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9448A - 쿨링모듈 및 차량용 냉방시스템 - Google Patents

쿨링모듈 및 차량용 냉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9448A
KR20150079448A KR1020140191975A KR20140191975A KR20150079448A KR 20150079448 A KR20150079448 A KR 20150079448A KR 1020140191975 A KR1020140191975 A KR 1020140191975A KR 20140191975 A KR20140191975 A KR 20140191975A KR 20150079448 A KR20150079448 A KR 20150079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radiator
header tank
refrigerant
h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1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5848B1 (ko
Inventor
최준영
신현근
안용남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1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848B1/ko
Priority to US14/904,958 priority patent/US10005354B2/en
Priority to PCT/KR2014/013027 priority patent/WO2015102362A1/ko
Priority to JP2016525312A priority patent/JP6196733B2/ja
Priority to CN201480042899.1A priority patent/CN105492232B/zh
Priority to DE112014003060.0T priority patent/DE112014003060B4/de
Publication of KR20150079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6/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condenser circuits
    • F25B6/04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condenser circuits arranged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08Multi-circuit heat exchangers, e.g. integrating different heat exchange sections in the same unit or heat exchangers for more than two fluids
    • F28D1/0426Multi-circuit heat exchangers, e.g. integrating different heat exchange sections in the same unit or heat exchangers for more than two fluids with units having particular arrangement relative to the large body of fluid, e.g. with interleaved units or with adjacent heat exchange units in common air flow or with units extending at an angle to each other or with units arranged around a central element
    • F28D1/0435Combination of units extending one behind the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1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28D1/05325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with particular pattern of flow, e.g. change of flow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34Header boxes; End plates having a second heat exchanger disposed there within, e.g. oil coo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with means for cooling the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with means for cooling the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with means for cooling the electrical propulsion units the electric stor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with means for cooling the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200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with means for cooling the electrical propulsion units the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7Water-cooled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F28D1/0536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28D1/05391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with multiple rows of conduits or with multi-channel conduits combined with a particular flow pattern, e.g. multi-row multi-stage radi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ometr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쿨링모듈(1000)은 엔진을 냉각하기 위한 제1라디에이터(100); 공기흐름방향으로 상기 제1라디에이터(100) 전측에 위치되며 전장부품을 냉각하기 위한 제2라디에이터(200); 공기흐름방향으로 상기 제2라디에이터(200) 전측에 위치되며 외기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응축하는 제1응축기(300); 및 상기 제2라디에이터(200) 내부에 구비되고 전장부품 냉각수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응축하는 제2응축기(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쿨링모듈(1000)은 고온 고압의 냉매가 수냉식의 제2응축기(400)를 통과한 후, 공랭식의 제1응축기(300)를 통과함으로써 냉매의 냉각 효율을 높여 차량용 냉방시스템(2000)의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쿨링모듈 및 차량용 냉방시스템{Cooling module and Cooling System for Vehicles}
본 발명은 쿨링모듈 및 차량용 냉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제1라디에이터, 제2라디에이터, 제1응축기 및 제2라디에이터 내부의 제2응축기를 포함하여 냉매의 응축 성능을 높여 냉방효율을 향상하고, 압축기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쿨링모듈 및 차량용 냉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이 장착된 차량에서는 엔진의 가동 시 발생하는 열이 실린더 헤드, 피스톤, 밸브 등에 전도되며, 이로 인하여 이 부품들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아지면 열팽창이나 열화에 따라 부품의 강도가 떨어지고, 엔진 수명이 단축되며, 연소상태도 나빠져 노킹이나 조기점화가 발생하여 엔진의 출력도 저하된다.
또한, 엔진의 냉각이 불완전하게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실린더 내주면의 유막이 끊어지는 등 윤활기능도 저하됨과 아울러 엔진오일이 변질됨으로써 실린더의 이상마모를 일으키게 될 뿐만 아니라 피스톤이 실린더 내벽 면에 융착되는 현상도 발생하게 된다.
한편, 차량에서는 엔진 외에도 모터, 인버터, 배터리 스택 등을 포함하는 전기, 전자 구성품인 전장부품 역시 냉각해야하는 데, 상기 엔진을 통과한 냉각수와 전장부품을 통과한 냉각수는 일정 온도 차이가 발생되어 하나의 냉각 시스템을 갖지 못한다.
도 1은 차량용 냉각 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 (a) 는 엔진 냉각 시스템을, 도 1 (b)는 전장부품 냉각 시스템을 나타내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엔진 냉각 시스템(10)은 엔진(1)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를 순환하는 워터펌프(15), 냉각수를 냉각하는 제1라디에이터(11), 상기 제1라디에이터(11)로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1냉각수저장탱크(13), 및 제1냉각수조절캡(12)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엔진 냉각 시스템(10)은 상기 제1라디에이터(11)와, 워터펌프(15), 및 엔진(1)이 제1연결라인(14)을 통해 연결된다.
또, 상기 전장부품 냉각 시스템(20)은 전장부품(2)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를 순환하는 워터펌프(25), 및 냉각수를 냉각하는 제2라디에이터(21), 상기 제2라디에이터(21)로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2냉각수저장탱크(23), 및 제2냉각수조절캡(22)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전장부품 냉각 시스템(20)은 상기 전장부품(2)이 인버터 및 스타터 겸용 제너레이터를 포함하도록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아울러, 상기 전장부품 냉각 시스템(20) 역시 상기 엔진 냉각 시스템(1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라디에이터(21)와, 워터펌프(24), 및 전장부품(2)은 제2연결라인(24)을 통해 연결된다.
이 때, 상기 제1라디에이터(11) 및 제2라디에이터(21)는 응축기(30)와 팬 및 쉬라우드 조립체(40)를 포함하여 쿨링모듈(50)을 구성하며, 주행풍 및 상기 팬 및 쉬라우드 조립체(4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된다.
