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0326A - 개별 콘센트 장치의 피크전력을 이용한 전원 공급 제어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별 콘센트 장치의 피크전력을 이용한 전원 공급 제어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0326A
KR20150080326A KR1020130169337A KR20130169337A KR20150080326A KR 20150080326 A KR20150080326 A KR 20150080326A KR 1020130169337 A KR1020130169337 A KR 1020130169337A KR 20130169337 A KR20130169337 A KR 20130169337A KR 20150080326 A KR20150080326 A KR 20150080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upply
outlet
receptacle
peak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9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효범
Original Assignee
최효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효범 filed Critical 최효범
Priority to KR1020130169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0326A/ko
Publication of KR20150080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3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별 콘센트 장치의 전력측정을 통한 전원 공급 제어시스템 및 방법으로, 구체적으로 통신기능 및 전력측정 기능, 전력공급 제어기능이 구비된 하나 이상의 콘센트 장치로부터 상기 개별 콘센트 장치에서 측정된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개별 콘센트 장치의 전력을 이용하여 컨센트 개별 및 전체 피크전력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전체피크전력이 설정된 제1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콘센트 장치 중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경우 상기 전체 피크전력이 상기 제1설정값 이하로 되는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선택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콘센트 장치의 전력측정 및 피크전력 산출을 통한 전원공급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원공급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별 콘센트 장치의 피크전력을 이용한 전원 공급 제어시스템 및 방법{Power control system using peak power of each cons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콘센트를 이용한 전원공급제어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전력 측정 및 통신이 가능한 각 개별콘센트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사용정보로부터 알 수 있는 개별 피크전력을 이용하여 전체 피크전력을 산출하고 이 전체 피크전력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각 개별콘센트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전원공급제어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절약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기절약을 위한 각종 장치들이 연구되고 있다.
그 중 하나는 콘센트 자체에서 전력을 차단하는 방법인데, 이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방법에 대해 치중되어 있다.
이러한 예의 하나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35718호에는 전기제품을 콘센트에서 분리하지 않는 경우에 계속하여 소모되는 대기전력을 차단하기 위하여 콘센트 자체에 전원 공급의 제어를 할 수 있는 스위치 등을 구비하고, 이 스위치의 제어를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콘센트까지 접근하지 않고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렇게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방법은 사용되지 않는 전력이 불필요하게 공급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방법이다.
한편, 전기요금을 산정하는 방법 중 피크전력요금제는 전기요금 중 기본요금을 피크전력을 기준으로 하여 부과하는 것이다. 여기서, 피크전력은 15분간의 평균전력(전력사용량[kWh]/공급시간[h])을 말하며, 일정시간(15분 단위)마다 검침한 값 중 월 최대치가 당월 피크전력이 된다.
피크전력이 커지면 기본요금이 높아져 전기요금이 많이 발생하므로, 최근에는 피크전력을 높이지 않는 방법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대부분은 이러한 전체 피크전력을 낮추기 위해서, 전체 피크전력을 측정하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강제적으로 미리 정해진 일부 전기장치의 전원공급을 일정시간 동안 차단하는 방법으로 연구가 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방법은 획일적으로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는 점에서 효율적이지 않고, 또한 일단 차단된 전원을 어떻게 복구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는 점에서 개선이 필요하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35718호(2012.4.16 공개) (대기전력콘센트 제어시스템) 요약, 청구항 1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0-67343호(2010.6.21 공개) (피크전력 관리방법) 요약, 청구항 1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각 개별콘센트별로 전력사용정보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알 수 있는 개별 및 전체 피크전력 값을 이용하여 전원공급의 제어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전원공급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통신기능 및 전력사용정보 추출 기능, 전력공급 제어기능이 구비된 하나 이상의 콘센트 장치로부터 상기 개별 콘센트 장치에서 추출된 전력사용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개별 콘센트 장치의 전력사용정보로부터 알 수 있는 상기 콘센트 장치의 개별 피크전력을 이용하여 전체 피크전력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전체피크전력이 설정된 제1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콘센트 장치 중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경우 상기 전체 피크전력이 상기 제1설정값 이하로 되는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선택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콘센트 장치의 피크전력을 이용한 전원공급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통신기능 및 전력사용정보 추출 기능, 전력공급 제어기능이 구비된 하나 이상의 콘센트 장치로부터 상기 개별 콘센트 장치에서 추출된 전력사용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개별 콘센트 장치의 전력사용정보로부터 알 수 있는 상기 콘센트 장치의 개별 피크전력을 이용하여 전체 피크전력을 산출하는 피크전력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전체피크전력이 설정된 제1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콘센트 장치 중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경우 상기 전체 피크전력이 상기 제1설정값 이하로 되는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고, 상기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선택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콘센트별전원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콘센트 장치의 피크전력을 이용한 전원공급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제어시스템은 상기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선택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기 직전의 피크전력을 저장하는 콘센트별피크전력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별전원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전체피크전력이 설정된 제2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저장된 피크전력을 이용하여 전원 공급이 차단된 콘센트 장치 중 전원 공급이 재개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고, 상기 전원 공급이 재개되도록 선택된 콘센트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콘센트별전원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전체피크전력이 설정된 제3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센트별전원제어부는 상기 전원 공급이 재개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할 때, 상기 전원 공급이 차단된 콘센트의 전원 공급을 재개하는 경우 상기 전원 공급이 재개되는 콘센트 장치에 대하여 저장된 피크전력만큼 상기 전체 