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1310A - 관통공들을 가진 실린더를 구비한 밸브 조립체 - Google Patents

관통공들을 가진 실린더를 구비한 밸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1310A
KR20150081310A KR1020157013814A KR20157013814A KR20150081310A KR 20150081310 A KR20150081310 A KR 20150081310A KR 1020157013814 A KR1020157013814 A KR 1020157013814A KR 20157013814 A KR20157013814 A KR 20157013814A KR 20150081310 A KR20150081310 A KR 20150081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exhaust gas
gas flow
turbine
turbin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3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1452B1 (ko
Inventor
제임스 모어
Original Assignee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81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F02B37/12Control of the pumps
    • F02B37/18Control of the pumps by bypassing exhaust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of turbine or to the atmosphere
    • F02B37/183Arrangements of bypass valves or actuators therefor
    • F02B37/186Arrangements of actuators or linkage for bypass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F02B37/12Control of the pumps
    • F02B37/18Control of the pumps by bypassing exhaust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of turbine or to the atmosphere
    • F02B37/183Arrangements of bypass valves or actuat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6/00Plural gas-turbine plants; Combinations of gas-turbine plants with other apparatus; Adaptations of gas-turbine plants for special use
    • F02C6/04Gas-turbine plants providing heated or pressurised working fluid for other apparatus, e.g. without mechanical power output
    • F02C6/10Gas-turbine plants providing heated or pressurised working fluid for other apparatus, e.g. without mechanical power output supplying working fluid to a user, e.g. a chemical process, which returns working fluid to a turbine of the plant
    • F02C6/12Turbochargers, i.e. plants for augmenting mechanical power output of 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by increase of charge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ercharger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Abstract

터빈 휠(12)을 구동하기 위해 배기가스 유동을 사용하는 터보차저(10)는, 터빈 작업을 제어하기 위해 터빈 휠(12)을 우회하는 배기가스 유동을 제어하는 웨이스트게이트 밸브(28, 128)를 구비한 배럴 또는 피스톤 타입 웨이스트게이트 밸브 조립체(26, 126)를 가진다. 관통공(32, 132)을 가질 수 있는 실린더(30, 130)가 관형 챔버(22)에서 이동 가능하며, 배기가스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터빈 하우징(20)의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와 기능적으로 작동한다. 액추에이터(36, 136)가 실린더(30, 130)의 이동을 작동 가능하게 제어한다.

Description

관통공들을 가진 실린더를 구비한 밸브 조립체{VALVE ASSEMBLY WITH CYLINDER HAVING THROUGH HOLES}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12년 11월 14일자로 출원된 "Valve Assembly with Cylinder Having Through Holes" 라는 명칭의 미국 가출원 제61/726,174호의 우선권 및 모든 이익을 주장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배기가스에 의해 구동되는 터보차저의 구성요소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터빈 하우징에 사용되는 관통공을 가진 실린더를 구비한 배럴 또는 피스톤 타입 웨이스트게이트 밸브 설계에 관한 것이다.
터보차징의 이점으로는, 동력 출력 증가, 연료 소비 감소 및 오염물질 배출 감소가 포함된다. 엔진의 터보차징은 더 이상 주로 높은 동력 성능의 관점에서 보는 게 아니라, 오히려 낮은 이산화탄소(CO2) 배출로 인해 연료 소비 및 환경 오염을 감소시키는 수단으로서 바라보게 된다. 현재, 터보차징의 주된 이유는, 연료 소비 및 배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배기가스 에너지를 이용하는 것이다. 터보차징 엔진에서, 연소 공기는 엔진에 공급되기 전에 미리 압축된다. 엔진은 자연 흡기 엔진과 동일한 부피의 공기-연료 혼합물을 흡기시키지만, 더 높은 압력으로 인하여, 제어된 방식으로 더 높은 밀도의 더 많은 공기-연료 질량이 연소실 내로 공급된다. 결과적으로, 더 많은 연료가 연소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엔진의 동력 출력이 속도 및 배기량에 비해 증가하게 된다.