상기 쿨링모듈(50)의 일예를 도 2에 도시하였다.
그러나, 도 2에 도시한 형태의 경우, 제2라디에이터(21)의 형성 영역만큼 응축기(30)의 크기가 줄어들어 충분한 응축 효능을 기대하기 어렵고, 제2라디에이터(21) 역시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의 양을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다른 쿨링모듈(50)로서, 다른 예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에 도시한 쿨링모듈(50)은 공기 흐름방향으로 응축기(30), 제2라디에이터(21), 및 제1라디에이터(11)가 병렬로 나열된다. 그러나, 도 3에 도시한 형태의 경우, 응축기(3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공기가 제2라디에이터(21)를 통과하게 되므로, 상기 제2라디에이터(21)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상기 응축기(30)의 부하량에 따라, 상기 제2라디에이터(21)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에 급격한 차이가 발생됨에 따라 안정적인 제2라디에이터(21)의 성능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쿨링모듈을 구성하는 제1라디에이터, 제2라디에이터 및 응축기의 각 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소형화 가능한 쿨링모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2013-0012986호(발명의 명칭 : 쿨링모듈 및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라디에이터, 제2라디에이터, 제1응축기 및 제2라디에이터 내부의 제2응축기를 포함하여 냉매의 응축 성능을 높여 냉방효율을 향상하고, 압축기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쿨링모듈 및 차량용 냉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고온 고압의 냉매가 수냉식의 제2응축기를 통과한 후, 공랭식의 제1응축기를 통과함으로써 냉매의 냉각 효율을 높여 차량용 냉방시스템의 효율을 향상하고, 과열 냉매의 비체적을 빠르게 줄여 압축기의 토출압력을 낮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압축기의 부하를 줄임으로써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냉방을 위해 소모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쿨링모듈 및 차량용 냉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쿨링모듈은 엔진을 냉각하기 위한 제1라디에이터; 공기흐름방향으로 상기 제1라디에이터 전측에 위치되며 전장부품을 냉각하기 위한 제2라디에이터; 공기흐름방향으로 상기 제2라디에이터 전측에 위치되며 외기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응축하는 제1응축기; 및 상기 제2라디에이터 내부에 구비되고 전장부품 냉각수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응축하는 제2응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쿨링모듈은 고온 고압의 냉매가 수냉식의 제2응축기를 통과한 후, 공랭식의 제1응축기를 통과함으로써 냉매의 냉각 효율을 높여 차량용 냉방시스템의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쿨링모듈은 상기 제2응축기로 유입된 냉매가 전장부품 냉각수와 열교환되고, 연결배관을 통해 상기 제1응축기로 유입되며, 공기와 열교환되어 배출된다. 즉, 본 발명의 고온 고압의 냉매를 전장부품 냉각수를 통해 1차로 냉각하고, 외기와 2차로 냉각하여 제1응축기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더욱 낮출 수 있어 제1라디에이터 및 제2라디에이터의 냉각 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라디에이터는, 제1헤더와 제1탱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며, 차량 폭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1헤더탱크와, 상기 제1헤더탱크에 양단이 고정되어 엔진 냉각수 유로를 형성하는 제1튜브와, 상기 제1튜브 사이에 개재되는 제1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라디에이터는, 제2헤더와 제2탱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며, 차량 폭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2헤더탱크와, 상기 제2헤더탱크에 형성되어 전장부품 냉각수를 유입하는 입구부 및 배출하는 출구부와, 상기 제2헤더탱크에 양단이 고정되어 전장부품 냉각수 유로를 형성하는 제2튜브와, 상기 제2튜브 사이에 개재되는 제2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쿨링모듈은, 상기 제2응축기가 상기 제2헤더탱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차량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2응축기 내부의 냉매 흐름과 상기 제2응축기가 구비되는 제2헤더탱크 내부의 전장부품 냉각수 흐름이 서로 반대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쿨링모듈은, 상기 제2라디에이터의 입구부가 상기 제2응축기가 내장되지 않은 제2헤더탱크의 차량 높이방향 상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2응축기로 냉매를 유입하는 제1배관이 차량 높이방향 하측에 위치됨으로써, 배관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응축기 내부의 냉매가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응축기가 내장되는 상기 제2헤더탱크 내부의 전장부품 냉각수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되어 서로 흐름이 반대로 형성되어 열교환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응축기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냉매를 유입 또는 배출하는 한 쌍의 입출구 보스부와, 상기 한 쌍의 입출구 보스부에 양단이 고정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며, 이 때, 상기 제2응축기의 열교환부는 이중관형 또는 판형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응축기는, 제3헤더 및 제3탱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며, 차량 폭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3헤더탱크와, 상기 제2헤더탱크에 양단이 고정되어 냉매 유로를 형성하는 제3튜브와, 상기 제2튜브 사이에 개재되는 제3핀과, 상기 제2헤더탱크의 일측에 구비되는 기액분리기와, 상기 제2헤더탱크에 형성되어 냉매를 배출하는 제2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쿨링모듈은, 상기 연결배관 및 제2배관이 각각 상기 제2응축기가 구비된 측의 제3헤더탱크 상측 및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기액분리기가 상기 제2응축기가 구비되지 않은 측의 제3헤더탱크에 연결되어, 냉매의 유입(제1배관), 연결(제1응축기와 제2응축기를 연결하는 연결배관), 배출(제2배관)을 위한 배관들이 차량 폭방향으로 일측에 구비되어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응축기는, 상기 연결배관을 통해 유입된 냉매가 일부 제3튜브를 유동하면서 응축되는 응축영역과, 상기 기액분리기를 통해 기액분리되는 분리영역과, 상기 기액분리기를 통해 분리된 액상 냉매가 나머지 제3튜브를 유동하면서 과냉각되는 과냉각영역을 포함한다.
