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9326A - 차량 접근 경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접근 경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9326A
KR20150079326A KR1020130169501A KR20130169501A KR20150079326A KR 20150079326 A KR20150079326 A KR 20150079326A KR 1020130169501 A KR1020130169501 A KR 1020130169501A KR 20130169501 A KR20130169501 A KR 20130169501A KR 20150079326 A KR20150079326 A KR 20150079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ccess
approaching
vibra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9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희민
김석원
김춘수
박춘수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69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9326A/ko
Publication of KR20150079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3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06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warning men working on the rou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접근 경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접근 경보 장치는 차량이 운행되는 선로 변에 설치되어 상기 선로를 운행하는 차량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 감지부, 상기 진동 감지부가 감지한 진동의 세기에 따라 상기 차량의 접근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선로에 접근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 차량 접근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접근 상태 판단/제어부 및 상기 차량 접근 상태 판단/제어부가 상기 차량 접근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차량이 접근 중이라는 사실을 상기 선로 변에 경고하기 위한 접근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접근 경고신호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이 선로 변에 접근 중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신뢰성 있게 검지하여 작업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차량이 운행되는 선로 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게 차량이 접근중임을 알리는 경보신호를 작업자가 인지하기 쉽게 제공함으로써, 선로 변 작업과 관련한 안전사고 발생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접근 경보 장치{VEHICLE APPROACHING ALARM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 접근 경보 자이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이 선로 변에 접근 중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신뢰성 있게 검지하여 작업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차량이 운행되는 선로 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게 차량이 접근중임을 알리는 경보신호를 작업자가 인지하기 쉽게 제공함으로써, 선로 변 작업과 관련한 안전사고 발생위험을 줄일 수 있는 차량 접근 경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도차량이 운행되는 선로에서 작업하는 현장 작업자는 철도차량의 영업운행 종료 및 단전 후에 선로 변에 진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경우에 따라서 주간 점검, 긴급한 장애 조치 등을 위해서 영업운행 시간 중에 선로 변에 진입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 작업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특별한 방안이 없는 상황이다. 단지, 관제사가 현장 작업자, 기관사에게 사전 승인, 안전주의 통보를 하는 수준의 안전 조치가 취해질 뿐이기 때문에, 선로 작업과 관련한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 운영되는 차량은 성능이 향상되어 거의 무 소음으로 운행되기 때문에, 운행 시간에 선로 변에서 작업하는 현장 작업자가 안전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작업에 집중하고 있을 경우, 열차접근을 사전에 인지하기 어려워 사고 발생 위험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철도 선로 변에서는 차량으로 인한 사상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일정한 시간대에 반복적으로 선로 변에 접근 경고 방송을 내보내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접근 경고 방송은 일정한 시간에 반복하여 내보내어 차량의 접근과는 무관하게 방송이 되고 있기 때문에, 실제 차량의 접근 사실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며, 이에 따라 선로 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3423호
본 발명은 차량이 선로 변에 접근 중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신뢰성 있게 검지하여 작업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차량 접근 경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이 운행되는 선로 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게 차량이 접근중임을 알리는 경보신호를 작업자가 인지하기 쉽게 제공함으로써, 선로 변 작업과 관련한 안전사고 발생위험을 줄일 수 있는 차량 접근 경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접근 경보 장치는 차량이 운행되는 선로 변에 설치되어 상기 선로를 운행하는 차량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 감지부, 상기 진동 감지부가 감지한 진동의 세기에 따라 상기 차량의 접근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선로에 접근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 차량 접근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접근 상태 판단/제어부 및 상기 차량 접근 상태 판단/제어부가 상기 차량 접근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차량이 접근 중이라는 사실을 상기 선로 변에 경고하기 위한 접근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접근 경고신호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접근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접근 상태 판단/ 제어부는 상기 진동 감지부로부터 입력받은 진동 감지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진동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차량이 상기 선로에 접근 중이라고 판단하여 상기 차량 접근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접근 경고신호 출력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접근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접근 