피크전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상기 가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소정의 제4설정값을 초과하지 않는 콘센트 장치를 상기 전원 공급이 재개될 콘센트 장치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제어시스템은 상기 산출된 전체피크전력이 상기 제1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 알람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제어시스템은 전원 공급이 차단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이 등록된 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설정부는 시간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상기 전원 공급이 차단될 콘센트 장치가 선택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콘센트별전원제어부는 상기 설정부에 설정된 방법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이 차단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크전력산출부는 상기 개별 콘센트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력사용정보를 이용한 개별 피크전력을 합산하여 상기 전체 피크전력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센트별전원제어부는 상기 전원 공급이 차단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할 때, 전원 공급을 차단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된 콘센트 장치는 선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력사용정보는 상기 콘센트 장치에서 사용된 전력에 대한 정보일 수도 있고, 피크전력에 대한 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콘센트별전원제어부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경우 상기 전체 피크전력이 상기 제1설정값 이하로 되는 콘센트 장치 중 a)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콘센트 장치가 선택되도록 하는 방법, b) 상기 측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상기 제1설정값 이하가 될 때까지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순위에 따라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상기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 c) 전원 차단이 된 상태에서 측정되는 상기 전체 피크전력이 상기 제1설정값을 초과하지 않고 최대치가 되는 콘센트 장치의 조합이 되는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 d) 최소한의 콘센트 장치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 e) 상기 전체 피크전력 증가에 제일 많이 기여한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 및 f) 상기 a) 내지 e) 방법 중 둘 이상을 조합하는 방법 중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상기 전원공급이 차단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각 개별 콘센트 장치의 전력사용정보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알 수 있는 개별 및 전체 피크전력을 이용하여 전원 차단 및 재개에 이용하므로 보다 효율적인 전력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원공급제어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표
도 5는 본 발명의 전원공급제어방법 중 전원공급의 차단을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원공급제어방법 중 차단된 전원공급의 재개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록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 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각 개별 콘센트 장치에 사물 인터넷 개념을 도입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체 피크전력이 사용자가 설정한 값 이내가 되도록 효율적으로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또는 만물인터넷(Internet of Everything)으로도 통용하는 기술은 최근 IT업계에서 급부상하고 있는 개념으로 기기간 통신(M2M)에서 발전한 개념이다. 가전제품,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헬스케어, 원격검침, 스마트홈, 스마트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물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기술을 뜻한다.
사물 인터넷의 개념을 도입하기는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각 장치간의 통신은 반드시 인터넷망을 통한 통신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장치간 통신이 가능한 모든 방식을 통한 통신이 가능하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원공급제어시스템(200)은 다수의 콘센트 장치(100-1, 100-2,…, 100-n; 이하 하나의 콘센트 장치를 지칭할 때에는 100)와 통신을 하며, 각 개별 콘센트 장치(100-1, 100-2,…, 100-n)로부터 측정된 각 개별 콘센트 장치의 전력사용정보를 수신하고, 이로부터 알 수 있는 각 개별 콘센트의 피크전력을 이용하여 전체 피크전력을 산출하고 전체 피크전력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어떤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지를 결정하고, 이렇게 복수개의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전체 피크전력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에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었던 콘센트 장치 중 어떤 콘센트 장치의 전원을 복구할지를 결정한다.
각 콘센트 장치에는 전력사용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모듈과, 통신을 위한 모듈과 전원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모듈이 포함되어, 각 콘센트 장치(100)는 측정된 전력사용정보를 전원공급제어시스템(200)에 전송하고, 전원공급제어시스템(200)으로부터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받아서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도 2를 통하여 콘센트 장치(100) 및 전원공급제어시스템(200)의 구성을 보다 세부적으로 알아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콘센트 장치(100)는 전력사용정보추출부(110), 제1통신부(120) 및 전원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원공급제어시스템(200)은 피크전력산출부(210), 제2통신부(220), 콘센트별피크전력저장부(230), 콘센트별전원제어부(240), 설정부(250) 및 알람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력사용정보추출부(110)는 콘센트 장치(100)의 전력사용정보를 추출한다.
전력사용정보는 단순히 각 콘센트 장치(100)가 얼마나 전력을 사용하였는지 측정한 정보가 될 수도 있고, 이렇게 측정된 전력을 이용하여 산출한 피크전력이 될 수도 있다.
여기서, 피크전력은 일정시간 동안의 평균전력을 의미하는 값으로, 통상적으로 15분의 시간동안의 평균전력을 의미한다.
전력사용정보추출부(110)에서 전력사용정보로 피크전력을 추출하는 경우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측정 전 15분간의 평균전력을 측정하여 피크전력을 산출한다. 피크전력의 측정 간격은 시스템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피크전력을 측정하는 방법은 현재 많이 알려져 있는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통신부(120)는 전원공급제어시스템(200)과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을 하는 방식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터넷 망을 이용한 통신도 가능하고, 유, 무선을 통하여 직접 통신하는 방식도 가능하는 등, 그 형태에 제한은 없다.
제1통신부(120)를 통하여 전송되는 정보는 콘센트 장치(100)에서 전원공급제어시스템(200)으로 전송하는 전력사용정보에 대한 정보와, 전원공급제어시스템(200)에서 콘센트 장치(100)로 전송하는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
전원제어부(130)는 전원공급제어시스템(200)의 제어신호를 제1통신부(120)를 통하여 받아서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즉, 보통 때에는 콘센트장치에 연결된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지만, 전원공급제어시스템(2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도 하며, 차단된 전원 공급을 다시 재개하기도 한다.
전원공급제어시스템(200)의 피크전력산출부(210)는 각 콘센트 장치(100)의 전력사용정보추출부(110)로부터 추출된 전력사용정보로부터 알 수 있는 각 개별 콘센트의 피크전력을 이용하여 전체 피크전력을 산출한다.
이 때, 개별 콘센트장치의 전력사용정보추출부(110)에서 전송하는 정보가 측정된 전력정보만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개별 콘센트장치의 피크전력을 산출한 후, 이를 합산하여 전체 피크전력을 산출하고, 전력사용정보에 각 개별 콘센트장치의 피크전력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 개별 피크전력을 이용하여 전체 피크전력을 산출한다.
