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9737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9737A
KR20140139737A KR20130060144A KR20130060144A KR20140139737A KR 20140139737 A KR20140139737 A KR 20140139737A KR 20130060144 A KR20130060144 A KR 20130060144A KR 20130060144 A KR20130060144 A KR 20130060144A KR 20140139737 A KR20140139737 A KR 20140139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arness
filled
space
insulating material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0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봉근
강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60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9737A/ko
Publication of KR20140139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7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40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내상과 외상 사이에 인입되는 와이어 하네스를 와이어 클램프에 의해 펼쳐서 고정시켜 와이어 하네스의 높이를 낮춤으로써, 냉장고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상기 외상 후단의 외부로부터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의 발포공간으로 인입되는 와이어 하네스, 상기 발포공간에 충진되는 단열재, 상기 발포공간 중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인입되는 상기 내상의 후단에 충진되는 진공단열재 및 상기 진공단열재가 충진되는 상기 발포공간에 마련되며,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펼쳐서 고정시키는 와이어 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클램프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하여 상기 진공단열재가 충진되는 상기 발포공간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저장실과,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장치이다.
저장실의 온도는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데 요구되는 일정 범위 내의 온도로 유지된다.
이러한 냉장고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은 평상시 저장실의 온도 유지를 위해 도어나 드로워에 의해 폐쇄된다.
본체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과,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을 포함하며, 내상과 외상 사이에는 저장실의 냉기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가 충진된다.
내상과 외상 사이의 단열재가 충진되는 공간에는 단열재가 충진되기 전에 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전선들의 어셈블리인 와이어 하네스가 인입된다.
와이어 하네스는 유사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하나의 뭉치로 묶여져 내상과 외상 사이의 공간으로 인입되기 때문에, 내상과 외상 사이의 공간으로 단열재가 충진될 때 단열재의 흐름이 와이어 하네스에 의해 저하될 수 있으며, 와이어 하네스에 의한 내상과 외상 사이의 공간 부족으로 내상과 외상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할 수 밖에 없다.
이로 인해 단열두께가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저장실의 부피가 작아져 냉장고의 용량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내상과 외상 사이에 인입되는 와이어 하네스를 와이어 클램프에 의해 펼쳐서 고정시켜 와이어 하네스의 높이를 낮춤으로써, 냉장고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상기 외상 후단의 외부로부터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의 발포공간으로 인입되는 와이어 하네스, 상기 발포공간에 충진되는 단열재, 상기 발포공간 중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인입되는 상기 내상의 후단에 충진되는 진공단열재 및 상기 진공단열재가 충진되는 상기 발포공간에 마련되며,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펼쳐서 고정시키는 와이어 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클램프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하여 상기 진공단열재가 충진되는 상기 발포공간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공단열재는 상기 발포공간 중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인입되어 상기 단열재의 두께가 얇아지는 부분에 충진되어 상기 단열재의 단열성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클램프는 상기 발포공간 중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인입되는 부분의 상기 외상에 접착되는 접착부와,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분할되도록 하는 복수의 리브와, 상기 복수의 리브 사이에 분할되어 수용된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클램프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하여 상기 단열재의 충진 시 상기 와이어 하네스에 의한 간섭이 감소되도록 하며, 상기 진공단열재가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간섭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상기 외상 상단의 외부로부터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의 발포공간으로 인입되는 와이어 하네스, 상기 발포공간에 충진되는 단열재, 상기 발포공간 중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인입되는 상기 내상의 상단에 충진되는 진공단열재 및 상기 진공단열재가 충진되는 상기 발포공간에 마련되며,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펼쳐서 고정시키는 와이어 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클램프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하여 상기 진공단열재가 충진되는 상기 발포공간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공단열재는 상기 발포공간 중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인입되어 상기 단열재의 두께가 얇아지는 부분에 충진되어 상기 단열재의 단열성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클램프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하여 상기 단열재의 충진 시 상기 와이어 하네스에 의한 간섭이 감소되도록 하며, 상기 진공단열재가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간섭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상과 외상 사이의 발포공간에 단열재가 충진되며, 상기 발포공간 내부에 상기 발포공간으로 인입되는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시키기 위한 와이어 클램프가 마련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클램프는 상기 발포공간 중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입입되는 부분의 상기 외상에 접착되는 접착부,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분할되도록 하는 복수의 리브와, 상기 복수의 리브 사이에 분할되어 수용된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와이어 하네스의 높이를 낮추어 냉장고의 용량증대를 위한 단열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가 본체의 후면으로 인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클램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클램프에 의해 와이어 하네스가 펼쳐져 고정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클램프에 의해 와이어 하네스가 분할되어 고정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가 본체의 상면으로 인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저장실(20)과, 저장실(20)을 개폐하는 도어(30)와, 도어(30)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상부 힌지(41) 및 하부 힌지(43)를 포함하는 힌지모듈(4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저장실(20)을 형성하는 내상(11)과,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3)을 포함하며, 저장실(20)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장치를 포함한다.