배기가스 터보차징에서는, 보통은 낭비될 배기가스 에너지의 일부가, 터빈을 구동하는 데에 사용된다. 터빈은, 샤프트 상에 장착되어 배기가스 유동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터빈 휠을 포함한다. 터보차저는 이처럼 보통은 낭비되는 배기가스 에너지의 일부를 엔진으로 돌려보내서, 엔진 효율 및 연료 절감에 기여한다. 터빈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는 여과된 주위 공기를 유입시켜 압축한 후, 엔진으로 공급한다. 압축기는 동일한 샤프트 상에 장착된 압축기 임펠러를 포함하고, 그에 따라 터빈 휠의 회전은 압축기 임펠러를 회전시키게 된다.
터보차저는 일반적으로,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에 연결된 터빈 하우징,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에 연결된 압축기 하우징, 및 터빈 하우징과 압축기 하우징을 함께 결합하는 중앙 베어링 하우징을 포함한다. 터빈 하우징의 터빈 휠은 배기 매니폴드로부터 공급된 배기가스의 유입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본 발명은 터보차저의 터빈 하우징에 배치된 웨이스트게이트 밸브에 초점을 맞춘다. 웨이스트게이트(WG) 밸브 조립체는, 터빈 작업을 제한/제어함으로써 적절한 때에 이용 가능한 배기가스 에너지의 일부만을 이용하기 위해, 터보차저 터빈 주위로 배기가스의 상당 부분(예컨대 약 30%)을 전달할 수 있는(즉, 우회시키는) 밸브, 벤트 및/또는 바이패스를 포함한다. 그로 인해 WG 밸브 조립체는 배기가스 유동을 조절하고, 터빈 휠이 바람직하지 않은 속도로 회전되지 않도록 보장한다.
고정 구조 터보차저의 경우(즉, WG가 없음), 터빈은 정격 조건(높은 엔진 속도, 최대 출력)에서 터빈 휠 속도가 지나치게 높지 않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는 보통 최고 토크 조건(중간 엔진 속도, 최대 토크)에서 터빈 하우징이 바람직하지 않게 크고, 과도 응답 및 엔진 토크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고 토크와 정격 조건 사이에서 더 양호하게 절충하기 위해, 종종 웨이스트게이트를 이용한다. 웨이스트게이트는 선택적으로 배기가스 유동의 일부가 터보차저, 구체적으로는 터빈을 우회하게 함으로써, 이용 가능한 배기가스 유동으로부터 추출되는 에너지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웨이스트게이트 밸브를 개방하는 양을 줄이면, 터빈을 우회할 수 있는 배기가스 유동의 양이 감소되고, 이는 흡기 매니폴드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증가시킬 것이다. 밸브를 위한 액추에이터는 배기가스가 웨이스트게이트를 통해 터빈을 우회할지를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공압 액추에이터 또는 전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웨이스트게이트 밸브가 편리한 방식으로 작동되어 배기가스 유동의 일부가 터빈을 우회하게 할 수 있다. 더 높은 요구사항 및 증가된 작업량으로 인해, 웨이스트게이트 밸브 및 액추에이터에 대한 스트레스, 압력 조건 및 배기 온도가 증가하였다.
통상적인 웨이스트게이트 밸브는 많은 부품들로 복잡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웨이스트게이트 밸브는 실질적으로 온/오프 기능으로 작동한다.
본 발명은, 관통공을 가진 이동 실린더와 같은 웨이스트게이트 밸브를 구비한 웨이스트게이트 밸브 조립체를 제공한다. 실린더는 롤러 배럴 밸브의 회전 버전 또는 피스톤 밸브의 왕복 운동 버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롤러 배럴 밸브는 횡방향 관통공을 가지며 관형 챔버 내에서 회전한다. 피스톤 밸브는 배기가스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특징부를 가진 관형 챔버 내에서 선형으로 왕복 운동한다. 피스톤 밸브의 일 실시예에서, 실린더는 또한 배기가스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반경방향 외측 홈을 포함한 횡방향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터빈 하우징에 배치된 웨이스트게이트 밸브는, 터빈 작업을 제한/제어하기 위해 엔진 배기가스 유동의 상당 부분을 터빈 주위로 통기시키거나 우회시키는 밸브이다. 선택적으로 배기가스 유동이 터빈을 우회할 수 있게 함으로써, 터보차저는 적절한 경우에 이용 가능한 배기가스 에너지의 일부만을 이용한다. 그로 인해, 웨이스트게이트 밸브는 또한 터빈 휠이 바람직하지 않은 속도로 회전되지 않도록 보장한다.