각 콘센트 장치(100)의 전력사용정보추출부(110)는 서로 동기화되어 있어서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간격으로 전력 또는 피크전력을 측정하여 전송하고, 피크전력산출부(210)는 동일 시간에 측정된 전력 또는 피크전력을 이용하여 각 시간별로 개별 및 전체 피크전력을 산출한다.
종래의 피크전력을 측정하던 방식은 하나의 주택, 혹은 공장 등 전기요금이 부가되는 단위로 그 단위의 전체 피크전력을 측정하던 방식이었으므로, 이미 이러한 피크전력측정장치가 구비된 주택 등은 이렇게 측정된 피크전력을 전체 피크전력으로 그대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각 개별 콘센트 장치(100)마다 전력사용정부추출부(110)에서 전력 또는 피크전력을 측정하고, 이 값을 이용하여 전체 피크전력을 산출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전체 피크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다만, 전체 피크전력 측정의 대상이 되는 모든 콘센트에 본 발명과 같은 콘센트 장치(100)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건물에 10개의 콘센트가 있는데 그 중 5개만 본 발명의 콘센트 장치(100)를 설치한 경우에는 전체 피크전력을 별도로 측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즉, 전원 공급을 제어해야 하는지 여부의 결정은 전력사용정보추출부(110)가 구비되지 않은 콘센트까지 포함한 전체 피크전력을 이용하여 결정하고, 전체 피크전력이 사용자가 설정한 값 이상이 된 경우 전원 공급의 제어는 본 발명이 적용된 콘센트만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전체 피크전력을 각 개별 콘센트 장치(100)로부터 측정된 값을 합산하여 산출하는 것이 아니라, 별개의 피크전력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제2통신부(220)는 각 콘센트 장치(100)의 제1통신부(120)와 통신을 한다.
통신을 하는 방식은 제1통신부(120)에 관한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터넷 망을 이용한 통신도 가능하고, 유, 무선을 통하여 직접 통신하는 방식도 가능하는 등, 그 형태에 제한은 없다.
또한, 통신을 통하여 전송되는 정보도 제1통신부(12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콘센트 장치(100)에서 전원공급제어시스템(200)으로 전송하는 전력에 대한 정보와, 전원공급제어시스템(200)에서 콘센트 장치(100)로 전송하는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
콘센트별피크전력저장부(230)는 피크전력산출부(210)로부터 출력되는 각 콘센트 장치(100)별 피크전력을 저장한다.
콘센트 장치(100)별 피크전력은 일정 주기마다 혹은 각 콘센트장치별 피크전력이 변경될 때마다 각 개별 콘센트 장치(100)의 피크전력을 모두 저장할 수도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콘센트별전원제어부(240)가 콘센트 장치(100)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할 때, 차단되기 직전의 피크전력만을 저장할 수도 있다.
콘센트별전원제어부(240)는 전체 피크전력을 기준으로 측정된 피크전력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측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일부의 콘센트 장치(100)를 통한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고, 측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설정된 값 이하로 내려간 경우에는 다시 차단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재개되도록 한다.
사용자 등에 의해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어떤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것인지 선택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먼저, 제1방법으로, 사용자가 미리 선택해 놓은 콘센트 장치가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센트 장치가 a, b, c, d, e 이렇게 5개가 있는 경우, 전체 피크전력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콘센트 장치 e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설정한 경우에는, 전체 피크 전력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콘센트 장치 e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제2방법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순서에 따라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방법에서 사용자가 전원 차단이 되어야 하는 1순위로 콘센트 장치 e를, 2순위로 콘센트 장치 d를, 3순위로 콘센트 장치 c를 설정해 놓은 경우, 일단 측정된 전체 피크 전력이 설정된 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먼저 콘센트 장치 e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그래도 측정된 전체 피크 전력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 우에는 콘센트 장치 d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그래도 측정된 전체 피크 전력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콘센트 장치 c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이 때, 콘센트 장치 a, b와 같이 우선순위 설정을 하지 않거나, 전원 공급이 차단될 우선 순위에서 예외로 설정한 콘센트 장치는 콘센트 장치 e, d, c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측정된 전체 피크 전력이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더라도 전원 공급이 차단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전체 피크전력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목적은 전체 피크전력의 상승으로 인해 전기요금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 일차적인 목적이지만, 전기요금의 상승 방지가 가장 우선적으로 달성되어야 하는 목적은 아니므로, 즉 전기요금을 아끼기 위하여 꼭 필요한 장치의 사용도 제한하려고 하는 것은 아니므로, 사용자가 전원 공급 차단의 예외 설정을 한 장치에 대해서는 전체 피크전력이 설정한 값을 초과하더라도 전원 공급이 차단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방법과 다른 점은, 제1방법에서는 측정된 피크전력이 측정된 값을 초과하면 무조건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므로, 지정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 이후의 측정된 피크전력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불문하지만, 본 방법은 측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설정된 값 이하가 될 때까지 우선순위에 따라 해당되는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이다.
제1방법은 전원 공급을 차단하지 않고 계속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전기장치들이 많아서 전체 피크전력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더라도 함부로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어려운 경우에 많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고, 제2방법은 상대적으로 전원 공급을 차단하더라도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전기장치가 많은 경우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3방법으로, 측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여서 소정의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경우, 전원 차단이 된 상태에서 측정되는 전체 피크전력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지 않은 상태에서 최대치가 되는 콘센트 장치의 조합을 찾아서 해당되는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에서, 각 콘센트 장치 A, B, C, D의 측정된 피크전력이 각각 4, 10, 15, 33 KW 이고, 설정된 피크전력이 50 KW 라고 가정하면, 측정된 총 피크전력은 62 KW 이므로, 전체 피크전력은 12 KW 초과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콘센트 장치 A, B의 전원을 차단하면 총 피크전력은 49 KW 가 되고, 콘센트 장치 C의 전원을 차단하면 총 피크전력은 48 KW 가 된다.