또, 상기 쿨링모듈은, 차량 폭방향으로 상기 제2라디에이터의 길이가 상기 제1라디에이터 및 제1응축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쿨링모듈은 3열로서, 각 열교환기(제1라디에이터, 제2라디에이터 및 제1응축기)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제2응축기의 응축 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차량 길이방향으로 쿨링모듈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쿨링모듈은 차량 폭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제2헤더 사이에 상기 한 쌍의 제1헤더 및 상기 한 쌍의 제3헤더가 위치되어 제1라디에이터, 제2라디에이터 및 제1응축기의 차량 길이방향으로 가장 두꺼운 각 헤더를 기준으로 제2라디에이터의 제2헤더 사이에 제1라디에이터의 제1헤더 및 제1응축기의 제3헤더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차량 길이방향으로 쿨링모듈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쿨링모듈은 차량 폭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제2헤더 사이에 상기 기액분리기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라디에이터는, 상기 제2응축기가 내장되지 않은 제2헤더탱크 내부를 차량 높이방향으로 상측 및 하측으로 구획하는 배플이 구비되고, 상기 배플에 의해 구획된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상기 입구부 및 출구부가 연결되며, 상기 입구부를 통해 제2헤더탱크 내부로 유입된 전장부품 냉각수가 일부 제2튜브를 통해 상기 제2응축기가 내장된 제2헤더탱크로 이동되고 다시 나머지 제2튜브를 통해 상기 제2응축기가 내장되지 않은 제2헤더탱크로 이동되어 상기 출구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라디에이터는, 상기 출구부가 상기 응축기가 내장된 제2헤더탱크의 차량 높이방향 하측에 연결되며, 상기 입구부를 통해 제2헤더탱크 내부로 유입된 전장부품 냉각수가 상기 제2튜브를 통해 상기 응축기가 내장된 제2헤더탱크로 이동되어 상기 출구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차량용 냉방시스템은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시키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순차적으로 응축시키며, 상술한 바와 같은 쿨링모듈을 구성하는 제2응축기 및 제1응축기; 상기 제2응축기 및 제1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교축시키는 팽창밸브; 및 상기 팽창밸브를 통해 공급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쿨링모듈 및 차량용 냉방시스템은 제1라디에이터, 제2라디에이터, 제1응축기 및 제2라디에이터 내부의 제2응축기를 포함하여 냉매의 응축 성능을 높여 냉방효율을 향상하고, 압축기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쿨링모듈 및 차량용 냉방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고온 고압의 냉매가 수냉식의 제2응축기를 통과한 후, 공랭식의 제1응축기를 통과함으로써 냉매의 냉각 효율을 높여 차량용 냉방시스템의 효율을 향상하고, 과열 냉매의 비체적을 빠르게 줄여 압축기의 토출압력을 낮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압축기의 부하를 줄임으로써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냉방을 위해 소모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차량용 냉각 시스템.
도 2 및 도 3은 각각 종래의 쿨링모듈을 나타낸 개략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쿨링모듈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종방향 단면개략도, 및 상측방향 평면도.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쿨링모듈의 제2응축기를 나타낸 도면.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쿨링모듈의 제2라디에이터 내부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쿨링모듈의 냉매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냉방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쿨링모듈(1000) 및 차량용 냉방시스템(2000)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쿨링모듈(1000)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종방향 단면개략도, 및 상측방향 평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쿨링모듈(1000)의 제2응축기(4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쿨링모듈(1000)의 제2라디에이터(200) 내부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쿨링모듈(1000)의 냉매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냉방시스템(20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쿨링모듈(1000)은 제1라디에이터(100), 제2라디에이터(200), 제1응축기(300), 및 제2응축기(4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라디에이터(100)는 엔진을 냉각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내부에 엔진 냉각수가 유동되어 외기와 열교환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1라디에이터(100)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1헤더탱크(110)와, 상기 제1헤더탱크(110)에 양단이 고정되어 엔진 냉각수 유로를 형성하는 제1튜브(120)와, 상기 제1튜브(120) 사이에 개재되는 제1핀(130)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제1헤더탱크(110)는 각각 제1헤더(111)와 제1탱크(11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차량 폭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라디에이터(200)는 전장부품을 냉각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제2라디에이터(200)는 공기 흐름방향으로 상기 제1라디에이터(100) 전측에 위치되며, 내부에 전장부품 냉각수가 유동되어 외기와 열교환된다. 상기 전장부품은 엔진 외에 모터, 인버터, 배터리 스택 등을 포함하는 전기, 전자 구성품으로서, 이 외에도 엔진보다 낮은 발열온도를 가지며 냉각해야하는 전자 구성품들일 수 있다. 즉, 상기 제2라디에이터(200)는 전기자동차(EV)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HEV)에 구비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2라디에이터(200)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2헤더탱크(210)와, 상기 제2헤더탱크(210)에 형성되어 전장부품 냉각수를 유입하는 입구부(241) 및 배출하는 출구부(242)와, 상기 제2헤더탱크(210)에 양단이 고정되어 전장부품 냉각수 유로를 형성하는 제2튜브(220)와, 상기 제2튜브(220) 사이에 개재되는 제2핀(230)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제2헤더탱크(210)는 각각 제2헤더(211)와 제2탱크(21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며, 차량 폭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헤더(211)는 상기 제2튜브(220)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2튜브(220)에 대응되는 크기로 중공된 튜브삽입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제2탱크(212)와 결합되어 내부에 전장부품 냉각수가 유동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제2헤더탱크(210) 중 하나에는 상기 제2응축기(400)가 내장되며, 상기 제2응축기(400)가 내장되는 제2헤더탱크(210)의 제2탱크(212)에 상기 제2응축기(400)를 고정하며 상기 제2응축기(400)로 냉매를 공급하고 배출하기 위하여 중공부(212a)가 형성된다.