롤러 배럴 밸브를 포함한 웨이스트게이트 밸브는 조절 또는 정밀한 이동을 위해 배럴에 눈물방울 구멍과 같은 횡방향 관통공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멍들은 배기가스 유동을 위한 조정 가능 통로를 제공한다. 완전한 관통공의 중요 이점은, 리프트 오프 단계에서 밸브 거동에 대해 정밀한 제어를 한다는 점이다.
배럴 자체는, 가스가 반경방향으로 유입되어 축방향으로 배출되는 중공의 원통형 설계보다는, 통로로서 관통공을 가진 중실(solid) 형태일 수 있다.
회전 또는 왕복 운동 배럴의 관통공들은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배럴에 대한 순 반작용 하중은 관통공들로 인해 낮다. 이는 더 작고 더 저렴할 가능성이 있는 액추에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추가적으로, 운전 하중이 매우 감소되므로 액추에이터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관통공을 가진 배럴 개념은 또한 특히 통상적인 공압 액추에이터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히스테리시스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피스톤 밸브는 배기가스 유동의 정밀한 제어를 위해 웨이스트게이트 포트에 대한 선형 이동과 함께 슬라이딩하는 실질적으로 중실 형태의 실린더이다. 관통공은 실린더의 중심축에 정렬될 수 있으며, 여기서 피스톤 로드는 실린더가 배기가스 유동의 통과를 차단하고 실린더의 원위 단부가 배기가스 유동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는 실시예에서 실린더를 고정할 수 있다. 피스톤 밸브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배기가스 유동의 통과를 위한 횡방향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의 밸브 조립체와 비교하여 관통공을 가진 실질적으로 중실 형태의 실린더의 이점은 다음과 같다:
통상적인 밸브는 실질적으로 온 또는 오프인 반면, 특히 일정 형상(즉, 눈물 방울)의 구멍들을 가진 배럴 설계, 및 왕복 운동 길이가 다양한 피스톤 설계는 조절 가능하다;
배기가스 압력은 배럴 또는 피스톤 밸브에 최소의 순 토크/하중을 가할 것이며, 이는 훨씬 더 작고 더 저렴한 전자 액추에이터를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통상의 공압 액추에이터를 사용하는 경우, 더 낮은 하중은 매우 감소된 마모 및 향상된 내구성/수명을 의미할 것이다;
감소된 구동 하중은 통상의 액추에이터 연결장치 및 "밸브 폐쇄" 위치에 대해 제공된 관련 기계적 이점에 대한 필요성을 없앨 수 있다;
배럴 밸브 또는 피스톤 밸브는 통상의 웨이스트게이트 밸브 조립체보다 더 낮은 복잡성 및 더 적은 부품들을 가진다;
배럴 타입 또는 피스톤 타입 웨이스트게이트 밸브 조립체는 통상의 웨이스트게이트 밸브 조립체에 비해 제조 비용이 더 저렴하고 조립이 용이할 것이다;
배럴 밸브는 터빈 하우징 웨이스트게이트 공동 또는 포트를 통해 조작/장착될 필요가 없으며, 이는 공동의 크기가 상당히 감소될 수 있고 웨이스트게이트 커버 플레이트 및 관련 기계가공/비용이 불필요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첨부 도면과 함께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하게 됨에 따라 본 발명의 이점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관통공을 가진 실린더로서 구성된 웨이스트게이트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롤러 배럴 밸브가 개방 위치에 있는 배럴 타입 웨이스트게이트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터빈 하우징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롤러 배럴 밸브가 폐쇄 위치에 있는 배럴 타입 웨이스트게이트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터빈 하우징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롤러 배럴 밸브가 중간 위치에 있는 배럴 타입 웨이스트게이트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터빈 하우징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축방향 관통공을 가진 실린더로서 구성된 웨이스트게이트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6은 피스톤 밸브가 개방 위치에 있는 피스톤 타입 웨이스트게이트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터빈 하우징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피스톤 밸브가 부분 개방 위치에 있는 피스톤 타입 웨이스트게이트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터빈 하우징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피스톤 밸브가 폐쇄 위치에 있는 피스톤 타입 웨이스트게이트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터빈 하우징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터빈 하우징의 일부의 단면도로서, 웨이스트게이트 포트 내부에 반경방향 외측 홈으로서 횡방향 관통공을 가진 부분적으로 차폐된 피스톤 밸브를 점선으로 보여준다.