따라서, 콘센트별전원제어부(240)는 콘센트 장치 A, B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제2통신부(220)를 통하여 해당되는 콘센트 장치에 전송하게 된다.
제4방법으로, 측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여서 소정의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경우, 최소한의 콘센트 장치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의 경우를 다시 예로 들어보면, 콘센트 장치 C나 D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게 되면 하나의 콘센트 장치의 전원만 차단하여도 전체 피크전력이 설정된 값 이하로 내려가게 되므로, 제4방법에서는 콘센트 장치 C나 D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가능한 후보가 2개 이상인 경우, 다른 예에서 적용되었던 방법을 추가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방법과 제3방법을 조합한 새로운 방법(제5방법)을 통하여 전원 공급이 차단될 콘센트 장치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4방법에 다르면 콘센트 장치 C 나 D 중 하나의 콘센트 장치의 전원공급만 차단하면 되므로 콘센트 장치 C 나 D 중에서 임의의 하나가 결정되도록 하지만, C를 차단하는 경우에는 차단된 후 전체 피크전력이 47 KW 이고, D를 차단하는 경우에는 29 KW 이므로 제3방법의 규칙에 따라 콘센트 장치 C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한다.
제2방법과 제3방법을 조합한 제6방법을 통하여 전원이 차단될 콘센트 장치가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6방법을 도 4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콘센트 장치 A, B, C, D의 측정된 피크전력이 각각 4, 10, 14, 33 KW 이고, 설정된 피크전력이 50 KW, 콘센트 장치 D에 대해서는 차단 예외 설정이 되어 있으며, 콘센트 장치 A, B, C에 대해서는 A, C, B의 순으로 우선순위가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측정된 총 피크전력은 61 KW 이므로, 전체 피크전력은 11 KW 초과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일부 전원을 차단하는 경우 측정된 피크 전력이 설정된 값 50 KW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대값을 가지는 경우는 콘센트 장치 A, B를 동시에 차단하거나, 콘센트 장치 C만을 차단하는 경우이다.
이 때, 콘센트 장치 A에 최우선의 우선순위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콘센트 장치 A가 포함된 그룹인 콘센트 장치 A, B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제7방법으로, 전체 피크전력 증가하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피크전력 증가에 제일 많이 기여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갑자기 증가하여 10 KW가 증가한 경우, 다른 콘센트 장치의 피크전력은 별 변화가 없지만, 어느 하나의 콘센트 장치의 피크전력만 10KW 정도 증가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그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제7방법을 이용하여 전원 공급이 차단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경우에, 절대적인 증가값(KW)을 기준으로 전원 공급이 차단될 콘센트 장치가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고, 각 콘센트 장치별로 피크 전력 증가치를 비율로 연산하여 그 비율이 가장 높은 콘센트 장치가 전원 공급이 차단될 콘센트 장치로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7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증가 여부를 비교하기 위한 주기가 설정되어야 하며, 이 주기는 시스템 제작시 시스템 설계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사용 중에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전원공급의 차단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전체 피크전력은 하나의 값만 설정될 수도 있고, 여러 개의 값이 설정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복수의 값(조건)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피크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각값에 도달할 때마다 동일한 방식으로 전원공급이 차단될 콘센트 장치가 선택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각각의 조건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전원공급이 차단될 콘센트 장치가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2개의 값을 설정한 경우의 예를 들어본다.
사용자가 초과하지 말아야 하는 피크전력을 100KW로 설정하고, 그보다 90%의 피크전력, 즉 90 KW의 경우에도 1차적으로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설정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렇게 2중으로 설정을 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생각한 피크전력에 근접한 전력이 사용되는 경우, 갑작스런 전기 사용의 증가로 피크전력이 증가되는 경우 사용자가 허용할 수 있는 최대값이라고 생각한 값을 초과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어, 현재 사용자가 계약되어 있는 피크전력이 110 KW이고, 이 피크전력을 기준으로 전기요금 중의 기본요금이 책정되어 있고, 사용자가 상기한 계약된 값을 초과하지 않기 위하여 100 KW 정도로 1차적인 설정만을 한 경우, 피크전력이 99 KW 정도를 유지하는 동안에는 별도의 동작을 하지 않고 계속된 사용을 허용하게 된다.
그러다 순간적으로 전기 사용이 급증하여 피크전력이 11 KW 이상 증가하는 경우에는 피크전력이 110 KW를 초과하게 될 것이고, 피크전력이 한번이라도 계약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본요금이 상승되므로,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증가된 전기요금을 납부해야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기본 값으로 100KW를 설정하지만, 그보다 낮은 피크전력에 도달하는 경우, 예를 들어 설정된 값의 90% 인 90 KW에 도달하는 경우에도 미리 소정의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주의를 주도록 하고, 피크전력이 허용 최대치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예에서는 1차적으로 설정한 90 KW 에 도달한 경우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방법(제1방법)을 도입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렇게 피크전력이 90 KW에 도달하는 경우에 콘센트별전원제어부(240)는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며, 그 후 다시 100KW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시 사용자가 선택한 제1 내지 6방법 중의 하나의 방법 등을 통하여 다시 그 방법에 따라 선택되는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콘센트별전원제어부(240)는 측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여 일부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다시 측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설정값 이하로 떨어진 경우에는 전원 공급이 차단된 콘센트 장치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다시 전원 공급이 재개되도록 한다.