상기 제1응축기(300)는 공기 흐름방향으로 상기 제2라디에이터(200) 전측에 위치되며 외기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응축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1응축기(300)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3헤더탱크(310)와, 상기 제3헤더탱크(310)에 양단이 고정되어 냉매 유로를 형성하는 제3튜브(320)와, 상기 제3튜브(320) 사이에 개재되는 제3핀(330)과, 상기 제3헤더탱크(310) 일측에 구비되는 기액분리기(34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한 쌍의 제3헤더탱크(310)는 차량 폭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며, 제3헤더(311) 및 제3탱크(31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2응축기(400)는 상기 제2라디에이터(200) 내부에 구비되고, 전장부품 냉각수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응축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2응축기(400)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냉매를 유입 또는 배출하는 한 쌍의 입출구 보스부(410)와, 상기 입출구 보스부(410)에 양단이 고정되어 내부에 냉매가 이동되는 열교환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부(420)는 이중관형 또는 판형일 수 있으며, 상기 도 8은 내관(421) 및 외관(422)을 포함하는 이중관형 열교환기로서, 내관(421)과 외관(422) 사이 공간에 냉매가 유동되는 형태를 나타내었고, 상기 도 9는 플레이트(423)가 적층되는 판형 열교환기를 나타내었다. 이 때, 상기 제2응축기(400)는 상기 제2라디에이터(200)의 제2헤더탱크(210) 내부에 구비되는 바, 상기 제2헤더탱크(210)가 차량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므로, 상기 제2응축기(400) 역시, 상기 제2헤더탱크(210)의 길이방향(차량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냉매와 전장부품 냉각수가 열교환되는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응축기(400)는 전장부품 냉각수와 열교환되는 수냉식 열교환기이며, 상기 제1응축기(300)는 외기와 열교환되는 공랭식 열교환기로서, 본 발명의 쿨링모듈(1000)은 상기 제2응축기(400)로 유입된 냉매가 전장부품 냉각수와 열교환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을 통과한 냉매가 상기 제1응축기(300)로 유입되어 외기와 열교환되는 제2영역을 통과한 후 배출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쿨링모듈(1000)은 냉매가 1차로 상기 제2응축기(400)에 의해 냉각되고, 2차로 상기 제1응축기(300)에 의해 냉각됨으로써 과열 냉매의 비체적을 빠르게 줄여 냉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공랭식 응축기만 구비되는 형태에 비하여 본 발명의 제1응축기(300)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더욱 낮출 수 있어 제2라디에이터(200)의 냉각 성능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쿨링모듈(1000)은 열교환면적을 충분히 확보하고, 냉매의 냉각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차량 폭방향으로 제2라디에이터(200)의 길이(L200)가 상기 제1라디에이터(100)의 길이(L100) 및 제1응축기(300)의 길이(L300)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 참조) 즉, 상기 제2응축기(400)가 내장되는 제2라디에이터(200)의 크기를 차량 폭방향으로 가장 크게 형성함으로써 제2응축기(400)의 냉매 응축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 때, 차량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제2헤더(211) 사이에 상기 한 쌍의 제1헤더(111) 및 상기 한 쌍의 제3헤더(311)가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쿨링모듈(1000)은 상기 한 쌍의 제1헤더탱크(110), 한 쌍의 제2헤더탱크(210), 및 한 쌍의 제3헤더탱크(310)가 각각 차량 폭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므로, 차량 길이방향으로 각 열교환기의 길이를 결정하는 구성은 제1헤더(111), 제2헤더(211) 및 제3헤더(311)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쿨링모듈(1000)은 상기 한 쌍의 제2헤더(211) 사이에 상기 한 쌍의 제1헤더(111) 및 상기 한 쌍의 제3헤더(311)가 위치됨으로써, 제1라디에이터(100), 제2라디에이터(200) 및 제1응축기(300)가 차량 길이방향으로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어 차량 길이방향으로의 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쿨링모듈(1000)은 차량 폭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제2헤더(211) 사이에 상기 기액분리기(340)가 위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쿨링모듈(1000)은 공기흐름방향으로 제1응축기(300), 제2라디에이터(200), 및 제1라디에이터(100)가 구비되는 3열의 형태로서, 전장부품 라디에이터와 응축기가 동일한 열에 구비되는 형태의 경우, 코어부(튜브 및 핀) 형성 영역은 2열로 형성됨에 따라 차량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를 줄일 수 있으나, 전장부품 라디에이터 내부에 수냉식 응축기를 구비하기 위해서는 전장부품 라디에이터의 헤더탱크 크기가 차량 길이방향으로 커질 수밖에 없어 실제적인 전체 길이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쿨링모듈(1000)은 3열로 형성되어 각 열교환기(제1응축기(300), 제2라디에이터(200), 및 제1라디에이터(100))의 열교환면적을 증대하고, 특히, 제2라디에이터(200) 내부의 제2응축기(400)가 구비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냉매의 냉각 성능을 보다 높일 수 있으며, 차량 길이방향으로 제1응축기(300), 제2라디에이터(200) 및 제1라디에이터(100)가 밀착 배치될 수 있어 차량 길이방향으로의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쿨링모듈(1000)은 제2응축기(400)가 상기 한 쌍의 제2헤더탱크(210) 중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2응축기(400)가 구비되지 않은 제2헤더탱크(210)의 차량 높이방향 상측에 상기 제2라디에이터(200)로 전장부품 냉각수를 유입하기 위한 입구부(241)가 구비되며, 상기 제2응축기(400)로 냉매를 유입하는 제1배관(510)이 상기 제2헤더탱크(210)의 차량 높이방향 하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라디에이터(200)의 일측 제2헤더탱크(210) 내부에 제2응축기(400)가 구비되되, 제2응축기(400) 하측으로 냉매가 공급되어 상측으로 이동되며, 타측 제2헤더탱크(210)(제2응축기(400)가 구비되지 않은 제2헤더탱크(210))의 상측에 입구부(241)가 구비되어 일측 제2헤더탱크(210) 내부에서 전장부품 냉각수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제2응축기(400)가 구비되는 일측 제2헤더탱크(210) 내부에서 전장부품 냉각수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2응축기(400) 내부의 냉매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됨으로써 냉매의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차량 높이방향으로, 제2응축기(400) 내부의 냉매 흐름과 제2응축기(400)가 내장되는 제2헤더탱크(210) 내부의 전장부품 냉각수 흐름이 서로 반대) 상기 도 10 및 도 11은 상기 제2라디에이터(200) 내부의 전장부품 냉각수 및 냉매 흐름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전장부품 냉각수의 흐름을 실선으로, 냉매의 흐름을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도 10 및 도 11은 도면 좌측의 제2헤더탱크(210)에 제2응축기(400)가 내장되며, 도면 우측의 제2헤더탱크(210) 상측에 입구부(241)가 형성된 예로서, 상기 도 10은 출구부(242)가 제2응축기(400)가 구비되지 않은 제2헤더탱크(210) 하측에 형성된 예로서, U 플로우 타입의 흐름을 갖는 예를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도 11은 출구부(242)가 제2응축기(400)가 구비된 제2헤더탱크(210) 하측에 형성된 예로서, 크로스 플로우 타입의 흐름을 갖는 예를 나타내었다.