터보차저(10)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압축기 임펠러가 터빈 하우징(20)에서 터빈 휠(12)에 의해 샤프트를 통해 회전 구동된다. 터빈 휠(12)을 구동하기 위해 배기가스 유동이 사용되는 한편, 터빈 작업을 제어하기 위해 종종 일부 배기가스 유동은 터빈 휠(12)을 우회할 수 있다.
터빈 하우징(20)은 터빈 휠(12)을 우회하는 배기가스 유동을 위해 관형 챔버(22) 및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를 포함할 수 있다. 웨이스트게이트 밸브 조립체(26, 126)는,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를 통한 배기가스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터빈 하우징(20)의 관형 챔버(22) 내에서 이동 가능한 밸브(28, 128)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28, 128)는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를 차단 및 차단 해제함으로써 배기가스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에 대해 이동 가능하며, 이 때 일부 배기가스 유동은 터빈 휠(12)을 우회하여 터빈 휠(12)이 제어된 속도로 회전한다는 점에서 터빈 작업을 제어할 수 있다.
웨이스트게이트 밸브 조립체(26, 126)는 터빈 휠(12)을 우회하는 배기가스 유동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된다. 터빈 하우징(20)에 배치된 웨이스트게이트 밸브(28, 128)는, 터빈 작업을 제한/제어하기 위해 배기가스 유동의 상당 부분을 터빈 휠(12) 주위로 통기시키거나 우회시키는 밸브이다. 선택적으로 배기가스 유동이 터빈 휠(12)을 우회할 수 있게 함으로써, 터보차저(10)는 적절한 경우에 이용 가능한 배기가스 에너지의 일부만을 이용한다. 그로 인해, 과잉의 배기가스 유동을 우회시키는 웨이스트게이트 밸브(28, 128)는 또한 터빈 휠(12)이 바람직하지 않은 속도로 회전되지 않도록 보장한다.
웨이스트게이트 밸브(28, 128)는 선택적으로 배기가스 유동이 터빈 휠(12)을 우회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웨이스트게이트 밸브(28, 128)는 관통공(32, 132)을 가진 실린더(30, 130)를 포함한다. 실린더(30, 130)는 바람직하게 관통공(32, 132)을 제외하고는 중실 형태이다. 웨이스트게이트 밸브(28, 128)는 배기가스 유동을 위한 경로의 크기 또는 양을 변화시킴으로써 배기가스 유동을 제어한다.
액추에이터(36, 136)가 웨이스트게이트 밸브(28, 128)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에 대해 웨이스트게이트 밸브(28, 128)를 이동시켜 이러한 포트를 통한 배기가스 유동을 제어하도록 구성 및 배치된다. 액추에이터(36, 136)는 실린더(30, 130)의 이동을 작동 가능하게 제어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 타입 웨이스트게이트 밸브 조립체(26)는, 관통공(32)이 횡방향으로 연장된 롤러 배럴 밸브(28)인 실린더(3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32)은 실린더(30)의 직경을 바로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실린더(30)는 관통공(32)을 제외하고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실 형태이며, 실린더(30)는 평행한 중실 단부 평면들(34)을 가진다. 이러한 실린더(30)는 롤러 배럴 밸브(28)의 회전 버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롤러 배럴 밸브(28)로서의 실린더(30)는 터빈 하우징(20)의 관형 챔버(22) 내에서 회전하며, 관통공(32)은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를 통한 배기가스 유동을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관통공(32)은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와 정렬되어, 정렬된 관통공(32)과 함께 회전할 때, 통로가 개방된다. 롤러 배럴 밸브(28)는 조절 또는 정확한 이동 및 제어를 위해 실린더(30)에 하나 또는 가능하게는 그 이상의 횡방향 관통공(32), 예컨대 눈물 방울 구멍(들)을 가질 수 있다. 관통공(32)은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와 정렬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정렬된 경우 배기가스 유동을 위한 통로로서 사용된다.
