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8271A -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조성물 및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조성물 및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8271A
KR20150078271A KR1020130167505A KR20130167505A KR20150078271A KR 20150078271 A KR20150078271 A KR 20150078271A KR 1020130167505 A KR1020130167505 A KR 1020130167505A KR 20130167505 A KR20130167505 A KR 20130167505A KR 20150078271 A KR20150078271 A KR 20150078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resin
biodegradable polyester
catalyst
acid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정
천종필
차범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7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8271A/ko
Priority to AU2014374626A priority patent/AU2014374626A1/en
Priority to JP2016528015A priority patent/JP2017500380A/ja
Priority to CN201480071441.9A priority patent/CN105849150A/zh
Priority to PCT/KR2014/012853 priority patent/WO2015102305A1/ko
Priority to EP14876928.4A priority patent/EP3091046A4/en
Priority to US15/108,637 priority patent/US20160326305A1/en
Publication of KR20150078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27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08G63/82Prepar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6Biodegrad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조성물 및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조성물은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및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중 적어도 1종의 디카르복실산; 지방족 디올 및 방향족 디올 중 적어도 1종의 디올; 촉매; 및 상기 촉매의 활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원소(L)를 포함하는 탈활성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촉매 중의 금속(M)의 함량 및 상기 원소(L)의 함량은 중량비를 기준으로 하기 조건을 만족한다:
1.5 ≤ M/L ≤ 3.5.

Description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조성물 및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방법{Composition for preparing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and method of preparing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조성물 및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촉매 및 탈활성화제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조성물 및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플라스틱은 고기능성 및 내구성 등으로 인하여,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플라스틱은 매립시 미생물에 의한 분해속도가 낮고, 소각시에 유해가스를 방출하여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친환경적 플라스틱의 개발이 진행되었다.
이러한 생분해성 플라스틱 중에서도 생분해성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주목을 받고 있다.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란 박테리아, 조류, 곰팡이와 같이 자연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해 물과 이산화탄소, 또는 물과 메탄가스로 분해될 수 있는 중합체를 말한다. 이러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매립 또는 소각에 따른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강력한 해결책으로 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에스테르화 반응(esterification reaction)과 축중합 반응(polycondensation reaction)을 포함하는 중합 반응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한 반응들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안티몬 화합물 또는 티타늄 화합물과 같은 촉매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촉매들은 정반응인 중합 반응의 속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가수분해 반응인 역반응의 속도 또한 증가시키며, 상기 수지 제조용 조성물 중에 잔류하는 촉매는 후공정에서 열분해 반응, 산화 반응 및 가수분해 반응 등의 부반응을 촉진시킨다.
따라서, 활성이 높은 촉매를 이용하는 경우 또는 과량의 촉매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한 역반응 및 부반응도 촉진되기 때문에 생성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색도(즉, 높은 황색도)를 가지며, 상기 수지의 산도도 증가되어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촉매 및 탈활성화제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조성물을 사용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및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중 적어도 1종의 디카르복실산; 지방족 디올 및 방향족 디올 중 적어도 1종의 디올; 촉매; 및 상기 촉매의 활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원소(L)를 포함하는 탈활성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촉매 중의 금속(M)의 함량 및 상기 원소(L)의 함량은 중량비를 기준으로 하기 조건을 만족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1.5 ≤ M/L ≤ 3.5