이 때, 전원 공급을 재개하기 위해 사용되는 콘센트 장치를 선택할 때에는 전원 공급이 차단된 콘센트 장치의 차단 직전 피크전력을 이용하여 선택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 공급이 차단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 차단 직전의 피크전력은 콘센트별피크전력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한다.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설정값과 전원 공급을 재개하기 위한 설정값은 서로 같은 값이 될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값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전원 공급을 재개하기 위한 설정값은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설정값보다 낮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의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전원 공급 차단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1차 값을 제1설정값, 1차로 일부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 후 2차로 전원 공급 차단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값을 제2설정값, 그리고 전원 공급이 차단된 콘센트 장치에 전원 공급을 재개하기 위한 값을 제3설정값이라고 하면, 제3설정값은 제2설정값과 같거나 작을 수 있으며, 제1설정값과 제2설정값 사이 혹은 제2설정값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설정값을 90 KW, 제2설정값을 100 KW라고 하면, 전원 공급을 재개하기 위한 제3설정값은 100 KW 미만의 값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 공급을 재개하기 위한 설정값을 설정하는 경우에도 하나의 값만을 설정하지 않고 복수의 값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원 공급을 재개하기 위한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기 위해 이용되는 방법도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기 위해 이용되는 방법과 같이 복수의 방법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전원 공급을 재개하기 위한 방법은 기본적으로, 콘센트별피크전력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전원 공급 차단 당시의 각 콘센트 장치별 피크전력을 기준으로, 전원 공급이 차단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을 재개하면 전원 공급을 차단할 당시의 피크전력이 사용된다는 가정이 이용된다.
전원 공급이 차단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을 재개할지 여부를 결정할 때에는 해당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을 재개하였을 때 가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제3설정값을 초과하는지 초과하지 않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을 할 수도 있고, 단순히 현재(전원 공급을 재개하기 전) 측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제3설정값 이하인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어떤 기준을 이용하여 판단할 것인지는 시스템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단순히 현재 측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제3설정값 이하인 경우 전원 공급이 차단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재개되도록 설정한 경우에는, 전원 공급이 재개된 후 전체 측정 피크전력이 제1설정값 또는 제2설정값 또는 제1설정값 및 제2설정값과는 별개로 설정한 제4설정값(제1설정값 또는 제2설정값과 동일할 수 있음)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만 전원 공급이 재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 공급이 재개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도 전원 공급이 차단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전원 공급이 재개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도 매우 많은 경우의 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측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제3설정값 이하로 내려간 경우 전원 공급이 차단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을 재개하고, 이 때 전원 공급을 재개하더라도 측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제1설정값 또는 제2설정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로 한정을 하여 대표적인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특정 콘센트 장치만을 특정한 경우에는 전원 공급이 차단된 후 전체 측정 피크전력이 제3설정값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에 차단된 다른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은 재개하지 않고 사용자가 특정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만 해당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재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사용자가 우선순위를 매겨놓은 경우, 전원 공급이 차단된 콘센트 장치 중에서 그 우선순위에 따라 전원 공급을 재개할 콘센트 장치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우선순위는 전원 공급을 차단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할 때 이용된 우선순위의 역순일 수도 있고, 그와 상관없이 사용자가 별도로 지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선순위의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을 재개하는 경우에는 제1설정값 또는 제2설정값을 초과하는 것이 예상되는 경우에, 후순위의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재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고, 선순위의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을 재개하는 경우에는 측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제1설정값 또는 제2설정값을 초과하는 것이 예상되지만, 그 다음 순위의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을 재개하는 경우에는 제1설정값 또는 제2설정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차순위의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재개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자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순위가 매우 중요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고, 후자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순위도 중요하지만, 보다 더 많은 전기 장치가 계속하여 사용되는 것을 더 우선시하는 경우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 전원 공급을 재개하는 경우 예상되는 전체 피크전력이 제1설정값 또는 제2설정값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대가 되는 콘센트 장치의 조합을 찾아서 해당되는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재개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전원 공급을 재개하는 경우 예상되는 전체 피크전력이 제1설정값 또는 제2설정값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전원 공급이 재개가 되는 콘센트 장치의 수가 최대가 되는 콘센트 장치의 조합을 찾아서 해당되는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재개되도록 할 수 있다.
전원 공급이 재개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은 위의 방법 중 하나 이상의 방법을 조합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여 콘센트 장치가 선택되도록 할 때, 복수의 그룹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더라도 그 조건을 만족할 때, 그 그룹 중 어느 그룹의 전원 공급을 재개할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다른 방법을 도입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원 공급 차단한 후 다시 전원 공급을 재개할지 여부는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전기장치가 오동작하여 순간적으로 과부하가 걸리는 등의 사정으로 피크전력이 증가된 경우에는, 그러한 오동작이 종료되고, 일정 시간이 지나 안정화된 후에 전원 공급의 재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3설정값이 제1설정값이나 제2설정값과 근접한 경우에는 전원 공급을 차단한 후 측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조금만 내려가도 다시 전원 공급을 재개하고, 다시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등의 동작이 빈번해질 수 있으므로,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전원 공급의 재개 여부를 판단하여, 너무 빈번한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정부(250)는 사용자 또는 시스템 설계자에 의해 설정된 각종 조건 등을 등록한다.
설정부(250)에 저장되는 정보에는 제1설정값, 제2설정값과 같은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값, 제3설정값과 같이 전원 공급이 차단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을 재개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값, 전원 공급을 차단시킬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 전원 공급이 차단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을 재개하는 방법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
전원 공급을 차단하거나 재개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에는 그 방법에 필요한 정보들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우선순위를 이용하여 콘센트 장치가 선택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등이 설정한 우선순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것이고, 사용자가 전원 공급의 차단이나 재개시 예외 설정을 한 경우에는 그 예외 설정된 콘센트 장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것이다.
한편, 설정부(250)에 설정되는 정보는 시간정보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즉, 시간에 따라 각기 다른 설정값이 적용되거나 전원 공급이 차단되거나 재개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이 달리 적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순위와 같은 경우, 여름철의 낮에는 냉방의 우선순위를 뒤로 미루고, 저녁에는 냉방의 우선순위를 앞으로 두어, 측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밤에는 우선적으로 냉방에 관련된 전기장치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고, 낮에는 냉방이 계속하여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렇게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기 위해 이용되는 방법, 조건, 설정값 등이 시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한번만 설정하면 다시 재설정할 필요없이 효율적으로 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알람부(260)는 측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사용자가 설정한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에 그 사실을 알리는 알람 메시지를 전송한다.