냉기공급장치는 압축기(C)와, 응축기(미도시)와, 팽창밸브(미도시)와, 증발기(24)와, 송풍팬(2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본체(10)의 내상(11)과 외상(13) 사이에는 저장실(20)의 냉기 유출을 방지하도록 단열재(15)가 발포된다.
본체(10)의 후방 하측에는 냉매를 압축하고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압축기(C)와 응축기가 설치되는 기계실(23)이 마련된다.
저장실(20)은 격벽(17)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며, 본체(10)의 우측에는 냉장실(21)이 마련되고, 본체(10)의 좌측에는 냉동실(22)이 마련된다.
냉장실(21) 및 냉동실(22)은 각각 본체(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냉장실 도어(31) 및 냉동실 도어(33)에 의해 개폐되며, 냉장실 도어(31) 및 냉동실 도어(33)의 배면에는 음식물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도어가드(35)가 마련된다.
저장실(20)에는 복수개의 선반(26)이 마련되어 저장실(20)을 복수개로 구획할 수 있으며, 선반(26)의 상부에는 음식물 등의 물품이 적재된다.
또한, 저장실(20)에는 복수개의 저장박스(27)가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인입 및 인출되도록 마련된다.
저장실(20)을 형성하는 내상(11)과, 내상(11)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3)의 사이에는 발포공간(S)이 마련되며, 발포공간(S)에 단열재(15)가 충진된다.
발포공간(S)에 단열재(15)가 충진되기 전에 발포공간(S)에는 본체(10)의 후면에 마련되는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미도시)과 연결되는 전선들의 어셈블리인 와이어 하네스(50)가 인입된다.
인쇄회로기판이 본체(10)의 후면인 외상(13) 후단의 외부에 마련되기 때문에, 와이어 하네스(50)는 외상(50) 후단의 외부로부터 내상(11)과 외상(13) 사이의 발포공간(S)으로 인입된다.
와이어 하네스(50)는 유사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하나의 뭉치로 묶어서 내상(11)과 외상(13) 사이의 발포공간(S)으로 인입시키기 때문에 최대 20㎜ 이상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내상(11)과 외상(13) 사이의 발포공간(S)으로 와이어 하네스(50)를 인입시킨 후 발포공간(S)으로 단열재(15)를 충진시키게 되면, 단열재(15)의 흐름이 와이어 하네스(50)에 의해 방해되어 발포공간(S)에 고르게 충진되기 어렵다.
또한, 발포공간(S) 중 와이어 하네스(50)가 인입되는 부분은 와이어 하네스(50)에 의해 단열재(15)의 충진 공간이 협소해지기 때문에, 충분한 양의 단열재(15)를 충진하기 위해서는 발포공간(S)을 크게 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발포공간(S)이 커지게 되면 내상(11)과 외상(13)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저장실(20)의 부피가 작아져 전체적으로 냉장고의 용량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 하네스(50)가 인입되는 발포공간(S)의 두께가 커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와이어 하네스(50)에 의해 협소해진 발포공간(S)에는 단열재(15)와 함께 단열재(15)의 단열성을 보강하기 위한 진공단열재(VIP, Vacuum Insulation Panel)(19)를 충진시키게 된다.