상기 촉매는 칼슘아세테이트, 망간아세테이트, 마그네슘아세테이트, 아연아세테이트, 모노부틸산화주석, 디부틸산화주석, 이염화디부틸주석(dibutyltin dichloride), 모노부틸히드록시 산화주석(monobutylhydroxy tin oxide), 옥틸틴(octyltin), 테트라부틸주석, 테트라페닐주석, 트리에틸티타네이트, 아세틸트리프로필티타네이트, 테트라메틸티타네이트, 테트라프로필티타네이트,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테트라 n-부틸티타네이트 및 테트라(2-에틸헥실)티타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촉매의 함량은 상기 디카르복실산 및 상기 디올의 총 함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3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원소(L)는 인(P)을 포함하며, 상기 탈활성화제는 아인산, 아포스폰산(phosphonous acid), 트리메틸포스파이트, 트리에틸포스파이트, 트리프로필포스파이트, 트리페닐포스파이트, 소듐포스파이트 및 소듐하이포포스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조성물은 색안정화제 및 분지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및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중 적어도 1종의 디카르복실산; 지방족 디올 및 방향족 디올 중 적어도 1종의 디올; 촉매; 및 상기 촉매의 활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원소(L)를 포함하는 탈활성화제를 반응기에 투입하여 상기 디카르복실산과 상기 디올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키는 단계(에스테르화 단계); 및 상기 에스테르화 단계의 생성물을 축중합 반응시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얻는 단계(축중합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130,000~15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며, 상기 촉매 중의 금속(M)의 함량 및 상기 원소(L)의 함량은 중량비를 기준으로 하기 조건을 만족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1.5 ≤ M/L ≤ 3.5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0 초과 내지 1.5mgKOH/g 이하의 산가 및 CIE1976 L*a*b*(L*=명도 지수, a*=적색 지수, b*=황색 지수)의 색좌표에서 6 이하의 b*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방법은 상기 축중합 단계 이후에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5중량부의 사슬 연장제를 투입하여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반응시키는 단계(사슬 연장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조성물에 의하면, 향상된 색도 및 우수한 열안정성을 갖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열 또는 수분에 의한 분해반응이 억제됨으로써 낮은 산가를 가지며, 이에 따라 우수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방법은 수지 내에 잔류하는 사슬 연장제가 소량으로 존재함으로써 저독성을 갖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조성물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폴리에스테르」란 하나 이상의 이관능성(difunctional) 또는 3 이상의 다관능성 카르복실산과 하나 이상의 이관능성 또는 3 이상의 다관능성 히드록시 화합물의 에스테르화 반응 및 축중합 반응에 의해 제조된 합성 중합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디카르복실산」이란 디카르복실산 자체, 디카르복실산의 에스테르 유도체, 디카르복실산의 아실 할라이드 유도체, 디카르복실산의 무수물 유도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디올」이란 히드록시기를 2개 이상 함유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조성물은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및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중 적어도 1종의 디카르복실산; 지방족 디올 및 방향족 디올 중 적어도 1종의 디올; 촉매; 및 상기 촉매의 활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원소(L)를 포함하는 탈활성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촉매 중의 금속(M)의 함량 및 상기 원소(L)의 함량은 중량비를 기준으로 하기 조건을 만족한다:
1.5 ≤ M/L ≤ 3.5
상기 M/L < 1.5인 경우에는 합성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색도는 우수하나 산가가 높고, 상기 M/L > 3.5인 경우에는 합성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산가는 낮으나 색도가 불량하다.
상기 디카르복실산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4~C10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8~C20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중 적어도 1종의 디카르복실산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은 예를 들어,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2-메틸글루타르산, 3-메틸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운데칸디산, 도데칸디산, 브라실산, 테트라데칸디산, 푸마르산, 2,2-디메틸글루타르산, 수베르산, 말레산, 이타콘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및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2,6-나프토산, 1,5-나프토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중 적어도 1종의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올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10의 지방족 디올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방향족 디올 중 적어도 1종의 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올은 예를 들어, 에탄디올,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2-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2,4-디메틸-2-에틸-1,3-헥산디올,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2-에틸-2-부틸-1,3-프로판디올, 2-에틸-2-이소부틸-1,3-프로판 디올, 2,2,4-트리메틸-1,6-헥산디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지방족 디올; 및 1,2-벤젠디올, 1,3-벤젠디올, 1,4-벤젠디올, 1,3-나프탈렌디올, 1,4-나프탈렌디올, 1,7-나프탈렌디올, 2,3-나프탈렌디올, 2,6-나프탈렌디올, 2,7-나프탈렌디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방향족 디올 중 적어도 1종의 디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올의 함량은 상기 디카르복실산의 총 함량 1몰부에 대하여 1~2몰부일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과 상기 디올은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를 위한 중합시, 화학양론적 비율로 반응할 경우, 1:1의 몰비로 반응할 수 있다. 상기 디올의 사용량 대 상기 디카르복실산의 사용량은 1:1일 수 있으나, 반응을 촉진시키고 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디카르복실산의 사용량에 비해 상기 디올의 사용량이 과량일 수 있다.