알람부(260)에는 메시지가 전송될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 등을 미리 등록받아 저장하고 있으며, 알람부(260)는 알람 메시지를 문자메시지, 이메일 기타 이용가능한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송되도록 한다.
소정의 메시지를 문자메시지, 이메일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기술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여기에서는 그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 본 발명의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자가 2단계로 값을 설정한 경우에 이에 따라 해당되는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고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제1설정값 및 제2설정값을 설정하는 과정이나, 기타 전원 공급이 차단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을 위하여 우선 순위 등 각종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은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과정이 아니므로 별도로 도시하지 않고 생략하였다.
사용자가 설정부(250)에 콘센트 장치의 전워 공급을 차단하거나 재개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설정값,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 조건 등을 설정할 때에는 그 설정되는 정보가 적용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도 같이 설정될 수 있다는 점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먼저, 제2통신부(220)는 각 콘센트 장치(100)의 제1통신부(120)로부터 각 콘센트 장치(100)의 전력사용정보추출부(110)에서 추출된 전력사용정보를 수신한다(501).
각 콘센트 장치(100)는 사용되는 전력을 측정하여, 이 측정된 전력을 전력사용정보로 전송할 수도 있고, 측정된 전력을 이용하여 피크전력을 산출하고, 이 산출된 피크전력을 전력사용정보로 전송할 수도 있다는 점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또한, 각 콘센트 장치(100)에서 전력을 측정하는 방법이나, 제1통신부(120)와 제2통신부(220) 사이의 통신하는 방법은 종래의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그 방법에 제한이 없음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피크전력산출부(210)는 각 콘센트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전력사용정보로부터 알 수 있는 각 개별 콘센트의 피크전력을 이용하여 전체 피크전력을 산출한다(502).
전체 피크전력을 산출하는 방법은 단순히 각 콘센트 장치(100)의 전력사용정보추출부(110)로부터 측정된 동일시간대의 전력 또는 피크전력을 이용하여 전체 피크전력을 산출할 수도 있고, 전체 전력사용량을 이용하여 피크전력을 직접 측정하는 장치로부터 전체 수신되는 값을 이용하거나, 직접 전체 전력사용량으로부터 전체 피크전력을 측정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전체 피크전력량을 산출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는 점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콘센트별전원제어부(240)는 측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미리 설정된 제1설정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고(503), 만약 제1설정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전원 공급이 차단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여, 선택된 콘센트 장치의 현재 피크전력을 콘센트별피크전력저장부(230)에 저장하고(504), 선택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한다(505).
콘센트별전원제어부(240)로부터 전원 공급을 차단하라는 제어신호를 수신한 콘센트 장치의 전원제어부(130)는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이 되지 않도록 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2단계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 제1설정값 및 제2설정값을 설정하는 것을 가정한 것이다.
각 설정값에 따라 전원 공급이 차단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은 다를 수 있다는 점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전원 공급이 차단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으로는 사용자가 미리 선택해 놓은 콘센트 장치가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고, 측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제1설정값 이하가 될 때까지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순위에 따라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할 수도 있고, 전원 차단이 된 상태에서 측정되는 전체 피크전력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지 않고 최대치가 되는 콘센트 장치의 조합을 찾아서 해당되는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할 수도 있고, 최소한의 콘센트 장치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여 선택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할 수도 있고, 피크전력 증가에 제일 많이 기여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방법을 조합하여 차단될 콘센트 장치가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측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제1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과 동시에 알람부(260)는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연락처로 측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제1설정값을 초과하였다는 알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는 점도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1차로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여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측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제2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506)에는 콘센트별전원제어부(240)는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전원 공급이 차단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여, 선택된 콘센트 장치의 현재 피크전력을 콘센트별피크전력저장부(230)에 저장하고(507), 선택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한다(508).
이 경우에도 측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제1설정값을 초과할 때와 같이, 알람부(260)는 사용자에게 알람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제1설정값을 초과할 경우에 전원 공급이 차단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이 측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제1설정값이 초과되면 계속하여 전원 차단을 할 콘센트 장치를 추가하는 방식인 경우에는 측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제2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갑자기 측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제2설정값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제2설정값에 따라 설정된 콘센트 장치 선택방법에 따라 해당되는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고, 전원을 차단한다.
또한, 제1설정값에 따른 콘센트 장치 선택 방법이 제1설정값과 무관한 경우, 예를 들어 측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제1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만 차단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1차적으로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하더라도, 다시 측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제2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제2설정값에 대응되는 콘센트 장치 선택 방법에 따라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고 그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일부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측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제3설정값 이하로 되는 경우 전원 공급을 재개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에서 유사하게, 사용자가 제3설정값을 설정하는 과정이나, 기타 전원 공급을 재개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을 위하여 우선 순위 등 각종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은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과정이 아니므로 별도로 도시하지 않고 생략하였다.
사용자가 설정부(250)에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을 재개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설정값,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 조건 등을 설정할 때에는 그 설정되는 정보가 적용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도 같이 설정될 수 있다는 점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또한, 도 6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원 공급 차단한 후 다시 전원 공급을 재개할지 여부는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는 점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먼저, 도 5에서와 동일하게 제2통신부(220)는 각 콘센트 장치(100)의 제1통신부(120)로부터 각 콘센트 장치(100)의 전력사용정보추출부(110)에서 추출한 전력사용정보를 수신하고(601), 이로부터 알 수 있는 각 개별 콘센트의 피크전력을 이용하여 전체 피크전력을 산출한다(602).