액추에이터(36)는 롤러 배럴 밸브(28)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롤러 배럴 밸브(28)를 회전시키도록 구성 및 배치되어, 관통공(32)이 이를 통한 배기가스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개구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는 전기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36)는 다른 밸브 조립체의 경우보다 더 적은 응력으로 사용 가능한 표준 공압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액추에이터(36)는 바람직하게 터보차저(10)의 다른 기능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더 큰 시스템의 일부이거나 그러한 시스템에 포함된다.
롤러 배럴 밸브(28)는 실린더(30)가 적어도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 및 배치되며, 그에 따라 제1 위치에서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는 완전히 개방되고 제2 위치에서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는 폐쇄된다. 도 2는 배기가스 유동이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를 통해 흐를 수 있도록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와 관통공(32)이 정렬된 개방 위치에서의 롤러 배럴 밸브(28)를 보여준다. 도 3은 배기가스 유동이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를 통해 흐르지 못하게 하도록 실린더(30)의 중실 부분이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를 차단하고 있는 폐쇄 위치에서의 롤러 배럴 밸브(28)를 보여준다. 예를 들면 도 4의 중간 위치에서, 관통공(32)을 가진 실린더(30)가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됨에 따라, 관통공(32)은 부분적으로 개방된다.
실린더(30)는 또한 터빈 하우징(20)의 관형 챔버(22) 내부에서 왕복 운동할 수 있으며, 관통공(32)은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를 통한 배기가스 유동을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관통공(32)이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와 정렬되도록 실린더(30)가 회전하는 대신에, 실린더(30)는 관통공(32)과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를 정렬하기 위해 피스톤 밸브로서 선형으로 슬라이딩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타입 웨이스트게이트 밸브 조립체(126)는 왕복 운동 방식으로 작동하는 피스톤 밸브(128)를 포함한다. 실린더(130)는 중실 플런저이며, 배기가스 유동의 정밀한 제어를 위해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에 대해 관형 챔버(22) 내에서 선형 이동으로 슬라이딩한다. 선택적인 축방향 관통공(132)은 실린더(130)의 중심축과 정렬될 수 있으며, 여기서 실린더(130)를 고정하기 위해 피스톤 로드(40)가 수용된다. 피스톤 로드(40)가 축방향 관통공(132)을 완전히 둘러싸지 않는 경우, 배기가스 유동은 축방향 관통공(132)을 통과할 수 있다. 배기가스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실린더(130)의 원위 단부(42)는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를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선형 액추에이터(136)가 피스톤 밸브(128)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에 대해 피스톤 밸브(128)를 왕복 운동시켜 배기가스 유동을 제어하도록 구성 및 배치된다. 선형 액추에이터(136)는 실린더(30) 및/또는 실린더(130)의 선형 이동을 작동 가능하게 제어한다.
액추에이터(136)(바람직하게는 전기 액추에이터)는 피스톤 밸브(128)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액추에이터(136)는 실린더(30) 또는 실린더(130)를 슬라이딩시키도록 구성 및 배치되어, 실린더(30)의 관통공(32) 또는 실린더(130)의 원위 단부(42)는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를 통한 배기가스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개구를 형성하거나 또는 차단한다. 다른 웨이스트게이트 밸브의 경우보다 적은 하중으로 표준 공압 액추에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136)는 바람직하게 터보차저(10)의 다른 기능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더 큰 시스템의 일부이거나 그러한 시스템에 포함된다.