상기 촉매는 칼슘아세테이트, 망간아세테이트, 마그네슘아세테이트, 아연아세테이트, 모노부틸산화주석, 디부틸산화주석, 이염화디부틸주석, 모노부틸히드록시 산화주석, 옥틸틴, 테트라부틸주석, 테트라페닐주석, 트리에틸티타네이트, 아세틸트리프로필티타네이트, 테트라메틸티타네이트, 테트라프로필티타네이트,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테트라 n-부틸티타네이트, 및 테트라(2-에틸헥실)티타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금속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매 중의 금속(M)은 예를 들어, 티타늄(Ti), 주석(Sn), 안티몬(Sb), 세륨(Ce), 게르마늄(Ge), 아연(Zn), 코발트(Co), 망간(Mn), 철(Fe),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칼슘(Ca) 및 스트론튬(Sr)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매의 함량은 상기 디카르복실산 및 상기 디올의 총 함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3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촉매의 함량이 상기 범위 이내이면 우수한 반응 효율로 중합 반응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색도 등의 물성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촉매는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 및 상기 축중합 반응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원소(L)는 인(P)을 포함하며, 상기 탈활성화제는 아인산, 아포스폰산, 트리메틸포스파이트, 트리에틸포스파이트, 트리프로필포스파이트, 트리페닐포스파이트, 소듐포스파이트 및 소듐하이포포스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조성물은 색안정화제 및 분지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색안정화제는 트리메틸포스페이트, 트리에틸포스페이트, 트리프로필포스페이트 및 트리페닐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포스페이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매 중의 금속(M)의 함량 및 상기 색안정화제 중의 인(P)의 함량은 중량비를 기준으로 하기 조건을 만족한다:
3.5 ≤ M/P ≤ 55.8
상기 M/P < 3.5인 경우에는 산가가 증가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상기 M/P > 55.8인 경우에는 황색도가 증가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예를 들어, 상기 촉매 중의 금속(M)의 함량 및 상기 색안정화제 중의 인(P)의 함량은 중량비를 기준으로 하기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3.5 ≤ M/P ≤ 10.5
상기 분지제는 글리세롤, 펜타에리트리톨, 타르타르산, 말산, 시트르산,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틸올에탄, 폴리에테르트리올, 트리메스산, 트리멜리트산,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피로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이무수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분지제는 3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관능기로서 카르복시(-COOH)기를 갖지 않기 때문에,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산가를 낮추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분지제의 함량은 상기 디카르복실산의 총 함량 1몰부에 대하여 0.0005~0.05몰부일 수 있다.
상기 분지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이내이면 중합 반응 시간이 단축되면서도 낮은 산가 및 우수한 강도를 갖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얻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방법은,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및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중 적어도 1종의 디카르복실산; 지방족 디올 및 방향족 디올 중 적어도 1종의 디올; 촉매; 및 상기 촉매의 활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원소(L)를 포함하는 탈활성화제를 반응기에 투입하여 상기 디카르복실산과 상기 디올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키는 단계(에스테르화 단계); 및
상기 에스테르화 단계의 생성물을 축중합 반응시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얻는 단계(축중합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13,000~15,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며, 상기 촉매 중의 금속(M)의 함량 및 상기 원소(L)의 함량은 중량비를 기준으로 하기 조건을 만족한다:
1.5 ≤ M/L ≤ 3.5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방법은 고중합 방법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고중합 방법」란 에스테르화 반응 및 축중합 반응을 통하여 합성된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130,000~150,000이 되도록 중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은 160~200℃에서 60~300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의 종료점은 이 반응에서 부생되는 물/알코올의 양을 측정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카르복실산으로서 아디프산 및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각각 0.6mol 및 0.4mol씩 사용하고, 상기 디올로서 1,4-부탄디올 1.3mol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되는 아디프산 및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의 모든 양이 1,4-부탄디올과 반응한다고 가정할 때, 최대 부생 가능한 1.2mol의 물과 최대 부생 가능한 0.8mol의 메탄올의 90% 이상, 즉 물 1.08mol 및 메탄올 0.72mol 이상이 부생되면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에서 화학평형을 이동시켜 반응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부생되는 물, 알코올 및/또는 미반응 디올을 증발 또는 증류에 의해 반응계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올리고머가 생성된다.
