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고, FFC를 접힘없이 커넥터에 정확 및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는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는, 자동차 부품의 와이어링 하네스에 적용되는 FFC(Flexible Flat Cable)를 커넥터에 체결시킬 때 사용하는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몸체;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힌지축에 의해 상기 제1몸체와 상호 교차하는 형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몸체;와, 상기 제1몸체의 일단부에서 상기 제1몸체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몸체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1몸체의 회동에 따라 상기 FFC 일면을 평평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판; 그리고, 상기 제1지지판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2몸체의 일단부에서 상기 제2몸체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몸체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2몸체의 회동에 따라 상기 FFC 타면을 평평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판은, 상기 FFC의 일면 폭 전체에 걸쳐 밀착되고, 상기 제2지지판은, 상기 FFC의 타면 폭 전체에 걸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판은, 상면에 형성되는 제1널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판은, 하면에 형성되는 제2널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판은, 상면에 부착되는 제1고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판은, 하면에 부착되는 제2고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몸체는, 상기 제2몸체와의 교차점인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의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1지지판이 연결되는 제1로드부;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의 타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제1몸체와의 교차점인 제2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의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2지지판이 연결되는 제2로드부; 그리고, 상기 제2결합부의 타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손잡이와 상기 제2손잡이는 탄성체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는, FFC의 파지부위에 굴곡이 생기지 않도록 FFC의 일면과 타면을 평평하게 지지하여 FFC와 커넥터 상호 간의 체결을 매우 용이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FFC와 커넥터 상호 간의 체결작업에 대한 작업성이 매우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는, FFC를 접힘없이 커넥터에 정확 및 견고하게 체결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체적인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는, FFC를 지지하는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이 FFC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10)는, 자동차 부품의 와이어링 하네스에 적용되는 FFC(도 4 내지 도 7에서 부호 "F" 참조)를 커넥터(도 4 내지 도 7에서 부호 "C" 참조)에 체결시킬 때 작업자가 사용하는 도구일 수 있다.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10)는, 제1몸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몸체(100)는, 작업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제1몸체(10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몸체(100)는, 막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몸체(100)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몸체(100)는, 제1결합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110)는, 제1몸체(100)의 중앙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제1결합부(110)는, 힌지축(H)이 삽입되도록 중심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다. 제1결합부(110)는, 우측부가 절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몸체(100)는, 제1로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로드부(120)는, 제1결합부(110)의 일측인 전방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로드부(120)는, 제1몸체(100)의 전방부를 이룰 수 있다. 제1로드부(120)는, 제1결합부(110)에서부터 전방측으로 갈수록 상하 두께가 줄어드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몸체(100)는, 제1손잡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손잡이부(130)는, 제1결합부(110)의 타측인 후방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손잡이부(130)는, 제1몸체(100)의 후방부를 이룰 수 있다. 제1손잡이부(130)는, 상측으로 볼록하게 굽은 완만한 원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손잡이부(130)는, 작업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제1손잡이부(130)는, 제1결합부(110)를 기준으로 제1로드부(120)와 구획될 수 있다.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10)는, 제2몸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몸체(100)는, 제1몸체(100)와 마찬가지로 작업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제2몸체(20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몸체(200)는, 막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몸체(100)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몸체(200)는, 실질적으로 제1몸체(10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몸체(200)는, 힌지축(H)에 의해 제1몸체(100)와 "X"자와 같이 상호 교차하는 형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몸체(200)는 힌지축(H)을 기준으로 제1몸체(100)와 함께 가위 형태의 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제2몸체(200)는, 제2결합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결합부(210)는, 제2몸체(200)의 중앙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제2결합부(210)는, 힌지축(H)이 삽입되도록 중심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다. 제2결합부(210)는, 좌측부가 절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부(210)는 제1결합부(110)의 절개된 부분에 수용될 수 있다. 제2결합부(210)의 절개된 부분은 제1결합부(110)를 수용할 수 있다. 제2결합부(210)는 힌지축(H)에 의해 제1결합부(110)와 일정각도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몸체(200)는, 제2로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로드부(220)는, 제2결합부(210)의 일측인 전방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로드부(220)는, 제2몸체(200)의 전방부를 이룰 수 있다. 제2로드부(220)는, 제2결합부(210)에서부터 전방측으로 갈수록 상하 두께가 줄어드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로드부(220)는, 제1로드부(1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로드부(220)는, 제1로드부(120)와 마주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몸체(200)는, 제2손잡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손잡이부(230)는, 제2결합부(210)의 타측인 후방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손잡이부(230)는, 제2몸체(200)의 후방부를 이룰 수 있다. 제2손잡이부(230)는, 하측으로 볼록하게 굽은 완만한 원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손잡이부(230)는, 제1손잡이부(130)와 함께 작업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제2손잡이부(230)는 제2결합부(210)를 기준으로 제2로드부(220)와 구획될 수 있다. 제2손잡이부(230)는, 제1손잡이부(1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손잡이부(230)는, 제1손잡이부(130)와 마주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손잡이부(130)와 제2손잡이부(230)는, 작업자에 의해 파지되는 힘이 강해질수록 크게 가압되어 상호 간격이 점점 좁혀진다. 또한, 제1손잡이부(130)와 제2손잡이부(230)는, 작업자에 의해 파지되는 힘이 약해질수록 제1손잡이부(130)와 제2손잡이부(23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체(S)의 복원력에 의해 상호 간격이 점점 벌어진다.