콘센트별전원제어부(240)는 측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미리 설정된 제3설정값 이하인지 판단하고(603), 만약 제3설정값 이하인 경우에는 차단된 콘센트 장치 중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선택되는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재개되도록 한다(604).
이 때,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설정값(제1설정값, 제2설정값)과 전원 공급을 재개하기 위한 설정값(제3설정값)은 서로 같은 값이 될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값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원 공급을 재개하기 위한 설정값은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설정값보다 낮도록 하는 것이 좋다는 점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전원 공급을 재개하기 위한 방법은 기본적으로, 콘센트별피크전력저장부(230)에 저장되어 있는 전원 공급 차단 당시의 각 콘센트 장치별 피크전력을 기준으로, 전원 공급이 차단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을 재개하면 전원 공급을 차단할 당시의 피크전력이 사용된다는 가정이 이용된다는 점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또한, 전원 공급이 차단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을 재개할지 여부를 결정할 때에는 해당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였을 때 제3설정값을 초과하는지 초과하지 않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을 할 수도 있고, 단순히 현재(전원 공급을 재개하기 전) 측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제3설정값 이하인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도 있으며, 만약 단순히 현재 측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제3설정값 이하인 경우 전원 공급이 차단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재개되도록 설정한 경우에는, 전원 공급이 재개된 후 전체 측정 피크전력이 제1설정값 또는 제2설정값 또는 제1설정값 및 제2설정값과는 별개로 설정한 제4설정값(제1설정값 또는 제2설정값과 동일할 수 있음)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만 전원 공급이 재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도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전원 공급이 재개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도 전원 공급이 차단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특정 콘센트 장치만을 특정한 경우에는 전원 공급이 차단된 후 전체 측정 피크전력이 제3설정값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에 차단된 다른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은 재개하지 않고 사용자가 특정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만 해당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재개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우선순위를 매겨놓은 경우, 전원 공급이 차단된 콘센트 장치 중에서 예상되는 전체 피크전력이 제1설정값 또는 제2설정값을 초과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그 우선순위에 따라 전원 공급을 재개할 콘센트 장치가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전원 공급을 재개하는 경우 예상되는 전체 피크전력이 제1설정값 또는 제2설정값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대가 되는 콘센트 장치의 조합을 찾아서 해당되는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재개되도록 할 수도 있고, 전원 공급을 재개하는 경우 예상되는 전체 피크전력이 제1설정값 또는 제2설정값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전원 공급이 재개가 되는 콘센트 장치의 수가 최대가 되는 콘센트 장치의 조합을 찾아서 해당되는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재개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복수의 방법을 조합하는 경우도 가능하다는 점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5와 도 6을 분리하여 설명하였지만, 도 5와 도 6의 방법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즉, 전체 피크전력을 산출한 후, 그 값이 제1설정값 또는 제2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제3설정값 이하로 되는 경우에는 차단된 콘센트 장치 중 전원 공급을 재개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여 전원 공급을 재개하는 등,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1)

  1. 통신기능 및 전력사용정보 추출 기능, 전력공급 제어기능이 구비된 하나 이상의 콘센트 장치로부터 상기 개별 콘센트 장치에서 추출된 전력사용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개별 콘센트 장치의 전력사용정보로부터 알 수 있는 상기 콘센트 장치의 개별 피크전력을 이용하여 전체 피크전력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전체피크전력이 설정된 제1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콘센트 장치 중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경우 상기 전체 피크전력이 상기 제1설정값 이하로 되는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선택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콘센트 장치의 피크전력을 이용한 전원공급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제어방법은
    상기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선택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기 직전의 피크전력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전체피크전력이 설정된 제2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저장된 피크전력을 이용하여 전원 공급이 차단된 콘센트 장치 중 전원 공급이 재개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전원 공급이 재개되도록 선택된 콘센트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콘센트 장치의 피크전력을 이용한 전원공급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제어방법은
    상기 산출된 전체피크전력이 설정된 제3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콘센트 장치의 피크전력을 이용한 전원공급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이 재개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 공급이 차단된 콘센트의 전원 공급을 재개하는 경우, 상기 전원 공급이 재개되는 콘센트 장치에 대하여 저장된 피크전력만큼 상기 전체 피크전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상기 가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소정의 제4설정값을 초과하지 않는 콘센트 장치를 상기 전원 공급이 재개될 콘센트 장치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콘센트 장치의 피크전력을 이용한 전원공급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제어방법은
    상기 산출된 전체피크전력이 상기 제1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 알람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콘센트 장치의 피크전력을 이용한 전원공급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이 차단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는
    시간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상기 전원 공급이 차단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콘센트 장치의 피크전력을 이용한 전원공급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전체 피크전력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개별 콘센트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력사용정보를 이용한 개별 피크전력을 합산하여 상기 전체 피크전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콘센트 장치의 피크전력을 이용한 전원공급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이 차단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된 콘센트 장치는 선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콘센트 장치의 피크전력을 이용한 전원공급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사용정보는 상기 콘센트 장치에서 사용된 전력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콘센트 장치의 피크전력을 이용한 전원공급제어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경우 상기 전체 피크전력이 상기 제1설정값 이하로 되는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단계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경우 상기 전체 피크전력이 상기 제1설정값 이하로 되는 콘센트 장치 중 a)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콘센트 장치가 선택되도록 하는 방법, b) 상기 측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상기 제1설정값 이하가 될 때까지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순위에 따라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상기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 c) 전원 차단이 된 상태에서 측정되는 상기 전체 피크전력이 상기 제1설정값을 초과하지 않고 최대치가 되는 콘센트 장치의 조합이 되는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 d) 최소한의 콘센트 장치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 e) 상기 전체 피크전력 증가에 제일 많이 기여한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 및 f) 상기 a) 내지 e) 방법 중 둘 이상을 조합하는 방법 중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콘센트 장치의 피크전력을 이용한 전원공급제어방법.