먼저, 도 10을 참조로, U 플로우 타입의 전장부품 냉각수 흐름을 살펴본다. 이 경우, 타측 제2헤더탱크(210) 내부에 배플(213)이 구비되어, 상기 입구부(241)를 통해 타측 제2헤더탱크(210) 내부로 유입된 전장부품 냉각수는 일부 제2튜브(220)를 통해 일측 제2헤더탱크(210)로 이동되어 일측 제2헤더탱크(210) 내부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되고, 나머지 제2튜브(220)를 통해 타측 제2헤더탱크(210)로 이동된 후 상기 출구부(242)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U 플로우 타입의 제2라디에이터(200)는 타측 제2헤더탱크(21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입구부(241) 및 출구부(242)가 구비됨으로써 배관 연결이 용이하도록 하고, 일측 제2헤더탱크(210) 내부 전체를 제2응축기(400)가 구비되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도 11에 도시한 크로스 플로우 타입은 상기 입구부(241)를 통해 타측 제2헤더탱크(210) 내부로 유입된 전장부품 냉각수는 제2튜브(220)를 통해 일측 제2헤더탱크(210)로 이동되며 상기 일측 제2헤더탱크(210) 내부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된 후 출구부(242)를 통해 배출된다.
본 발명의 쿨링모듈(1000)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형태 외에도, 더욱 다양한 전장부품 냉각수 흐름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쿨링모듈(1000)은 팬 및 쉬라우드 조립체(6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4 내지 도 7에서, 공기흐름방향으로 상기 제1라디에이터(100)의 후측에 구비된 예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쿨링모듈(1000)은 상기 제1배관(510)에 의해 상기 제2응축기(400)의 하측으로 냉매가 공급되며, 상기 제2응축기(400)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2응축기(400)와 제1응축기(30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배관(520)에 의해 제1응축기(300)로 유입되고, 상기 제1응축기(300)를 통과한 냉매는 상기 제1응축기(300)에 형성된 제2배관(530)을 통해 배출된다. 이 때, 상기 연결배관(520)은 일측 단부가 상기 제2응축기(400)의 상측과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차량 폭방향으로 상기 제2응축기(400)가 구비된 측의 제3헤더탱크(310) 상측과 연결되며, 상기 제2배관(530)은 차량 폭방향으로 상기 제2응축기(400)가 구비된 측의 제3헤더탱크(310)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기액분리기(340)가 상기 제2응축기(400)가 구비되지 않은 측의 제3헤더탱크(31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쿨링모듈(1000)은 냉매의 유입, 연결, 및 배출을 위한 각 배관들이 차량 폭방향으로 제2응축기(400)가 구비된 측에 위치되어 배관 구성을 단순화 할 수 있으며, 그 반대측에 기액분리기(340)가 구비됨으로써 설계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도 12에 도시한 냉매의 흐름을 살펴보면, 상기 제1배관(510)을 통해 상기 제2응축기(400)로 유입된 냉매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전장부품 라디에이터와 1차로 열교환된 후, 상기 연결배관(520)을 통해 상기 제1응축기(300)로 유입된다. 상기 연결배관(520)을 통해 유입된 냉매는 일부 제2튜브(220)를 유동하면서 응축되는 응축영역(A1)을 거쳐, 상기 기액분리기(340)로 이동되고, 상기 기액분리기(340)를 통해 기액분리되는 분리영역(A2)을 통과하여 분리된 액상 냉매가 나머지 상기 제3튜브(320)를 유동하면서 과냉각되는 과냉각영역을 거쳐 상기 제2배관(530)을 통해 배출된다. 이 때, 상기 제1응축기(300)의 제3헤더탱크(310) 내부에는 상기 응축영역(A1)과 과냉각영역을 구획하는 배플(미도시)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쿨링모듈(1000)은 상기 도 12에 도시된 냉매 흐름 외에도, 상기 제1배관(510), 연결배관(520), 제2배관(530)의 위치와 배플의 형성 개수 및 위치를 변경하여 더욱 다양한 흐름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차량용 냉방시스템(2000)은 압축기(2100), 상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제2응축기(400) 및 제1응축기(300), 팽창밸브(2200), 및 증발기(2300)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기(2100)(Compressor)는 동력공급원(엔진 또는 모터 등)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면서 증발기(2300)에서 토출된 기상 냉매를 흡입,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상기 제2응축기(400)로 토출하게 된다.
상기 제2응축기(400)로 유입된 냉매는 수냉식으로 1차 냉각된 후, 상기 제1응축기(300)로 이동되어 공랭식으로 2차 냉각된다. 이를 통해, 상기 압축기(2100)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가 고온 고압의 액체 상태로 응축된다.