제1로드부(120)와 제2로드부(220)는, 제1손잡이부(130)와 제2손잡이부(230)를 작업자가 파지하여 움켜쥘 경우, 제1손잡이부(130)와 제2손잡이부(230)와 마찬가지로 상호 간의 간격이 좁혀질 수 있다. 반대로, 제1로드부(120)와 제2로드부(220)는, 움켜쥔 제1손잡이부(130)와 제2손잡이부(230)를 작업자가 놓을 경우, 제1손잡이부(130)와 제2손잡이부(230)와 마찬가지로 상호 간의 간격이 벌어질 수 있다.
제1손잡이부(130)와 제2손잡이부(230)는, 탄성체(S)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탄성체(S)는, 일단이 제1손잡이부(130)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제2손잡이부(230)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S)는, 상단이 제1손잡이부(130)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고, 하단이 제2손잡이부(23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체(S)는, 제1손잡이부(130)와 제2손잡이부(230)에 힘을 가하지 않을 때(작업자가 제1손잡이부와 제2손잡이부를 파지하지 않은 상태), 자체 복원력을 통해 제1손잡이부(130)와 제2손잡이부(230)의 상호 간격을 벌어지게 하는 동시에, 제1로드부(120)와 제2로드부(220)의 상호 간격 또한 벌어지게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탄성체(S)는, 압축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10)는, 제1지지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판(300)은, 제1몸체(100)의 일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지지판(300)은, 제1몸체(100)의 일단부, 즉, 제1로드부(120)의 전단부에서 제1몸체(10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몸체(10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지지판(300)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00)에서 우측으로 돌출되어 제1몸체(100)에 대해 우측으로 90도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지지판(300)에서 제1몸체(100)로부터 돌출된 부분의 좌우 길이는, FFC(F)의 좌우 길이보다 길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지지판(300)은, FFC(F)의 일면인 하면의 폭 전체에 걸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제1지지판(300)은, FFC(F)의 하면에 면접촉할 수 있다. 제1지지판(300)은, 필요에 따라 제1몸체(100)에서 좌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지지판(300)은, 제1몸체(100)의 제1로드부(120)와 수직하게 위치하는 직사각판일 수 있다. 제1지지판(300)은, 제1몸체(100)와 처음부터 일체로 형성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판(300)은, 필요에 따라 제1로드부(120)와 별도로 구비되어 제1로드부(120)의 상면에 부착되는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제1지지판(300)은, 적어도 상면이 평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지지판(300)은, 제1몸체(100)의 회동 시,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동할 수 있다. 제1지지판(300)은, 제1몸체(100)의 회동에 따라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FFC(F)의 일면을 평평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1지지판(300)은, 제1미끄럼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미끄럼방지부는, 제1지지판(300)에 의해 지지되는 FFC(F)가 제1지지판(300)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미끄럼방지부는, 제1지지판(300)의 상면에 널링(nurling)을 통해 형성되는 제1널링부(310)일 수 있고, 제1지지판(300)은, 이러한 제1널링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방지부는, 제1지지판(300)의 상면에 부착되는 제1고무부재(310')일 수 있고, 제1지지판(300)은 이러한 제1고무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10)는, 제2지지판(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판(400)은, 제2몸체(200)의 일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지지판(400)은, 제2몸체(200)의 일단부, 즉, 제2로드부(220)의 전단부에서 제2몸체(20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몸체(20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지지판(400)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몸체(200)에서 우측으로 돌출되어 제2몸체(200)에 대해 우측으로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지지판(400)에서 제2몸체(200)로부터 돌출된 부분의 좌우 길이는, FFC(F)의 좌우 길이보다 길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지지판(400)은, FFC(F)의 타면인 상면의 폭 전체에 걸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제2지지판(400)은, FFC(F)의 상면에 면접촉할 수 있다.제2지지판(400)은, 필요에 따라 제2몸체(200)에서 좌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2지지판(400)은, 제1지지판(300)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지지판(400)은, 제2몸체(200)의 제2로드부(220)와 수직하게 위치하는 직사각판일 수 있다. 제2지지판(400)은, 실질적으로 제1지지판(30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지지판(400)은, 제2몸체(200)와 처음부터 일체로 형성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제2지지판(400)은, 필요에 따라 제2로드부(220)와 별도로 구비되어 제2로드부(220)의 상면에 부착되는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제2지지판(400)은, 적어도 하면이 평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지지판(400)은, 제2몸체(200)의 회동 시,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동할 수 있다. 제2지지판(400)은, 제2몸체(200)의 회동에 따라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FFC(F)의 타면을 평평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2지지판(400)은 제1지지판(300)과의 사이 공간에 FFC(F)를 둔 채, 작업자에 의해 제1손잡이부(130)와 제2손잡이부(230)가 파지될 경우, 제1지지판(300)과 함께 FFC(F)를 파지할 수 있다.