상기와 같은 에스테르화 반응의 생성물(올리고머)은 고분자량화를 위하여, 추가로 축중합 반응될 수 있다. 상기 축중합 반응은 220~250℃에서 40~300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축중합 반응은 2torr 이하의 압력에서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축중합 반응을 진공하에서 진행함으로써, 미반응 원료(미반응 모노머), 저분자 올리고머 및 부생되는 물/부탄올을 제거하면서 고분자량의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0 초과 내지 1.5 mgKOH/g이하의 산가 및 CIE1976 L*a*b*(L*=명도 지수, a*=적색 지수, b*=황색 지수)의 색좌표에서 6 이하의 b*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방법은 상기 축중합 단계 이후에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5중량부의 사슬 연장제를 투입하여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반응시키는 단계(사슬 연장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슬 연장제의 투입량은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3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사슬 연장제의 투입량이 상기 범위 이내이면,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에는 소량의 사슬 연장제가 잔류함으로써 저독성을 가질 수 있어 식품 포장 재료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에스테르화 반응: ES)
콘덴서, 질소 주입구 및 교반기가 장착된 500ml의 3구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1,4-부탄디올(BDO)(135.18g, 1.5mol), 아디프산(AA)(75.99g, 0.52mol), 글리세롤(GC)(0.45g, 0.0049mol), 하기 표 1에 표시된 양의 테트라 n-부틸 티타네이트(TBT) 및 아인산(PPA)을 투입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혼합물을 185℃까지 승온시키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이론치의 90% 이상의 물(즉, 17ml)이 방출될 때까지 교반하에 반응시켰으며, 이 때 생성된 물은 콘덴서를 통하여 계 외로 완전히 배출시켰다. 이어서, 상기 3구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DMT)(93.21g, 0.48mol)를 투입한 후, 이론치의 90% 이상의 메탄올(즉, 35ml)이 방출될 때까지 교반하에 반응시켰으며, 이때 생성된 메탄올은 콘덴서를 통하여 상기 3구 둥근 바닥 플라스크의 외부로 배출시켰다.
(축중합 반응: PC)
이어서, 상기 3구 둥근 바닥 플라스크를 2torr 이하의 진공하에서 240℃도까지 승온시킨 후 하기 표 1에 표시된 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시킨 후 상기 플라스크의 내용물을 토출시켰다. 결과로서,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PBAT)를 얻었다.