상기 팽창밸브(2200)(Expansion Valve)는 상기 제1응축기(300)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액상 냉매를 교축작용으로 급속히 팽창되어 저온 저압의 습포화 상태로서 상기 증발기(2300)로 토출한다.
상기 증발기(2300)는(Evaporator)는 상기 팽창밸브(2200)에서 교축된 저압의 액상 냉매를 차량 실내 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시켜 증발시킴으로써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한 흡열작용으로 차량 실내에 토출되는 공기를 냉각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차량용 냉방시스템(2000)은 상기 제2응축기(400) 및 제1응축기(300)가 구비됨에 따라 냉방 효율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과열 냉매의 비체적을 빠르게 줄여 압축기(2100)의 토출압력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냉매를 빠르게 응축하여 과열 냉매의 비체적을 빠르게 줄여 압력손실을 최소화하고, 냉매의 압력강하량을 줄일 수 있어 압축기(2100)의 토출압력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압축기(2100)의 부하를 줄임으로써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냉방을 위해 소모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0 : 쿨링모듈
100 : 제1라디에이터
110 : 제1헤더탱크 111 : 제1헤더
112 : 제1탱크
120 : 제1튜브
130 : 제1핀
200 : 제2라디에이터
210 : 제2헤더탱크 211 : 제2헤더
212 : 제2탱크 212a : 중공부
213 : 배플
220 : 제2튜브
230 : 제2핀
241 : 입구부 242 : 출구부
300 : 제1응축기
310 : 제3헤더탱크 311 : 제3헤더
312 : 제3탱크
320 : 제3튜브
330 : 제3핀
340 : 기액분리기
400 : 제2응축기
410 : 입출구 보스부
420 : 열교환부
421 : 내관 422 : 외관
423 : 플레이트
510 : 제1배관
520 : 연결배관
530 : 제2배관
600 : 팬 및 쉬라우드 조립체
A1 : 응축영역 A2 : 분리영역
A3 : 과냉영역
L100 : 제1라디에이터의 차량 폭방향 길이
L200 : 제2라디에이터의 차량 폭방향 길이
L300 : 제1응축기의 차량 폭방향 길이
2000 : 차량용 냉방 시스템
2100 : 압축기
2200 : 팽창밸브
2300 : 증발기

Claims (18)

  1. 엔진을 냉각하기 위한 제1라디에이터;
    공기흐름방향으로 상기 제1라디에이터 전측에 위치되며 전장부품을 냉각하기 위한 제2라디에이터;
    공기흐름방향으로 상기 제2라디에이터 전측에 위치되며 외기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응축하는 제1응축기; 및
    상기 제2라디에이터 내부에 구비되고 전장부품 냉각수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응축하는 제2응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모듈은 상기 제2응축기로 유입된 냉매가 전장부품 냉각수와 열교환되고, 연결배관을 통해 상기 제1응축기로 유입되며, 공기와 열교환되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라디에이터는,
    제1헤더와 제1탱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며, 차량 폭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1헤더탱크와,
    상기 제1헤더탱크에 양단이 고정되어 엔진 냉각수 유로를 형성하는 제1튜브와,
    상기 제1튜브 사이에 개재되는 제1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라디에이터는,
    제2헤더와 제2탱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며, 차량 폭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2헤더탱크와,
    상기 제2헤더탱크에 형성되어 전장부품 냉각수를 유입하는 입구부 및 배출하는 출구부와,
    상기 제2헤더탱크에 양단이 고정되어 전장부품 냉각수 유로를 형성하는 제2튜브와,
    상기 제2튜브 사이에 개재되는 제2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모듈은,
    상기 제2응축기가 상기 한 쌍의 제2헤더탱크 중 하나의 내부에 상기 제2헤더탱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차량 높이방향으로 상기 제2응축기 내부의 냉매 흐름과 상기 제2응축기가 구비되는 제2헤더탱크 내부의 전장부품 냉각수 흐름이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모듈은 상기 제2라디에이터의 입구부가 상기 제2응축기가 내장되지 않은 제2헤더탱크의 차량 높이방향 상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모듈은 상기 제2응축기로 냉매를 유입하는 제1배관이 차량 높이방향 하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모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응축기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냉매를 유입 및 배출하는 한 쌍의 입출구 보스부와, 상기 한 쌍의 입출구 보스부에 양단이 고정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응축기의 열교환부는 이중관형 또는 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모듈.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응축기는,
    제3헤더 및 제3탱크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며, 차량 폭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3헤더탱크와,
    상기 제3헤더탱크에 양단이 고정되어 냉매 유로를 형성하는 제3튜브와,
    상기 제3튜브 사이에 개재되는 제3핀과,
    상기 제3헤더탱크의 일측에 구비되는 기액분리기와,
    상기 제3헤더탱크에 형성되어 냉매를 배출하는 제2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모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모듈은,
    상기 연결배관 및 제2배관이 각각 상기 제2응축기가 구비된 측의 제3헤더탱크 상측 및 하측에 연결되고,
    상기 기액분리기가 상기 제2응축기가 구비되지 않은 측의 제3헤더탱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응축기는,
    상기 연결배관을 통해 유입된 냉매가 일부 제3튜브를 유동하면서 응축되는 응축영역과,
    상기 기액분리기를 통해 기액분리되는 분리영역과,
    상기 기액분리기를 통해 분리된 액상 냉매가 나머지 제3튜브를 유동하면서 과냉각되는 과냉각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모듈.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모듈은,
    차량 폭방향으로 상기 제2라디에이터의 길이가 상기 제1라디에이터 및 제1응축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모듈은 차량 폭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제2헤더 사이에 상기 한 쌍의 제1헤더 및 상기 한 쌍의 제3헤더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모듈은 차량 폭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제2헤더 사이에 상기 기액분리기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모듈.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라디에이터는,
    상기 제2응축기가 내장되지 않은 제2헤더탱크 내부를 차량 높이방향으로 상측 및 하측으로 구획하는 배플이 구비되고,
    상기 배플에 의해 구획된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상기 입구부 및 출구부가 연결되며,
    상기 입구부를 통해 제2헤더탱크 내부로 유입된 전장부품 냉각수가 일부 제2튜브를 통해 상기 제2응축기가 내장된 제2헤더탱크로 이동되고 다시 나머지 제2튜브를 통해 상기 제2응축기가 내장되지 않은 제2헤더탱크로 이동되어 상기 출구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모듈.