제2지지판(400)은, 제2미끄럼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미끄럼방지부는, 제2지지판(400)에 의해 지지되는 FFC(F)가 제2지지판(400)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미끄럼방지부는, 제2지지판(400)의 하면에 널링(nurling)을 통해 형성되는 제2널링부(410)일 수 있고, 제2지지판(400)은, 이러한 제2널링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방지부는, 제2지지판(400)의 하면에 부착되는 제2고무부재(410')일 수 있고, 제2지지판(400)은 이러한 제2고무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판(300)과 제2지지판(400)은, 제1손잡이부(130)와 제2손잡이부(230)를 작업자가 파지하여 움켜쥘 경우, 제1로드부(120)와 제2로드부(220)의 동작에 따라 서로 간의 간격이 좁혀질 수 있다. 반대로, 제1지지판(300)과 제2지지판(400)은, 움켜쥔 제1손잡이부(130)와 제2손잡이부(230)를 작업자가 놓을 경우, 탄성체(S)의 작용에 의한 제1로드부(120)와 제2로드부(220)의 움직임에 따라 서로 간의 간격이 벌어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10)를 사용하여 FFC(F)를 커넥터(C)에 체결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FFC(F)의 일측에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10)를 배치시킨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FFC(F)의 좌측에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10)를 나란히 배치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제1지지판(300)과 제2지지판(400) 사이에 FFC(F)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존재할 정도로 제1손잡이부(130)와 제2손잡이부(230)를 잡아야 한다.
다음, 작업자는,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10)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도 4와 같이 배치된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10)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제1지지판(300)과 제2지지판(400) 사이의 공간에 FFC(F)의 전방부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 작업자는,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10)의 제1손잡이부(130)와 제2손잡이부(230)를 꽉 움켜쥔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도 5와 같이 배치된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10)의 제1손잡이부(130)와 제2손잡이부(230)를 손으로 파지한 채 꽉 움켜쥘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로드부(120)와 제2로드부(220)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또한, 제1로드부(120)와 제2로드부(220)에 각각 고정된 제1지지판(300)과 제2지지판(400)도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제1지지판(300)과 제2지지판(40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FFC(F)를 오므려진 상태로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지지판(300)의 평평한 상면은, FFC(F)의 일면(하면) 폭 전체에 걸쳐 면접촉 상태로 평평하게 밀착되고, 제2지지판(400)의 평평한 하면은, FFC(F)의 타면(상면) 폭 전체에 걸쳐 면접촉 상태로 평평하게 밀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FFC(F)는, 제1지지판(300)과 제2지지판(400)과의 접촉구간에서 수평한 상태로 굴곡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 작업자는, 제1손잡이부(130)와 제2손잡이부(230)를 꽉 움켜쥔 채,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10)를 커넥터(C) 측으로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제1손잡이부(130)와 제2손잡이부(230)를 꽉 움켜쥔 채,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10)를 전방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이와 같은 이동을 통해 제1지지판(300)과 제2지지판(400) 사이에 파지된 FFC(F)를 커넥터(C)에 형성된 체결홈(미도시)에 삽입시켜 체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제1지지판(300)과 제2지지판(400)에 의해 파지된 FFC(F)는, 다소 간의 걸림이 발생하거나 외력이 가해져도 제1널링부(310)와 제2널링부(410)에 의해 제1지지판(300)과 제2지지판(400)으로부터 미끄러지거나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10)를 이용하여 FFC(F) 상에 굴곡이 생기지 않도록 FFC(F)를 평평하게 파지한 후, 수평이동시켜 커넥터(C)에 손쉽게 체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 100: 제1몸체
110: 제1결합부 120: 제1로드부
130: 제1손잡이부 200: 제2몸체
210: 제2결합부 220: 제2로드부
230: 제2손잡이부 300: 제1지지판
310 : 제1널링부 310': 제1고무부재
400: 제2지지판 410: 제2널링부
410': 제2고무부재 H: 힌지축
S: 탄성체 F: FFC
C: 커넥터

Claims (5)

  1. 자동차 부품의 와이어링 하네스에 적용되는 FFC(Flexible Flat Cable)를 커넥터에 체결시킬 때 사용하는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몸체;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힌지축에 의해 상기 제1몸체와 상호 교차하는 형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몸체;
    상기 제1몸체의 일단부에서 상기 제1몸체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몸체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몸체의 회동에 따라 상기 FFC 일면을 평평하게 지지하는 제1지지판; 그리고,
    상기 제1지지판과 마주하도록 상기 제2몸체의 일단부에서 상기 제2몸체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몸체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몸체의 회동에 따라 상기 FFC 타면을 평평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판에서 상기 제1몸체의 일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좌우 길이는, 상기 FFC의 좌우 길이보다 길거나 같게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판이 상기 FFC의 일면 폭 전체에 걸쳐 밀착될 수 있고,