실시예 2~3 및 5~8
테트라 n-부틸 티타네이트(TBT) 및 아인산(PPA)의 양을 달리하여 투입하였고,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에서 하기 표 1에 표시된 양의 트리메틸포스페이트(TMP)를 더 투입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의 PBAT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PBAT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테트라 n-부틸 티타네이트(TBT) 및 아인산(PPA)의 양을 달리하여 투입하였고,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에서 하기 표 1에 표시된 양의 트리페닐포스페이트(TPP)를 더 투입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의 PBAT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PBAT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2
하기 표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테트라 n-부틸 티타네이트(TBT) 및 아인산(PPA)의 양을 달리하여 투입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의 PBAT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PBAT를 제조하였다.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성분의 양 및 축중합 반응 시간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PPA 중의 인 (L)의 함량에 대한 TBT 중의 티타늄 (Ti)의 함량비(Ti/L) 및 TMP 또는 TPP 중의 인 (P)의 함량에 대한 TBT 중의 티타늄 (Ti)의 함량비(Ti/P)를 계산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TBT
(g(mmol))
PPA
(g(mmol))
TMP 또는 TPP
(g(mmol))
Ti/L Ti/P 축중합 반응 시간(분)
실시예 1 0.15
(0.44)
0.037
(0.45)
TMP:0 1.51 - 135
실시예 2 0.15
(0.44)
0.037
(0.45)
TMP:0.01
(0.07)
1.51 9.54 133
실시예 3 0.15
(0.44)
0.025
(0.30)
TMP: 0.01
(0.07)
2.23 9.54 110
실시예 4 0.15
(0.44)
0.018
(0.22)
TPP: 0.01
(0.031)
3.1 22.23 151
실시예 5 0.15
(0.44)
0.025
(0.30)
TMP:0.018
(0.13)
2.23 5.3 164
실시예 6 0.15
(0.44)
0.025
(0.30)
TMP: 0.025
(0.18)
2.23 3.82 190
실시예 7 0.15
(0.44)
0.025
(0.30)
TMP: 0.027
(0.19)
2.23 3.53 185
실시예 8 0.15
(0.44)
0.025
(0.30)
TMP: 0.0018
(0.013)
2.23 53.02 135
비교예 1 0.15
(0.44)
0.05
(0.61)
TMP: 0 1.12 - 212
비교예 2 0.24
(0.71)
0.025
(0.30)
TMP: 0 3.57 - 142
평가예
상기 실시예 1~8및 비교예 1~2에서 합성된 PBAT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Mw), 색도, 산가, 용융 지수 변화 및 인장 강도 감소율을 각각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중량평균분자량(Mw) 측정>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PBAT 수지를 1wt% 농도로 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켜 PBAT 수지 용액을 얻은 후, 상기 PBAT 수지 용액을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로 분석하여 중량평균분자량을 측정하였다. 이때, 측정온도는 35℃이었고, 유속은 1ml/min이었다.
<색도 측정>
(칩 제조)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PBAT 수지를 이축 압출기(창성 P&R사 제품, L/D: 36/1, 직경: 24.2mm)를 사용하여 150℃에서 용융한 후, 사출기(FANUC Co. Ltd, S-2000i 50B)를 사용하여 이를 펠렛화하여 칩(chip)을 제조하였다.
(색도 측정)
상기 칩을 각각 유리제 셀(내부 직경 10 mm × 깊이 50 mm)에 채우고 Konica Minolta 색차계를 사용하여 CIE-L*a*b* (CIE 1976) 표색계에서 L*, a* 및 b*를 측정하였다. "L*"값, "a*"값 및 "b*"값은 CIE-L*a*b* (CIE 1976) 표색계에서 표시되는 색조의 지표이다. "L*"값은 밝기를 나타내고, 이 수치가 클수록 밝다. "a*"값은 적색 정도를 나타내고, 이 수치가 클수록 적색도가 높다. "b*"값은 황색 정도를 나타내고, 이 수치가 클수록 황색도가 높다.
<산가 측정>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 PBAT수지를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킨 후 냉각시켜, 0.1N KOH 에틸알코올 용액으로 적정하여 상기 각 PBAT수지의 산가를 측정하였다.
<용융 지수(MI) 변화>
(가열 전 용융 지수 측정)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PBAT 수지의 용융지수 측정시험을 ASTM D1238에 따라, 190℃의 온도 및 2.16kg의 하중하에서 실시하여, 10분간 오리피스(반지름: 2mm, 길이: 8mm)를 통과하여 흘러나오는 상기 각 PBAT 수지의 양(g)을 측정하여 용융 지수(MI)로 기록하였다.
(가열 후 용융 지수 측정)
100℃의 물에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PBAT 수지의 칩을 넣고, 이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한 후, 상기 각 PBAT 수지의 칩을 물에서 꺼내 3시간 동안 건조시킨 다음, 가열 전 용융 지수 측정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열 후 용융 지수를 측정하였다. 이후, 용융 지수 변화를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용융 지수 변화 = 가열 후 수지의 용융 지수 - 가열 전 수지의 용융 지수
<인장 강도 감소율>
(필름 제조)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PBAT 수지의 칩을 4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일축 블로운 필름 압출기(대륜기계, L/D: 28:1, 다이 직경: 45mm, 배럴 온도: 190℃)를 사용하여 필름으로 성형하였다. 결과로서 30㎛ 두께의 PBAT 필름을 얻었다.