도 6은 배기가스 유동이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를 통해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개방 위치에서의 피스톤 밸브(128)를 보여주는 것으로, 여기서 실린더(130)의 원위 단부(42)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도 7은 부분 개방 위치의 피스톤 밸브(128)를 보여준다. 이러한 실시예는 횡방향 관통공(132)을 가진 실린더(30/130)가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를 부분적으로 차단하지만,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를 통한 일부 배기가스 유동은 허용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8은 폐쇄 위치의 피스톤 밸브(128)를 보여주는 것으로, 여기서 실린더(30) 또는 실린더(130)는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를 완전히 차단한다. 도 1의 실린더(30)는 이러한 폐쇄 위치로부터 선형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고, 따라서 횡방향 관통공(32)은 배기 유동의 통과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 관통공(32)은 관형 챔버(22) 내부에서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의 임의의 측 상에 존재할 수 있다. 횡방향 관통공을 갖지 않은 실린더(130)를 이용하는 실시예에서, 실린더(130)는 배기가스 유동의 정밀한 제어를 위해 실린더(130)의 원위 단부(42)로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를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중간 선형 위치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 9는 반경방향 외측 홈으로서 형성된 횡방향 관통공(32)을 가진 피스톤 밸브(128)를 구비한 터빈 하우징(20)을 보여준다. 중앙 스템(50)은 관통공(32)을 통해 각 측에서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를 통한 배기가스 유동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예시적으로 기술되었으며, 사용된 용어는 한정적이기보다는 설명을 위한 단어들인 것으로 의도하고자 함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의 교시내용을 고려하여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주 내에서, 기술 내용 내에서 구체적으로 열거한 것과 다르게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1)

  1. 터빈 하우징(20)의 터빈 휠(12)을 구동하기 위해 배기가스 유동을 사용하고 터빈 휠(12)을 우회하는 배기가스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웨이스트게이트 밸브 조립체(26, 126)를 사용하며,
    터빈 휠(12)을 우회하는 배기가스 유동을 위한 터빈 하우징(20) 내의 관형 챔버(22) 및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
    관통공(32, 132)을 가지는 실린더(30, 130)를 포함하되, 실린더(30, 130)는 터빈 하우징(20)의 관형 챔버(22)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며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를 선택적으로 차단 및 차단 해제함으로써 배기가스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와 작동 가능하게 관련되는 것인 밸브(28, 128); 및
    실린더(30, 130)의 이동을 작동 가능하게 제어하는 액추에이터(36, 136)를 포함하되,
    일부 배기가스 유동은 터빈 휠(12)을 우회하여 터빈 휠(12)이 제어된 속도로 회전한다는 점에서 터빈 작업을 제어하는, 터보차저(10).
  2. 제1항에 있어서,
    실린더(30)는 터빈 하우징(20)의 관형 챔버(22) 내부에서 회전하는 배럴이며, 관통공(32)은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를 통한 배기가스 유동을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터보차저(10).
  3. 제1항에 있어서,
    실린더(30)는 관통공(32)을 제외하고는 중실 형태이며, 평행한 중실 단부 평면들(34)을 가지는, 터보차저(10).
  4. 제1항에 있어서,
    관통공(32)은 실린더(30)의 직경에 걸쳐 바로 가로지르는, 터보차저(10).
  5. 제1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36)는 실린더(30)의 회전을 작동 가능하게 제어하는, 터보차저(10).
  6. 제1항에 있어서,
    관통공(32)은 실린더(30)의 직경에 걸쳐 바로 가로지르며 액추에이터(136)가 실린더(30)의 선형 왕복 운동을 작동 가능하게 제어함에 따라 관통공(32)은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를 선택적으로 차단 및 차단 해제하는, 터보차저(10).
  7. 제1항에 있어서,
    실린더는(130)는 피스톤 밸브로서 터빈 하우징(20)의 관형 챔버(22) 내부에서 선형으로 왕복 운동하고, 관통공(132)은 액추에이터(136)의 피스톤 로드(40)를 수용하도록 축방향으로 이루어지며, 액추에이터(136)는 실린더(130)의 선형 왕복 운동을 작동 가능하게 제어하고, 이 때 실린더(130)의 원위 단부(42)는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터보차저(10).
  8. 제1항에 있어서,
    실린더(130)는 관형 챔버(22) 내부에서 선형으로 왕복 운동하고 관통공(32)은 반경방향 외측 홈인, 터보차저(10).