진공단열재(19)는 일반 단열재(15)에 비하여 대략 8배 이상의 단열성능을 갖으며, 단열성능을 극대화 시키기 위해 내부를 진공처리 한 제품이다.
그러나, 진공단열재(19)를 단열재(15)와 함께 와이어 하네스(50)가 인입되는 부분의 발포공간(S)에 충진시키게 되면, 진공단열재(19)가 와이어 하네스(50)의 물리적 간섭에 의해 진공처리 된 내부가 깨지는 등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와이어 하네스(50)가 인입되는 부분의 발포공간(S)에는 와이어 하네스(50)를 높이가 낮아지도록 펼쳐지게 하여 고정시키는 와이어 클램프(60)가 마련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클램프(60)는 발포공간(S) 중 와이어 하네스(50)가 인입되는 부분의 외상(13)에 접착되는 접착부(61)와, 와이어 하네스(5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63)를 포함한다.
고정부(63)는 와이어 하네스(50)가 복수개로 분할되도록 하는 복수의 리브(65)와, 복수의 리브(65)를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접착부(61)와의 사이에 와이어 하네스(50)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재(67)를 포함한다.
와이어 하네스(50)는 복수의 리브(65) 사이사이로 분할되어 높이가 낮아지도록 펼쳐져서 접착부(61)와 고정부재(67)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며, 삽입된 와이어 하네스(50)는 고정부재(67)에 의해 평평하게 펼쳐져 와이어 하네스(50)의 높이가 최대한 낮아지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하네스(50)는 와이어 클램프(60)에 의해 두 개의 뭉치로 뭉쳐지도록 분할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 하네스(50)가 와이어 클램프(60)에 의해 높이가 낮아지면, 발포공간(S) 중 와이어 하네스(50)가 인입되는 부분은 단열재(15)의 충진 시 와이어 하네스(50)에 의한 방해가 최소화 될 수 있으며, 진공단열재(19)와의 물리적 간섭도 최소화 되어 진공단열재(19)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와이어 하네스(50)가 와이어 클램프(60)에 의해 높이가 낮아지면, 단열재(15)가 충진되는 발포공간(S)의 내상(11)과 외상(13) 사이의 간격을 좁힐 수 있어 전체적으로 냉장고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하네스(50)는 본체(10)의 상면인 외상(13) 상단의 외부로부터 내상(11)과 외상(13) 사이의 발포공간(S)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는 본체(10)에 마련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와이어 하네스(50)가 인입되는 위치만 바뀔 뿐, 와이어 하네스(50)가 본체(10)의 후면인 외상(13) 후단의 외부로부터 내상(11)과 외상(13) 사이의 발포공간(S)으로 인입되는 경우와 동일하게 와이어 클램프(60)가 적용되므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냉장고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11 : 내상
13 : 외상 15 : 단열재
17 : 격벽 19 : 진공단열재
20 : 저장실 21 : 냉장실
22 : 냉동실 23 : 기계실
24 : 선반 25 : 저장박스
26 : 증발기 27 : 송풍팬
30 : 도어 31 : 냉장실 도어
33 : 냉동실 도어 35 : 도어가드
40 : 힌지모듈 41 : 상부 힌지
43 : 하부 힌지
50 : 와이어 하네스
60 : 와이어 클램프 61 : 장착부
63 : 고정부 65 : 리브
67 : 고정부재
C : 압축기 S : 발포공간

Claims (9)

  1.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상기 외상 후단의 외부로부터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의 발포공간으로 인입되는 와이어 하네스;
    상기 발포공간에 충진되는 단열재;
    상기 발포공간 중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인입되는 상기 내상의 후단에 충진되는 진공단열재; 및
    상기 진공단열재가 충진되는 상기 발포공간에 마련되며,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펼쳐서 고정시키는 와이어 클램프;
    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클램프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하여 상기 진공단열재가 충진되는 상기 발포공간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단열재는 상기 발포공간 중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인입되어 상기 단열재의 두께가 얇아지는 부분에 충진되어 상기 단열재의 단열성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클램프는 상기 발포공간 중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인입되는 부분의 상기 외상에 접착되는 접착부와,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분할되도록 하는 복수의 리브와, 상기 복수의 리브 사이에 분할되어 수용된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클램프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하여 상기 단열재의 충진 시 상기 와이어 하네스에 의한 간섭이 감소되도록 하며, 상기 진공단열재가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간섭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