(인장 강도 측정)
ASTM D638을 사용하여 상기 각 필름의 인장 강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인장 강도 감소율)
온도 및 상대습도가 각각 40℃ 및 75%로 유지되는 항온항습기 내에 상기 각 필름을 4주 동안 보관한 후, ASTM D638에 따라 2주 간격으로 상기 각 필름의 수직(MD) 방향 인장 강도 및 수평(TD) 방향 인장 강도를 각각 2회 측정하였다. 이후, 인장 강도 감소율을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인장 강도 감소율은 수직(MD) 방향 인장 강도 감소율 및 수평(TD) 방향 인장 강도 감소율의 평균값이다.
[수학식 2]
인장 강도 감소율(%) = (초기 인장 강도 - 소정 시간 보관 후 인장 강도) / (초기 인장 강도) * 100
Mw
(g/mol)
색도
(L*/b*)
산가
(mgKOH/g)
용융 지수 변화 인장 강도 감소율(%)
2주 경과 4주 경과
실시예 1 141,000 84.79/2.35 1.2 4.2 6 22
실시예 2 141,000 86.56/0.36 1.19 4.1 6 21
실시예 3 142,000 82.75/5.21 1.14 3.9 9 25
실시예 4 140,000 80.09/5.06 1.25 4.1 7 22
실시예 5 140,000 84.2/3.2 1.31 4.5 10 27
실시예 6 142,000 85.1/1.9 1.5 5.9 12 29
실시예 7 143,000 83.62/2.3 1.53 6.0 11 30
실시예 8 147,000 84.24/0.94 1.23 4.3 9 26
비교예 1 150,000 85.31/-1.37 3.2 9.5 24 41
비교예 2 145,000 80.59/11.56 0.97 3.2 5 14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8의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PBAT) 수지는 비교예 1~2의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PBAT) 수지에 비하여 낮은 황색 지수(b*) 및 산가를 동시에 가지며 이에 따라 용융 지수 변화 및 인장 강도 감소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교예 1의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PBAT) 수지는 실시예 1~8의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PBAT) 수지에 비해 황색도는 낮지만 산가가 높아 용융 지수 변화 및 인장 강도 감소율이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비교예 2의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PBAT) 수지는 실시예 1~8의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PBAT) 수지에 비해 산가가 매우 낮아 용융 지수 변화 및 인장 강도 감소율이 낮지만, 황색도가 매우 높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및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중 적어도 1종의 디카르복실산;
    지방족 디올 및 방향족 디올 중 적어도 1종의 디올;
    촉매; 및
    상기 촉매의 활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원소(L)를 포함하는 탈활성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촉매 중의 금속(M)의 함량 및 상기 원소(L)의 함량은 중량비를 기준으로 하기 조건을 만족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조성물:
    1.5 ≤ M/L ≤ 3.5.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칼슘아세테이트, 망간아세테이트, 마그네슘아세테이트, 아연아세테이트, 모노부틸산화주석, 디부틸산화주석, 이염화디부틸주석(dibutyltin dichloride), 모노부틸히드록시 산화주석(monobutylhydroxy tin oxide), 옥틸틴(octyltin), 테트라부틸주석, 테트라페닐주석, 트리에틸티타네이트, 아세틸트리프로필티타네이트, 테트라메틸티타네이트, 테트라프로필티타네이트,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테트라 n-부틸티타네이트, 및 테트라(2-에틸헥실)티타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촉매의 함량은 상기 디카르복실산 및 상기 디올의 총 함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3중량부인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소(L)는 인(P)을 포함하며, 상기 탈활성화제는 상기 아인산, 아포스폰산(phosphonous acid), 트리메틸포스파이트, 트리에틸포스파이트, 트리프로필포스파이트, 트리페닐포스파이트, 소듐포스파이트 및 소듐하이포포스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인 화합물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색안정화제 및 분지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조성물.