    상기 제2지지판에서 상기 제2몸체의 일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좌우 길이는, 상기 FFC의 좌우 길이보다 길거나 같게 형성되어 상기 제2지지판이 상기 FFC의 타면 폭 전체에 걸쳐 밀착될 수 있는,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판은, 상면에 형성되는 제1널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판은, 하면에 형성되는 제2널링부를 포함하는,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판은, 상면에 부착되는 제1고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판은, 하면에 부착되는 제2고무부재를 포함하는,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는,
    상기 제2몸체와의 교차점인 제1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의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1지지판이 연결되는 제1로드부; 그리고,
    상기 제1결합부의 타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몸체는,
    상기 제1몸체와의 교차점인 제2결합부;
    상기 제2결합부의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제2지지판이 연결되는 제2로드부; 그리고,
    상기 제2결합부의 타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손잡이와 상기 제2손잡이는 탄성체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
KR1020210055676A 2021-04-29 2021-04-29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 KR102340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676A KR102340650B1 (ko) 2021-04-29 2021-04-29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676A KR102340650B1 (ko) 2021-04-29 2021-04-29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650B1 true KR102340650B1 (ko) 2021-12-20

Family

ID=79033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676A KR102340650B1 (ko) 2021-04-29 2021-04-29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6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5889A (en) * 1979-03-02 1980-08-05 Rayburn Lloyd M Lifting tool
US5901993A (en) * 1998-01-15 1999-05-11 Lowery; Fannie L. Food handling tongs
JP2003346955A (ja) * 2002-05-28 2003-12-0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フラットケーブル接続具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相互間接続部
KR101411554B1 (ko) 2012-12-13 2014-06-2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20190129412A (ko) 2018-05-11 2019-1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와이어 연결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5889A (en) * 1979-03-02 1980-08-05 Rayburn Lloyd M Lifting tool
US5901993A (en) * 1998-01-15 1999-05-11 Lowery; Fannie L. Food handling tongs
JP2003346955A (ja) * 2002-05-28 2003-12-0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フラットケーブル接続具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相互間接続部
KR101411554B1 (ko) 2012-12-13 2014-06-2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20190129412A (ko) 2018-05-11 2019-11-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와이어 연결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4181B2 (en) Holder for a flat cable
CN104937323A (zh) 用于显示物件的固定系统
US7736200B2 (en) Booster cable clamp
US20090008991A1 (en) Power supply apparatus for sliding door
KR20120072385A (ko) 커넥터 및 차량 와이어 하네스 연결 구조물
CN101790817B (zh) 楔形连接器组件
CN101911413B (zh) 接地器
KR102340650B1 (ko) Ffc용 커넥터 체결도구
US20090111300A1 (en) Rapid-Installation Connector for an Armored Cable
US10249977B2 (en) Connector, connector cover, and wire harness
CN1029359C (zh) 导线布线和固定装置
US7165436B2 (en) Crimp die locator
KR101698534B1 (ko) 와이어링 하네스 지그장치
US10644442B2 (en) Plug connector part with strain relief
CN213647266U (zh) 线束工装
WO2021124843A1 (ja) 端子付電線
US7041904B2 (en) Cable clamp and terminal block equipped with same
US11742606B2 (en) Electrical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ically conductive structures
US2231868A (en) Solderless connector
US20220407271A1 (e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ically Conductive Structures
US4522053A (en) Electrical connector programming tool
CN219417077U (zh) 一种汽车线束的耐弯折测试装置
US20090317965A1 (en) Electrical contact for terminating a coaxial cable
CN219760516U (zh) 一种仪表板线束
CN110011086A (zh) 导电端子及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