  9. 터빈 하우징(20)의 터빈 휠(12)을 구동하기 위해 배기가스 유동을 사용하고 터빈 휠(12)을 우회하는 배기가스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웨이스트게이트 밸브 조립체(26)를 사용하며,
    터빈 휠(12)을 우회하는 배기가스 유동을 위한 관형 챔버(22) 및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
    관통공(32)을 가지는 실린더(30)를 포함하되, 실린더(30)는 터빈 하우징(20)의 관형 챔버(22)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며, 관통공(32)을 통해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를 통한 배기가스 유동을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하기 위해 관통공(32)은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와 작동 가능하게 관련되는 것인 롤러 배럴 밸브(28); 및
    실린더(30)의 회전을 작동 가능하게 제어하는 액추에이터(36)를 포함하되,
    일부 배기가스 유동은 터빈 휠(12)을 우회하여 터빈 휠(12)이 제어된 속도로 회전한다는 점에서 터빈 작업을 제어하는, 터보차저(10).
  10. 제9항에 있어서,
    관통공(32)은 실린더(30)의 직경에 걸쳐 바로 가로지르는, 터보차저(10).
  11. 터빈 하우징(20)의 터빈 휠(12)을 구동하기 위해 배기가스 유동을 사용하고 터빈 휠(12)을 우회하는 배기가스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웨이스트게이트 밸브 조립체(126)를 사용하며,
    터빈 휠(12)을 우회하는 배기가스 유동을 위한 터빈 하우징(20)의 관형 챔버(22) 및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
    터빈 하우징(20)의 관형 챔버(22) 내부에서 선형으로 왕복 운동하는 실린더(130)를 포함하되, 이 때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와 작동 가능하게 관련된 실린더(130)의 원위 단부(42)는 웨이스트게이트 포트(24)를 선택적으로 차단 및 차단 해제함으로써 배기가스 유동을 제어하는 것인 피스톤 밸브(128); 및
    실린더(130)의 왕복 운동을 작동 가능하게 제어하는 선형 액추에이터(136)를 포함하되,
    일부 배기가스 유동은 터빈 휠(12)을 우회하여 터빈 휠(12)이 제어된 속도로 회전한다는 점에서 터빈 작업을 제어하는, 터보차저(10).
KR1020157013814A 2012-11-14 2013-11-04 관통공들을 가진 실린더를 구비한 밸브 조립체 KR1020514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26174P 2012-11-14 2012-11-14
US61/726,174 2012-11-14
PCT/US2013/068259 WO2014078109A1 (en) 2012-11-14 2013-11-04 Valve assembly with cylinder having through ho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310A true KR20150081310A (ko) 2015-07-13
KR102051452B1 KR102051452B1 (ko) 2019-12-03

Family

ID=50731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814A KR102051452B1 (ko) 2012-11-14 2013-11-04 관통공들을 가진 실린더를 구비한 밸브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97301B2 (ko)
KR (1) KR102051452B1 (ko)
CN (1) CN104755720B (ko)
DE (1) DE112013004989T5 (ko)
WO (1) WO20140781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583B1 (ko) * 2014-06-09 2017-07-06 바르실라 핀랜드 오이 터보차저 장착 내부 연소 엔진의 배기 시스템의 바이패스 디바이스 및 바이패스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DE102015201805B4 (de) * 2015-02-03 2024-05-29 Borgwarner Inc. Abgasturbolader
KR101866853B1 (ko) 2015-02-03 2018-07-23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회전 가능한 전환 밸브
DE102016210016A1 (de) * 2016-06-07 2017-12-07 Borgwarner Inc. Einsatzstück für einen Bypass in einem Turbinengehäu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5953A (en) * 1979-01-18 1981-01-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Engine turbocharger with cartridge wastegate valve
JPS61252900A (ja) * 1985-04-30 1986-11-10 コムプレクス・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内燃機関のための、高圧排ガス流制御装置を備えた圧力波チヤ−ジヤ−
US20110000208A1 (en) * 2007-09-05 2011-01-06 Robinson Lee J Multi-stage turbocharge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70951A (en) * 1963-04-04 1966-09-06 Int Harvester Co Turbocharger controls
JPS595772B2 (ja) * 1979-01-10 1984-02-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排気バイパス式タ−ボチヤ−ジヤ
FR2474193A1 (fr) * 1980-01-21 1981-07-24 Inst Francais Du Petrole Dispositif regulateur de la pression d'un fluide
GB8406860D0 (en) * 1984-03-16 1984-04-18 Holset Engineering Co Wastegate valve