  11. 통신기능 및 전력사용정보 추출 기능, 전력공급 제어기능이 구비된 하나 이상의 콘센트 장치로부터 상기 개별 콘센트 장치에서 추출된 전력사용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개별 콘센트 장치의 전력사용정보로부터 알 수 있는 상기 콘센트 장치의 개별 피크전력을 이용하여 전체 피크전력을 산출하는 피크전력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전체피크전력이 설정된 제1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콘센트 장치 중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경우 상기 전체 피크전력이 상기 제1설정값 이하로 되는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고, 상기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선택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콘센트별전원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콘센트 장치의 피크전력을 이용한 전원공급제어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제어시스템은
    상기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선택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기 직전의 피크전력을 저장하는 콘센트별피크전력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별전원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전체피크전력이 설정된 제2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저장된 피크전력을 이용하여 전원 공급이 차단된 콘센트 장치 중 전원 공급이 재개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고, 상기 전원 공급이 재개되도록 선택된 콘센트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콘센트 장치의 피크전력을 이용한 전원공급제어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별전원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전체피크전력이 설정된 제3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콘센트 장치의 피크전력을 이용한 전원공급제어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별전원제어부는
    상기 전원 공급이 재개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할 때, 상기 전원 공급이 차단된 콘센트의 전원 공급을 재개하는 경우 상기 전원 공급이 재개되는 콘센트 장치에 대하여 저장된 피크전력만큼 상기 전체 피크전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상기 가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소정의 제4설정값을 초과하지 않는 콘센트 장치를 상기 전원 공급이 재개될 콘센트 장치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콘센트 장치의 피크전력을 이용한 전원공급제어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제어시스템은
    상기 산출된 전체피크전력이 상기 제1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 알람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콘센트 장치의 피크전력을 이용한 전원공급제어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제어시스템은
    전원 공급이 차단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이 등록된 설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설정부는 시간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상기 전원 공급이 차단될 콘센트 장치가 선택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콘센트별전원제어부는 상기 설정부에 설정된 방법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이 차단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콘센트 장치의 피크전력을 이용한 전원공급제어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크전력산출부는
    상기 개별 콘센트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력사용정보를 이용한 개별 피크전력을 합산하여 상기 전체 피크전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콘센트 장치의 피크전력을 이용한 전원공급제어시스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별전원제어부는
    상기 전원 공급이 차단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할 때, 전원 공급을 차단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된 콘센트 장치는 선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콘센트 장치의 피크전력을 이용한 전원공급제어시스템.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사용정보는 상기 콘센트 장치에서 사용된 전력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콘센트 장치의 피크전력을 이용한 전원공급제어시스템.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별전원제어부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경우 상기 전체 피크전력이 상기 제1설정값 이하로 되는 콘센트 장치 중 a)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콘센트 장치가 선택되도록 하는 방법, b) 상기 측정된 전체 피크전력이 상기 제1설정값 이하가 될 때까지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순위에 따라 콘센트 장치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상기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 c) 전원 차단이 된 상태에서 측정되는 상기 전체 피크전력이 상기 제1설정값을 초과하지 않고 최대치가 되는 콘센트 장치의 조합이 되는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 d) 최소한의 콘센트 장치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 e) 상기 전체 피크전력 증가에 제일 많이 기여한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방법 및 f) 상기 a) 내지 e) 방법 중 둘 이상을 조합하는 방법 중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상기 전원공급이 차단될 콘센트 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콘센트 장치의 피크전력을 이용한 전원공급제어시스템.
  2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30169337A 2013-12-31 2013-12-31 개별 콘센트 장치의 피크전력을 이용한 전원 공급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201500803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337A KR20150080326A (ko) 2013-12-31 2013-12-31 개별 콘센트 장치의 피크전력을 이용한 전원 공급 제어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337A KR20150080326A (ko) 2013-12-31 2013-12-31 개별 콘센트 장치의 피크전력을 이용한 전원 공급 제어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326A true KR20150080326A (ko) 2015-07-09

Family

ID=53792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9337A KR20150080326A (ko) 2013-12-31 2013-12-31 개별 콘센트 장치의 피크전력을 이용한 전원 공급 제어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032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6228B2 (en) Thermal energy storage apparatus, controllers and thermal energy storage control methods
JP6011951B2 (ja) エネルギー管理装置、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エネルギー管理方法、プログラム
WO2015122196A1 (ja) 在宅状況判定装置、配送システム、在宅状況判定方法、在宅状況判定プログラム、および配送端末
JP5705637B2 (ja) 電力制御装置及び電力制御方法
US1171097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a battery with AC power based on state of battery related information
JP6426234B2 (ja) 電力制御装置、電力制御方法、及び電力制御システム
KR20160140266A (ko)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30113434A1 (en) Electricity storage device, electricity storage control method, management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electricity storage system
KR20130125184A (ko) 스마트그리드 지원 지능형 절전콘센트
JP6481942B2 (ja) 電力管理システム、電力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073003A (ja) 電力制御システム、方法及び遮断制御装置
JP6173382B2 (ja) 制御装置、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WO2015098988A1 (ja) 蓄電池装置、機器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20120111210A (ko) 대기 전력 제어 시스템과 이의 동작 방법
KR20140045888A (ko) 최종 사용자 기반 백업 관리
EP3331117B1 (en) Power saving control device and power saving control method
KR20150080326A (ko) 개별 콘센트 장치의 피크전력을 이용한 전원 공급 제어시스템 및 방법
JP6783630B2 (ja) 機器制御装置、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062639A (ja)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6376379B2 (ja) 電力管理装置
JP6454929B2 (ja) 蓄電池制御システム、蓄電池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631870B2 (ja) 電力管理システム、電力管理装置、電力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28020B2 (ja) 電力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電力制御の方法
KR20150005345A (ko) 전력 관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력 관리 시스템
JP2018527670A (ja) 給電継続モジュール、システ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