상태 판단/ 제어부는 상기 진동 감지부로부터 입력받은 진동 감지 신호의 세기가 시간에 비례하여 커지다가 미리 설정된 진동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차량이 상기 선로에 접근 중이라고 판단하여 상기 차량 접근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접근 경고신호 출력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접근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근 경고신호 출력부는 상기 선로 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접근 경고신호를 작업자에게 청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복수개의 음향경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접근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근 경고신호 출력부는 상기 선로 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접근 경고신호를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복수개의 시각경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이 선로 변에 접근 중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신뢰성 있게 검지하여 작업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차량 접근 경보 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이 운행되는 선로 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게 차량이 접근중임을 알리는 경보신호를 작업자가 인지하기 쉽게 제공함으로써, 선로 변 작업과 관련한 안전사고 발생위험을 줄일 수 있는 차량 접근 경보 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접근 경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차량의 주행 시 선로에 감지되는 진동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접근 경보 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차량 접근 상태 판단/ 제어부가 차량이 선로에 접근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의 하나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차량 접근 상태 판단/ 제어부가 차량이 선로에 접근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접근 경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접근 경보 장치는 진동 감지부(10), 차량 접근 상태 판단/제어부(20) 및 접근 경고신호 출력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차량은 일반적인 철도차량 이외에, 고속열차, 전동차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진동 감지부(10)는 차량이 운행되는 선로 변에 설치되어 있으며, 선로를 운행하는 차량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진동 감지부(10)는 선로에 직접 부착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내구성을 고려하여 선로와 진동 감지부(10) 사이에 선로의 진동을 진동 감지부(10)로 전달할 수 있는 매개수단을 구비시키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는 방법으로 무인카메라, 소리, 진동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들 중에서 차량의 주행 시 선로에 감지되는 진동을 이용하는 방식은 차량이 선로로부터 먼 거리에 있는 경우에도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선로에 차량이 접근하면 도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선로에는 차량의 접근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신호의 파형이 감지된다. 따라서 차량의 진동을 통해서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게 되면, 차량의 접근을 효과적으로 예측하여 경고방송을 할 수 있다.
차량 접근 상태 판단/제어부(20)는 진동 감지부(10)가 감지한 진동의 세기에 따라 차량의 접근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이 상기 선로에 접근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 차량 접근 신호를 생성하여 후술하는 접근 경고신호 출력부(3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 접근 상태 판단/제어부(20)가 차량이 선로에 접근중인지 여부를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판단하기 위하여 아래에 개시된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차량 접근 상태 판단/ 제어부는 진동 감지부(10)로부터 입력받은 진동 감지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진동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차량이 상기 선로에 접근 중이라고 판단하여 차량 접근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접근 경고신호 출력부(3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차량 접근 이외의 사유로 선로에 발생한 진동을 잡음 성분으로 간주하여 배제함으로써, 경보 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 차량 접근 상태 판단/ 제어부는 진동 감지부(10)로부터 입력받은 진동 감지 신호의 세기가 시간에 비례하여 커지다가 미리 설정된 진동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차량이 상기 선로에 접근 중이라고 판단하여 차량 접근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차량 접근 신호를 접근 경고신호 출력부(3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 접근을 판단하기 위하여 2가지 조건 즉, 1) 진동 감지 신호의 세기가 시간에 비례하여 커지는지 여부, 2) 진동 감지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진동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차량 접근 여부에 대한 판단 오류를 더욱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접근 경고신호 출력부(30)는 차량 접근 상태 판단/제어부(20)가 차량 접근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차량이 접근 중이라는 사실을 선로 변에 경고하기 위한 접근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접근 경고신호 출력부(30)는 음향경보수단(310) 및 시각경보수단(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음향경보수단(310)은 선로 변의 여러 지점에 복수 개 설치되어 있으며, 접근 경고신호를 작업자에게 부저 음의 출력 등과 같은 청각적인 방식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시각경보수단(320)도 선로 변의 여러 지점에 복수 개 설치되어 있으며, 접근 경고신호를 작업자에게 발광 수단의 점멸 등과 같은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접근 경보 장치의 구체적인 동작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단계 S10에서 진동 감지부(10)가 설치된 선로 근처에 차량의 진입이 시작된다.
단계 S20에서는, 진동 감지부(10)가 접근하는 차량으로 인하여 선로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진동 감지부(10)가 감지한 진동은 차량 접근 상태 판단/제어부(20)로 전송된다.