  1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라디에이터는,
    상기 출구부가 상기 응축기가 내장된 제2헤더탱크의 차량 높이방향 하측에 연결되며,
    상기 입구부를 통해 제2헤더탱크 내부로 유입된 전장부품 냉각수가 상기 제2튜브를 통해 상기 응축기가 내장된 제2헤더탱크로 이동되어 상기 출구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모듈.
  18.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시키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순차적으로 응축시키며,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쿨링모듈에 의한 제2응축기 및 제1응축기;
    상기 제2응축기 및 제1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교축시키는 팽창밸브; 및
    상기 팽창밸브를 통해 공급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냉방시스템.
KR1020140191975A 2013-12-31 2014-12-29 쿨링모듈 및 차량용 냉방시스템 KR102205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975A KR102205848B1 (ko) 2013-12-31 2014-12-29 쿨링모듈 및 차량용 냉방시스템
US14/904,958 US10005354B2 (en) 2013-12-31 2014-12-30 Cooling module and cooling system for vehicle
PCT/KR2014/013027 WO2015102362A1 (ko) 2013-12-31 2014-12-30 쿨링모듈 및 차량용 냉방시스템
JP2016525312A JP6196733B2 (ja) 2013-12-31 2014-12-30 クーリングモジュール及び車両用冷房システム
CN201480042899.1A CN105492232B (zh) 2013-12-31 2014-12-30 用于车辆的冷却模块和冷却系统
DE112014003060.0T DE112014003060B4 (de) 2013-12-31 2014-12-30 Kühlmodul und Kühlsystem für Fahrzeu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405 2013-12-31
KR20130168405 2013-12-31
KR1020140191975A KR102205848B1 (ko) 2013-12-31 2014-12-29 쿨링모듈 및 차량용 냉방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015A Division KR102205847B1 (ko) 2013-12-31 2019-05-09 쿨링모듈 및 차량용 냉방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448A true KR20150079448A (ko) 2015-07-08
KR102205848B1 KR102205848B1 (ko) 2021-01-21

Family

ID=53493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1975A KR102205848B1 (ko) 2013-12-31 2014-12-29 쿨링모듈 및 차량용 냉방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05354B2 (ko)
JP (1) JP6196733B2 (ko)
KR (1) KR102205848B1 (ko)
CN (1) CN105492232B (ko)
DE (1) DE112014003060B4 (ko)
WO (1) WO201510236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366A (ko) * 2015-09-24 2017-04-0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쿨링모듈 및 차량용 냉방시스템
KR20170037187A (ko) * 2015-09-25 2017-04-0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응축기 및 쿨링모듈
KR20180131388A (ko) * 2017-05-31 2018-12-1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쿨링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608B1 (ko) * 2012-12-13 2014-09-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쿨링모듈
US10766340B2 (en) * 2014-07-29 2020-09-08 Hanon Systems Air conditioner system for vehicle
KR102026103B1 (ko) * 2014-09-05 2019-09-2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쿨링 모듈
CN105904960B (zh) * 2015-02-24 2019-12-10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冷却模块
KR102228024B1 (ko) * 2015-04-15 2021-03-1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응축기
EP3436748B1 (en) * 2016-04-01 2023-10-18 HVPS Holdings (Pty) Limited A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579716B1 (ko) * 2016-12-07 2023-09-1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열관리 시스템
CN110100142A (zh) * 2016-12-20 2019-08-06 东京滤器株式会社 热交换装置
CN108513553B (zh) * 2016-12-28 2022-03-29 株式会社小松制作所 作业车辆
US10639957B2 (en) * 2017-03-29 2020-05-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compressor system
JP6963405B2 (ja) * 2017-04-26 2021-11-10 サンデン・オートモーティブクライメイトシステム株式会社 車両用空気調和装置
DE102018112800A1 (de) * 2017-05-31 2018-12-06 Hanon Systems Kühlmodul für Fahrzeug
WO2019043771A1 (ja) * 2017-08-29 2019-03-07 三菱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ユニット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102371426B1 (ko) * 2017-12-21 2022-03-0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쿨링 모듈
CN108168164B (zh) * 2018-02-13 2024-02-20 天津商业大学 一种氨制冷系统气液分离回油设备
FR3082884B1 (fr) * 2018-06-26 2021-01-15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ventilation pour vehicule automobile
US10989479B2 (en) * 2018-07-24 2021-04-27 Hanon Systems Integrated liquid air cooled condenser and low temperature radiator
WO2020022726A1 (ko) * 2018-07-24 2020-01-3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수냉식 응축기
JP6911078B2 (ja) * 2019-06-19 2021-07-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冷却機構
KR102654846B1 (ko) * 2019-08-19 2024-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쿨링모듈
WO2021044177A1 (ja) * 2019-09-02 2021-03-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熱交換装置
DE102019216578A1 (de) * 2019-10-28 2021-04-2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Kühle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US11071233B1 (en) * 2020-03-10 2021-07-20 Borgwarner, Inc. Auxiliary-cooled electronics assembly with extruded cooling cavity
KR20210152194A (ko) 2020-06-08 2021-12-1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응축기
US11502349B2 (en) 2020-08-31 2022-11-15 Borgwarner, Inc. Cooling manifold assembly
US11904677B2 (en) * 2020-11-27 2024-02-20 Hanon Systems Cooling module placed on side of vehicle