  5.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및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중 적어도 1종의 디카르복실산; 지방족 디올 및 방향족 디올 중 적어도 1종의 디올; 촉매; 및 상기 촉매의 활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원소(L)를 포함하는 탈활성화제를 반응기에 투입하여 상기 디카르복실산과 상기 디올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키는 단계(에스테르화 단계); 및
    상기 에스테르화 단계의 생성물을 축중합 반응시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얻는 단계(축중합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130,000~15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며,
    상기 촉매 중의 금속(M)의 함량 및 상기 원소(L)의 함량은 중량비를 기준으로 하기 조건을 만족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방법:
    1.5 ≤ M/L ≤ 3.5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0 초과 내지 1.5mgKOH/g 이하의 산가 및 CIE1976 L*a*b*(L*=명도 지수, a*=적색 지수, b*=황색 지수)의 색좌표에서 6 이하의 b*를 갖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축중합 단계 이후에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5중량부의 사슬 연장제를 투입하여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반응시키는 단계(사슬 연장 단계)를 더 포함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방법.
KR1020130167505A 2013-12-30 2013-12-30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조성물 및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방법 KR20150078271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505A KR20150078271A (ko) 2013-12-30 2013-12-30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조성물 및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방법
AU2014374626A AU2014374626A1 (en) 2013-12-30 2014-12-24 Composition for producing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and production method for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JP2016528015A JP2017500380A (ja) 2013-12-30 2014-12-24 生分解性ポリエステル樹脂製造用組成物、及び生分解性ポリエステル樹脂の製造方法
CN201480071441.9A CN105849150A (zh) 2013-12-30 2014-12-24 制备生物可降解的聚酯树脂的组合物和生物可降解的聚酯树脂的制备方法
PCT/KR2014/012853 WO2015102305A1 (ko) 2013-12-30 2014-12-24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조성물 및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방법
EP14876928.4A EP3091046A4 (en) 2013-12-30 2014-12-24 Composition for producing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and production method for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US15/108,637 US20160326305A1 (en) 2013-12-30 2014-12-24 Composition for producing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and production method for biodegradable polyester res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505A KR20150078271A (ko) 2013-12-30 2013-12-30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조성물 및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271A true KR20150078271A (ko) 2015-07-08

Family

ID=53790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505A KR20150078271A (ko) 2013-12-30 2013-12-30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조성물 및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82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1261A1 (ko) * 2015-12-24 2017-06-29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1261A1 (ko) * 2015-12-24 2017-06-29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3404A (en) Polyester and formation process thereof
EP2820063B1 (en) Poly(butylene-co-adipate terephthalate),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s thereof
US9187595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biodegradable copolymer by split-injecting aromatic dicarboxylic acid compound
KR20130136776A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72581B1 (ko) 내가수분해성 및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수지 조성물
JP2017500380A (ja) 生分解性ポリエステル樹脂製造用組成物、及び生分解性ポリエステル樹脂の製造方法
EP3875514B1 (en) Copolymerized polyester resin, molded product, and heat-shrinkable film
CN102050941A (zh) 一种高分子聚合物及其生产方法
US9487623B2 (en) Preparation method of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resin having excellent color, and polycyclohexylenedimethylene terephthalate resin prepared by the same
KR20140076354A (ko)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연속 제조방법
KR101493391B1 (ko) 폴리에스테르 중합용 촉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TWI606091B (zh) 生物可分解共聚酯樹脂的製備方法
KR20160052906A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생분해성 수지
KR20130008818A (ko) 투명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KR101317767B1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78271A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조성물 및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방법
KR20130142468A (ko) 폴리에스테르 제조용 촉매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KR100298220B1 (ko) 폴리에스테르의제조방법
KR101385721B1 (ko) 복합 금속 산화물, 및 이를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
KR20170076945A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KR20150078270A (ko)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제조용 조성물 및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제조 방법
JP2019131636A (ja) ポリエステル
KR20140147804A (ko) 난연성 폴리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및 난연성 마스터 배치
KR101292654B1 (ko) 스크린 원단용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KR101369717B1 (ko) 분해성이 개선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