JP2000274254A (ja) * 1999-03-24 2000-10-03 Hitachi Ltd ターボチャージャ
SE519321C2 (sv) * 2001-06-29 2003-02-11 Saab Automobile Sätt att driva en förbränningsmotor samt förbränningsmotor
US20070204616A1 (en) 2006-03-06 2007-09-0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wing valve for a turbocharger with stacked valve members, and two-stage turbocharger system incorporating same
GB0615143D0 (en) 2006-07-29 2006-09-06 Cummins Turbo Tech Ltd Multi-stage turbocharger system
DE102007060415A1 (de) 2007-12-14 2009-06-18 Daimler Ag Brennkraftmaschine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r Brennkraftmaschine für ein Kraftfahrzeug
JP4981732B2 (ja) * 2008-03-28 2012-07-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排気制御バルブを備えた排気タービン
GB2475534B (en) * 2009-11-21 2014-11-12 Cummins Turbo Tech Ltd Sequential two-stage turbocharger system
US8534994B2 (en) * 2010-12-13 2013-09-1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Turbocharger with divided turbine housing and annular rotary bypass valve for the turbine
DE102011014120A1 (de) 2011-03-15 2012-09-20 Voith Patent Gmbh Vorrichtung zum Einbringen eines Gasstrom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5953A (en) * 1979-01-18 1981-01-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Engine turbocharger with cartridge wastegate valve
JPS61252900A (ja) * 1985-04-30 1986-11-10 コムプレクス・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内燃機関のための、高圧排ガス流制御装置を備えた圧力波チヤ−ジヤ−
US20110000208A1 (en) * 2007-09-05 2011-01-06 Robinson Lee J Multi-stage turbocharg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3004989T5 (de) 2015-07-02
WO2014078109A1 (en) 2014-05-22
KR102051452B1 (ko) 2019-12-03
CN104755720B (zh) 2017-12-22
CN104755720A (zh) 2015-07-01
US9797301B2 (en) 2017-10-24
US20160298533A1 (en) 2016-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4856B2 (en) VTG turbocharger with wastegate controlled by a common actuator
US7587898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866853B1 (ko) 회전 가능한 전환 밸브
US20070125082A1 (en) Compressor in an exhaust gas turbocharg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739134B2 (en) Exhaust gas turbocharg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9945287B2 (en) Asymmetric actuator pivot shaft bushing for VTG turbocharger
KR102051452B1 (ko) 관통공들을 가진 실린더를 구비한 밸브 조립체
JP2008520882A (ja) 排ガスターボチャージャ付き内燃機関
EP1960641B1 (en) Exhaust gas control apparatus
GB2535617A (en) Electrically driven compressor-expander for a turbocharged engine system and associated flow control valves
US20130309106A1 (en) Turbocharger
US10385722B2 (en) Adjustment ring damper
KR20100018455A (ko) 부분배기기류의 추출장치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내연기관
KR100636687B1 (ko) 차량용 유압조절식 엔진과급장치
WO2015054180A1 (en) Method of controlling wastegate flow using port side wall contour
CN104948295A (zh) 一种涡轮增压器的废气旁通阀
FI123325B (fi) Mäntäpolttomoottorin ahtamisjärjestelmä ja menetelmä mäntäpolttomoottorin käyttämiseksi
JP2004204842A (ja) 排気ガスターボチャージャと製造方法
KR101144040B1 (ko) 자동차용 터보차져
US20180306103A1 (en) Non-circular gears for rotary wastegate actuator
US20180149047A1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drive unit, drive unit, motor vehicle
US20170356396A1 (en) Turbocharger variable inlet duct
KR101231268B1 (ko) 터보차져의 과급압 조절밸브
RU2559207C1 (ru) Турбокомпрессор для наддува двигателей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KR20200059344A (ko) 터보차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