DE102021130297A1 (de) 2021-11-19 2023-05-2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Wärmetauscher für ein Thermomanagementsystem eines Kraftfahrzeugs, sowie eine Wärmetauscher-Einheit für ein Thermomanagementsystem eines Kraftfahrzeugs
DE102021213210A1 (de) 2021-11-24 2023-05-2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Thermo-Management-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CN114132160A (zh) * 2021-12-13 2022-03-04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汽车冷却风扇装置
CN115324705A (zh) * 2022-07-25 2022-11-11 岚图汽车科技有限公司 车辆冷却模块及其控制方法、相关设备、车辆
WO2024023942A1 (ja) * 2022-07-26 2024-02-0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冷却系構造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6138A (en) * 1993-08-16 1995-12-19 Calsonic International, Inc. Motor vehicle with improved radiator and condenser mounting device
JP2006199206A (ja) * 2005-01-21 2006-08-03 Calsonic Kansei Corp 車両の冷却装置
JP2008056152A (ja) * 2006-09-01 2008-03-13 Nissan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車両の冷却装置
KR20110056598A (ko) * 2009-11-23 2011-05-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용 쿨링모듈
KR20120074052A (ko) * 2010-12-27 2012-07-05 한라공조주식회사 쿨링모듈
KR20130012986A (ko) 2011-07-27 2013-02-06 한라공조주식회사 쿨링모듈 및 그 제어 방법
JP2013126858A (ja) * 2011-11-17 2013-06-27 Denso Corp 車両用熱交換器の配置構造
US20150052928A1 (en) * 2012-03-16 2015-02-2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oling system and vehicle that includes cooling system
KR20150068843A (ko) * 2013-12-12 2015-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쿨링모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6005B2 (ja) * 2000-12-20 2005-02-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冷却装置
JP4232750B2 (ja) * 2004-06-10 2009-03-04 株式会社デンソー ハイブリッド自動車用冷却システム
CN2763753Y (zh) * 2005-01-13 2006-03-08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系统
JP2008180485A (ja) * 2006-12-27 2008-08-07 Calsonic Kansei Corp 熱交換器
JP5184314B2 (ja) * 2008-11-21 2013-04-17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冷却システム
CN103121393B (zh) * 2011-11-17 2015-07-08 株式会社电装 车辆用热交换器的配置构造
US20150345877A1 (en) 2012-12-17 2015-12-03 Calsonic Kansei Corporation Combined heat exchanger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6138A (en) * 1993-08-16 1995-12-19 Calsonic International, Inc. Motor vehicle with improved radiator and condenser mounting device
JP2006199206A (ja) * 2005-01-21 2006-08-03 Calsonic Kansei Corp 車両の冷却装置
JP2008056152A (ja) * 2006-09-01 2008-03-13 Nissan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車両の冷却装置
KR20110056598A (ko) * 2009-11-23 2011-05-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용 쿨링모듈
KR20120074052A (ko) * 2010-12-27 2012-07-05 한라공조주식회사 쿨링모듈
KR20130012986A (ko) 2011-07-27 2013-02-06 한라공조주식회사 쿨링모듈 및 그 제어 방법
JP2013126858A (ja) * 2011-11-17 2013-06-27 Denso Corp 車両用熱交換器の配置構造
US20150052928A1 (en) * 2012-03-16 2015-02-2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oling system and vehicle that includes cooling system
KR20150068843A (ko) * 2013-12-12 2015-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쿨링모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366A (ko) * 2015-09-24 2017-04-0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쿨링모듈 및 차량용 냉방시스템
KR20170037187A (ko) * 2015-09-25 2017-04-0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응축기 및 쿨링모듈
KR20180131388A (ko) * 2017-05-31 2018-12-1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쿨링모듈
US11945296B2 (en) 2017-05-31 2024-04-02 Hanon Systems Cooling modul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4003060B4 (de) 2024-02-08
US10005354B2 (en) 2018-06-26
US20160311311A1 (en) 2016-10-27
WO2015102362A1 (ko) 2015-07-09
DE112014003060T5 (de) 2016-03-10
CN105492232A (zh) 2016-04-13
CN105492232B (zh) 2018-03-30
JP2016531035A (ja) 2016-10-06
KR102205848B1 (ko) 2021-01-21
JP6196733B2 (ja) 201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5848B1 (ko) 쿨링모듈 및 차량용 냉방시스템
US10557660B2 (en) Heat exchanger with a plurality of heat exchanging portions
KR101318643B1 (ko) 쿨링모듈
JP6022156B2 (ja) 車両用コンデンサ
US20130146265A1 (en) Condenser for vehicle
KR102255799B1 (ko) 차량용 에어컨의 냉동 사이클
KR102543060B1 (ko) 쿨링모듈
KR20140059616A (ko)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
US20160245595A1 (en) Cooling module
CN110014820B (zh) 冷却模块
KR20200048739A (ko) 차량용 쿨링모듈
KR102205847B1 (ko) 쿨링모듈 및 차량용 냉방시스템
KR101286212B1 (ko) 프론트 엔드 모듈
KR101353394B1 (ko) 통합형 열교환기, 이를 이용한 프론트 엔드 모듈 및 열교환 시스템
KR102439432B1 (ko) 차량용 쿨링모듈
KR20210136642A (ko) 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KR102194634B1 (ko) 쿨링모듈 및 차량용 냉방시스템
KR102011269B1 (ko) 수랭식 인터쿨러
KR20160091463A (ko)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KR102173383B1 (ko)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KR102092568B1 (ko)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KR101422679B1 (ko) 전기 자동차의 냉각 시스템
KR20160017156A (ko) 차량용 에어컨시스템
KR102000124B1 (ko) 쿨링모듈
KR20160092703A (ko) 응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