단계 S30에서는, 차량 접근 상태 판단/제어부(20)가 진동 감지부(10)에 의해 감지된 진동의 세기에 따라 차량의 접근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이 상기 선로에 접근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 차량 접근 신호를 생성하여 접근 경고신호 출력부(30)로 전송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40에서는, 접근 경고신호 출력부(30)가 차량 접근 상태 판단/제어부(20)로부터 전송받은 차량 접근 신호에 따라, 차량이 접근 중이라는 사실을 선로 변에 경고하기 위한 접근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접근 경고신호는 부저 음의 출력 등과 같은 청각적인 방식으로 제공되거나, 발광 수단의 점멸 등과 같은 시각적인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차량 접근 상태 판단/제어부(20)가 차량이 선로에 접근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방식을 도 4 및 도 5를 추가적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차량 접근 상태 판단/제어부(20)가 차량이 선로에 접근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의 하나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단계 S10에서 진동 감지부(10)가 설치된 선로 근처에 차량의 진입이 시작된다.
단계 S20에서는, 진동 감지부(10)가 접근하는 차량으로 인하여 선로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진동 감지부(10)가 감지한 진동은 차량 접근 상태 판단/제어부(20)로 전송된다.
단계 S312에서는, 차량 접근 상태 판단/제어부(20)가 진동 감지부(10)로부터 입력받은 진동 감지 신호의 세기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는 진동 임계치를 비교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312에서의 비교 결과 진동 감지 신호의 세기가 진동 임계치보다 큰 경우 단계S 314로 전환되고, 진동 감지 신호의 세기가 진동 임계치 이하인 경우 단계 S20으로 전환되어 진동 감지부(10)가 선로의 진동을 감지하는 과정이 계속 수행된다.
단계 S314에서는, 차량 접근 상태 판단/제어부(20)가 차량이 선로에 접근 중이라고 판단하여 차량 접근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차량 접근 상태 판단/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차량 접근 신호는 접근 경고신호 출력부(30)로 전송된다.
단계 S40에서는, 접근 경고신호 출력부(30)가 차량 접근 상태 판단/제어부(20)로부터 전송받은 차량 접근 신호에 따라, 차량이 접근 중이라는 사실을 선로 변에 경고하기 위한 접근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접근 경고신호는 부저 음의 출력 등과 같은 청각적인 방식으로 제공되거나, 발광 수단의 점멸 등과 같은 시각적인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차량 접근 상태 판단/제어부(20)가 차량이 선로에 접근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단계 S10에서 진동 감지부(10)가 설치된 선로 근처에 차량의 진입이 시작된다.
단계 S20에서는, 진동 감지부(10)가 접근하는 차량으로 인하여 선로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진동 감지부(10)가 감지한 진동은 차량 접근 상태 판단/제어부(20)로 전송된다.
단계 S322에서는, 차량 접근 상태 판단/제어부(20)가 진동 감지부(10)로부터 입력받은 진동 감지 신호의 세기가 시간에 비례하여 커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322에서의 판단 결과, 진동 감지 신호의 세기가 시간에 비례하여 커지는 경우, 단계 S324로 전환되고, 진동 감지 신호의 세기가 시간에 비례하여 커지지 않는 경우 단계 S20으로 전환되어 진동 감지부(10)가 선로의 진동을 감지하는 과정이 계속된다.
단계 S324에서는, 차량 접근 상태 판단/제어부(20)가 진동 감지부(10)로부터 입력받은 진동 감지 신호의 세기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는 진동 임계치를 비교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단계 S312에서의 비교 결과 진동 감지 신호의 세기가 진동 임계치보다 큰 경우 단계S 314로 전환되고, 진동 감지 신호의 세기가 진동 임계치 이하인 경우 단계 S20으로 전환되어 진동 감지부(10)가 선로의 진동을 감지하는 과정이 계속 수행된다.
단계 S326에서는, 차량 접근 상태 판단/ 제어부가 차량이 선로에 접근 중이라고 판단하여 차량 접근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차량 접근 상태 판단/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차량 접근 신호는 접근 경고신호 출력부(30)로 전송된다.