    상기 내상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
    상기 외상 상단의 외부로부터 상기 내상과 상기 외상 사이의 발포공간으로 인입되는 와이어 하네스;
    상기 발포공간에 충진되는 단열재;
    상기 발포공간 중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인입되는 상기 내상의 상단에 충진되는 진공단열재; 및
    상기 진공단열재가 충진되는 상기 발포공간에 마련되며,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펼쳐서 고정시키는 와이어 클램프;
    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클램프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하여 상기 진공단열재가 충진되는 상기 발포공간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단열재는 상기 발포공간 중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인입되어 상기 단열재의 두께가 얇아지는 부분에 충진되어 상기 단열재의 단열성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클램프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두께가 얇아지도록 하여 상기 단열재의 충진 시 상기 와이어 하네스에 의한 간섭이 감소되도록 하며, 상기 진공단열재가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간섭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내상과 외상 사이의 발포공간에 단열재가 충진되며, 상기 발포공간 내부에 상기 발포공간으로 인입되는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시키기 위한 와이어 클램프가 마련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클램프는,
    상기 발포공간 중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입입되는 부분의 상기 외상에 접착되는 접착부;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분할되도록 하는 복수의 리브와, 상기 복수의 리브 사이에 분할되어 수용된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20130060144A 2013-05-28 2013-05-28 냉장고 KR201401397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0144A KR20140139737A (ko) 2013-05-28 2013-05-28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0144A KR20140139737A (ko) 2013-05-28 2013-05-28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737A true KR20140139737A (ko) 2014-12-08

Family

ID=52457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0144A KR20140139737A (ko) 2013-05-28 2013-05-28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97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3587A1 (ja) * 2018-06-25 2020-01-02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3587A1 (ja) * 2018-06-25 2020-01-02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JPWO2020003587A1 (ja) * 2018-06-25 2021-07-15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8338B2 (en) Refrigerator
EP2818814B1 (en) Refrigerator
KR102222572B1 (ko) 냉장고
KR102028022B1 (ko) 냉장고
CN103542660B (zh) 冰箱及冰箱的制造方法
KR101944361B1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N107110595B (zh) 冰箱及冰箱的门组件
KR102447914B1 (ko) 냉장고
KR20150058761A (ko) 냉장고용 중앙 격벽 밀착구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N108826795A (zh) 制冷器具
JP2016200295A (ja) 冷蔵庫
JP2015227762A (ja) 冷蔵庫
RU2015156306A (ru) Холодильник
KR102227438B1 (ko) 냉장고
CN113348334B (zh) 冰箱
CN108286854A (zh) 冰箱
KR20210026471A (ko) 냉장고
JP6448984B2 (ja) 冷蔵庫
KR20200079754A (ko) 냉장고
KR20140139737A (ko) 냉장고
EP3271669B1 (en) Refrigerator
JP6545249B2 (ja) 断熱箱体および断熱扉並びに冷蔵庫
JP6794507B2 (ja) 冷蔵庫
JP6744383B2 (ja) 冷蔵庫
KR20200089071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