단계 S40에서는, 접근 경고신호 출력부(30)가 차량 접근 상태 판단/제어부(20)로부터 전송받은 차량 접근 신호에 따라, 차량이 접근 중이라는 사실을 선로 변에 경고하기 위한 접근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접근 경고신호는 부저 음의 출력 등과 같은 청각적인 방식으로 제공되거나, 발광 수단의 점멸 등과 같은 시각적인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이 선로 변에 접근 중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신뢰성 있게 검지하여 작업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차량 접근 경보 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이 운행되는 선로 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게 차량이 접근중임을 알리는 경보신호를 작업자가 인지하기 쉽게 제공함으로써, 선로 변 작업과 관련한 안전사고 발생위험을 줄일 수 있는 차량 접근 경보 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진동 감지부
20: 차량 접근 상태 판단/제어부
30: 접근 경고신호 출력부
310: 음향경보수단
320: 시각경보수단

Claims (5)

  1. 차량 접근 경보 장치에 있어서,
    차량이 운행되는 선로 변에 설치되어 상기 선로를 운행하는 차량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 감지부;
    상기 진동 감지부가 감지한 진동의 세기에 따라 상기 차량의 접근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선로에 접근 중이라고 판단된 경우 차량 접근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접근 상태 판단/제어부; 및
    상기 차량 접근 상태 판단/제어부가 상기 차량 접근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차량이 접근 중이라는 사실을 상기 선로 변에 경고하기 위한 접근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접근 경고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차량 접근 경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접근 상태 판단/ 제어부는
    상기 진동 감지부로부터 입력받은 진동 감지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진동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차량이 상기 선로에 접근 중이라고 판단하여 상기 차량 접근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접근 경고신호 출력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접근 경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접근 상태 판단/ 제어부는
    상기 진동 감지부로부터 입력받은 진동 감지 신호의 세기가 시간에 비례하여 커지다가 미리 설정된 진동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차량이 상기 선로에 접근 중이라고 판단하여 상기 차량 접근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접근 경고신호 출력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접근 경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경고신호 출력부는 상기 선로 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접근 경고신호를 작업자에게 청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복수개의 음향경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접근 경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경고신호 출력부는 상기 선로 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접근 경고신호를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복수개의 시각경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접근 경보 장치.
KR1020130169501A 2013-12-31 2013-12-31 차량 접근 경보 장치 KR201500793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501A KR20150079326A (ko) 2013-12-31 2013-12-31 차량 접근 경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501A KR20150079326A (ko) 2013-12-31 2013-12-31 차량 접근 경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326A true KR20150079326A (ko) 2015-07-08

Family

ID=53791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9501A KR20150079326A (ko) 2013-12-31 2013-12-31 차량 접근 경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93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745A (ko) * 2017-02-03 2018-08-13 주식회사 한국건설방재연구원 열차 접근 경보 시스템
CN110341768A (zh) * 2019-07-26 2019-10-18 郑州铁路职业技术学院 一种铁道信号信息采集处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745A (ko) * 2017-02-03 2018-08-13 주식회사 한국건설방재연구원 열차 접근 경보 시스템
CN110341768A (zh) * 2019-07-26 2019-10-18 郑州铁路职业技术学院 一种铁道信号信息采集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4127981A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и способ его автоном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CA27969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ng vehicle safety arrangements
CN108839658B (zh) 一种疲劳驾驶监测系统和方法
EP3441279A1 (en) Rail breakage detection device
CA2891023A1 (en) Improved safety system for railroad personnel
ATE380712T1 (de) Erfassung von unbeabsichtigem verlassen der fahrspur
CN103264662B (zh) 一种提醒驾驶员连续驾驶时间过长的方法和装置
CN105869231A (zh) 行车安全提醒方法、装置及车辆
KR20150079326A (ko) 차량 접근 경보 장치
US20230356762A1 (en) Signal box controlled crew warning system
JP5937869B2 (ja) 列車制御システム
JP2009151701A (ja) 交差点車両衝突事故防止システム
ATE512858T1 (de) System und verfahren zum bereitstellen einer zuverlässigen kollisionsgefahrerfassung
KR100975286B1 (ko) 철도선로변 유지보수자 안전 경보 시스템 및 방법
JP2017061349A (ja) クレーン衝突防止装置
CN202413785U (zh) 一种防追尾自动保护系统
KR20150076797A (ko) 졸음운전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134881A (ko) 교차로 주행 안전을 위한 교통 신호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80046478A (ko) 차량 사고 관리 시스템
KR200489951Y1 (ko) 자동차의 안전거리 유지 경고장치
KR20150054458A (ko) 횡단 보도 안내 제어 장치
JP2021079858A (ja) 列車運行保安装置
KR20140038668A (ko) 철도차량의 탈선방지 장치
CN105946903A (zh) 一种轨道列车声光告警控制装置
JP2664339B2 (ja) 列車接近警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